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한 실행계획(안)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천군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2016
청구기호
577.7 -17-1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178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60314
주기사항
위탁연구기관: 해랑기술정책연구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I. 서론 1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3

2. 연구 목표 및 방법 15

3. 연구대상 및 범위 16

II. 국내외 동향분석 19

1. 국제협약 동향 21

2. 주요국의 정책 및 기술 동향 27

3. 산업 동향 및 전망 35

4. 시사점 41

III. 법·제도 해양수산생명자원 분야 추진 현황 43

1. 법·제도 현황 및 주요내용 45

2. 국가계획 수립현황 및 주요내용 57

3. 해양수산생명자원 투자 현황 66

4. 시사점 71

IV. 자원 보유현황 및 수요자 니즈 분석 73

1. 국가관리 생명자원 확보·보유 현황 75

2. 해양수산생명자원 확보·보유 현황 79

3.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련 전문가 니즈 분석 83

4. 시사점 95

V. 추진방향 97

1. 이슈분석 99

2. 추진전략 도출 100

3. 비전 및 목표 102

VI. 전략별 추진내용 105

1. 전략 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전략적 확보 체계 강화 107

1-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법정조사 체계 확립 107

1-2. 전략해양수산생명자원 설정 및 우선 확보 추진 115

2. 전략 2.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체계적 관리·보존 역량 확대 118

2-1. 국가 통합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구축 118

2-2.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지속가능한 유지·보존 체계 구축 121

3. 전략 3.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실질적인 이용가치 제고 123

3-1. 자원 활용성 제고를 위한 해양자원은행(BioBank) 체제로의 전환 123

3-2. 수요자 친화적 통합정보 서비스 구현 124

4. 전략 4.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지원체계 강화 125

4-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산업화 근접 지원 125

4-2. 국제협력 및 네트워크 다변화 126

4-3. 인력양성 및 대국민 홍보 강화 127

VII. 정책제언 129

부록 1. 수요자 니즈조사를 위한 설문조 135

부록 2.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한 실행계획(안) 149

I. 추진 배경 153

1. 수립 배경 153

II. 환경 변화 155

1. 바이오경제 시대의 도래 155

2. 국제협약 및 주요국의 동향 156

3. 국내 동향 159

III. 그간의 성과와 한계 161

1. 추진 성과('11~'16년) 161

2. 평가 및 한계 163

3. 시사점 및 추진방향 165

IV. 비전 및 목표 166

V. 추진전략 및 중점과제 167

전략 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전략적 확보 체계 강화 167

1-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법정조사 체계 확립 167

1-2. 전략해양수산생명자원 설정 및 우선 확보 추진 169

전략 2.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체계적 관리·보존 역량 확대 170

2-1. 국가 통합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구축 170

2-2.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지속가능한 유지·보존 체계 구축 171

전략 3.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실질적인 이용가치 제고 172

3-1. 자원 활용성 제고를 위한 해양자원은행(BioBank) 체제 전환 172

3-2. 수요자 친화적 통합정보서비스 구현 173

전략 4.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지원체계 강화 174

4-1.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산업화 근접 지원 174

4-2. 국제협력 및 네트워크 다변화 175

4-3. 인력양성 및 대국민 홍보 강화 176

【표 1-1】 해양수산생명자원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세부 연구내용 및 방법 15

【표 1-2】 생명자원의 세부 구성요소 17

【표 2-1】 나고야의정서에 대한 주요 국가별 입장 및 정책현황 23

【표 2-2】 주요 국제기구들이 수행 중인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련 프로그램 25

【표 2-3】 미국 국가해양정책 실행계획의 9개 국가우선순위 27

【표 2-4】 주요대륙별 해양생명공학 시장 성장률 및 전망 35

【표 2-5】 바이오폴리머와 생리활성물질의 활용 분야 36

【표 2-6】 해양생물체 유래 기능성물질 및 적용분야 37

【표 2-7】 기 개발된 해양천연물신약 및 기원 37

【표 2-8】 개발 중인 해양천연물신약 후보의 기원 및 효능 38

【표 2-9】 해양생명공학 제품별 시장 현황 및 전망 39

【표 2-10】 아시아 주요 국가별 해양생명공학 시장 현황 및 전망 40

【표 3-1】 생명자원 및 생물다양성 관련 부처별 법률 현황 45

【표 3-2】 주요 검토대상 법률의 제정 목적 등 주요내용 47

【표 3-3】 주요 용어 및 항목에 대한 관련 법률별 세부 내용 49

【표 3-4】 해양생명자원법상의 주요 용어 정의 51

【표 3-5】 제2장 해양수산생명자원관리기본계획 등의 주요 항목 52

【표 3-6】 제3장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책임기관 지정·운영 등의 주요 항목 54

