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창녕함안보 구간 수질통합 모형의 구축과 조류 예측 = Establishment of water quality integrated model and simulation of algal communities in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 최종보고서 : 낙동강수계 2016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창원 :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 부산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
청구기호
363.7394 -17-4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x, 383 p. :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67380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일규
참고문헌: p. 381-383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SUMMARY 9

제1장 서론 19

제1절 조사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19

제2절 조사연구사업의 범위 22

1. 당해연도 사업목표 22

2. 당해연도 연구내용 및 범위 23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5

제1절 국내 연구현황 25

1. 강우 전후 수질 및 조류 군집 변화 및 대발생 연구 분야 25

2. 강우 전후 수질 예측 모델 개발 분야 27

제2절 국외 연구현황 28

1. 미국 조류 관리제도 현황 28

제3장 조사연구수행 내용, 방법 및 범위 30

제1절 조사연구수행 내용 30

1. 낙동강수계 조사지점 현황 30

2. 조사지점 선정 33

제2절 조사항목 34

1. 수질 일반 항목 34

2. 조류 분석 항목 34

제3절 시료채취 및 조사시기 35

1. 시료채취 및 보존방법 35

2. 시료 채수 조사 시기 35

제4절 분석방법 37

1. 수질 항목 분석 방법 37

2. 조류 항목 분석 방법 39

3. 상관분석 결과 39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40

제1절 기상요인 및 수질조사 분석 결과 40

1. 기상요인 분석 결과 40

2. 현장측정항목 결과 53

3. 수질일반항목 분석 결과 62

제2절 조류조사 및 생태지수 분석 결과 172

1. 각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조사 172

2. 각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조사 및 분석 결과 210

3. 각 지점별 생태지수 및 종 조성, 현존량 결과 215

4. 강우에 따른 지점별 식물플랑크톤의 천이양상 226

제3절 상관관계 분석 결과 242

1. 2014~2016년도 상관분석 결과 242

제4절 수질ㆍ조류 예측 모형의 구성 250

1. 모형 수행 개요 250

2. 모형 입력 자료 준비 및 분석 251

제5절 수리ㆍ수질 및 조류 모의의 결과 301

1. 수리학적 모의 301

2. 수온 모의 결과 302

3. 수질 모의 결과 305

4. 조류 모의 결과 317

제6절 조류 모의 모형의 자동 보정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 318

1. 자동 보정을 위한 최적화 알고리즘 318

2. CE-QUAL-W2 입력자료 구조 분석 321

3. CE-QUAL-W2의 자동 보정 프로그램 개발 323

4. CE-QUAL-W2의 자동 보정 결과 327

제7절 조류 발생에 따른 주요 지류별 기여율 분석 330

1. 기여율 분석 개요 330

2. 주요 지류별 유출 및 수질 특성 비교 분석 335

3. 지류 유입 유무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분석 339

4. 지류 유입 유량 및 수질변화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분석 341

제8절 남조류 발생에 따른 수질관리방안 수립을 위해 구축된 예측 모형을 적용하여 조건별 가상 시나리오 제시 및 보 구간별 조류 관리 방안 마련 343

1. 수질관리 취약시기 분석 343

2. 조류관리를 위한 시나리오 제시 345

3. 시나리오에 따른 낙동강 남조류 변화 분석 348

제5장 결론 394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397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398

참고문헌 399

〈표 1.1.1〉 조류 경보 시 기관별 조치 사항 20

〈표 1.1.2〉 낙동강 조류 관리 시스템 21

〈표 2.1.1〉 국내 담수 조류의 우점종 26

〈표 3.1.1〉 본류 수질 및 유량측정 지점 31

〈표 3.1.2〉 지류 수질 및 유량측정 지점 32

〈표 3.4.1〉 분석항목에 따른 분석방법 37

〈표 4.1.1〉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하는 강수량 측정소 목록 40

〈표 4.1.2〉 조사지점 근처에 위치하는 유량 관측소 목록 49

〈표 4.2.1〉 율지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세포 수 173

〈표 4.2.2〉 율지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74

〈표 4.2.3〉 율지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75

〈표 4.2.4〉 율지교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77

〈표 4.2.5〉 율지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78

〈표 4.2.6〉 박진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세포 수 180

〈표 4.2.7〉 박진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82

〈표 4.2.8〉 박진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83

〈표 4.2.9〉 박진교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85

〈표 4.2.10〉 박진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86

〈표 4.2.11〉 함안보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세포 수 187

〈표 4.2.12〉 함안보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89

〈표 4.2.13〉 함안보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91

〈표 4.2.14〉 함안보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93

〈표 4.2.15〉 함안보 3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94

〈표 4.2.16〉 청덕교 1차년도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세포 수 196

〈표 4.2.17〉 청덕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198

〈표 4.2.18〉 청덕교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200

〈표 4.2.19〉 송도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세포 수 202

〈표 4.2.20〉 송도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204

〈표 4.2.21〉 송도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206

〈표 4.2.22〉 송도교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208

〈표 4.2.23〉 송도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종별 개체 수 및 총 조류 수 209

