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봉화군 소하천정비종합계획(1차) 보고서 / 봉화군 [편] 인기도
발행사항
봉화군 : 봉화군, 2017
청구기호
627.12 -17-10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총서사항
봉화군 고시 ; 제2017-84호
제어번호
MONO1201767444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주식회사 한도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참고문헌 수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20

1.1. 과업의 목적 21

1.2. 과업의 범위 21

1.3. 과업의 내용 35

1.3.1. 현지조사 35

1.3.2. 소하천 측량 35

1.3.3.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35

1.3.4. 보고서 작성 및 성과품 제출 37

제2장 과업범위 조정 38

2.1. 대상 소하천 현황 39

2.2. 과업범위 조정 101

2.2.1. 지정 및 조정 기준 101

2.2.2. 소하천의 지정 폐지 및 신규 지정 104

2.2.3. 소하천명 조정 104

2.2.4. 소하천연장 및 유역면적 조정 104

제3장 소하천 측량 105

3.1. 기준점측량 106

3.2. 지형현황측량 108

3.3. 종단측량 108

3.4. 횡단측량 108

3.5. 표석매설 109

3.6. 지적평면도 작성 112

제4장 기초현황 조사 113

4.1. 유역특성 조사 114

4.1.1. 전체 유역의 개황 및 특성 114

4.1.2. 유역의 평면적 특성 115

4.1.3. 유역의 입체적 톡성 118

4.1.4. 유역의 자연현황 144

4.2. 하도특성 조사 169

4.2.1. 하도의 형태 169

4.3. 기초수문 조사 176

4.3.1. 기초수문 현황 176

4.3.2. 수문관측기록 180

4.3.3. 한국의 기상 187

4.3.4. 유역의 기상 현황 188

4.4. 소하천환경 조사 191

4.4.1. 수환경의 보전 191

4.4.2. 하천 생태조사 220

4.4.3. 하천 자연환경 230

4.5. 피해현황 및 소하천사업 연혁 조사 237

4.5.1. 홍수현황 및 치수사업 237

4.5.2. 가뭄피해 현황 249

4.5.3. 치수사업 연혁 269

4.6. 소하천 이용현황 조사 272

4.6.1. 생활용수 272

4.6.2. 공업용수 272

4.6.3. 농업용수 273

4.7. 관련계획 조사 279

4.7.1. 상위계획 279

제5장 종합계획 수립방향 설정 326

5.1. 종합계획 기본방향 327

5.1.1. 기본방향 327

5.1.2. 경계소하천의 관리방안 329

5.2. 재해예방계획 분야 333

5.2.1. 하천재해 333

5.2.2. 토사재해 335

5.3. 이수 및 친수계획 분야 343

5.3.1. 이수적 측면 343

5.3.2. 친수적 측면 343

5.3.3. 소하천공간 정비 기본방침 344

5.4. 환경계획 분야 345

5.4.1. 환경적 측면 345

5.5. 유지관리계획 분야 347

5.5.1. 하천관리와 행정 347

5.5.2. 유지관리 일반사항 347

5.5.3. 소하천 주요 구조물 유지관리 348

5.5.4. 평시 관리 357

5.5.5. 수방 관리 358

5.6. 타 분야 계획과의 연계 및 조정 분야 361

제6장 홍수량 산정 및 유황분석 362

