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동해·남해동부·제주 : 조사연보. 1-4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 서울 : 해양환경관리공단, 2016
청구기호
577.7 -17-1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70047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해양환경관리공단
주관연구책임자: 고병설
4권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수록
내용: 1. 갯벌생태계 -- 2. 연안생태계 -- 3. 수중생태계 -- 4. 근해생태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1절 퇴적환경 31

1. 조사개요 및 방법 31

2. 조사결과 34

2.1. CN-19: 여자만 갯벌 34

2.2. CN-20: 나로도갯벌 38

2.3. CN-21: 광양만 갯벌 41

2.4. CN-22: 가막만 갯벌 44

2.5. GN-01: 사천-진주만 갯벌 47

2.6. GN-02: 강진만 갯벌 51

2.7. GN-03: 고성만 갯벌 55

2.8. GN-04: 통영 갯벌 58

2.9. GN-05: 진해-마산만 갯벌 61

2.10. GN-06: 거제도 갯벌 66

2.11. GN-07: 낙동강하구 갯벌 70

2.12. GW-01: 초도 해변 74

2.13. GW-02: 봉수대 해변 76

2.14. GW-03: 영랑 해변 78

2.15. GW-04: 기사문 해변 80

2.16. GW-05: 주문진 해변 82

2.17. GW-06: 추암 해변 84

2.18. GW-07: 월천 해변 86

2.19. GB-01: 덕신 해변 88

2.20. GB-02: 구산 해변 90

2.21. GB-03: 덕천 해변 92

2.22. GB-04: 하저 해변 94

2.23. GB-05: 오도리-영일대 해변 96

2.24. GB-06: 계원 갯벌 99

2.25. US-01: 진하 해변 101

2.26. BS-01: 일광 해변 103

2.27. JJ-01: 하도-종달리 갯벌 106

2절 저서생태 109

1. 조사개요 및 방법 109

2. 조사결과 110

2.1. CN-19: 여자만 갯벌 110

2.2. CN-20: 나로도 갯벌 113

2.3. CN-21: 광양만 갯벌 116

2.4. CN-22 가막만 갯벌 119

2.5. GN-01: 사천-진주만 갯벌 122

2.6. GN-02: 강진만 갯벌 125

2.7. GN-03: 고성만 갯벌 128

2.8. GN-04: 통영 갯벌 131

2.9. GN-05: 진해 마산만 갯벌 134

2.10. GN-06: 거제도 갯벌 137

2.11. GN-07: 낙동강 하구 갯벌 140

2.12. GW-01: 초도 해변 143

2.13. GW-02: 봉수대 해변 146

2.14. GW-03: 영랑 해변 148

2.15. GW-04: 기사문 해변 151

2.16. GW-05: 주문진 해변 154

2.17. GW-06: 추암 해변 157

2.18. GW-07: 월천 해변 160

2.19. GB-01: 덕신 해변 163

2.20. GB-02: 구산 해변 166

2.21. GB-03: 덕천 해변 169

2.22. GB-04: 하저 해변 172

2.23. GB-05: 오도리-영일대 해변 175

2.24. GB-06: 계원 해변 179

2.25. US-01: 진하 해변 182

2.26. BS-01: 일광 해변 185

2.27. JJ-01: 하도-종달리 갯벌 188

3절 바닷새 191

1. 조사개요 및 방법 191

2. 조사결과 192

2.1. 볼음/주문도 갯벌 192

2.2. 영종도 갯벌 193

2.3. 송도/시흥 194

2.4. 영흥/선재/대부도 195

2.5. 화성 196

2.6. 원북 197

2.7. 안면도 198

2.8. 대천천 하구 199

2.9. 비인/장항 200

2.10. 변산 202

2.11. 곰소만 203

2.12. 영광 204

2.13. 함평만 205

2.14. 무안 206

2.15. 압해도 207

2.16. 진도 208

2.17. 해남 209

2.18. 강진만 210

2.19. 고금/약산/신지도 211

2.20. 득량만 212

2.21. 낙동강 하구 213

2.22. 당항만 214

2.23. 경남 갯벌 215

2.24. 제주/성산 217

2.25. 거진해안 218

2.26. 강릉해안 219

2.27. 묵호해안 220

2.28. 대진해안 221

2.29. 월포해안 222

2.30. 장안해안 223

4절 염생식물 224

1. 조사개요 및 방법 224

2. 조사결과 225

2.1. CN-19: 여자만 갯벌 225

2.2. CN-20: 나로도 갯벌 228

2.3. CN-21: 광양만 갯벌 230

2.4. CN-22: 가막만 갯벌 232

2.5. GN-01: 사천-진주만 갯벌 233

2.6. GN-02: 강진만 갯벌 237

2.7. GN-03: 고성만 갯벌 239

2.8. GN-04: 통영 갯벌 240

2.9. GN-05: 진해-마산만 갯벌 242

2.10. GN-06: 거제도 갯벌 246

2.11. GN-07: 낙동강 하구 갯벌 247

2.12. GW-01: 초도 해변 249

2.13. GW-02: 봉수대 해변 250

2.14. GW-03: 영랑 해변 252

2.15. GW-04: 기사문 해변 253

2.16. GW-05: 주문진 해변 254

2.17. GW-06: 추암 해변 255

2.18. GW-07: 월천 해변 256

2.19. GB-01: 덕신 해변 257

2.20. GB-02: 구산 해변 258

2.21. GB-03: 덕천 해변 259

2.22. GB-04: 하저 해변 261

2.23. GB-05: 오도리-영일대 해변 262

2.24. GB-06: 계원 해변 263

2.25. US-01: 진하 해변 264

2.26. BS-0 1: 일광 해변 265

2.27. JJ-01: 하도리-종달리 갯벌 266

5절 주민인식 268

1. 조사개요 및 방법 268

2. 조사결과 268

6절 우리나라 대표갯벌 279

1. 강화도 남단 갯벌 279

1.1. 퇴적환경 279

1.2. 저서생태(대형저서동물) 284

1.3. 바닷새 287

1.4. 염생식물 288

2. 가로림만 갯벌 291

2.1. 퇴적환경 291

2.2. 저서생태(대형저서동물) 296

2.3. 바닷새 299

2.4. 염생식물 300

3. 증도갯벌 305

3.1. 퇴적환경 305

3.2. 저서생태(대형저서동물) 311

3.3. 바닷새 315

3.4. 염생식물 316

4. 순천만 갯벌 320

4.1. 퇴적환경 320

4.2. 저서생태(대형저서동물) 325

4.3. 바닷새 328

4.4. 염생식물 330

참고문헌 337

〈표 1-1-1〉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5

〈표 1-1-2〉 나로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39

〈표 1-1-3〉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42

〈표 1-1-4〉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45

〈표 1-1-5〉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48

〈표 1-1-6〉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52

〈표 1-1-7〉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56

〈표 1-1-8〉 통영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59

〈표 1-1-9〉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63

〈표 1-1-10〉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67

〈표 1-1-11〉 낙동강 하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71

〈표 1-1-12〉 초도리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74

〈표 1-1-13〉 봉수대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76

〈표 1-1-14〉 등대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78

〈표 1-1-15〉 기사문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80

〈표 1-1-16〉 주문진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82

〈표 1-1-17〉 추암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84

〈표 1-1-18〉 고포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86

〈표 1-1-19〉 덕신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88

〈표 1-1-20〉 구산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90

〈표 1-1-21〉 덕천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92

〈표 1-1-22〉 하저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94

〈표 1-1-23〉 오도리-영일대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97

〈표 1-1-24〉 계원리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99

〈표 1-1-25〉 진하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101

〈표 1-1-26〉 일광 해변 퇴적물의 입도 특성 104

〈표 1-1-27〉 하도-종달리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107

〈표 1-2-1〉 2016년 여자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0

〈표 1-2-2〉 2016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11

〈표 1-2-3〉 2016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11

〈표 1-2-4〉 2016년 나로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3

〈표 1-2-5〉 2016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14

〈표 1-2-6〉 2016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14

〈표 1-2-7〉 2016년 광양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6

〈표 1-2-8〉 2016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17

〈표 1-2-9〉 2016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17

〈표 1-2-10〉 2016년 가막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19

〈표 1-2-11〉 2016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20

〈표 1-2-12〉 2016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20

〈표 1-2-13〉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22

〈표 1-2-14〉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23

〈표 1-2-15〉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23

〈표 1-2-16〉 2016년 강진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25

〈표 1-2-17〉 2016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26

〈표 1-2-18〉 2016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26

〈표 1-2-19〉 2016년 고성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28

〈표 1-2-20〉 2016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29

〈표 1-2-21〉 2016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29

〈표 1-2-22〉 2016년 통영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31

〈표 1-2-23〉 2016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32

〈표 1-2-24〉 2016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32

〈표 1-2-25〉 2016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34

〈표 1-2-26〉 2016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35

〈표 1-2-27〉 2016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35

〈표 1-2-28〉 2016년 거제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37

〈표 1-2-29〉 2016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38

〈표 1-2-30〉 2016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38

〈표 1-2-31〉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40

〈표 1-2-32〉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41

〈표 1-2-33〉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41

〈표 1-2-34〉 2016년 초도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43

〈표 1-2-35〉 2016년 초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44

〈표 1-2-36〉 2016년 초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44

〈표 1-2-37〉 2016년 봉수대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46

〈표 1-2-38〉 2016년 봉수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46

〈표 1-2-39〉 2016년 봉수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47

〈표 1-2-40〉 2016년 등대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48

〈표 1-2-41〉 2016년 등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49

〈표 1-2-42〉 2016년 등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49

〈표 1-2-43〉 2016년 기사문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51

〈표 1-2-44〉 2016년 기사문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52

〈표 1-2-45〉 2016년 기사문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52

〈표 1-2-46〉 2016년 주문진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54

〈표 1-2-47〉 2016년 주문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55

〈표 1-2-48〉 2016년 주문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55

〈표 1-2-49〉 2016년 추암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57

〈표 1-2-50〉 2016년 추암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58

〈표 1-2-51〉 2016년 추암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58

〈표 1-2-52〉 2016년 고포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0

〈표 1-2-53〉 2016년 고포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61

〈표 1-2-54〉 2016년 고포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61

〈표 1-2-55〉 2016년 덕신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3

〈표 1-2-56〉 2016년 덕신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64

〈표 1-2-57〉 2016년 덕신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64

〈표 1-2-58〉 2016년 구산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6

〈표 1-2-59〉 2016년 구산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67

〈표 1-2-60〉 2016년 구산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67

〈표 1-2-61〉 2016년 덕천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69

〈표 1-2-62〉 2016년 덕천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70

〈표 1-2-63〉 2016년 덕천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70

