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제협력 강화와 방재기술 해외보급을 위한 사업추진 기술개발 =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echnology transfer in the field of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 행정안전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행정안전부, 2017
청구기호
363.34 -17-7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 xxiv, 844 p. : 삽화, 도표, 서식 ; 27 cm
총서사항
MPSS-기반 ; 2014-110
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단
제어번호
MONO1201769632
주기사항
핵심주관기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동연구기관: (주)부린
핵심연구책임자: 윤동근
부록: 1. 방재기술 보유 업체 대상 설문조사지 1 ; 2. 방재기술 보유 업체 대상 설문조사지 2 ; 3. 재난방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지 외
참고문헌: p. 631-650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41

1.1. 연구의 필요성 42

1.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45

1.2.1.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45

1.2.2. 연차별 연구내용 46

1.2.3. 연구개발 의의 48

1.2.4. 연구 추진방법 및 구성 50

1.3. 기대효과 51

제2장 국내 방재 기술·산업 현황 및 해외보급 동향 53

2.1. 국내 방재기술 현황 조사 및 분석 54

2.1.1. 방재기술의 정의 54

2.1.2. 방재기술 분류체계 개발 55

2.1.3. 국내 방재기술 현황 80

2.2. 국내 방재산업 현황 조사 및 분석 140

2.2.1. 방재산업의 정의 140

2.2.2. 국내 방재산업 현황 140

2.3. 국외 방재 기술·산업 현황 152

2.3.1. 국외 방재산업 시장 분석 152

2.3.2. 국외 국가별 방재 기술·산업 육성 현황 154

2.4. 방재기술 해외보급 여건 분석 165

제3장 국내 방재기술 해외보급을 위한 사업기법 169

3.1. 사업 추진기법 개발 프로세스 170

3.2. 국가별 사업 추진기법 172

3.2.1. 국가협력전략(CPS,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분석 175

3.2.2. 국가개발계획 분석 194

3.2.3. 국가별 제반 여건 분석 213

3.2.4. 국가별 재난 발생현황 및 피해 특성분석 274

3.2.5. 국가별 종합 사업 추진기법 308

3.3. 방재기술별 사업 추진기법 312

3.3.1. 국내 방재기술 경쟁력 분석 312

3.3.2. 방재기술별 종합 사업 추진기법 333

3.4. 재원별 사업 추진기법 338

3.4.1. 국내 유·무상지원 사업 현황 및 실태조사 338

3.4.2. 국외 유·무상지원 사업 현황 및 실태조사 393

3.4.3. 재원별 종합 사업 추진기법 448

3.5. 통합적 방재기술 해외보급 사업기법 프로세스 454

제4장 방재기술 해외보급을 위한 세부계획 457

4.1. 방재기술 분야 신규사업 기획·발굴 방안 458