6.1. 강우분석 363

6.1.1. 강우량자료 수집 및 검정 363

6.1.2. 확률강우량 산정 377

6.1.3.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398

6.2. 홍수량 산정 403

6.2.1. 홍수량 산정지점 403

6.2.2. 유효강우량 산정 413

6.2.3. 지형인자 및 매개변수 산정 424

6.2.4. 확률홍수량 산정 443

6.2.5. 조절홍수량 산정 528

6.2.6.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결정 532

6.2.7. 기수립, 금회 홍수량 산정결과 비교 및 검토 542

6.3. 유출 및 유황분석 550

6.3.1. 유출분석 550

6.3.2. 수자원 부존량 559

6.3.3. 유황분석 562

6.3.4. 유수 이용현황 565

6.3.5. 소하천 유지유량의 산정 565

6.3.6. 하천 유지용수의 결정 573

6.3.7. 용수수요량 예측 및 산정 585

6.3.8. 물수지분석 604

6.3.9. 유지용수 확보방안 633

제7장 하상변동 분석 634

7.1. 하상변동 분석 635

7.1.1. 하상재료 조사 635

7.1.2. 유사량 산정 641

7.1.3. 하상변동 예측 655

제8장 소하천의 종합적인 정비계획 수립 768

8.1. 소하천공간 정비계획 769

8.1.1. 소하천공간 관리 769

8.1.2. 소하천의 구간 구분 771

8.1.3. 소하천의 공간관리 계획 771

8.2. 하도정비계획 813

8.2.1. 하도정비계획 수립 절차 813

8.2.2. 개수 전 홍수위 산정 및 정비구간 설정 813

8.2.3. 하도계획 829

8.2.4. 개수 후 홍수위 산정을 통한 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결정 837

8.2.5. 특이구간 검토 1041

8.2.6. 종단계획 1046

8.3. 소하천시설 정비계획 1058

8.3.1. 기존 시설물 현황 1058

8.3.2. 기존 시설물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1060

8.4. 소하천별 시설물 계획 총괄 1249

제9장 치수경제성 분석 및 시행계획 수립 1252

9.1. 치수경제성 분석의 개요 1253

9.1.1. 치수경제성 분석 목적 1253

9.1.2. 치수경제성 분석 방법 1253

9.1.3.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 및 범위 1254

9.2. 치수경제성 분석 1270

9.2.1. 피해액의 종류 및 산정방법 1270

9.2.2. 투자효율 분석 1278

9.2.3. 치수경제성 분석 1280

9.3. 투자 우선순위 1297

9.3.1. AHP 기법 1297

9.3.2. 평가기준 1298

9.3.3. 가중치 산정 1301

9.3.4. 투자우선순위 결정 1301

9.4. 단기 및 중장기 시행계획 1304

9.4.1. 사업비 산정 1304

9.4.2. 연차별 투자 계획 1306

제10장 소하천 다목적 이용 및 주민 소득증대 방안 1308

10.1. 소하천 다목적 이용 방안 1309

10.1.1. 고수부지 이용 및 활용 방안 1309

10.1.2. 폐천부지 이용 및 활용 방안 1309

10.2. 주민 소득증대 방안 1309

10.2.1. 지역주민에게 돌아가는 수혜 정도 1309

10.2.2. 소하천의 다양한 이용 방안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도 1312

