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도로비탈면 유지관리시스템 운영 = Operation of road cut slope management system in 2016 / 국토교통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7
청구기호
625.77 -17-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 464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60107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수행책임자: 구호본
부록: 비탈면 대책공법 및 소요사업비 ; 2016 CSMS 깎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 2016 CSMS 깎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배점표 외
참고문헌: p. 345-347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22

1.1. 과업 개요 24

1.2. 주요업무 29

1.3. 과업 목적 35

제2장 국도 깎기비탈면 기초조사 현황 38

2.1. 개요 40

2.2. 신설노선 내 깎기비탈면 기초조사 보완 40

2.3. 기초조사 관리 43

2.3.1. 기초조사 43

2.4. 지역별 비탈면 노출 지질 특성 56

2.4.1. 경기도 지역 비탈면 지질 노출 특성 57

2.4.2. 강원도 지역 비탈면 지질 노출 특성 59

2.4.3. 충청도 지역 비탈면 지질 노출 특성 60

2.4.4. 전라도 지역 비탈면 지질 노출 특성 61

2.4.5. 경상도 지역 비탈면 지질 노출 특성 62

2.5. 국내외 비탈면 위험그룹 상태평가 기준 64

2.5.1. 국내 관리 현황 64

2.5.2. 해외 관리 현황 66

2.6. 위험비탈면 관리 기준 72

제3장 비탈면 정밀조사 78

3.1. 위험비탈면 정밀조사 80

3.1.1. 비탈년 정밀조사 선정기준 및 분포현황 80

3.1.2. 깎기비탈면 정밀조사 결과 분석 87

3.1.3. 쌓기비탈면 정밀조사 및 분포현황 103

3.1.4. 쌓기비탈면 정밀조사 결과 분석 106

3.2. 강도정수와 토질 특성 조사·분석 109

3.2.1. 깎기비탈면 강도정수와 토질 특성 조사·분석 109

3.2.2. 쌓기비탈면과 관련된 지반강도정수 132

3.3. 비탈면 안정성 해석 133

3.3.1. 깎기비탈면 안정성 해석 133

3.3.2. 쌓기비탈면 안정성 해석 149

3.4. 비탈면 대책공법 수립 및 소요사업비 제시 159

3.4.1. 비탈면 대책공법 분류 159

3.4.2. 비탈면 대책공법 선정 기준 169

3.4.3. 비탈면 대책공법 적용시 유의사항 175

3.4.4. 비탈면 대책공법 수립현황 181

3.4.5. 비탈면 소요사업비 제시 189

3.5. 투자우선순위 결정 192

3.5.1. 투자우선순위 결정배경 192

3.5.2. 무자우선순위 결정방법론 192

3.5.3. 결정론적 투자우선순위 결정 기법 개발 196

3.5.4. 깎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203

3.5.5. 쌓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209

제4장 도로비탈면 상시계측시스템 운용·분석 216

4.1. 상시계측시스템 운용 개요 218

4.1.1. 운용배경 및 목적 218

4.1.2. 상시계측시스템 운영 원리 229

4.1.3. 관리기준치 설정 230

4.1.4. 비상근무체계 232

4.2. 2016 여름철 기후 특성 및 비상상황실 운영 235

4.3. 올빼미 설치 시범 운영 240

4.3.1. 추진배경 240

4.3.2. 올빼미 경보장치 소개 240

4.3.3. 올빼미 경보장치 시범사업 현장 선정 242

4.3.4. 올빼미 경보장치 시범사업 운영 결과 245

4.3.5. 올빼미 경보장치 시범사업 운영 문제점 도출 및 결론 251

제5장 비탈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254

5.1. 개요 256

5.2. 2016 CSMS 도로비탈면 업무 전산화 기능 수정 260

5.2.1. 도로비탈면 데이터베이스 갱신 260

5.2.2. 도로비탈면 정보 제공 방식의 개선 262

5.3. 토석류 데이터베이스 구축 264

제6장 시특법 대상 2종 깎기비탈면 정밀점검 270