4.1.1. 신규사업 기획·발굴 전략 458

4.1.2. 방재기술 수요조사 469

4.1.3. 사업계획(안) 도출 476

4.2. 신규사업 기획·발굴 사례 481

4.2.1. 인도네시아 482

4.2.2. 미얀마 507

4.2.3. 르완다 519

4.3. 시사점 530

제5장 중소기업 방재기술 활성화 지원 방안 533

5.1. 국내 방재기술 활성화 지원제도 현황 534

5.1.1. 중소기업 육성 법·제도 현황 534

5.1.2. 중소기업 육성 사업 현황 536

5.2. 국내 중소기업 해외진출 사례 545

5.2.1. 방재분야 545

5.2.2. 유관분야 548

5.3. 방재관련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553

5.3.1. 중소기업 해외진출 필요사항 553

5.3.2.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559

5.4. 방재기술 성능인증 제도 565

5.4.1. 방재기술 성능인증 정의 565

5.4.2. 방재기술 성능인증 기법 개발 576

제6장 방재기술 해외진출 중장기 로드맵 597

6.1. 방재기술 해외진출 전략 및 로드맵 개괄 598

6.1.1. 방재기술 해외진출 주요 전략 599

6.1.2. 로드맵 개괄 604

6.2. 기반조성 전략 607

6.2.1. 정보수집 및 정보자원 체계화 607

6.2.2. 인적 역량 강화 610

6.2.3.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 616

6.3. 포트폴리오 구축 전략 625

6.3.1. 전략적 선도분야 육성 625

6.3.2. 전략적 협력국가 선정 및 협력 강화 628

6.3.3. 해외진출 밀착지원 632

6.4. 해외사업 확산 전략 636

6.4.1. 진출거점 확대 및 진출지역 다변화 636

6.4.2. 재원조달 다변화 639

6.4.3. 전략적 홍보 추진 646

6.5. 로드맵 총괄 649

6.5.1. 총괄 요약 649

6.5.2. 기반조성 656

6.5.3. 포트폴리오 구축 660

6.5.4. 해외사업 확산 663

제7장 결론 666

참고문헌 671

부록 691

〈부록 1〉 방재기술 보유 업체 대상 설문조사지 692

〈부록 2〉 방재기술 보유 업체 대상 설문조사지 2 709

〈부록 3〉 재난방재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지 721

〈부록 4〉 방재기술·제품 자료집[목차] 729

〈부록 5〉 방재산업 중소기업 해외진출 가이드북[목차] 744

〈부록 6〉 재난안전산업 중소기업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공청회 820

〈부록 7〉 자문회의 정리 827

〈부록 8〉 방재기술 이전 Letter of lntent 체결 - 인도네시아 주정부 족자카르타주 829

〈부록 9〉 방재기술 이전 Letter of Agreement 체결 - 족자카르타 무하마디야 대학 831

〈부록 10〉 방재기술 이전 공식요청서 - 인도네시아 832

〈부록 11〉 방재기술 이전 사업계획서 - 인도네시아 833

〈부록 12〉 출장보고서 - 인도네시아 1 854

〈부록 13〉 출장보고서 - 인도네시아 2 858

〈부록 14〉 출장보고서 - 미얀마 861

〈부록 15〉 국제세미나(2015) 863

〈부록 16〉 국제세미나(2016) 866

〈부록 17〉 개발도상국 공무원 대상 방재기술 수요 설문조사지 871

〈부록 18〉 베트남 전문가 대상 방재기술 수요 설문조사지 880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서 885