제11장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313

11.1. 기본사항 1314

11.2. 기대효과 1314

11.2.1. 치수사업 1314

11.2.2. 치수계획 수립 및 기존시설물 검토 1314

11.3. 활용방안 1315

11.3.1. 재해예방 및 하천관리 측면 1315

11.3.2. 이수·친수 및 환경보전 측면 1315

제12장 기타 참고자료 1316

12.1. 과업추진 현황 및 계획 1317

12.2. 첨부자료 1318

12.3. 참고문헌 1405

12.4. 참여자명단 1409

〈표 1.2-1〉 과업의 범위 22

〈표 2.2-1〉 소하천별 과업연장 및 유역면적 검토 결과 102

〈표 3.1-1〉 국토지리정보원 기준점(수준점) 성과표 106

〈표 3.1-2〉 소하천별 측량범위 107

〈표 3.5-1〉 표석매설 성과 109

〈표 4.1-1〉 유역의 평면적 특성 115

〈표 4.1-2〉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18

〈표 4.1-3〉 소하천별 평균고도 및 평균경사 125

〈표 4.1-4〉 경사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27

〈표 4.1-5〉 유역의 경사향 분포 134

〈표 4.1-6〉 지질 계통표(풍기) 144

〈표 4.1-7〉 지질 계통표(춘양) 145

〈표 4.1-8〉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150

〈표 4.1-9〉 수문학적 토양군 분류 151

〈표 4.1-10〉 토양형별 면적분포 152

〈표 4.1-11〉 행정구역별 토지이용현황 159

〈표 4.1-12〉 소하천별 토지이용현황 159

〈표 4.1-13〉 소유권별 임야면적 166

〈표 4.1-14〉 행정구역별 임상별 임야면적 166

〈표 4.1-15〉 소하천별 임상별 임야면적 167

〈표 4.2-1〉 하천별 주요구간의 하상경사 169

〈표 4.3-1〉 전국 및 경북관내 기상 현황 176

〈표 4.3-2〉 기상관측소 현황 177

〈표 4.3-3〉 우량관측소 현황 178

〈표 4.3-4〉 수위관측소 현황 178

〈표 4.3-5〉 영주관측소 월별강수량 180

〈표 4.3-6〉 봉화관측소 월별강수량 182

〈표 4.3-7〉 태백관측소 월별강수량 183

〈표 4.3-8〉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송리원수위관측소) 185

〈표 4.3-9〉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소천수위관측소) 186

〈표 4.3-10〉 월별 기상현황 189

〈표 4.4-1〉 취수장 현황 191

〈표 4.4-2〉 정수장 헌황 191

〈표 4.4-3〉 상수도 현황 192

〈표 4.4-4〉 하수도 현황 192

〈표 4.4-5〉 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192

〈표 4.4-6〉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193

〈표 4.4-7〉 분뇨처리시설 현황 193

〈표 4.4-8〉 수질 채수지점 194

〈표 4.4-9〉 수질 조사지점 196

〈표 4.4-10〉 하천수질 분석기기 및 분석방법 196

〈표 4.4-11〉 하천저질 분석기기 및 분석방법 197

〈표 4.4-12〉 하천수질 분석결과 200

〈표 4.4-13〉 상수원보호구역 및 저수지 상류 소재 소하천 현황 208

〈표 4.4-14〉 하천저질 분석결과 209

〈표 4.4-15〉 하천수질 생활환경기준 217

〈표 4.4-16〉 하천수질 사람의 건강보호기준 218

〈표 4.4-17〉 토양오염우려기준 및 토양오염대책기준 218

〈표 4.4-18〉 국내 하천 및 호수 퇴적물 제거기준 219

〈표 4.4-19〉 토양환경기준 220

〈표 4.4-20〉 생태계교란야생생물 관리방안 229

〈표 4.4-21〉 봉화군의 주요 자연환경자산 231

〈표 4.4-22〉 주요 법정보호종 232

〈표 4.4-23〉 야생생물 보호구역 현황 232

〈표 4.4-24〉 자연공원 지정 현황 233

〈표 4.4-25〉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현황 233

〈표 4.4-26〉 백두대간 보호지역 현황 234

〈표 4.4-27〉 상수원보호구역 지정현황 235

〈표 4.4-28〉 배출 허용기준(폐수) 적용지역 지정 현황 236