6.1. 과업의 배경 272

6.2. 비탈면의 분할 272

6.3. 정밀점검의 시기 273

6.4. 정밀점검 흐름도 274

6.5. 상태평가 기준 275

6.6. 상태평가 결과 산정 276

6.7. 안전등급 지정 277

6.8. 정밀점검 결과 278

6.9. 향후 추진계획 287

제7장 깎기비탈면 현황도 보고서 검토 288

7.1. 현황도 관리 업무 배경 290

7.2. 깎기비탈면 현황도 작성 291

7.3. 현황도 작성 주요 기재 항목 291

7.3.1. 깎기비탈면 현황도 일반현황 293

7.3.2. 깎기비탈면 제원 293

7.3.3. 깎기비탈면 지반공학적 특성 기재 항목 296

7.3.4. 깎기비탈면 시공현황 기재 및 조사자 소견 303

7.4. 깎기비탈면 현황도 보고서 일반사항 304

7.5. 깎기비탈면 현황도 보고서 분석 304

7.5.1. 현황도 보고시 검토 업무 흐름 304

7.5.2. 현황도 보고서 검토 지적사항 305

7.6. 현황도 보고서 검토 및 관리 개선방안 306

7.7. 현황도 보고서 검토결과 및 관리 계획 314

제8장 비탈면 실시설계서 검토 316

8.1. 실시설계 관리 업무 배경 318

8.2. 실시설계 검토 필요성 319

8.3. 실시설계 검토 내용 321

제9장 토석류 시범조사 324

9.1. 토석류 관리 개요 326

9.2. 토석류 발생 구간 계획 수립 329

9.3. 토석류 조사우선순위 332

9.4. 2016 토석류 시범조사 수행 결과 334

제10장 온라인 현황도 관리시스템 구축 계획수립 요약보고서 340

10.1. 추진배경 및 필요성 342

10.2. 업무현황 및 개선사항 342

10.2.1. 업무내용 및 범위 342

10.2.2. 업무현황 344

10.2.3. 문제점 및 개선사항 346

10.3. 온라인 현황도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347

10.3.1. 시스템 세부 구성방안 347

10.4. 시스템 운영에 따른 기대효과 349

10.5. 결론 351

제11장 결론 및 향후 추진계획 354

11.1. 결론 356

11.2. 향후 추진계획 360

참고문헌 364

부록 370

부록 1. 비탈면 대책공법 및 소요사업비 372

부록 2-1. 2016 CSMS 깎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396

부록 2-2. 2016 CSMS 깎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배점표 402

부록 2-3. 2016 CSMS 쌓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408

부록 2-4. 2016 CSMS 쌓기비탈면 투자우선순위 배점표 412

부록 3. 2016 CSMS 신설구간 기초조사 현장 리스트 416

부록 4. 2016 CSMS 깍기비탈면 현황도 보고서 검토 424

부록 5-1. 낙석산사태 위험지구 사업비 증감 검토현장 리스트 432

부록 5-2. 낙석산사태 위험지구 대책공법 변경 현장 리스트 442

부록 6. 2014-2016 CSMS 토석류 시범조사 전체 리스트 450

부록 7. 2014-2016 CSMS 토석류 시범조사 수행 조사우선순위 458

부록 8-1. 2016 CSMS 토석류 산림청 협업 현장 관리 리스트 470

부록 8-2. 2016 CSMS 토석류 정밀조사 수행 현황 474

표 1.1. 2016 CSMS 연구기관별 관리권역 29

표 2.1. 2015년 준공 CSMS 신규 포함 노선 현황 1 41

표 2.2. 2015년 준공 CSMS 신규 포함 노선 현황 2 42

표 2.3. 2016년 3월 기준 전국 국도비탈면 현황 44

표 2.4. 2017년 3월 기준 전국 국도비탈면 현황 45

표 2.5. 깎기비탈면 기초조사 취득자료 48

표 2.6. 쌓기비탈면 정밀조사 코드 관리기관 표기법 55

표 2.7. 2016 CSMS 쌓기비탈면 관리코드명 55

표 2.8. 붕괴 비탈면 붕괴요인 분포율 분석 74

표 2.9. CSMS 기초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관리그룹 기준 76

표 2.10. 2016 CSMS 기초조사 관리 그룹 77

표 3.1.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세부 분포 82

표 3.2.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누적 개소수 현황 -서울청, 원주청, 대전청 85

