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실시간 대기현상을 반영하는 대화형 모델링 시스템 연구 : 최종보고서 :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용역과제. 1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6-238
면수
129
제어번호
MONO1201753839
주기사항
연구기관: 아주대학교
연구책임자: 김순태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I. 서론 17

II. 연구 내용 및 방법 18

1. 기본 연구 방향 18

2. 과업지시서 세부 연구 19

1장. 국내 배출량 실시간 변환 시스템 기반 구축 19

1절. 굴뚝 CleanSYS 측정결과를 이용한 점오염원 배출구별 배출량 및 시계열 분석 19

2절.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CAPSS) 기반 기상조건에 따른 배출량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시간분배(Temporal allocation) 자료 구축 24

3절. 기상 예보장 및 위성 등을 이용한 면오염원(주택난방 등)배출량 및 시계열 분석 35

4절. 현업예보용 국내 배출량 공간 할당 Surrogate 개발 42

5절. 대형점오염원, 도로이동오염원 및 면오염원에 대한 실시간 배출량 변환 시스템 시험 구축 및 정확도 평가 45

2장. 국내 배출량 실시간 변환 시스템 기반 구축 46

1절. 국외 화력발전소 및 주택난방을 위한 화석연료 연소에 따른 배출특성 조사 46

2절. 기상 예보장 및 위성자료(영상 및 성분자료) 등을 이용한 배출량 시간변화 예측 시스템 설계 47

3절. 현업예보용 국외 배출량 공간 할당 Surrogate 개발 55

4절. 고농도 사례 시 국외 배출량 실시간 변환에 따른 예보정확도 검증 및 대기질 예보모델 시범 적용 59

5절. 실시간 예보를 위한 국제동향 파악 및 협력(공동연구 등) 추진 67

3장. 대기오염 사고 시 배출량 변화에 따른 국내 영향 예측 시스템 구축 76

1절. 화산폭발 등 대기오염 사고 발생 시 위성영상 및 관측자료 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연직구성 등을 고려한 배출량 예측 시스템 개발 76

2절. 단시간에 국내 영향 예측이 가능한 예보지원 모델(STOPS 2.0) 구축 및 이관 88

3절. 예보지원 모델을 이용한 고농도 사례에 대한 영향예측 결과분석 및 검증 103

4절. 사고시 STOPS를 예보에 활용하기 위한 국제협력(공동연구 등) 추진 114

4장. 국내ㆍ외 실시간 현실을 반영하는 대화형 모델링 시스템 기반 구축 115

1절. 국내ㆍ외 실시간 배출량 변환 시스템의 호환성 및 예보정확도 평가 115

2절. 현업예보 시스템 개편을 고려한 실시간(In-line) 대화형(기상→배출량→대기질) 모델링 인터페이스 개발 및 시스템 기반 구축 119

III. 결론 120

IV.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125

V. 향후연구 126

VI. 연구추진계획 및 일정 127

VII. 참고문헌 128

〈Table 1-1〉 사용된 국토부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교통량 자료 25

〈Table 1-2〉 현업예보용 배출량 공간할당 대리인자 42

〈Table 1-3〉 신규 공간할당 대리인자 43

〈Table 2-1〉 기존, 업데이트된, 그리고 새로운 공간할당 Surrogates 56

〈Table 2-2〉 2010년 기준 MSW 시설의 배출량 69

〈Table 2-3〉 중국 제 13차 5개년 계획에 따른 폐기물 소각량 예측치 69

〈Table 2-4〉 CMAQ모델과 관측값의 일 평균 질산염 농도 비교 71

〈Table 2-5〉 배출량 보정에 따른 오존 모의능력 통계 값 변화 74

〈Table 3-1〉 Quick fire emission dataset(QFED) 세부사항 77

〈Table 3-2〉 WRF 모델링을 위한 세부 설정 90

〈Table 3-3〉 CMAQ 모델링을 위한 세부 설정 91

〈Table 3-4〉 토지 피복 분류별 모델 평균 마찰속도 및 황사 모듈 임계 마찰속도 95

〈Table 3-5〉 CB05-AERO6 화학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미세먼지 세부 화학종별 분배 비율 100

