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메가시티 오염 발생 메카니즘 규명을 위한 국제관측 캠페인. 2, 대도시 대기 오염 규명 및 국내 배출량 검증을 위한 모델링 분야 [전자자료] = An international measurement campaign on megacity air pollution study : modeling study for investigation of source of urban air pollution and emission inventory verification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6-235
면수
198
제어번호
MONO1201753549
주기사항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박록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Ⅰ. 서론 19

Ⅱ. 연구내용 및 방법 20

제1절 국제항공 관측 캠페인 지원을 위한 배출량 인벤토리 20

1. 최신화된 항공관측용 상향식 배출 인벤토리의 작성 25

2. 배출프로세싱을 통한 대기화학 모델링용 배출입력장 작성 30

3. 항공캠페인 지원용 웹기반 배출 인벤토리 다운로드 서비스 사이트 작성 39

4. VOC 배출의 화학종 분화와 배출원별 배출 비율 42

제2절 국제항공 관측 캠페인 대기질 예보 수행 방법 46

1. CMAQ 46

2. CAMx 57

3. WRF-Chem 66

4. GRIMs-Chem 및 앙상블 모델링 69

제3절 역모델링 76

1. Adjoint 모델과 수반 민감도 76

2. 2009년에서 2013년까지 5월 서울 PM2.5 고농도 사례 선정 76

3. KORUS-AQ 캠페인 기간 한국 PM2.5 고농도 사례 선정 78

제4절 분석수행 도구 79

1. Flexi-Nesting 79

2. Particulate Source Apportionment Technology (PSAT) 81

Ⅲ. 연구결과 및 고찰 83

제1절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 캠페인 결과자료 분석 및 해석 83

1. CMAQ 대기질 예보 결과 분석 및 해석 83

2. CAMx 대기질 예보 결과 분석 및 해석 97

3. GRIMs-Chem 및 앙상블 모델링 결과자료 분석 및 해석 114

4. KORUS2015-NIER/KU 수도권지역의 DC-8 항공관측 VOC 자료 분석 사례 153

제2절 역모델링을 활용한 동북아 오염물질 배출 정량화 157

1. 과거 관측 자료를 이용한 서울 5월 PM2.5 고농도 사례의 오염원 분석 157

2. KORUS-AQ 캠페인 기간 한국 PM2.5 고농도 사례의 오염원 분석 159

제3절 오염물질의 해상 수송 과정 분석 160

1. 서해상 대기 경계층 및 혼합층 발달 구조에 따른 오염물질의 수송 특성 분석 160

2. 집중 관측 자료와 비교 분석을 통한 수치 모델의 해상 수송에 대한 모사 능력 평가 184

Ⅳ. 결론 193

Ⅴ. 기대성과(활용방안) 또는 향후계획 195

Ⅵ. 참고문헌 196

Table 2-1. KORUS2015-NIER/KU Inventory summary 26

Table 2-2. GFS 기상 예보 자료 현황 46

Table 2-3. 기상장 모의를 위한 WRF 구성요소 49

Table 2-4. CMAQ 모델 구동 정보 52

Table 2-5. 대기질 예보에 참여한 모델 및 각 모델의 수행기관, 기상장, 초기장 및 수평해상도 69

Table 2-6. Flexi-nesting을 위한 기본 입력자료 80

Table 2-7. PSAT에 이용되는 reactive tracers 예시 82

Table 3-1. 캠페인 기간 동안 측정된 지상 관측 자료와 예보된 PM10 결과의 통계 분석 결과 84

Table 3-2. 캠페인 기간 동안 측정된 지상 관측 자료와 예보된 PM2.5 결과의 통계 분석 결과 84

Table 3-3.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PM2.5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5

Table 3-4. 대전 사이트에서의 PM2.5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5

Table 3-5. 광주 사이트에서의 PM2.5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6

Table 3-6. 울산 사이트에서의 PM2.5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6

Table 3-7.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PM10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6

Table 3-8. 대전 사이트에서의 PM10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6

Table 3-9. 광주 사이트에서의 PM10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6

Table 3-10. 울산 사이트에서의 PM10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17

Table 3-11.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온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1

Table 3-12. 대전 사이트에서의 온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1

Table 3-13. 광주 사이트에서의 온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2

Table 3-14. 울산 사이트에서의 온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2

Table 3-15.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블랙카본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2