〈표 4.4-29〉 저황유 공급 및 사용지역 현황 236

〈표 4.5-1〉 과거 주요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피해액순) 238

〈표 4.5-2〉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태풍 238

〈표 4.5-3〉 연도별 피해액 241

〈표 4.5-4〉 연도별 유형별 피해현황(봉화군) 242

〈표 4.5-5〉 유역내 재해현황 242

〈표 4.5-6〉 가뭄의 정의 250

〈표 4.5-7〉 과우일수에 의한 가뭄빈도(과우량 70mm 기준) 252

〈표 4.5-8〉 과우일수(봉화관측소) 252

〈표 4.5-9〉 연도별 최저 저수율(경상북도) 253

〈표 4.5-10〉 저수율에 의한 가뭄빈도 253

〈표 4.5-11〉 주요 가뭄발생 년도 254

〈표 4.5-12〉 과거 봄 가뭄의 피해이력 256

〈표 4.5-13〉 1900년대의 가뭄발생현황과 가뭄대책 257

〈표 4.5-14〉 우리나라 5대 가뭄 258

〈표 4.5-15〉 주요 가뭄 발생 현황 259

〈표 4.5-16〉 우리나라 주요 가뭄 발생년도 및 유역, 해갈 직전의 월 259

〈표 4.5-17〉 2012년 6월7일의 기상청 보도자료에 제시된 최근 10년간의 가뭄 사례 259

〈표 4.5-18〉 2012년 전국 강수량 현황 260

〈표 4.5-19〉 2012년 경북지역 강수량 현황 261

〈표 4.5-20〉 2012년 전국 저수율 현황 262

〈표 4.5-21〉 2012년 경북지역 저수율 현황 263

〈표 4.5-22〉 2012년 6월 용수부족 면적 264

〈표 4.5-23〉 봉화군 가뭄피해 상황 및 대책(논) 264

〈표 4.5-24〉 생활용수 가뭄피해상황 및 대책 264

〈표 4.5-25〉 가뭄대책 268

〈표 4.5-26〉 개수현황 269

〈표 4.6-1〉 봉화군 생활용수 상수도 현황 272

〈표 4.6-2〉 수리시설물 현황 273

〈표 4.6-3〉 저수지 현황 274

〈표 4.6-4〉 소류지(군관리) 275

〈표 4.6-5〉 보 (군관리) 276

〈표 4.6-6〉 소형관정 현황 - 몽리면적 0.3ha 이내, 심도 12m 정도 277

〈표 4.6-7〉 암반관정 현황 - 몽리면적 0.3ha 정도, 심도 100~200m 정도 277

〈표 4.6-8〉 양수장(군관리) 278

〈표 4.6-9〉 집수암거(군관리) 278

〈표 5.1-1〉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세부 정비계획 328

〈표 5.1-2〉 시·군 경계소하천 현황 329

〈표 5.2-1〉 소하천별 토사유출량 335

〈표 5.2-2〉 토사재해위험지구 선정지구 337

〈표 5.2-3〉 안산천 토사재해 저감대책 338

〈표 5.2-4〉 사방시설의 종류 339

〈표 5.3-1〉 공간정비 기본방침 344

〈표 6.1-1〉 우량 및 기상관측소 일람표 363

〈표 6.1-2〉 소하천별 영향관측소 367

〈표 6.1-3〉 영주관측소 지속기간별(고정시간) 연최대 강우량 368

〈표 6.1-4〉 봉화관측소 지속기간별(고정시간) 연최대 강우량 370

〈표 6.1-5〉 태백관측소 지속기간별(고정시간) 연최대 강우량 371

〈표 6.1-6〉 국내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관계 372

〈표 6.1-7〉 영주관측소 지속기간별(임의시간) 연최대 강우량 373

〈표 6.1-8〉 봉화관측소 지속기간별(임의시간) 연최대 강우량 375

〈표 6.1-9〉 태백관측소 지속기간별(임의시간) 연최대 강우량 376

〈표 6.1-10〉 FARD2006의 적용분포형 377

〈표 6.1-11〉 영주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60분) 383

〈표 6.1-12〉 영주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1440분) 383

〈표 6.1-13〉 봉화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60분) 384

〈표 6.1-14〉 봉화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1440분) 384

〈표 6.1-15〉 태백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60분) 385

〈표 6.1-16〉 태백관측소 확률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결과(지속시간:1440분) 385