표 1.1.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세부 내용 47

표 2.1. 재난안전 과학기술 별도분류체계(안) 56

표 2.2. 자연재난과 관련된 중분류 기술항목의 세부기술 57

표 2.3. 방재신기술 분류체계 정의 59

표 2.4. 방재신기술 분류체계 60

표 2.5. 재난·재해·안전분야 국가전략기술 정의 62

표 2.6. 재난·재해·안전분야 국가전략기술 및 세부기술 63

표 2.7. 방재산업 특수분류체계(2015) 66

표 2.8. 재난안전산업 특수분류체계(안)(2015) 68

표 2.9.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내 재난관리단계별 대책 72

표 2.10. 자연재해 관련 방재기술 분류체계(안) 73

표 2.11. 단계별 분류체계 기술 정의 74

표 2.12. 자연재난 종류 75

표 2.13. 자연재난 유형별 정의 76

표 2.14. 자연재해 관련 방재기술 분류체계(안) 내 세부기술 91

표 2.15. 재난유형에 따른 방재기술 분류 95

표 2.16. 정보시스템 조사현황 - 재난관리단계별 98

표 2.17. 정보시스템 조사현황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99

표 2.18. 분석·해석 프로그램 - 국내·외 개발 구분 101

표 2.19. 분석·해석 프로그램 - 재난관리단계별 102

표 2.20. 분석·해석 프로그램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03

표 2.21. 재난관리 기본법 및 개별법령 비교 104

표 2.22. 방재관련 정책·제도 유형별 조사항목수 106

표 2.23. 방재관련 법, 제도 및 조직 - 재난관리단계별 107

표 2.24. 방재관련 법, 제도 및 조직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09

표 2.25. 계획 수립 - 재난관리단계별 112

표 2.26. 계획 수립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13

표 2.27. 발령 및 선포 - 재난관리단계별 114

표 2.28. 발령 및 선포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14

표 2.29. 평가 및 심의 - 재난관리단계별 115

표 2.30. 평가 및 심의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16

표 2.31. 재해보험 - 재난관리단계별 117

표 2.32. 재해보험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17

표 2.33. 기준 및 지침 - 재난관리단계별 118

표 2.34. 기준 및 지침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19

표 2.35. 행정지도 - 재난관리단계별 121

표 2.36. 행정지도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21

표 2.37. 정보화 - 재난관리 단계별 122

표 2.38. 정보화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22

표 2.39. 정책·제도 유형별 종합 기술요소 123

표 2.40. 방재분야 특수전문교육 127

표 2.41. 수공학 워크샵 주제 127

표 2.42. 국내에서 개발된 해석모형 128

표 2.43. 교육·훈련 - 재난관리단계별 129

표 2.44. 교육·훈련 - 재난유형 및 재난원인별 130

표 2.45. 국내 비구조적 방재기술 유형 요약 132

표 2.46. 국내 비구조적 방재기술 유형 리스트 132

표 2.47. 방재기술 패키지(1) 134

표 2.48. 방재기술 패키지(2) 135

표 2.49. 방재기술 패키지(3) 136

표 2.50. 방재기술 패키지(4) 137

표 2.51. 방재기술 패키지(5) 138

표 2.52. 방재기술 패키지(6) 139

표 2.53.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현황 및 형태 148

표 2.54.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국가 및 경로 148

표 2.55. 재난안전산업 분야 업종별 판매, 수출 애로사항 1순위 149

표 2.56. 업종별 경쟁력 확보를 위한 강화·필수요소 1순위 150

표 2.57. 세계 안전제품 시장 규모 153

표 2.58. 세계 안전서비스 시장 규모 154

표 2.59. 주요 선진국 안전관련 산업 육성정책의 주요 특징 155

표 2.60. 미국기관별 ICT 융합형 재난재해 관련 개발기술 158

표 2.61. 일본 방재관련 과학기술의 연구 160

표 2.62. 대상사업 162

표 2.63. 지원사업 요강 162

표 3.1. 국가 개발전략 현황 173

표 3.2. 중점협력국 선정단계별 선정기준 174

표 3.3. 중점협력국가별 제2차 CPS 지원목표 176

표 3.4. 국가별 CPS 방재관련 전략보유 여부 192

표 3.5. 국가개발계획 내 방재관련성 파악 211

표 3.6. 미얀마 경제현황 214

표 3.7. 미얀마 재난관리 조직체계 215

표 3.8. 미얀마 재해위험도 216

표 3.9. 인도네시아 재해위험도 219

표 3.10. 베트남 재해위험도 223

표 3.11. 캄보디아 재해위험도 226

표 3.12. 필리핀 재해위험도 229

표 3.13. 방글라데시 재해위험도 232

표 3.14. 몽골 재해위험도 234

표 3.15. 라오스 재해위험도 238

표 3.16. 네팔 재해위험도 240

표 3.17. 스리랑카 재해위험도 242

표 3.18. 파키스탄 재해위험도 243

표 3.19. 에티오피아 재해위험도 245

표 3.20. 가나 재해위험도 247

표 3.21. 모잠비크 재해위험도 249

표 3.22. 르완다 재해위험도 250

표 3.23. 우간다 재해위험도 252

표 3.24. 탄자니아 재해위험도 253

표 3.25. 세네갈 재해위험도 255

표 3.26. 우즈베키스탄 재해위험도 256