Table 3-16. 대전 사이트에서의 블랙카본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2

Table 3-17. 광주 사이트에서의 블랙카본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2

Table 3-18. 울산 사이트에서의 블랙카본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3

Table 3-19.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황산염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5

Table 3-20.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질산염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5

Table 3-21.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암모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5

Table 3-22. 불광동 사이트에서의 유기탄소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편차, 평균제곱근오차 125

Table 3-23. 올림픽 공원에서 PM농도의 관측과 모델평균의 상관계수, 평균값 127

Table 3-24. 올림픽 공원에서 PM농도의 관측과 모델의 상관계수, 평균값, 평균제곱근오차 127

Table 3-25. 기상 변수의 Bias와 오존 농도의 Bias 사이의 상관계수 151

Table 3-26. 기상 변수의 상대표준편차(RSD)와 오존 농도의 상대표준편차(RSD) 사이의 상관계수 152

Fig. 2-1. Future NOx Emission trends from various results (Wang, et al., ACP, 2014) 20

Fig. 2-2. KORUS2015-NIER/KU 인벤토리 최신화 과정 21

Fig. 2-3. 선박배출량 보완 및 공간배분 과정 22

Fig. 2-4. SMOKE-Asia Emissions Modeling System (Woo, et al., AE, 2012) 23

Fig. 2-5. 인벤토리의 웹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예 24

Fig. 2-6. KORUS2015-NIER/KU 인벤토리 summary 그래프 25

Fig. 2-7. KORUS2015-NIER/KU 인벤토리 2010년과 2015년 배출량 변화 그래프 27

Fig. 2-8. KORUS2015-NIER/KU 인벤토리와 타 인벤토리와의 비교분석 28

Fig. 2-9. KORUS2015-NIER/KU 인벤토리와 MICS 2010 인벤토리의 비교 29

Fig. 2-10. 선박배출량 개선 및 황해상으로의 공간 재분포 30

Fig. 2-11. 월별 할당계수 적용된 SMOKE processing 결과 월별 물질별 배출량 그래프 31

Fig. 2-12. Example of spatial distribution of model-ready emissions (0.1°, Asia) for the 2015.05 32

Fig. 2-13. Example of spatial distribution of model-ready emissions(3km, Korea) for the 2015.05 33

Fig. 2-14. General schematic methodology for chemical speciation 34

Fig. 2-15. MIX, CREATE, KORUS 화학종 분화 비교 그래프 35

Fig. 2-16. MIX, CREATE, KORUS 화학종 분화 비교 36

Fig. 2-17. CO, SO2, NOx, PM2.5 emission (0.1°, Asia) for the 2015.05 37

Fig. 2-18. CO, SO2, NOx PM2.5 emission (3 km, Korea) for the 2015.05 38

Fig. 2-19. KORUS2015-NIER/KU 배출자료 서비스 웹페이지 40

Fig. 2-20. Data download for KORUS v1.0 41

Fig. 2-21. 우리나라와 유럽/미국의 NMVOC 배출인벤토리의 부문구성 분율 42

Fig. 2-22. 우리나라와 외국의 NMVOC 배출 섹터별 비율 43

Fig. 2-23. 수도권 Toluene/Benzene, Xylene/Benzene 비교 (배출 vs. 농도) (장영기, 오존 수치 예보 정확도 향상 및 배출처리 모델개선, 2016) 44

Fig. 2-24. 최신 국제 배출 연구(MIX, Li et al., 2015)에 적용된 대표 배출원별 화학종 분배 비율 44

Fig. 2-25. 예보 모형에 적용된 SMOKE-Asia 화학종 분배결과 예시 및 KORUS 항공관측 연구에 적용된 화학종별 분배 비율 비교 45