〈표 1-2-64〉 2016년 하저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72

〈표 1-2-65〉 2016년 하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73

〈표 1-2-66〉 2016년 하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73

〈표 1-2-67〉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75

〈표 1-2-68〉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76

〈표 1-2-69〉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77

〈표 1-2-70〉 2016년 계원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79

〈표 1-2-71〉 2016년 계원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80

〈표 1-2-72〉 2016년 계원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80

〈표 1-2-73〉 2016년 진하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82

〈표 1-2-74〉 2016년 진하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83

〈표 1-2-75〉 2016년 진하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83

〈표 1-2-76〉 2016년 일광 해변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85

〈표 1-2-77〉 2016년 일광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86

〈표 1-2-78〉 2016년 일광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86

〈표 1-2-79〉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188

〈표 1-2-80〉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189

〈표 1-2-81〉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189

〈표 1-3-1〉 볼음/주문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2

〈표 1-3-2〉 영종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3

〈표 1-3-3〉 송도/시흥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4

〈표 1-3-4〉 영흥/선재/대부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5

〈표 1-3-5〉 화성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6

〈표 1-3-6〉 원북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7

〈표 1-3-7〉 안면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8

〈표 1-3-8〉 대천천 하구 일대의 바닷새 현황 199

〈표 1-3-9〉 비인/장항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0

〈표 1-3-10〉 변산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2

〈표 1-3-11〉 곰소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3

〈표 1-3-12〉 영광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4

〈표 1-3-13〉 함평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5

〈표 1-3-14〉 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6

〈표 1-3-15〉 압해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7

〈표 1-3-16〉 진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8

〈표 1-3-17〉 해남 일대의 바닷새 현황 209

〈표 1-3-18〉 강진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0

〈표 1-3-19〉 고금/약산/신지도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1

〈표 1-3-20〉 득량만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2

〈표 1-3-21〉 낙동강 하구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3

〈표 1-3-22〉 당항만 갯벌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4

〈표 1-3-23〉 봉암 갯벌(경남 갯벌 1)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5

〈표 1-3-24〉 사천만(경남 갯벌2)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5

〈표 1-3-25〉 제주/성산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7

〈표 1-3-26〉 거진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8

〈표 1-3-27〉 강릉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19

〈표 1-3-28〉 묵호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20

〈표 1-3-29〉 대진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21

〈표 1-3-30〉 월포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22

〈표 1-3-31〉 장안해안 일대의 바닷새 현황 223

〈표 1-4-1〉 여자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25

〈표 1-4-2〉 여자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26

〈표 1-4-3〉 여자만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26

〈표 1-4-4〉 나로도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28

〈표 1-4-5〉 나로도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28

〈표 1-4-6〉 나로도 갯벌의 대표 식물군락의 식물량 229

〈표 1-4-7〉 광양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30

〈표 1-4-8〉 광양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30

〈표 1-4-9〉 광양만 갯벌의 대표 식물군락의 식물량 231

〈표 1-4-10〉 가막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32

〈표 1-4-11〉 가막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32

〈표 1-4-12〉 사천-진주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33

〈표 1-4-13〉 사천-진주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34

〈표 1-4-14〉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34

〈표 1-4-15〉 강진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37

〈표 1-4-16〉 강진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37

〈표 1-4-17〉 강진만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38

〈표 1-4-18〉 고성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39

〈표 1-4-19〉 고성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39

〈표 1-4-20〉 통영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40

〈표 1-4-21〉 통영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40

〈표 1-4-22〉 통영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41

〈표 1-4-23〉 진해-마산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42

〈표 1-4-24〉 진해-마산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43

〈표 1-4-25〉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43

〈표 1-4-26〉 거제도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46

〈표 1-4-27〉 거제도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46

〈표 1-4-28〉 낙동강 하구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47

〈표 1-4-29〉 낙동강 하구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47

〈표 1-4-30〉 낙동강 하구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48

〈표 1-4-31〉 초도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49

〈표 1-4-32〉 초도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49

〈표 1-4-33〉 초도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49

〈표 1-4-34〉 봉수대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0

〈표 1-4-35〉 봉수대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0

〈표 1-4-36〉 봉수대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51

〈표 1-4-37〉 영랑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2

〈표 1-4-38〉 영랑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2

〈표 1-4-39〉 기사문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3

〈표 1-4-40〉 기사문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3

〈표 1-4-41〉 주문진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4

〈표 1-4-42〉 주문진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4

〈표 1-4-43〉 추암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5

〈표 1-4-44〉 추암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5

〈표 1-4-45〉 고포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6

〈표 1-4-46〉 고포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6

〈표 1-4-47〉 고포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56

〈표 1-4-48〉 덕신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7

〈표 1-4-49〉 덕신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식생량 257

〈표 1-4-50〉 덕신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57

〈표 1-4-51〉 구산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8

〈표 1-4-52〉 구산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8

〈표 1-4-53〉 구산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58

〈표 1-4-54〉 영광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59

〈표 1-4-55〉 덕천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59

〈표 1-4-56〉 덕천 해변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260

〈표 1-4-57〉 하저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1

〈표 1-4-58〉 하저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1

〈표 1-4-59〉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2

〈표 1-4-60〉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2

〈표 1-4-61〉 계원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3

〈표 1-4-62〉 계원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3

〈표 1-4-63〉 진하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4

〈표 1-4-64〉 진하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4

〈표 1-4-65〉 일광 해변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5

〈표 1-4-66〉 일광 해변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5

〈표 1-4-67〉 하도리-종달리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66

〈표 1-4-68〉 하도리-종달리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66

〈표 1-4-69〉 하도리-종달리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267

〈표 1-6-1〉 강화남단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281

〈표 1-6-2〉 2016년 강화남단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84

〈표 1-6-3〉 2016년 강화남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85

〈표 1-6-4〉 2016년 강화남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85

〈표 1-6-5〉 강화도 지역의 바닷새 현황 287

〈표 1-6-6〉 강화남단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288

〈표 1-6-7〉 강화남단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289

〈표 1-6-8〉 강화남단 갯벌의 대표 식물군락의 식물량 289

〈표 1-6-9〉 가로림만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293

〈표 1-6-10〉 2016년 가로림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296

〈표 1-6-11〉 2016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297

〈표 1-6-12〉 2016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297

〈표 1-6-13〉 가로림만 지역의 바닷새 현황 299

〈표 1-6-14〉 가로림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300

〈표 1-6-15〉 가로림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301

〈표 1-6-16〉 가로림만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301

〈표 1-6-17〉 증도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307

〈표 1-6-18〉 2016년 증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11

〈표 1-6-19〉 2016년 증도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12

〈표 1-6-20〉 2016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12

〈표 1-6-21〉 2016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13

〈표 1-6-22〉 2016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13

〈표 1-6-22〉 증도 지역의 바닷새 현황 315

〈표 1-6-23〉 증도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316

〈표 1-6-24〉 증도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317

〈표 1-6-25〉 증도 갯벌의 대표군락의 식물량 317

〈표 1-6-26〉 순천만갯벌 표층퇴적물의 입도 특성 322

〈표 1-6-27〉 2016년 순천만 갯벌의 정점별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325