〈Fig 1-1〉 CleanSYS 사업장 등록번호별 오염물질 및 보정항목별 시계열 자료 예제 21

〈Fig 1-2〉 사업장 등록별 굴뚝별 월별 시계열 자료 예제 22

〈Fig 1-3〉 사업장 등록별 굴뚝별 주별 시계열 자료 예제 23

〈Fig 1-4〉 사업장 등록별 굴뚝별 일별 시계열 자료 예제 24

〈Fig 1-5〉 CAPSS와 EPA NEI간의 이동오염원 월별 시계열 (Monthly Temporal Profiles) 자료 비교 26

〈Fig 1-6〉 CAPSS와 EPA NEI간의 이동오염원 주별 시계열 (Weekly Temporal Profiles) 자료 비교 26

〈Fig 1-7〉 CAPSS와 EPA NEI간의 이동오염원 시간별 시계열 (Diurnal Temporal Profiles)자료 비교 27

〈Fig 1-8〉 한국 전 지역별 차종 분포도 (고속도로+일반국도) 27

〈Fig 1-9〉 차종별 월별 시계열 자료 29

〈Fig 1-10〉 지역별 주별 시계열 자료 29

〈Fig 1-11〉 차종별 주별 시계열 자료 30

〈Fig 1-12〉 도로별 주중/주말 시간별 시계열 자료 30

〈Fig 1-13〉 MOVES 2014-NOx 일 배출량 (SMOKE-MOVES:대기온도 기여; MOVES: 온도 배제) 32

〈Fig 1-14〉 기상변화가 대기질 모델링에 영향을 미치는 민감도 분석 결과 32

〈Fig 1-15〉 온도 변화에 따른 MOVES TOG, NOx, PM2.5과 NH3 배출계수 변화 33

〈Fig 1-16〉 온도 변화를 고려한 이동오염원용 월별 시계열 자료 34

〈Fig 1-17〉 온도 변화를 감안한 이동오염원용 도로별 주중/주말 일별 시계열 자료 35

〈Fig 1-18〉 연료별 NIER 주택난방용 월별 시계열 자료 36

〈Fig 1-19〉 주택난방용 지역별 월별 시계열 자료 37

〈Fig 1-20〉 연료별 NIER 주택난방용 주별 시계열 자료 38

〈Fig 1-21〉 지역별 주택난방용 주별 시계열 자료 38

〈Fig 1-22〉 NIER 주택난방 일별 시계열 자료 39

〈Fig 1-23〉 EPA 주택난방 일별 시계열 자료 39

〈Fig 1-24〉 NIER 축산용 월별 시계열 자료 40

〈Fig 1-25〉 축산업종 거름 오염원용 지역별 월별 시계열 자료 41

〈Fig 1-26〉 축산업종 거름용 일별 시계열 자료 41

〈Fig 1-27〉 공간할당계수 작성 흐름도 43

〈Fig 1-28〉 신규 대리인자 공간 분포 예시 44

〈Fig 2-1〉 현업 예보에 사용되는 INTEX-B 2006의 SCC 종류 및 시간할당 레퍼런스 번호 46

〈Fig 2-2〉 현업 예보에 사용되는 INTEX-B 2006의 발전시설 관련 SCC의 월간 배출량 변화 프로파일 47

〈Fig 2-3〉 기상이 반영된 배출량 보정 시스템 설계를 위한 연구 접근 방법 48

〈Fig 2-4〉 예보시스템의 모델 분류별, 지역별 NO2 농도 모사 및 관측자료 비교 48

〈Fig 2-5〉 위성을 통한 관측된 NO2 VCD와 예보모델을 통해 모의된 NO2 VCD 차이 비교 49

〈Fig 2-6〉 수도권 집중 측정소 기준 월평균 질산염 모사 농도 및 관측농도 50

〈Fig 2-7〉 NO2 VCD의 위성 관측과 모사값의 비율을 이용한 NO2 배출량 보정 계수 공간분포 (a: 2월, b: 5월) 50

