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4대강 보 퇴적물 용출 조사 및 평가 [전자자료] : 14개 보를 중심으로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6-285
연구과제보고서 ; 2016
면수
130
제어번호
MONO1201769161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양대학교, 세종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책임자: 현정호, 허진, 최정현, 이효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5

I장. 서론 28

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8

2절. 국내외 연구 동향 29

3절. 연구 목적 29

II장. 연구내용 및 방법 32

1절. 연구 범위 32

1. 조사내용 32

2. 대상지점 32

2절.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39

1. 수층 시료채취 39

2. 퇴적물 시료채취 39

3. 수층 시료분석 41

4. 퇴적물 시료분석 43

5. 퇴적물 산소소모율(SOD; sediment oxygen demand) 측정 44

6. 퇴적물 산소소모율(SOD; sediment oxygen demand) 계산 47

7. 퇴적물 영양염 용출률(BNF; benthic nutrient flux) 측정 47

8. 퇴적물 영양염 용출률(BNF; benthic nutrient flux) 계산 50

III장. 연구 결과 및 고찰 52

1절. 보 퇴적물의 산소소모율, 영양염류 용출률 측정 교육 및 크로스 체크 52

2절.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퇴적물 산소소모율 53

1. 보 부근 퇴적물(지점1 또는 지점3)의 산소소모율 53

2. 보 부근 퇴적물(지점1 또는 지점3) 입도 54

3. 지형상 유속이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지점2 또는 지점4) 퇴적물의 산소소모율 56

4. 지형상 유속이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지점2 또는 지점4) 퇴적물의 입도 57

5. 지점에 따른 퇴적물 산소소모율(또는 잠재적인 산소소모율) 비교 59

6. 지점에 따른 퇴적물 코어의 평균입경 비교 59

3절. 퇴적물 산소소모율의 조절요인 61

1.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퇴적물 산소소모율 비교 61

2. 저층수 수온과 퇴적물 산소소모율 관계 63

3. 저층수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농도와 퇴적물 산소소모율 관계 66

4. 퇴적물 입도와 퇴적물 산소소모율 관계 68

5. 퇴적물의 유기물과 산소소모율의 관계 72

4절.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영양염 용출률 78

1.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퇴적물의 암모니아성 질소 용출률 78

2.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퇴적물의 아질산성+질산성 질소 용출률 86

3. 4대강 14개 보의 7~8월과 9~10월 퇴적물의 인산염 인 용출률 94

5절. 4대강 주요 보(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7~8월과 9~10월 저층(저층수+퇴적물) 산소소모 중 퇴적물 산소소모의 상대적 중요성 102

1. 보 부근 지점(지점 1)에서의 7~8월과 9~10월 저층(저층수+퇴적물) 산소소모 중 퇴적물 산소소모의 상대적 중요성 102

2. 지형상 유속이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곳(지점 2)에서의 7~8월과 9~10월 저층(저층수+퇴적물) 산소소모 중 퇴적물 산소소모의 상대적 중요성 102

3. 지점 1과 지점2 종합 103

6절. 4대강 주요 보(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물질 순환 106

1. 수층 구조 106

2. 공극수의 수직적 지화학 특성 108

3. 생산, 침강, 분해 측면에서의 탄소 순환 110

4. 퇴적물에서 유기탄소 잔류비율의 조절 요인 114

7절. 시료 보존 기한실험(표준화 보완) 115

8절. 4대강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퇴적물 산소소모율 및 영양염 용출률 교차실험 116

1. 한양대와 각 기관 간의 퇴적물 산소소모율 교차실험 결과 116

2. 한양대와 각 기관 간의 퇴적물 영양염 용출률 교차실험 결과 117

IV장. 결론 120

1절. 보 퇴적물의 퇴적물 산소소모율, 영양염류 용출률 측정 교육 및 크로스 체크 120

2절. 7~8월과 9~10월의 4대강 14개 보 퇴적물 산소소모율 120

3절. 퇴적물 산소소모율의 조절요인 120

4절. 7~8월과 9~10월의 4대강 14개 보 퇴적물의 영양염류 용출률 121

5절. 4대강 주요 보(이보포,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저층 산소소모 중 퇴적물 산소소모의 상대적 중요성 121

6절. 4대강 주요 보(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 수층구조 122

7절. 4대강 주요 보(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122

8절. 4대강 주요 보(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생산, 침강, 분해 측면에서의 탄소수지 122

9절. 시료 보존 기한실험(표준화 보완) 123

10절. 4대강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퇴적물 산소소모율 및 영양염 용출률 교차실험 123

V장. 기대성과(활용방안) 또는 향후 계획 126

VI장. 참고문헌 128

Table 2-1. 각 정점 별 위경도 38

Table 3-1. 주관기관과 협동기관 사이의 퇴적물 산소소모율과 영양염 용출률의 RPD 52

Table 3-2. 14개 보의 지점1(또는 지점3)에서 퇴적물 산소소모율 55

Table 3-3. 14개 보의 지점2(또는 지점4)에서 퇴적물 산소소모율 58

Table 3-4. 시기별 퇴적물 입도에 따른 SOD(20℃ 환산) 차이 70

Table 3-5. 수계별 입도에 따른 SOD(20℃ 환산) 차이 70

Table 3-6. 14개 보 퇴적물 용출률 조사 시료의 입자성 유기탄소 함량 73

Table 3-7. 14개 보의 지점 1(또는 지점3)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용출률 81