Fig. 2-26. Spin-up 기간 및 예보 기간 48

Fig. 2-27. GIST GFS-WRF-CMAQ 예보 시스템 모의 영역 49

Fig. 2-28. 동아시아 식생기능형태(PFT) 분포도: 온대상록침엽수, 온대낙엽활엽수, 농작물 50

Fig. 2-29. 동아시아 잎면적지수(LAI) 8일 평균 분포도: 5월 초, 5월 중순, 6월 초 51

Fig. 2-30. biomass burning에 의한 CO 배출량 예시(FINN 자료) 51

Fig. 2-31. GIST GFS-WRF-CMAQ 대기질 예보 체계 구성 및 소요 시간 53

Fig. 2-32. GIST GFS-WRF-CMAQ 대기질 예보 시스템 54

Fig. 2-33. 캠페인 기간 동안 모의된 기상장 자료 (2016년 5월 30일) 55

Fig. 2-34. 캠페인 기간 동안 모의된 CO, O3, PM10, PM2.5 (2016년 5월 13일) 56

Fig. 2-35. 예보시스템 구축 예시 58

Fig. 2-36. CAMx 예보시스템 구동 체계 59

Fig. 2-37. 예보시스템 구성 59

Fig. 2-38. 예보시스템 구동 시간 60

Fig. 2-39. 시간 변화에 따른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 물질 예측 농도 예시 : 2016년 6월 9일~13일 60

Fig. 2-40.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예측 농도 공간분포 예시 : 2016년 6월 10일 61

Fig. 2-41. 수직 층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예시 : Ozone, 2016년 6월 10일 62

Fig. 2-42. 모사영역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예측 농도 예시 : PM10, 2016년 6월 9일 63

Fig. 2-43. 지역별 일 최대 대기오염물질 예측 농도 예시 : Ozone, 2016년 6월 10일 63

Fig. 2-44.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예측 농도 예시 : Ozone, 2016년 6월 10일 64

Fig. 2-45. 72시간 역궤적 추적 결과 (2016년 6월 10일 18시 기준) 65

Fig. 2-46. 72시간 궤적 추적 결과 (2016년 6월 9일 18시 기준) 65

Fig. 2-47. 캠페인 기간 단기 예보 지원을 위한 WRF-Chem 모델링 체계 모식도 67

Fig. 2-48. WRF-Chem 표출을 위한 부산대 대기 경계층 연구실 홈페이지(http://pbl.atmos.pusan.ac.kr/pmfcst_main.html) 68

Fig. 2-49. 오존 농도 검증에 사용된 관측 자료의 관측소 위치 70

Fig. 2-50. GRIMs/GEOS-Chem/GEOS-Chem Nested 대기질 예보 시스템 70

Fig. 2-51. GEOS-Chem 동아시아 Nested 모델 0.25°x0.3125° 격자 그리드 71

Fig. 2-52. GEOS-Chem Nested 모델 결과 웹페이지 표출 자료 예시. 지표면 오존 농도(좌), 지표면 PM10 농도(우) 72

Fig. 2-53. Tagged CO 시뮬레이션의 예시 및 도메인 구분 72

Fig. 2-54. 생산된 예보 자료 웹페이지 업로드 예시 (2016년 5월 1일 예보자료) 73

Fig. 2-55. 지표면 PM2.5 48시간 예보자료 예시 (2016년 5월 1일) 74

Fig. 2-56. 지표면 오존 48시간 예보자료 예시 (2016년 5월 1일) 75

Fig. 2-57. 2009년에서 2013년까지의 5월의 불광동에서 관측된 PM2.5와 모의된 PM2.5농도의 시계열 분포 77

Fig. 2-58. 캠페인 기간 동안의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PM2.5와 모의된 PM2.5 농도의 시계열 분포 78

Fig. 3-1. 캠페인 기간 동안 지상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PM10(점)과 GFS-WRF-CMAQ으로 모의한 자료(파란색 실선) 간의 비교 85

Fig. 3-2. 캠페인 기간 동안 지상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PM2.5(점)와 GFS-WRF-CMAQ으로 모의한 자료(파란색 실선) 간의 비교 86

Fig. 3-3. 캠페인 기간 동안 측정된 지상 관측 자료와 예보된 PM10 결과 비교(R: 상관계수, N: 총 자료 수, RMSE: Root-Mean Square Error, MB: Mean Bias) 87

Fig. 3-4. 캠페인 기간 동안 측정된 지상 관측 자료와 예보된 PM2.5 결과 비교(R: 상관계수, N: 총 자료 수, RMSE: Root-Mean Square Error, MB: Mean Bias) 87

Fig. 3-5. 캠페인 기간 동안 지상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CO(점)와 GFS-WRF-CMAQ으로 모의한 자료(파란색 실선) 간의 비교 88

Fig. 3-6. 캠페인 기간 동안 지상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O3(점)과 GFS-WRF-CMAQ으로 모의한 자료(파란색 실선) 간의 비교 89

Fig. 3-7. 캠페인 기간 동안 지상 관측 지점에서 측정된 SO2(점)와 GFS-WRF-CMAQ으로 모의한 자료(파란색 실선) 간의 비교 90