〈표 6.1-17〉 영주관측소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 389

〈표 6.1-18〉 봉화관측소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 390

〈표 6.1-19〉 태백관측소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 390

〈표 6.1-20〉 영주관측소 빈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391

〈표 6.1-21〉 봉화관측소 빈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391

〈표 6.1-22〉 태백관측소 빈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392

〈표 6.1-23〉 영주관측소 확률강우량 비교 (50년빈도) 393

〈표 6.1-24〉 봉화관측소 확률강우량 비교 (50년빈도) 393

〈표 6.1-25〉 태백관측소 확률강우량 비교 (50년빈도) 393

〈표 6.1-26〉 영주관측소 강우강도식 공식별 결정계수(50년빈도) 395

〈표 6.1-27〉 봉화관측소 강우강도식 공식별 결정계수(50년빈도) 395

〈표 6.1-28〉 태백관측소 강우강도식 공식별 결정계수(50년빈도) 395

〈표 6.1-29〉 영주관측소의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계수값 395

〈표 6.1-30〉 봉화관측소의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계수값 396

〈표 6.1-31〉 태백관측소의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계수값 396

〈표 6.1-32〉 Huff 방법의 분위별 설계강우의 무차원 누가분포(영주) 400

〈표 6.1-33〉 Huff 방법의 분위별 설계강우의 무차원 누가분포(봉화) 400

〈표 6.1-34〉 Huff 방법의 분위별 설계강우의 무차원 누가분포(태백) 401

〈표 6.1-35〉 Huff 분포의 무차원 누가곡선 401

〈표 6.1-36〉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회귀식 (영주관측소) 402

〈표 6.1-37〉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회귀식 (봉화관측소) 402

〈표 6.1-38〉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회귀식 (태백관측소) 402

〈표 6.2-1〉 홍수량 산정지점 403

〈표 6.2-2〉 토양의 수문학적 토양군으로의 분류 기준 414

〈표 6.2-3〉 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415

〈표 6.2-4〉 영주관측소 5일 선행강우 분석 416

〈표 6.2-5〉 봉화관측소 5일 선행강우 분석 416

〈표 6.2-6〉 태백관측소 5일 선행강우 분석 416

〈표 6.2-7〉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417

〈표 6.2-8〉 산정지점별 유출곡선지수(CN) 419

〈표 6.2-9〉 자연하천 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공식(1) 425

〈표 6.2-10〉 자연하천 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공식(2) 426

〈표 6.2-11〉 도달시간 산정 428

〈표 6.2-12〉 저류상수 K 산정 (Sabol 공식) 445

〈표 6.2-13〉 NRCS 무차원 단위도의 비율에 따른 시간별 종거 453

〈표 6.2-14〉 지체시간 산정 (NRCS 합성단위도법) 455

〈표 6.2-15〉 지체시간 산정 (Snyder 합성단위도법) 465

〈표 6.2-16〉 토지이용에 따른 합리식의 유출계수 범위 473

〈표 6.2-17〉 산정지점별 유출계수(C) 474

〈표 6.2-18〉 빈도별 홍수량 483

〈표 6.2-19〉 하눌저수지 현황 528

〈표 6.2-20〉 하눌저수지 수위별 방류량 529

〈표 6.2-21〉 하눌저수지 방류계수 530