표 3.27. 아제르바이잔 재해위험도 258

표 3.28. 페루 재해위험도 260

표 3.29. 볼리비아 재해위험도 261

표 3.30. 콜롬비아 재해위험도 263

표 3.31. 파라과이 재해위험도 266

표 3.32. 분야별 평가지표 267

표 3.33. INFORM지수 평가지표 268

표 3.34. IDI 세부지표 269

표 3.35. 국가별 역량지표 270

표 3.36. 지진, 홍수, 쓰나미, 태풍, 가뭄에 대한 재난지수 271

표 3.37. 1인당 GNI와 자연재난지수를 반영한 그룹화결과 273

표 3.38. 미얀마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75

표 3.39. 미얀마 주요 피해사례 275

표 3.40. 인도네시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76

표 3.41. 인도네시아 주요 피해사례 277

표 3.42. 베트남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78

표 3.43. 베트남 주요 피해사례 278

표 3.44. 지역별 주요 재난 현황 279

표 3.45. 캄보디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0

표 3.46. 캄보디아 주요 피해사례 280

표 3.47. 필리핀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2

표 3.48. 필리핀 주요 피해사례 282

표 3.49. 방글라데시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3

표 3.50. 방글라데시 주요 피해사례 283

표 3.51. 몽골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4

표 3.52. 몽골 주요 피해사례 285

표 3.53. 라오스 주요 피해사례 285

표 3.54. 네팔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6

표 3.55. 네팔 주요 피해사례 286

표 3.56. 스리랑카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7

표 3.57. 스리랑카 주요 피해사례 288

표 3.58. 파키스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89

표 3.59. 파키스탄 주요 피해사례 289

표 3.60. 에티오피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0

표 3.61. 에티오피아 주요 피해사례 290

표 3.62. 가나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1

표 3.63. 가나 주요 피해사례 292

표 3.64. 모잠비크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3

표 3.65. 모잠비크 주요 피해사례 293

표 3.66. 르완다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4

표 3.67. 르완다 주요 피해사례 294

표 3.68. 우간다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5

표 3.69. 우간다 주요 피해사례 296

표 3.70. 탄자니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7

표 3.71. 탄자니아 주요 피해사례 297

표 3.72. 세네갈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8

표 3.73. 세네갈 주요 피해사례 298

표 3.74. 우즈베키스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299

표 3.75. 우즈베키스탄 주요 피해사례 299

표 3.76. 아제르바이잔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300

표 3.77. 페루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300

표 3.78. 페루 주요 피해사례 301

표 3.79. 볼리비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302

표 3.80. 볼리비아 주요 피해사례 302

표 3.81. 콜롬비아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303

표 3.82. 콜롬비아 주요 피해사례 303

표 3.83. 파라과이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304

표 3.84. 파라과이 주요 피해사례 305

표 3.85. 재난피해 1순위 재난별 국가현황 306

표 3.86. 1차 설문조사 개요 312

표 3.87. 2차 설문조사 개요 315

표 3.88. 최고기술국 대비 기술수준이 높은 상위 20개 기술 316

표 3.89. 방재기술 이전 경험업체 설문조사 결과 318

표 3.90. 3차 설문조사 개요 319

표 3.91. 주요 5개국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수준 및 격차 비교 322

표 3.92.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단계별 기술수준 323

표 3.93. 주요 5개국 재난·재해·안전 분야별 기술수준(%) 및 순위 비교 324

표 3.94. 우리나라 재난·재해·안전 분야 최고기술국 격차 발생 요인 325

표 3.95. 최고기술국 대비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수준(%) 변동(2010) 327

표 3.96. 최고기술국 대비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격차(년) 변동(2010) 327

표 3.97. 최고기술국 대비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수준(%) 변동(2014) 328

