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제1차 한국수어발전 기본계획 개요 5
Ⅱ. 한국수어 정책 환경 분석 및 대응 전략 8
1. 한국수어 정책 환경 분석 9
2. 대응 전략 14
Ⅲ. 목표 및 추진 전략 15
Ⅳ. 3대 중점 추진 과제 18
1. 한국수어 능력 향상 및 보급 20
1-1. 한국수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20
1-2. 한국수어교원 양성 및 전문성 향상 23
1-3. 한국수어 문화학교 운영 24
1-4. 한국수어교육원 지정 및 운영 26
2. 한국수어 관련 제도의 안정적 운영 기반 마련 28
2-1. 한국수어교원 자격제도 운영 28
2-2. 한국수어 관련 검정시험 기반 마련 및 시행 30
2-3. 한국수어 전문위원회 운영 33
2-4. 한국수어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간 연결망 구축 34
3. 한국수어 사용 환경 개선을 위한 기반 구축 36
3-1. 한국수어 사용 관련 실태조사 36
3-2. 한국수어 기반 문화정보 구축 및 활용 39
3-3. 한국수어사전 정비 및 구축 41
3-4.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44
Ⅴ. 5대 추진 과제 47
1. 한국수어 정보화 지원 체계 구축 49
1-1. 한국수어 자원 관리 체계 구축 49
1-2. 한국수어 종합 누리집 개발 51
2. 한국수어 연구 기반 구축 및 용어 정비 52
2-1. 한국수어 전문용어 정비 52
2-2. 한국수어 연구 인력 양성 지원 54
2-3. 수어 관련 연구 활성화 56
3. 수어 교류 활성화 58
3-1. 남북 수어 연구 58
3-2. 국외 수어 비교 연구 60
3-3. 국외 수어 교류 62
4. 농정체성 확립 및 농문화 발전 65
4-1. 농정체성 확립 기반 마련 65
4-2. 농문화 육성 지원 토대 구축 67
5. 한국수어 사용 확대 및 홍보 확산 68
5-1. 한국수어 홍보 기반 조성 68
5-2. 한국수어 인식 개선 교육 70
Ⅵ. 과제별 소관 부처 72
참고자료 77
판권기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