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가어항(수품항, 어란진항, 삼길포항) 정비계획 및 기본설계용역 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7
청구기호
627.2 -17-2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60050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혜인이엔씨, (주)세일종합기술공사, (주)서영엔지니어링, (주)대양엔지니어링, (주)삼기지질, (주)미래해양
사업책임기술자: 송인철
부록: 착수보고 ; 주민설명회(1차, 2차) ; 중간보고 외
내용: 제1편. 수품항 -- 제2편. 어란진항 -- 제3편. 삼길포항
전자자료(CD-ROM)로도 이용가능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국가어항(수품항, 어란진항, 삼길포항) 정비계획 및 기본설계용역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제1편 수품항 3

목차 4

제1장 총설 34

1.1. 과업의 개요 35

1.1.1. 과업의 목적 35

1.1.2. 과업의 대상위치 35

1.1.3. 과업의 범위 36

1.1.4. 과업수행기간 37

1.1.5. 과업수행현황 37

1.1.6. 과업수행업체 37

1.2. 정비계획 38

1.2.1. 기본방향 38

1.2.2. 수품항 주요현안 38

1.2.3. 수품항 시설현황 39

1.2.4. 수품항 수산(이용) 현황 40

1.2.5. 어항시설 규모결정 42

1.2.6. 정비계획(평면배치계획) 45

1.3. 기본설계 47

1.3.1. 주요대상시설물 47

1.3.2. 주요시설계획 47

1.3.3. 준설 및 매립계획 51

1.4. 건설계획 53

1.5. 결론 및 건의 55

1.5.1. 결론 55

1.5.2. 건의사항 55

제2장 기초자료조사 56

2.1. 자연조건 조사 57

2.1.1. 지형 및 지세 57

2.1.2. 기상자료 57

2.1.3. 해상자료 68

2.2. 입지 및 경제여건 조사 71

2.2.1. 지리적 여건 71

2.2.2. 인문·사회적 여건 71

2.2.3. 산업 및 경제적 여건 74

2.2.4. 배후도로 및 수송망 현황 78

2.2.5. 동력사용 및 상·하수도 현황 79

2.3. 어항의 현황조사 81

2.3.1. 어항의 연혁 및 세력권 81

2.3.2. 어항의 현황 84

2.3.3. 수산현황 89

2.4. 관련계획 조사 90

2.4.1. 상위관련계획 90

2.4.2. 지역관련계획 92

2.4.3. 어항관련계획 96

제3장 현지조사 98

3.1. 지형 및 수심측량 99

3.1.1. 개요 99

3.1.2. 기준점 측량 100

3.1.3. 지형 측량 105

3.1.4. 수심측량 109

3.2. 지반조사 119

3.2.1. 개요 119

3.2.2. 조사내용 121

3.2.3. 조사성과 122

3.2.4. 설계지반정수 산정 128

3.3. 재료원조사 134

3.3.1. 개요 134

3.3.2. 석재원 및 토취장 조사 및 선정 135

3.3.3. 레미콘 137

3.4. 공사용 작업장조사 138

3.4.1. 조사 개요 138

3.4.2. 블록 제작장 138

3.5. 기타조사 140

3.5.1. 어업권 조사 140

3.5.2. 용지 조사 144

3.5.3.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 조사 146

3.5.4. 선박 통항 안정성 실험 149

제4장 정비계획 수립 154

4.1. 기본방향설정 155

4.1.1. 개요 155

4.1.2. 개발방향 155

4.1.3. 시설계획 목표년도 155

4.1.4. 수품항 시설현황 및 이용실태 분석 156

4.1.5. 도입시설 기능 분석 및 기대효과 158

4.2. 어항기능시설 검토 159

4.2.1. 개요 159

4.2.2. 어선척수 및 어획량 검토 159

4.2.3. 어선척수 추정 164

4.2.4. 접안시설 검토 175

4.2.5. 수역시설 검토 195

4.2.6. 육상기능시설 검토 202

4.3. 평면배치계획 검토 215

4.3.1. 평면배치 기본구상 215

4.3.2. 관계기관 및 지역어민 의견 검토 216

4.3.3. 평면배치계획 검토 217

4.3.4. 부두기능 재배치 222

4.3.5. 토지이용계획 검토 228

4.4. 기타정비계획 231

4.4.1. 선양장 보강 231

제5장 수치모형실험 232

5.1. 파랑변형 실험 233

5.1.1. 실험개요 233

5.1.2. 모형수립 234

5.1.3. 실험결과 247

5.2. 항내정온도 실험 299

5.2.1. 실험개요 299

5.2.2. 모형수립 300

5.2.3. 실험결과 302

5.3. 해수유동 실험 325

5.3.1. 실험개요 325

5.3.2. 모형수립 326

5.3.3. 실험결과 331

5.4. 퇴적물이동 실험 340

5.4.1. 실험개요 340

5.4.2. 모형수립 341

5.4.3. 실험결과 342

5.5. 부유사확산 실험 345

5.5.1. 실험개요 345

5.5.2. 모형수립 346

5.5.3. 실험결과 349

제6장 기본설계 358

6.1. 설계조건 359

6.1.1. 자연조건 359

6.1.2. 외력 및 하중조건 361

6.1.3. 재료조건 363

6.1.4. 기준안전율 및 허용지지력 365

6.1.5. 구조물 설계조건 366

6.1.6. 내진설계기준 368

6.1.7. 기타조건 370

6.2. 외곽시설 371

6.2.1. 설계개요 371

6.2.2. 기본제원 검토 372

6.2.3. 상부구조형식 결정 378

6.2.4. 방파제 세부단면설계 380

6.3. 돌제시설 385

6.3.1. 설계개요 385

6.3.2. 기본제원 검토 386

6.3.3. 상부구조형식 결정 391

6.3.4. 돌제 세부단면설계 392

6.4. 접안시설 395

6.4.1. 설계개요 395

6.4.2. 기본제원 검토 396

6.4.3. 상부구조형식 결정 400

6.4.4. 물양장 세부단면설계 401

6.5. 선양장 보강 405

6.5.1. 설계개요 405

6.5.2. 기본제원 검토 406

6.5.3. 세부단면설계 407

6.6. 구조물 기초설계 408

6.6.1. 설계개요 408

6.6.2. 설계기준 및 설계조건 409

6.6.3.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 411

6.6.4. 기초처리 공법 비교 및 선정 416

6.6.5. 구간별 안정성 검토 425

6.7. 배후부지 지반개량 438

6.7.1. 설계개요 438

6.7.2. 설계기준 및 설계조건 440

6.7.3. 표층처리 검토 442

6.7.4. 연직배수공법 검토 451

6.7.5. 압밀침하량 산정 460

6.7.6. 수평배수공 설계 461

6.7.7. 계측관리 및 확인조사 462

6.8. 내진설계 466

6.8.1. 설계개요 466

6.8.2. 내진설계기준 결정 467

6.8.3. 설계입력지진 결정 471

6.8.4. 지진응답해석 473

6.8.5. 등가정적해석 480

6.8.6. 액상화 검토 481

6.9. 준설 및 매립계획 486

6.9.1. 설계개요 486

6.9.2. 준설계획 486

6.9.3. 매립 및 투기계획 489

6.10. 배수계획 492

6.10.1. 개요 492

6.10.2. 확률강우량 산정 492

6.10.3. 강우강도 산정 493

6.10.4. 홍수량 분석 494

6.10.5. 우수배제계획 498

6.11. 부대시설 500

6.11.1. 상부 부속시설 500

6.11.2. 오탁방지막 507

6.11.3. 등대 및 공사용 등부표 510

제7장 건설계획 512

7.1. 계획수립 513

7.1.1. 개요 513

7.1.2. 단계별 검토사항 513

7.1.3. 단계별 건설계획 514

7.2. 건설계획 515

7.2.1. 공사규모 515

7.2.2. 주요물량 516

7.2.3. 건설공사비 516

7.2.4. 투자계획 및 예정공정 517

7.3. 안전관리계획 519

7.3.1. 기본방향 519

7.3.2. 안전관리 흐름도 519

7.3.3. 안전관리계획 520

제8장 경제성 및 파급효과 521

8.1. 분석방법 및 전제사항 522

8.1.1. 분석방법 522

8.1.2. 분석전제 522

8.1.3. 편익추정방법 523

8.2. 비용 및 편익추정 526

8.2.1. 비용 산정기준 526

8.2.2. 비용 산정 526

8.2.3. 편익추정 527

8.3. 경제성 분석 535

8.3.1. 경제성 분석기법 535

8.3.2. 기본 전제 536

8.3.3. 경제성 분석 결과 537

8.4.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539

8.4.1. 경제적 파급효과 539

8.4.2. 경제적 파급효과 결과 539

제9장 사전재해영향성검토 543

9.1. 실시근거 및 협의절차 544

9.1.1. 실시근거 544

9.1.2. 협의절차 544

9.2. 검토대상지역 설정 545

9.2.1. 유형별 개념의 검토범위 설정 545

9.2.2. 예상재해 유형별 검토대상지역 설정 546

9.3. 재해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547

9.3.1. 재해영향예측 547

9.3.2. 재해영향 저감대책 550

9.4. 종합평가 552

부록 553

1. 착수보고 554

2. 주민설명회(1, 2차) 560

3. 중간보고 569

4. 설계자문 586

5. 최종보고 813

6. 참여기술자 명단 820

제2편 어란진항 824

목차 825

제1장 총설 854

1.1. 과업의 개요 855

1.1.1. 과업의 목적 855

1.1.2. 과업의 대상위치 855

1.1.3. 과업의 범위 856

1.1.4. 과업수행기간 857

1.1.5. 과업수행현황 857

1.1.6. 과업수행업체 857

1.2. 정비계획 858

1.2.1. 기본방향 858

1.2.2. 어란진항 주요현안 858

1.2.3. 어란진항 시설현황 859

1.2.4. 어란진항 이용 현황 860

1.2.5. 어항시설 규모결정 862

1.2.6. 정비계획(평면배치계획) 865

1.3. 기본설계 867

1.3.1. 주요대상시설물 867

1.3.2. 주요 시설계획 867

1.3.3. 준설 및 투기계획 870

1.4. 건설계획 871

1.5. 결론 및 건의 873

1.5.1. 결론 873

1.5.2. 건의사항 873

제2장 기초자료조사 874

2.1. 자연조건조사 875

2.1.1. 지형 및 지세 875

2.1.2. 기상조건 875

2.1.3. 해상조건 887

2.2. 입지여건조사 893

2.2.1. 지리적 여건 893

2.2.2. 인문사회 현황 893

2.2.3. 관광자원 및 관광실태조사 895

2.2.4. 산업 및 경제여건조사 898

2.2.5. 자원현황 899

2.2.6. 수송망 현황조사 900

2.2.7. 동력, 용수, 상하수도 현황조사 901

2.3. 어항현황조사 902

2.3.1. 어란진항 연혁 902

2.3.2. 어항의 세력권 903

2.3.3. 어항구역 904

2.3.4. 어항시설현황 906

2.4. 관련계획조사 910

2.4.1. 상위관련계획 910

2.4.2. 지역관련계획 914

2.4.3. 어항관련계획 919

2.5. 해외 선진어항 사례조사 921

2.5.1. 일본 사례조사 921

2.5.2. 국내외 수산업 기술동향 923

제3장 현지조사 925

3.1. 지형 및 수심측량 926

3.1.1. 개요 926

3.2. 지형측량 927

3.2.1. 기준점 측량 927

3.2.2. 지형 측량 931

3.3. 멀티빔 수심측량 935

3.3.1. 개요 935

3.3.2. 작업방법 및 절차 935

3.3.3. 현장조사 940

3.3.4. 자료 처리 941

3.3.5. 수심측량 결과 943

3.4. 지반조사 945

3.4.1. 개요 945

3.4.2. 조사내용 947

3.4.3. 조사성과 948

3.4.4. 기존 시추조사 자료 분석 953

3.4.5. 설계지반정수 산정 955

3.5. 재료원 조사 958

3.5.1. 개요 958

3.5.2. 석재원 및 토취장 조사 및 선정 959

3.6. 레미콘 및 공사용 제작장 조사 961

3.6.1. 조사 개요 961

3.6.2. 레미콘 및 제작장 조사 961

3.7. 어업권 조사 963

3.8. 용지 및 보상물 조사 964

3.9. 지장물 및 지하매설물 조사 965

제4장 정비계획 수립 967

4.1. 기본방향 설정 968

4.1.1. 개요 968

4.1.2. 개발방향 968

4.1.3. 시설현황 969

4.1.4. 시설이용현황 분석 970

4.1.5. 도입시설 기능분석 및 기대효과 971

4.2. 어항시설 소요규모 검토 972

4.2.1. 개요 972

4.2.2. 어선척수 검토 973

4.2.3. 어선척수 추정 973

4.2.4. 어획량 추정 986

4.2.5. 접안시설 소요규모 검토 987

4.2.6. 수역시설 검토 1009

4.2.7. 육상기능시설 검토 1016

4.3. 평면배치계획 검토 1028

4.3.1. 평면배치 기본구상 1028

4.3.2. 관계기관 및 지역어민 의견 검토 1028

4.3.3. 평면배치계획 검토 1029

4.3.4. 부두기능 재배치 1031

4.3.5. 토지이용계획 검토 1032

제5장 수치모형실험 1035

5.1. 파랑변형 실험 1036

5.1.1. 실험개요 1036

5.1.2. 모형수립 1037

5.1.3. 실험결과 1049

5.2. 항내정온도 실험 1083

5.2.1. 실험개요 1083

5.2.2. 모형수립 1084

5.2.3. 실험결과 1086

5.3. 해수유동 실험 1108

5.3.1. 실험개요 1108

5.3.2. 모형수립 1109

5.3.3. 실험결과 1114

5.4. 해수교환율 실험 1129

5.4.1. 실험개요 1129

5.4.2.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 1130

5.4.3. 실험결과 1130

5.5. 퇴적물이동 실험 1134

5.5.1. 실험개요 1134

5.5.2. 모형수립 1135

5.5.3. 실험결과 1136

5.6. 부유사확산 실험 1140

5.6.1. 실험개요 1140

5.6.2. 모형수립 1141

5.6.3. 실험결과 1143

제6장 기본설계 1149

6.1. 설계조건 1150

6.1.1. 자연조건 1150

6.1.2. 외력 및 하중조건 1152

6.1.3. 재료조건 1154

6.1.4. 기준안전율 및 허용지지력 1156

6.1.5. 구조물 설계조건 1157

6.1.6. 내진설계기준 1159

6.1.7. 기타조건 1160

6.2. 접안시설 1161

6.2.1. 설계 개요 1161

6.2.2. 물양장 A구간 1162

6.2.3. 물양장 B구간 1171

6.2.4. 물양장 C구간 1186

6.2.5. 추가 지반조사 및 계측관리 1192

6.2.6. 상부 부속시설 1196

6.3. 상치콘크리트 보강 1202

6.3.1. 동방파호안 상치 검토 1202

6.3.2. 동방파제 상치 검토 1204

6.4. 준설 및 투기계획 1209

6.4.1. 개요 1209

6.4.2. 준설계획 1209

6.4.3. 매립 및 투기계획 1214

6.5. 내진설계 1217

6.5.1. 내진설계 기준 1217

6.5.2. 내진안정성 검토 1221

6.6. 배수계획 1224

6.6.1. 개요 1224

6.6.2. 확률강우량 산정 1224

6.6.3. 강우강도 산정 1225

6.6.4. 홍수량 산정 1226

6.6.5. 우수배제계획 1229

6.7. 포장설계 1231

6.7.1. 포장계획 1231

6.7.2. 콘크리트 포장 설계 1232

6.8. 부대시설 1241

6.8.1. 오탁방지막 1241

6.8.2. 공사용 등부표 1244

제7장 건설계획 1245

7.1. 계획수립 1246

7.1.1. 개요 1246

7.1.2. 단계별 검토사항 1246

7.1.3. 단계별 건설계획 1247

7.2. 건설계획 1248

7.2.1. 공사규모 1248

7.2.2. 주요물량 1249

7.2.3. 건설공사비 1249

7.2.4. 투자계획 및 예정공정 1250

7.3. 건설관리계획 1252

7.3.1. 공사관리 운영계획 1252

7.3.2. 공사관리 시행계획 1252

7.4. 안전관리계획 1253

7.4.1. 기본방향 1253

7.4.2. 안전관리 흐름도 1253

7.4.3. 안전관리계획 1254

제8장 경제성 및 파급효과 1255

8.1. 분석방법 및 전제사항 1256

8.1.1. 분석방법 1256

8.1.2. 분석전제 1256

8.1.3. 편익추정방법 1256

8.2. 비용 및 편익추정 1260

8.2.1. 비용 산정기준 1260

8.2.2. 비용 산정 1260

8.2.3. 편익추정 1261

8.3. 경제성 분석 1266

8.3.1. 경제성 분석기법 1266

8.3.2. 기본 전제 1267

8.3.3. 경제성 분석 결과 1268

8.4.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270

8.4.1. 경제성 파급효과 1270

8.4.2. 경제적 파급효과 결과 1270

제9장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1275

9.1. 실시근거 및 협의절차 1276

9.1.1. 실시근거 1276

9.1.2. 협의절차 1276

9.2. 검토대상지역 설정 1277

9.2.1. 유형별 개념의 검토범위 설정 1277

9.2.2. 예상재해 유형별 검토대상지역 설정 1278

9.3. 재해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1279

9.3.1. 재해영향예측 1279

9.3.2. 재해영향 저감대책 1282

9.4. 종합평가 1284

부록 1285

1. 착수보고회 1286

2. 중간보고회 1292

3. 설계자문 1309

4. 최종보고회 1536

5. 참여기술자 명단 1543

제3편 삼길포항 1547

목차 1548

제1장 과업의 개요 1561

1.1. 과업의 목적 1562

1.2. 과업의 위치 1562

1.3. 과업의 범위 1563

1.4. 과업수행기간 1563

1.5. 과업수행현황 1563

1.6. 과업수행업체 1563

제2장 기초자료조사 1564

2.1. 자연조건조사 1565

2.1.1. 기상조건 1565

2.1.2. 해상조건 1576

2.1.3. 지형 및 지세 1578

2.2. 입지 및 경제여건조사 1579

2.2.1. 지리적 여건 1579

2.2.2. 인문사회현황 1580

2.2.3. 관광자원 및 관광실태조사 1582

2.2.4. 산업 및 경제여건조사 1585

2.2.5. 도로 및 토지이용 현황 1587

2.2.6. 동력, 용수 및 상·하수도 현황 1588

2.3. 어항현황조사 1589

2.3.1. 삼길포항의 발전과정 1589

2.3.2. 어항구역 및 시설현황 1591

2.4. 관련계획조사 1593

2.4.1. 상위관련계획 1593

2.4.2. 지역관련계획 1601

제3장 현지조사 1604

3.1. 지형 및 수심측량 1605

3.1.1. 조사개요 1605

3.1.2. 기준점 측량 1606

3.1.3. 지형 측량 1610

3.1.4. 수심 측량 1614

3.2. 지장물 및 용지조사 1629

3.3. 기타조사 1633

3.3.1. 대상지 일반현황 1633

제4장 정비계획 수립 1635

4.1. 기본방향설정 1636

4.1.1. SWOT 분석 1636

4.1.2. 주요 현안검토 1637

4.1.3. 정비계획 방향설정 1640

4.2. 개발전략 및 지표설정 1641

4.2.1. 기본구상 1641

4.2.2. 이용객 수요추정 1642

4.2.3. 도입시설 규모산정 1643

4.3. 공간구상 1645

4.3.1. 대안별 구상 1645

4.3.2. 대안의 선정 1648

제5장 수치모형실험 1649

5.1. 파랑변형 실험 1650

5.1.1. 실험개요 1650

5.1.2. 모형수립 1651

5.1.3. 실험결과 1662

5.2. 해수유동 실험 1679

5.2.1. 실험개요 1679

5.2.2. 모형수립 1680

5.2.3. 실험결과 1687

5.3. 담수방류 실험 1691

5.3.1. 실험개요 1691

5.3.2. 실험조건 1692

5.3.3. 실험결과 1694

5.4. 퇴적물이동 실험 1696

5.4.1. 실험개요 1696

5.4.2. 모형수립 1697

5.4.3. 실험결과 1698

제6장 기본설계 1699

6.1. 설계개요 1700

6.1.1. 토지이용계획 1700

6.1.2. 기본방향 1701

6.2. 기반시설설계 1702

6.2.1. 기본방향 1702