표 3.3.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누적 개소수 현황 -익산청, 부산청 86

표 3.4. 2016 CSMS 붕괴비탈면 현황 89

표 3.5. 연도별 비탈면 붕괴 발생건수 및 발생규모 90

표 3.6. 2007 CSMS~2016 CSMS 기간 중 지역별 붕괴 발생 현황 92

표 3.6. 2006 CSMS~2015 CSMS 기간 중 붕괴 유형별 현황 94

표 3.7. 쌓기비탈면 정밀조사 누적 개소수 현황 104

표 3.8. 풍화정에 따른 강도정수 Hunt 112

표 3.9. 암반의 강도정수 112

표 3.10.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발표희 자료 112

표 3.11. 서울시 지반조사편람 113

표 3.12. 암석에 따른 기본 마찰각의 개략직인 값 113

표 3.13. 개략적인 단위중량(표준품셈) 113

표 3.14. 도로설계편람(I)에 제시하는 암반의 주요 물성치 114

표 3.15. 충전물을 포함하는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115

표 3.16. Rock Slope Engineering, E.Hoek & j.w.Bray 116

표 3.17. 불연속면을 고려한 암반의 전단강도정수 116

표 3.18. Rock Mechanics 2nd edit., Richard E. Goodman 116

표 3.19. RMR 등급에 따른 암반의 강도정수 산출 117

표 3.20. 토공재료의 개략적인 토질정수 119

표 3.21. 통일분류법에 의한 사진토 특성표 120

표 3.22. 모래 및 자갈 지반의 내부마찰각(ø)값 120

표 3.23. 토질 별 γt, γsub, ø, øsub(토질역학) 121

표 3.24. 경험식에 의한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산정식 122

표 3.25. N치와 상대밀도 및 ø의 관계 122

표 3.26. PIIE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 123

표 3.27. 서울시 지반조사편람 123

표 3.28. 전단시험으로 산출된 토사강도정수의 표기 예 126

표 3.29. 활동에 따른 안전율의 예 127

표 3.30. 서울청 깎기비탈면 암종별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128

표 3.31. 원주청 깎기비탈면 암종별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129

표 3.32. 대전청 깎기비탈면 암종별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130

표 3.33. 익산청 깍기비탈면 암종별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131

표 3.34. 부산청 깎기비탈면 암종별 점착력 및 내부마찰각 132

표 3.35. 불연속면의 종류 134

표 3.36. 일반쌓기비탈면 안정성 해석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 150

표 3.37. 비탈면 구성 재료별 적용 가능한 대책공법 174

표 3.38. 2016 CSMS 주요 대책공법 현황 181

표 3.39. 연도별 CSMS 대책공법 수립현황 (1998~2006) 185

표 3.40. 연도별 CSMS 대책공법 수립현황 (2007~2016) 186

표 3.41. 2016 CSMS 조사현장 개소수 및 소요사업비 제시 190

표 3.42. 2016 CSMS 관리기관별 비탈면 1개소당 소요사업비 191

