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울산 동구 고늘지구 연안정비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7
청구기호
627.58 -17-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vi, 610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57280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휴먼앤어스, 주식회사 선영종합엔지니어링
사업책임기술자: 나원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울산 동구 고늘지구 연안정비사업

목차

제1장 총설 41

1.1. 과업의 개요 42

1.1.1. 과업의 목적 42

1.1.2. 과업의 위치 42

1.1.3. 과업수행기간 42

1.1.4. 과업의 범위 43

1.1.5. 과업추진경위 및 일정 44

1.1.6. 과업수행업체 44

1.1.7. 과업수행흐름도 45

1.2. 설계요약 46

1.2.1. 설계내용 46

1.2.2. 시설계획 46

1.3. 건설계획 50

1.3.1. 주요 물공량 50

1.3.2. 건설공사비 50

1.3.3. 예정공정표 51

제2장 기초자료조사 52

2.1. 자연여건 조사 53

2.1.1. 지형 및 지세 53

2.1.2. 기상 53

2.1.3. 해상 67

2.2. 입지여건조사 72

2.2.1. 인문·사회현황 72

2.2.2. 산업·경제현황 73

2.2.3. 토지이용 현황 76

2.2.4. 육·해상 수송망 현황 77

2.2.5. 동력 및 용수 현황 78

2.3. 관련계획 및 기 시행용역조사 80

2.3.1. 상위관련계획 80

2.3.2. 지역관련계획 93

2.3.3. 기 시행 관련 용역 98

2.4. 국내·외 자료조사 102

2.4.1. 국내사례조사 102

2.4.2. 국외사례조사 107

제3장 현지조사 119

3.1. 지형 및 수심측량 120

3.1.1. 조사개요 120

3.1.2. 기준점 측량 121

3.1.3. 수준측량 127

3.1.4. 지형측량 130

3.1.5. 수심측량 134

3.2. 지반조사 147

3.2.1. 조사개요 147

3.2.2. 조사 및 시험방법 149

3.2.3. 토질 및 암반의 분류 150

3.2.4. 시추조사 및 실내시험 결과 151

3.2.5. 기존 시추조사 자료 분석 155

3.2.6. 설계지반 정수 산정 156

3.3. 재료원 조사 159

3.3.1. 조사목적 159

3.3.2. 조사범위 및 내용 159

3.4.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 조사 161

3.4.1. 조사개요 161

3.4.2. 용지 조사 161

3.4.3. 지장물 조사 161

3.5. 어업권 조사 176

3.5.1. 조사개요 176

3.5.2. 어업권 현황 176

3.5.3. 어업권 현황도 177

3.6. 공사용 작업장 조사 178

3.6.1. 조사개요 178

3.6.2. 공사용 작업장 178

제4장 해양조사 180

4.1. 개요 181

4.1.1. 조사목적 181

4.1.2. 조사 내용 및 범위 181

4.2. 파랑 관측 182

4.2.1. 관측 개요 182

4.2.2. 관측 및 분석방법 183

4.2.3. 관측 결과 184

4.3. 해빈류 관측 194

4.3.1. 관측 개요 194

4.3.2. 관측 및 분석방법 195

4.3.3. 관측 결과 196

4.4. 해저질 조사 203

4.4.1. 조사 개요 203

4.4.2. 조사 및 분석방법 205

4.4.3. 조사 결과 206

4.5. 하천 조사 216

4.5.1. 조사 개요 216

4.5.2. 조사 및 분석방법 216

4.5.3. 조사 결과 218

4.6. 해빈단면 및 해안선 조사 220

4.6.1. 조사 개요 220

4.6.2. 조사 및 분석방법 221

4.6.3. 조사 결과 222

4.7. 단면수심 조사 237

4.7.1. 조사 개요 237

4.7.2. 조사 및 분석방법 237

4.7.3. 조사 결과 239

4.8. 연속조류 관측 251

4.8.1. 관측 개요 251

4.8.2. 관측 및 분석방법 252

4.8.3. 관측 결과 253

제5장 수치모형실험 275

5.1. 수치모형실험 개요 276

5.1.1. 실험 목적 276

5.1.2. 실험 내용 276

5.2. 파랑변형 실험(I) 277

5.2.1. 실험 개요 277

5.2.2. 적용 모형 278

5.2.3. 모형 수립 280

5.2.4. 실험결과 및 분석 286

5.3. 항내정온도 실험 291

5.3.1. 실험 개요 291

5.3.2. 적용 모형 291

5.3.3. 모형 수립 292

5.3.4. 실험결과 및 분석 294

5.4. 파랑변형 실험(II) 304

5.4.1. 실험 개요 304

5.4.2. 적용 모형 305

5.4.3. 모형 수립 305

5.4.4. 실험결과 및 분석 312

5.5. 해빈류 실험 369

5.5.1. 실험 개요 369

5.5.2. 적용 모형 369

5.5.3. 모형 수립 369

5.5.4. 실험 결과 및 분석 373

5.6. 표사이동 실험 402

5.6.1. 실험 개요 402

5.6.2. 적용 모형 402

5.6.3. 모형 수립 402

5.6.4. 실험 결과 및 분석 403

5.7. 해수유동 실험 433

5.7.1. 실험 개요 433

5.7.2. 적용 모형 434

5.7.3. 모형 수립 434

5.7.4. 모형 검증 435

5.7.5. 실험결과 및 분석 439

5.8. 부유사확산 실험 446

5.8.1. 실험 개요 446

5.8.2. 적용 모형 446

5.8.3. 모형 수립 446

5.8.4. 실험결과 및 분석 448

5.9. 해안선변형 실험 468

5.9.1. 실험 개요 468

5.9.2. 적용 모형 469

5.9.3. 모형 수립 471

5.9.4. 실험결과 및 분석 472

제6장 해안침식 원인분석 및 대책수립 476

6.1. 침식원인 분석 477

6.1.1. 항공사진 분석(장기해안선 변화) 477

6.1.2. 연안침식 모니터링 분석 484

6.1.3. 기후변화에 따른 파랑강화 486

6.1.4.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489

6.1.5.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영향 491

6.1.6. 침식원인 분석 결과 493

6.2. 침식방지시설의 필요성 494

6.2.1. 해변특성 분석 494

6.2.2. 일산해수욕장 피해현황 496

6.2.3. 침식방지시설의 필요성 497

6.3. 해안침식 방지대책 498

6.3.1. 기본방향 및 절차 498

6.3.2. 해안침식 방지공법 검토 500

6.3.3. 해안침식 방지공법 적용성 검토 519

6.4. 평면배치계획 수립 521

6.4.1. 기본방향 521

6.4.2. 평면배치안 검토 521

6.4.3. 수중방파제 및 파제제의 유황패턴 검토 526

6.4.4. 해안선 목표유지 한계선 527

제7장 기본 및 실시설계 529

7.1. 개요 530

7.1.1. 기본방향 530

7.1.2. 기본목표 530

7.1.3. 기본 및 실시설계 범위 530

7.2. 설계기준 및 조건 531

7.2.1. 적용기준 531

7.2.2. 자연조건 533

7.2.3. 사용재료조건 534

7.2.4. 토질조건 537

7.2.5. 내진설계기준 537

7.2.6. 허용안전율 541

7.3. 기존시설물 안전도 검토 542

7.3.1. 일산항 방파제 안정검토 542

7.3.2. 일산항 방파호안 안정검토 550

7.3.3. 일산항 물양장 안정검토 557

7.4. 침식방지시설공 561

7.4.1. 개요 561

7.4.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단면 기본제원 결정 563

7.4.3.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의 단면형식 검토 572

7.4.4.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의 세부검토 573

7.4.5.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안정검토 588

7.4.6. 액상화 평가 593

7.4.7. 시공전 지반조사 계획 597

7.4.8. 이동한계수심 검토 598

7.4.9. 선박통항 영향검토 601

7.5. 부대공 602

7.5.1. 오탁방지막 602

7.5.2. 공사용 등부표 605

7.5.3. 안전표지시설 606

7.5.4. 제작장 611

제8장 건설계획 614

8.1. 건설계획수립 615

8.1.1. 개요 615

8.1.2. 수립단계별 검토사항 615

8.2. 단계별 건설계획 618

8.2.1. 건설계획 내용 618

8.2.2. 단계별 건설계획 620

8.3. 건설계획 623

8.3.1. 시공계획 검토 623

8.4. 건설관리계획 624

8.4.1. 공사관리 운영계획 624

8.4.2. 공사관리 시행계획 624

8.5. 안전관리계획 626

8.5.1. 개요 626

8.5.2. 공사장비의 안전관리 대책 627

8.5.3. 기타 안전관리 629

8.6. 품질관리계획 631

8.6.1. 품질관리 목표 631

8.6.2. 품질관리 수행 흐름도 631

8.6.3. 공종별 품질관리 632

8.6.4. 품질시험 계획 633

8.7. 모니터링계획 634

8.7.1. 모니터링계획 634

8.8. 공사 규모 636

8.8.1. 공사개요 636

8.8.2. 주요 물공량 636

8.8.3. 건설공사비 637

8.9. 예정공정표 638

제9장 해역이용협의 639

9.1. 해역이용협의 실시근거 640

9.2. 환경관련 지역개황 641

9.2.1. 상수원보호구역 현황 641

9.2.2. 자연환경 보호지역 지정현황 641