【표 3-7】 제4장 해양수산생명자원에 관한 인프라 구축의 주요 항목 56

【표 3-8】 해양수산생명자원 관련 국내 정책 추진 현황 57

【표 3-9】 2016년도 부처별 생명공학 분야 연구개발 투자예산 66

【표 3-10】 2016년도 부처별 생명연구자원 영역별 연구개발 투자예산 67

【표 3-11】 2016년도 부처별 생명연구자원 분야별 연구개발 투자예산 68

【표 3-12】 2016년도 부처별 생명연구자원 단계별 연구개발 투자예산 69

【표 3-13】 2016년도 해양수산부 해양생명연구자원 투자예산 내역 70

【표 4-1】 부처별 기탁등록보존기관 및 책임기관 지정 현황 75

【표 4-2】 국가관리 생명연구자원 보유현황 77

【표 4-3】 국가생물종목록에 따른 분류군별 종수 78

【표 4-4】 해양수산생명자원 책임기관 및 기탁등록보존기관의 자원 보유 현황 79

【표 4-5】 기타 해양수산생명자원 보유 기관 및 현황 81

【표 4-6】 해양생물자원의 정의 83

【표 7-1】 해양수산생명자원 연구 단계별 세부 정의 및 추진내용 132

【그림 1-1】 해양의 역할과 기능 13

【그림 1-2】 생명연구자원 및 해양수산생명자원의 각 구성요소별 정의 16

【그림 1-3】 생명자원의 연구 및 기술 주기 18

【그림 2-1】 해양수산생명자원관련 국제협약 추진 현황 21

【그림 2-2】 나고야의정서(ABS) 정보공유 체계도 22

【그림 2-3】 MBON 프로젝트의 구성현황 및 추진목적 29

【그림 2-4】 EMBRC에서 추구하는 해양생명자원 가치사슬 확장 31

【그림 2-5】 ENRP 유령멍게 사업의 연구추진 체계도 33

【그림 2-6】 최종소비자 측면에서의 해양생명공학 시장 분야별 성장 전망 36

【그림 2-7】 글로벌 바이오에너지 수요량 전망 38

【그림 2-8】 주요 국가별 생명공학 기업체 수 39

【그림 2-9】 미국과 일본의 국가전략생명자원의 종류 42

【그림 3-1】 생명자원 마스터플랜에 따른 연구 및 활용의 패러다임 변화 59

【그림 3-2】 제1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60

【그림 3-3】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에 따른 자원의 가치제고 방안 61

【그림 3-4】 제2차 생명연구자원관리기본계획의 비전 및 목표 62

【그림 3-5】 생명연구자원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표준화 및 통합관리시스템 체계도 64

【그림 3-6】 해양수산부 등 관련부처의 주요 해외협력거점 65

【그림 4-1】 해양생물자원 활용자의 자원 출처 83

【그림 4-2】 해양생물자원 활용자의 해외 자원 출처 84

【그림 4-3】 국내 해양생물자원 확보 관리 기관별 분양 경험 유무 84

【그림 4-4】 국내 해양생물자원 유형별 분양 현황 85

【그림 4-5】 해양생물자원 연간 분양 횟수 85

【그림 4-6】 해양생물자원 분양시 양적 만족도 86

【그림 4-7】 해양생물자원 분양시 질적 만족도 86

【그림 4-8】 해양생물자원 활용을 위한 자원 탐색시 어려운 점 87

【그림 4-9】 해양생물자원 확보·관리 기관 이용시 어려운 점 87

【그림 4-10】 국내 해양생명정보 확보 경로 88

【그림 4-11】 해외 해양생명정보 확보 경로 89

【그림 4-12】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을 통한 정보 활용 경험 89

【그림 4-13】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을 통한 활용 정보 유형 90

【그림 4-14】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을 통한 정보 활용 빈도 90

【그림 4-15】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의 정보 활용시 양적 만족도 91

【그림 4-16】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의 정보 활용시 질적 만족도 91

【그림 4-17】 국내 해양생명정보 생산·관리기관의 정보 활용시 문제점 92

【그림 4-18】 분양된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산업적 활용 분야 93

【그림 4-19】 해양수산생명자원 활용 활성화를 위한 책임기관의 역할 94

【그림 4-20】 해양수산생명자원 활용 활성화를 위한 기탁등록보존기관의 역할 94

【그림 5-1】 SWOT 분석에 의한 전략방향과 사업추진 전략과의 연계성 101

【그림 6-1】 해양수산생명자원 기초조사 대상지역 설정 108

【그림 6-2】 해양수산생명자원 현지내조사 대상 주요 군락지 113

【그림 6-3】 전략해양수산생명자원 설정의 기준 116

【그림 6-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구축의 세부 항목 120

【그림 6-5】 미세조류를 활용한 산업소재 원료물질 생산 흐름도 122

【그림 6-6】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천연물 라이브러리 구축 체계도 123

【그림 6-7】 해양수산생명자원의 통합정보서비스 제공 체계도 124

【그림 6-8】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 및 활용기반구축사업의 주요 대상국가 126

【그림 7-1】 해양수산생명자원 확보·관리·활용 단계의 세부 업무 체계도 13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28049 577.7 -17-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28050 577.7 -17-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93240 577.7 -17-16 전자자료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