표 3.43. CSMS 1차년도(1998년)에 사용된 신뢰성 기반 투자우선순위 위힘도 요소 195

표 3.44. 비탈면 평가에 있어 기준별 아이템, 점수, 비율 차이 199

표 3.45. 2001 CSMS와 2002 CSMS의 투자우선순위 항목 및 배점 비교 202

표 3.46. 붕괴 규모에 대한 평가표 204

표 3.47. 붕괴 원인에 대한 평가표 205

표 3.48. 안정성 해석결과에 대한 평가표 206

표 3.49. 붕괴 위험도에 대한 평가표 206

표 3.50. 예상 피해 평가 배점표 207

표 3.51. 위험도, 피해도, 총점 등급 구분 208

표 3.52. 붕괴 규모에 대한 평가표 210

표 3.53. 붕괴 원인에 대한 평가표 211

표 3.54. 안정성 해석결과에 대한 평가표 212

표 3.55. 붕괴 위험도에 대한 평가표 212

표 3.56. 피해도 평가 배점표 213

표 3.57. 위험도, 피해도, 총점 등급 구분 214

표 4.1. 항목별 설치 위치 220

표 4.2. 년도별 계측기 설치 현황 220

표 4.3. 년도별 계측기 운용 현황(2016년 현재) 220

표 4.4. 명의이전 현황 222

표 4.5. 시범 구축 프로그램 주요 내용 223

표 4.6. 각 국토별 CCTV 홈페이지 제작 224

표 4.7. 계측시스템 및 CCTV 내구연한 경과 현황 225

표 4.8. 계측시스템 설치현황 대비 시스템 고장 센서 비율 227

표 4.9. 지능형카메라 설치현황 대비 시스템 고장 비율 228

표 4.10. 비탈면 유지관리 단계별 관리기준치 231

표 4.11. 각 레벨별 지표면 변위속도 관리기준치 231

표 4.12. 비상근무 보고서 양식 234

표 4.13. 올해(2016년)와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235

표 4.14. 올해(2016년)와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강수량 235

표 4.15. 상시계측시스템 관리 제외 현장(15개소) 238

표 4.16. 개발된 올빼미의 버전별 특성 242

표 4.17. 일반국도 올빼미 선정 후보 대상(I) 243

표 4.18. 일반국도 올빼미 선정 후보 대상(II) 244

표 4.19. 2016 CSMS 기간 중, 올빼미 시범 설치 적용 현장 245

표 4.20. 올빼미 시범 설치 적용 현장 경보 발생 횟수 249

표 5.1. 도로비탈면 관련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목록 260

표 5.2. 토석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정보테이블 1 265

표 5.3. 토석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정보테이블 2 266

표 5.4. 토석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정보테이블 3 267

표 5.5. 토석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정보테이블 4 268

표 6.1. 정밀점검 실시주기 273

표 6.2. 2종 시설물(깎기비탈면)의 상태평가 기준 275

표 6.3. 안전등급 277

표 6.4. 2016년 정밀점검 결과 총괄표(국토관리사무소) 279

표 6.5. 2016년 정밀점검 결과 총괄표(지자체) 279

표 6.6. 2016년 정밀점검 결과 현장별 안전등급 지정(국토관리사무소) 280

표 6.7. 2016년 정밀점검 결과 현장별 안전등급 지정(지자체) 283

표 6.8. 회차별 정밀점검 결과 비교 285

표 7.1. 깎기비탈면 구성 지반 풍화등급 296

표 7.2. 불연속면의 종류, 특징, 기호 297

