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제1편
행정(학)의 기초적 이해

제1장 행정의 의의와 성격 3
1. 행정과 행정학 / 3
2. 행정환경 / 5
3. 행정의 역할 및 기능 / 9
4. 요약: 행정체제 및 그 구성요소 / 12
제2장 행정학의 정체성 13
1. 정치, 행정, 경영의 관계 / 13
2. 행정학에 대한 시각 / 18
3. 행정학의 정체성에 관한 논쟁 / 23
제3장 행정이념 26
1. 행정이념의 개념 및 연구동향 / 26
2. 주요 행정이념의 내용 / 27
3. 공익 / 33
4. 공공성 / 35
5. 공정성 / 41
■ 참고문헌 / 43

제2편
행정이론의 변천

제1장 행정이론의 의미와 분류 49
1. 행정이론의 의미 / 49
2. 행정이론의 시대적 분류 / 49
제2장 고전적 행정이론 52
1. 행정학 태동 이전의 시대적 상황 / 52
2. Wilson의 정치행정관 / 53
3.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 56
4. Weber의 관료제론 / 58
5. Gulick의 행정관리학파 / 65
6. 고전적 행정이론의 특징 및 한계 / 66

제3장 신고전적 행정이론 67
1. 정치행정일원론 / 67
2. 초기 인간관계론 / 67
3. 관료제 역기능론 / 71
4. Simon의 행정행태론 / 74
5. 신고전적 행정이론의 특징 및 한계 / 77
제4장 전환기적 행정이론 78
1. 정치학으로서의 행정학 / 78
2. 발전적 관료제론 / 80
3. 행정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83
제5장 현대적 행정이론 84
1. 신행정학 / 84
2. 공공선택론적 접근과 민주행정패러다임 / 86
3. 정책연구 / 93
4. 포스트모더니즘 행정이론 / 93
5. 신제도주의 / 100
■ 참고문헌 / 110

제3편
정부와 시장

제1장 정부와 시장에 관한 기초 이론 117
1. 고전적 논쟁: Smith vs. Marx / 117
2. 자유와 기획: Hayek vs. Finer / 118
3.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119
제2장 신공공관리 125
1. 신공공관리의 등장배경과 의미 / 125
2. 신공공관리의 이론적 배경 / 126
3. 신공공관리의 주요 내용 / 131
4. 신공공관리에 대한 평가 / 135
제3장 우리나라의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 139
1.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의 전개과정과 내용 / 139
2. 신공공관리적 정부개혁의 효과와 한계 / 142
3. 향후의 전망과 과제 / 146

제4장 성과관리와 전략적 기획 149
1. 성과관리의 개념과 특성 / 149
2. 성과관리의 유용성과 한계 / 151
3. 성과관리도구로서의 균형성과표 / 154
4. 전략적 기획 / 159
제5장 고객지향적 행정 165
1. 고객지향적 행정의 개념 및 의의 / 165
2. 고객지향적 행정에 대한 비판 / 165
3. 고객지향적 행정을 위한 개선방안 / 167
4. 고객지향적 행정의 사례 / 168
제6장 공공서비스의 민영화 171
1. 공공서비스 민영화의 개념, 의의 및 유형 / 171
2. 계약(혹은 민간위탁) / 172
3. 바우처제도 / 177
4. 민간투자: BTO와 BTL을 중심으로 / 182
5. 공기업의 민영화 / 184
제7장 정부의 규모: 작은 정부와 큰 정부 191
1. 작은 정부의 개념 및 대두배경 / 191
2. 정부규모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92
3. 작은 정부의 한국적 의미 / 194
4. 보편적 서비스와 정부규모 / 197
■ 참고문헌 / 200

제4편
정부와 시민사회

제1장 뉴거버넌스의 이론과 실제 211
1. 뉴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고찰 / 211
2. 우리나라에서의 뉴거버넌스: myth or reality? / 218
제2장 시민참여와 비정부조직 228
1. 시민참여 / 228
2. 시민참여의 사례: 공동생산 / 231
3. 비정부조직(NGO) / 233