9.2.3.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 지정 현황 643

9.2.4. 악취관리지역 지정 현황 643

9.3. 환경현황 조사 645

9.3.1. 해양화학 645

9.3.2. 해양퇴적물 650

9.3.3. 해양생태계 653

9.4.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657

9.4.1. 영향예측 657

9.4.2. 저감방안 657

9.5. 해양환경영향조사 659

9.5.1. 해양환경영향조사 실시근거 659

9.5.2. 해양환경영향조사 계획 659

참여기술자 명단 660

〈표 1.1.1〉 과업의 범위 43

〈표 1.1.2〉 과업수행업체 44

〈표 1.2.1〉 설계내용 46

〈표 2.1.1〉 기상개요 54

〈표 2.1.2〉 월별 기온 55

〈표 2.1.3〉 월별 풍속 56

〈표 2.1.4〉 풍향별 출현율 56

〈표 2.1.5〉 월별 강수량 58

〈표 2.1.6〉 월별 기압 59

〈표 2.1.7〉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수 60

〈표 2.1.8〉 울산지역에 영향을 미친 태풍 60

〈표 2.1.9〉 월 별 현상일수 63

〈표 2.1.10〉 작업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 64

〈표 2.1.11〉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64

〈표 2.1.12〉 기상장애에 의한 작업불가능 일수 산정 65

〈표 2.1.13〉 기상자료를 이용한 작업가능일수 66

〈표 2.1.14〉 조화분석 67

〈표 2.1.15〉 기왕 극조위 68

〈표 2.1.16〉 심해설계파 제원(50년 빈도) 70

〈표 2.1.17〉 심해설계파 제원 변화(2012-2005년, 50년 빈도) 71

〈표 2.1.18〉 심해설계파 파향별 대표주기 71

〈표 2.2.1〉 연도별 인구변동 추이 72

〈표 2.2.2〉 연도별 주택보급현황 72

〈표 2.2.3〉 농경지 현황 73

〈표 2.2.4〉 어가 및 어가인구 현황 73

〈표 2.2.5〉 어선보유 현황 74

〈표 2.2.6〉 어획고 현황 74

〈표 2.2.7〉 산업단지 현황 75

〈표 2.2.8〉 광업 및 제조업 현황 75

〈표 2.2.9〉 토지이용 현황 76

〈표 2.2.10〉 용도지역별 계획 76

〈표 2.2.11〉 자동차 등록현황 77

〈표 2.2.12〉 도로 및 포장 현황 77

〈표 2.2.13〉 용도별 전력사용량 78

〈표 2.2.14〉 가스공급현황 78

〈표 2.2.15〉 상수도 보급 현황 79

〈표 2.2.16〉 상수도 보급 현황 79

〈표 2.2.17〉 하수도 보급 현황 79

〈표 2.3.1〉 부산·울산연안 연안통합관리 전략별 추진과제 85

〈표 2.3.2〉 2차 연안정비 변경계획 선정사업의 지역별 분포 87

〈표 2.3.3〉 연안정비사업 연도별 투자계획 88

〈표 2.3.4〉 2021 울산도시 기본계획 상의 동구 생활권별 계획인구·토지이용·인구밀도 95

〈표 2.3.5〉 2021 울산광역시 동구의 경관가이드라인 95

〈표 2.4.1〉 금음지구 침식방지 시설 배치 계획 103

〈표 2.4.2〉 전촌2리 연안정비 해안침식 방지시설 개요 104

〈표 2.4.3〉 강릉시 남항진리 연안정비사업 시설개요 105

〈표 2.4.4〉 해운대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시설개요 106

〈표 2.4.5〉 델레이비치 양빈사업의 규모 108

〈표 3.1.1〉 기준점 성과표(국가삼각점) 121

〈표 3.1.2〉 RTK(Trimble R6) 제원 121

〈표 3.1.3〉 G.N.S.S 측량방법 122

〈표 3.1.4〉 G.N.S.S 측위 시 발생되는 오차 123

〈표 3.1.5〉 울산관측소상세정보 125

〈표 3.1.6〉 GNSS측량결과 (경위도좌표) 126

〈표 3.1.7〉 GNSS측량결과 (TM좌표) 126

〈표 3.1.8〉 Auto Level 제원 127

〈표 3.1.9〉 공공측량 표고 허용 오차 128

〈표 3.1.10〉 수준측량 결과 129

〈표 3.1.11〉 RTK GNSS방식과 Network RTK방식 비교 131

〈표 3.1.12〉 Trimble, R6 제원 132

〈표 3.1.13〉 인공위성위치측정기(DGPS) DSM™ 232 제원 136

〈표 3.1.14〉 멀티빔 R2 SONIC 2024 제원 137

〈표 3.1.15〉 모션센서 Octans III 제원 138

〈표 3.1.16〉 표층음속측정기(SVP-C)의 제원 138

〈표 3.1.17〉 표층음속측정기(Minos-X)의 제원 139

〈표 3.1.18〉 센서 거리 간격 140

〈표 3.1.19〉 표층음속측정기(Minos-X)의 제원 141

〈표 3.1.20〉 표층음속측정기(Minos-X)의 제원 141

〈표 3.1.21〉 음속도 변화표 143

〈표 3.2.1〉 조사기간 147

〈표 3.2.2〉 조사기간 147

〈표 3.2.3〉 시추조사 위치 148

〈표 3.2.4〉 항목 및 방법 149

〈표 3.2.5〉 시추조사 결과표 151

〈표 3.2.6〉 지층특성(BH-1) 152

〈표 3.2.7〉 지층특성(BH-2) 153

〈표 3.2.8〉 지층특성(BH-3) 153

〈표 3.2.9〉 시추조사 결과표 155

〈표 3.2.10〉 표준관입시험 결과 156

〈표 3.2.11〉 경험식에 의한 토질정수 산정식 156

〈표 3.2.12〉 자연지반의 토질 종류별 토질정수 (도로설계요령, 한국도로공사) 157

〈표 3.2.13〉 실내시험 결과(방어진항 이용고도화사업 실시설계용역, 2014) 157

〈표 3.2.14〉 지층별 대표 N값 157

〈표 3.2.15〉 원지반 설계지반 정수 158

〈표 3.2.16〉 압밀정수 158

〈표 3.3.1〉 석재원 비교 및 선정 160

〈표 3.4.1〉 편입용지 집계표 161

〈표 3.4.2〉 지장물 집계표 161

〈표 3.4.3〉 각종맨홀(1) 조서 164

〈표 3.4.4〉 각종맨홀(2) 조서 167

〈표 3.4.5〉 각종맨홀(3) 조서 167

〈표 3.4.6〉 시설물 조서(1,2) 170

〈표 3.4.7〉 시설물 조서(3) 172

〈표 3.4.8〉 배수구조물 조서 174

〈표 3.5.1〉 어업권 현황 176

〈표 3.5.2〉 공사용 작업장 후보지 179

〈표 4.1.1〉 조사의 내용 181

〈표 4.2.1〉 파랑관측 개요 182

〈표 4.2.2〉 파고계(AWAC) 제원 183

〈표 4.2.3〉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정점 W_1, 하계) 186

〈표 4.2.4〉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정점 W_1, 동계) 187

〈표 4.2.5〉 유의파고와 유의주기의 결합분포(정점 W_1, 하계) 188

〈표 4.2.6〉 유의파고와 유의주기의 결합분포(정점 W_1, 동계) 189

〈표 4.2.7〉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정점 W_1, 하계) 190

〈표 4.2.8〉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정점 W_1, 동계) 191

〈표 4.3.1〉 해빈류관측 개요 194

〈표 4.3.2〉 해빈류 관측결과 197

〈표 4.4.1〉 해저질조사 개요 203

〈표 4.4.2〉 입도분석 결과(하계) 210

〈표 4.4.3〉 분급도에 따른 분급정도 212

〈표 4.4.4〉 왜도에 따른 분급정도 213

〈표 4.4.5〉 첨도에 따른 분급정도 214

〈표 4.5.1〉 직독식 유속계(DCS-3900A) 제원 217

〈표 4.5.2〉 소류사 포집기 제원 217

〈표 4.5.3〉 하천 유사량 결과 219

〈표 4.5.4〉 하천시료 입도분석 결과 219

〈표 4.6.1〉 Trimble R6 제원 221

〈표 4.6.2〉 해안선 변화이력 결과 230

〈표 4.6.3〉 항공사진 해안선 추출 231

〈표 4.6.4〉 해안선 변화이력 결과 233

〈표 4.6.5〉 침식현황 변화 분석(항공·위성사진) 233

〈표 4.6.6〉 해안선 변화이력 결과 235

〈표 4.6.7〉 해안선 변화 분석 (항공사진) 236

〈표 4.7.1〉 Trimble R6 제원 238

〈표 4.8.1〉 연속조류관측 개요 251

〈표 4.8.2〉 유속계(AWAC) 제원 252

〈표 4.8.3〉 유속·유향별 출현율(PC-1, 하계) 256

〈표 4.8.4〉 유속·유향별 출현율(PC-2, 하계) 257

〈표 4.8.5〉 관측 최강유속 266

〈표 4.8.6〉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1, 표층) 267

〈표 4.8.7〉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1, 중층) 268

〈표 4.8.8〉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1, 저층) 269

〈표 4.8.9〉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2, 표층) 270

〈표 4.8.10〉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2, 중층) 271

〈표 4.8.11〉 조류의 조화상수 및 비조화상수(PC-2, 저층) 272

〈표 5.1.1〉 실험 개요 276

〈표 5.2.1〉 파랑변형 실험(I) 개요 277

〈표 5.2.2〉 심해설계파 제원(50년 빈도) 281

〈표 5.2.3〉 심해설계파 제원 변화(2012-2005년, 50년 빈도) 281

〈표 5.2.4〉 심해설계파 파향별 대표 주기 282

〈표 5.2.5〉 심해설계파 제원(10년 빈도) 282

〈표 5.2.6〉 심해설계파 제원 변화(2012-2005년, 10년 빈도) 283

〈표 5.2.7〉 심해설계파 파향별 대표 주기 283