6.2.2. 토목설계 1702

6.2.3. 식재기반설계 1703

6.3. 식재설계 1704

6.3.1. 일반사항 1704

6.3.2. 대상지 식재설계 1706

6.4. 시설물설계 1708

6.4.1. 일반사항 1708

6.4.2. 대상지 시설물설계 1709

6.5. 포장설계 1711

6.5.1. 일반사항 1711

6.5.2. 대상지 포장설계 1712

제7장 건설계획 1714

7.1. 개요 1715

7.2. 건설계획 1715

7.2.1. 공사규모 1715

7.2.2. 주요물량 1715

7.2.3. 건설공사비 및 예정공정 1716

7.3. 안전관리계획 1717

7.3.1. 시공 중 안전관리계획 1717

7.3.2. 운영 중 안전관리계획 1717

제8장 경제성 및 파급효과 1718

8.1. 분석방법 및 전제사항 1719

8.1.1. 분석방법 1719

8.1.2. 분석전제 1719

8.1.3. 편익추정방법 1720

8.2. 비용 및 편익추정 1722

8.2.1. 비용산정 기준 1722

8.2.2. 비용산정 1723

8.2.3. 편익추정 1723

8.3. 경제성 분석 1730

8.3.1. 경제성 분석기법 1730

8.3.2. 기본 전제 1731

8.3.3. 경제성 분석 결과 1732

8.4.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734

8.4.1. 경제적 파급효과 1734

8.4.2. 경제적 파급효과 결과 1734

부록 1738

1. 착수보고 1739

2. 중간보고 1745

3. 최종보고 1762

4. 참여기술자 명단 1769

제1편 수품항 12

〈표 1.1.1〉 과업의 범위 36

〈표 1.2.1〉 관계자 주요의견 38

〈표 1.2.2〉 어항 시설현황 39

〈표 1.2.3〉 금감리 재적어선현황 42

〈표 1.2.4〉 업종별·톤급별 세력권내 어선척수추정 결과 42

〈표 1.2.5〉 접안시설 소요규모 43

〈표 1.2.6〉 수역시설 소요규모 43

〈표 1.2.7〉 기능시설 소요 규모검토 44

〈표 1.3.1〉 설계 대상시설 47

〈표 1.3.2〉 수토용량 52

〈표 1.3.3〉 준설량 및 투기량 52

〈표 1.4.1〉 총 사업비 53

〈표 1.4.2〉 예정공정표 54

〈표 2.1.1〉 기상개요 58

〈표 2.1.2〉 월별기온 58

〈표 2.1.3〉 월평균 강수량 59

〈표 2.1.4〉 안개일수 59

〈표 2.1.5〉 월별기압 59

〈표 2.1.6〉 월별습도 60

〈표 2.1.7〉 월별풍속 60

〈표 2.1.8〉 계급별·풍향별 관측백분율 61

〈표 2.1.9〉 태풍의 구분 63

〈표 2.1.10〉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태풍 64

〈표 2.1.11〉 작업불가능 일수 산정기준 66

〈표 2.1.12〉 천기일수 66

〈표 2.1.13〉 기상에 의한 작업불가능 일수 67

〈표 2.1.14〉 작업가능일수 67

〈표 2.1.15〉 금회적용 조위표 및 조위도 68

〈표 2.1.16〉 각 격자별 심해설계파 제원 70

〈표 2.2.1〉 인구 및 세대 현황 71

〈표 2.2.2〉 65세 이상 고령자 72

〈표 2.2.3〉 행정구역 현황 72

〈표 2.2.4〉 교육시설 현황 72

〈표 2.2.5〉 토지 및 지목별 현황 73

〈표 2.2.6〉 문화재 현황 73

〈표 2.2.7〉 농가 및 경지면적 74

〈표 2.2.8〉 식량생산 현황 74

〈표 2.2.9〉 어가 및 어가 인구 75

〈표 2.2.10〉 진도군 어선보유 현황 75

〈표 2.2.11〉 고흥군 수산물 계통 판매고 76

〈표 2.2.12〉 소유별 임야면적 76

〈표 2.2.13〉 가축사육 현황 77

〈표 2.2.14〉 산업별 사업체 현황 77

〈표 2.2.15〉 도로 현황 78

〈표 2.2.16〉 도로 현황(계속) 78

〈표 2.2.17〉 자동차 등록현황 78

〈표 2.2.18〉 용도별 전력 사용량 79

〈표 2.2.19〉 상수도시설 및 이용현황 79

〈표 2.2.20〉 하수도 인구 및 보급률 현황 80

〈표 2.3.1〉 수품항 개발 연혁 81

〈표 2.3.2〉 수품항 어항구역 84

〈표 2.3.3〉 기존시설 현황 85

〈표 2.3.4〉 직·간접 세력권내 어선척수 89

〈표 2.3.5〉 성어기시 외래어선 어선척수 89

〈표 2.3.6〉 물김 위판량 89

〈표 2.4.1〉 추진 전력별 주요 개발사업 94

〈표 3.1.1〉 G.P.S.(Hiper II) 제원 100

〈표 3.1.2〉 직각좌표계의 기준(2009년 12월 10일 개정) 101

〈표 3.1.3〉 Network RTK의 관측 규정 102

〈표 3.1.4〉 수품항 GPS기준점 측량결과(경위도좌표) 104

〈표 3.1.5〉 수품항 GPS기준점 측량결과(TM좌표) 104

〈표 3.2.1〉 조사기간 119

〈표 3.2.2〉 조사항목 및 수량 120

〈표 3.2.3〉 조사장비 120

〈표 3.2.4〉 조사 좌표 및 표고 121

〈표 3.2.5〉 시추조사 결과 122

〈표 3.2.6〉 지충분포 현황 122

〈표 3.2.7〉 표준관입시험 결과 124

〈표 3.2.8〉 실내물성시험 결과 124

〈표 3.2.9〉 실내역학시험 결과 126

〈표 3.2.10〉 토사층 및 풍화대의 설계지반정수 132

〈표 3.2.11〉 기반암(연암)의 설계지반정수 133

〈표 3.3.1〉 주요재료 소요량 현황 135

〈표 3.3.2〉 석재원 품질허용기준 135

〈표 3.3.3〉 석재원 현황 136

〈표 3.3.4〉 레미콘 생산업체 현황 137

〈표 3.4.1〉 제작장 현황 139

〈표 3.5.1〉 어업권 현황 140

〈표 3.5.2〉 편입토지 집계표 144

〈표 3.5.3〉 지장물 집계표 146

〈표 3.5.4〉 기상조건 149

〈표 3.5.5〉 대상선박 149

〈표 3.5.6〉 실험내용 및 결과 153

〈표 4.1.1〉 수품항 어항구역 및 시설현황 156

〈표 4.1.2〉 기본시설 이용실태 분석 157

〈표 4.2.1〉 어항기능시설 항목 159

〈표 4.2.2〉 직·간접 세력권내 어선척수 163

〈표 4.2.3〉 성어기시 외래어선 어선척수 163

〈표 4.2.4〉 어획량 163

〈표 4.2.5〉 연도별 어선동향 165

〈표 4.2.6〉 감척실적(1994년~2013년) 166

〈표 4.2.7〉 제 1~2차 감척 사업계획(2014년~2023년) 166

〈표 4.2.8〉 전국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7

〈표 4.2.9〉 전국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7

〈표 4.2.10〉 전국 연근해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8

〈표 4.2.11〉 전국 연근해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8

〈표 4.2.12〉 전라남도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9

〈표 4.2.13〉 전라남도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169

〈표 4.2.14〉 진도군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170

〈표 4.2.15〉 진도군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170

〈표 4.2.16〉 세력권내 업종별 톤급별 재적어선 현황(양육부두) 171

〈표 4.2.17〉 세력권내 업종별 톤급별 재적어선 현황(급유부두) 171

〈표 4.2.18〉 세력권내 업종별 톤급별 재적어선 현황(휴식부두) 172

〈표 4.2.19〉 세력권내 업종별 톤급별 재적어선 현황(황천시) 172

〈표 4.2.20〉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현황(양육부두) 173

〈표 4.2.20〉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현황(급유부두) 173

〈표 4.2.20〉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현황(휴식부두) 173

〈표 4.2.20〉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현황(황천시) 173

〈표 4.2.21〉 어선 척수 추정 결과 174

〈표 4.2.22〉 어선의 표준선형 175

〈표 4.2.23〉 업종별 권역별 톤급별 항차일수(서남해) 176

〈표 4.2.24〉 1일 하역가능시간 177

〈표 4.2.25〉 업종별 권역별 톤급별 하역시간(서남해_접·이안시간 포함) 177

〈표 4.2.26〉 2016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178

〈표 4.2.27〉 2020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179

〈표 4.2.28〉 2021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180

〈표 4.2.29〉 2025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181

〈표 4.2.30〉 외래어선(일평균) 182

〈표 4.2.31〉 양육부두 산정 결과 182

〈표 4.2.32〉 어선종류별 시간·마력당 유류소요량 183

〈표 4.2.33〉 경유 / BA유 / BB유 어업종류별 연간조업시간 184

〈표 4.2.34〉 2016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185

〈표 4.2.35〉 2020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185

〈표 4.2.36〉 2021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185

〈표 4.2.37〉 2025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186

〈표 4.2.38〉 외래어선(일평균) 186

〈표 4.2.39〉 급유부두 산정 결과 186

〈표 4.2.40〉 보급부두 산정 결과 188

〈표 4.2.41〉 휴식부두 이용척수 산정 189

〈표 4.2.42〉 휴식부두 소요연장 190

〈표 4.2.43〉 휴식부두 산정 결과 191

〈표 4.2.44〉 황천시 물양장 소요연장 192

〈표 4.2.45〉 황천시 물양장 산정 결과 193

〈표 4.2.46〉 물양장 소요규모 결과 194

〈표 4.2.47〉 접안시설 소요규모 산정결과 195

〈표 4.2.48〉 양육용 박지면적 196

〈표 4.2.49〉 보급용 박지면적 196

〈표 4.2.50〉 휴식용부두 수면적 197

〈표 4.2.51〉 악천후시 대비부두 박지면적 198

〈표 4.2.52〉 계류용박지 산정결과 199

〈표 4.2.53〉 계류용박지 소요면적 199

〈표 4.2.54〉 어선을 대상으로 하는 항로폭(왕복항로) 200

〈표 4.2.55〉 조선수역 소요규모 200

〈표 4.2.56〉 수역시설 소요규모 201

〈표 4.2.57〉 냉동·냉장차의 제원 203

〈표 4.2.58〉 양식시설 고유계수 (K) 206

〈표 4.2.59〉 부표 적치 면적 산정 207

〈표 4.2.60〉 1일 소요 급유량 209

〈표 4.2.61〉 탱크 2기 209

〈표 4.2.62〉 톤급별 어선수리시설 용지 규모 산정 211

〈표 4.2.63〉 도시공원 기준면적 213

〈표 4.2.64〉 기능시설 소요 규모검토 214

〈표 4.3.1〉 주요의견 및 검토결과 216

〈표 4.3.2〉 평면배치계획 1안 218

〈표 4.3.3〉 평면배치계획 2안 219

〈표 4.3.4〉 평면배치계획 3안 220

〈표 4.3.5〉 평면배치계획 4안 221

〈표 4.3.6〉 부두별 기능재배치 223

〈표 4.3.7〉 토지이용계획 규모검토 228

〈표 4.4.1〉 선양장 계획 231

〈표 5.1.1〉 실험개요 233

〈표 5.1.2〉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05), 50년빈도 234

〈표 5.1.3〉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12), 50년빈도 235

〈표 5.1.4〉 심해파 제원변화(2012-2005년), 50년빈도 235

〈표 5.1.5〉 금회 심해파 입력 조건, 50년 빈도 235

〈표 5.1.6〉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05), 10년빈도 236

〈표 5.1.7〉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12), 10년빈도 236

〈표 5.1.8〉 심해파 제원변화(2012-2005년), 10년빈도 237

〈표 5.1.9〉 금회 심해파 입력 조건, 10년 빈도 237

〈표 5.1.10〉 연도별·풍향별 최대풍속 238

〈표 5.1.11〉 설계해상풍 비교 240

〈표 5.1.12〉 풍속에 대한 관측풍속의 비율 241

〈표 5.1.13〉 해상풍 보정 결과 242

〈표 5.1.14〉 심해설계파 및 설계해상풍 파고분포(50년 빈도) 248

〈표 5.1.15〉 구조물 설계파 산정결과(50년 빈도) 249

〈표 5.1.16〉 심해설계파 및 설계해상풍 파고분포(10년 빈도) 250

〈표 5.1.17〉 구조물 설계파 산정결과(10년 빈도) 250

〈표 5.2.1〉 항내정온도 실험개요 299

〈표 5.2.2〉 항내정온도 검토 실험안 300

〈표 5.2.3〉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301

〈표 5.2.4〉 반사율의 개략치 301

〈표 5.2.5〉 현재상태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302

〈표 5.2.6〉 현재상태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303

〈표 5.2.7〉 전면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계획 1안) 304

〈표 5.2.8〉 전면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계획 2안) 304

〈표 5.2.9〉 전면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계획 3안) 305

〈표 5.2.10〉 전면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계획 4안) 305

〈표 5.3.1〉 해수유동 실험개요 325

〈표 5.3.2〉 조위 검증 결과 327

〈표 5.3.3〉 조류 검증 결과 328

〈표 5.4.1〉 퇴적물이동 실험개요 340

〈표 5.4.2〉 퇴적물이동 실험에 적용된 입력조건 341

〈표 5.5.1〉 부유사확산 실험개요 345

〈표 5.5.2〉 부유사 발생 원단위 346

〈표 5.5.3〉 부유사 발생량 산정 348

〈표 5.5.4〉 1mg / L 농도 최대 확산거리 및 면적 351

〈표 6.1.1〉 수품항 조위표 359

〈표 6.1.2〉 설계파랑 359

〈표 6.1.3〉 설계조류속 360

〈표 6.1.4〉 잔류수위 360

〈표 6.1.5〉 설계풍속 360

〈표 6.1.6〉 상재하중 361

〈표 6.1.7〉 재료의 단위중량 361

〈표 6.1.8〉 대상선박 제원 362

〈표 6.1.9〉 선박 접안속도 362

〈표 6.1.10〉 선박 견인력 362

〈표 6.1.11〉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363

〈표 6.1.12〉 물리적 특성 363

〈표 6.1.13〉 철근의 탄성계수 363

〈표 6.1.14〉 철근의 허용응력 363

〈표 6.1.15〉 공사용 재료 강도정수 364

〈표 6.1.16〉 점성토 지반특성 364

〈표 6.1.17〉 토사층 설계지반정수 364

〈표 6.1.18〉 마찰계수 365

〈표 6.1.19〉 기준안전율 365

〈표 6.1.20〉 허용지지력 365

〈표 6.1.21〉 허용잔류침하량 365

〈표 6.1.22〉 강도감소계수 366

〈표 6.1.23〉 최소철근비 366

〈표 6.1.24〉 철근의 덮개 367

〈표 6.1.25〉 내진등급 및 성능수준 368

〈표 6.1.26〉 지진구역의 구분 및 구역계수(재현주기 500년에 해당) 368

〈표 6.1.27〉 재현주기별 위험도계수 368

〈표 6.1.28〉 지진재해도에 의한 지역별 진도 369

〈표 6.1.29〉 설계지반운동 수준 369

〈표 6.1.30〉 지진응답해석 370

〈표 6.1.31〉 준설사면 경사 370

〈표 6.2.1〉 방파제계획 371

〈표 6.2.2〉 방파제 구간 설정 372

〈표 6.2.3〉 검토조건 372

〈표 6.2.4〉 방파제 마루높이 산정기준에 의한 마루높이 372

〈표 6.2.5〉 전달파고에 의한 마루높이 373

〈표 6.2.6〉 처오름높이에 의한 마루높이 373

〈표 6.2.7〉 인근시설 마루높이 374

〈표 6.2.8〉 방파제 마루높이 검토결과 374

〈표 6.2.9〉 쇄파발생 검토조건 374

〈표 6.2.10〉 쇄파발생 환산심해설계파고 산출 375

〈표 6.2.11〉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한 쇄파대 검토 375

〈표 6.2.12〉 S.P.M에 의한 쇄파대 검토 375

〈표 6.2.13〉 쇄파발생 검토 결과 376

〈표 6.2.14〉 허드슨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76

〈표 6.2.15〉 Van der Meer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77

〈표 6.2.16〉 방파제 피복재 결정 377

〈표 6.2.17〉 서방파제 상부구조형식 비교 378

〈표 6.2.18〉 동방파제 상부구조형식 비교 379

〈표 6.2.19〉 방파제 설계조건 380

〈표 6.2.20〉 제간부 원호활동 결과 382

〈표 6.2.21〉 제간부 안정검토 결과 382

〈표 6.2.22〉 제두부 원호활동 결과 382

〈표 6.2.23〉 제두부 안정검토 결과 382

〈표 6.2.24〉 제간부 원호활동 결과 384

〈표 6.2.25〉 제간부 안정검토 결과 384

〈표 6.2.26〉 제두부 원호활동 결과 384

〈표 6.2.27〉 제두부 안정검토 결과 384

〈표 6.3.1〉 돌제 계획 385

〈표 6.3.2〉 돌제 구간 설정 386

〈표 6.3.3〉 검토조건 386

〈표 6.3.4〉 돌제 마루높이 산정기준에 의한 마루높이 386

〈표 6.3.5〉 전달파고에 의한 마루높이 387

〈표 6.3.6〉 배후지의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월파량(후꾸다 등, 1973) 387

〈표 6.3.7〉 허용월파량에 의한 마루높이 387

〈표 6.3.8〉 돌제 마루높이 검토결과 388

〈표 6.3.9〉 쇄파발생 검토조건 388

〈표 6.3.10〉 쇄파발생 환산심해설계파고 산출 388

〈표 6.3.11〉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에 의한 쇄파대 검토 389

〈표 6.3.12〉 S.P.M에 의한 쇄파대 검토 389

〈표 6.3.13〉 쇄파발생 검토 결과 389

〈표 6.3.14〉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90

〈표 6.3.15〉 Brebner & Donnelly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90

〈표 6.3.16〉 돌제 피복재 결정 390

〈표 6.3.17〉 돌제 상부구조형식 비교 391

〈표 6.3.18〉 돌제 설계조건 392

〈표 6.3.19〉 원호활동 결과 393

〈표 6.3.20〉 안정검토 결과 393

〈표 6.3.21〉 원호활동 결과 394

〈표 6.3.22〉 안정검토 결과 394

〈표 6.4.1〉 물양장 계획 395

〈표 6.4.2〉 물양장 및 호안 구간 설정 396

〈표 6.4.3〉 대상선박 및 선석수심 396

〈표 6.4.4〉 검토조건 397

〈표 6.4.5〉 접안시설 마루높이 397

〈표 6.4.6〉 어항계류시설 마루높이 397

〈표 6.4.7〉 인근시설 마루높이 398

〈표 6.4.8〉 물양장 마루높이 검토결과 398

〈표 6.4.9〉 물양장 Apron 398

〈표 6.4.10〉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99

〈표 6.4.11〉 Brebner & Donnelly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399