〈표 4.2.24〉 동물플랑크톤 총 개체 수 및 우점 종 214

〈표 4.2.25〉 1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생태지수 215

〈표 4.2.26〉 2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생태지수 216

〈표 4.2.27〉 3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생태지수 217

〈표 4.2.28〉 3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 및 출현 세포 수 223

〈표 4.3.1〉 표층별 총 식물성 플랑크톤과 수질인자간의 상관분석 결과 243

〈표 4.3.2〉 중층별 총 식물성 플랑크톤과 수질인자간의 상관분석 결과 245

〈표 4.3.3〉 표층별 남조류와 수질인자간의 상관분석 결과 247

〈표 4.3.4〉 중층별 남조류와 수질인자간의 상관분석 결과 249

〈표 4.4.1〉 CE-QUAL-W2 모형 구성 현황 252

〈표 4.4.2〉 세그먼트 정보 253

〈표 4.4.3〉 남강 유량관측소 현황 257

〈표 4.4.4〉 모형에 포함된 수질항목들 259

〈표 4.4.5〉 Air-dry weights, ash-free dry weights, chlorophyll content and volume of individual cells from natural populations (Reynolds, 2006) 260

〈표 4.4.6〉 기상 자료별 사용 관측 지점 296

〈표 4.6.1〉 최적화한 변수의 목록 325

〈표 4.6.2〉 자동보정에 의한 매개변수 추정 결과 328

〈표 4.7.1〉 자동보정에 의한 매개변수 추정 결과 339

〈표 4.7.2〉 황강의 지류유입 및 수질 변화에 따른 함안보 상류 4km 지점의 남조류 개체수 변화 341

〈표 4.7.3〉 황강의 지류유입 및 수질 변화에 따른 조건수 계산 결과 342

〈표 4.7.4〉 남강의 지류유입 및 수질 변화에 따른 함안보 상류 4km 지점의 남조류 개체수 변화 342

〈표 4.7.5〉 남강의 지류유입 및 수질 변화에 따른 조건수 계산 결과 342

〈표 4.8.1〉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344

〈표 4.8.2〉 남강댐 방류량 조정 운영 개요(2013년) 345

〈표 4.8.3〉 창녕함안보 구간의 운영 개요 345

〈표 4.8.4〉 남강댐 추가 방류 시나리오 346

〈표 4.8.5〉 남강댐 추가 방류 시나리오에 따른 남조류 감소율 분석표 372

〈표 4.8.6〉 남강댐 추가 방류 및 창녕함안보 운영수위 저감 시나리오에 따른 남조류 감소율 분석표 393

〈그림 3.1.1〉 기관별 수위ㆍ유량ㆍ수질 측정 지점 현황 30

〈그림 3.3.1〉 수질 및 조류 모니터링 지점 현황 36

〈그림 4.1.1〉 2014년 조사지점 근처 강수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강수량 (2014.07~11) 41

〈그림 4.1.2〉 2015년 조사지점 근처 강수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강수량 (2015.06~10) 42

〈그림 4.1.3〉 2016년 조사지점 근처 강수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강수량 (2016.07~09) 43

〈그림 4.1.4〉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기온 측정 결과 (2014.07~11) 44

〈그림 4.1.5〉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기온 측정 결과 (2015.06~10) 44

〈그림 4.1.6〉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기온 측정 결과 (2016.07~09) 45

〈그림 4.1.7〉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사량 측정 결과 (2014.07~11) 45

〈그림 4.1.8〉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사량 측정 결과 (2015.06~10) 46

〈그림 4.1.9〉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사량 측정 결과 (2016.07~09) 46

〈그림 4.1.10〉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조시간 측정 결과 (2014.07~11) 47

〈그림 4.1.11〉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조시간 측정 결과 (2015.06~10) 47

〈그림 4.1.12〉 창녕함안보 구간 내에 위치한 관측소들의 평균 일조시간 측정 결과 (2016.07~09) 48

〈그림 4.1.13〉 2014년 조사지점 근처 유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유량 (2014.07~11) 50

〈그림 4.1.14〉 2015년 조사지점 근처 유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유량 (2015.06~10) 51