제3장 거버넌스 변화의 정책분야별 사례 239
1. 환경규제와 거버넌스: 규제거버넌스 / 239
2. 전자정부와 정부3.0: 전자거버넌스 / 246
3. 공유재와 거버넌스 / 251
제4장 신공공서비스론 256
1. 신공공서비스론의 개념 및 주요 내용 / 256
2. 신공공서비스론의 유용성과 한계 / 260
제5장 정부신뢰와 사회자본 262
1. 정부신뢰 / 262
2. 사회자본 / 268
■ 참고문헌 / 273

제5편
행정책임성과 행정문화

제1장 행정책임성과 통제 281
1. 행정책임성 / 281
2. 행정이론과 책임성 유형 / 286
제2장 행정부패와 행정윤리 294
1. 행정부패 / 294
2. 행정윤리 / 307
제3장 행정문화 312
1. 우리나라에서의 행정문화연구 / 312
2. 정부개혁과 행정문화 / 314
3. 신공공관리와 한국행정문화 / 315
4. 한국행정문화의 바람직한 이미지 / 317
■ 참고문헌 / 319

제6편
정부관료제와 정책

제1장 정부관료제의 다면성 325
1. 정부관료제의 의의 및 개념 / 325
2. 정부관료제에 대한 접근방법 / 326
제2장 정부관료제의 이론적 고찰 332
1. 관리적 접근방법 / 332
2. 정치적 접근방법 / 338
3. 경제적 접근방법 / 345
제3장 정부관료제에 대한 비판과 변론 351
1. 정부관료제에 대한 비판 / 351
2. 정부관료제를 위한 변론 / 352
제4장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357
1. 정책의제설정 / 357
2. 정책결정 / 360
3. 정책집행 / 370
4. 정책평가 / 377
제5장 공공갈등 381
1. 공공갈등의 개념 및 의의 / 381
2. 공공갈등의 원인과 해결방식: 이론적 검토 / 382
3.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의 주요 내용 / 386
4. 우리나라 공공갈등의 실태와 효과적 관리전략 / 389
제6장 정책수단 395
1. 정책수단의 개념 및 의의 / 395
2. 정책수단의 유형과 평가기준 / 398
제7장 규제정책 402
1. 정부규제에 관한 이론적 논의 / 402
2. 한국정부의 규제개혁 / 410
제8장 시차이론과 딜레마이론 415
1. 시차이론 / 415
2. 딜레마이론 / 419
■ 참고문헌 / 421

제7편
조 직

제1장 조직의 개념과 성격 429
1. 조직의 다면성 / 429
2. 조직의 개념 및 유형 / 430
3. 조직목표 / 432
제2장 조직구조와 환경 434
1. 조직구조의 특성과 고전적 조직이론 / 434
2. 조직과 환경의 관계에 관한 이론 / 436
3. 고전적 조직구조(관료제)에 대한 대안적 조직구조 / 443
제3장 조직의 개인과 집단 457
1. 동기부여 / 457
2. 조직시민행동 / 461
3. 조직몰입 / 463
4. 리더십 / 464
제4장 조직과 권력 471
1. 조직에서의 권력 / 471
2. 갈등관리 / 473
제5장 조직과 문화 479
1. 조직문화 / 479
2. 사회문화와 조직관리 / 482
제6장 조직과 혁신 484
1. 변화관리 / 484
2. 지식관리 / 491
3. 조직혁신에 대한 저항관리 / 493
제7장 정부조직개편과 협업행정 495
1. 정부조직개편 / 495
2. 정부조직간 칸막이 현상 / 499
3. 협업행정 / 502
■ 참고문헌 / 507