Fig. 3-8. DC-8 항로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91

Fig. 3-9. 2016년 5월 2일(KST) DC-8 항로에 따라 측정된 CO 분포(좌측)와 GFS-WRF-CMAQ CO 농도(우측) 비교 92

Fig. 3-10. 2016년 5월 2일(KST) DC-8 항로에 따라 측정된 O3 분포(좌측)와 GFS-WRF-CMAQ O3 농도(우측) 비교 92

Fig. 3-11. 2016년 5월 2일(KST) DC-8 항로에 따라 측정된 NO2 분포(좌측)와 GFS-WRF-CMAQ NO2 농도(우측) 비교 93

Fig. 3-12. 2016년 5월 2일(KST) DC-8 항로에 따라 측정된 SO2 분포(좌측)와 GFS-WRF-CMAQ SO2 농도(우측) 비교 93

Fig. 3-13. 한서대 King-Air 항로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포 94

Fig. 3-14. 2016년 6월 3일(KST) 한서대 King-Air 항로에 따라 측정된 CO분포(좌측)와 GFS-WRF-CMAQ CO 농도(우측) 비교 95

Fig. 3-15. 2016년 6월 3일(KST) 한서대 King-Air 항로에 따라 측정된 O3분포(좌측)와 GFS-WRF-CMAQ O3 농도(우측) 비교 95

Fig. 3-16. 2016년 6월 3일(KST) 한서대 King-Air 항로에 따라 측정된 NO2 분포(좌측)와 GFS-WRF-CMAQ NO2 농도(우측) 비교 96

Fig. 3-17. 2016년 6월 3일(KST) 한서대 King-Air 항로에 따라 측정된 SO2분포(좌측)와 GFS-WRF-CMAQ SO2 농도(우측) 비교 96

Fig. 3-18.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공간분포 결과 비교 : PM10 98

Fig. 3-19.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공간분포 결과 비교 : PM2.5 99

Fig. 3-20.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공간분포 결과 비교 : Ozone 100

Fig. 3-21.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PM10 101

Fig. 3-22. 캠페인 기간 격자해상도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PM10 101

Fig. 3-23.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PM2.5 102

Fig. 3-24. 캠페인 기간 격자해상도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PM2.5 102

Fig. 3-25. 캠페인 기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Ozone 103

Fig. 3-26. 캠페인 기간 격자해상도별 CAMx 및 CMAQ 예보 결과 비교 : Ozone 103

Fig. 3-27. 암모니아 배출량 수정 전 후 PM2.5 농도 비교 104

Fig. 3-28. 암모니아 배출량 수정 전 후 Ammonium, Nitrate, Sulfate 농도 비교 105

Fig. 3-29. Flexi-nesting을 이용한 고해상도 결과 표출 예시 106

Fig. 3-30. Flexi-nesting 이용 전 후 지역별 SO2 농도 결과 예시 107

Fig. 3-31. 고도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예측 농도 예시 : Ozone, 2016년 6월 10일 108

Fig. 3-32. PSAT 배출권역 109

Fig. 3-33. PSAT 결과 예시 : 2016년 6월 11일 110

Fig. 3-34. PSAT을 이용한 성분별 기간 평균 배출 기여도 111

Fig. 3-35. 캠페인 기간에 대한 배출 기여도 112

Fig. 3-36. 모델 AOD 예시 113

Fig. 3-37.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PM2.5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의된 농도값(붉은색: 모델 평균, 회색: 모델 변동) 114

Fig. 3-38.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PM10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의된 농도값(붉은색: 모델 평균, 회색: 모델 변동) 115

Fig. 3-39.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온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의 평균값(붉은색) 118

Fig. 3-40.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풍속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의 평균 값(붉은색). 오른쪽 두 개의 그림은 개별 모델의 풍속 시계열(분홍색: GRIMs-Chem, 파랑색: CAMx, 주황색: CMAQ, 보라색: WRF-Chem) 119

Fig. 3-41.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행성경계층의 모의 값. 검은 실선은 네 모델의앙상블 평균값(분홍색: GRIMs-Chem, 파랑색: CAMx, 주황색: CMAQ, 보라색: WRF-Chem). 120

Fig. 3-42. 과학원 관측 사이트에서의 블랙카본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의된 농도 값(분홍색: GRIMs-Chem, 파랑색: CAMx, 주황색: CMAQ) 121