〈표 5.2.8〉 설계파 산정 결과 286

〈표 5.2.9〉 구조물 설계파 산정 결과 286

〈표 5.2.10〉 설계파 산정 결과 287

〈표 5.2.11〉 구조물 설계파 산정 결과 287

〈표 5.3.1〉 항내정온도 실험 개요 291

〈표 5.3.2〉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292

〈표 5.3.3〉 단면 형식별 반사율 적용기준 292

〈표 5.3.4〉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현상태) 294

〈표 5.3.5〉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계획 1안) 295

〈표 5.3.6〉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계획 2안) 295

〈표 5.3.7〉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계획 3안) 296

〈표 5.3.8〉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계획 4안) 296

〈표 5.3.9〉 전면 파고분포(이상파랑, 계획 5안) 297

〈표 5.4.1〉 파랑변형 실험(II) 개요 304

〈표 5.4.2〉 파고-주기 계급별 출현 횟수(격자점 : 065128) 305

〈표 5.4.3〉 파향-파고 계급별 출현 횟수(격자점 : 065128) 306

〈표 5.4.4〉 월별 파향별 출현율(격자점 : 065128) 307

〈표 5.4.5〉 7개 대표파향 이상파 제원 308

〈표 5.4.6〉 실험안 308

〈표 5.5.1〉 해빈류 실험 개요 369

〈표 5.6.1〉 표사이동 실험 개요 402

〈표 5.7.1〉 해수유동 실험 개요 433

〈표 5.7.2〉 조위 검증 437

〈표 5.7.3〉 조류 검증 438

〈표 5.8.1〉 부유사확산 실험 개요 446

〈표 5.8.2〉 부유사 발생량 산정 448

〈표 5.8.3〉 1ppm 농도의 부유사 최대 확산거리/면적 및 감소율(수중방파제 북측) 450

〈표 5.8.4〉 1ppm 농도의 부유사 최대 확산거리/면적 및 감소율(수중방파제 남측) 450

〈표 5.9.1〉 실험 개요 468

〈표 5.9.2〉 파향별 파고 출현빈도 (격자점 : 065128) 471

〈표 5.9.3〉 대표파고 산정결과 471

〈표 6.1.1〉 항공사진의 제원 477

〈표 6.1.2〉 일산해수욕장 해빈면적 변화 483

〈표 6.1.3〉 해빈단면 변화 484

〈표 6.1.4〉 5개 파랑관측 지점의 2006년 10월 이상파랑 관측결과 488

〈표 6.1.5〉 5개 파랑관측 지점의 2006년 10월 이상파랑 관측결과 489

〈표 6.1.6〉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영향(항공사진 분석결과) 492

〈표 6.2.1〉 일산해수욕장 현황 494

〈표 6.3.1〉 대응기술방법에 따라 공법 분류 500

〈표 6.3.2〉 독립적인 기능 및 목적에 따라 공법 분류 501

〈표 6.3.3〉 돌제의 장·단점 502

〈표 6.3.4〉 이안제의 장·단점 505

〈표 6.3.5〉 수중방파제의 장·단점 507

〈표 6.3.6〉 호안 및 사면보호공 장·단점 509

〈표 6.3.7〉 양빈의 장점 511

〈표 6.3.8〉 양빈의 단점 512

〈표 6.3.9〉 미국 NRC 양빈 권고사항 513

〈표 6.3.10〉 유럽의 양빈 실패사례 517

〈표 6.3.11〉 대응기술방법에 따라 공법 적용성 검토 519

〈표 6.3.12〉 연성공법 비교 519

〈표 6.3.13〉 경성공법 비교 519

〈표 6.3.14〉 해안침식대책공법 선정 520

〈표 6.4.1〉 평면배치계획안 개요 521

〈표 6.4.2〉 수치실험에 의한 평면배치계획안별 검토 523

〈표 6.4.3〉 수중방파제의 유황 패턴 526

〈표 6.4.4〉 이안거리 및 개구폭에 따른 유황패턴 526

〈표 6.4.5〉 최종평면배치 유황패턴 검토 526

〈표 6.4.6〉 해안선 목표유지 한계선 527

〈표 7.1.1〉 기본 및 실시설계 범위 530

〈표 7.2.1〉 기상조건 533

〈표 7.2.2〉 조화분석 및 조위도 533

〈표 7.2.3〉 설계 파랑 533

〈표 7.2.4〉 설계 조류속 533

〈표 7.2.5〉 설계 기준강도 534

〈표 7.2.6〉 철근 재료의 특성 534

〈표 7.2.7〉 재료의 허용응력 534

〈표 7.2.8〉 강재 재료의 특성 535

〈표 7.2.9〉 강말뚝의 허용응력 535

〈표 7.2.10〉 단위중량 536

〈표 7.2.11〉 내부마찰각 및 마찰계수 536

〈표 7.2.12〉 상재하중 536

〈표 7.2.13〉 원지반 설계지반 정수 537

〈표 7.2.14〉 압밀정수 537

〈표 7.2.15〉 연안시설 내진등급 537

〈표 7.2.16〉 내진성능 538

〈표 7.2.17〉 내진성능 목표 538

〈표 7.2.18〉 지진구역 선정 538

〈표 7.2.19〉 지진구역계수(재현주기 500년에 해당) 538

〈표 7.2.20〉 위험도 계수 539

〈표 7.2.21〉 기반암 설계지반운동수준 결정 539

〈표 7.2.22〉 기반암 가속도 선정 540

〈표 7.2.23〉 지반분류에 따른 지진계수 540

〈표 7.2.24〉 지표면 최대가속도 결정 540

〈표 7.2.25〉 허용안전율 541

〈표 7.2.26〉 지반의 허용지지력 541

〈표 7.2.27〉 지반의 침하 및 변위 541

〈표 7.3.1〉 설계조건 543

〈표 7.3.2〉 마루높이 결정방법 543

〈표 7.3.3〉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의한 방법 543

〈표 7.3.4〉 처오름 높이에 의한 방법 543

〈표 7.3.5〉 전달파고에 의한 방법 544

〈표 7.3.6〉 인근구조물에 의한 방법 544

〈표 7.3.7〉 마루높이 검토결과 544

〈표 7.3.8〉 기존시설물 검토방법 545

〈표 7.3.9〉 쇄파대 검토결과 547

〈표 7.3.10〉 설계조건 547

〈표 7.3.11〉 피복재 소요규격 검토방법 548

〈표 7.3.12〉 Hudson에 의한 방법 548

〈표 7.3.13〉 Van der Meer에 의한 방법 548

〈표 7.3.14〉 피복재 검토결과 548

〈표 7.3.15〉 중간 피복재 검토결과 548

〈표 7.3.16〉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단일부) 549

〈표 7.3.17〉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혼합부) 549

〈표 7.3.18〉 방파호안 마루높이 검토조건 550

〈표 7.3.19〉 방파호안 마루높이 결정방법 550

〈표 7.3.20〉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에 의한 방법 551

〈표 7.3.21〉 허용 월파량에 의한 방법 551

〈표 7.3.22〉 처오름 높이에 의한 방법 551

〈표 7.3.23〉 인근구조물에 의한 방법 551

〈표 7.3.24〉 마루높이 검토결과 551

〈표 7.3.25〉 방파호안 쇄파대 검토조건 552

〈표 7.3.26〉 쇄파대 검토결과 554

〈표 7.3.27〉 설계조건 554

〈표 7.3.28〉 피복재 소요규격 검토방법 555

〈표 7.3.29〉 Hudson에 의한 방법 555

〈표 7.3.30〉 Van der Meer에 의한 방법 555

〈표 7.3.31〉 피복재 검토결과 555

〈표 7.3.32〉 편심경사하중법 검토결과 556

〈표 7.3.33〉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 556

〈표 7.3.34〉 물양장 마루높이 검토조건 557

〈표 7.3.35〉 마루높이 산정결과 557

〈표 7.3.36〉 피복재 검토결과 559

〈표 7.3.37〉 물양장 안정검토 결과 559

〈표 7.3.38〉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물양장) 560

〈표 7.3.39〉 편심지지력 안정성 검토결과(물양장) 560

〈표 7.4.1〉 시험시공구간 설정 562

〈표 7.4.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설계조건 563

〈표 7.4.3〉 설계조위 산정 563

〈표 7.4.4〉 이동한계 수심 공식의 계수 n 및 a값 564

〈표 7.4.5〉 이동한계파고에 따른 목표파고전달율 564

〈표 7.4.6〉 목표 파고전달률 결정 567

〈표 7.4.7〉 SPM 그래프를 이용한 마루높이 및 마루폭 산정 569

〈표 7.4.8〉 설계파 적용시 파고전달률 570

〈표 7.4.9〉 이상파 적용시 파고전달률 570

〈표 7.4.10〉 다까야마 제안식에 의한 마루높이 및 마루폭 산정 570

〈표 7.4.11〉 마루높이 및 마루폭 적용사례 571

〈표 7.4.1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제원 산정 결과 571

〈표 7.4.13〉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제원 결정 571

〈표 7.4.14〉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단면형식 비교 572

〈표 7.4.15〉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쇄파대 설계조건 573

〈표 7.4.16〉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의 환산심해파고 573

〈표 7.4.17〉 SPM 방법에 의한 쇄파고 574

〈표 7.4.18〉 SPM 방법에 의한 쇄파수심 574

〈표 7.4.19〉 SPM 방법에 의한 쇄파대 판정 574

〈표 7.4.20〉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방법에 의한 쇄파수심 판정 575