〈표 1-6-28〉 2016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밀도 기준) 326

〈표 1-6-29〉 2016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생체량 기준) 326

〈표 1-6-30〉 순천만 지역의 바닷새 현황 328

〈표 1-6-31〉 순천만 갯벌의 연안습지 조사대상 식물종의 수 330

〈표 1-6-32〉 순천만 갯벌의 식생의 종류, 면적 및 식생량 331

〈표 1-6-33〉 순천만 갯벌의 대표 군락의 식물량 331

〈그림 1-1-1〉 갯벌 권역별 조사지역도 32

〈그림 1-1-2〉 핵심공간(갯벌공간) 조사지역도 33

〈그림 1-1-3〉 여자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34

〈그림 1-1-4〉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6

〈그림 1-1-5〉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7

〈그림 1-1-6〉 나로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38

〈그림 1-1-7〉 여자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9

〈그림 1-1-8〉 나로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0

〈그림 1-1-9〉 광양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41

〈그림 1-1-10〉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2

〈그림 1-1-11〉 광양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3

〈그림 1-1-12〉 가막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44

〈그림 1-1-13〉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5

〈그림 1-1-14〉 가막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46

〈그림 1-1-15〉 사천-진주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47

〈그림 1-1-16〉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49

〈그림 1-1-17〉 사천-진주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50

〈그림 1-1-18〉 강진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51

〈그림 1-1-19〉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53

〈그림 1-1-20〉 강진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54

〈그림 1-1-21〉 고성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55

〈그림 1-1-22〉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56

〈그림 1-1-23〉 고성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57

〈그림 1-1-24〉 통영 갯벌 지형단면 특성 58

〈그림 1-1-25〉 통영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0

〈그림 1-1-26〉 통영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60

〈그림 1-1-27〉 진해-마산만 갯벌 지형단면 특성 61

〈그림 1-1-28〉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4

〈그림 1-1-29〉 진해-마산만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65

〈그림 1-1-30〉 거제도 갯벌 지형단면 특성 66

〈그림 1-1-31〉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8

〈그림 1-1-32〉 거제도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69

〈그림 1-1-33〉 낙동강하구 갯벌 지형단면 특성 70

〈그림 1-1-34〉 낙동강하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2

〈그림 1-1-35〉 낙동강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3

〈그림 1-1-36〉 초도리 해변 지형단면 특성 74

〈그림 1-1-37〉 초도 해변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5

〈그림 1-1-38〉 초도리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5

〈그림 1-1-39〉 봉수대 해변 지형단면 특성 76

〈그림 1-1-40〉 봉수대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7

〈그림 1-1-41〉 봉수대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7

〈그림 1-1-42〉 등대 해변 지형단면 특성 78

〈그림 1-1-43〉 등대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79

〈그림 1-1-44〉 등대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9

〈그림 1-1-45〉 기사문 해변 지형단면 특성 80

〈그림 1-1-46〉 기사문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81

〈그림 1-1-47〉 기사문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1

〈그림 1-1-48〉 주문진 해변 지형단면 특성 82

〈그림 1-1-49〉 주문진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83

〈그림 1-1-50〉 주문진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3

〈그림 1-1-51〉 추암 해변 지형단면 특성 84

〈그림 1-1-52〉 추암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85

〈그림 1-1-53〉 추암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5

〈그림 1-1-54〉 고포 해변 지형단면 특성 86

〈그림 1-1-55〉 고포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87

〈그림 1-1-56〉 고포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7

〈그림 1-1-57〉 덕신 해변 지형단면 특성 88

〈그림 1-1-58〉 덕신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89

〈그림 1-1-59〉 구산 해변 지형단면 특성 90

〈그림 1-1-60〉 구산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1

〈그림 1-1-61〉 구산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1

〈그림 1-1-62〉 덕천 해변 지형단면 특성 92

〈그림 1-1-63〉 덕천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3

〈그림 1-1-64〉 덕천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3

〈그림 1-1-65〉 하저 해변 지형단면 특성 94

〈그림 1-1-66〉 하저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5

〈그림 1_1-67〉 하저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5

〈그림 1-1-68〉 오도리-영일대 해변 지형단면 특성 96

〈그림 1-1-69〉 오도리-영일대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97

〈그림 1-1-70〉 오도리-영일대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98

〈그림 1-1-71〉 계원리 해변 지형단면 특성 99

〈그림 1-1-72〉 계원리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00

〈그림 1-1-73〉 계원리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00

〈그림 1-1-74〉 진하 해변 지형단면 특성 101

〈그림 1-1-75〉 진하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02

〈그림 1-1-76〉 진하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02

〈그림 1-1-77〉 일광 해변 지형단면 특성 103

〈그림 1-1-78〉 일광 해변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04

〈그림 1-1-79〉 일광 해변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05

〈그림 1-1-80〉 하도-종달리 갯벌 지형단면 특성 106

〈그림 1-1-81〉 하도-종달리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107

〈그림 1-1-82〉 하도-종달리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108

〈그림 1-2-1〉 2016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10

〈그림 1-2-2〉 2016년 여자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12

〈그림 1-2-3〉 2016년 여자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12

〈그림 1-2-4〉 2016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13

〈그림 1-2-5〉 2016년 나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15

〈그림 1-2-6〉 2016년 나로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15

〈그림 1-2-7〉 2016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16

〈그림 1-2-8〉 2016년 광양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18

〈그림 1-2-9〉 2016년 광양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18

〈그림 1-2-10〉 2016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19

〈그림 1-2-11〉 2016년 가막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21

〈그림 1-2-12〉 2016년 가막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21

〈그림 1-2-13〉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22

〈그림 1-2-14〉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24

〈그림 1-2-15〉 2016년 사천-진주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24

〈그림 1-2-16〉 2016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25

〈그림 1-2-17〉 2016년 강진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27

〈그림 1-2-18〉 2016년 강진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27

〈그림 1-2-19〉 2016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28

〈그림 1-2-20〉 2016년 고성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30

〈그림 1-2-21〉 2016년 고성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30

〈그림 1-2-22〉 2016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31

〈그림 1-2-23〉 2016년 통영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33

〈그림 1-2-24〉 2016년 통영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33

〈그림 1-2-25〉 2016년 진해-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34

〈그림 1-2-26〉 2016년 진해 마산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36

〈그림 1-2-27〉 2016년 진해 마산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36

〈그림 1-2-28〉 2016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37

〈그림 1-2-29〉 2016년 거제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39

〈그림 1-2-30〉 2016년 거제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39

〈그림 1-2-31〉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40

〈그림 1-2-32〉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42

〈그림 1-2-33〉 2016년 낙동강 하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42

〈그림 1-2-34〉 2016년 초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43

〈그림 1-2-35〉 2016년 초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144

〈그림 1-2-36〉 2016년 초도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45

〈그림 1-2-37〉 2016년 봉수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46

〈그림 1-2-38〉 2016년 봉수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47

〈그림 1-2-39〉 2016년 죽왕 봉수대 해빈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47

〈그림 1-2-40〉 2016년 등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48

〈그림 1-2-41〉 2016년 등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0

〈그림 1-2-42〉 2016년 등대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0

〈그림 1-2-43〉 2016년 기사문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51

〈그림 1-2-44〉 2016년 기사문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3

〈그림 1-2-45〉 2016년 기사문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3

〈그림 1-2-46〉 2016년 주문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54

〈그림 1-2-47〉 2016년 주문진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5

〈그림 1-2-48〉 2016년 주문진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6

〈그림 1-2-49〉 2016년 추암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57

〈그림 1-2-50〉 2016년 추암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59

〈그림 1-2-51〉 2016년 추암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59

〈그림 1-2-52〉 2016년 고포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60

〈그림 1-2-53〉 2016년 고포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62

〈그림 1-2-54〉 2016년 고포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62

〈그림 1-2-55〉 2016년 덕신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63

〈그림 1-2-56〉 2016년 덕신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65

〈그림 1-2-57〉 2016년 덕신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65

〈그림 1-2-58〉 2016년 구산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66

〈그림 1-2-59〉 2016년 구산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68

〈그림 1-2-60〉 2016년 구산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68

〈그림 1-2-61〉 2016년 덕천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69

〈그림 1-2-62〉 2016년 덕천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71

〈그림 1-2-63〉 2016년 덕천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71

〈그림 1-2-64〉 2016년 하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72

〈그림 1-2-65〉 2016년 하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74

〈그림 1-2-66〉 2016년 하저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74

〈그림 1-2-67〉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75

〈그림 1-2-68〉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77

〈그림 1-2-69〉 2016년 오도리-영일대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청점별 건강도 등급 178

〈그림 1-2-70〉 2016년 계원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79

〈그림 1-2-71〉 2016년 계원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81

〈그림 1-2-72〉 2016년 계원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81

〈그림 1-2-73〉 2016년 진하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82

〈그림 1-2-74〉 2016년 진하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84

〈그림 1-2-75〉 2016년 진하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84

〈그림 1-2-76〉 2016년 일광 해변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85

〈그림 1-2-77〉 2016년 일광 해변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87

〈그림 1-2-78〉 2016년 일광 해변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87

〈그림 1-2-79〉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188

〈그림 1-2-80〉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190

〈그림 1-2-81〉 2016년 하도-종달리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190

〈그림 1-3-1〉 바닷새 조사지역도 191

〈그림 1-4-1〉 고흥군 신흥리의 식생도 227

〈그림 1-4-2〉 순천시 마산리의 식생도 227

〈그림 1-4-3〉 고흥군 백양리의 식생도 229

〈그림 1-4-4〉 여수시 조화리의 식생도 231

〈그림 1-4-5〉 여수시 다평리의 식생도 235

〈그림 1-4-6〉 여수시 조도리의 식생도 236

〈그림 1-4-7〉 통영시 도선리의 식생도 241

〈그림 1-4-8〉 창원시 율티리의 식생도 244

〈그림 1-4-9〉 창원시 봉암동의 식생도 245

〈그림 1-4-10〉 부산시 을숙도의 식생도 248

〈그림 1-4-11〉 고성군 봉수대 해변의 식생도 251

〈그림 1-4-12〉 덕천대해수욕장의 식생도 260

〈그림 1-5-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도 설문결과 자료 269

〈그림 1-5-2〉 국제 람사르 등록 습지 지정 인지도 설문결과 자료 269

〈그림 1-5-3〉 습지보호지역 지정 인지경로 설문결과 자료 270

〈그림 1-5-4〉 습지보호 필요성 인식도 설문결과 자료 270

〈그림 1-5-5〉 습지보호지역 주민 홍보정도 설문결과 자료 271

〈그림 1-5-6〉 습지보호지역 지정 적절성 설문결과 자료 271

〈그림 1-5-7〉 습지보호지역 지정 고가치 요소 설문결과 자료 272

〈그림 1-5-8〉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지역에 미친 영향 설문결과 자료 272

〈그림 1-5-9〉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소득 변화 설문결과 자료 273

〈그림 1-5-10〉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생활에 미친 영향 설문결과 자료 273

〈그림 1-5-11〉 습지보호지역 지정 이후 보전 및 관리 평가 설문결과 자료 274

〈그림 1-5-12〉 습지보호지역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이유 설문결과 자료 275

〈그림 1-5-13〉 지보호지역 관리가 잘 되고 있지 않는 이유 설문결과 자료 275

〈그림 1-5-14〉 습지보호지역의 위협요소 설문결과 자료 276

〈그림 1-5-15〉 습지보호지역 보전을 위한 우선사업 설문결과 자료 276

〈그림 1-5-16〉 습지보호지역의 람사르 습지 등록에 대한 동의여부 설문결과 자료 277

〈그림 1-5-17〉 습지보호지역 확대 동의여부 설문결과 자료 277

〈그림 1-5-18〉 습지보호지역 추가 지정의 경우 필요한 사업 설문결과 자료 278

〈그림 1-6-1〉 강화남단갯벌 지형단면 특성 279

〈그림 1-6-2〉 강화남단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82

〈그림 1-6-3〉 강화남단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83

〈그림 1-6-4〉 2016년 강화남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284

〈그림 1-6-5〉 2016년 강화남단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86

〈그림 1-6-6〉 2016년 강화남단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86

〈그림 1-6-7〉 강화도 장화리의 식생도 290

〈그림 1-6-8〉 강화도 동막리의 식생도 290

〈그림 1-6-9〉 강화도 동검도의 식생도 290

〈그림 1-6-10〉 가로림만갯벌 지형단면 특성 291

〈그림 1-6-11〉 가로림만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294

〈그림 1-6-12〉 가로림만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295

〈그림 1-6-13〉 2아6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296

〈그림 1-6-14〉 2016년 가로림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298

〈그림 1-6-15〉 2016년 가로림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298

〈그림 1-6-16〉 서산시 기은리의 식생도 302

〈그림 1-6-17〉 서산시 환성리의 식생도 303

〈그림 1-6-18〉 서산시 오지리의 식생도 304

〈그림 1-6-19〉 서산시 내리의 식생도 304

〈그림 1-6-20〉 증도갯벌 지형단면 특성 305

〈그림 1-6-21〉 증도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08

〈그림 1-6-22〉 증도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10

〈그림 1-6-23〉 2016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311

〈그림 1-6-24〉 2016년 증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14

〈그림 1-6-25〉 2016년 증도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14

〈그림 1-6-26〉 증도 증동리의 식생도 318

〈그림 1-6-27〉 증도 화도 서부의 식생도 319

〈그림 1-6-28〉 순천만갯벌 지형단면 특성 320

〈그림 1-6-29〉 순천만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323

〈그림 1-6-30〉 순천만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324

〈그림 1-6-31〉 2016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 구성비율 325

〈그림 1-6-32〉 2016년 순천만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27

〈그림 1-6-33〉 2016년 순천만 갯벌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정점별 건강도 등급 327

〈그림 1-6-34〉 순천시 대대동의 식생도 332

〈그림 1-6-35〉 순천시 안풍동의 식생도 332

〈그림 1-6-36〉 순전시 학산리의 식생도 333

〈그림 1-6-37〉 순천시 농주리의 식생도 334

〈그림 1-6-38〉 순천시 우영마을의 식생도 335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1절 조사개요 368

1. 조사시기 및 조사정점 368

2. 조사방법 372

3. 분석방법 373

2절 해양환경(수질, 퇴적환경) 376

1. 해양 수질 376

2. 해양 퇴적물 417

3절 부유생태 437

1. 미생물 437

2. 식물플랑크톤 441

가. 군집 조성 441

나. 현존량 445

다. 우점종 457

라. 종 다양성 지수(H') 458

3. 동물플랑크톤 462

가. 동물플랑크톤 출현 종 조성 462

나. 동물플랑크톤 서식밀도 472

다. 동물플랑크톤 생체량 481

라.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 482

4절 저서생태 489

1. 중형저서동물 489

가. 종 조성 489

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3

다.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497

라. 생태지수 501

마. 군집구조 분석 503

바. 중형저서동물과 환경요인 간의 상관관계분석 506

2. 대형저서동물 509

가. 종 조성 509

나. 출현종수, 서식밀도, 생체량 515

다. 우점종 530

라. 생태지수 537

마. 건강도 541

바. 군집 구조 544

사.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의 비교 549

5절 우리나라 대표연안(하구/용승공간) 552

1. 한강 하구 552

가. 해양 수질 552

나. 해양 퇴적물 564

다. 식물플랑크톤 570

라. 동물플랑크톤 575

마. 저서동물 581

2. 금강 하구 584

가. 해양 수질 584

나. 해양 퇴적물 595

다. 식물플랑크톤 601

라. 동물플랑크톤 607

마. 저서동물 614

3. 낙동강 하구 618

가. 해양 수질 618

나. 해양 퇴적물 629

다. 식물플랑크톤 637

라. 동물플랑크톤 643

마. 저서동물 649

4. 동해남부 용승해역 653

가. 해양 수질 653

나. 해양 퇴적물 666

다. 식물플랑크톤 675

라. 동물플랑크톤 682

마. 저서동물 688

참고문헌 692

〈표 2-1-1〉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정점 위치표 369

〈표 2-1-2〉 2016년 우리나라 대표연안(하구/용승 핵심공간)조사정점 위치표 371

〈표 2-1-3〉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연안생태 조사분야 조사항목 372

〈표 2-1-4〉 2016년 우리나라 대표연안(하구/용승 핵심공간) 조사항목 372

〈표 2-1-5〉 저서생태계의 건강성 지수 판정기준 375

〈표 2-2-1〉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의 제주도 해역 수질 일반항목 378