〈Fig 2-8〉 지역적인 기상 차이를 고려한 배출량 생성 시스템 51

〈Fig 2-9〉 기상 및 미세먼지의 지역적 차이 52

〈Fig 2-10〉 자연배출량에 정확도 향상을 위한 LAI & FPAR 개선 53

〈Fig 2-11〉 기상 예보장 및 위성자료 등을 이용한 배출량 시간 변화 예측 시스템 설계 54

〈Fig 2-12〉 MODIS기반 (#11) 과 SEDAC GPW기반 (#20) 도심인구 대리인자 공간분포 비교 57

〈Fig 2-13〉 최신화된 대리인자의 기존 대리인자와 공간분포 비교 (Old - New) 58

〈Fig 2-14〉 신규 대리인자 공간분포 (#12 과 #21) 59

〈Fig 2-15〉 질소산화물 지표 관측농도 및 배출량 보정 전후의 예보 모사 결과 비교 (a;서울, b; 강원) 60

〈Fig 2-16〉 오존 지표 관측농도 및 배출량 보정 전후의 예보 모사 결과 비교 (a; 서울, b;강원) 61

〈Fig 2-17〉 수도권 집중 측정소 기준 초미세먼지 관측농도 및 배출량 보정 전후의 예보 모사 결과 비교 62

〈Fig 2-18〉 배출량 보정에 따른 질산염 농도 월평균 농도 변화(a: 2월, b: 5월, c: 수도권 지역 평균) 63

〈Fig 2-19〉 수도권 집중 측정소 기준 배출량 보정에 따른 질산염 농도 변화 시계열(a: 2월 초, b: 2월 중순) 64

〈Fig 2-20〉 질산염 1시간 평균농도 변화 기본모사 - 배출량 수정 후 모사 65

〈Fig 2-21〉 질소산화물 외 모든 배출량 삭감에 따른 효과 66

〈Fig 2-22〉 중국의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처리 현황 및 소각처리를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에 따른 대기 오염물 배출 전망 68

〈Fig 2-23〉 비료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NH3 배출량의 비교 70

〈Fig 2-24〉 기본모사 및 bidirectional exchange 적용에 따른 지표 암모니아 농도 비교 72

〈Fig 2-25〉 미국의 장기간 NOx 농도 변화 추이 73

〈Fig 2-26〉 BAU와 recession scenario에서의 NOx 배출량의 변화 비교 75

〈Fig 3-1〉 위성 및 관측자료를 이용한 배출량 예측 시스템 흐름도 76

〈Fig 3-2〉 산불 배출량의 대기질 모델 입력용 배출량 변환 과정 78

〈Fig 3-3〉 7월 17일 산불 배출 관측 및 배출량 입력자료에 구현된 산불 배출량 비교 79

〈Fig 3-4〉 7월 25일 산불 배출 관측 및 배출량 입력자료에 구현된 산불 배출량 비교 80

〈Fig 3-5〉 예보시스템의 모델 분류별, 지역별 NO2 농도 모사 및 관측자료 비교 81

〈Fig 3-6〉 CMAQ v5.0.2 모델에 포함된 In-line windblown dust module에서 사용된 배출량 플럭스 산정식 82

〈Fig 3-7〉 MODIS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IGBP) land cover data 83