표 7.3. 불연속면의 연장성 299

표 7.4. 불연속면 간격 299

표 7.5. 불연속면 거칠기 300

표 7.6. 불연속면 간극 300

표 7.7. 불연속년의 충전물질의 종류 및 두께 301

표 7.8. 불연속면의 수리특성 302

표 7.9. 깎기비탈면 대책공법 기재 예 303

표 7.10. 관리청별 현황도 보고서 검토 담당기관 313

표 8.1. 2016 CSMS 실시설계 검토대상 현장 개소수 321

표 9.1. 2014 CSMS 토석류 시범조사 구간 개요 331

표 9.2. 2015 CSMS 토석류 시범조사 구간 개요 331

표 9.3. 토석류 조사우선순위 배점표 333

표 9.4. 2016 CSMS 토석류 시범조사 구간 개요 334

표 10.1. 관리청별 현황도 보고서 검토 관리기관 343

표 10.2. 현황도 보고서 검토현황 345

표 10.3. 누적비용, 누적편익, B/C비율 350

그림 1.1. CSMS 도입 배경 26

그림 1.2. CSMS 관리대상 27

그림 1.3. CSMS 기관별 주요업무 및 흐름도 30

그림 1.4. 도로관리통합시스템을 통한 주요 관리시설물 33

그림 2.1. 국도 깎기비탈면 분포(2016 CSMS 기준) 46

그림 2.2. 터널입구 비탈면 개략도 51

그림 2.3. 전문가 기초조사 자료 52

그림 2.4. SLOPE-NAVI. 사용화면에 표현한 비탈면 표시 모습 53

그림 2.5. CSMS 스마트앱에 표현한 비탈면 표시 모습 53

그림 2.6. 우리나라 지질도 56

그림 2.7. 우리나라 지질의 대표 암종별 분포 57

그림 2.8. 경기도 지역 편마암 구성 비탈면의 평면파괴 발생 사례 58

그림 2.9. 미국 오레곤주 산사태 정보 등급별 분류 69

그림 2.10. DROP model의 개념도 70

그림 2.11. 일본 2016구마모토 지진 발생 진앙지와 거리에 따른 피해도 조사 내용 70

그림 2.12. 대만 DRC 평가 계통표 71

그림 2.13. 대만 지역별 DRC 분포 자료 71

그림 2.14. 파키스탄 Baluchistan 대학교에 제안한... 71

그림 2.15. 붕괴발생비탈면과 강우와의 관계 73

그림 2.16. 비탈면 위험도 결정을 위한 분류기준 인자 75

그림 3.1. 연차별 정밀조사 수행 깎기비탈면 현황 83

그림 3.2. 1998~2016년 누적 정밀조사 수행 분포율 84

그림 3.3. 1998~2016년 누적 정밀조사 수행 깎기비탈면 현황 84

그림 3.4. 연도별 깍기비탈면의 붕괴발생(발생건수 및 발생규모) 91

그림 3.5. 중규모 이상(1,000㎥ 이상) 붕괴 비탈면 기록 91

그림 3.6.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구성재료 분포현황 95

그림 3.7. 2016 CSMS 정밀조사 해빙기 및 수시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구성재료 분포 95

그림 3.8. 2014 CSMS~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붕괴이력 분포 97

그림 3.9. 2014 CSMS ~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길이 분포 98

그림 3.10. 2014 CSMS~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최대높이 분포 99

그림 3.11. 2015 CSMS 및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평균경사 분포 100

그림 3.12. 2015 CSMS 및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상부사면경사 분포 101