〈표 2-2-2〉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의 동해 해역 수질 일반항목 379

〈표 2-2-3〉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의 남해동부 해역 수질 일반항목 380

〈표 2-2-4〉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하계의 제주 해역 수질 일반항목 381

〈표 2-2-5〉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하계의 동해 해역 수질 일반항목 382

〈표 2-2-6〉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하계의 남해동부 해역 수질 일반항목 383

〈표 2-2-7〉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해역 수온(℃) 기술통계표 384

〈표 2-2-8〉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해역 염분(psu) 기술통계표 385

〈표 2-2-9〉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해역 입자성 부유물질 기술통계표 386

〈표 2-2-10〉 해양 수질 일반항목(춘계) 393

〈표 2-2-11〉 해양 수질 일반항목 기술통계표(춘계) 397

〈표 2-2-12〉 해양 수질 일반항목(하계) 398

〈표 2-2-13〉 해양 수질 일반항목 기술통계표(하계) 402

〈표 2-2-14〉 춘계 기본조사구역에서의 해수 중 미량금속의 농도 407

〈표 2-2-15〉 하계 기본조사구역에서의 해수 중 미량금속의 농도 411

〈표 2-1-16〉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Co의 기술통계표 414

〈표 2-2-17〉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Ni의 기술통계표 415

〈표 2-2-18〉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Cu의 기술통계표 415

〈표 2-2-19〉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Zn의 기술통계표 415

〈표 2-2-20〉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Cd의 기술통계표 416

〈표 2-2-21〉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Pb의 기술통계표 416

〈표 2-2-22〉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419

〈표 2-2-23〉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421

〈표 2-2-24〉 2016년 춘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기술통계표 421

〈표 2-2-25〉 2016년 춘계에 동·남·제주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423

〈표 2-2-26〉 2016년 하계에 동·남·제주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424

〈표 2-2-27〉 2016년 춘계, 하계에 동·남·제주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기술통계표 424

〈표 2-2-28〉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기술통계표(춘계) 426

〈표 2-2-29〉 해양 퇴적물 일반항목 및 기술통계표(하계) 427

〈표 2-2-30〉 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432

〈표 2-2-31〉 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434

〈표 2-2-32〉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Cd의 기술통계표 435

〈표 2-2-33〉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Co의 기술통계표 435

〈표 2-2-34〉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Cr의 기술통계표 435

〈표 2-2-35〉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Cu의 기술통계표 436

〈표 2-2-36〉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Ni의 기술통계표 436

〈표 2-2-37〉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Zn의 기술통계표 436

〈표 2-2-38〉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Pb의 기술통계표 436

〈표 2-2-39〉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Al의 기술통계표 436

〈표 2-3-1〉 2016년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계절별 미생물 총균수 439

〈표 2-3-2〉 2016년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미생물 총균수 기술통계 440

〈표 2-3-3〉 제주·동해·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의 기술통계 441

〈표 2-3-4〉 춘계 제주·동해·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조성 442

〈표 2-3-5〉 하계 제주·동해·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조성 444

〈표 2-3-6〉 춘계 제주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46

〈표 2-3-7〉 춘계 동해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47

〈표 2-3-8〉 춘계 남해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49

〈표 2-3-9〉 하계 제주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51

〈표 2-3-10〉 하계 동해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52

〈표 2-3-11〉 하계 남해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와 엽록소 농도 454

〈표 2-3-12〉 제주·동해·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수의 기술통계 456

〈표 2-3-13〉 제주·동해·남해역의 엽록소-a(total)의 기술통계 456

〈표 2-3-14〉 제주·동해·남해역의 엽록소-a(nano)의 기술통계 456

〈표 2-3-15〉 제주·동해·남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과 평균 세포수 457

〈표 2-3-16〉 제주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다양성 지수 458

〈표 2-3-17〉 동해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다양성 지수 459

〈표 2-3-18〉 남해동부역에 분포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다양성 지수 460

〈표 2-3-19〉 제주·동해·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다양도지수의 기술통계 461

〈표 2-3-20〉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의 기술통계표 463

〈표 2-3-21〉 2016년 제주 연안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464

〈표 2-3-22〉 2016년 동해 연안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465

〈표 2-3-23〉 2016년 남해 연안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466

〈표 2-3-24〉 2016년 춘계 동물플랑크톤 정점별 주요 분류군 점유율 468

〈표 2-3-25〉 2016년 하계 동물플랑크톤 정점별 주요 분류군 점유율 470

〈표 2-3-26〉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기술통계표 473

〈표 2-3-27〉 야광충 밀도 분포의 기술통계표 475

〈표 2-3-28〉 요각류 밀도 분포의 기술통계표 476

〈표 2-3-29〉 지각류 밀도 분포의 기술통계표 478

〈표 2-3-30〉 모악동물 밀도 분포의 기술통계표 479

〈표 2-3-31〉 2016년 춘계 동물플랑크톤 정점별 생체량 481

〈표 2-3-32〉 2016년 하계 동물플랑크톤 정점별 생체량 482

〈표 2-3-33〉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지수 분포의 기술통계표 484

〈표 2-3-34〉 2016년 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 지수 484

〈표 2-3-35〉 2016년 하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 지수 485

〈표 2-4-1〉 2016년 제주 및 동·남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평균 서식 밀도 492

〈표 2-4-2〉 2016년 제주 및 동·남해 해역의 중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평균 생체량 493

〈표 2-4-3〉 2016년 춘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4

〈표 2-4-4〉 2016년 하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6

〈표 2-4-5〉 2016년 춘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8

〈표 2-4-6〉 2016년 하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00

〈표 2-4-7〉 2016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중형저서동물 다양성 지수 501

〈표 2-4-8〉 2016년 제주 및 동·남해역의 중형저서동물 균등도 지수 502

〈표 2-4-9〉 2016 춘계 정점 간 SIMPER 분석(B는 샘플 2개미만) 503

〈표 2-4-10〉 2016 하계 정점 간 SIMPER 분석(D는 샘플 2개미만) 505

〈표 2-4-11〉 2016년 춘계 입도 및 퇴적물지표와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간 상관관계분석 507

〈표 2-4-12〉 2016년 춘계 퇴적물 내 중금속농도와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간 상관관계분석 507

〈표 2-4-13〉 2016년 하계 입도 및 퇴적물지표와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간 상관관계분석 508

〈표 2-4-14〉 2016년 하계 퇴적물 내 중금속농도와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간 상관관계분석 508

〈표 2-4-15〉 2016년 춘계와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 평균 서식밀도... 509

〈표 2-4-16〉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출현종수 511

〈표 2-4-17〉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출현종수 511

〈표 2-4-18〉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평균 서식 밀도 513

〈표 2-4-19〉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평균 서식 밀도 513

〈표 2-4-20〉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평균 서식밀도 515

〈표 2-4-21〉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평균 생체량 515

〈표 2-4-22〉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516

〈표 2-4-23〉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517

〈표 2-4-24〉 2016년 춘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기술 통계표 517

〈표 2-4-25〉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521

〈표 2-4-26〉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평균 서식밀도 522

〈표 2-4-27〉 2016년 춘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기술통계표 522

〈표 2-4-28〉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526

〈표 2-4-29〉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527

〈표 2-4-30〉 2016년 춘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기술통계표 527

〈표 2-4-31〉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상위 우점종 531

〈표 2-4-32〉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상위 우점종 531

〈표 2-4-33〉 2016년 춘계 서식밀도 기준 최우점종 Magelona johnstoni의 정점별 서식밀도 532

〈표 2-4-34〉 2016년 춘계 서식밀도 기준 차우점종 Ampelisca brevicornis의 정점별 서식밀도 533

〈표 2-4-35〉 2016년 하계 서식밀도 기준 최우점종 Polygordius spp.의 정점별 서식밀도 533

〈표 2-4-36〉 2016년 하계 서식밀도 기준 차우점종 Dispio oculata의 정점별 서식밀도 534

〈표 2-4-37〉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종 다양성 지수 538

〈표 2-4-38〉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종 다양성 지수 538

〈표 2-4-39〉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종 균등도 지수 540

〈표 2-4-40〉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종 균등도 지수 540

〈표 2-4-41〉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정점별 건강도 지수 등급 542

〈표 2-4-42〉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의 정점별 건강도 지수 등급 543

〈표 2-4-43〉 2016년 춘계의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정점군 특성 548

〈표 2-4-44〉 2016년 하계의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정점군 특성 549

〈표 2-5-1〉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한강 하구) 일반 해수수질 553

〈표 2-5-2〉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한강) 수온 기술통계표 554

〈표 2-5-3〉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한강) 염분 기술통계표 554

〈표 2-5-4〉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한강) 부유물질 기술통계표 554

〈표 2-5-5〉 핵심공간 한강하구 일반항목, 기술통계표 557

〈표 2-5-6〉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미량금속 농도 561

〈표 2-5-7〉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o의 기술통계표 562

〈표 2-5-8〉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Ni의 기술통계표 562

〈표 2-5-9〉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u의 기술통계표 563

〈표 2-5-10〉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Zn의 기술통계표 563

〈표 2-5-11〉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d의 기술통계표 563

〈표 2-5-12〉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Pb의 기술통계표 564

〈표 2-5-13〉 한강 하구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564

〈표 2-5-14〉 2016년 한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기술통계표 565

〈표 2-5-15〉 2016년 한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기술통계표 565

〈표 2-5-16〉 핵심공간 한강하구 퇴적물 일반항목 및 기술통계표 566

〈표 2-5-17〉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568

〈표 2-5-18〉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d의 기술통계표 569

〈표 2-5-19〉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o의 기술통계표 569

〈표 2-5-20〉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r의 기술통계표 569

〈표 2-5-21〉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u의 기술통계표 569

〈표 2-5-22〉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Ni의 기술통계표 569

〈표 2-5-23〉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Zn의 기술통계표 570

〈표 2-5-24〉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Pb의 기술통계표 570

〈표 2-5-25〉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Al의 기술통계표 570

〈표 2-5-26〉 한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의 기술통계 571

〈표 2-5-27〉 한강하구에서의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종조성 571

〈표 2-5-28〉 한강하구에서의 엽록소-a농도 572

〈표 2-5-29〉 한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Total)의 기술통계 572

〈표 2-5-30〉 한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Nano)의 기술통계 573

〈표 2-5-31〉 한강하구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573

〈표 2-5-32〉 한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기술통계 574

〈표 2-5-33〉 동계(2월) 및 춘계(5월) 한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574

〈표 2-5-34〉 하계(8월) 및 추계(11월) 한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575

〈표 2-5-35〉 한강 하구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576

〈표 2-5-36〉 한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출현종수 577

〈표 2-5-37〉 한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에 따른 계절별 평균밀도 및 출현비율 578