표 3.98. 최고기술국 대비 재난·재해·안전 분야 기술격차(년) 변동(2014) 329

표 3.99. KOICA 및 EDCF의 주요 방재분야 ODA(2005-2015) 330

표 3.100. 세부기술 유형별 경쟁력 분석결과 334

표 3.101. 양자 및 다자간 원조 지원 현황(2006-2015) 341

표 3.102. 지역별 양자원조 현황 342

표 3.103. 부처별 ODA 사업계획 조정절차 343

표 3.104. 필리핀 재해경감을 위한 예·경보 시스템 구축 사업 345

표 3.105. 사업 이행 현황(2016) 349

표 3.106. 페루 찬차마요시 수도시설 개선사업 내용 349

표 3.107. KOICA 무상원조 사업 절차 354

표 3.108. KOICA 민관협력사업 내 세부 프로그램 357

표 3.109. 연도별 KOICA 방재관련 무상원조 사업사례 359

표 3.110. 우리나라 무상원조 내 방재관련 금액과 비중 360

표 3.111. KOICA 다자원조 사업 절차 361

표 3.112. KOICA의 다자원조 출연금 유형 362

표 3.113. KOICA의 방재관련 다자원조 사업 사례 363

표 3.114. 한국수출입은행 유상원조 사업 절차 365

표 3.115. 한국수출입은행의 방재관련 유상원조 사업 366

표 3.116. 우리나라 유상원조 내 방재관련 금액과 비중 367

표 3.117. 한국수출입은행 다자원조 사업 절차 368

표 3.118. 한국수출입은행의 다자원조 출자금 유형 368

표 3.119. 한국수출입은행의 방재관련 다자원조 사업 사례 369

표 3.120.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사업추진 전략 370

표 3.121.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 현황(2017) 372

표 3.122. 해외 수출 마케팅 지원내용 375

표 3.123. 글로벌바이어 구매알선 지원내용 376

표 3.124. 사업 지원대상 결격사유 376

표 3.125. 2017년도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 현황 378

표 3.126. 2016년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추진일정 382

표 3.127. P300 지원사항 383

표 3.128. 2017년 K-Global 프로젝트 지원내용 385

표 3.129. 2016년 YES FTA 컨설팅 사업 386

표 3.130. 사업 지원대상 결격사유 387

표 3.131. 2016년 수출첫걸음 희망보험 세부사항 389

표 3.132. 해외진출사업 분류 390

표 3.133. 국제기구 조달시장 동향 394

표 3.134. Trust Fund를 이용한 주요 방재분야 사업 396

표 3.135. RIMES 주요 사업 사례 397

표 3.136. 센다이 재난위험경감강령의 목표, 대상, 우선순위 402

표 3.137. UNISDR 재해관련 협력사업 403

표 3.138. UNISDR 사업프로그램 및 예산(2016-2019) 403

표 3.139. UNDP 주요 방재사업 예시 407

표 3.140. 세계은행그룹(World Bank Group) 408

표 3.141. 한국기업 수주실적(2007-2012) 409

표 3.142. WB 차관 종류별 개요 410

표 3.143. GFDRR의 주요 이니셔티브 412

표 3.144. GFDRR 주요 사업 리스트 412

표 3.145. CCAP의 주요 이니셔티브 414

표 3.146. 기후변화적응-방재 분야 주요 사업 리스트 415

표 3.147. WRM 주요 사업 리스트 416

표 3.148. 세계은행 주요 신탁기금 출연규모(2011-2016) 417

표 3.149. KGGTF의 방재/재난 프로젝트 418

표 3.150. 한국기업 수주실적(2010-2011) 419

표 3.151. ADB 차관종류 421

표 3.152. ADB 프로젝트 수행 절차 421

표 3.153. 물 분야-방재 주요 사업 리스트 422

표 3.154. ADB 기후변화 및 재난위험경감 분야 기금 종류 423

표 3.155. 기후변화적응-방재 분야 주요 사업 리스트 424

표 3.156. GCF 기후변화 적응-재난/방재 관련 사업 예시 428

표 3.157. AIIB 융자사업 현황 430

표 3.158. 국제기구 프로그램 정리 431

표 3.159. USAID의 방재관련 무상원조 사업 사례 436

표 3.160. JICA의 방재관련 유·무상원조 사업 사례 438

표 3.161. AusAID의 방재관련 유·무상원조 사업 사례 443

표 3.162. CIDA의 방재관련 유·무상원조 사업 사례 444

표 3.163. GIZ의 방재관련 유·무상원조 사업 사례 445

표 3.164. 주요 국외 국제개발협력 담당기관의 전략 비교 446

표 4.1. 홍수 피해 저감을 위한 방재기술 패키지(예) 474

표 4.2. 중점협력국별 수원총괄기관 478

표 4.3. 일반협력국별 수원총괄기관 479

표 4.4. 행정구역별 인구밀도 상위 5개 지역(2009년 기준) 482

표 4.5. 해외원조를 통해 구축된 인도네시아 홍수 피해저감 기술 484

표 4.6. 주요 자연피해 현황 490

표 4.7.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분야별 지원현황 494

표 4.8.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지역별 지원현황 495

표 4.9. 주요 면담자 인적사항 501

표 4.10. 미얀마가 수원한 방재관련 원조사업 510

표 4.11. 주요 면담자 인적사항 515

표 4.12. 홍수 관련 방재 기술 515

표 4.13. 재난안전 신기술 해외보급(ODA) 사업계획서 예시(1/2) 517

표 4.14. 재난안전 신기술 해외보급(ODA) 사업계획서 예시(2/2) 518

표 4.15. 해외원조를 통해 구축된 주요 재난기술 520

표 4.16. 르완다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522

표 4.17. 르완다 주요 자연재난 피해현황 523

표 5.1.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육성 사업 536

표 5.2. KOTRA의 중소기업 육성 사업 537

표 5.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K-Global 프로젝트의 중소기업 육성 프로그램 537