〈표 6.4.12〉 접안 물양장 피복재 결정 399

〈표 6.4.13〉 물양장 상부구조형식 비교 400

〈표 6.4.14〉 물양장 계획 401

〈표 6.4.15〉 원호활동 결과 402

〈표 6.4.16〉 안정검토 결과 402

〈표 6.4.17〉 원호활동 결과 403

〈표 6.4.18〉 안정검토 결과 403

〈표 6.4.19〉 원호활동 결과 404

〈표 6.4.20〉 안정검토 결과 404

〈표 6.5.1〉 선양장 계획 405

〈표 6.5.2〉 선양장 단면 제원 406

〈표 6.5.3〉 원호활동 결과 407

〈표 6.5.4〉 안정검토 결과 407

〈표 6.6.1〉 기준 안전율 409

〈표 6.6.2〉 토사층 설계지반정수 409

〈표 6.6.3〉 점성토 지반 특성 409

〈표 6.6.4〉 무처리시 원호활동 검토 412

〈표 6.6.5〉 무처리시 압밀침하 검토 414

〈표 6.6.6〉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결과 415

〈표 6.6.7〉 지반개량 공법별 특징 416

〈표 6.6.8〉 검토대상 공법 검토 417

〈표 6.6.9〉 심층혼합처리공법 시공 개념도 418

〈표 6.6.10〉 심층혼합처리공법 장·단점 418

〈표 6.6.11〉 준설(굴착)치환공법 장·단점 419

〈표 6.6.12〉 강제치환공법 장·단점 419

〈표 6.6.13〉 기초처리공법 비교 및 선정 420

〈표 6.6.14〉 심층혼합처리공법 주요검토사항 421

〈표 6.6.15〉 개량체 단면검토 421

〈표 6.6.16〉 설계기준강도 산정 422

〈표 6.6.17〉 최소개량율 결정 423

〈표 6.6.18〉 구간별 원호활동 검토결과 434

〈표 6.6.19〉 편심·경사하중에 대한 지지력검토 개념도 435

〈표 6.7.1〉 지반개량설계 주요 검토사항 439

〈표 6.7.2〉 배후부지 계획고 440

〈표 6.7.3〉 설계하중 440

〈표 6.7.4〉 허용잔류침하량 440

〈표 6.7.5〉 잔류수위 440

〈표 6.7.6〉 공사용 재료 특성값 441

〈표 6.7.7〉 연약지반 판정기준(한국도로공사, 2009) 441

〈표 6.7.8〉 점성토 지반 특성 441

〈표 6.7.9〉 점성토층 및 매립재 지반정수 443

〈표 6.7.10〉 장비제원 443

〈표 6.7.11〉 표층처리공법 종류 445

〈표 6.7.12〉 표층처리공법 특징 446

〈표 6.7.13〉 표층처리공법 선정 447

〈표 6.7.14〉 영향인자별 적용 안전율 449

〈표 6.7.15〉 복토 포설장비 접지압 450

〈표 6.7.16〉 시공장비의 주행성 검토결과 450

〈표 6.7.17〉 시간경과별 압밀도 및 발생침하량 451

〈표 6.7.18〉 지반개량 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452

〈표 6.7.19〉 지반개량공법 선정 453

〈표 6.7.20〉 지반개량 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455

〈표 6.7.21〉 제안자별 수평배수 이론 456

〈표 6.7.22〉 연직배수재의 배치와 등가유효원 457

〈표 6.7.23〉 Smear Zone 범위 458

〈표 6.7.24〉 Smear Zone의 투수계수 감소비 459

〈표 6.7.25〉 계측결과 활용 464

〈표 6.8.1〉 항만시설의 내진등급 467

〈표 6.8.2〉 내진성능 수준 467

〈표 6.8.3〉 내진성능 목표 467

〈표 6.8.4〉 거동한계 규정 468

〈표 6.8.5〉 내진성능 목표 선정 468

〈표 6.8.6〉 지역계수 469

〈표 6.8.7〉 재현주기별 위험도 계수 469

〈표 6.8.8〉 설계적용 기반암 가속도 471

〈표 6.8.9〉 적용 입력지진파 471

〈표 6.8.10〉 표준응답스펙트럼 472

〈표 6.8.11〉 전단파속도(Vs) 산정식(이미지참조) 473

〈표 6.8.12〉 동적 설계지반정수 473

〈표 6.8.13〉 구간별 지진응답해석 결과 479

〈표 6.8.14〉 등가정적해석 개념도 480

〈표 6.8.15〉 액상화 개념도 482

〈표 6.8.16〉 액상화 검토 생략조건 482

〈표 6.8.17〉 액상화 간이평가 검토결과 485

〈표 6.9.1〉 준설사면 경사 486

〈표 6.9.2〉 여굴두께 487

〈표 6.9.3〉 여유 폭 487

〈표 6.9.4〉 준설공법 비교 488

〈표 6.9.5〉 발생 준설량 489

〈표 6.9.6〉 국내 체적변화율 적용사례 490

〈표 6.9.7〉 토질별 유보율 490

〈표 6.9.8〉 매립토량 산정 490

〈표 6.9.9〉 준설토 투기계획 491

〈표 6.10.1〉 확률강우량 비교(해남관측소) 492

〈표 6.10.2〉 진도군 방재성능목표강우량 492

〈표 6.10.3〉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강도 회귀계수 493

〈표 6.10.4〉 지형인자의 산정 494

〈표 6.10.5〉 평균유출계수(C) 496

〈표 6.10.6〉 국내 유입시간 표준값 496

〈표 6.10.7〉 자연하천유역에 대한 유하시간 497

〈표 6.10.8〉 금회 적용 도달시간 497

〈표 6.10.9〉 금회 적용 강우강도 498

〈표 6.10.10〉 관로결정 499

〈표 6.11.1〉 대상선박 제원 500

〈표 6.11.2〉 유효접안에너지 산정 501

〈표 6.11.3〉 방충재 형식 선정 501

〈표 6.11.4〉 방충재 규격 결정 502

〈표 6.11.5〉 방충재 배치 502

〈표 6.11.6〉 어선의 견인력 503

〈표 6.11.7〉 계선주의 배치간격 503

〈표 6.11.8〉 계선주의 규격 및 배치 503

〈표 6.11.9〉 차막이 비교·검토 504

〈표 6.11.10〉 모서리 보호공 비교·검토 505

〈표 6.11.11〉 안전난간 506

〈표 6.11.12〉 오탁방지막 형식 비교 507

〈표 6.11.13〉 오탁방지막 외력조건 508

〈표 6.11.14〉 오탁방지막 부재검토 결과 508

〈표 6.11.15〉 등부표 선정 511

〈표 7.2.1〉 건설공사 시설규모 515

〈표 7.2.2〉 준설 및 매립 516

〈표 7.2.3〉 석재 및 레미콘 516

〈표 7.2.4〉 총 사업비 516

〈표 7.2.5〉 년차별 투자계획 517

〈표 7.3.1〉 공종별 안전관리계획 520

〈표 7.3.2〉 기상악화시 안전관리계획 520

〈표 8.1.1〉 어항 개발에 따른 편익항목의 분류 523

〈표 8.2.1〉 수품항 국가어항개발사업 총사업비 527

〈표 8.2.2〉 연도별 어항 배후부지 개발효과 편익결과 528

〈표 8.2.3〉 연도별 어선 피해방지편익 결과 530

〈표 8.2.4〉 연도별 어선 대비비용 절감편익 결과 532

〈표 8.2.5〉 연도별 신규관광객 창출편익 결과 534

〈표 8.3.1〉 경제성분석결과 537

〈표 8.3.2〉 민감도 분석 결과 538

〈표 8.4.1〉 수품항 개발사업의 산업별·권역별 생산유발액 539

〈표 8.4.2〉 수품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액 540

〈표 8.4.3〉 수품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비율 540

〈표 8.4.4〉 수품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계수 541

〈표 8.4.5〉 수품항 개발사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541

〈표 8.4.6〉 수품항 개발사업의 투입예산대비 경제적 총 효과 542

〈표 8.4.7〉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542

〈표 9.1.1〉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실시근거(시행령 제6조 1항 관련) 544

〈표 9.2.1〉 유형별 개념범위 545

〈표 9.3.1〉 예상 재해유형별 분석범위 및 검토방향 547

〈표 9.3.2〉 재해영향 저감대책 기본방향 550

〈표 9.3.3〉 수품항 마루높이 결정 551

〈표 9.4.1〉 예상재해유형별 저감대책 552

제2편 어란진항 834

〈표 1.1.1〉 과업의 범위 856

〈표 1.2.1〉 관계자 주요의견 858

〈표 1.2.2〉 어항 시설현황 859

〈표 1.2.3〉 재적어선현황 862

〈표 1.2.4〉 업종별·톤급별 세력권내 어선척수추정 결과 862

〈표 1.2.5〉 접안시설 소요규모 863

〈표 1.2.6〉 수역시설 소요규모 863

〈표 1.2.7〉 기능시설 소요 규모검토 864

〈표 1.3.1〉 설계 대상시설 867

〈표 1.3.2〉 기초굴착 및 준설 871

〈표 1.4.1〉 총 사업비 871

〈표 2.1.1〉 기상개요 876

〈표 2.1.2〉 월별 기온 876

〈표 2.1.3〉 월별 강수량 877

〈표 2.1.4〉 월별 해면기압 877

〈표 2.1.5〉 현상일수 878

〈표 2.1.6〉 월별풍속 879

〈표 2.1.7〉 풍향별 출현율 879

〈표 2.1.8〉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881

〈표 2.1.9〉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886

〈표 2.1.10〉 기상장애에 의한 작업불가능 일수 886

〈표 2.1.11〉 작업가능일수 886

〈표 2.1.12〉 비조화 상수 887

〈표 2.1.13〉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 제원(2005), 50년빈도 889

〈표 2.1.14〉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 제원(2012), 50년빈도 889

〈표 2.1.15〉 심해파 제원변화(2012년-2005년), 50년빈도 890

〈표 2.1.16〉 금회 심해파 입력조건, 50년빈도 890

〈표 2.1.17〉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 제원(2005), 10년빈도 890

〈표 2.1.18〉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 제원(2012년), 10년빈도 891