〈표 2-5-38〉 한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의 계절별 밀도 및 우점율 578

〈표 2-5-39〉 한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579

〈표 2-5-40〉 한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579

〈표 2-5-41〉 한강 하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현존량 581

〈표 2-5-42〉 한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기술통계표 582

〈표 2-5-43〉 한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기술통계표 582

〈표 2-5-44〉 한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기술통계표 582

〈표 2-5-45〉 한강 하구역의 집괴분석 결과에 따른 정점군별 특징 583

〈표 2-5-46〉 2016년 핵심공간(금강 하구) 해양 수온, 염분 및 입자성부유물질 585

〈표 2-5-47〉 2016년 핵심공간 조사(금강) 수온 기술통계표 586

〈표 2-5-48〉 2016년 핵심공간 조사(금강) 염분 기술통계표 586

〈표 2-5-49〉 2아6년 핵심공간 조사(금강) 부유물질 기술통계표 586

〈표 2-5-50〉 핵심공간 금강하구 일반항목, 기술통계표 589

〈표 2-5-51〉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미량금속 농도 592

〈표 2-5-52〉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o의 기술통계표 593

〈표 2-5-53〉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Ni의 기술통계표 593

〈표 2-5-54〉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u의 기술통계표 594

〈표 2-5-55〉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Zn의 기술통계표 594

〈표 2-5-56〉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d의 기술통계표 594

〈표 2-5-57〉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Pb의 기술통계표 595

〈표 2-5-58〉 금강 하구 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595

〈표 2-5-59〉 2016년 금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기술통계표 595

〈표 2-5-60〉 2016년 금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기술통계표 596

〈표 2-5-61〉 핵심공간 금강하구 퇴적물 기술통계표 597

〈표 2-5-62〉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599

〈표 2-5-63〉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d의 기술통계표 599

〈표 2-5-64〉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o의 기술통계표 600

〈표 2-5-65〉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r의 기술통계표 600

〈표 2-5-66〉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u의 기술통계표 600

〈표 2-5-67〉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Ni의 기술통계표 600

〈표 2-5-68〉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Zn의 기술통계표 601

〈표 2-5-69〉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Pb의 기술통계표 601

〈표 2-5-70〉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Al의 기술통계표 601

〈표 2-5-71〉 금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의 기술통계표 602

〈표 2-5-72〉 금강하구에서의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종조성표 603

〈표 2-5-73〉 금강하구에서의 엽록소-a 농도 604

〈표 2-5-74〉 금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Total)의 기술통계 604

〈표 2-5-75〉 금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Nano)의 기술통계 605

〈표 2-5-76〉 금강하구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605

〈표 2-5-77〉 금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기술통계 606

〈표 2-5-78〉 동계와 춘계 금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06

〈표 2-5-79〉 하계와 추계 금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07

〈표 2-5-80〉 금강 하구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608

〈표 2-5-81〉 금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출현종수 609

〈표 2-5-82〉 금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분류군에 따른 계절별 평균밀도 및 출현비율 610

〈표 2-5-83〉 금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의 계절별 밀도 및 우점율 610

〈표 2-5-84〉 금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611

〈표 2-5-85〉 금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612

〈표 2-5-86〉 금강 하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현존량 614

〈표 2-5-87〉 금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기술통계표 615

〈표 2-5-88〉 금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기술통계표 615

〈표 2-5-89〉 금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기술통계표 615

〈표 2-5-90〉 2016년 금강 하구역의 집괴분석 결과에 따른 정점군별 특징 617

〈표 2-5-91〉 핵심공간(낙동강 하구) 해양 수질 619

〈표 2-5-92〉 핵심공간 조사(낙동강) 수온 기술통계표 620

〈표 2-5-93〉 핵심공간 조사(낙동강) 염분 기술통계표 620

〈표 2-5-94〉 핵심공간 조사(낙동강) 부유물질 기술통계표 620

〈표 2-5-95〉 핵심공간 낙동강하구 수질 일반항목 및 기술통계표 623

〈표 2-5-96〉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미량금속 농도 626

〈표 2-5-97〉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o의 기술통계표 627

〈표 2-5-98〉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Ni의 기술통계표표 627

〈표 2-5-99〉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u의 기술통계표 628

〈표 2-5-100〉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Zn의 기술통계표 628

〈표 2-5-101〉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d의 기술통계표 628

〈표 2-5-102〉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Pb의 기술통계표 629

〈표 2-5-103〉 낙동강 하구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629

〈표 2-5-104〉 2016년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기술통계표 630

〈표 2-5-105〉 2016년 낙동강 하구역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기술통계표 630

〈표 2-5-106〉 핵심공간 낙동강하구 퇴적물, 기술통계표 632

〈표 2-5-107〉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634

〈표 2-5-108〉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d의 기술통계표 635

〈표 2-5-109〉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o의 기술통계표 635

〈표 2-5-110〉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r의 기술통계표 635

〈표 2-5-111〉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u의 기술통계표 635

〈표 2-5-112〉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Ni의 기술통계표 635

〈표 2-5-113〉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Zn의 기술통계표 636

〈표 2-5-114〉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Pb의 기술통계표 636

〈표 2-5-115〉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Al의 기술통계표 636

〈표 2-5-116〉 낙동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의 기술통계 637

〈표 2-5-117〉 낙동강하구에서의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종조성 638

〈표 2-5-118〉 낙동강하구에서의 엽록소-a농도 639

〈표 2-5-119〉 낙동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Total)의 기술통계 639

〈표 2-5-120〉 낙동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Nano)의 기술통계 640

〈표 2-5-121〉 낙동강하구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640

〈표 2-5-122〉 낙동강하구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기술통계 641

〈표 2-5-123〉 동계(2월) 및 춘계(5월) 낙동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41

〈표 2-5-124〉 하계(8월) 및 추계(11 월) 낙동강하구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42

〈표 2-5-125〉 낙동강 하구역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643

〈표 2-5-126〉 낙동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출현종수 645

〈표 2-5-127〉 낙동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분류군에 따른 계절별 평균밀도 및 출현비율 646

〈표 2-5-128〉 낙동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의 계절별 밀도 및 우점율 646

〈표 2-5-129〉 낙동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647

〈표 2-5-130〉 낙동강 하구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647

〈표 2-5-131〉 낙동강 하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현존량 649

〈표 2-5-132〉 2016년 낙동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기술통계표 650

〈표 2-5-133〉 2016년 낙동강 히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기술통계표 650

〈표 2-5-134〉 2016년 낙동강 하구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기술통계표 650

〈표 2-5-135〉 2016년 낙동강 하구의 집괴분석 결과에 따른 정점군별 특징 652

〈표 2-5-136〉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동해남부 용승해역) 해양 수질 654

〈표 2-5-137〉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동해용승지역) 수온 기술통계표 655

〈표 2-5-138〉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동해용승지역) 염분 기술통계표 655

〈표 2-5-139〉 2016년 연안생태계 핵심공간 조사(동해용승지역) 부유물질 기술통계표 655

〈표 2-5-140〉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지역 해수 중 수질 658

〈표 2-5-141〉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지역 일반항목 기술통계표 660

〈표 2-5-142〉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미량금속 농도 662

〈표 2-5-143〉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o의 기술통계표 663

〈표 2-5-144〉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Ni의 기술통계표 664

〈표 2-5-145〉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u의 기술통계표 664

〈표 2-5-146〉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Zn의 기술통계 665

〈표 2-5-147〉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Cd의 기술통계 665

〈표 2-5-148〉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Pb의 기술통계표 666

〈표 2-5-149〉 동해 용승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666

〈표 2-5-150〉 2016년 동해 용승해역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기술통계표 667

〈표 2-5-151〉 2016년 동해 용승역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기술통계표 667

〈표 2-5-152〉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지역 퇴적물 일반항목, 기술통계표 669

〈표 2-5-153〉 동해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672

〈표 2-5-154〉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d의 기술통계표 672

〈표 2-5-155〉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o의 기술통계표 673

〈표 2-5-156〉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r의 기술통계표 673

〈표 2-5-157〉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Cu의 기술통계표 673

〈표 2-5-158〉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Ni의 기술통계표 673

〈표 2-5-159〉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Zn의 기술통계표 674

〈표 2-5-160〉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Pb의 기술통계표 674

〈표 2-5-161〉 동해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Al의 기술통계표 674

〈표 2-5-162〉 동해 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수의 기술통계 675

〈표 2-5-163〉 동해 용승해역에서의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종조성 676

〈표 2-5-164〉 동해 용승해역에서의 엽록소-a농도 677

〈표 2-5-165〉 동해 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Total)의 기술통계 678

〈표 2-5-166〉 동해 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Nano)의 기술통계 678

〈표 2-5-167〉 동해 용승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679

〈표 2-5-168〉 동해 용승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기술통계 679

〈표 2-5-169〉 동계(2월) 및 춘계(5월) 동해 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80

〈표 2-5-170〉 하계(8월) 및 추계(11월) 동해 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681

〈표 2-5-171〉 동해남부 용승해역의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682

〈표 2-5-172〉 동해남부 용승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출현종수 684

〈표 2-5-173〉 동해남부 용승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분류군에 따른 계절별 평균밀도 및 출현비율 685

〈표 2-5-174〉 동해남부 용승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의 계절별 밀도 및 우점율 685

〈표 2-5-175〉 동해남부 용승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생체량 686

〈표 2-5-176〉 동해남부 용승해역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686

〈표 2-5-177〉 연안용승(동해) 핵심정점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현존량 688

〈표 2-5-178〉 2016년 동해 용승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기술통계표 689

〈표 2-5-179〉 2016년 동해 용승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기술통계표 689

〈표 2-5-180〉 2016년 동해 용승역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기술통계표 689

〈표 2-5-181〉 2016년 연안용승(동해)의 집피분석 결과에 따른 정점군별 특징 690

〈그림 2-1-1〉 2016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해역 정점도 368

〈그림 2-1-2〉 2016년 핵심공간 모니터링 위치도(하구·용승 생태계) 하구/용승해역생태계(4개소) 370

〈그림 2-2-1〉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의 표·저층 수온 분포 376

〈그림 2-2-2〉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하계의 표·저층 수온 분포 376

〈그림 2-2-3〉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의 표·저층 염분 분포 377

〈그림 2-2-4〉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하계의 표·저층 염분 분포 377

〈그림 2-2-5〉 2016년 연안생태 기본조사 춘계와 하계의 입자성 부유물질의 분포 378

〈그림 2-2-6〉 춘계·하계 용존산소 표층·저층 농도 387

〈그림 2-2-7〉 남해동부(S), 제주(J), 동해남부(E) 과거자료 비교 춘계, 하계 용존산소 표층 농도 387

〈그림 2-2-8〉 춘계·하계 POC 표층·저층 농도 388

〈그림 2-2-9〉 춘계·하계 PON 표층·저층 농도 389

〈그림 2-2-10〉 춘계·하계 DIN 표층·저층 농도 390

〈그림 2-2-11〉 남해동부(S), 제주(J), 동해남부(E) 과거자료 비교 춘계, 하계 DIN 표층 농도 390

〈그림 2-2-12〉 춘계, 하계 DIP 표층, 저층 농도 391

〈그림 2-2-13〉 춘계, 하계 규산염 표층, 저층 농도 392

〈그림 2-2-14〉 남해동부(S), 제주(J), 동해남부(E) 과거자료 비교 춘계, 하계 규산염 표층 농도 392

〈그림 2-2-15〉 춘계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 분포 403

〈그림 2-2-16〉 춘계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과 염분의 관계 404

〈그림 2-2-17〉 하계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 분포 405

〈그림 2-2-18〉 하계 기본조사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과 염분의 관계 406