Table 3-8. 14개 보의 지점2(또는 지점4)에서 암모니아성 질소의 용출률 84

Table 3-9. 14개 보의 지점 1(또는 지점3)에서 아질산성+질산성 질소의 용출률 89

Table 3-10. 14개 보의 지점2(또는 지점4)에서 아질산성+질산성 질소의 용출률 92

Table 3-11. 14개 보의 지점 1(또는 지점3)에서 인산염 인의 용출률 97

Table 3-12. 14개 보의 지점2(또는 지점4)에서 인산염 인의 용출률 100

Table 3-13.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 보 부근(지점1)에서 저층수와 퇴적물 산소소모율의 상대적 중요성 104

Table 3-14.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의 지형상 유속이 느려질 것으로 예상되는곳(지점2)에서 저층수와 퇴적물 산소소모율의 상대적 중요성 105

Table 3-15.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저층 영양염 용출이 일차생산력에게 미치는 잠재적 영향 111

Table 3-16.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 탄소 물질순환 113

Table 3-17. 퇴적물 산소소모율 측정 표준화 보완(시료보존 조건 기한실험) 115

Table 3-18. 퇴적물 산소소모율의 각 기관별 재현성 116

Table 3-19. 7~8월 기관별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퇴적물 영양염 용출률 117

Table 3-20. 9~10월 기관별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퇴적물 영양염 용출률 118

Fig 2-1. 한강(강천보, 여주보, 이포보)에서의 조사 지점 33

Fig 2-2. 낙동강(낙단보, 구미보, 칠곡보)에서의 조사 지점 34

Fig 2-3. 낙동강(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에서의 조사 지점 35

Fig 2-4. 금강(세종보, 공주보, 백제보)에서의 조사 지점 36

Fig 2-5. 영산강(죽산보, 승촌보)에서의 조사 지점 37

Fig 2-6. 니스킨 샘플러를 이용한 수층에서의 시료채취 39

Fig 2-7. 챔버 코어의 단면도 (A)챔버 코어 본체, (B)하부 마개, (C)상부 마개 40

Fig 2-8. 배양기 모식도 (A)위 (B) 정면 (C) 투영도 45

Fig 2-9. 산소 포화도에 따른 전류 표시 (A)산소 포화도 100% (B)산소 포화도 0% 46

Fig 2-10. 배양기 안에서 챔버 코어와 펌프의 연결이 완료된 사진 46

Fig 2-11. 챔버 코어와 펌프의 연결이 완료된 사진 49

Fig 2-12. 3 way cock-챔버-주사기의 연결 (A) 챔버와 펌프를 연결하여 상층수를 순환시킬 때 (B) 챔버와 주사기를 연결하여 상층수를 채취할 때 49

Fig 3-1. 14개 전 지점에서의 7~8월과 9~10월 퇴적물 산소소모율 차이 62

Fig 3-2. 14개 전 지점에서의 7~8월과 9~10월 퇴적물 산소소모율 차이(PSOD 제외) 62

Fig 3-3. 14개 보 전 지점에서의 퇴적물 산소소모율과 저층수 수온의 상관관계 63

Fig 3-4. 14개 보 전 지점에서의 7~8월과 9~10월 퇴적물 산소소모율 차이 (20℃ 환산) 65

Fig 3-5. 14개 보 전 지점에서의 퇴적물 산소소모율(20℃ 환산)과 현장저층수 DO의 상관관계(PSOD 자료 제외) 67

Fig 3-6. 평균입경과 퇴적물 산소소모율 차이 (20℃ 환산) 69

Fig 3-7. 9~10월 14개 보에서 평균입경과 SOD(20℃ 환산)의 상관관계 a)모래 b)진흙 c)모래와 진흙 71

Fig 3-8. 9~10월 14개 보에서 평균입경과 POC의 관계 a)모래, b)진흙, c)모래와 진흙 72

Fig 3-9. 9~10월 14개 보에서 POC와 SOD(20℃ 환산)의 관계 a)모래, b)진흙, c)모래와 진흙 74

Fig 3-10. 14개 보에서 퇴적물 공극수의 용존 유기탄소(DOC)와 SOD(20℃ 환산)의 관계 a)모래, b)진흙, c)모래와 진흙 76

Fig 3-11. 방류량과 퇴적물 SOD(20℃ 환산)사이의 상관관계(PSOD 제외) 77

Fig 3-12.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의 깊이 별 수온 및 용존산소 농도 107

Fig 3-13. 이포보, 강정고령보, 공주보, 죽산보에서의 공극수 암모니아성 질소 및 인산염 인 분포 10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