〈그림 4.1.15〉 2016년 조사지점 근처 유량 측정소에서 측정된 일별 유량 (2016.07~09) 52

〈그림 4.1.16〉 지점별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 (2014년) 53

〈그림 4.1.17〉 지점별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 (2015년) 54

〈그림 4.1.18〉 지점별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 (2016년) 54

〈그림 4.1.19〉 지점별 수심에 따른 pH 변화 (2014년) 55

〈그림 4.1.20〉 지점별 수심에 따른 pH 변화 (2015년) 56

〈그림 4.1.21〉 지점별 수심에 따른 pH 변화 (2016년) 57

〈그림 4.1.22〉 지점별 수심에 따른 DO 변화 (2014년) 57

〈그림 4.1.23〉 지점별 수심에 따른 DO 변화 (2015년) 58

〈그림 4.1.24〉 지점별 수심에 따른 DO 변화 (2016년) 59

〈그림 4.1.25〉 지점별 수심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2014년) 60

〈그림 4.1.26〉 지점별 수심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2015년) 61

〈그림 4.1.27〉 지점별 수심에 따른 전기전도도 변화 (2016년) 61

〈그림 4.1.28〉 2014년 율지교 지점의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2

〈그림 4.1.29〉 2015년 율지교 지점의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3

〈그림 4.1.3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3

〈그림 4.1.31〉 2014년 박진교 지점의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4

〈그림 4.1.32〉 2015년 박진교 지점의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5

〈그림 4.1.3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5

〈그림 4.1.3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6

〈그림 4.1.3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7

〈그림 4.1.3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67

〈그림 4.1.3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인 농도 68

〈그림 4.1.3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인 농도 69

〈그림 4.1.3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인 농도 69

〈그림 4.1.4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70

〈그림 4.1.4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71

〈그림 4.1.42〉 조사기간 동안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인 농도 71

〈그림 4.1.43〉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2

〈그림 4.1.44〉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3

〈그림 4.1.45〉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3

〈그림 4.1.46〉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4

〈그림 4.1.47〉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5

〈그림 4.1.48〉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5

〈그림 4.1.49〉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6

〈그림 4.1.50〉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7

〈그림 4.1.51〉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77

〈그림 4.1.52〉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인산염 인 농도 78

〈그림 4.1.53〉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인산염 인 농도 79

〈그림 4.1.54〉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인산염 인 농도 79

〈그림 4.1.55〉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80

〈그림 4.1.56〉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81

〈그림 4.1.57〉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인산염 인 농도 81

〈그림 4.1.58〉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2

〈그림 4.1.59〉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3

〈그림 4.1.6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3

〈그림 4.1.61〉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4

〈그림 4.1.62〉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5

〈그림 4.1.6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5

〈그림 4.1.6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6

〈그림 4.1.6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7

〈그림 4.1.6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87

〈그림 4.1.6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질소 농도 88

〈그림 4.1.6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질소 농도 89

〈그림 4.1.6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질소 농도 89

〈그림 4.1.7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90

〈그림 4.1.7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91

〈그림 4.1.72〉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질소 농도 91

〈그림 4.1.73〉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2

〈그림 4.1.74〉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3

〈그림 4.1.75〉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3

〈그림 4.1.76〉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4

〈그림 4.1.77〉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5

〈그림 4.1.78〉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5

〈그림 4.1.79〉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6

〈그림 4.1.80〉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7

〈그림 4.1.81〉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7

〈그림 4.1.82〉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8

〈그림 4.1.83〉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9

〈그림 4.1.84〉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99

〈그림 4.1.85〉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100

〈그림 4.1.86〉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101

〈그림 4.1.87〉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질산성 질소 농도 101

〈그림 4.1.88〉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2

〈그림 4.1.89〉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3

〈그림 4.1.9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3

〈그림 4.1.91〉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4

〈그림 4.1.92〉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5

〈그림 4.1.9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5

〈그림 4.1.9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6

〈그림 4.1.9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7

〈그림 4.1.9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7

〈그림 4.1.9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8

〈그림 4.1.9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9

〈그림 4.1.9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09

〈그림 4.1.10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10

〈그림 4.1.10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11

〈그림 4.1.102〉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 111

〈그림 4.1.103〉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2

〈그림 4.1.104〉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3

〈그림 4.1.105〉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3

〈그림 4.1.106〉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4

〈그림 4.1.107〉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5

〈그림 4.1.108〉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5

〈그림 4.1.109〉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6

〈그림 4.1.110〉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7

〈그림 4.1.111〉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7

〈그림 4.1.112〉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8

〈그림 4.1.113〉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9

〈그림 4.1.114〉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19

〈그림 4.1.115〉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20

〈그림 4.1.116〉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21

〈그림 4.1.117〉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클로로필 a 농도 121