〈그림 2-2-19〉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분포도 418

〈그림 2-2-20〉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평균입도 분포도 420

〈그림 2-2-21〉 2016년 춘계에 동·남·제주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분포도 422

〈그림 2-2-22〉 2016년 하계에 동·남·제주해역에서 퇴적물의 정점별 분급도 분포도 423

〈그림 2-2-23〉 춘계, 하계 퇴적물 CaCO₃, 유기탄소, 총질소 농도 425

〈그림 2-2-24〉 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과의 관계 428

〈그림 2-2-25〉 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분포. 429

〈그림 2-2-26〉 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분포 430

〈그림 2-2-27〉 하계 기본조사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과의 관계 431

〈그림 2-3-1〉 2016년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춘계 미생물 총균수 437

〈그림 2-3-2〉 2016년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하계 미생물 총균수 438

〈그림 2-3-3〉 제주·동해·남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조성 441

〈그림 2-3-4〉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분포도 462

〈그림 2-3-5〉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춘계) 463

〈그림 2-3-6〉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하계) 463

〈그림 2-3-7〉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종 467

〈그림 2-3-8〉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춘계) 473

〈그림 2-3-9〉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현존량(하계) 473

〈그림 2-3-10〉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현존량 분포도 474

〈그림 2-3-11〉 남해 연안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현존량 분포 474

〈그림 2-3-12〉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야광충의 현존량(춘계) 475

〈그림 2-3-13〉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야광충의 현존량(하계) 475

〈그림 2-3-14〉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야광충 현존량 분포도 476

〈그림 2-3-15〉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의 현존량(춘계) 477

〈그림 2-3-16〉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의 현존량(하계) 477

〈그림 2-3-17〉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요각류 현존량 분포도 477

〈그림 2-3-18〉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지각류의 현존량(춘계) 478

〈그림 2-3-19〉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지각류의 현존량(하계) 478

〈그림 2-3-20〉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지각류 현존량 분포도 479

〈그림 2-3-21〉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모악동물의 현존량(춘겨) 480

〈그림 2-3-22〉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중 모악동물의 현존량(하계) 480

〈그림 2-3-23〉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모악동물 현존량 분포도 480

〈그림 2-3-24〉 동해·남해동부 연안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 분포 483

〈그림 2-3-25〉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춘계) 483

〈그림 2-3-26〉 조사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성 지수(하계) 483

〈그림 2-3-27〉 제주 연안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 486

〈그림 2-3-28〉 동해 연안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 487

〈그림 2-3-29〉 남해 연안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 488

〈그림 2-4-1〉 2016년 제주 및 동·남해 해역의 선충류 종 조성 489

〈그림 2-4-2〉 2016년 제주 및 동·남해 해역 선충류 주요 출현 종 490

〈그림 2-4-3〉 2016년 춘계 제주 및 동·남해 해역의 저서성 요각류 종 조성 490

〈그림 2-4-4〉 2016년 제주 및 동·남해 해역 저서성 요각류 주요 출현 종 491

〈그림 2-4-5〉 제주 및 동·남해 해역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개체수 구성비 492

〈그림 2-4-6〉 제주 및 동·남해 해역에서 출현한 중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생체량 구성비 493

〈그림 2-4-7〉 2016년 춘계 제주 및 동·남해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4

〈그림 2-4-8〉 2016년 하계 제주 및 동·남해의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495

〈그림 2-4-9〉 2016년 춘계 제주 및 동·남해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497

〈그림 2-4-10〉 2016년 하계 제주 및 동·남해의 중형저서동물 생체량 499

〈그림 2-4-11〉 2016년 춘계 정점 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03

〈그림 2-4-12〉 2016년 춘계 정점 간 군집 분포도 -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04

〈그림 2-4-13〉 2016년 하계 정점 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05

〈그림 2-4-14〉 2016년 하계 정점 간 군집 분포도 -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506

〈그림 2-4-15〉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출현종수 구성비 510

〈그림 2-4-16〉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출현종수 구성비 510

〈그림 2-4-17〉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개체수 구성비 512

〈그림 2-4-18〉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개체수 구성비 512

〈그림 2-4-19〉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생체량 구성비 514

〈그림 2-4-20〉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동물군별 생체량 구성비 514

〈그림 2-4-21〉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518

〈그림 2-4-22〉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518

〈그림 2-4-23〉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분포도 519

〈그림 2-4-24〉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분포도 520

〈그림 2-4-25〉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523

〈그림 2-4-26〉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523

〈그림 2-4-27〉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분포도 524

〈그림 2-4-28〉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서식밀도 분포도 525

〈그림 2-4-29〉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528

〈그림 2-4-30〉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528

〈그림 2-4-31〉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분포도 529

〈그림 2-4-32〉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생체량 분포도 530

〈그림 2-4-33〉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상위 우점종 분포도 535

〈그림 2-4-34〉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상위 우점종 분포도 536

〈그림 2-4-35〉 2016년 제주·동·남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537

〈그림 2-4-36〉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539

〈그림 2-4-37〉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종 다양성지수 539

〈그림 2-4-38〉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종 균등도지수 541

〈그림 2-4-39〉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종 균등도지수 541

〈그림 2-4-40〉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건강지수 등급 542

〈그림 2-4-41〉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건강지수 등급(내용없음) 363

〈그림 2-4-42〉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정점별 건강지수 등급 543

〈그림 2-4-43〉 2016년 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544

〈그림 2-4-44〉 2016년 하계에 제주·동·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545

〈그림 2-4-45〉 2016년 춘계 제주·동·남해역의 생태환경요소와 대형저서동물간의 판별 분석 결과 546

〈그림 2-4-46〉 2016년 하계 제주·동·남해역의 생태환경요소와 대형저서동물간의 판별 분석 결과 547

〈그림 2-4-47〉 각 해역별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 비교 550

〈그림 2-4-48〉 각 해역별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 비교 550

〈그림 2-4-49〉 각 해역별로 채집된 대형저서동물의 평균생물량 비교 551

〈그림 2-5-1〉 2016년 연안 생태계 계절별 핵심공간 한강하구 수온과 염분 552

〈그림 2-5-2〉 2016년 연안 생태계 계절별 핵심공간 한강하구 입자성 부유물질 553

〈그림 2-5-3〉 핵심공간 한강하구 계절별 용존산소(DO), POC, PON 표층, 저층 농도 555

〈그림 2-5-4〉 핵심공간 한강하구 계절별 DIN, DIP, 규산염 표층 저층 농도 556

〈그림 2-5-5〉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 분포 559

〈그림 2-5-6〉 한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와 염분과의 관계 560

〈그림 2-5-7〉 한강 하구 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565

〈그림 2-5-8〉 핵심공간 한강하구 계절별 CaCO₃, 유기탄소, 총질소 표층 저층 농도 566

〈그림 2-5-9〉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 분포 567

〈그림 2-5-10〉 한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과의 관계 568

〈그림 2-5-11〉 한강 하구에서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570

〈그림 2-5-12〉 한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동계) 580

〈그림 2-5-13〉 한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춘계) 580

〈그림 2-5-14〉 한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하계) 580

〈그림 2-5-15〉 한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추계) 580

〈그림 2-5-16〉 2016년 한강 하구의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583

〈그림 2-5-17〉 핵심공간 금강하구 해양수질 584

〈그림 2-5-18〉 2016년 연안 생태계 계절별 핵심공간 금강하구 입자성 부유물질 585

〈그림 2-5-19〉 핵심공간 금강하구 계절별 용존산소량이, POC, PON 표층, 저층 농도 587

〈그림 2-5-20〉 핵심공간 금강하구 계절별 DIN, DIP, 규산염 표층 저층 농도 588

〈그림 2-5-21〉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분포 591

〈그림 2-5-22〉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과 염분과의 관계 591

〈그림 2-5-23〉 금강 하구 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596

〈그림 2-5-24〉 핵심공간 금강하구 계절별 CaCO₃, 유기탄소, 총질소 표층 저층 농도 596

〈그림 2-5-25〉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분포 598

〈그림 2-5-26〉 금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의 관계 598

〈그림 2-5-27〉 금강 하구에서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602

〈그림 2-5-28〉 금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동계) 613

〈그림 2-5-29〉 금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춘계) 613

〈그림 2-5-30〉 금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하계) 613

〈그림 2-5-31〉 금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2016년 추계) 613

〈그림 2-5-32〉 2016년 금강 하구역의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616

〈그림 2-5-33〉 핵심공간 낙동강 하구의 계절적 수온과 염분 변화 618

〈그림 2-5-34〉 핵심공간 낙동강 하구의 계절적 입자성 부유물질 변화 619

〈그림 2-5-35〉 핵심공간 낙동강 하구 계절별 용존산소(DO), POC, PON 표층 저층 농도 621

〈그림 2-5-36〉 핵심공간 낙동강 하구 계절별 DIN, DIP, 규산염 표층, 저층 농도 622

〈그림 2-5-37〉 금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분포 625

〈그림 2-5-38〉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과 염분과의 관계 625

〈그림 2-5-39〉 낙동강 하구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630

〈그림 2-5-40〉 핵심공간 낙동강 하구 계절별 CaCO₃, 유기탄소, 총질소 표층 저층 농도 631

〈그림 2-5-41〉 핵심공간 D(동해남부용승), N(낙동강하구), K(금강하구), H(한강하구)... 631

〈그림 2-5-42〉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분포 633

〈그림 2-5-43〉 낙동강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의 관계 634

〈그림 2-5-44〉 낙동강 하구에서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637

〈그림 2-5-45〉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동계) 648

〈그림 2-5-46〉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춘계) 648

〈그림 2-5-47〉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하계) 648

〈그림 2-5-48〉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추계) 648

〈그림 2-5-49〉 2016년 낙동강 하구의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651

〈그림 2-5-50〉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해역의 계절적 수온과 염분 변화 653

〈그림 2-5-51〉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해역의 계절적 입자성 부유물질(SPM) 변화 654

〈그림 2-5-52〉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해역 계절별 용존산소, POC, PON 표층 저층 농도 656

〈그림 2-5-53〉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지역 계절별 DIN, DIP, 규산염 표층 저층 농도 657

〈그림 2-5-54〉 핵심공간 D(동해남부용승), N(낙동강하구), K(금강하구), H(한강하구)... 657

〈그림 2-5-55〉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 농도분포 해양수질기준(장기기준)값도... 661

〈그림 2-5-56〉 동해 핵심공간구역 해수 중 용존 미량금속과 염분과의 관계 661

〈그림 2-5-57〉 동해 용승해역의 조사기간 동안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 및 분급도 667