〈표 2.1.19〉 심해파 제원변화(2012년-2005년), 10년빈도 891

〈표 2.1.20〉 금회 심해파 입력조건, 10년빈도 891

〈표 2.1.21〉 설계파고 산정결과(50년 빈도) 892

〈표 2.1.22〉 설계파고 산정결과(10년 빈도) 892

〈표 2.2.1〉 년도별 인구변동 추이 893

〈표 2.2.2〉 주택보급현황 894

〈표 2.2.3〉 행정구역 및 면적 현황 894

〈표 2.2.4〉 해안선 및 도서 현황 894

〈표 2.2.5〉 기반시설현황 895

〈표 2.2.6〉 년도별 관광객 현황 895

〈표 2.2.7〉 년도별 관광자원 현황 896

〈표 2.2.8〉 지정문화재 현황 897

〈표 2.2.9〉 농가 및 농가인구 898

〈표 2.2.10〉 어가 및 어가인구 898

〈표 2.2.11〉 어선보유현황 898

〈표 2.2.12〉 산업별 종사자 현황 899

〈표 2.2.13〉 수산물 어획고 899

〈표 2.2.14〉 지하자원 현황 899

〈표 2.2.15〉 도로현황 900

〈표 2.2.16〉 용도별 전력사용량 901

〈표 2.2.17〉 용수사용 현황 901

〈표 2.2.18〉 상수도 보급현황 901

〈표 2.2.19〉 하수도 보급현황 901

〈표 2.3.1〉 어란진항 주요연혁 902

〈표 2.3.2〉 세력권내 업종별·톤급별 어선척수 현황 903

〈표 2.3.3〉 어업권 현황 905

〈표 2.3.4〉 어항 시설현황 906

〈표 2.3.5〉 기본시설 이용실태 908

〈표 2.5.1〉 일본의 개발사례 921

〈표 2.5.2〉 외해양식의 장·단점 923

〈표 3.2.1〉 G.P.S.(Hiper II) 제원 927

〈표 3.2.2〉 직각좌표계의 기준(2009년 12월 10일 개정) 928

〈표 3.2.3〉 Network RTK의 관측 규정 929

〈표 3.2.4〉 기준점 성과 930

〈표 3.4.1〉 조사기간 945

〈표 3.4.2〉 조사항목 및 수량 946

〈표 3.4.3〉 조사장비 946

〈표 3.4.4〉 조사좌료 및 표고 947

〈표 3.4.5〉 시추조사 결과 948

〈표 3.4.6〉 지층분포 현황 948

〈표 3.4.7〉 지층별 N값 분석결과 949

〈표 3.4.8〉 물리적 특성시험 결과 950

〈표 3.4.9〉 역학적 특성시험 결과 951

〈표 3.4.10〉 강도증가율 952

〈표 3.4.11〉 압밀특성 952

〈표 3.4.12〉 압밀계수 및 투수계수 952

〈표 3.4.13〉 시추조사 결과표 954

〈표 3.4.14〉 표준관입시험 결과 954

〈표 3.4.15〉 원지반의 개략적인 토질정수(도로설계요령) 955

〈표 3.4.16〉 모래의 N치와 상대밀도 및 내부마찰각의 관계 955

〈표 3.4.17〉 개략적인 흙의 정수(실무자를 위한 구조물기초 설계실무편람) 956

〈표 3.4.18〉 제안자별 내부마찰각 산정식 956

〈표 3.4.19〉 제안자별 내부마찰각 산정결과 956

〈표 3.4.20〉 역학시험 결과 957

〈표 3.4.21〉 압밀특성 957

〈표 3.4.22〉 강도증가율 957

〈표 3.4.23〉 원지반 설계정수 957

〈표 3.4.24〉 압밀 설계정수 957

〈표 3.5.1〉 주요재료 소요량 959

〈표 3.5.2〉 석재원 품질허용기준 959

〈표 3.5.3〉 석재원 선정 960

〈표 3.6.1〉 레미콘 생산업체 현황 962

〈표 3.6.2〉 제작장 현황 962

〈표 3.7.1〉 어업권 현황 963

〈표 3.8.1〉 용지집계표 964

〈표 3.9.1〉 지장물 집계표 965

〈표 4.1.1〉 어항구역 969

〈표 4.1.2〉 시설이용실태 및 분석결과 970

〈표 4.2.1〉 어항기능시설 항목 972

〈표 4.2.2〉 어란진항 재적어선 현황 973

〈표 4.2.3〉 어선척수 현황 975

〈표 4.2.4〉 어선감척 실적 및 계획 976

〈표 4.2.5〉 전국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7

〈표 4.2.6〉 전국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7

〈표 4.2.7〉 연근해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8

〈표 4.2.8〉 연근해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8

〈표 4.2.9〉 전라남도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9

〈표 4.2.10〉 전라남도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979

〈표 4.2.11〉 해남군 총어선 척수 추정 결과 980

〈표 4.2.12〉 해남군 동력어선 척수 추정 결과 981

〈표 4.2.13〉 어선척수 추정 결과 981

〈표 4.2.14〉 어란진항 재적어선 현황 982

〈표 4.2.15〉 세력권내 업종별·톤급별 어선척수 현황 983

〈표 4.2.16〉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결과 984

〈표 4.2.17〉 업종별·톤급별 세력권내 어선척수 추정 결과 984

〈표 4.2.18〉 성어기시 1일 최대 집결 외래어선 985

〈표 4.2.19〉 성어기시 1일 평균 집결 외래어선 985

〈표 4.2.20〉 부두 용도별 적용대상 선박척수 985

〈표 4.2.21〉 어란진항 위판실적 986

〈표 4.2.22〉 어란진항의 어획량 추정 결과 986

〈표 4.2.23〉 어선의 선형 및 제원 987

〈표 4.2.24〉 업종별·권역별·톤급별 항차일수(서남해) 988

〈표 4.2.25〉 1일 하역가능시간 989

〈표 4.2.26〉 업종별 권역별 톤급별 하역시간(서남해_접·이안시간 포함) 989

〈표 4.2.27〉 2016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990

〈표 4.2.28〉 2021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991

〈표 4.2.29〉 2026년 양육부두 소요연장 992

〈표 4.2.30〉 외래어선(일평균) 993

〈표 4.2.31〉 양육부두 산정 결과 993

〈표 4.2.32〉 어선종류별 시간·마력당 유류소요량 994

〈표 4.2.33〉 경유 / BA유 / BB유 어업종류별 연간조업시간 995

〈표 4.2.34〉 2016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996

〈표 4.2.35〉 2020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996

〈표 4.2.36〉 2021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996

〈표 4.2.37〉 2026년 급유부두 소요연장 997

〈표 4.2.38〉 외래어선(일평균) 997

〈표 4.2.39〉 급유부두 산정 결과 997

〈표 4.2.40〉 2016년 급수부두 소요연장 999

〈표 4.2.41〉 2020년 급수부두 소요연장 999

〈표 4.2.42〉 2021년 급수부두 소요연장 1000

〈표 4.2.43〉 2026년 급수부두 소요연장 1000

〈표 4.2.44〉 외래어선(일평균) 1000

〈표 4.2.45〉 급수부두 산정 결과 1001

〈표 4.2.46〉 보급부두 산정 결과 1002

〈표 4.2.47〉 톤급별 휴식부두 어선척수 1002

〈표 4.2.48〉 휴식부두 이용척수 산정 1003

〈표 4.2.49〉 휴식부두 소요연장 1004

〈표 4.2.50〉 휴식부두 산정 결과 1005

〈표 4.2.51〉 황천시 물양장 소요연장 1006

〈표 4.2.52〉 황천시 물양장 산정 결과 1007

〈표 4.2.53〉 물양장 소요규모 결과 1008

〈표 4.2.54〉 접안시설 소요규모 산정결과 1009

〈표 4.2.55〉 양육용 박지면적 1010

〈표 4.2.56〉 보급용 박지면적 1011

〈표 4.2.57〉 휴식용부두 수면적 1012

〈표 4.2.58〉 악천후시 대피부두 박지면적 1013

〈표 4.2.59〉 계류용박지 소요면적 1014

〈표 4.2.60〉 계류용박지 소요수면적 1014

〈표 4.2.61〉 수역시설 소요규모 1015

〈표 4.2.62〉 냉동·냉장차의 제원 1017

〈표 4.2.63〉 양식시설 고유계수 (K) 1020

〈표 4.2.64〉 부표 적치면적 산정 1021

〈표 4.2.65〉 1일 소요 급유량 1023

〈표 4.2.66〉 탱크 2기 1024

〈표 4.2.67〉 기능시설 소요 규모검토 1027

〈표 4.3.1〉 주요의견 및 검토결과 1028

〈표 4.3.2〉 평면배치계획 1030

〈표 4.3.3〉 토지이용계획 규모검토 1032

〈표 5.1.1〉 실험개요 1036

〈표 5.1.2〉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05), 50년빈도 1037

〈표 5.1.3〉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12), 50년빈도 1038

〈표 5.1.4〉 심해파 제원변화(2012-2005년), 50년빈도 1038

〈표 5.1.5〉 금회 심해파 입력 조건, 50년 빈도 1038

〈표 5.1.6〉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05), 10년빈도 1039

〈표 5.1.7〉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2012), 10년빈도 1039

〈표 5.1.8〉 심해파 제원변화(2012-2005년), 10년빈도 1040

〈표 5.1.9〉 금회 심해파 입력 조건, 10년 빈도 1040

〈표 5.1.10〉 연도별·풍향별 최대풍속 1041

〈표 5.1.11〉 극치분석 결과 1043

〈표 5.1.12〉 풍속에 대한 관측풍속의 비율 1044

〈표 5.1.13〉 해상풍 보정 결과 1045

〈표 5.1.14〉 심해설계파 및 설계해상풍 파고분포(50년 빈도) 1050

〈표 5.1.15〉 구조물 설계파 산정결과(50년 빈도) 1051

〈표 5.1.16〉 심해설계파 및 설계해상풍 파고분포(10년 빈도) 1052

〈표 5.1.17〉 구조물 설계파 산정결과(50년 빈도) 1052

〈표 5.2.1〉 항내정온도 실험개요 1083

〈표 5.2.2〉 항내정온도 검토 실험안 1084

〈표 5.2.3〉 수역시설 사용이 가능한 최대파고 1085

〈표 5.2.4〉 반사율의 개략치 1085

〈표 5.2.5〉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87

〈표 5.2.6〉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87

〈표 5.2.7〉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88

〈표 5.2.8〉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89

〈표 5.2.9〉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89

〈표 5.2.10〉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90

〈표 5.2.11〉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91

〈표 5.2.12〉 파고분포 및 정온수면적 1091

〈표 5.3.1〉 해수유동 실험개요 1108

〈표 5.3.2〉 조위 검증 결과 1110

〈표 5.3.3〉 조류 검증 결과 1111

〈표 5.4.1〉 해수교환율 실험개요 1129

〈표 5.4.2〉 실험안별 일평균 해수교환율 1130

〈표 5.4.3〉 조석주기별(고조시) 해수교환율 변화 1131

〈표 5.5.1〉 퇴적물이동 실험개요 1134

〈표 5.5.2〉 퇴적물이동 실험에 적용된 입력조건 1135

〈표 5.6.1〉 부유사확산 실험개요 1140

〈표 5.6.2〉 부유사 발생 원단위 1141

〈표 5.6.3〉 부유사 발생량 산정 1142

〈표 5.6.4〉 1mg/L 농도 최대 확산거리 및 면적 1144

〈표 6.1.1〉 어란진항 조위표 1150

〈표 6.1.2〉 설계파랑 1150

〈표 6.1.3〉 설계조류속 1151

〈표 6.1.4〉 잔류수위 1151

〈표 6.1.5〉 설계풍속 1151

〈표 6.1.6〉 상재하중 1152

〈표 6.1.7〉 재료의 단위중량 1152

〈표 6.1.8〉 대상선박 제원 1153

〈표 6.1.9〉 선박 접안속도 1153

〈표 6.1.10〉 어선의 견인력 1153

〈표 6.1.11〉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1154

〈표 6.1.12〉 콘크리트 물리적 특성 1154

〈표 6.1.13〉 철근의 탄성계수 1154

〈표 6.1.14〉 철근의 허용응력 1154

〈표 6.1.15〉 공사용 재료 강도정수 1155

〈표 6.1.16〉 원지반 설계정수 1155

〈표 6.1.17〉 압밀 설계정수 1155

〈표 6.1.18〉 개량체 설계기준강도 1155

〈표 6.1.19〉 마찰계수 1156

〈표 6.1.20〉 기준안전율 1156

〈표 6.1.21〉 허용지지력 1156

〈표 6.1.22〉 허용잔류침하량 1156

〈표 6.1.23〉 강도감소계수 1157

〈표 6.1.24〉 최소철근비 1157

〈표 6.1.25〉 철근의 덮개 1158

〈표 6.1.26〉 항만 시설물별 내진등급 1159

〈표 6.1.27〉 내진성능 수준 1159

〈표 6.1.28〉 내진성능 목표 1159

〈표 6.1.29〉 기반암 가속도 산정 1160

〈표 6.1.30〉 지표면 최대가속도 결정 1160

〈표 6.1.31〉 준설사면 경사 1160

〈표 6.2.1〉 접안시설 계획 1161

〈표 6.2.2〉 대상선박 제원 1162

〈표 6.2.3〉 검토조건 1162