〈표 6.2-22〉 재현기간별 조절홍수량 531

〈표 6.2-23〉 소하천 치수계획을 위한 설계빈도 532

〈표 6.2-24〉 기본 및 계획홍수량 (50년 빈도) 533

〈표 6.2-25〉 홍수량산정방법 비교 542

〈표 6.2-26〉 소하천별 계획홍수량 비교 543

〈표 6.2-27〉 지방하천기본계획 홍수량 545

〈표 6.2-28〉 기수립 소하천정비종합계획 계획홍수량 548

〈표 6.2-29〉 비홍수량 검토 548

〈표 6.3-1〉 월별 보정치 E의 값 551

〈표 6.3-2〉 Kajiyama 공식의 유역특성계수 551

〈표 6.3-3〉 Kajiyama 공식에 의한 월별 유출량 552

〈표 6.3-4〉 Tank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내성천 중권역) 556

〈표 6.3-5〉 TANK 공식에 의한 월별 유출량 557

〈표 6.3-6〉 수자원부존량 560

〈표 6.3-7〉 유황분석 결과 563

〈표 6.3-8〉 대표어종의 필요수심 및 유속 568

〈표 6.3-9〉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569

〈표 6.3-10〉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 570

〈표 6.3-11〉 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570

〈표 6.3-12〉 물수지 산정 위치 573

〈표 6.3-13〉 생활용수 이용현황 576

〈표 6.3-14〉 농업용수 이용현황 579

〈표 6.3-15〉 용수이용 현황 582

〈표 6.3-16〉 과업 대상지의 장래 인구 추이 587

〈표 6.3-17〉 과업 대상지의 장래 인구 추이 590

〈표 6.3-18〉 생활용수 수요량 593

〈표 6.3-19〉 장래 경지면적 추이 597

〈표 6.3-20〉 장래 농업용수 수요량 추이 600

〈표 6.3-21〉 장래 용수수요량 총괄 602

〈표 6.3-22〉 갈수량과 물수지(2015년) 606

〈표 6.3-23〉 갈수량과 물수지(2020년) 608

〈표 6.3-24〉 갈수량과 물수지(2025년) 610

〈표 7.1-1〉 입도분석시험 결과 636

〈표 7.1-2〉 하상구성재료의 입도분포 특성 638

〈표 7.1-3〉 각 유사량 공식의 특성 645

〈표 7.1-4〉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646

〈표 7.1-5〉 유량별 유사량 산정결과 647

〈표 7.1-6〉 유량-유사량 곡선 관계식(봉화읍) 652

〈표 7.1-7〉 유량-유사량 곡선 관계식(물야면) 653

〈표 7.1-8〉 유량-유사량 곡선 관계식(봉성면 외) 654

〈표 7.1-9〉 하상변동 예측결과 661

〈표 7.1-10〉 퇴적 및 세굴 관리 방안 766

〈표 8.1-1〉 구역 구분의 형태 772

〈표 8.1-2〉 친수 시설의 형태 773

〈표 8.1-3〉 하천구역구분에 따른 구간별 하천현황조사결과 및 정비계획 778

〈표 8.2-1〉 소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817

〈표 8.2-2〉 자연하천의 조도계수 817

〈표 8.2-3〉 현장조사를 통한 조도계수 818

〈표 8.2-4〉 소하천별 기점수위 산정방법 823

〈표 8.2-5〉 빈도별 기점 홍수위 825

〈표 8.2-6〉 계획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참고값 830

〈표 8.2-7〉 계획하폭 832

〈표 8.2-8〉 빈도별 홍수위 838

〈표 8.2-9〉 계획홍수위 및 기설제방고 937

〈표 8.2-10〉 추동천 현황 1041

〈표 8.2-11〉 추동천 계획홍수위 1042

〈표 8.2-12〉 추동천 개선방향 1043

〈표 8.2-13〉 추동천 홍수위표 1043

〈표 8.2-14〉 추동천 안별 검토결과 1045

〈표 8.2-15〉 지점별 하도식생현황 1047

〈표 8.3-1〉 기존 시설물 현황 1058

〈표 8.3-2〉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산정 기준 1060

〈표 8.3-3〉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산정 기준 1061