〈그림 2-5-58〉 핵심공간 동해남부 용승지역 계절별 CaCO₃, 유기탄소, 총질소 농도 668

〈그림 2-5-59〉 핵심공간 D(동해남부용승), N(낙동강하구), K(금강하구), H(한강하구) 계절별 유기탄소... 668

〈그림 2-5-60〉 동해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분포 670

〈그림 2-5-61〉 동해 핵심공간구역 퇴적물 중 중금속 농도와 Al의 관계 671

〈그림 2-5-62〉 동해 용승해역에서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675

〈그림 2-5-63〉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동계) 687

〈그림 2-5-64〉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춘계) 687

〈그림 2-5-65〉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하계) 687

〈그림 2-5-66〉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지수(추계) 687

〈그림 2-5-67〉 2016년 연안용승(동해)의 대형저서동물의 집괴 분석 결과 690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1. 동해·남부동해·제주 기본조사 744

1절 해조류/해초류 744

1. 해조류 747

2. 해초류 838

2절 암반무척추동물 850

3절 어류 980

1. 전체 결과 982

2. 1차조사 982

3. 2차조사 1006

4절 두족류/갑각류 1024

1. 두족류 1024

2. 갑각류 1036

5절 난자치어 1050

1. 어란 1051

2. 자치어 1054

3. 유전자분석 1056

6절 결론 1058

1. 해조류/해초류 1058

2. 암반무척추동물 1066

3. 어류 1073

4. 두족류/갑각류 1083

5. 난자치어 1095

6. 향후 관리방안 및 정책제언 1101

2. 해양생태계 부양 핵심공간조사 1102

1절 어류 1102

1. 전체 결과 1103

2. 동계조사 1103

3. 춘계조사 1108

4. 하계조사 1112

5. 추계조사 1117

2절 두족류/갑각류 1122

1. 두족류 1122

2. 갑각류 1134

3절 난자치어 1151

1. 한강하구 1152

2. 금강하구 1158

3. 낙동강하구 1163

4. 동해남부 용승해역 1169

4절 결론 1174

1. 어류 1174

2. 두족류/갑각류 1179

3. 난자치어 1187

3. 우리나라 대표 수중 1194

1절 제주 문섬 1197

1. 무척추동물 1197

2. 산호충류 1201

3. 해조류 1207

4. 어류 1209

2절 남형제섬 1210

1. 무척추동물 1210

2. 산호충류 1215

3. 해조류 1219

4. 어류 1222

3절 경북 왕돌초 1223

1. 무척추동물 1223

2. 산호충류 1228

3. 해조류 1231

4.어류 1234

4절 울릉도 1235

1. 무척추동물 1235

2. 산호충류 1240

3. 해조류 1244

4. 어류 1246

5절 독도 1247

1. 무척추동물 1247

2. 산호충류 1251

3. 해조류 1255

4. 어류 1257

5. 수질환경 1258

6. 식물플랑크톤 1266

7. 동물플랑크톤 1274

8. 어란, 자치어 1277

6절 결론 1281

1. 우리나라 대표수중 1281

2. 산호충류 1283

3. 해조류 1285

4. 어류 1286

참고문헌 1288

부록 1300

〈표 3-1-1〉 2016년 수중생태조사 정점좌표 745

〈표 3-1-2〉 초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47

〈표 3-1-3〉 초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48

〈표 3-1-4〉 초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48

〈표 3-1-5〉 초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49

〈표 3-1-6〉 연금정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49

〈표 3-1-7〉 연금정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50

〈표 3-1-8〉 연금정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50

〈표 3-1-9〉 연금정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51

〈표 3-1-10〉 기사문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51

〈표 3-1-11〉 기사문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52

〈표 3-1-12〉 기사문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52

〈표 3-1-13〉 기사문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53

〈표 3-1-14〉 사근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53

〈표 3-1-15〉 사근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54

〈표 3-1-16〉 사근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54

〈표 3-1-17〉 사근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55

〈표 3-1-18〉 후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55

〈표 3-1-19〉 후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56

〈표 3-1-20〉 후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56

〈표 3-1-21〉 후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57

〈표 3-1-22〉 신남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57

〈표 3-1-23〉 신남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58

〈표 3-1-24〉 신남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58

〈표 3-1-25〉 신남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59

〈표 3-1-26〉 나곡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59

〈표 3-1-27〉 나곡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60

〈표 3-1-28〉 나곡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60

〈표 3-1-29〉 나곡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61

〈표 3-1-30〉 죽변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61

〈표 3-1-31〉 죽변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62

〈표 3-1-32〉 죽변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62

〈표 3-1-33〉 죽변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63

〈표 3-1-34〉 거일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63

〈표 3-1-35〉 거일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64

〈표 3-1-36〉 거일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64

〈표 3-1-37〉 거일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65

〈표 3-1-38〉 축산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65

〈표 3-1-39〉 축산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66

〈표 3-1-40〉 축산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66

〈표 3-1-41〉 축산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67

〈표 3-1-42〉 방어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67

〈표 3-1-43〉 방어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68

〈표 3-1-44〉 방어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68

〈표 3-1-45〉 방어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69

〈표 3-1-46〉 오류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69

〈표 3-1-47〉 오류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70

〈표 3-1-48〉 오류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70

〈표 3-1-49〉 오류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71

〈표 3-1-50〉 문동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71

〈표 3-1-51〉 문동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72

〈표 3-1-52〉 문동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72

〈표 3-1-53〉 문동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73

〈표 3-1-54〉 동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73

〈표 3-1-55〉 동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74

〈표 3-1-56〉 동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74

〈표 3-1-57〉 동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75

〈표 3-1-58〉 지심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75

〈표 3-1-59〉 지심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76

〈표 3-1-60〉 지심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76

〈표 3-1-61〉 지심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77

〈표 3-1-62〉 매물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77

〈표 3-1-63〉 매물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78

〈표 3-1-64〉 매물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78

〈표 3-1-65〉 매물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79

〈표 3-1-66〉 미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79

〈표 3-1-67〉 미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80

〈표 3-1-68〉 미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80

〈표 3-1-69〉 미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81

〈표 3-1-70〉 금오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81

〈표 3-1-71〉 금오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82

〈표 3-1-72〉 금오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82

〈표 3-1-73〉 금오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83

〈표 3-1-74〉 차귀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83

〈표 3-1-75〉 차귀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84

〈표 3-1-76〉 차귀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84

〈표 3-1-77〉 차귀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85

〈표 3-1-78〉 귀덕항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85

〈표 3-1-79〉 귀덕항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86

〈표 3-1-80〉 귀덕항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86

〈표 3-1-81〉 귀덕항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87

〈표 3-1-82〉 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87

〈표 3-1-83〉 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88

〈표 3-1-84〉 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88

〈표 3-1-85〉 우도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89

〈표 3-1-86〉 섶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89

〈표 3-1-87〉 섶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90

〈표 3-1-88〉 섶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90

〈표 3-1-89〉 섶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91

〈표 3-1-90〉 초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91

〈표 3-1-91〉 초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92

〈표 3-1-92〉 초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92

〈표 3-1-93〉 초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93

〈표 3-1-94〉 연금정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94

〈표 3-1-95〉 연금정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94

〈표 3-1-96〉 연금정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94

〈표 3-1-97〉 연금정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95

〈표 3-1-98〉 기사문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96

〈표 3-1-99〉 기사문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96

〈표 3-1-100〉 기사문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97

〈표 3-1-101〉 기사문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797

〈표 3-1-102〉 사근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798

〈표 3-1-103〉 사근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798

〈표 3-1-104〉 사근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799

〈표 3-1-105〉 사근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00

〈표 3-1-106〉 후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01

〈표 3-1-107〉 후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01

〈표 3-1-108〉 후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01

〈표 3-1-109〉 후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02

〈표 3-1-110〉 신남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03

〈표 3-1-111〉 신남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03

〈표 3-1-112〉 신남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04

〈표 3-1-113〉 신남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04

〈표 3-1-114〉 나곡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05

〈표 3-1-115〉 나곡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05

〈표 3-1-116〉 나곡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06

〈표 3-1-117〉 나곡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07

〈표 3-1-118〉 죽변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08

〈표 3-1-119〉 죽변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08

〈표 3-1-120〉 죽변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08

〈표 3-1-121〉 죽변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09

〈표 3-1-122〉 거일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10

〈표 3-1-123〉 거일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10

〈표 3-1-124〉 거일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11

〈표 3-1-125〉 거일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11

〈표 3-1-126〉 축산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12

〈표 3-1-127〉 축산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12

〈표 3-1-128〉 축산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13

〈표 3-1-129〉 축산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13

〈표 3-1-130〉 방어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14

〈표 3-1-131〉 방어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14

〈표 3-1-132〉 방어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15

〈표 3-1-133〉 방어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15

〈표 3-1-134〉 오류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16

〈표 3-1-135〉 오류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16

〈표 3-1-136〉 오류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17

〈표 3-1-137〉 오류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17

〈표 3-1-138〉 문동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18

〈표 3-1-139〉 문동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18

〈표 3-1-140〉 문동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19

〈표 3-1-141〉 문동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19

〈표 3-1-142〉 동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20

〈표 3-1-143〉 동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20

〈표 3-1-144〉 동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21

〈표 3-1-145〉 동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21

〈표 3-1-146〉 지심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22

〈표 3-1-147〉 지심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22

〈표 3-1-148〉 지심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23

〈표 3-1-149〉 지심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23

〈표 3-1-150〉 매물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24

〈표 3-1-151〉 매물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24

〈표 3-1-152〉 매물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25

〈표 3-1-153〉 매물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25

〈표 3-1-154〉 미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26

〈표 3-1-155〉 미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26

〈표 3-1-156〉 미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27

〈표 3-1-157〉 미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27

〈표 3-1-158〉 금오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28

〈표 3-1-159〉 금오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28

〈표 3-1-160〉 금오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29

〈표 3-1-161〉 금오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29

〈표 3-1-162〉 차귀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30

〈표 3-1-163〉 차귀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30

〈표 3-1-164〉 차귀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31

〈표 3-1-165〉 차귀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31

〈표 3-1-166〉 귀덕항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32

〈표 3-1-167〉 귀덕항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32

〈표 3-1-168〉 귀덕항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33

〈표 3-1-169〉 귀덕항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33

〈표 3-1-170〉 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34

〈표 3-1-171〉 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34

〈표 3-1-172〉 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35

〈표 3-1-173〉 우도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35

〈표 3-1-174〉 섶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출현종수 836

〈표 3-1-175〉 섶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물량 836

〈표 3-1-176〉 섶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생태지수 837

〈표 3-1-177〉 섶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상위 5위 우점종 837

〈표 3-1-178〉 2016년 조사시 잘피가 출현한 지역과 출현종 838

〈표 3-1-179〉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서식밀도 839

〈표 3-1-180〉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서식밀도 840

〈표 3-1-181〉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단위면적당 생체량 841

〈표 3-1-182〉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단위면적당 생체량 842

〈표 3-1-18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형태적 특성 844

〈표 3-1-18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출현한 잘피의 형태적 특성 845

〈표 3-1-185〉 조사해역 잘피서식지의 군락형태와 서식면적 847

〈표 3-2-1〉 초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50

〈표 3-2-2〉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51

〈표 3-2-3〉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52

〈표 3-2-4〉 연금정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53

〈표 3-2-5〉 연금정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53

〈표 3-2-6〉 연금정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54

〈표 3-2-7〉 기사문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55

〈표 3-2-8〉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55

〈표 3-2-9〉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56

〈표 3-2-10〉 사근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57

〈표 3-2-11〉 사근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57

〈표 3-2-12〉 사근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58

〈표 3-2-13〉 후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59

〈표 3-2-14〉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59

〈표 3-2-15〉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0

〈표 3-2-16〉 신남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61

〈표 3-2-17〉 신남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61

〈표 3-2-18〉 신남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2

〈표 3-2-19〉 나곡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63

〈표 3-2-20〉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63

〈표 3-2-21〉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4