Fig. 3-43. 불광동 관측 사이트에서의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유기탄소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의된 농도 값(분홍색: GRIMs-Chem, 파랑색: CAMx, 주황색: CMAQ) 124

Fig. 3-44. 올림픽 공원에서 관측된 PM10과 PM2.5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델 농도 값(붉은색: 모델평균, 회색: 모델 편차) 126

Fig. 3-45. 올림픽 공원에서 관측된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및 모델 농도 값(붉은색: 모델평균, 회색: 모델 편차). 사용관측기기는 MARGA. 128

Fig. 3-46. 올림픽 공원에서 관측된 질산가스, 이산화질소, 총 질소 합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델 농도 값(붉은색: 모델평균, 회색: 모델 편차). 사용관측기기는 질산가스는 MARGA, 이산화질소는 KENTEC. 129

Fig. 3-47. 올림픽 공원에서 관측된 질산가스, 이산화질소, 황산화물 합의 관측 농도 값(검은색) 및 모델 농도 값(붉은색: 모델평균, 회색: 모델 편차). 사용관측기기는 질산가스는 MARGA, 암모니아는 ion chromatographic 130

Fig. 3-48. 올림픽 공원에서 관측된 기상변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붉은색). 왼쪽 위의 통계 값은 각각 평균 값, 상관계수, 평균제곱근편차 131

Fig. 3-49. 이산화질소 관측 장비 기기간 관측값 비교 132

Fig. 3-50. 이산화황 관측 장비 기기간 관측값 비교 133

Fig. 3-51. 황산가스와 암모니아의 관측 장비 기기간 관측값 비교 134

Fig. 3-52. DC-8 항공관측 경로 및 날짜 (2016년 5월 1일~2016년 5월 24일) 135

Fig. 3-53. DC-8 항공관측 경로 및 날짜 (2016년 5월 26일~2016년 6월 9일) 136

Fig. 3-54. DC-8에서 관측된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 (2016년 5월 1일~2016년 6월 9일) 137

Fig. 3-55. DC-8에서 관측된 에어로졸 전구물질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2016년 5월 1일~2016년 6월 9일) 138

Fig. 3-56. DC-8에서 관측된 총 황산, 질산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 (2016년 5월 1일~2016년 6월 9일) 139

Fig. 3-57. DC-8에서 관측된 기상변수 및 산화물질의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2016년 5월 1일~2016년 6월 9일) 140

Fig. 3-58. 올림픽공원에서 관측된 에어로졸 및 전구물질의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 141

Fig. 3-59. DC-8에서 관측된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 142

Fig. 3-60. DC-8에서 관측된 에어로졸 전구물질의 농도의 관측 값(검은색) 및 모델 값 143

Fig. 3-61. 지표 오존 농도의 모델 모의결과와 관측 값의 시계열 144

Fig. 3-62. 모델과 관측의 지표 오존 농도의 평균 일변화 그래프 145

Fig. 3-63. 낮 시간 동안(오전10시~오후6시)의 지표 오존 농도의 모델 모의결과와 관측 값의 시계열 146

Fig. 3-64. 기상청 관측 자료(ASOS)와 모델에서 모의한 지표면 기압 147

Fig. 3-65. 기상청 관측 자료(ASOS)와 모델에서 모의한 시간당 강수량 148

Fig. 3-66. 기상청 관측 자료(ASOS)와 모델에서 모의한 지표면 풍속 149

Fig. 3-67. 기상청 관측 자료(ASOS)와 모델에서 모의한 낮 시간 (오전 10시~오후 6시) 지표면 온도 150

Fig. 3-68. DC-8 Flight 2016.06.02. 경로 153

Fig. 3-69. 서울 올림픽공원 톨루엔, 벤젠 농도 그래프 154

Fig. 3-70. 경기도 구리 톨루엔, 벤젠 그래프 154

Fig. 3-71. 8시, 12시, 15시 서울 올림픽 공원, 경기도 구리 톨루엔/벤젠 비율 155

Fig. 3-72. 경기도 구리 톨루엔, 이산화질소 농도 그래프 156

Fig. 3-73. 서울 올림픽공원 톨루엔, 이산화질소 농도 그래프 156

Fig. 3-74. PM2.5 농도를 cost-function으로 한 인위적 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된 암모니아, 이산화황, 질소산화물의 기여도 158

