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서론> 민주공화당 연구와 구술연구

제1부 공화당 창당요원 구술
■ 강성원
■ 김영도
■ 예춘호

제2부 공화당 공채요원 구술
■ 정창화
■ 김한선
■ 김원웅

<보론> ‘사실’과 ‘구술자료’의 간극에 대한 하나의 해석: 정치엘리트구술을 중심으로

이용현황보기

박정희시대 민주공화당 구술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19769 324.251 -17-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19770 324.251 -17-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박정희 정부 시기의 집권여당이었던 ‘민주공화당’에 관한 구술연구이다. 최근 정치학계에 일고 있는 ‘반성적 성찰’이 출발의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정당정치가 지속적인 위기에 봉착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학 또는 정당연구가 적실성 있는 설명이나 대안을 내 놓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서구중심적 개념과 이론에 과도하게 의존한 것이 이유 중에 하나로 지목되었다. 물론 이러한 개념과 이론들이 한국 정당정치를 다른 사회와 비교할 수 있도록 보편적 범주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국 정당정치의 특수한 맥락이나 변화 경로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한국정당정치에 대해 역사적 맥락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그렇다. 첫째, 공화당에 주목한 이유를 들 수 있다. 공화당이 한국 보수정당의 원형(prototype)에 가깝다고 보기 때문이다. 공화당 이후를 승계한 민주정의당은 당사나 연수원 같은 경제적 자산뿐 아니라 사무국의 인력자산, 그리고 교육프로그램, 경험과 노하우 등과 같은 지적 자산의 일체를 승계하였다. 따라서 한국 보수주의 정당의 경로의존적 변화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공화당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공화당이 한국 정당정치에 미친 영향은 그 계승정당에 그치지 않는다. 정당 사무조직의 구성과 운영은 반대당과 그 계승정당에게까지 영향을 미쳤다. ‘공화당으로부터의 전염’이라 할만 했다. 둘째, 구술(oral history)을 통해 접근했던 이유를 들 수 있다. 사실 정당은 ‘단일한 공동체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수많은 작은 집단들의 연합체’라는 듀베르제의 표현 이상으로 복잡한 구성물이다. 한쪽으로는 유권자 개인에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으로는 정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사이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위계 또는 연계로 가득 채워져 있다. 구술은 이러한 행위자들의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시간, 그 장소’에 대한 경험적 진술은 한국 정당정치연구에 결핍되어 있는 현장성을 메울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머리말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