〈그림 4.1.118〉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2

〈그림 4.1.119〉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3

〈그림 4.1.12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3

〈그림 4.1.121〉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4

〈그림 4.1.122〉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5

〈그림 4.1.12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5

〈그림 4.1.12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6

〈그림 4.1.12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7

〈그림 4.1.12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7

〈그림 4.1.12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8

〈그림 4.1.12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9

〈그림 4.1.12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29

〈그림 4.1.13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30

〈그림 4.1.13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31

〈그림 4.1.132〉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부유물질 농도 131

〈그림 4.1.133〉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2

〈그림 4.1.134〉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3

〈그림 4.1.135〉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3

〈그림 4.1.136〉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4

〈그림 4.1.137〉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5

〈그림 4.1.138〉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5

〈그림 4.1.139〉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6

〈그림 4.1.140〉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7

〈그림 4.1.141〉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37

〈그림 4.1.142〉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COD 농도 138

〈그림 4.1.143〉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COD 농도 139

〈그림 4.1.144〉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COD 농도 139

〈그림 4.1.145〉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40

〈그림 4.1.146〉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41

〈그림 4.1.147〉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COD 농도 141

〈그림 4.1.148〉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2

〈그림 4.1.149〉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3

〈그림 4.1.15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3

〈그림 4.1.151〉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4

〈그림 4.1.152〉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5

〈그림 4.1.15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5

〈그림 4.1.15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6

〈그림 4.1.15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7

〈그림 4.1.15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47

〈그림 4.1.15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TOC 농도 148

〈그림 4.1.15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TOC 농도 149

〈그림 4.1.15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TOC 농도 149

〈그림 4.1.16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50

〈그림 4.1.16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51

〈그림 4.1.162〉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TOC 농도 151

〈그림 4.1.163〉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2

〈그림 4.1.164〉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3

〈그림 4.1.165〉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3

〈그림 4.1.166〉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4

〈그림 4.1.167〉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5

〈그림 4.1.168〉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5

〈그림 4.1.169〉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6

〈그림 4.1.170〉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7

〈그림 4.1.171〉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7

〈그림 4.1.172〉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8

〈그림 4.1.173〉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9

〈그림 4.1.174〉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총 규산염 농도 159

〈그림 4.1.175〉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60

〈그림 4.1.176〉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61

〈그림 4.1.177〉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총 규산염 농도 161

〈그림 4.1.178〉 2014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2

〈그림 4.1.179〉 2015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3

〈그림 4.1.180〉 2016년 율지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3

〈그림 4.1.181〉 2014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4

〈그림 4.1.182〉 2015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5

〈그림 4.1.183〉 2016년 박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5

〈그림 4.1.184〉 2014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6

〈그림 4.1.185〉 2015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7

〈그림 4.1.186〉 2016년 함안보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7

〈그림 4.1.187〉 2014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8

〈그림 4.1.188〉 2015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9

〈그림 4.1.189〉 2016년 청덕교 지점 표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69

〈그림 4.1.190〉 2014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70

〈그림 4.1.191〉 2015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71

〈그림 4.1.192〉 2016년 송도교 지점 표층과 중저층의 용존 규산염 농도 171

〈그림 4.2.1〉 율지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72

〈그림 4.2.2〉 율지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74

〈그림 4.2.3〉 율지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75

〈그림 4.2.4〉 율지교 3차년도 표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76

〈그림 4.2.5〉 율지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77

〈그림 4.2.6〉 박진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79

〈그림 4.2.7〉 박진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81

〈그림 4.2.8〉 박진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82

〈그림 4.2.9〉 박진교 3차년도 표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84

〈그림 4.2.10〉 박진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85

〈그림 4.2.11〉 함안보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87

〈그림 4.2.12〉 함안보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88

〈그림 4.2.13〉 함안보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90

〈그림 4.2.14〉 함안보 3차년도 표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92

〈그림 4.2.15〉 함안보 3차년도 중저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193

〈그림 4.2.16〉 청덕교 1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95

〈그림 4.2.17〉 청덕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97

〈그림 4.2.18〉 청덕교 3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199

〈그림 4.2.19〉 송도교 1차년도 표층/중저층 평균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201

〈그림 4.2.20〉 송도교 2차년도 표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203

〈그림 4.2.21〉 송도교 2차년도 중저층 식물플랑크톤 개체 수 205

〈그림 4.2.22〉 송도교 3차년도 표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207

〈그림 4.2.23〉 송도교 3차년도 중저층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 208