Fig. 3-75. PM2.5 농도를 cost-function으로 한 인위적 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된 암모니아, 질소산화물, 이산화황, 유기탄소, 블랙카본의 기여도 159

Fig. 3-77. 서해상을 통과하는 NASA DC-8 항공 관측 사례의 비행경로 160

Fig. 3-78. 2016년 5월 11일 21KST, 2016년 5월 12일 03KST, 09KST, 12KST의 850 hPa 바람장과 오존 농도의 수평 분포 161

Fig. 3-79. 2016년 5월 12일의 항공 측정 O3, NO2의 농도 분포 162

Fig. 3-80. 수치 모의된 850 hPa 등압면의 O3 수평 농도 분포와 풍향 풍속의 변화 (UTC기준 2016년 5월 16일, KST 기준 5월 17일 사례) 163

Fig. 3-81. 2016년 5월 17일의 항공 측정 O3, NO2의 농도 분포 164

Fig. 3-82. 2016년 5월 24일 12KST, 18KST, 2016년 5월 25일 09KST, 15KST의 850 hPa 바람장과 오존 농도의 수평 분포 165

Fig. 3-83. 2016년 5월 25일 항공 측정 O3의 농도 분포 166

Fig. 3-84. 2016년 5월 30일 21KST, 2016년 5월 31일 03KST, 09KST, 15KST의 850 hPa 바람장과 오존 농도의 수평 분포 167

Fig. 3-85. 2016년 5월 31일 항공 측정 O3의 농도 분포 168

Fig. 3-86. 분석에 이용된 존데 측정 지점의 위치 169

Fig. 3-87. 2016년 5월 11일~12일의 Qiangdao(위)와 백령도(아래)의 상층 수증기량의 연직 분포의 존데 측정값 및 모델 결과 170

Fig. 3-88. 2016년 5월 16일~17일의 Sheyang(위)와 광주(아래)의 상층 수증기량의 연직 분포의 존데 측정값 및 모델 결과 171

Fig. 3-89. 2016년 5월 25일의 중국 Qingdao(왼쪽 위), Sheyang(오른쪽 위)와 한국 백령도(왼쪽 아래)와 광주(오른쪽 아래)의 상층 수증기량의 연직 분포의 존데 측정값 및 모델 결과 172

Fig. 3-90. 2016년 5월 31일의 중국 Qingdao(왼쪽 위), Sheyang(오른쪽 위)와 한국 백령도(왼쪽 아래)와 광주(오른쪽 아래)의 상층 수증기량의 연직 분포의 존데 측정값 및 모델 결과 173

Fig. 3-91. 수치 모의된 O3과 N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12일 사례) 175

Fig. 3-92. 수치 모의된 O3과 N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17일 사례) 176

Fig. 3-93. 수치 모의된 O3과 N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25일 사례) 177

Fig. 3-94. 수치 모의된 O3과 N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31일 사례) 178

Fig. 3-95. 수치 모의된 SO4와 S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12일 사례) 180

Fig. 3-96. 수치 모의된 SO4와 S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17일 사례) 181

Fig. 3-97. 수치 모의된 SO4와 S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25일 사례) 182

Fig. 3-98. 수치 모의된 SO4와 SO2의 서울 위도를 중심으로 서해상-서울을 잇는 연직 단면도 (5월 31일 사례) 183

Fig. 3-99. 2016년 5월 12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오존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5

Fig. 3-100. 2016년 5월 12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오존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5

Fig. 3-101. 2016년 5월 17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오존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6

Fig. 3-102. 2016년 5월 17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이산화질소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점선은 항공 고도) 187

Fig. 3-103. 2016년 5월 25일 오전 8시~16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오존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8

Fig. 3-104. 2016년 5월 25일 오전 8시~16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이산화질소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점선은 항공 고도) 188

Fig. 3-105. 2016년 5월 25일 오전 8시~16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황산염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9

Fig. 3-106. 2016년 5월 25일 오전 8시~16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이산화황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89

Fig. 3-107. 2016년 5월 31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오존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90

Fig. 3-108. 2016년 5월 31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이산화질소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점선은 항공 고도) 191

Fig. 3-109. 2016년 5월 31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황산염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91

Fig. 3-110. 2016년 5월 31일 오전 8시~12시 경에 항공 측정된 서해상의 이산화황 분포(아래)와 같은 기간, 같은 지점의 모델 결과 오존 분포(위-검은 점선은 항공 고도) 19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