그림 3.13.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위험구간비 분포 102

그림 3.14. 2015 CSMS 및 2016 CSMS 정밀조사 깎기비탈면 이격거리 분포 103

그림 3.15. 쌓기비탈면 정밀조사 수행 지방청별 관리 추이 105

그림 3.16. CSMS 정밀조사 쌓기비탈면 경사도 분포 106

그림 3.17. CSMS 정밀조사 쌓기비탈면 도로포장 균열위치 분포 107

그림 3.18. CSMS 정밀조사 쌓기비탈면 배수시설 상태 108

그림 3.19. 지질학적인 상태에 따른 불연속면의... 111

그림 3.20. 사질토의 강도특성 상관도(NAVFAC DM7.1) 121

그림 3.21. 씬월 튜브 샘플러 관입 및 시료 채취 124

그림 3.22. 소형 직접전단시험 과정 125

그림 3.23.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파괴포락선 126

그림 3.24. C, Φ 값을 변화시키면서 안전율(Fs) 값을 표시 127

그림 3.25. 깎기비탈면 구성 재료별 안정성 해석 수행 모식도 133

그림 3.26. 평면파괴 136

그림 3.27. 쐐기파괴 136

그림 3.28. 전도파괴 137

그림 3.29. 원호파괴 137

그림 3.30. Swedge 프로그램을 이용한 한계평형해석 138

그림 3.31. RocPlane 프로그램을 이용한 한계평형해석 138

그림 3.32. UDEC 프로그램을 이용한 깎기비탈면의 수치해석 139

그림 3.33. ROCFALL 프로그램을 이용한 깎기비탈면의 수치해석 139

그림 3.34. 한계평형해석법을 깎기비탈면 안정성 검토 140

그림 3.35.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지하수 검토 141

그림 3.36. 유한요소법읍 이용한 침투해석 검토 141

그림 3.37. FLAC 프로그램을 이용한 비탈면의 수치해석 142

그림 3.38. 유한차분법의 계산 Cycle 142

그림 3.39. 구성재료에 따른 파괴 발생 확률 144

그림 3.40. 암종별 파괴 발생 확률 144

그림 3.41. 암종별 RMR 평가 결과 145

그림 3.42. 암종별 SMR 평가 결과 146

그림 3.43. 파괴형태에 따른 RMR 분포 147

그림 3.44. 파괴형태에 따른 SMR 분포 147

그림 3.45. 비탈면 높이에 따른 원호파괴 발생 확률 148

그림 3.46. 비탈면 경사에 따른 원호파괴 발생 확률 148

그림 3.47. 쌓기비탈면 높이별 추세 154

그림 3.48. 쌓기비탈면 경사도별 추세 155

그림 3.49. 쌓기비탈면 토사의 재료별 추이 156

그림 3.50. 도로포장균열 발생 위치 추세 157

그림 3.51. 하단부 침식 상태 158

그림 3.52. 배수시설 상태 158

그림 3.53. 깎기 비탈면의 현장 모습 159

그림 3.54. 앵커 시공 후 모습 161

그림 3.55. 록볼트 시공 중 모습 및 네일 시공 후 모습 161

그림 3.56. 억지말뚝 개요도와 기대기옹벽 시공 후 모습 161

그림 3.57. 계단식옹벽 내 지지앵커 실치 후 모습 162

그림 3.58. 콘크리트 옹벽 시공 모습 162

그림 3.59. 낙석방지망, 낙석방지울타리 시공 후 모습 163

그림 3.60. 돌망태옹벽 시공 후 모습 163

그림 3.61. 비탈면 녹화 시공 후 모습 164

그림 3.62. 격자블록 시공 후 모습 164

그림 3.63. 콘크리트 뿜이붙이기 시공 후 모습 164

그림 3.64. 산마루배수구 시공 후 모습 및 수평배수공 시공 중 모습 166

그림 3.65. 소단배수구 시공 후 모습 및 적용 모식도 166

그림 3.66. 종배수구 시공 후 모습 및 지하배수구 시공 모습 166

그림 3.67. 피암터널 시공 후 모습 168

그림 3.68. 도로확폭 및 그라우팅 모습 168

그림 3.69. 암파쇄방호시설 및 사방댐 시공 후 모습 169

그림 3.70. 상시계측시스템 설치 모습 169

그림 3.71. 비탈면 대책공법 선정 흐름도 172

그림 3.72. 2016 CSMS 주요 대책공법 현황 182

그림 3.73. 최근 5년간 주요 대책공법 비교 183

그림 3.74. CSMS 주요 대책공법 특성별 분포 184

그림 3.75. 최근 5년간 주요 대책공법 특성별 비교 184

그림 3.76. 대표적인 활동하중경감공법과 활동억제공법 추이 비교 187

그림 3.77. 비탈면 녹화와 낙석방지망 수립 비율 비교 188