〈그림 4.2.24〉 1차년도 각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수 210

〈그림 4.2.25〉 2차년도 각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수 211

〈그림 4.2.26〉 3차년도 각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수 212

〈그림 4.2.27〉 함안보 동물 플랑크톤 개체 수 213

〈그림 4.2.28〉 송도교 동물 플랑크톤 개체 수 213

〈그림 4.2.29〉 박진교 동물 플랑크톤 개체 수 213

〈그림 4.2.30〉 율지교 동물 플랑크톤 개체 수 214

〈그림 4.2.31〉 3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다양도 218

〈그림 4.2.32〉 3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균등도 218

〈그림 4.2.33〉 3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풍부도 219

〈그림 4.2.34〉 3차년도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우점도 219

〈그림 4.2.35〉 1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종 비율 220

〈그림 4.2.36〉 1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세포 수 비율 220

〈그림 4.2.37〉 2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종 비율 221

〈그림 4.2.38〉 2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세포 수 비율 221

〈그림 4.2.39〉 3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종 비율 222

〈그림 4.2.40〉 3차년도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 세포 수 비율 222

〈그림 4.2.41〉 율지교 2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27

〈그림 4.2.42〉 율지교 2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27

〈그림 4.2.43〉 율지교 3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28

〈그림 4.2.44〉 율지교 3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29

〈그림 4.2.45〉 박진교 2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0

〈그림 4.2.46〉 박진교 2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0

〈그림 4.2.47〉 박진교 3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1

〈그림 4.2.48〉 박진교 3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2

〈그림 4.2.49〉 함안보 2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3

〈그림 4.2.50〉 함안보 2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3

〈그림 4.2.51〉 함안보 3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4

〈그림 4.2.52〉 함안보 3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5

〈그림 4.2.53〉 청덕교 2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6

〈그림 4.2.54〉 청덕교 2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6

〈그림 4.2.55〉 청덕교 3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7

〈그림 4.2.56〉 청덕교 3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8

〈그림 4.2.57〉 송도교 2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39

〈그림 4.2.58〉 송도교 2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239

〈그림 4.2.59〉 송도교 3차년도 주요 식물플랑크톤 천이 241

〈그림 4.2.60〉 송도교 3차년도 남조류 종 간 천이 상관관계 분석 결과 241

〈그림 4.4.1〉 CE-QUAL-W2의 조류 계산 구조 250

〈그림 4.4.2〉 낙동강의 하천 종단도 및 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 구간의 대표 경사 251

〈그림 4.4.3〉 CE-QUAL-W2 모형의 지형자료 구성 252

〈그림 4.4.4〉 합천창녕보 총 방류량 - 2015년 254

〈그림 4.4.5〉 합천창녕보 총 방류량 - 2016년 254

〈그림 4.4.6〉 창녕함안보 직상류 수위 - 2015년 255

〈그림 4.4.7〉 창녕함안보 직상류 수위 - 2016년 255

〈그림 4.4.8〉 황강 유입 유량 - 2015년 256

〈그림 4.4.9〉 황강 유입 유량 - 2016년 256

〈그림 4.4.10〉 남강 유입 유량(정암관측소) - 2015년 258

〈그림 4.4.11〉 남강 유입 유량(정암관측소) - 2016년 258

〈그림 4.4.12〉 상류 경계 수온 - 2015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1

〈그림 4.4.13〉 상류 경계 수온 - 2016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1

〈그림 4.4.14〉 상류 경계 용존산소 - 2015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2

〈그림 4.4.15〉 상류 경계 용존산소 - 2016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2

〈그림 4.4.16〉 상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5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2

〈그림 4.4.17〉 상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6년 적포 자동 수질 관측소 263

〈그림 4.4.18〉 상류 경계 부유물질 - 2015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3

〈그림 4.4.19〉 상류 경계 부유물질 - 2016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3

〈그림 4.4.20〉 상류 경계 인산염인 - 2015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4

〈그림 4.4.21〉 상류 경계 인산염인 - 2016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4

〈그림 4.4.22〉 상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5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4

〈그림 4.4.23〉 상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6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5

〈그림 4.4.24〉 상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5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5

〈그림 4.4.25〉 상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6년 덕곡 수질 관측소 265

〈그림 4.4.26〉 상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5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6

〈그림 4.4.27〉 상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6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6

〈그림 4.4.28〉 상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5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6

〈그림 4.4.29〉 상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6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7

〈그림 4.4.30〉 상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5년 합천창녕보 상류 500m 지점 267

〈그림 4.4.31〉 상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6년 합천창녕보 상류 500m 지점 267

〈그림 4.4.32〉 상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5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8

〈그림 4.4.33〉 상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6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8

〈그림 4.4.34〉 상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5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8

〈그림 4.4.35〉 상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6년 율지교 모니터링 자료 269

〈그림 4.4.36〉 하류 경계 수온 - 2015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69

〈그림 4.4.37〉 하류 경계 수온 - 2016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70

〈그림 4.4.38〉 하류 경계 용존 산소 - 2015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70

〈그림 4.4.39〉 하류 경계 용존 산소 - 2016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70

〈그림 4.4.40〉 하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5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71

〈그림 4.4.41〉 하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6년 청암 자동 수질 관측소 271