제8편
인 사

제1장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515
1. 인사행정의 가치적 접근 / 515
2. 가치적 관점에서의 인사제도 변천 / 517
3. 가치적 관점에서 본 최근 한국인사행정의 변화 / 518
제2장 인사행정의 제도적 기반 519
1. 엽관제, 실적제, 그리고 직업공무원제 / 519
2. 공직분류체계: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27
3. 중앙인사행정기관 / 530
4. 대표관료제와 적극적 인사조치 / 532
제3장 인적자원의 전략적 관리 537
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 537
2. 직무분석 / 540
3. 인력기획 / 541
4. 고위공무원단제도 / 543
5. 총액인건비제도 / 546
제4장 공무원의 임용 552
1. 공무원의 임용 / 552
2. 특별채용제도와 경력경쟁채용시험(민간경력자채용제도) / 553
3. 개방형직위제도 / 554
4. 공무원의 배치전환과 보직관리 / 557
5. 경력개발제도 / 562
6. 승진 / 563
제5장 공무원의 교육훈련 566
1. 공무원 교육훈련의 개념 및 의의 / 566
2. 액션러닝 / 566
3.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역량평가제도 / 568
제6장 공무원의 평가와 보상 572
1. 근무성적평정제도 / 572
2. 공무원의 보수체계 / 576
3. 성과급제도 / 577
4. 다면평가제 / 584

제7장 공무원의 개인적 권리와 삶의 질 587
1.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 587
2. 공무원단체 / 591
3. 공무원의 신분보장 / 594
4. 퇴직공직자의 취업제한 / 597
5. 공무원의 삶의 질 / 600
■ 참고문헌 / 605

제9편
재 무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적 이해 611
1. 예산기능과 전통적 예산제도 / 611
2. 예산의 원칙 / 612
3. 예산의 종류 / 615
4. 재정적자, 국가부채, 그리고 재정준칙 / 625
제2장 예산과정의 주요 이슈 631
1. 예산결정참여자의 역할과 행태 / 631
2. 예산편성과정 / 633
3. 예비타당성조사 / 634
4. 예산집행에서의 신축성 확보 / 636
5. 주민참여예산제도 / 637
제3장 예산이론 641
1. 전통적 예산이론 / 641
2. 최근의 주요 예산이론 / 644
제4장 예산제도의 개혁 650
1. 재정패러다임의 전환과 새로운 예산규범 / 650
2. 전통적 예산제도의 한계와 예산제도 개혁 / 653
3. 국가재정운용계획 / 656
4. 총액배분자율편성(Top-down) 예산제도 / 659
5. 성과관리예산제도 / 664
6. 디지털 예산회계시스템 / 670
7. 프로그램예산제도 / 671
8. 복식부기?발생주의 회계제도 / 674
■ 참고문헌 / 679

부 록
찾아보기 / 685
그림, 표, 사례

이용현황보기

(재미있는) 행정학 = Public administration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36485 351 -17-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6486 351 -17-2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2013년에 1차 개정판을 낸지 3년이 지났다. 최근 우리의 행정 현실이 빠르게 변하고 있어 이를 반영할 수 있는 추가적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올 해 새로운 개정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굳이 말해 지난 개정판(2판)이 부분 수정이었다면, 이번의 2차 개정판(3판)은 전면 개정에 가깝다.
제3판에서 변경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3.0, 정부조직개편과 협업행정, 규제정책, 최근의 예산이론, 국가부채와 재정준칙 등 최근의 행정이슈들을 새로이 반영하였다. 이외에도 인사교류, 승진, 정책옹호연합모형, 딜레마이론, 자원의존이론 등 여러 주제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었다. 둘째, 기존 교재에서 다루어졌던 주제들 중에서 최근 변화된 내용을 관련 법령과 논문 등을 통해 다시 보완하고 정리하였다. 청탁금지법, 이해충돌 방지 등을 포함한 행정부패, 인사분야에서의 성과 관련 주제들, 재정성과관리제도, 프로그램예산제도, 사회적 기업, 공공갈등, ‘정책의 창’ 모형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 가능한 한 전체 분량을 늘이지 않기 위해 너무 지엽적이거나 이론적인 부분, 수험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주제 등을 대폭 삭제하거나 축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험생들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문장을 다듬는 동시에 여러 편집상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수험생들의 경제적 부담이나 불편을 감안하여 너무 자주 책을 개정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하려 한다. 대신 이전에도 그래왔듯이 강의내용이나 배부자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수험생들이 흔히 재미없는 과목으로 인식하는 행정학이 이 책을 통해 재미있는 행정학으로 바뀔 수는 없겠지만, 행정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이해와 정리를 도와줄 수 있다면 이 책은 나름대로 소기의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개정작업을 위해 수고해 주신 ㈜윌비스 관계자분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2016. 4. 16
박 경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