〈표 8.3-4〉 여유고 및 둑마루 산정 1062

〈표 8.3-5〉 비탈경사의 표준 1065

〈표 8.3-6〉 제체 상태에 따른 안전율 1068

〈표 8.3-7〉 소류력에 따른 비탈덮기 설치기준 1070

〈표 8.3-8〉 하도분류별 수리특성 1070

〈표 8.3-9〉 유속에 따른 밑다짐폭 기준 1071

〈표 8.3-10〉 홍수시 일시적 세굴깊이 1071

〈표 8.3-11〉 호안공법 1073

〈표 8.3-12〉 허용 소류력 1075

〈표 8.3-13〉 제방 능력검토 1079

〈표 8.3-14〉 제방 및 호안계획 1185

〈표 8.3-15〉 배수시설 능력검토 1201

〈표 8.3-16〉 계획 홍수량에 따른 경간장 1213

〈표 8.3-17〉 교량 능력검토 1213

〈표 8.3-18〉 보 및 낙차공 능력검토 1236

〈표 8.4-1〉 소하천 시설물 계획 1249

〈표 9.1-1〉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1255

〈표 9.2-1〉 피해액의 종류 및 산정방법 1271

〈표 9.2-2〉 단위침수면적당 손실인명수 및 손실원단위 1271

〈표 9.2-3〉 도시의 유형별 구분 1272

〈표 9.2-4〉 침수면적당 발생 이재민 수 1272

〈표 9.2-5〉 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1273

〈표 9.2-6〉 연도별 건설업 Deflator 보정지수 1274

〈표 9.2-7〉 년도별 소비자 물가지수 1274

〈표 9.2-8〉 침수 해당 행정구역별 전체 대상자산 1275

〈표 9.2-9〉 피해액 산정방법 1276

〈표 9.2-10〉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1277

〈표 9.2-11〉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1277

〈표 9.2-12〉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1277

〈표 9.2-13〉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1277

〈표 9.2-14〉 침수심별 사업체 유형고정자산·재고자산의 피해율 1277

〈표 9.2-15〉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 1277

〈표 9.2-16〉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 산정방법 1278

〈표 9.2-17〉 시설물별 잔존가치 1280

〈표 9.2-18〉 경제성 분석기법의 특징 1284

〈표 9.2-19〉 경제성 분석 결과 1285

〈표 9.3-1〉 평가기준의 요약 1298

〈표 9.3-2〉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1300

〈표 9.3-3〉 사업투자 우선순위 1302

〈표 9.4-1〉 지구별 소요 사업비(50년빈도) 1304

〈표 10.2-1〉 개수계획에 의한 효과 1310

〈그림 1.2-1〉 과업 위치도 24

〈그림 1.2-2〉 전체 위치도 25

〈그림 1.2-3〉 봉화읍 위치도 26

〈그림 1.2-4〉 물야면 위치도 27

〈그림 1.2-5〉 봉성면 위치도 28

〈그림 1.2-6〉 법전면 위치도 29

〈그림 1.2-7〉 춘양면 위치도 30

〈그림 1.2-8〉 석포면 위치도 31

〈그림 1.2-9〉 재산면 위치도 32

〈그림 1.2-10〉 명호면 위치도 33

〈그림 1.2-11〉 상운면 위치도 34

〈그림 4.1-1〉 표고분포도-봉화읍 122

〈그림 4.1-2〉 표고분포도-물야면 123

〈그림 4.1-3〉 표고분포도-기타면 124

〈그림 4.1-4〉 경사분포도-봉화읍 131

〈그림 4.1-5〉 경사분포도-물야면 132

〈그림 4.1-6〉 경사분포도-기타면 133

〈그림 4.1-7〉 경사향 분포도-봉화읍 138

〈그림 4.1-8〉 경사향 분포도-물야면 139

〈그림 4.1-9〉 경사향 분포도-기타면 140

〈그림 4.1-10〉 음영기복도-봉화읍 141

〈그림 4.1-11〉 음영기복도-물야면 142

〈그림 4.1-12〉 음영기복도-기타면 143

〈그림 4.1-13〉 지질도-봉화읍 146

