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제1장 서론 16
1. 연구배경 및 목적 17
2. 연구범위 및 방법 18
2.1. 연구범위 18
2.2. 연구방법 18
3. 선행연구 동향 20
제2장 공익사업 추진에 따른 보상갈등 쟁점 고찰 25
1. 근ㆍ장래 공익사업 추진에 따른 보상갈등 이슈 26
2. 근래 공익사업 관련 보상갈등 이슈의 쟁점 27
2.1. 토지보상 평가가격에 대한 협의 지난 27
2.2. 이주대책 유형별 경제적 편차 발생 29
2.3. 영업보상(휴ㆍ폐업, 권리금)의 현실화 논란 30
2.4. 유상취득 국ㆍ공유지의 보상가격 산정 논란 32
3. 장래 보상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변화 33
3.1. 공익사업의 개발방식 전환(소규모 개발ㆍ도시재생) 33
3.2. 젠트리피케이션의 사회문제화 34
3.3. 유휴공간(국ㆍ공유지, 장기방치건축물, 공중/지하공간 등)의 활용가치 증대 37
3.4. 유ㆍ무형 자산가치에 대한 국민권익의식 제고 42
제3장 핵심쟁점별 보상제도 및 정책 변화 동향 고찰 44
1. 토지보상액 산정기준 관련 입법 동향 45
1.1. 보상액 산정의 기본원칙 45
1.2. 보상액 산정 구조 47
1.3. 표준지 공시지가 기준 토지보상액 산정의 입법 동향 51
2. 국유지 가치평가 기준 관련 제도 개정 동향 53
2.1. 국유지 토지보상액 산정기준 53
2.2. 국유지 평가기준 개정 동향 54
3. 권리금 보상 관련 입법 동향 56
3.1. 「상가임대차법」상 권리금제도 도입 56
3.2. 권리금법제화의 주요내용 57
4.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보상기준 관련 입법동향 61
4.1.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관련 제도개정 61
4.2.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의 보상관련 권리관계 해석 62
5. 지하 및 공중공간 활용 관련 정책 동향 65
5.1. 도로 공간 입체적 활용ㆍ개발 제도 도입 65
5.2. 한계심도 초과 공간에 대한 공물화 논의 66
5.3. 지하 및 공중공간 보상 기준 67
제4장 핵심쟁점별 보상제도 문제점 진단 및 개선과제 도출 69
1. 토지보상액 산정기준의 적정성 진단 70
1.1. 보상액 산정기준에 대한 불협의 문제 70
1.2. 국유지 유상취득 가격산정 기준의 차등적용 문제 74
2. 이주대책(이주자택지/주택/이주정착금)의 경제적 편차 진단 77
2.1. 분석 대상과 범위 77
2.2. 이주정착금 및 특별공급 조건 79
3. 토지보상법 내 권리금 보상 도입타당성 진단 90
3.1. 상가권리금의 법적 보호 경과 90
3.2. 상가권리금 보호 실태의 문제점 92
3.3. 「토지보상법」보상 대상으로 상가권리금 포함 관련 견해 95
4. 소규모ㆍ특수목적사업 지구 내 이주자택지 공급 정합성 진단 105
4.1. 과거 대규모 개발사업에서 이주대책 상황(세종, 2008년 기준) 105
4.2. 소규모ㆍ특수목적사업에서의 이주대책 상황(안양ㆍ판교, 2017년 기준) 107
5.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보상기준 적정성 진단 112
5.1.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활용 상 제약요인 112
5.2. 공사중단 장기방치건축물 활용 시 보상기준 진단 113
6. 지하ㆍ공중공간 보상기준 적정성 진단 118
6.1. 논의의 필요성 118
6.2. 토지소유권의 범위에 대한 제도적 고찰 119
6.3. 지하 및 공중공간 활용 관련 제도 123
제5장 장래 공익사업 여건변화에 대응한 보상제도 개선방안 제시 130
1. 토지보상제도 개선의 논거 131
2. 보상액 산정기준의 적정화 방안 133
2.1. 토지보상액 산정기준 합리화 방안 133
2.2. 유상취득 국유지의 합리적 가치평가 기준 설정 136
2.3. 장기방치건축물의 적정보상 기준 마련 137
2.4. 지하 및 공중공간 보상기준 개선 방안 142
3. 이주대책의 합리화 방안 146
3.1. 이주대책(이택/주택/이주정착금) 경제적 편차 해소 146
3.2. 권리금 보상 도입여부 결정 및 적용 기준 마련 147
3.3. 소규모ㆍ특수목적사업에서 이주자택지 공급방식 전환 149
제6장 결론 153
참고문헌 156
판권기 2
〈그림 2-1〉 국내 도시화율 변화추이 33
〈그림 2-2〉 탕정2일반산업단지 이주자단지(크리스탈 빌리지) 위치 및 전경 36
〈그림 2-3〉 고덕국제화신도시 이주단지(율곡타운) 조성사례 37
〈그림 2-4〉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수(현장 수) 40
〈그림 2-5〉 공사중단 방치건축물 수(동 수) 40
〈그림 2-6〉공사중단 방치건축물 활용 공공시설 개발 사례 40
〈그림 2-7〉 공공부문에서의 지상ㆍ지하공간 활용사례 41
〈그림 3-1〉토지보상액 산정구조 48
〈그림 3-2〉 토지보상 절차도 50
〈그림 3-3〉 도로 공간 입체적 활용ㆍ개발 예시 66
〈그림 4-1〉 손실보상의 구분 94
〈그림 4-2〉 영업손실보상의 유형 94
〈그림 4-3〉 재정착을 원하는 이유 106
〈그림 4-4〉 판교창조경제밸리 위치 및 개발계획 11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24873 | LM 346.044 -17-2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24874 | LM 346.044 -17-2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