〈그림 4.4.42〉 하류 경계 부유물질 - 2015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1

〈그림 4.4.43〉 하류 경계 부유물질 - 2016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2

〈그림 4.4.44〉 하류 경계 인산염인 - 2015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2

〈그림 4.4.45〉 하류 경계 인산염인 - 2016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2

〈그림 4.4.46〉 하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5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3

〈그림 4.4.47〉 하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6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3

〈그림 4.4.48〉 하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5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3

〈그림 4.4.49〉 하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6년 함안 수질 관측소 274

〈그림 4.4.50〉 하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5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4

〈그림 4.4.51〉 하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6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4

〈그림 4.4.52〉 하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5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5

〈그림 4.4.53〉 하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6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5

〈그림 4.4.54〉 하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5년 창녕함안보 상류 500m 275

〈그림 4.4.55〉 하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6년 창녕함안보 상류 500m 276

〈그림 4.4.56〉 하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5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6

〈그림 4.4.57〉 하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6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6

〈그림 4.4.58〉 하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5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7

〈그림 4.4.59〉 하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6년 창녕함안보 모니터링 자료 277

〈그림 4.4.60〉 황강 지류 경계 수온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8

〈그림 4.4.61〉 황강 지류 경계 수온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8

〈그림 4.4.62〉 황강 지류 경계 용존산소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8

〈그림 4.4.63〉 황강 지류 경계 용존산소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9

〈그림 4.4.64〉 황강 지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9

〈그림 4.4.65〉 황강 지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79

〈그림 4.4.66〉 황강 지류 경계 부유물질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0

〈그림 4.4.67〉 황강 지류 경계 부유물질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0

〈그림 4.4.68〉 황강 지류 경계 인산염인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0

〈그림 4.4.69〉 황강 지류 경계 인산염인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1

〈그림 4.4.70〉 황강 지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1

〈그림 4.4.71〉 황강 지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1

〈그림 4.4.72〉 황강 지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5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2

〈그림 4.4.73〉 황강 지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6년 황강5 수질 관측소 282

〈그림 4.4.74〉 황강 지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5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2

〈그림 4.4.75〉 황강 지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6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3

〈그림 4.4.76〉 황강 지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5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3

〈그림 4.4.77〉 황강 지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6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3

〈그림 4.4.78〉 황강 지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5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4

〈그림 4.4.79〉 황강 지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6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4

〈그림 4.4.80〉 황강 지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5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4

〈그림 4.4.81〉 황강 지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6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5

〈그림 4.4.82〉 황강 지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5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5

〈그림 4.4.83〉 황강 지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6년 청덕교 모니터링 자료 285

〈그림 4.4.84〉 남강 지류 경계 수온 - 2015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6

〈그림 4.4.85〉 남강 지류 경계 수온 - 2016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6

〈그림 4.4.86〉 남강 지류 경계 용존 산소 - 2015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7

〈그림 4.4.87〉 남강 지류 경계 용존 산소 - 2016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7

〈그림 4.4.88〉 남강 지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5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7

〈그림 4.4.89〉 남강 지류 경계 총 유기탄소 - 2016년 남강 자동 수질관측소 288

〈그림 4.4.90〉 남강 지류 경계 부유물질 - 2015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88

〈그림 4.4.91〉 남강 지류 경계 부유물질 - 2016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88

〈그림 4.4.92〉 남강 지류 경계 인산염인 - 2015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89

〈그림 4.4.93〉 남강 지류 경계 인산염인 - 2016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89

〈그림 4.4.94〉 남강 지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5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89

〈그림 4.4.95〉 남강 지류 경계 암모니아성 질소 - 2016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90

〈그림 4.4.96〉 남강 지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5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90

〈그림 4.4.97〉 남강 지류 경계 질산성 질소 - 2016년 남강 4-1 수질관측소 290

〈그림 4.4.98〉 남강 지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5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1

〈그림 4.4.99〉 남강 지류 경계 용존성 실리카 - 2016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1

〈그림 4.4.100〉 남강 지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5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1

〈그림 4.4.101〉 남강 지류 경계 입자성 실리카 - 2016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2

〈그림 4.4.102〉 남강 지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5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2

〈그림 4.4.103〉 남강 지류 경계 남조류 농도 - 2016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2

〈그림 4.4.104〉 남강 지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5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3

〈그림 4.4.105〉 남강 지류 경계 규조류 농도 - 2016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3

〈그림 4.4.106〉 남강 지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5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3