〈Fig 3-8〉 대상기간 재비산 먼지의 일평균 배출량 (2015년 2월 1일 ~ 28일) 83

〈Fig 3-9〉 재비산먼지 배출량 적용 전후 PM10 농도 모의 시계열 84

〈Fig 3-10〉 예보시스템의 모델 분류별, 지역별 NO2 농도 모사 및 관측자료 비교 84

〈Fig 3-11〉 대기오염 사고 발생 시 현업 예보와 연계된 인위적ㆍ 자연적 배출량 적용 체계 85

〈Fig 3-12〉 현업 예보와 연계된 인위적 사고사례 적용 예시 86

〈Fig 3-13〉 CAMx.in 파일 생성을 위한 Python Tool 개발 예시 87

〈Fig 3-14〉 PNC를 활용한 Emergency Emission 자료 생성 예시 87

〈Fig 3-15〉 CMAQ(v5.0.2)-STOPS(v2.0) 모델링 시스템의 모델 구성도 88

〈Fig 3-16〉 WRF, CMAQ 및 STOPS 모델링 도메인 89

〈Fig 3-17〉 CMAQ과 STOPS의 PM10 모의 결과 비교 (2015년 2월 22-24) 92

〈Fig 3-18〉 CMAQ 및 STOPS 모의 결과 검증에 활용된 20개 대기질 측정망 분포 93

〈Fig 3-19〉 CMAQ과 관측값의 PM10 농도 시계열 비교 (2015년 2월) 94

〈Fig 3-20〉 CMAQ v5.0.2 모델에 포함된 In-line windblown dust module에서 사용된 배출량 플럭스 산정식 94

〈Fig 3-21〉 STOPS와 위성 관측자료를 활용한 실시간 예보장 재생산 절차 96

〈Fig 3-22〉 2015년 2월 21-22일의 한반도 주변 GOCI AOD (550 nm) 분포 97

〈Fig 3-23〉 GOCI 관측 자료 (좌) 및 CMAQ을 통해 산출된 AOD (우) 분포 비교 (2015년 2월 22일, 10시 30분) 98

〈Fig 3-24〉 CMAQ 수치모의에 사용된 기본 조대입자 배출량 (좌)과 GOCI AOD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된 배출량 (우) 100

〈Fig 3-25〉 CMAQ 및 STOPS 모델링을 통해 모의 된 한반도 주변의 PM10 수평 농도 분포 (2015년 2월 22일) 102

〈Fig 3-26〉 CMAQ 및 STOPS 모델링을 통해 모의 된 PM10 시계열 변화 (2015년 2월 22일) 103

〈Fig 3-27〉 GOCI AOD 자료 (2015년 2월 22일 16시 30분)와 STOPS 예보 결과(2015년 2월 22일 16시)의 비교 104

〈Fig 3-28〉 2015년 2월 22일 13:44분에 관측된 CALIOP 라이다 자료의 공간 범위(녹색 실선) 105

〈Fig 3-29〉 STOPS 예보 결과와의 비교에 사용한 CALIOP 라이다 관측 자료 범위(A-B) 106

〈Fig 3-30〉 CALIOP 라이다에서 관측된 (2015년 2월 22일 13시 44분) 동중국 일부 지역의 (〈Fig 3-29〉의 A-B) 연직 후방산란신호값 분포 107

〈Fig 3-31〉 CALIOP 후방산란신호 자료의 에어로졸 카테고리별 분류 107

〈Fig 3-32〉 CMAQ 및 STOPS 모델을 이용한 PM10 예보 결과 (지표면 고도) 108

〈Fig 3-33〉 CMAQ 및 STOPS 모델을 이용한 PM10 예보 결과 (고도별) 109

〈Fig 3-34〉 보정배출량의 배출 지속시간 변화에 따른 STOPS PM10 모의 결과 변화 (배출지속시간=1시간) 111

〈Fig 3-35〉 보정배출량의 배출 지속시간 변화에 따른 STOPS PM10 모의 결과 변화 (배출지속시간=6, 12, 24시간) 112

〈Fig 4-1〉 면 오염원 암모니아 배출량 월별 시간할당 계수 변경 전후 PM10 모사 결과 비교 시계열 115

〈Fig 4-2〉 면 오염원 암모니아 배출량 월별 시간할당 계수 변경 전후 PM10 모사 결과 비교 산포도 116

〈Fig 4-3〉 면 오염원 암모니아 배출량 월별 시간할당 계수 변경 전후 암모니아 모사 결과 비교 시계열 116

〈Fig 4-4〉 면 오염원 암모니아 배출량 월별 시간할당 계수 변경 전후 Sulfate/Nitrate/Ammonium 모사 결과 비교 117

〈Fig 4-5〉 이동오염원 월별 활동도 변경에 따른 O3 & PM10 모의결과 비교 11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