〈표 7.4.21〉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방법에 의한 쇄파대 판정 575

〈표 7.4.2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의 방법에 의한 쇄파수심 575

〈표 7.4.23〉 일반구간 소파블록 예비검토안 576

〈표 7.4.24〉 시험시공구간(국내특허구간) 예비검토안 576

〈표 7.4.25〉 일반구간(A구간) 피복재 비교표 577

〈표 7.4.26〉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 비교표 577

〈표 7.4.27〉 T.T.P 규격 582

〈표 7.4.28〉 T.T.P 규격별 경제성 비교 검토 582

〈표 7.4.29〉 중간피복재 규격 582

〈표 7.4.30〉 세굴방지공 검토 조건 583

〈표 7.4.31〉 사또·다나까의 계산도표에 의한 방법으로 이동한계수심 산정 583

〈표 7.4.32〉 이동한계 수심 공식의 계수 n 및 α 값 584

〈표 7.4.33〉 사또·다나까의 공식에 의한 방법으로 이동한계수심 산정 584

〈표 7.4.34〉 세굴방지공 설치 유무 584

〈표 7.4.35〉 기준서별 형식 585

〈표 7.4.36〉 세굴방지공법 선정 585

〈표 7.4.37〉 사또·다나까의 계산도표에 의한 방법으로 이동한계 입경 산정 586

〈표 7.4.38〉 미국해안침식국 제안식에 의한 산정 587

〈표 7.4.39〉 CEM 제안식에 의한 산정 587

〈표 7.4.40〉 세굴방지공 입경 결정 587

〈표 7.4.41〉 세굴방지공 규모 결정 587

〈표 7.4.42〉 세굴방지공 단면형상 587

〈표 7.4.43〉 A구간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BH-1) 590

〈표 7.4.44〉 B구간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BH-2) 591

〈표 7.4.45〉 C구간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BH-3) 591

〈표 7.4.46〉 침하량 산정식 592

〈표 7.4.47〉 침하량 검토결과 592

〈표 7.4.48〉 액상화 개념도 594

〈표 7.4.49〉 전단파 속도 추정 경험식 595

〈표 7.4.50〉 전단파 속도 산정 결과 596

〈표 7.4.51〉 액상화 예비평가 결과 596

〈표 7.4.52〉 조사항목 및 수량 597

〈표 7.4.53〉 연도별 연중 상위 0.137%에 해당하는 유의파고와 주기 598

〈표 7.4.54〉 수심별 파고와 주기 599

〈표 7.4.55〉 이동한계 수심 공식의 계수 n 및 α 값 600

〈표 7.4.56〉 고늘지구 해안의 표층이동한계수심과 저질입경 600

〈표 7.4.57〉 고늘지구 해안의 완전이동한계수심과 저질입경 600

〈표 7.4.58〉 이동한계수심 검토결과 600

〈표 7.4.59〉 어선등록현황 601

〈표 7.4.60〉 대상선박 601

〈표 7.4.61〉 항로폭 및 소요수심 601

〈표 7.5.1〉 오탁방지막 설계조건 602

〈표 7.5.2〉 오탁방지막 선정 602

〈표 7.5.3〉 제1안 : 콘크리트블록 앵커 603

〈표 7.5.4〉 제2안 : T.T.P 앵커 603

〈표 7.5.5〉 제3안 : 톤백 앵커 603

〈표 7.5.6〉 등부표 선정 605

〈표 7.5.7〉 광파 표지시설 종류 606

〈표 7.5.8〉 형상 표지시설 종류 606

〈표 7.5.9〉 음파 표지시설 종류 606

〈표 7.5.10〉 전파 표지시설 종류 607

〈표 7.5.11〉 특수신호 표지시설 종류 607

〈표 7.5.12〉 안전표지시설 비교 607

〈표 7.5.13〉 광파표지시설 비교 608

〈표 7.5.14〉 등주 표준단면도 610

〈표 7.5.15〉 T.T.P 제작 수량 612

〈표 7.5.16〉 1개당 타설 yard 소요면적 a' 612

〈표 7.5.17〉 1개당 가치 yard 소요면적 b' 613

〈표 7.5.18〉 제작장 면적 구성 613

〈표 7.5.19〉 제작장 안정성 검토결과 613

〈표 8.1.1〉 계획수립조건 설정단계 615

〈표 8.1.2〉 공정계획안 수립단계 616

〈표 8.1.3〉 실시계획 작성단계 616

〈표 8.2.1〉 사전조사 항목 및 내용 620

〈표 8.2.2〉 작업 가능일수 621

〈표 8.4.1〉 사전조사 항목 및 내용 624

〈표 8.4.2〉 사전조사 항목 및 내용 624

〈표 8.5.1〉 안전관리 조직표 626

〈표 8.5.2〉 시공중 공사안전대책 628

〈표 8.5.3〉 비상근무 체제 및 요령 628

〈표 8.5.4〉 공종별 안전관리 629

〈표 8.5.5〉 안전점검계획 630

〈표 8.5.6〉 안전관리교육 630

〈표 8.6.1〉 품질 관리 수행 흐름도 631

〈표 8.6.2〉 공종별 품질관리 632

〈표 8.6.3〉 품질시험 계획 633

〈표 8.7.1〉 연안침식 단계별 관리내용 634

〈표 8.7.2〉 연안침식 단계별 관리내용 635

〈표 8.7.3〉 조사목적 및 내용 635

〈표 8.8.1〉 공사규모 636

〈표 8.8.2〉 주요 물공량 636

〈표 8.8.3〉 건설공사비 637

〈표 9.1.1〉 사업의 내용 640

〈표 9.1.2〉 해역이용협의 실시근거 640

〈표 9.2.1〉 울산연안 특별관리해역 지정현황 642

〈표 9.2.2〉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 지정 현황 643

〈표 9.2.3〉 악취관리지역 지정 현황 643

〈표 9.3.1〉 해양화학 조사위치 645

〈표 9.3.2〉 해양화학 조사결과 646

〈표 9.3.3〉 생활환경 기준 648

〈표 9.3.4〉 생태기반 해수수질 기준 648

〈표 9.3.5〉 생태기반 수질평가지수 산정식 648

〈표 9.3.6〉 수질평가지수 항목의 해역별 기준값 648

〈표 9.3.7〉 수질평가지수 항목별 점수 산정식 648

〈표 9.3.8〉 해양퇴적물 조사위치 650

〈표 9.3.9〉 해양퇴적물 현지조사 결과 651

〈표 9.3.10〉 해양퇴적물 조사결과 653

〈표 9.3.11〉 분류군별 조사지점 653

〈표 9.3.12〉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밀도 654

〈표 9.3.13〉 연성조간대 저서동물 종조성 및 우점종 655

〈표 9.3.14〉 경성조간대 해조류의 종조성 655

〈표 9.3.15〉 경성조간대 부착동물 우점종(우점율 1.0% 이상) 655

〈표 9.3.16〉 해산어류의 위판비율 656

〈표 9.4.1〉 방제비용정산 보상지원 절차도 658

〈표 9.5.1〉 해양환경영향조사 실시근거 659

〈표 9.5.2〉 해양환경영향조사 조사계획 659

〈그림 1.1.1〉 일산해수욕장 위치도 42

〈그림 1.2.1〉 전체 계획평면도 46

〈그림 1.2.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A구간 표준단면도 47

〈그림 1.2.3〉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B구간 표준단면도 47

〈그림 1.2.4〉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C구간 표준단면도 47

〈그림 1.2.5〉 안전표지시설 설치위치도 48

〈그림 1.2.6〉 안전표지시설 일반도 48

〈그림 1.2.7〉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1단계) 49

〈그림 1.2.8〉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2단계) 49

〈그림 1.3.1〉 예정공정표 51

〈그림 2.1.1〉 월별 기온 그래프 55

〈그림 2.1.2〉 월별 풍속 그래프 56

〈그림 2.1.3〉 바람장미도 57

〈그림 2.1.4〉 월별 강수량 그래프 58

〈그림 2.1.5〉 월별 기압 그래프 59

〈그림 2.1.6〉 태풍 경로도 62

〈그림 2.1.7〉 조위도 67

〈그림 2.1.8〉 고늘지구 조류도 69

〈그림 7.3.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81

〈그림 2.3.1〉 연안통합관리계획의 기본 틀 83

〈그림 2.3.2〉 부산·울산연안 중점 추진과제 현황 86

〈그림 2.3.3〉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의 기본 틀 89

〈그림 2.3.4〉 동·서·남해안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 개념도 90

〈그림 2.3.5〉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의 기본 틀 91

〈그림 2.3.6〉 관광개발기본계획의 기본 틀 92

〈그림 2.3.7〉 7대 성장관리권역 93

〈그림 2.3.8〉 울산도시경관 종합기본계획 96

〈그림 2.3.9〉 울산광역시 관광개발계획 종합계획도 97

〈그림 2.3.10〉 울산광역시 동구 권역별 중장기 개발계획도 99

〈그림 2.3.11〉 울산광역시 동구 권역별 중장기 개발계획도 100

〈그림 2.3.12〉 울산광역시 동구 권역별 중장기 개발계획도 101

〈그림 2.4.1〉 송도 침식방지공사 계획평면도 102

〈그림 2.4.2〉 금음지구 침식방지 시설 계획평면도 103

〈그림 2.4.3〉 전촌2리 연안정비 해안침식 방지시설 계획평면도 104

〈그림 2.4.4〉 강릉시 남항진리 연안정비사업 계획평면도 105

〈그림 2.4.5〉 해운대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계획평면도 106

〈그림 2.4.6〉 마이애미비치 양빈 전·후 전경 107

〈그림 2.4.7〉 델레이 해안의 평면도 109

〈그림 2.4.8〉 델레이 해안의 정선변화 110

〈그림 2.4.9〉 마이애미비치 양빈 전·후 전경 110

〈그림 2.4.10〉 델레이비치의 제3회 재양빈 후(1992년) 111

〈그림 2.4.11〉 시스템 개요도 111

〈그림 2.4.12〉 BMS 공법원리도 112

〈그림 2.4.13〉 도완 비치(영국) BMS 설치 전후 113

〈그림 2.4.14〉 도완 비치(영국) BMS 설치 전후 114

〈그림 2.4.15〉 골드코스트 항로위치도 115

〈그림 2.4.16〉 골드코스트 항로 샌드바이패스 전체평면도 115

〈그림 2.4.17〉 골드코스트 항로 전경 116

〈그림 2.4.18〉 샌드바이패스 시스템 개념도 116

〈그림 3.1.1〉 조사 구역도 120

〈그림 3.1.2〉 위성기준점 현황 125

〈그림 3.1.3〉 기준점 위치도 126

〈그림 3.1.4〉 수준망도 129

〈그림 3.1.5〉 지형현황측량 작업 흐름도 130

〈그림 3.1.6〉 Network RTK 측정원리 131

〈그림 3.1.7〉 지형현황도 133

〈그림 3.1.8〉 멀티빔 수심측량 흐름도 134

〈그림 3.1.9〉 시스템 구성도(R2 SONIC 2024) 135

〈그림 3.1.10〉 DGPS 위치결정 모식도 137

〈그림 3.1.11〉 조사선박 센서 옵셋 세팅 139

〈그림 3.1.12〉 센서 옵셋 및 선박 3 성분 지향각 140

〈그림 3.1.13〉 DGPS 위치결정 모식도 141

〈그림 3.1.14〉 멀티빔 음향측심 모식도 및 수신각도(0.5°×256=128°) 142

〈그림 3.1.15〉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 취득(Naviscan-EIVA) 142