〈표 6.2.4〉 접안시설 마루높이 1162

〈표 6.2.5〉 어항계류시설 마루높이 1163

〈표 6.2.6〉 인근시설 마루높이 1163

〈표 6.2.7〉 물양장 마루높이 검토결과 1163

〈표 6.2.8〉 물양장 Apron 1164

〈표 6.2.9〉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65

〈표 6.2.10〉 Berbner & Donnelly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65

〈표 6.2.11〉 흐름에 대한 피복재 산정결과 1165

〈표 6.2.12〉 상부구조형식 비교 1166

〈표 6.2.13〉 안정성 검토결과 1169

〈표 6.2.14〉 압밀침하량 산정방법 1170

〈표 6.2.15〉 대상선박 제원 1171

〈표 6.2.16〉 마루높이 산정방법 1171

〈표 6.2.17〉 마루높이 산정결과 1171

〈표 6.2.18〉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72

〈표 6.2.19〉 Berbner & Donnelly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73

〈표 6.2.20〉 흐름에 대한 피복재 산정결과 1173

〈표 6.2.21〉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 1176

〈표 6.2.22〉 지지력 안정성 검토결과 1176

〈표 6.2.23〉 시공 및 방치기간 1177

〈표 6.2.24〉 침하량 검토결과 1177

〈표 6.2.25〉 공법별 개량목적 1178

〈표 6.2.26〉 공법별 적용성 1178

〈표 6.2.27〉 기초처리공법 비교표 1179

〈표 6.2.28〉 설계강도 정수 1180

〈표 6.2.29〉 개량율 산정 1180

〈표 6.2.30〉 복합지반 전단강도 1181

〈표 6.2.31〉 복합지반 침하량 1181

〈표 6.2.32〉 개량체 응력비와 응력분담비 1181

〈표 6.2.33〉 고압분사공 품질확인 시험사진 1182

〈표 6.2.34〉 고압분사공법 적용사례 1183

〈표 6.2.35〉 작업선 비교표 1184

〈표 6.2.36〉 원호활동 안정성 검토결과 1185

〈표 6.2.37〉 편심 · 경사하중에 대한 지지력 안정성 검토결과 1185

〈표 6.2.38〉 침하량 검토결과 1185

〈표 6.2.39〉 대상선박 제원 1186

〈표 6.2.40〉 마루높이 산정방법 1186

〈표 6.2.41〉 마루높이 산정결과 1186

〈표 6.2.42〉 확장된 다니모토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87

〈표 6.2.43〉 Berbner & Donnelly 공식에 의한 피복재 산정결과 1188

〈표 6.2.44〉 흐름에 대한 피복재 산정결과 1188

〈표 6.2.45〉 안정성 검토결과 1191

〈표 6.2.46〉 시공 및 방치기간 1191

〈표 6.2.47〉 침하량 검토결과 1191

〈표 6.2.48〉 계측빈도 1193

〈표 6.2.49〉 계측관리 기준 1193

〈표 6.2.50〉 계측항목 1194

〈표 6.2.51〉 대상선박 제원 1196

〈표 6.2.52〉 유효접안에너지 산정 1197

〈표 6.2.53〉 방충재 형식 선정 1197

〈표 6.2.54〉 방충재 규격 결정 1198

〈표 6.2.55〉 방충재 배치 1198

〈표 6.2.56〉 어선의 견인력 1199

〈표 6.2.57〉 계선주 배치간격 1199

〈표 6.2.58〉 계선주 규격 및 배치간격 결정 1199

〈표 6.2.59〉 차막이 형식 선정 1200

〈표 6.2.60〉 모서리보호공 선정 1201

〈표 6.3.1〉 검토조건 1202

〈표 6.3.2〉 처오름높이에 의한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3

〈표 6.3.3〉 월파량에 의한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3

〈표 6.3.4〉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3

〈표 6.3.5〉 검토조건 1204

〈표 6.3.6〉 처오름높이에 의한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5

〈표 6.3.7〉 배후지의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월파량 1205

〈표 6.3.8〉 월파량에 의한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5

〈표 6.3.9〉 마루높이 산정결과 1206

〈표 6.3.10〉 상치 마루높이 증고 1206

〈표 6.3.11〉 안정성 검토결과 1208

〈표 6.4.1〉 준설사면 경사 1209

〈표 6.4.2〉 여굴 두께 1210

〈표 6.4.3〉 여유 폭 1210

〈표 6.4.4〉 준설공법 선정 1211

〈표 6.4.5〉 기초굴착 및 준설량 1212

〈표 6.4.6〉 물양장 A 안정성 검토결과 1214

〈표 6.4.7〉 물양장 B 안정성 검토결과 1215

〈표 6.4.8〉 물양장 C 안정성 검토결과 1215

〈표 6.5.1〉 항만 시설물별 내진등급 1217

〈표 6.5.2〉 내진성능 수준 1217

〈표 6.5.3〉 내진성능 목표 1218

〈표 6.5.4〉 지진구역 선정 1218

〈표 6.5.5〉 지진구역계수(재현주기 500년에 해당) 1218

〈표 6.5.6〉 위험도 계수 1218

〈표 6.5.7〉 설계지반운동수준 결정 1219

〈표 6.5.8〉 지진재해도 1219

〈표 6.5.9〉 기반암 가속도 산정 1220

〈표 6.5.10〉 지반분류에 따른 지진계수 1220

〈표 6.5.11〉 지표면 최대가속도 결정 1220

〈표 6.5.12〉 등가정적해석 개념도 1221

〈표 6.5.13〉 안정성 검토결과 1222

〈표 6.5.14〉 안정성 검토결과 1222

〈표 6.5.15〉 안정성 검토결과 1223

〈표 6.5.16〉 안정성 검토결과 1223

〈표 6.6.1〉 확률강우량 비교(완도관측소) 1224

〈표 6.6.2〉 해남군 방재성능 목표강우량 1225

〈표 6.6.3〉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강도 회귀계수 1226

〈표 6.6.4〉 평균유출계수(C) 1227

〈표 6.6.5〉 국내 유입시간 표준값 1228

〈표 6.6.6〉 자연하천유역에 대한 유하시간 1228

〈표 6.6.7〉 금회 적용 도달시간 1229

〈표 6.6.8〉 금회 적용 강우강도 1229

〈표 6.6.9〉 관로규격 결정 1230

〈표 6.7.1〉 포장형식별 검토 1231

〈표 6.7.2〉 수정 동결지수 1233

〈표 6.7.3〉 지역별 수정 동결지수 1234

〈표 6.7.4〉 동결관입 깊이와 설계동결지수 상관도표 1235

〈표 6.7.5〉 콘크리트 포장 설계하중 1237

〈표 6.7.6〉 콘크리트 강도의 안전율 1238

〈표 6.7.7〉 부두뜰 콘크리트 응력검토 1239

〈표 6.7.8〉 콘크리트 포장의 보조기층 표준 노반두께 1239

〈표 6.7.9〉 콘크리트포장 단면 결정 1240

〈표 6.8.1〉 오탁방지막 형식 비교 1241

〈표 6.8.2〉 오탁방지막 외력조건 1242

〈표 6.8.3〉 오탁방지막 부재검토 결과 1242

〈표 6.8.4〉 등부표 선정 1244

〈표 7.2.1〉 건설공사 시설규모 1248

〈표 7.2.2〉 기초굴착 및 준설량 1249

〈표 7.2.3〉 석재 및 레미콘 1249

〈표 7.2.4〉 총 사업비 1249

〈표 7.2.5〉 년차별 투자계획 1250

〈표 7.3.1〉 공사관리 운영계획 1252

〈표 7.3.2〉 공사관리 시행계획 1252

〈표 7.4.1〉 공종별 안전관리계획 1254

〈표 7.4.2〉 기상악화시 안전관리계획 1254

〈표 8.1.1〉 어항 개발에 따른 편익항목의 분류 1257

〈표 8.2.1〉 항목별 공사비 (부가가치세 제외) 1261

〈표 8.2.2〉 연도별 어항 배후부지 개발효과 편의결과 1262

〈표 8.2.3〉 연도별 어획물 부가가치 상승효과 편익결과 1263

〈표 8.2.4〉 연도별 어선 피해방지 편익결과 1264

〈표 8.2.5〉 연도별 어선 대피비용 절감 편익결과 1265

〈표 8.3.1〉 경제성 분석결과 1268

〈표 8.3.2〉 연도별 경제성 분석결과 1268

〈표 8.3.3〉 민감도 분석 결과 1269

〈표 8.4.1〉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산업별·권역별 생산유발액 1270

〈표 8.4.2〉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액 1272

〈표 8.4.3〉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비율 1272

〈표 8.4.4〉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계수 1272

〈표 8.4.5〉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1273

〈표 8.4.6〉 어란진항 개발사업의 투입예산대비 경제적 총 효과 1274

〈표 8.4.7〉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1274

〈표 9.1.1〉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 실시근거(시행령 제16조 1항 관련) 1276

〈표 9.2.1〉 유형별 개념범위 1277

〈표 9.3.1〉 예상 재해유형별 분석범위 및 검토방향 1279

〈표 9.3.2〉 재해영향 저감대책 기본방향 1282

〈표 9.3.3〉 어란진항 마루높이 결정 1283

〈표 9.4.1〉 예상 재해유형별 저감대책 1284

제3편 삼길포항 1553

〈표 2.1.1〉 기상개요 1565

〈표 2.1.2〉 월별 기온 1566

〈표 2.1.3〉 월별 강수량 1566

〈표 2.1.4〉 월별 해면기압 1567

〈표 2.1.5〉 현상일수 1567

〈표 2.1.6〉 월별 풍속 1568

〈표 2.1.7〉 풍향별 출현율 1568

〈표 2.1.8〉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 1570

〈표 2.1.9〉 작업 불가능일수 산정기준 1575

〈표 2.1.10〉 기상장애에 의한 작업 불가능일수 1575

〈표 2.1.11〉 작업 가능일수 1575

〈표 2.1.12〉 비조화 상수 1576

〈표 2.2.1〉 년도별 인구변동 추이 1580

〈표 2.2.2〉 주택보급 현황 1580

〈표 2.2.3〉 행정구역 및 면적 현황 1581

〈표 2.2.4〉 해안선 및 도서 현황 1581

〈표 2.2.5〉 교육시설 현황 1581

〈표 2.2.6〉 서산 문화재 현황 1582

〈표 2.2.7〉 삼길포 방문객 통계 1584

〈표 2.2.8〉 농가 및 농가인구 1585

〈표 2.2.9〉 어가 및 어가인구 1585

〈표 2.2.10〉 어선보유 현황 1585

〈표 2.2.11〉 인근 어업권 현황표 1586

〈표 2.2.12〉 산업별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1587

〈표 2.2.13〉 도로 현황 1587

〈표 2.2.14〉 토지지목별 현황 1587

〈표 2.2.15〉 용도별 전력사용량 현황 1588

〈표 2.2.16〉 용수사용 현황 1588

〈표 2.2.17〉 상수도 보급현황 1588

〈표 2.2.18〉 상수도 보급현황 1588

〈표 2.3.1〉 삼길포 친수문화공간 조성사업 연혁 1589

〈표 2.3.2〉 삼길포항 시설연혁 1591

〈표 2.3.3〉 삼길포항 기본시설 현황표 1592

〈표 2.4.1〉 마리나 항만과 어촌 마리나역과의 네트워크 1599

〈표 3.1.1〉 조사장비 목록표 1605

〈표 3.1.2〉 G.P.S.(Hiper II) 제원 1606

〈표 3.1.3〉 직각좌표계의 기준(2009.12.10. 개정) 1607

〈표 3.1.4〉 Network RTK의 관측 규정 1608

〈표 3.1.5〉 기준점 성과 1609

〈표 3.1.6〉 인공위성위치측정기(DGPS) R100 Series 제원 1615

〈표 3.1.7〉 멀티빔 Seabat 7125 제원 1615

〈표 3.1.8〉 모션센서 Octans III 제원 1616

〈표 3.1.9〉 표층음속측정기(SVP-70) 제원 1616

〈표 3.1.10〉 수중음속단면측정기(SVP-15) 제원 1617

〈표 3.1.11〉 패치테스트 수행 요약 1620

〈표 3.1.12〉 DGPS 기준국 제원 1620

〈표 3.1.13〉 음속도 변화표 1622

〈표 3.2.1〉 지장물 집계표 1629

〈표 3.2.2〉 용지 집계표 1629

〈표 4.1.1〉 삼길포항 어촌 마리나역(驛) 개발규모(안) 1638

〈표 4.1.2〉 관계자 의견 1640

〈표 4.2.1〉 이용객 산출지표 1642

〈표 4.2.2〉 회전율 기준 1642

〈표 4.2.3〉 최대일률 기준 1642

〈표 4.2.4〉 이용객 추정 1642

〈표 4.2.5〉 주변지역 인구유발효과 1643

〈표 4.2.6〉 유발인구(년간) 1643

〈표 4.2.7〉 도입시설규모 산정식 1643

〈표 4.2.8〉 이용객 분석 1643

〈표 4.2.9〉 도입시설별 회전율 1644

〈표 4.2.10〉 기반시설 소요규모 산정 1644

〈표 4.2.11〉 편익시설 소요규모 산정 1644

〈표 4.2.12〉 녹지 및 기타시설 소요규모 산정 1644

〈표 4.2.13〉 시설별 소요규모 총괄 1644

〈표 4.3.1〉 대안별 특성 1648

〈표 4.3.2〉 대안의 비교평가 1648

〈표 5.1.1〉 실험개요 1650

〈표 5.1.2〉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기존, 2005), 50년빈도 1652