표 5.4. 수출 초보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분야 541

표 5.5. 수출 초보 및 유망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의 지원분야 544

표 5.6. 중소기업 해외진출 관련 주요사항 554

표 5.7. 중소기업 해외진출 시 필요사항 555

표 5.8. 적합성평가의 정의 566

표 5.9.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3조의4(재난안전제품의 인증) 568

표 5.10. 신기술 종류별 심사절차 과정 569

표 5.11. 중소기업 제품 성능인증 대상 품목 569

표 5.12. CE 인증 적합성평가 모듈 571

표 5.13. 일본 고치현 방재인증 심사기준 573

표 5.14. 방재기술 성능인증(DPTPC) - 적합성심사 577

표 5.15. 방재기술 성능인증(DPTPC) - 경제성심사 578

표 5.16. 방재기술 성능인증(DPTPC) - 현장심사(안) 579

표 5.17. 방재기술 성능인증(DPTPC) - 종합심사(안) 579

표 5.18. 방재기술 성능인증(DPTPC) - 특성화 분야 심사(안) 580

표 5.19. 방재기술 성능인증 세부 구성요소 581

표 6.1. 방재기술 해외진출 3대 전략 9대 중점추진과제 604

표 6.2. 정보수집 및 정보자원 체계화 단계별 과업 610

표 6.3. 인적 역량 강화 단계별 과업 615

표 6.4. 서울시립대 국제도시과학대학원 개발도상국 공무원 교육 프로그램 621

표 6.5. 국제협력 네트워크 강화 단계별 과업 624

표 6.6. 전략적 선도분야 육성 단계별 과업 628

표 6.7. 전략적 협력국가 선정 및 협력 강화 단계별 과업 632

표 6.8. 해외진출 밀착지원 단계별 과업 635

표 6.9. 진출거점 확대 및 진출지역 다변화 단계별 과업 638

표 6.10.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사업(2016) 642

표 6.11. 스타트업 지원현황 643

표 6.12. 재원조달 다변화 단계별 과업 645

표 6.13. 전략적 홍보 추진 단계별 과업 648

표 6.14. 중장기로드맵 종합 - 기반조성 658

표 6.15. 중장기로드맵 종합 - 포트폴리오 구축 662

표 6.16. 중장기로드맵 종합 - 해외사업 확산 665

그림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44

그림 1.2.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45

그림 1.3. 연구개발의 의의 48

그림 1.4. 연구추진 방법 및 구성 50

그림 1.5. 기대효과 51

그림 2.1. 방재기술 분류체계 항목 71

그림 2.2. 재난유형 분류 항목 77

그림 2.3. 재난원인별 재난유형 분류 78

그림 2.4. 기술종류별 분류 79

그림 2.5. 구조적 기술과 비구조적 기술 80

그림 2.6. 방재신기술 분류체계 내 전문분야에 따른 방재신기술 분류 81

그림 2.7. 방재신기술 분류체계 내 세부전문분야에 따른 방재신기술 분류 82

그림 2.8. 재난유형별 방재신기술 분류 83

그림 2.9. 재난원인별 방재신기술 분류 83

그림 2.10. 기술종류별 방재신기술 분류 83

그림 2.11. 재난관리단계별 방재기술 분류(기후변화 방재산업전) 84

그림 2.12. 재난유형별 방재기술... 85

그림 2.13. 재난원인별 방재기술... 85

그림 2.14. 기술종류별 방재기술 분류(기후변화 방재산업전) 85

그림 2.15. 재난관리단계별 방재기술 분류 86

그림 2.16. 재난유형별 방재기술 분류... 87

그림 2.17. 재난원인별 방재기술 분류... 87

그림 2.18. 기술종류별 방재기술 분류(방재기술·제품 자료집) 88

그림 2.19. 재난관리 단계별 방재기술 분류(대한토목학회) 88

그림 2.20. 재난유형별 방재기술 분류... 89

그림 2.21. 재난원인별 방재기술... 89

그림 2.22. 기술종류별 방재기술 분류 90

그림 2.23. 국내 방재기술 분류 - 재난관리단계별 90

그림 2.24. 국내 방재기술 분류... 94

그림 2.25. 국내 방재기술 분류... 94

그림 2.26. 국내 방재기술 분류 - 기술종류별 97

그림 2.27. 정보시스템에 적용된 IT기술 100

그림 2.28. 정책·제도 유형분류 106

그림 2.29. 정책·제도 유형분류 126

그림 2.30. 산업대분류 기준 국내 방재산업 사업체 개수(2012) 141

그림 2.31. 산업세세분류 기준 국내 방재산업 사업체 개수 TOP4 142

그림 2.32. 시도별 방재산업 사업체 개수(2012) 142

그림 2.33. 시군구별 방재사업체 개수 143

그림 2.34. 방재산업 대분류 기준 사업체 수(2013) 144

그림 2.35. 방재산업 업종별 매출액 현황(2013) 144

그림 2.36. 방재산업 지역별 매출 분포(2013) 145

그림 2.37. 재난안전산업 관련 사업체 수(2015) 146

그림 2.38. 재난안전산업 성장단계 비율 146

그림 2.39. 재난안전산업 분야별 종사자 수(2015) 147

그림 2.40. 판매 및 수출 분야의 애로사항 149

그림 2.41. 연도별 방재기술 연구과제 현황(2002-2013) 151

그림 2.42. 재난유형별 방재기술 연구과제 현황(2002-2013) 151

그림 2.43. 세계 안전시장 규모 추이 153

그림 2.44. NOAA의 DART 159

그림 2.45. 실시간 활동 중인 자연재해 지도 159

그림 2.46. 일본의 안전산업 분류사례 163

그림 2.47. 일본의 구조로봇과 내시경 형태의 Active Scope Camera 164

그림 3.1. 사업 추진기법 개발 프로세스 170

그림 3.2. 우리나라의 24개 중점협력국 175

그림 3.3. CPS 중점협력분야 분포 190