〈그림 3.1.16〉 음속 취득 과정 143

〈그림 3.1.17〉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처리 순서도 144

〈그림 3.1.18〉 수심 단면 음속도 및 조위보정 프로파일 145

〈그림 3.1.19〉 수심도 146

〈그림 3.2.1〉 조사위치도 148

〈그림 3.2.2〉 지형 및 지질도 150

〈그림 3.2.3〉 시추조사 위치도 155

〈그림 3.2.4〉 지층단면도 156

〈그림 3.3.1〉 석재원 위치도 159

〈그림 3.4.1〉 용지 및 지장물도 162

〈그림 3.4.2〉 각종맨홀 조사 위치도(1) 163

〈그림 3.4.3〉 각종맨홀 조사 위치도(2) 165

〈그림 3.4.4〉 각종맨홀 조사 위치도(3) 166

〈그림 3.4.5〉 시설물 조사도(1) 168

〈그림 3.4.6〉 시설물 조사도(2) 169

〈그림 3.4.7〉 시설물 조사도(3) 171

〈그림 3.4.8〉 배수구조물 조사도 173

〈그림 3.5.1〉 어업권 현황 177

〈그림 3.6.1〉 공사용 작업장 위치 178

〈그림 4.1.1〉 해양조사 위치도 181

〈그림 4.2.1〉 파랑관측 위치도 182

〈그림 4.2.2〉 파고계 설치 183

〈그림 4.2.3〉 바람자료(울산기상대, 하계) 185

〈그림 4.2.4〉 바람자료(울산기상대, 동계) 185

〈그림 4.2.5〉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도(하계) 186

〈그림 4.2.6〉 유의파고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도(동계) 187

〈그림 4.2.7〉 유의파고와 유의주기의 결합분포도(하계) 188

〈그림 4.2.8〉 유의파고와 유의주기의 결합분포도(동계) 189

〈그림 4.2.9〉 유의주기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도(하계) 190

〈그림 4.2.10〉 유의주기와 평균파향의 결합분포도(동계) 191

〈그림 4.2.11〉 파고, 주기 및 파향의 시계열(하계) 192

〈그림 4.2.12〉 파고, 주기 및 파향의 시계열(동계) 193

〈그림 4.3.1〉 해빈류관측 위치도 195

〈그림 4.3.2〉 부표추적 195

〈그림 4.3.3〉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1, 하계) 198

〈그림 4.3.4〉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1, 동계) 198

〈그림 4.3.5〉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2, 하계) 199

〈그림 4.3.6〉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2, 동계) 199

〈그림 4.3.7〉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3, 하계) 200

〈그림 4.3.8〉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3, 동계) 200

〈그림 4.3.9〉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4, 하계) 201

〈그림 4.3.10〉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4, 동계) 201

〈그림 4.3.11〉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5, 하계) 202

〈그림 4.3.12〉 부표추적기 이동경로(정점 D-5, 동계) 202

〈그림 4.4.1〉 해저질조사 위치도 204

〈그림 4.4.2〉 해저질조사 205

〈그림 4.4.3〉 입도분포곡선 206

〈그림 4.4.4〉 퇴적물 유형분류(Folk et al., 1970) 211

〈그림 4.4.5〉 평균입경 분포도 214

〈그림 4.4.6〉 분급도 분포도 215

〈그림 4.4.7〉 퇴적상 분포도 215

〈그림 4.5.1〉 하천조사 위치도 216

〈그림 4.5.2〉 하천조사(하계) 217

〈그림 4.5.3〉 하천조사(동계) 217

〈그림 4.5.4〉 입도분포곡선(대송천, 하계) 218

〈그림 4.5.5〉 입도분포곡선(대송천, 동계) 218

〈그림 4.6.1〉 해빈단면 및 해안선조사 위치도 220

〈그림 4.6.2〉 해빈단면 및 해안선조사 위치도 221

〈그림 4.6.3〉 해빈 단면도 223

〈그림 4.7.1〉 단면수심조사 위치도 237

〈그림 4.7.2〉 단면수심조사 238

〈그림 4.7.3〉 단면수심도(하계) 239

〈그림 4.7.4〉 단면수심도(동계) 239

〈그림 4.7.5〉 수심단면도 240

〈그림 4.7.6〉 수심도 (하계) 247

〈그림 4.7.7〉 수심도 (동계) 249

〈그림 4.8.1〉 연속조류관측 위치도 251

〈그림 4.8.2〉 유속계 설치 252

〈그림 4.8.3〉 조류관측자료 전산처리 흐름도 253

〈그림 4.8.4〉 조류의 시계열(PC-1, 하계) 254

〈그림 4.8.5〉 조류의 시계열(PC-2, 하계) 255

〈그림 4.8.6〉 유속·유향별 출현율도(PC-1, 하계) 258

〈그림 4.8.7〉 유속·유향별 출현율도(PC-2, 하계) 259

〈그림 4.8.8〉 조류분산도(PC-1, 하계) 260

〈그림 4.8.9〉 조류분산도(PC-2, 하계) 261

〈그림 4.8.10〉 조류 진행벡터도(PC-1, 하계) 262

〈그림 4.8.11〉 조류 진행벡터도(PC-2, 하계) 263

〈그림 4.8.12〉 조류 Stick Diagram(PC-1, 하계) 264

〈그림 4.8.13〉 조류 Stick Diagram(PC-2, 하계) 265

〈그림 5.2.1〉 심해 설계파 격자점 위치도 280

〈그림 5.2.2〉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284

〈그림 5.2.3〉 파랑변형실험 실험안 285

〈그림 5.2.4〉 파고·파향 벡터도(현상태, 상세역, E파향, 50년빈도, 심해설계파) 288

〈그림 5.2.5〉 파고·파향 벡터도(현상태, 상세역, ESE파향, 50년빈도, 심해설계파) 288

〈그림 5.2.6〉 파고분포도(현상태, 상세역, E파향, 50년빈도, 심해설계파) 289

〈그림 5.2.7〉 파고분포도(현상태, 상세역, ESE파향, 50년빈도, 심해설계파) 289

〈그림 5.2.8〉 파고·파향 벡터도(현상태, 상세역, ENE파향, 10년빈도, 심해설계파) 290

〈그림 5.2.9〉 파고분포도(현상태, 상세역, E파향, 10년빈도, 심해설계파) 290

〈그림 5.3.1〉 항내 정온도 실험안 293

〈그림 5.3.2〉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산정구간 294

〈그림 5.3.3〉 파고분포도(현재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297

〈그림 5.3.4〉 파고분포도(현재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298

〈그림 5.3.5〉 파고분포도(계획 1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298

〈그림 5.3.6〉 파고분포도(계획 1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299

〈그림 5.3.7〉 파고분포도(계획 2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299

〈그림 5.3.8〉 파고분포도(계획 2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300

〈그림 5.3.9〉 파고분포도(계획 3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300

〈그림 5.3.10〉 파고분포도(계획 3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301

〈그림 5.3.11〉 파고분포도(계획 4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301

〈그림 5.3.12〉 파고분포도(계획 4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302

〈그림 5.3.13〉 파고분포도(채택안, 사업대상지, E파향, 50년빈도) 302

〈그림 5.3.14〉 파고분포도(채택안, 사업대상지, ESE파향, 50년빈도) 303

〈그림 5.4.1〉 장기파랑산출집 격자점 위치도 305

〈그림 5.4.2〉 실험안 309

〈그림 5.4.3〉 대상해역 수심분포도 311

〈그림 5.4.4〉 대상해역 격자망 311

〈그림 5.4.5〉 CASE EX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13

〈그림 5.4.6〉 CASE EX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13

〈그림 5.4.7〉 CASE EX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14

〈그림 5.4.8〉 CASE EX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14

〈그림 5.4.9〉 CASE EX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15

〈그림 5.4.10〉 CASE EX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15

〈그림 5.4.11〉 CASE EX 파고벡터도(E, 이상파) 316

〈그림 5.4.12〉 CASE EX 파고분포도(E, 이상파) 316

〈그림 5.4.13〉 CASE EX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17

〈그림 5.4.14〉 CASE EX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17

〈그림 5.4.15〉 CASE EX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18

〈그림 5.4.16〉 CASE EX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18

〈그림 5.4.17〉 CASE EX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19

〈그림 5.4.18〉 CASE EX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19

〈그림 5.4.19〉 CASE AF1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20

〈그림 5.4.20〉 CASE AF1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20

〈그림 5.4.21〉 CASE AF1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21

〈그림 5.4.22〉 CASE AF1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21

〈그림 5.4.23〉 CASE AF1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22

〈그림 5.4.24〉 CASE AF1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22

〈그림 5.4.25〉 CASE AF1 파고벡터도(E, 이상파) 323

〈그림 5.4.26〉 CASE AF1 파고분포도(E, 이상파) 323

〈그림 5.4.27〉 CASE AF1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24

〈그림 5.4.28〉 CASE AF1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24

〈그림 5.4.29〉 CASE AF1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25

〈그림 5.4.30〉 CASE AF1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25

〈그림 5.4.31〉 CASE AF1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26

〈그림 5.4.32〉 CASE AF1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26

〈그림 5.4.33〉 CASE AF2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27

〈그림 5.4.34〉 CASE AF2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27

〈그림 5.4.35〉 CASE AF2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28

〈그림 5.4.36〉 CASE AF2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28

〈그림 5.4.37〉 CASE AF2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29

〈그림 5.4.38〉 CASE AF2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29

〈그림 5.4.39〉 CASE AF2 파고벡터도(E, 이상파) 330

〈그림 5.4.40〉 CASE AF2 파고분포도(E, 이상파) 330

〈그림 5.4.41〉 CASE AF2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31

〈그림 5.4.42〉 CASE AF2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31

〈그림 5.4.43〉 CASE AF2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32

〈그림 5.4.44〉 CASE AF2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32

〈그림 5.4.45〉 CASE AF2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33

〈그림 5.4.46〉 CASE AF2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33

〈그림 5.4.47〉 CASE AF3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34

〈그림 5.4.48〉 CASE AF3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34

〈그림 5.4.49〉 CASE AF3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35