〈표 5.1.3〉 인근해역 격자점별 심해파제원(기존, 2012), 50년빈도 1653

〈표 5.1.4〉 금회 심해파 입력 조건, 50년 빈도 1653

〈표 5.1.5〉 설계해상풍 비교(30년간) 1654

〈표 5.1.6〉 설계해상풍 비교(50년 빈도) 1656

〈표 5.1.7〉 풍속에 대한 관측풍속의 비율 1657

〈표 5.1.8〉 해상풍 보정 결과 1658

〈표 5.1.9〉 심해설계파 및 설계해상풍 파고분포(50년 빈도) 1663

〈표 5.1.10〉 구조물 설계파 산정결과(50년 빈도) 1663

〈표 5.2.1〉 해수유동 실험개요 1679

〈표 5.2.2〉 조위 검증 결과 1682

〈표 5.2.3〉 조류 검증 결과 1683

〈표 5.3.1〉 해수유동(방류조건) 실험개요 1691

〈표 5.3.2〉 대호방조제 연별 및 연평균 방류량(2010~2016년) 1692

〈표 5.3.3〉 대호방조제 월별 방류량(2010~2016년) 1692

〈표 5.4.1〉 퇴적물이동 실험개요 1696

〈표 5.4.2〉 퇴적물이동 실험에 적용된 입력조건 1697

〈표 6.1.1〉 토지이용계획표 1700

〈표 6.1.2〉 세부 토지이용계획표(1단계) 1700

〈표 6.2.1〉 수목 생육의 토양 심도 기준 1703

〈표 6.3.1〉 도입수종 선정기준 1705

〈표 6.3.2〉 수목식재 시 고려사항 1705

〈표 6.3.3〉 도입수종 선정 및 특성 1706

〈표 6.4.1〉 시설물 선정기준 1708

〈표 6.4.2〉 주요 도입시설 설계기준 1708

〈표 6.4.3〉 주요 도입시설물 개요 1709

〈표 6.5.1〉 포장재 선정기준 1711

〈표 6.5.2〉 공간별 포장재 기준 1711

〈표 6.5.3〉 주요 도입포장 단면도 및 특성 1712

〈표 7.2.1〉 사업규모 1715

〈표 7.2.2〉 주요물량 집계 1715

〈표 7.2.3〉 총 사업비 1716

〈표 7.2.4〉 예정공정표 1716

〈표 7.3.1〉 공사장비 안전시설계획 1717

〈표 7.3.2〉 이용객 안전시설계획 1717

〈표 8.2.1〉 삼길포항 국가어항개발사업 총 사업비 1723

〈표 8.2.2〉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비시장가치 추정을 위한 표본의 기본통계 1726

〈표 8.2.3〉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비시장가치조사 표본의 비합리적 응답 1727

〈표 8.2.4〉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비시장가치조사 분석대상 응답자 수 1727

〈표 8.2.5〉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비시장가치조사 제시금액별 지불의사액 응답 분포 1728

〈표 8.2.6〉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가구별 지불의사액(WTP) 추정 결과 1729

〈표 8.2.7〉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연간 편익추정 결과 1729

〈표 8.3.1〉 경제성 분석 결과 1732

〈표 8.3.2〉 경제성 분석 종합결과 1732

〈표 8.3.3〉 민감도 분석 결과 1733

〈표 8.4.1〉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산업별·권역별 생산유발액 1734

〈표 8.4.2〉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액 1735

〈표 8.4.3〉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비율 1735

〈표 8.4.4〉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권역별 직·간접 생산유발계수 1736

〈표 8.4.5〉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와 고용유발효과 1736

〈표 8.4.6〉 삼길포항 개발사업의 투입예산대비 경제적 총 효과 1737

〈표 8.4.7〉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1737

제1편 수품항 25

〈그림 1.1.1〉 과업대상위치도 35

〈그림 1.2.1〉 어항시설현황 40

〈그림 1.2.2〉 진도군 어항현황 41

〈그림 1.2.3〉 수품항 수산업 세력권 41

〈그림 1.2.4〉 계획평면도 45

〈그림 1.2.5〉 토지이용계획도 46

〈그림 1.3.1〉 서방파제 표준단면도 47

〈그림 1.3.2〉 동방파제 표준단면도 48

〈그림 1.3.3〉 호안 표준단면도 48

〈그림 1.3.4〉 남측돌제 표준단면도 49

〈그림 1.3.5〉 동측돌제 표준단면도 49

〈그림 1.3.6〉 물양장 표준단면도 50

〈그림 1.3.7〉 선양장 표준단면도 50

〈그림 1.3.8〉 준설 및 매립계획도 51

〈그림 2.1.1〉 바람장미도 62

〈그림 2.1.2〉 태풍경로도 65

〈그림 2.1.3〉 심해설계파랑 격자위치도 69

〈그림 2.3.1〉 사회·경제적 세력권 82

〈그림 2.3.2〉 수산업 세력권 83

〈그림 2.3.3〉 수품항 시설 현황 85

〈그림 2.3.4〉 기존시설 동방파제 표준단면도 86

〈그림 2.3.5〉 기존시설 서방파제 표준단면도 86

〈그림 2.3.6〉 기존시설 돌제 표준단면도 87

〈그림 2.3.7〉 기존시설 물양장 표준단면도 87

〈그림 2.3.8〉 시설이용현황 88

〈그림 2.4.1〉 국토종합계획 기본목표 및 추진전략 90

〈그림 2.4.2〉 국토형성의 기본골격 91

〈그림 2.4.3〉 전라남도 종합계획 4대권역 92

〈그림 2.4.4〉 전라남도 종합계획 6대 지역발전축 93

〈그림 2.4.5〉 남해안권 개발 기본구상 94

〈그림 2.4.6〉 수정계획의 기본방향 96

〈그림 3.1.1〉 과업위치 99

〈그림 3.1.2〉 Network-RTK(VRS) 측량 개념도 및 기준점 관측 전경(CP.1) 100

〈그림 3.1.3〉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현황 103

〈그림 3.1.4〉 수품항 기준점 위치도 104

〈그림 3.1.5〉 Network-RTK(VRS) 의한 측량 개념도 105

〈그림 3.1.6〉 RTK-GPS측량전경 106

〈그림 3.1.7〉 RTK 측량 개념도 107

〈그림 3.1.8〉 지형현황도 108

〈그림 3.1.9〉 시스템 구성도 110

〈그림 3.1.10〉 멀티빔 음향측심 조사흐름도 113

〈그림 3.1.11〉 조사선박 센서 세팅 114

〈그림 3.1.12〉 센서 옵셋 및 선박 3 성분 지향각 115

〈그림 3.1.13〉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처리 순서도 116

〈그림 3.1.14〉 격자 수심도 118

〈그림 3.2.1〉 과업대상 위치도 119

〈그림 3.2.2〉 지반조사 위치도 121

〈그림 3.2.3〉 지층단면도 123

〈그림 3.3.1〉 사업 위치도 134

〈그림 3.3.2〉 석재원 및 토취장 위치도 136

〈그림 3.3.3〉 레미콘 제조사 위치도 137

〈그림 3.4.1〉 제작장 위치도 138

〈그림 3.5.1〉 어업권 현황도 143

〈그림 3.5.2〉 수품항 용지도 145

〈그림 3.5.3〉 수품항 지장물도 - 1 147

〈그림 3.5.4〉 수품항 지장물도 - 2 148

〈그림 3.5.5〉 선박운항 안전성 실험 흐름도 150

〈그림 3.5.6〉 진입항로 및 등부표 설치위치도 151

〈그림 3.5.7〉 제1안 선박운항 항적도 151

〈그림 3.5.8〉 제2안 선박운항 항적도 152

〈그림 3.5.9〉 제3안 선박운항 항적도 152

〈그림 3.5.10〉 선박진입시 항입구 153

〈그림 4.1.1〉 시설현황 156

〈그림 4.2.1〉 사회·경제적 세력권 160

〈그림 4.2.2〉 수산업 세력권 161

〈그림 4.2.3〉 상차장 용지 202

〈그림 4.2.4〉 양식용 자재 조사 206

〈그림 4.2.5〉 부표적치 현황 207

〈그림 4.2.6〉 완다마을 접도조선소 전경 211

〈그림 4.3.1〉 평면배치 기본구상 215

〈그림 4.3.2〉 부두 기능별 배치도 223

〈그림 4.3.3〉 평면계획 1안 224

〈그림 4.3.4〉 평면계획 2안 225

〈그림 4.3.5〉 평면계획 3안 226

〈그림 4.3.6〉 평면계획 4안 227

〈그림 4.3.7〉 기존 토지이용계획도 229

〈그림 4.3.8〉 토지이용계획도 230

〈그림 4.4.1〉 선양장 계획평면도 231

〈그림 5.1.1〉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 234

〈그림 5.1.2〉 확률분포 함수 239

〈그림 5.1.3〉 시간에 따른 온도보정계수(Rt)(이미지참조) 241

〈그림 5.1.4〉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광역 243

〈그림 5.1.5〉 격자망도, 중간역 244

〈그림 5.1.6〉 등수심선도, 중간역 245

〈그림 5.1.7〉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상세역 246

〈그림 5.1.8〉 구조물 설계파 산정구간 247

〈그림 5.1.9〉 오탁방지막 설치위치 249

〈그림 5.1.1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파향) 251

〈그림 5.1.1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파향) 251

〈그림 5.1.1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파향) 252

〈그림 5.1.13〉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파향) 252

〈그림 5.1.1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파향) 253

〈그림 5.1.1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파향) 253

〈그림 5.1.16〉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E풍향) 254

〈그림 5.1.17〉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ENE풍향) 254

〈그림 5.1.1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E풍향) 255

〈그림 5.1.1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ESE풍향) 255

〈그림 5.1.2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256

〈그림 5.1.2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256

〈그림 5.1.2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257

〈그림 5.1.23〉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E풍향) 257

〈그림 5.1.2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NE풍향) 258

〈그림 5.1.2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풍향) 258

〈그림 5.1.2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SE풍향) 259

〈그림 5.1.2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259

〈그림 5.1.2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260

〈그림 5.1.2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260

〈그림 5.1.30〉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E풍향) 261

〈그림 5.1.31〉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NE풍향) 261

〈그림 5.1.32〉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풍향) 262

〈그림 5.1.3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ESE풍향) 262

〈그림 5.1.3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263

〈그림 5.1.3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263

〈그림 5.1.36〉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264

〈그림 5.1.37〉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NE풍향) 264

〈그림 5.1.3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NE풍향) 265

〈그림 5.1.3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풍향) 265

〈그림 5.1.4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SE풍향) 266

〈그림 5.1.4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E풍향) 266

〈그림 5.1.4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SE풍향) 267

〈그림 5.1.4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풍향) 267

〈그림 5.1.4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NE풍향) 268

〈그림 5.1.4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NE풍향) 268

〈그림 5.1.4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풍향) 269

〈그림 5.1.4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SE풍향) 269

〈그림 5.1.4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E풍향) 270

〈그림 5.1.4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SE풍향) 270

〈그림 5.1.5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풍향) 271

〈그림 5.1.51〉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NE풍향) 271

〈그림 5.1.52〉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NE풍향) 272

〈그림 5.1.5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풍향) 272

〈그림 5.1.5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ESE풍향) 273

〈그림 5.1.5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E풍향) 273

〈그림 5.1.56〉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SE풍향) 274

〈그림 5.1.57〉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50년빈도, S풍향) 274

〈그림 5.1.5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파향) 275

〈그림 5.1.5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파향) 275

〈그림 5.1.6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파향) 276

〈그림 5.1.61〉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파향) 276

〈그림 5.1.62〉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파향) 277

〈그림 5.1.63〉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파향) 277

〈그림 5.1.6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NE풍향) 278

〈그림 5.1.65〉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ENE풍향) 278

〈그림 5.1.66〉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E풍향) 279

〈그림 5.1.67〉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ESE풍향) 279

〈그림 5.1.6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280

〈그림 5.1.6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280

〈그림 5.1.7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281

〈그림 5.1.71〉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NE풍향) 281

〈그림 5.1.72〉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NE풍향) 282

〈그림 5.1.73〉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풍향) 282

〈그림 5.1.7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SE풍향) 283

〈그림 5.1.7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283

〈그림 5.1.7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284

〈그림 5.1.7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284

〈그림 5.1.78〉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NE풍향) 285

〈그림 5.1.79〉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NE풍향) 285

〈그림 5.1.80〉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풍향) 286

〈그림 5.1.81〉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ESE풍향) 286

〈그림 5.1.82〉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287

〈그림 5.1.8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287

〈그림 5.1.8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288

〈그림 5.1.85〉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후, 10년빈도, NE풍향) 288