그림 3.4. CPS 중점협력분야 내 방재관련 전략 포함 국가 191

그림 3.5. CPS 기반 중점협력국가 유형화를 통한 사업추진 접근성 193

그림 3.6. CPS 기반 사업 추진 전략 도출의 과정 194

그림 3.7. 미얀마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5

그림 3.8.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5

그림 3.9. 캄보디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6

그림 3.10. 베트남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7

그림 3.11. 필리핀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8

그림 3.12. 방글라데시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99

그림 3.13. 몽골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0

그림 3.14. 라오스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0

그림 3.15. 네팔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1

그림 3.16. 스리랑카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2

그림 3.17. 파키스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2

그림 3.18. 가나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3

그림 3.19. 에티오피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4

그림 3.20. 모잠비크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4

그림 3.21. 르완다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5

그림 3.22. 우간다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6

그림 3.23. 탄자니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6

그림 3.24. 세네갈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7

그림 3.25. 우즈베키스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7

그림 3.26. 아제르바이잔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8

그림 3.27. 페루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9

그림 3.28. 볼리비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09

그림 3.29. 콜롬비아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10

그림 3.30. 파라과이 국가개발계획의 기본방향 211

그림 3.31. 국가개발계획 기반 국가 유형화를 통한 사업추진 접근성 213

그림 3.32. 미얀마의 홍수, 태풍 예측기술 216

그림 3.33. 인도네시아의 홍수 수위 모니터링 기술 219

그림 3.34. 인도네시아의 쓰나미 대비 기술 220

그림 3.35.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수로시설 221

그림 3.36. 인도네시아의 댐 현황 221

그림 3.37. 베트남의 VinAWARE 시스템 223

그림 3.38. 베트남의 홍수 범람 지도와 홍수 위험 지도 224

그림 3.39. 베트남의 홍수 대응 댐 구축 현황 224

그림 3.40. 베트남의 홍수 대응 방재구조물 구축 현황 225

그림 3.41. 캄보디아의 국가 재난 관리시스템, NCDM 227

그림 3.42. 캄보디아의 국가 재난 데이터베이스, CamDI 227

그림 3.43. 필리핀 홍수대비 NOAH 프로그램 230

그림 3.44. 필리핀의 홍수 대응 수로시설 230

그림 3.45. 필리핀의 지진 대비 위험 지도 제작 231

그림 3.46. 필리핀의 산사태 대비 위험 지도 231

그림 3.47. 몽골의 통신 기지국 운영 현황 234

그림 3.48. 몽골의 GIS 활용 재해지도 작성 234

그림 3.49. 몽골의 산불 발생지역 분석 235

그림 3.50. 몽골의 GIS 기반 지진피해 분석지도 235

그림 3.51. 몽골의 홍수 방재 시설물 건설 236

그림 3.52. 몽골의 홍수 방재 구조물 노후화 236

그림 3.53. 라오스의 홍수대비 GIS 기술 238

그림 3.54. 에티오피아의 홍수 및 가뭄 대응 댐 건설 계획 246

그림 3.55. 콜롬비아의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 분석 264

그림 3.56. 콜롬비아의 재해지도 작성 264

그림 3.57. 1인당 GNI vs. 자연재난지수 273

그림 3.58. 자바섬 해수면 상승 예측 277

그림 3.59. 베트남 상습 풍수해 피해지역 279

그림 3.60. 국가별 종합 사업기법 311

그림 3.61. 자연재해 유형별 방재기술의 발전수준 313

그림 3.62. 자연재해 유형별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 313

그림 3.63. 재난관리단계별 최고 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 314

그림 3.64. 방재신기술 전문분야 별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국내기술수준 315