〈그림 5.4.50〉 CASE AF3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35

〈그림 5.4.51〉 CASE AF3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36

〈그림 5.4.52〉 CASE AF3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36

〈그림 5.4.53〉 CASE AF3 파고벡터도(E, 이상파) 337

〈그림 5.4.54〉 CASE AF3 파고분포도(E, 이상파) 337

〈그림 5.4.55〉 CASE AF3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38

〈그림 5.4.56〉 CASE AF3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38

〈그림 5.4.57〉 CASE AF3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39

〈그림 5.4.58〉 CASE AF3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39

〈그림 5.4.59〉 CASE AF3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40

〈그림 5.4.60〉 CASE AF3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40

〈그림 5.4.61〉 CASE AF4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41

〈그림 5.4.62〉 CASE AF4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41

〈그림 5.4.63〉 CASE AF4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42

〈그림 5.4.64〉 CASE AF4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42

〈그림 5.4.65〉 CASE AF4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43

〈그림 5.4.66〉 CASE AF4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43

〈그림 5.4.67〉 CASE AF4 파고벡터도(E, 이상파) 344

〈그림 5.4.68〉 CASE AF4 파고분포도(E, 이상파) 344

〈그림 5.4.69〉 CASE AF4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45

〈그림 5.4.70〉 CASE AF4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45

〈그림 5.4.71〉 CASE AF4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46

〈그림 5.4.72〉 CASE AF4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46

〈그림 5.4.73〉 CASE AF4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47

〈그림 5.4.74〉 CASE AF4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47

〈그림 5.4.75〉 CASE AF6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48

〈그림 5.4.76〉 CASE AF6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48

〈그림 5.4.77〉 CASE AF6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49

〈그림 5.4.78〉 CASE AF6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49

〈그림 5.4.79〉 CASE AF6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50

〈그림 5.4.80〉 CASE AF6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50

〈그림 5.4.81〉 CASE AF6 파고벡터도(E, 이상파) 351

〈그림 5.4.82〉 CASE AF6 파고분포도(E, 이상파) 351

〈그림 5.4.83〉 CASE AF6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52

〈그림 5.4.84〉 CASE AF6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52

〈그림 5.4.85〉 CASE AF6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53

〈그림 5.4.86〉 CASE AF6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53

〈그림 5.4.87〉 CASE AF6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54

〈그림 5.4.88〉 CASE AF6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54

〈그림 5.4.89〉 CASE AF6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55

〈그림 5.4.90〉 CASE AF6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55

〈그림 5.4.91〉 CASE AF6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56

〈그림 5.4.92〉 CASE AF6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56

〈그림 5.4.93〉 CASE AF6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57

〈그림 5.4.94〉 CASE AF6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57

〈그림 5.4.95〉 CASE AF6 파고벡터도(E, 이상파) 358

〈그림 5.4.96〉 CASE AF6 파고분포도(E, 이상파) 358

〈그림 5.4.97〉 CASE AF6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59

〈그림 5.4.98〉 CASE AF6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59

〈그림 5.4.99〉 CASE AF6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60

〈그림 5.4.100〉 CASE AF6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60

〈그림 5.4.101〉 CASE AF6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61

〈그림 5.4.102〉 CASE AF6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61

〈그림 5.4.103〉 CASE AF7 파고벡터도(NNE, 이상파) 362

〈그림 5.4.104〉 CASE AF7 파고분포도(NNE, 이상파) 362

〈그림 5.4.105〉 CASE AF7 파고벡터도(NE, 이상파) 363

〈그림 5.4.106〉 CASE AF7 파고분포도(NE, 이상파) 363

〈그림 5.4.107〉 CASE AF7 파고벡터도(ENE, 이상파) 364

〈그림 5.4.108〉 CASE AF7 파고분포도(ENE, 이상파) 364

〈그림 5.4.109〉 CASE AF7 파고벡터도(E, 이상파) 365

〈그림 5.4.110〉 CASE AF7 파고분포도(E, 이상파) 365

〈그림 5.4.111〉 CASE AF7 파고벡터도(ESE, 이상파) 366

〈그림 5.4.112〉 CASE AF7 파고분포도(ESE, 이상파) 366

〈그림 5.4.113〉 CASE AF7 파고벡터도(SE, 이상파) 367

〈그림 5.4.114〉 CASE AF7 파고분포도(SE, 이상파) 367

〈그림 5.4.115〉 CASE AF7 파고벡터도(SSE, 이상파) 368

〈그림 5.4.116〉 CASE AF7 파고분포도(SSE, 이상파) 368

〈그림 5.5.1〉 대상해역 수심분포도(광역) 370

〈그림 5.5.2〉 대상해역 격자망(광역) 371

〈그림 5.5.3〉 대상해역 수심분포도(상세역) 372

〈그림 5.5.4〉 대상해역 격자망(상세역) 372

〈그림 5.5.5〉 CASE EX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74

〈그림 5.5.6〉 CASE EX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74

〈그림 5.5.7〉 CASE EX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75

〈그림 5.5.8〉 CASE EX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75

〈그림 5.5.9〉 CASE EX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76

〈그림 5.5.10〉 CASE EX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76

〈그림 5.5.11〉 CASE EX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77

〈그림 5.5.12〉 CASE AF1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77

〈그림 5.5.13〉 CASE AF1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78

〈그림 5.5.14〉 CASE AF1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78

〈그림 5.5.15〉 CASE AF1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79

〈그림 5.5.16〉 CASE AF1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79

〈그림 5.5.17〉 CASE AF1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80

〈그림 5.5.18〉 CASE AF1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80

〈그림 5.5.19〉 CASE AF2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81

〈그림 5.5.20〉 CASE AF2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81

〈그림 5.5.21〉 CASE AF2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82

〈그림 5.5.22〉 CASE AF2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82

〈그림 5.5.23〉 CASE AF2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83

〈그림 5.5.24〉 CASE AF2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83

〈그림 5.5.25〉 CASE AF2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84

〈그림 5.5.26〉 CASE AF3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84

〈그림 5.5.27〉 CASE AF3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85

〈그림 5.5.28〉 CASE AF3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85

〈그림 5.5.29〉 CASE AF3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86

〈그림 5.5.30〉 CASE AF3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86

〈그림 5.5.31〉 CASE AF3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87

〈그림 5.5.32〉 CASE AF3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87

〈그림 5.5.33〉 CASE AF4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88

〈그림 5.5.34〉 CASE AF4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88

〈그림 5.5.35〉 CASE AF4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89

〈그림 5.5.36〉 CASE AF4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89

〈그림 5.5.37〉 CASE AF4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90

〈그림 5.5.38〉 CASE AF4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90

〈그림 5.5.39〉 CASE AF4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91

〈그림 5.5.40〉 CASE AF5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91

〈그림 5.5.41〉 CASE AF5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92

〈그림 5.5.42〉 CASE AF5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92

〈그림 5.5.43〉 CASE AF5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93

〈그림 5.5.44〉 CASE AF5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93

〈그림 5.5.45〉 CASE AF5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94

〈그림 5.5.46〉 CASE AF5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94