〈그림 5.1.86〉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NE풍향) 289

〈그림 5.1.87〉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풍향) 289

〈그림 5.1.8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SE풍향) 290

〈그림 5.1.8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E풍향) 290

〈그림 5.1.9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SE풍향) 291

〈그림 5.1.9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풍향) 291

〈그림 5.1.92〉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NE풍향) 292

〈그림 5.1.93〉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NE풍향) 292

〈그림 5.1.9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풍향) 293

〈그림 5.1.9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SE풍향) 293

〈그림 5.1.9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E풍향) 294

〈그림 5.1.9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노, SSE풍향) 294

〈그림 5.1.9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풍향) 295

〈그림 5.1.99〉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NE풍향) 295

〈그림 5.1.100〉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NE풍향) 296

〈그림 5.1.101〉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풍향) 296

〈그림 5.1.102〉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ESE풍향) 297

〈그림 5.1.10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E풍향) 297

〈그림 5.1.10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SE풍향) 298

〈그림 5.1.10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외곽시설 건설 후, 10년빈도, S풍향) 298

〈그림 5.2.1〉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E파향) 306

〈그림 5.2.2〉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SE파향) 306

〈그림 5.2.3〉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파향) 307

〈그림 5.2.4〉 파고분포도(현재상태 NE풍향) 307

〈그림 5.2.5〉 파고분포도(현재상태 ENE풍향) 308

〈그림 5.2.6〉 파고분포도(현재상태 E풍향) 308

〈그림 5.2.7〉 파고분포도(현재상태 ESE풍향) 309

〈그림 5.2.8〉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E풍향) 309

〈그림 5.2.9〉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SE풍향) 310

〈그림 5.2.10〉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풍향) 310

〈그림 5.2.11〉 파고분포도(계획 1안, NE풍향) 311

〈그림 5.2.12〉 파고분포도(계획 1안, ENE풍향) 311

〈그림 5.2.13〉 파고분포도(계획 1안, E풍향) 312

〈그림 5.2.14〉 파고분포도(계획 1안, ESE풍향) 312

〈그림 5.2.15〉 파고분포도(계획 1안, SE풍향) 313

〈그림 5.2.16〉 파고분포도(계획 1안, SSE풍향) 313

〈그림 5.2.17〉 파고분포도(계획 1안, S풍향) 314

〈그림 5.2.18〉 파고분포도(계획 2안, NE풍향) 314

〈그림 5.2.19〉 파고분포도(계획 2안, ENE풍향) 315

〈그림 5.2.20〉 파고분포도(계획 2안, E풍향) 315

〈그림 5.2.21〉 파고분포도(계획 2안, ESE풍향) 316

〈그림 5.2.22〉 파고분포도(계획 2안, SE풍향) 316

〈그림 5.2.23〉 파고분포도(계획 2안, SSE풍향) 317

〈그림 5.2.24〉 파고분포도(계획 2안, S풍향) 317

〈그림 5.2.25〉 파고분포도(계획 3안, NE풍향) 318

〈그림 5.2.26〉 파고분포도(계획 3안, ENE풍향) 318

〈그림 5.2.27〉 파고분포도(계획 3안, E풍향) 319

〈그림 5.2.28〉 파고분포도(계획 3안, ESE풍향) 319

〈그림 5.2.29〉 파고분포도(계획 3안, SE풍향) 320

〈그림 5.2.30〉 파고분포도(계획 3안, SSE풍향) 320

〈그림 5.2.31〉 파고분포도(계획 3안, S풍향) 321

〈그림 5.2.32〉 파고분포도(계획 4안, NE풍향) 321

〈그림 5.2.33〉 파고분포도(계획 4안, ENE풍향) 322

〈그림 5.2.34〉 파고분포도(계획 4안, E풍향) 322

〈그림 5.2.35〉 파고분포도(계획 4안, ESE풍향) 323

〈그림 5.2.36〉 파고분포도(계획 4안, SE풍향) 323

〈그림 5.2.37〉 파고분포도(계획 4안, SSE풍향) 324

〈그림 5.2.38〉 파고분포도(계획 4안, S풍향) 324

〈그림 5.3.1〉 실험안 326

〈그림 5.3.2〉 조석 및 조류 검증 위치 327

〈그림 5.3.3〉 조석 시계열 검증 결과 329

〈그림 5.3.4〉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32

〈그림 5.3.5〉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정비계획 완료 후, 사업지구 부근) 333

〈그림 5.3.6〉 고조위 및 저조위 변화도(정비계획 완료 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34

〈그림 5.3.7〉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35

〈그림 5.3.8〉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36

〈그림 5.3.9〉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정비계획 완료 후, 사업지구 부근) 337

〈그림 5.3.10〉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정비계획 완료 후, 사업지구 부근) 338

〈그림 5.3.11〉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변화도(정비계획 완료 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39

〈그림 5.4.1〉 연간 침식·퇴적룰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42

〈그림 5.4.2〉 연간 침식·퇴적률 분포도(정비계획 완료 후, 사업지구 부근) 343

〈그림 5.4.3〉 연간 침식·퇴적률 변화도(정비계획 완료 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344

〈그림 5.5.1〉 부유사 발생위치 347

〈그림 5.5.2〉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서방파제 연장 및 동방파제 신설) 352

〈그림 5.5.3〉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동측 돌제 및 동측 물양장) 353

〈그림 5.5.4〉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동측 물양장 및 북측 마감호안) 354

〈그림 5.5.5〉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수역 준설) 355

〈그림 5.5.6〉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남측 돌제 및 북측 물양장) 356

〈그림 5.5.7〉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서측 물양장) 357

〈그림 6.2.1〉 방파제 계획평면도 371

〈그림 6.2.2〉 동방파제(제간부) 표준평면도 381

〈그림 6.2.3〉 동방파제(제두부) 표준평면도 381

〈그림 6.2.4〉 서방파제(제간부) 표준평면도 383

〈그림 6.2.5〉 서방파제(제두부) 표준평면도 383

〈그림 6.3.1〉 돌제 계획평면도 385

〈그림 6.3.2〉 동측돌제 표준단면도 393

〈그림 6.3.3〉 남측돌제 표준단면도 394

〈그림 6.4.1〉 물양장 계획평면도 395

〈그림 6.4.2〉 북측물양장 표준단면도 402

〈그림 6.4.3〉 동측물양장 표준단면도 403

〈그림 6.4.4〉 서측물양장 표준단면도 404

〈그림 6.5.1〉 선양장 계획평면도 405

〈그림 6.5.2〉 선양장 보강 단면도 406

〈그림 6.5.3〉 선양장 보강 단면도 407

〈그림 6.6.1〉 기초지반처리공법 설계흐름도 408

〈그림 6.6.2〉 지층단면도 410

〈그림 6.6.3〉 기초처리 필요성 검토위치 411

〈그림 6.7.1〉 연약지반 개량공법 설계흐름도 438

〈그림 6.7.2〉 표층처리공법 설계순서도 442

〈그림 6.7.3〉 계측기 배치계획 463

〈그림 6.8.1〉 지진재해도 470

〈그림 6.8.2〉 지진응답해석 검토 위치도 474

〈그림 6.8.3〉 동측방파제(BH-8)구간 검토단면 475

〈그림 6.8.4〉 서측방파제(BH-7)구간 검토단면 475

〈그림 6.8.5〉 동측돌제(BH-1)구간 검토단면 476

〈그림 6.8.6〉 남측돌제(BH-6)구간 검토단면 476

〈그림 6.8.7〉 동측물양장(BH-2)구간 검토단면 477

〈그림 6.8.8〉 북측물양장(BH-3)구간 검토단면 477

〈그림 6.8.9〉 서측물양장(BH-4)구간 검토단면 478

〈그림 6.8.10〉 액상화 검토 흐름도 481

〈그림 6.8.11〉 입도에 의한 예측·판정 483

〈그림 6.8.12〉 액상화 간이평가 검토결과 484

〈그림 6.9.1〉 준설토 투기계획 평면도 491

〈그림 6.10.1〉 검토대상유역 495

〈그림 6.10.2〉 배수계획평면도 499

〈그림 6.11.1〉 방충재 상세도 502

〈그림 6.11.2〉 오탁방지막 설치도(1단계) 508

〈그림 6.11.3〉 오탁방지막 설치도(2단계) 509

〈그림 6.11.4〉 오탁방지막 설치도(3단계) 509

〈그림 6.11.5〉 오탁방지막 설치도(항내준설) 510

〈그림 6.11.6〉 등대 설치 위치도 511

〈그림 7.1.1〉 건설계획 흐름도 514

〈그림 7.2.1〉 예정공정표 518

〈그림 7.3.1〉 안전관리 흐름도 519

제2편 어란진항 846

〈그림 1.1.1〉 과업대상위치도 855

〈그림 1.2.1〉 어항시설현황 860

〈그림 1.2.2〉 해남군 어항현황 861

〈그림 1.2.3〉 어란진항 수산업 세력권 861

〈그림 1.2.4〉 계획평면도 865

〈그림 1.2.5〉 토지이용계획도 866

〈그림 1.3.1〉 물양장 A 표준단면도 868

〈그림 1.3.2〉 물양장 B 표준단면도 868

〈그림 1.3.3〉 물양장 C 표준단면도 869

〈그림 1.3.4〉 동방파호안 상치콘크리트 보강 869

〈그림 1.3.5〉 준설 계획평면도 870

〈그림 1.4.1〉 예정공정표 872

〈그림 2.1.1〉 바람장미도 880

〈그림 2.1.2〉 태풍경로도 885

〈그림 2.1.3〉 평균대조기 최강유속도 888

〈그림 2.1.4〉 격자위치점 888

〈그림 2.2.1〉 해남군 관광지 현황 896

〈그림 2.2.2〉 해남군 도로망현황 900

〈그림 2.3.1〉 어란진항 전경 902

〈그림 2.3.2〉 세력권 설정 903

〈그림 2.3.3〉 어항구역 현황 904

〈그림 2.3.4〉 어업권 현황도 905

〈그림 2.3.5〉 기본시설 현황도 906

〈그림 2.3.6〉 기존 북방파제 표준단면도 907

〈그림 2.3.7〉 기존 동방파제 표준단면도 907

〈그림 2.3.8〉 기존 선착장 표준단면도 907

〈그림 2.3.9〉 어란진항 부지이용계획(기존) 909

〈그림 2.4.1〉 국토구상 및 권역별 개발방향 910

〈그림 2.4.2〉 권역별 개발방향 913

〈그림 2.4.3〉 남해안권 개발 기본구상 915

〈그림 2.4.4〉 남해안 관광 클러스터 비전 917

〈그림 2.4.5〉 수정계획의 기본방향 919

〈그림 3.1.1〉 과업위치 926

〈그림 3.2.1〉 Network-RTK(VRS) 측량 개념도 및 기준점 관측 전경(CP.1) 927

〈그림 3.2.2〉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현황 930

〈그림 3.2.3〉 Network-RTK(VRS) 의한 측량 개념도 931

〈그림 3.2.4〉 RTK-GPS측량 전경 932

〈그림 3.2.5〉 RTK 측량 개념도 933

〈그림 3.2.6〉 지형현황도 934

〈그림 3.3.1〉 시스템 구성도 936

〈그림 3.3.2〉 멀티빔 음향측심 조사흐름도 939

〈그림 3.3.3〉 조사선박 센서 세팅 940

〈그림 3.3.4〉 센서 옵셋 및 선박 3 성분 지향각 941

〈그림 3.3.5〉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처리 순서도 942

〈그림 3.3.6〉 격자 수심도 944

〈그림 3.4.1〉 과업위치 945

〈그림 3.4.2〉 지반조사 위치도 947

〈그림 3.4.3〉 지층단면도 949

〈그림 3.4.4〉 시추조사 위치도 953

〈그림 3.4.5〉 지층단면도 954

〈그림 3.5.1〉 사업위치도 958

〈그림 3.5.2〉 석재원 위치도 960

〈그림 3.5.3〉 레미콘 제조사 위치도 961

〈그림 3.7.1〉 어업권 현황도 963

〈그림 3.8.1〉 용지도 964

〈그림 3.9.1〉 지장물도 966

〈그림 4.1.1〉 시설현황 969

〈그림 4.2.1〉 세력권 설정 983

〈그림 4.2.2〉 상차장 용지 1016

〈그림 4.2.3〉 양식용 자재 조사 1020

〈그림 4.2.4〉 부표 적치현황 1021

〈그림 4.3.1〉 기능재배치 1031

〈그림 4.3.2〉 토지이용계획도(당초) 1033

〈그림 4.3.3〉 토지이용계획도(변경) 1034

〈그림 5.1.1〉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 1037

〈그림 5.1.2〉 확률분포 함수 1042

〈그림 5.1.3〉 시간에 따른 온도보정계수(Rt)(이미지참조) 1044

〈그림 5.1.4〉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광역 1046

〈그림 5.1.5〉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중역 1047

〈그림 5.1.6〉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상세역 1048

〈그림 5.1.7〉 채택안 배치 개략도 1049

〈그림 5.1.8〉 오탁방지막 설치위치 1051

〈그림 5.1.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파향) 1053

〈그림 5.1.1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파향) 1053

〈그림 5.1.1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파향) 1054

〈그림 5.1.1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W파향) 1054

〈그림 5.1.1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W파향) 1055

〈그림 5.1.1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파향) 1055

〈그림 5.1.1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파향) 1056

〈그림 5.1.1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파향) 1056

〈그림 5.1.1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파향) 1057

〈그림 5.1.1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W파향) 1057

〈그림 5.1.1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W파향) 1058

〈그림 5.1.2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파향) 1058

〈그림 5.1.2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1059

〈그림 5.1.2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1059

〈그림 5.1.2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1060

〈그림 5.1.2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W풍향) 1060

〈그림 5.1.25〉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SW풍향) 1061

〈그림 5.1.26〉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061

〈그림 5.1.2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1062

〈그림 5.1.2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1062

〈그림 5.1.2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1063

〈그림 5.1.3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W풍향) 1063

〈그림 5.1.31〉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W풍향) 1064

〈그림 5.1.32〉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064

〈그림 5.1.3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E풍향) 1065

〈그림 5.1.3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E풍향) 1065

〈그림 5.1.3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풍향) 1066

〈그림 5.1.36〉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SW풍향) 1066

〈그림 5.1.37〉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SW풍향) 1067

〈그림 5.1.38〉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067

〈그림 5.1.3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파향) 1068

〈그림 5.1.4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파향) 1068

〈그림 5.1.4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파향) 1069

〈그림 5.1.4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W파향) 1069

〈그림 5.1.4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W파향) 1070

〈그림 5.1.4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WSW파향) 1070

〈그림 5.1.4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파향) 1071

〈그림 5.1.4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파향) 1071

〈그림 5.1.4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파향) 1072

〈그림 5.1.4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W파향) 1072

〈그림 5.1.4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W파향) 1073

〈그림 5.1.5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WSW파향) 1073

〈그림 5.1.5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1074

〈그림 5.1.5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1074

〈그림 5.1.5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1075

〈그림 5.1.5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W풍향) 1075

〈그림 5.1.55〉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SW풍향) 1076

〈그림 5.1.56〉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10년빈도, WSW풍향) 1076