그림 3.78. 수리제어공과 현상태유지 수립 비율 추이 189

그림 3.79. 붕괴비탈면과 미붕괴비탈면의 각종 인자의 비교 201

그림 4.1. 붕괴비탈면과 미붕괴비탈면의 각종 인자의 비교 219

그림 4.2. 계측기 설치 운용 현황 221

그림 4.3. 지역별 계측기 설치 운용 현황 222

그림 4.4. 시범 구축 프로그램 223

그림 4.5. 계측시스템 고장유형 226

그림 4.6. 상시계측시스템 운영도 229

그림 4.7. 상시계측시스템의 운영 원리 230

그림 4.8. 비상근무시 업무 흐름도 232

그림 4.9. 상시계측시스템 정기점검 수행 결과 239

그림 4.10. 올빼미 경보장치의 운영 241

그림 4.11. 올빼미 경보장치의 실치개요 및 세부구성 241

그림 4.12. 춘천 동산 원창 2지구 올빼미 경보 발생 현황 250

그림 4.13. 인제 인제 가아리 31국도 지구 올빼미 경보 발생 현황 250

그림 4.14. 산청 산청 차탄 지구 올빼미 경보 발생 현황 251

그림 5.1. 도로관리통합시스템 메인화면 257

그림 5.2. 도로관리통합시스템 정보조회화면 257

그림 5.3. 지도 내 비탈면 표시 258

그림 5.4. 비탈면 주변 도로관리통합정보 258

그림 5.5. 상세조검검색 및 정보조회검색 259

그림 5.6. 기초조사 정보 제공 259

그림 5.7. 비탈면 최신 정보 갱신 261

그림 5.8. 비탈면 갱신 정보의 확인 261

그림 5.9. 기존 도로 비탈면 제공 방식 262

그림 5.10. 도로 비탈면 조사원본 파일 서버 구축 263

그림 5.11. 도로 비탈면 조사원본 파일 다운로드 263

그림 5.12. 토석류 기초조사 체크리스트 264

그림 6.1. 상태평가 결과 산정 과정 276

그림 6.2. 2016 점검결과 278

그림 6.3. 2014, 2016 점검결과 비교 284

그림 7.1. 국도변 거리표 작성 요령 293

그림 7.2. 깎기비탈면의 구분 294

그림 7.3. GPS 좌표 수신기 및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위경도 좌표 사용 294

그림 7.4. 깎기비탈면 연장 및 높이별 용어 사용 안내 295

그림 7.5. 깎기비탈면 최대높이 및 경사 295

그림 7.6. 면구조의 경사/경사방향 모식도 298

그림 7.7. 깎기비탈면 측면사진 308

그림 7.8. 깎기비탈면 구간별 세부사진 예 1 310

그림 7.9. 깎기비탈면 구간별 세부사진 예 2 311

그림 7.10. 깎기비탈면 구간별 세부사진 예 3 311

그림 7.11. 깎기비탈면 횡단면도 312

그림 8.1. CSMS 깎기비탈면 대책공법 결정 흐름도 319

그림 8.2. 깎기비탈면 실시설계 검토 필요성 320

그림 9.1. 산사태 활동 분류 모식도 327

그림 9.2. 우면산 산사태(2011) 328

그림 9.3. 중앙고속도로 춘천 IC 주변 토석류 발생(2013년) 329

그림 9.4. 계곡부 토석류 발생 모식도 330

그림 9.5. 토석류 시범조사 구간의 설정 예 330

그림 9.6. 2016 시범조사 구간 깎기비탈면과 토석류 가능 계곡부의 비교 335

그림 9.7. 2014-2016 시범조사 구간 뜬돌직경 (1m이상) 분포 336

그림 9.8. 2014-2016 시범조사 구간 과거 붕괴 발생 이력 337

그림 9.9. 2014-2016 시범조사 구간 전도 및 고사 수목량 비교 338

그림 9.10. 2014-2016 시범조사 구간 토석류 발생 가능성 비교 339

그림 10.1. 도로비탈면 유지관리시스템(CSMS) 관할구역 현황 343

그림 10.2. 2012년~2015년 현황도 보고서 검토 현황 344

그림 10.3. 현황도 보고서 검토 현황 345

그림 10.4. 현황도 보고서 검토 절차의 문제점 346

그림 10.5. 온라인 시스템 적용의 기대효과 347

그림 10.6. 현황도 관리시스템 흐름도(안) 348

그림 10.7. B/C 분석(평가기간 7년) 35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27974 625.77 -1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27975 625.77 -1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93173 625.77 -17-2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