그림 3.65. 해외진출 시 우위기술 유형 319

그림 3.66. 해외진출 시 우위기술재해 종류 320

그림 3.67. 개발도상국 필요기술 유형 321

그림 3.68. 개발도상국 기술 수요 재해종류 321

그림 3.69. 최고기술국 대비 국가별 재난분야 기술격차... 326

그림 3.70. 방재기술별 종합 사업기법 337

그림 3.71. 우리나라 ODA의 통합 추진체계(2017) 340

그림 3.72. 우리나라 ODA 규모 및 추이 341

그림 3.73. 정부부처 ODA 사업 절차 342

그림 3.74. 통합 상황실 예시 351

그림 3.75. 재난 예방시스템 예시 352

그림 3.76. KOICA 중점 원조분야와 사업형태 353

그림 3.77. KOICA(외교부)의 사업 체계 362

그림 3.78. 중국인증 분야 377

그림 3.79. 일반 및 고부가가치 인증 분야 377

그림 3.80. 수출기업화 절차 381

그림 3.81. 지사화사업 추진절차 383

그림 3.82. P300 조달 절차 384

그림 3.83. AEO 공인인증 지원사업 추진절차 및 향후 일정 387

그림 3.84. 국외기업 신용조사 서비스 절차 388

그림 3.85. 기부금 순위(2014-2015) 404

그림 3.86. 기후변화 및 재난복원력 부문 주요 재원 출처 406

그림 3.87. WB 프로젝트 수행 절차 410

그림 3.88. ADB 사업 수주 기업 419

그림 3.89. 우리나라 ADB 프로젝트 지원 현황 420

그림 3.90. GCF 운영구조 425

그림 3.91. 재원 조성 현황 426

그림 3.92. GCF 사업승인 절차 427

그림 3.93. AIIB 사업방식 430

그림 3.94. USAID의 ODA 사업 절차 435

그림 3.95. JICA의 ODA사업 절차 437

그림 3.96. 호주의 개발협력 체계 442

그림 3.97. 재원별 종합 사업추진 방안 453

그림 3.98. 방재기술 이전·지원 기준 454

그림 3.99. 통합적 방재기술 해외보급 사업기법 프로세스 456

그림 4.1. 재난관리단계별 접근 전략(중점협력국 대상) 466

그림 4.2. 재난유형별 접근 전략(중점협력국 대상) 467

그림 4.3. 국가전략별 접근 전략(중점협력국 대상) 468

그림 4.4. 시범사업 진행절차 482

그림 4.5. 인도네시아 지도 483

그림 4.6. 페타자카르타 정보지도 485

그림 4.7. 자카르타 대방조제 조감도 486

그림 4.8. 까리안 다목적댐 조감도 486

그림 4.9. 국가 재난관리청(BNPB) 조직도 487

그림 4.10. 국가 재난관리청(BNPB)과 주정부 재난관리청(BPBD) 간... 487

그림 4.11. 자연재해 인명피해 현황(2000-2014) 489

그림 4.12. 자연재해로 인한 인도네시아 재산피해 현황(2000-2014) 489

그림 4.13. 인도네시아의 지난 15년간 유형별 재난 발생 현황 490

그림 4.14. 인도네시아 INFORM지수 492

그림 4.15. 인도네시아 사업 추진 절차 493

그림 4.16. 인도네시아 현지조사 방법(예) 493

그림 4.17. Wonolelo 지역에서 활용되는 산사태 경보 장비 496

그림 4.18. 인도네시아의 방재기술 수요 도출 498

그림 4.19. Kulon Progo 지역의 고장난 산사태 경보 시스템 499

그림 4.20. 인도네시아 산사태 Web Platform 구축 회의 503

그림 4.21. 족자카르타 주정부 재난관리청과 체결한 Letter of Intent 504

그림 4.22. UMY와 Letter of Agreement 체결 504

그림 4.23. UMY와 체결한 Letter of Agreement 505

그림 4.24. 인도네시아 웹플랫폼 구축을 위한 사업제안서와 공식요청서 507

그림 4.25. 미얀마의 지리적 위치 508

그림 4.26. 미얀마 중앙정부의 재난대응체계 509

그림 4.27. 미얀마 현지조사 방법(예) 512

그림 4.28. 미얀마 재난관리훈련센터 방문 513

그림 4.29. 힌타다 대학교 총장 및 학과장 면담 514

그림 4.30. 르완다 지도 519

그림 4.31. 르완다 MIDIMAR 조직도 521

그림 4.32. 르완다 INFORM지수 523

그림 4.33. 르완다 홍수 및 폭우로 인한 산사태 525

그림 4.34. 르완다 가뭄 525

그림 4.35. 르완다에 보급된 지상 저류시설 526

그림 4.36. 전자조달시스템 웹사이트 528

그림 5.1.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추진체계 543

그림 5.2. 수출 초보 및 유망기업 R&D 지원 프로그램 추진절차 544

그림 5.3. ㈜리트코 터널 방재 종합시스템 545

그림 5.4. 페루 칼파 열병합... 546

그림 5.5. 지진 서버형 가속도계 장비 546

그림 5.6. 인도네시아 찌따룸강유역 홍수 예경보시스템 개발사업... 548

그림 5.7. 인증제도의 단계별 절차 566

그림 5.8. 방재기술 성능인증 567

그림 5.9. 방재기술 성능인증 대상 567

그림 5.10. 중소기업 제품 성능인증 절차 570

그림 5.11. 유럽 CE(Confomite Europeenne) 인증 절차 572

그림 5.12. 일본 고치현 방재인증 절차 573

그림 5.13. 독일 TÜV... 575

그림 5.14. 방재기술 성능인증 절차(안) 576

그림 6.1. 단계별 주요 목표 606

그림 6.2. CPS 기반 사업 추진 전략 도출의 과정 630

그림 6.3. PF 사업 구조 641

그림 6.4. GCF 운영구조 645

그림 6.5. PERT chart 예시 652

그림 6.6. 방재기술 해외진출 중장기 로드맵 개념도 65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0461 363.34 -17-7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0462 363.34 -17-7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