〈그림 5.1.5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1077

〈그림 5.1.5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1077

〈그림 5.1.5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1078

〈그림 5.1.6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W풍향) 1078

〈그림 5.1.61〉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W풍향) 1079

〈그림 5.1.62〉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WSW풍향) 1079

〈그림 5.1.6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E풍향) 1080

〈그림 5.1.6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E풍향) 1080

〈그림 5.1.6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풍향) 1081

〈그림 5.1.66〉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SW풍향) 1081

〈그림 5.1.67〉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SW풍향) 1082

〈그림 5.1.68〉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10년빈도, WSW풍향) 1082

〈그림 5.2.1〉 전면 파고분포 독취구간 1086

〈그림 5.2.2〉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파향) 1092

〈그림 5.2.3〉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SW파향) 1092

〈그림 5.2.4〉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W파향) 1093

〈그림 5.2.5〉 파고분포도(현재상태, WSW파향) 1093

〈그림 5.2.6〉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E풍향) 1094

〈그림 5.2.7〉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SE풍향) 1094

〈그림 5.2.8〉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풍향) 1095

〈그림 5.2.9〉 파고분포도(현재상태, SSW풍향) 1095

〈그림 5.2.10〉 파고분포도(계획 1안, S파향) 1096

〈그림 5.2.11〉 파고분포도(계획 1안, SSW파향) 1096

〈그림 5.2.12〉 파고분포도(계획 1안, SW파향) 1097

〈그림 5.2.13〉 파고분포도(계획 1안, WSW파향) 1097

〈그림 5.2.14〉 파고분포도(계획 1안, SE풍향) 1098

〈그림 5.2.15〉 파고분포도(계획 1안, SSE풍향) 1098

〈그림 5.2.16〉 파고분포도(계획 1안, S풍향) 1099

〈그림 5.2.17〉 파고분포도(계획 1안, SSW풍향) 1099

〈그림 5.2.18〉 파고분포도(계획 2안, S파향) 1100

〈그림 5.2.19〉 파고분포도(계획 2안, SSW파향) 1100

〈그림 5.2.20〉 파고분포도(계획 2안, SW파향) 1101

〈그림 5.2.21〉 파고분포도(계획 2안, WSW파향) 1101

〈그림 5.2.22〉 파고분포도(계획 2안, SE풍향) 1102

〈그림 5.2.22〉 파고분포도(계획 2안, SSE풍향) 1102

〈그림 5.2.23〉 파고분포도(계획 2안, S풍향) 1103

〈그림 5.2.24〉 파고분포도(계획 2안, SSW풍향) 1103

〈그림 5.2.25〉 파고분포도(계획 3안, S파향) 1104

〈그림 5.2.26〉 파고분포도(계획 3안, SSW파향) 1104

〈그림 5.2.27〉 파고분포도(계획 3안, SW파향) 1105

〈그림 5.2.28〉 파고분포도(계획 3안, SSW파향) 1105

〈그림 5.2.29〉 파고분포도(계획 3안, SE풍향) 1106

〈그림 5.2.30〉 파고분포도(계획 3안, SSE풍향) 1106

〈그림 5.2.31〉 파고분포도(계획 3안, S풍향) 1107

〈그림 5.2.32〉 파고분포도(계획 3안, SSW풍향) 1107

〈그림 5.3.1〉 실험안 1109

〈그림 5.3.2〉 조석 및 조류 검증 위치 1110

〈그림 5.3.3〉 조석 시계열 검증 결과 1112

〈그림 5.3.4〉 조류 시계열 검증 결과 1113

〈그림 5.3.5〉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16

〈그림 5.3.6〉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1안(채택안), 사업지구 부근) 1117

〈그림 5.3.7〉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2안, 사업지구 부근) 1118

〈그림 5.3.8〉 고조위 및 저조위 변화도(1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19

〈그림 5.3.9〉 고조위 및 저조위 변화도(2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20

〈그림 5.3.10〉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21

〈그림 5.3.11〉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22

〈그림 5.3.12〉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1안(채택안), 사업지구 부근) 1123

〈그림 5.3.13〉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1안(채택안), 사업지구 부근) 1124

〈그림 5.3.14〉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2안, 사업지구 부근) 1125

〈그림 5.3.15〉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2안, 사업지구 부근) 1126

〈그림 5.3.16〉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변화도(1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27

〈그림 5.3.17〉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변화도(2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28

〈그림 5.4.1〉 실험안별 해수교환율 변화 1131

〈그림 5.4.2〉 현재상태(Case EX) 조석주기별 dye 농도 분포 변화 1132

〈그림 5.4.3〉 해수소통구 설치시(Case EX-E) 조석주기별 dye 농도 분포 변화 1132

〈그림 5.4.4〉 정비계획 완료 후(Case AF) 조석주기별 dye 농도 분포 변화 1133

〈그림 5.5.1〉 연간 침식·퇴적률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36

〈그림 5.5.2〉 연간 침식·퇴적률 분포도(1안(채택안), 사업지구 부근) 1137

〈그림 5.5.3〉 연간 침식·퇴적률 변화도(1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38

〈그림 5.5.4〉 연간 침식·퇴적률 분포도(2안, 사업지구 부근) 1139

〈그림 5.5.5〉 연간 침식·퇴적률 변화도(2안-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139

〈그림 5.6.1〉 부유사 발생위치 1142

〈그림 5.6.2〉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동방파제 물양장 구간, 기초굴착) 1145

〈그림 5.6.3〉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동측 물양장 구간, 기초굴착) 1146

〈그림 5.6.4〉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선착장 물양장 구간, 기초굴착) 1147

〈그림 5.6.5〉 1.0mg / L 이상 최대 확산범위(박지 준설 구역, 준설) 1148

〈그림 6.2.1〉 접안시설 배치계획 1161

〈그림 6.2.2〉 물양장 A구간 표준단면도 1167

〈그림 6.2.3〉 검토단면 1168

〈그림 6.2.4〉 물양장 B구간 표준단면도 1174

〈그림 6.2.5〉 검토단면 1175

〈그림 6.2.6〉 침하검토 모델링 1177

〈그림 6.2.7〉 지반보강 단면도 1184

〈그림 6.2.8〉 물양장 C구간 표준단면도 1189

〈그림 6.2.9〉 검토단면 1190

〈그림 6.2.10〉 침하검토 모델링 1191

〈그림 6.2.11〉 추가 지반조사 위치도 1192

〈그림 6.2.12〉 계측계획 평면도 1194

〈그림 6.2.13〉 계측계획 단면도(A-A) 1195

〈그림 6.2.14〉 계측계획 단면도(B-B) 1195

〈그림 6.2.15〉 계측계획 단면도(C-C) 1195

〈그림 6.2.16〉 방충재 상세도 1198

〈그림 6.3.1〉 동방파호안 상치콘크리트 보강 개요도 1207

〈그림 6.3.2〉 동방파제 상치콘크리트 보강 개요도 1207

〈그림 6.3.3〉 동방파호안 상부보강 검토단면 1208

〈그림 6.4.1〉 준설구역 현황 1212

〈그림 6.4.2〉 준설계획평면도 1213

〈그림 6.4.3〉 준설토 투기장 현황 1216

〈그림 6.4.4〉 준설토 투기장 위치도 1216

〈그림 6.6.1〉 검토대상유역 1227

〈그림 6.6.2〉 배수계획평면도 1230

〈그림 6.7.1〉 전국동결지수도 1233

〈그림 6.7.2〉 노상동결 관입허용법에 의한 설계 비동결성 재료층 두께결정 도표 1236

〈그림 6.7.3〉 콘크리트 포장단면도 1240

〈그림 6.8.1〉 오탁방지막 상세도 1242

〈그림 6.8.2〉 오탁방지막 설치평면도 1243

〈그림 7.1.1〉 건설계획 흐름도 1247

〈그림 7.2.1〉 예정공정표 1251

〈그림 7.4.1〉 안전관리 흐름도 1253

제3편 삼길포항 1557

〈그림 1.1.1〉 과업위치도 1562

〈그림 2.1.1〉 바람장미도 1569

〈그림 2.1.2〉 태풍경로도 1574

〈그림 2.1.3〉 최강 창·낙조류 1577

〈그림 2.1.4〉 삼길포항 전경 1578

〈그림 2.2.1〉 입지여건도 1579

〈그림 2.2.2〉 주요 문화재 현황사진 1582

〈그림 2.2.3〉 주요 관광지 현황사진 1583

〈그림 2.2.4〉 대상지주변 관광자원 현황 1584

〈그림 2.2.5〉 인근 어업권 현황도 1586

〈그림 2.3.1〉 삼길포항 어항구역도 1591

〈그림 2.3.2〉 삼길포항 기본시설 현황도 1592

〈그림 2.4.1〉 제4차 국토종합계획 국토구상 및 권역별 개발방향 1593

〈그림 2.4.2〉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 권역별 개발방향 1596

〈그림 2.4.3〉 제3차 관광개발기본계획 충청권 개발방향 1597

〈그림 2.4.4〉 제2차 어촌·어항발전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1598

〈그림 2.4.5〉 마리나 항만과 어촌 마리나역 위치도 1600

〈그림 2.4.6〉 서산시 도시기본구상도 1603

〈그림 3.1.1〉 측량범위도 1605

〈그림 3.1.2〉 조사 수행방법(육상측량) 1605

〈그림 3.1.3〉 Network-RTK(VRS) 측량 개념도 및 기준점 관측 전경(CP.1) 1606

〈그림 3.1.4〉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현황 1609

〈그림 3.1.5〉 Network-RTK(VRS) 의한 측량 개념도 1610

〈그림 3.1.6〉 Network-RTK(VRS) 의한 측량 흐름도 1610

〈그림 3.1.7〉 RTK-GPS측량전경 1611

〈그림 3.1.8〉 Network-RTK(VRS) 의한 측량 흐름도 1612

〈그림 3.1.9〉 지형현황도 1613

〈그림 3.1.10〉 시스템 구성도 1614

〈그림 3.1.11〉 멀티빔 음향측심 조사흐름도 1617

〈그림 3.1.12〉 조사선박 센서 옴셋 세팅 1618

〈그림 3.1.13〉 센서 옵셋 및 선박 3 성분 지향각 1619

〈그림 3.1.14〉 DGPS 위치결정 모식도 1621

〈그림 3.1.15〉 DGPS 기준국 현황도 1621

〈그림 3.1.16〉 음속 관측 1622

〈그림 3.1.17〉 멀티빔 음향측심 모식도 및 수신각도(0.5°×256=128°) 1623

〈그림 3.1.18〉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 취득 1623

〈그림 3.1.19〉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처리 순서도 1624

〈그림 3.1.20〉 조위보정 예시 1625

〈그림 3.1.21〉 라인기반 오측심 제거과정 1626

〈그림 3.1.22〉 공간기반 자료 편집과정 1626

〈그림 3.1.23〉 수심종합도 1628

〈그림 3.2.1〉 지장물도-1 1630

〈그림 3.2.2〉 지장물도-2 1631

〈그림 3.2.3〉 용지도 1632

〈그림 3.3.1〉 부지현황도 1633

〈그림 3.3.2〉 외부 경관현황 1633

〈그림 3.3.3〉 내부 경관현황 1634

〈그림 3.3.4〉 대상지 및 대상지주변 이용현황 1634

〈그림 4.1.1〉 SWOT 분석 1637

〈그림 4.1.2〉 어촌 마리나역(驛) 역할 1638

〈그림 4.1.3〉 삼길포항 어촌 마리나역(驛) 시설배치계획(안) 1639

〈그림 4.1.4〉 정비계획 방향설정 1640

〈그림 4.3.1〉 대안-1 계획도 1645

〈그림 4.3.2〉 대안-2 계획도 1646

〈그림 4.3.3〉 대안-3 계획도 1647

〈그림 5.1.1〉 심해설계파 격자점 위치 1651

〈그림 5.1.2〉 확률분포 함수 1655

〈그림 5.1.3〉 시간에 따른 온도보정계수(Rt)(이미지참조) 1657

〈그림 5.1.4〉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광역 1659

〈그림 5.1.5〉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중간역 1660

〈그림 5.1.6〉 격자망도 및 등수심선도, 상세역 1661

〈그림 5.1.7〉 구조물 설계파 산정구간 1662

〈그림 5.1.8〉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파향) 1664

〈그림 5.1.9〉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파향) 1664

〈그림 5.1.1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NW파향) 1665

〈그림 5.1.1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W파향) 1665

〈그림 5.1.1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NW파향) 1666

〈그림 5.1.1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파향) 1666

〈그림 5.1.14〉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파향) 1667

〈그림 5.1.15〉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파향) 1667

〈그림 5.1.1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NW파향) 1668

〈그림 5.1.1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W파향) 1668

〈그림 5.1.1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NW파향) 1669

〈그림 5.1.1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파향) 1669

〈그림 5.1.20〉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670

〈그림 5.1.21〉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풍향) 1670

〈그림 5.1.22〉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WNW풍향) 1671

〈그림 5.1.23〉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W풍향) 1671

〈그림 5.1.24〉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NW풍향) 1672

〈그림 5.1.25〉 사업대상지 파랑벡터도(현재상태, 50년빈도, N풍향) 1672

〈그림 5.1.26〉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673

〈그림 5.1.27〉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풍향) 1673

〈그림 5.1.28〉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NW풍향) 1674

〈그림 5.1.29〉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W풍향) 1674

〈그림 5.1.30〉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NW풍향) 1675

〈그림 5.1.31〉 사업대상지 파고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풍향) 1675

〈그림 5.1.32〉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SW풍향) 1676

〈그림 5.1.33〉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풍향) 1676

〈그림 5.1.34〉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WNW풍향) 1677

〈그림 5.1.35〉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W풍향) 1677

〈그림 5.1.36〉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NW풍향) 1678

〈그림 5.1.37〉 사업대상지 주기분포도(현재상태, 50년빈도, N풍향) 1678

〈그림 5.2.1〉 실험안 1680

〈그림 5.2.2〉 조석 및 조류 검증 위치 1681

〈그림 5.2.3〉 조석 시계열 검증 결과 1684

〈그림 5.2.4〉 조류 시계열 검증 결과 1685

〈그림 5.2.5〉 고조위 및 저조위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688

〈그림 5.2.6〉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벡터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689

〈그림 5.2.7〉 최강 창조류 및 낙조류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690

〈그림 5.3.1〉 대호방조제 월별 방류량(2010~2016년) 1693

〈그림 5.3.2〉 방류시 수위 변화 1694

〈그림 5.3.3〉 방류시 유속 변화 1695

〈그림 5.4.1〉 연간 침식·퇴적률 분포도(현재상태, 사업지구 부근) 1698

〈그림 6.1.1〉 토지이용계획도 1701

〈그림 6.2.1〉 기반시설계획도 1702

〈그림 6.2.2〉 식재기반 표준단면도 1703

〈그림 6.3.1〉 기능별 식재 예시 1704

〈그림 6.3.2〉 도입수종 이미지 1706

〈그림 6.3.3〉 식재계획평면도 1707

〈그림 6.4.1〉 시설물계획평면도 1710

〈그림 6.5.1〉 포장계획평면도 1713

〈그림 8.2.1〉 본 조사에서의 CVM 실증연구 절차 172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27761 627.2 -17-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27762 627.2 -17-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