〈그림 5.5.47〉 CASE AF6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95

〈그림 5.5.48〉 CASE AF6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95

〈그림 5.5.49〉 CASE AF6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96

〈그림 5.5.50〉 CASE AF6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396

〈그림 5.5.51〉 CASE AF6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397

〈그림 5.5.52〉 CASE AF6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397

〈그림 5.5.53〉 CASE AF6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398

〈그림 5.5.54〉 CASE AF7 해빈류 벡터도(NNE, 이상파) 398

〈그림 5.5.55〉 CASE AF7 해빈류 벡터도(NE, 이상파) 399

〈그림 5.5.56〉 CASE AF7 해빈류 벡터도(ENE, 이상파) 399

〈그림 5.5.57〉 CASE AF7 해빈류 벡터도(E, 이상파) 400

〈그림 5.5.58〉 CASE AF7 해빈류 벡터도(ESE, 이상파) 400

〈그림 5.5.59〉 CASE AF7 해빈류 벡터도(SE, 이상파) 401

〈그림 5.5.60〉 CASE AF7 해빈류 벡터도(SSE, 이상파) 401

〈그림 5.6.1〉 CASE EX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05

〈그림 5.6.2〉 CASE EX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05

〈그림 5.6.3〉 CASE EX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06

〈그림 5.6.4〉 CASE EX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06

〈그림 5.6.5〉 CASE EX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07

〈그림 5.6.6〉 CASE EX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07

〈그림 5.6.7〉 CASE EX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08

〈그림 5.6.8〉 CASE AF1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08

〈그림 5.6.9〉 CASE AF1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09

〈그림 5.6.10〉 CASE AF1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09

〈그림 5.6.11〉 CASE AF1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10

〈그림 5.6.12〉 CASE AF1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10

〈그림 5.6.13〉 CASE AF1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11

〈그림 5.6.14〉 CASE AF1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11

〈그림 5.6.15〉 CASE AF2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12

〈그림 5.6.16〉 CASE AF2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12

〈그림 5.6.17〉 CASE AF2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13

〈그림 5.6.18〉 CASE AF2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13

〈그림 5.6.19〉 CASE AF2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14

〈그림 5.6.20〉 CASE AF2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14

〈그림 5.6.21〉 CASE AF2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15

〈그림 5.6.22〉 CASE AF3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15

〈그림 5.6.23〉 CASE AF3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16

〈그림 5.6.24〉 CASE AF3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16

〈그림 5.6.25〉 CASE AF3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17

〈그림 5.6.26〉 CASE AF3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17

〈그림 5.6.27〉 CASE AF3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18

〈그림 5.6.28〉 CASE AF3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18

〈그림 5.6.29〉 CASE AF4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19

〈그림 5.6.30〉 CASE AF4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19

〈그림 5.6.31〉 CASE AF4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20

〈그림 5.6.32〉 CASE AF4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20

〈그림 5.6.33〉 CASE AF4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21

〈그림 5.6.34〉 CASE AF4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21

〈그림 5.6.35〉 CASE AF4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22

〈그림 5.6.36〉 CASE AF5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22

〈그림 5.6.37〉 CASE AF5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23

〈그림 5.6.38〉 CASE AF5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23

〈그림 5.6.39〉 CASE AF5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24

〈그림 5.6.40〉 CASE AF5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24

〈그림 5.6.41〉 CASE AF5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25

〈그림 5.6.42〉 CASE AF5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25

〈그림 5.6.43〉 CASE AF6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26

〈그림 5.6.44〉 CASE AF6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26

〈그림 5.6.45〉 CASE AF6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27

〈그림 5.6.46〉 CASE AF6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27

〈그림 5.6.47〉 CASE AF6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28

〈그림 5.6.48〉 CASE AF6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28

〈그림 5.6.49〉 CASE AF6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29

〈그림 5.6.50〉 CASE AF7 표사이동 결과(NNE, 이상파) 429

〈그림 5.6.51〉 CASE AF7 표사이동 결과(NE, 이상파) 430

〈그림 5.6.52〉 CASE AF7 표사이동 결과(ENE, 이상파) 430

〈그림 5.6.53〉 CASE AF7 표사이동 결과(E, 이상파) 431

〈그림 5.6.54〉 CASE AF7 표사이동 결과(ESE, 이상파) 431

〈그림 5.6.55〉 CASE AF7 표사이동 결과(SE, 이상파) 432

〈그림 5.6.56〉 CASE AF7 표사이동 결과(SSE, 이상파) 432

〈그림 5.7.1〉 조위, 조류 검증지점 435

〈그림 5.7.2〉 조위 검증 436

〈그림 5.7.3〉 조류 검증 437

〈그림 5.7.4〉 현상태 고조위 분포도 439

〈그림 5.7.5〉 현상태 저조위 분포도 440

〈그림 5.7.6〉 현상태 최강낙조 벡터도 440

〈그림 5.7.7〉 현상태 최강창조 벡터도 441

〈그림 5.7.8〉 현상태 최강유속 분포도 441

〈그림 5.7.9〉 채택안 고조위 분포도 442

〈그림 5.7.10〉 채택안 저조위 분포도 442

〈그림 5.7.11〉 채택안 최강낙조 벡터도 443

〈그림 5.7.12〉 채택안 최강창조 벡터도 443

〈그림 5.7.13〉 채택안 최강유속 분포도 444

〈그림 5.7.14〉 채택안-현상태 고조위 차이 444

〈그림 5.7.15〉 채택안-현상태 저조위 차이 445

〈그림 5.7.16〉 채택안-현상태 최강유속 차이 445

〈그림 5.8.1〉 부유사 발생지점 447

〈그림 5.8.2〉 부유사 농도 시계열 검토 지점 451

〈그림 5.8.3〉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1) 451

〈그림 5.8.4〉 CASE SS1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52

〈그림 5.8.5〉 CASE SS1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52

〈그림 5.8.6〉 CASE SS1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53

〈그림 5.8.7〉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1-R) 453

〈그림 5.8.8〉 CASE SS1-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54

〈그림 5.8.9〉 CASE SS1-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54

〈그림 5.8.10〉 CASE SS1-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55

〈그림 5.8.11〉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2) 455

〈그림 5.8.12〉 CASE SS2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56

〈그림 5.8.13〉 CASE SS2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56

〈그림 5.8.14〉 CASE SS2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57

〈그림 5.8.15〉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2-R) 457

〈그림 5.8.16〉 CASE SS2-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58

〈그림 5.8.17〉 CASE SS2-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58

〈그림 5.8.18〉 CASE SS2-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59

〈그림 5.8.19〉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3) 459

〈그림 5.8.20〉 CASE SS3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60

〈그림 5.8.21〉 CASE SS3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60

〈그림 5.8.22〉 CASE SS3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61

〈그림 5.8.23〉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3-R) 461

〈그림 5.8.24〉 CASE SS3-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62

〈그림 5.8.25〉 CASE SS3-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62

〈그림 5.8.26〉 CASE SS3-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63

〈그림 5.8.27〉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4) 463

〈그림 5.8.28〉 CASE SS4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64

〈그림 5.8.29〉 CASE SS4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64

〈그림 5.8.30〉 CASE SS4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65

〈그림 5.8.31〉 부유사 농도 그래프(CASE SS4-R) 465

〈그림 5.8.32〉 CASE SS4-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표층) 466