〈그림 4.4.107〉 남강 지류 경계 녹조류 농도 - 2016년 송도교 모니터링 자료 294

〈그림 4.4.108〉 대상 지역의 기상 관측소 현황 295

〈그림 4.4.109〉 2015년 대기 온도 - 합천(285) 296

〈그림 4.4.110〉 2016년 대기 온도 - 합천(285) 297

〈그림 4.4.111〉 2015년 이슬점 온도 - 합천(285) 297

〈그림 4.4.112〉 2016년 이슬점 온도 - 합천(285) 297

〈그림 4.4.113〉 2015년 풍향 - 합천(285) 298

〈그림 4.4.114〉 2016년 풍향 - 합천(285) 298

〈그림 4.4.115〉 2015년 풍속 - 합천(285) 298

〈그림 4.4.116〉 2016년 풍속 - 합천(285) 299

〈그림 4.4.117〉 2015년 전운량 - 대구(기) 176, 대구(143) 299

〈그림 4.4.118〉 2016년 전운량 - 대구(143) 299

〈그림 4.4.119〉 2015년 일사량 - 대구(143) 300

〈그림 4.4.120〉 2016년 일사량 - 대구(143) 300

〈그림 4.5.1〉 2015년 수위 모의 결과 - 진동 301

〈그림 4.5.2〉 2016년 수위 모의 결과 - 진동 302

〈그림 4.5.3〉 2015년 수온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3

〈그림 4.5.4〉 2015년 수온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3

〈그림 4.5.5〉 2015년 수온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03

〈그림 4.5.6〉 2016년 수온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4

〈그림 4.5.7〉 2016년 수온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4

〈그림 4.5.8〉 2016년 수온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04

〈그림 4.5.9〉 2015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6

〈그림 4.5.10〉 2015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6

〈그림 4.5.11〉 2015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6

〈그림 4.5.12〉 2015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7

〈그림 4.5.13〉 2015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07

〈그림 4.5.14〉 2015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7

〈그림 4.5.15〉 2015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8

〈그림 4.5.16〉 2015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8

〈그림 4.5.17〉 2015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8

〈그림 4.5.18〉 2015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09

〈그림 4.5.19〉 2015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09

〈그림 4.5.20〉 2015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09

〈그림 4.5.21〉 2015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0

〈그림 4.5.22〉 2015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0

〈그림 4.5.23〉 2015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0

〈그림 4.5.24〉 2016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12

〈그림 4.5.25〉 2016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12

〈그림 4.5.26〉 2016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12

〈그림 4.5.27〉 2016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13

〈그림 4.5.28〉 2016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합천 수질 관측소 313

〈그림 4.5.29〉 2016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13

〈그림 4.5.30〉 2016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14

〈그림 4.5.31〉 2016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14

〈그림 4.5.32〉 2016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14

〈그림 4.5.33〉 2016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용산 수질 관측소 315

〈그림 4.5.34〉 2016년 부유물질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5

〈그림 4.5.35〉 2016년 인산염인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5

〈그림 4.5.36〉 2016년 암모니아성 질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6

〈그림 4.5.37〉 2016년 질산성 질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6

〈그림 4.5.38〉 2016년 용존산소 모의 결과 - 남지 수질 관측소 316

〈그림 4.5.39〉 칠서취수장(창녕함안보 상류 12km) 지점의 남조류 세포수 모의 결과 - 2015년 317

〈그림 4.5.40〉 칠서취수장(창녕함안보 상류 12km) 지점의 남조류 세포수 모의 결과 - 2016년 317

〈그림 4.6.1〉 Flowchart of the SCE-UA algorithm (Duan, 1991)(원문불량) 320

〈그림 4.6.2〉 CE-QUAL-W2의 전처리 사용자 편의환경 321

〈그림 4.6.3〉 CE-QUAL-W2의 입력파일(W2_con.npt) 일부 322

〈그림 4.6.4〉 CE-QUAL-W2 자동보정 프로그램의 흐름도 323

〈그림 4.6.5〉 CE-QUAL-W2 자동보정 프로그램 소스코드 작성 324

〈그림 4.6.6〉 SCE_IN.DAT 파일의 구성 324

〈그림 4.6.7〉 자동 보정 전ㆍ후의 남조류 세포수 모의 결과 - 칠서 취수장 328

〈그림 4.6.8〉 자동 보정 전ㆍ후의 온도에 따른 조류 성장비 λT의 변화 329

〈그림 4.6.9〉 2016년 남조류 세포수 모의 결과 - 칠서 취수장 329

〈그림 4.7.1〉 합천댐 유역의 오염원 분포 현황(국립환경과학원 등, 2013) 331

〈그림 4.7.2〉 황강 유역의 오염원 분포 현황(국립환경과학원 등, 2013) 332

〈그림 4.7.3〉 남강댐 유역의 오염원 분포 현황(국립환경과학원 등, 2013) 333

〈그림 4.7.4〉 남강 유역의 오염원 분포 현황(국립환경과학원 등, 2013) 334

〈그림 4.7.5〉 지류별 월 평균 유량(2013~2015) 335

〈그림 4.7.6〉 TN 336

〈그림 4.7.7〉 NO₃-N 336

〈그림 4.7.8〉 NH₄-N 337

〈그림 4.7.9〉 TP 337

〈그림 4.7.10〉 PO₄-P 338

〈그림 4.7.11〉 Chl-a 338

〈그림 4.7.12〉 지류 유입 유무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창녕함안보 상류 4km 지점 340