〈그림 4.1-14〉 지질도-물야면 147

〈그림 4.1-15〉 지질도-기타면 148

〈그림 4.1-16〉 수문학적 토양군 주제도-봉화읍 156

〈그림 4.1-17〉 수문학적 토양군 주제도-물야면 157

〈그림 4.1-18〉 수문학적 토양군 주제도-기타면 158

〈그림 4.1-19〉 토지이용도-봉화읍 163

〈그림 4.1-20〉 토지이용도-물야면 164

〈그림 4.1-21〉 토지이용도-기타면 165

〈그림 4.3-1〉 수문관측소 위치도 179

〈그림 4.3-2〉 영주관측소 월별 강수량 현황 181

〈그림 4.3-3〉 봉화관측소 월별 강수량 현황 183

〈그림 4.3-4〉 태백관측소 월별 강수량 현황 184

〈그림 4.3-5〉 평년 기상도 187

〈그림 4.3-6〉 월별 기상현황 도표 190

〈그림 4.4-1〉 조사지점 위치도 195

〈그림 4.4-2〉 현지조사에서 확인 된 법정보호종 분포도 226

〈그림 4.5-1〉 과거 주요 태풍경로도 240

〈그림 4.5-2〉 가뭄의 특징 및 진행과정 251

〈그림 5.1-1〉 경계소하천 위치도 329

〈그림 5.1-2〉 문단천 하류 현황 330

〈그림 5.1-3〉 경계소하천 현황 331

〈그림 5.2-1〉 홍수방어 계획 333

〈그림 6.1-1〉 봉화군 티센망도 366

〈그림 6.1-2〉 고정시간 - 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372

〈그림 6.1-3〉 IDF 곡선(영주관측소) 397

〈그림 6.1-4〉 IDF 곡선(봉화관측소) 397

〈그림 6.1-5〉 IDF 곡선(태백관측소) 397

〈그림 6.2-1〉 홍수량산정 지점 409

〈그림 6.2-2〉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427

〈그림 6.2-3〉 NRCS 무차원 단위유량도의 개념도 453

〈그림 6.2-4〉 Synder 방법의 합성 단위도 (Singh, 1988) 463

〈그림 6.2-5〉 하눌저수지 내용적곡선 529

〈그림 6.2-6〉 하눌저수지 조절수문곡선(50년빈도) 530

〈그림 6.2-7〉 봉화군 관내소하천 비홍수량 541

〈그림 6.3-1〉 탱크모형의 유출 개념도 556

〈그림 6.3-2〉 수자원 부존량 모식도 559

〈그림 6.3-3〉 유황별 비홍수량 565

〈그림 6.3-4〉 생활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586

〈그림 6.3-5〉 공업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596

〈그림 6.3-6〉 물수지 분석도(2015) 612

〈그림 6.3-7〉 물수지 분석도(2020) 619

〈그림 6.3-8〉 물수지 분석도(2025) 626

〈그림 7.1-1〉 하상재료채취 위치도 640

〈그림 7.1-2〉 유량-유사량곡선(봉화읍) 652

〈그림 7.1-3〉 유량-유사량곡선(물야면) 653

〈그림 7.1-4〉 유량-유사량곡선(봉성면 외) 654

〈그림 7.1-5〉 Sediment 모형의 계산 격자 구성 657

〈그림 7.1-6〉 수문 곡선의 분할 659

〈그림 8.1-1〉 소하천 공간 정비계획 수립 흐름도 770

〈그림 8.1-2〉 친수공간 정비계획도 (오전천) 809

〈그림 8.2-2〉 추동천 현황 1042

〈그림 8.2-3〉 하도식생 현황 1046

〈그림 8.3-1〉 제방표준단면도 1069

〈그림 8.3-2〉 호안표준단면도 1076

〈그림 8.3-3〉 자연형 보 및 낙차공 예시도 1229

〈그림 9.2-1〉 피해액(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1270

〈그림 9.3-1〉 AHP 기법의 분석과정 1297

〈그림 9.3-2〉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도 1298

〈그림 9.3-3〉 평가기준별 가중치 130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34003 627.12 -17-10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4004 627.12 -17-10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