〈그림 5.8.33〉 CASE SS4-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중층) 466

〈그림 5.8.34〉 CASE SS4-R 부유사 최대 확산범위(저층) 467

〈그림 5.9.1〉 검증실험 결과 473

〈그림 5.9.2〉 해안선변형실험 결과(현상태 10년 후) 474

〈그림 5.9.3〉 해안선변형실험 결과(계획안 10년 후) 475

〈그림 6.1.1〉 수치지형도와 항공사진 보정 (Global Mapper) 478

〈그림 6.1.2〉 항공 LIDAR 측량시 해안선 지표인 Wet/Dry 경계선(USGS, 2005) 479

〈그림 6.1.3〉 1975년 5월 해안선 추출 480

〈그림 6.1.4〉 1993년 5월 해안선 추출 480

〈그림 6.1.5〉 1996년 11월 해안선 추출 480

〈그림 6.1.6〉 2000년 3월 해안선 추출 481

〈그림 6.1.7〉 2004년 12월 해안선 추출 481

〈그림 6.1.8〉 2010년 9월 해안선 추출 481

〈그림 6.1.9〉 2011년 3월 해안선 추출 482

〈그림 6.1.10〉 일산해수욕장의 연도별 해빈면적변화 483

〈그림 6.1.11〉 기준선 위치도 484

〈그림 6.1.12〉 기선별 해빈단면 변화 485

〈그림 6.1.13〉 2001 ~ 2015년까지 월별 최대유의파고(동해부이) 486

〈그림 6.1.14〉 연도별 3.0m 이상의 유의파고 출현횟수(동해부이) 486

〈그림 6.1.15〉 장기파랑산출자료(1979~2002)를 이용한 우리나라 유의파고 경향 487

〈그림 6.1.16〉 해수면 상승과 해안선변화의 관계 모식도 490

〈그림 6.1.17〉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영향(항공사진 분석결과) 491

〈그림 6.1.18〉 일산해수욕장 침식·퇴적 분석도 493

〈그림 6.2.1〉 일산해수욕장 현황 494

〈그림 6.2.2〉 계절별 해빈류 495

〈그림 6.2.3〉 자갈화 피해현황 496

〈그림 6.2.4〉 백사장 정비 현황 496

〈그림 6.2.5〉 침식·퇴적 한계선 예측 497

〈그림 6.3.1〉 해안침식 방지계획 수립 흐름도 499

〈그림 6.3.2〉 돌제 표사하류 침식 502

〈그림 6.3.3〉 덴마크 Thyboron 돌제 503

〈그림 6.3.4〉 마이애미 해안 양빈구간 남북 종단돌제 504

〈그림 6.3.5〉 이바라키현 카시마 해안 T-형(a) 및 영국 Llandudno Westshore 해안 Y-형(b) 돌제 504

〈그림 6.3.6〉 이안제 기능 모식도 505

〈그림 6.3.7〉 미국 Erie 호 presque Island : 8.3km 해안에 55기 506

〈그림 6.3.8〉 미국 캘리포니아 베니스 해안 506

〈그림 6.3.9〉 일본 시마네현 고쓰 해안 506

〈그림 6.3.10〉 수중방파제 배후 순환패턴 507

〈그림 6.3.11〉 일본 돗토리현 후쿠베-유야마 해안 수중방파제 외측 침식 508

〈그림 6.3.12〉 일본 돗토리현 후쿠베-유야마 해안 수중방파제 외측 침식 508

〈그림 6.3.13〉 호안 및 사면보호공 국외사례 510

〈그림 6.3.14〉 전남 진도 가계 해수욕장 계단식 호안: 계단 공간이 파랑에너지 흡수 510

〈그림 6.3.15〉 (a) 순환양빈과 (b) 우회양빈 512

〈그림 6.3.16〉 플로리다 Delray해안 양빈 513

〈그림 6.3.17〉 수중양빈 성공사례 : 네덜란드 514

〈그림 6.3.18〉 대조차 사질해안 양빈 : 프랑스 Chatellaillon 해안 515

〈그림 6.3.19〉 우회양빈 시스템 : 플로리다 515

〈그림 6.3.20〉 호주 네랑 강 및 트위드 강 하구 516

〈그림 6.3.21〉 일본 돗토리현 가이케해안 양빈계획 517

〈그림 6.3.22〉 영국 Jaywick 해안 정적양빈 517

〈그림 6.3.23〉 노스캐롤라이나 Bald Head Island 지오튜브 돌제군 518

〈그림 6.3.24〉 호주, 이안제 시공에 앞서 지오튜브 이안제 시험시공 518

〈그림 6.4.1〉 전체계획평면도 525

〈그림 7.3.1〉 일산항 방파제 표준단면도 542

〈그림 7.3.2〉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3 545

〈그림 7.3.3〉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2 546

〈그림 7.3.4〉 유의파고의 최대값이 출현하는 수심의 산정도 547

〈그림 7.3.5〉 일산항 방파호안 표준단면도 550

〈그림 7.3.6〉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3 552

〈그림 7.3.7〉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2 553

〈그림 7.3.8〉 유의파고의 최대값이 출현하는 수심의 산정도 554

〈그림 7.3.9〉 일산항 물양장 표준단면도 557

〈그림 7.4.1〉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계획평면도 561

〈그림 7.4.2〉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계획평면도(구간설정) 562

〈그림 7.4.3〉 파랑조사 정점 위치도 565

〈그림 7.4.4〉 수중방파제 전·후의 파랑조사결과(유의파고, 파향, 파고비) 565

〈그림 7.4.5〉 수중방파제 전·후의 파고비 566

〈그림 7.4.6〉 실험개념도 566

〈그림 7.4.7〉 투과성 수중방파제의 전달파고 567

〈그림 7.4.8〉 Wave Transmission, Permeable Rubble-mound Breakwater 568

〈그림 7.4.9〉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표준단면도 572

〈그림 7.4.10〉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1 573

〈그림 7.4.11〉 Shore Protection Manual Volume II, Fig.7-2 574

〈그림 7.4.12〉 유의파고의 최대값이 출현하는 수심의 산정도 575

〈그림 7.4.13〉 일반구간(A구간) 비교1안 (T.T.P) 578

〈그림 7.4.14〉 일반구간(A구간) 비교2안 (SEALOCK) 579

〈그림 7.4.15〉 일반구간(A구간) 비교3안 (DIMPLE) 579

〈그림 7.4.16〉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별 비교1안(XA블록) 579

〈그림 7.4.17〉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별 비교2안(에코리프블록) 580

〈그림 7.4.18〉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별 비교3안(안전T.T.P) 580

〈그림 7.4.19〉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별 비교4안(삼각뿔블록) 580

〈그림 7.4.20〉 시험시공구간(B.C구간) 피복재별 비교5안(POD-LOCK) 580

〈그림 7.4.21〉 표층 이동한계 수심의 계산도표 583

〈그림 7.4.22〉 완전 이동한계 수심의 계산도표 584

〈그림 7.4.23〉 표층 이동한계 입경의 계산도표 586

〈그림 7.4.24〉 완전 이동한계 입경의 계산도표 586

〈그림 7.4.25〉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계획 평면도 588

〈그림 7.4.26〉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A구간(BH-1) 589

〈그림 7.4.27〉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B구간(BH-2) 589

〈그림 7.4.28〉 침식방지시설(수중방파제) C구간(BH-3) 590

〈그림 7.4.29〉 액상화 흐름도 593

〈그림 7.4.30〉 시공전 지반조사 위치도 597

〈그림 7.4.31〉 선박 통항 가능폭 601

〈그림 7.5.1〉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1단계) 604

〈그림 7.5.2〉 오탁방지막 계획평면도(2단계) 604

〈그림 7.5.3〉 안전표지시설 설치 위치도 609

〈그림 7.5.4〉 안전표지시설 일반도 609

〈그림 7.5.5〉 제작장 위치 611

〈그림 7.5.6〉 제작장 사용현황 611

〈그림 8.1.1〉 건설계획 수립 흐름도 617

〈그림 8.2.1〉 단계별 분석 618

〈그림 8.2.2〉 건설계획 흐름도 619

〈그림 8.3.1〉 시공순서 검토 623

〈그림 8.4.1〉 공사착공 후 시행계획 625

〈그림 8.9.1〉 예정공정표 638

〈그림 9.2.1〉 울산연안 특별관리해역 지정현황도 642

〈그림 9.2.2〉 악취관리지역 지정 현황도 644

〈그림 9.3.1〉 해양화학 조사위치도 645

〈그림 9.3.2〉 생태구역 구분도 649

〈그림 9.3.3〉 해양퇴적물 조사위치도 650

〈그림 9.3.4〉 분류군별 조사지점도 654

〈그림 9.3.5〉 저서동물 출연종수 655

〈그림 9.3.6〉 저서생태계 위치 및 해조류 현황 65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21588 627.58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21589 627.58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