〈그림 4.8.1〉 창녕함안보 조류 경보제 지점 남조류 개체수 (2014~2016) 343

〈그림 4.8.2〉 시나리오별 남강댐 추가 방류에 총 방류량 및 저수율 347

〈그림 4.8.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3일 00:00 349

〈그림 4.8.4〉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3일 12:00 350

〈그림 4.8.5〉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4일 00:00 350

〈그림 4.8.6〉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4일 12:00 351

〈그림 4.8.7〉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0:00 351

〈그림 4.8.8〉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0:00 353

〈그림 4.8.9〉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6:00 353

〈그림 4.8.10〉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9:00 354

〈그림 4.8.11〉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2:00 354

〈그림 4.8.12〉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5:00 355

〈그림 4.8.1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8:00 355

〈그림 4.8.14〉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21:00 356

〈그림 4.8.15〉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0:00 356

〈그림 4.8.16〉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3:00 357

〈그림 4.8.17〉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6:00 357

〈그림 4.8.18〉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9:00 358

〈그림 4.8.19〉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2:00 358

〈그림 4.8.20〉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5:00 359

〈그림 4.8.21〉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8:00 359

〈그림 4.8.22〉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21:00 360

〈그림 4.8.2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0:00 360

〈그림 4.8.24〉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3:00 361

〈그림 4.8.25〉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6:00 361

〈그림 4.8.26〉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9:00 362

〈그림 4.8.27〉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2:00 362

〈그림 4.8.28〉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5:00 363

〈그림 4.8.29〉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8:00 363

〈그림 4.8.30〉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21:00 364

〈그림 4.8.31〉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00:00 364

〈그림 4.8.32〉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03:00 366

〈그림 4.8.3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06:00 366

〈그림 4.8.34〉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09:00 367

〈그림 4.8.35〉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12:00 367

〈그림 4.8.36〉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15:00 368

〈그림 4.8.37〉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18:00 368

〈그림 4.8.38〉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8일 21:00 369

〈그림 4.8.39〉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9일 00:00 369

〈그림 4.8.40〉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9일 12:00 370

〈그림 4.8.41〉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20일 00:00 370

〈그림 4.8.42〉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20일 12:00 371

〈그림 4.8.4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4번 세그먼트 373

〈그림 4.8.44〉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5번 세그먼트 373

〈그림 4.8.45〉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6번 세그먼트 374

〈그림 4.8.46〉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7번 세그먼트 374

〈그림 4.8.47〉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8번 세그먼트 375

〈그림 4.8.48〉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39번 세그먼트 375

〈그림 4.8.49〉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40번 세그먼트 376

〈그림 4.8.50〉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41번 세그먼트 376

〈그림 4.8.51〉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42번 세그먼트 377

〈그림 4.8.52〉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43번 세그먼트 377

〈그림 4.8.53〉 시나리오 1~3-A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44번 세그먼트 378

〈그림 4.8.54〉 시나리오 B에 따른 창녕함안보 구간의 운영수위 379

〈그림 4.8.55〉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3:00 381

〈그림 4.8.56〉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6:00 381

〈그림 4.8.57〉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09:00 382

〈그림 4.8.58〉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2:00 382

〈그림 4.8.59〉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5:00 383

〈그림 4.8.60〉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18:00 383

〈그림 4.8.61〉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5일 21:00 384

〈그림 4.8.62〉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0:00 384

〈그림 4.8.63〉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3:00 385

〈그림 4.8.64〉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6:00 385

〈그림 4.8.65〉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09:00 386

〈그림 4.8.66〉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2:00 386

〈그림 4.8.67〉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5:00 387

〈그림 4.8.68〉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18:00 387

〈그림 4.8.69〉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6일 21:00 388

〈그림 4.8.70〉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0:00 388

〈그림 4.8.71〉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3:00 389

〈그림 4.8.72〉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6:00 389

〈그림 4.8.73〉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09:00 390

〈그림 4.8.74〉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2:00 390

〈그림 4.8.75〉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5:00 391

〈그림 4.8.76〉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18:00 391

〈그림 4.8.77〉 시나리오 1~3-B에 따른 남조류 개체수 변화 - 2015년 8월 17일 21:00 39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33987 363.7394 -17-4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3988 363.7394 -17-4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