〈표 3-2-22〉 죽변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65

〈표 3-2-23〉 죽변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65

〈표 3-2-24〉 죽변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6

〈표 3-2-25〉 거일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66

〈표 3-2-26〉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67

〈표 3-2-27〉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7

〈표 3-2-28〉 축산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68

〈표 3-2-29〉 축산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69

〈표 3-2-30〉 축산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69

〈표 3-2-31〉 방어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70

〈표 3-2-32〉 방어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71

〈표 3-2-33〉 방어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71

〈표 3-2-34〉 오류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72

〈표 3-2-35〉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73

〈표 3-2-36〉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73

〈표 3-2-37〉 문동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74

〈표 3-2-38〉 문동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75

〈표 3-2-39〉 문동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75

〈표 3-2-40〉 동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76

〈표 3-2-41〉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77

〈표 3-2-42〉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77

〈표 3-2-43〉 지심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78

〈표 3-2-44〉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79

〈표 3-2-45〉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79

〈표 3-2-46〉 매물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80

〈표 3-2-47〉 매물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81

〈표 3-2-48〉 매물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81

〈표 3-2-49〉 미조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82

〈표 3-2-50〉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83

〈표 3-2-51〉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83

〈표 3-2-52〉 금오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84

〈표 3-2-53〉 금오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85

〈표 3-2-54〉 금오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85

〈표 3-2-55〉 차귀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86

〈표 3-2-56〉 차귀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87

〈표 3-2-57〉 차귀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87

〈표 3-2-58〉 귀덕항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88

〈표 3-2-59〉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89

〈표 3-2-60〉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89

〈표 3-2-61〉 우도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및 생체량 890

〈표 3-2-62〉 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91

〈표 3-2-63〉 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91

〈표 3-2-64〉 섶섬 해역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892

〈표 3-2-65〉 섶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93

〈표 3-2-66〉 섶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간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93

〈표 3-2-67〉 초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894

〈표 3-2-68〉 초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894

〈표 3-2-69〉 초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895

〈표 3-2-70〉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96

〈표 3-2-71〉 초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896

〈표 3-2-72〉 초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897

〈표 3-2-73〉 연금정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897

〈표 3-2-74〉 연금정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898

〈표 3-2-75〉 연금정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898

〈표 3-2-76〉 연금정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899

〈표 3-2-77〉 연금정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00

〈표 3-2-78〉 연금정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00

〈표 3-2-79〉 기사문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01

〈표 3-2-80〉 기사문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02

〈표 3-2-81〉 기사문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02

〈표 3-2-82〉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03

〈표 3-2-83〉 기사문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04

〈표 3-2-84〉 기사문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04

〈표 3-2-85〉 사근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05

〈표 3-2-86〉 사근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06

〈표 3-2-87〉 사근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06

〈표 3-2-88〉 사근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07

〈표 3-2-89〉 사근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08

〈표 3-2-90〉 사근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08

〈표 3-2-91〉 후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09

〈표 3-2-92〉 후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10

〈표 3-2-93〉 후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10

〈표 3-2-94〉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11

〈표 3-2-95〉 후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12

〈표 3-2-96〉 후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12

〈표 3-2-97〉 신남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13

〈표 3-2-98〉 신남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14

〈표 3-2-99〉 신남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14

〈표 3-2-100〉 신남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15

〈표 3-2-101〉 신남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16

〈표 3-2-102〉 신남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16

〈표 3-2-103〉 나곡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17

〈표 3-2-104〉 나곡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17

〈표 3-2-105〉 나곡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18

〈표 3-2-106〉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19

〈표 3-2-107〉 나곡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19

〈표 3-2-108〉 나곡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20

〈표 3-2-109〉 죽변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20

〈표 3-2-110〉 죽변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21

〈표 3-2-111〉 죽변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21

〈표 3-2-112〉 죽변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22

〈표 3-2-113〉 죽변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23

〈표 3-2-114〉 죽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23

〈표 3-2-115〉 거일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24

〈표 3-2-116〉 거일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25

〈표 3-2-117〉 거일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25

〈표 3-2-118〉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26

〈표 3-2-119〉 거일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27

〈표 3-2-120〉 거일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27

〈표 3-2-121〉 축산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28

〈표 3-2-122〉 축산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29

〈표 3-2-123〉 축산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29

〈표 3-2-124〉 축산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30

〈표 3-2-125〉 축산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31

〈표 3-2-126〉 축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31

〈표 3-2-127〉 방어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32

〈표 3-2-128〉 방어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33

〈표 3-2-129〉 방어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33

〈표 3-2-130〉 방어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34

〈표 3-2-131〉 방어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35

〈표 3-2-132〉 방어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35

〈표 3-2-133〉 오류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36

〈표 3-2-134〉 오류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37

〈표 3-2-135〉 오류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37

〈표 3-2-136〉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38

〈표 3-2-137〉 오류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39

〈표 3-2-138〉 오류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39

〈표 3-2-139〉 문동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40

〈표 3-2-140〉 문동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41

〈표 3-2-141〉 문동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41

〈표 3-2-142〉 문동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42

〈표 3-2-143〉 문동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43

〈표 3-2-144〉 문동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43

〈표 3-2-145〉 동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44

〈표 3-2-146〉 동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45

〈표 3-2-147〉 동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45

〈표 3-2-148〉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46

〈표 3-2-149〉 동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47

〈표 3-2-150〉 동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47

〈표 3-2-151〉 지심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48

〈표 3-2-152〉 지심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49

〈표 3-2-153〉 지심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49

〈표 3-2-154〉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50

〈표 3-2-155〉 지심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51

〈표 3-2-156〉 지심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51

〈표 3-2-157〉 매물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52

〈표 3-2-158〉 매물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53

〈표 3-2-159〉 매물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53

〈표 3-2-160〉 매물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54

〈표 3-2-161〉 매물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55

〈표 3-2-162〉 매물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55

〈표 3-2-163〉 미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56

〈표 3-2-164〉 미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57

〈표 3-2-165〉 미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57

〈표 3-2-166〉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58

〈표 3-2-167〉 미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59

〈표 3-2-168〉 미조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59

〈표 3-2-169〉 금오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익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60

〈표 3-2-170〉 금오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61

〈표 3-2-171〉 금오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61

〈표 3-2-172〉 금오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62

〈표 3-2-173〉 금오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63

〈표 3-2-174〉 금오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63

〈표 3-2-175〉 차귀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64

〈표 3-2-176〉 차귀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65

〈표 3-2-177〉 차귀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65

〈표 3-2-178〉 차귀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66

〈표 3-2-179〉 차귀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67

〈표 3-2-180〉 차귀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67

〈표 3-2-181〉 귀덕항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68

〈표 3-2-182〉 귀덕항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69

〈표 3-2-183〉 취덕항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69

〈표 3-2-184〉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70

〈표 3-2-185〉 귀덕항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71

〈표 3-2-186〉 귀덕항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71

〈표 3-2-187〉 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72

〈표 3-2-188〉 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73

〈표 3-2-189〉 우도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73

〈표 3-2-190〉 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74

〈표 3-2-191〉 우도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75

〈표 3-2-192〉 우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75

〈표 3-2-193〉 섶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출현종수 976

〈표 3-2-194〉 섶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개체수 977

〈표 3-2-195〉 섶섬 조하대 해역 조사시기별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 및 수심별 생체량 977

〈표 3-2-196〉 섶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우점종 목록 978

〈표 3-2-197〉 섶섬 해역 조사시기별 조하대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우점종 목록 979

〈표 3-2-198〉 섶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사시기별 제 지수 979

〈표 3-3-1〉 2016 유영생태 조사 정점 좌표 981

〈표 3-3-2〉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983

〈표 3-3-3〉 조사해역 ST-1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보구치의 위내용물 조성 987

〈표 3-3-4〉 조사해역 ST-1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민태의 위내용물 조성 988

〈표 3-3-5〉 조사해역 ST-2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문치가자미의 위내용물 조성 988

〈표 3-3-6〉 조사해역 ST-2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성대의 위내용물 조성 989

〈표 3-3-7〉 조사해역 ST-2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점넙치의 위내용물 조성 990

〈표 3-3-8〉 조사해역 ST-8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대구횟대의 위내용물 조성 991

〈표 3-3-9〉 조사해역 ST-9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대구횟대의 위내용물 조성 991

〈표 3-3-10〉 조사해역 ST-9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임연수어의 위내용물 조성 992

〈표 3-3-11〉 조사해역 ST-10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청어의 위내용물 조성 993

〈표 3-3-12〉 조사해역 ST-10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기름가자미의 위내용물 조성 993

〈표 3-3-13〉 조사해역 ST-12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임연수어의 위내용물 조성 994

〈표 3-3-14〉 정점 ST-14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참돔의 위내용물 조성 994

〈표 3-3-15〉 정점 ST-14에서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벤자리의 위내용물 조성 995

〈표 3-3-16〉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996

〈표 3-3-17〉 조사해역 ST-3에서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조성 1000

〈표 3-3-18〉 조사해역 ST-13에서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씀뱅이의 위내용물 조성 1001

〈표 3-3-19〉 조사해역 ST-16에서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자리돔의 위내용물 조성 1001

〈표 3-3-20〉 조사해역 ST-16에서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줄도화돔의 위내용물 조성 1002

〈표 3-3-21〉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06

〈표 3-3-22〉 조사해역 ST-1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보구치의 위내용물 조성 1011

〈표 3-3-23〉 조사해역 ST-1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양태의 위내용물 조성 1012

〈표 3-3-24〉 조사해역 ST-3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청보리멸의 위내용물 조성 1012

〈표 3-3-25〉 조사해역 ST-3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전갱이의 위내용물 조성 1013

〈표 3-3-26〉 조사해역 ST-4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용가자미의 위내용물 조성 1013

〈표 3-3-27〉 조사해역 ST-14에서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불볼락의 위내용물 조성 1014

〈표 3-3-28〉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15

〈표 3-3-29〉 조사해역 ST-2에서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조성 1019

〈표 3-3-30〉 조사해역 ST-3에서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조성 1019

〈표 3-3-31〉 조사해역 ST-16에서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갈치의 위내용물 조성 1020

〈표 3-3-32〉 조사해역 ST-16에서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샛줄멸의 위내용물 조성 1020

〈표 3-3-33〉 조사해역 ST-16에서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자리돔의 위내용물 조성 1021

〈표 3-4-1〉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25

〈표 3-4-2〉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27

〈표 3-4-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정점별 생태학적 지수 1030

〈표 3-4-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31

〈표 3-4-5〉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33

〈표 3-4-6〉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정점별 생태학적 지수 1034

〈표 3-4-7〉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36

〈표 3-4-8〉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생태학적 지수 1039

〈표 3-4-9〉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40

〈표 3-4-10〉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생태학적 지수 1042

〈표 3-4-11〉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44

〈표 3-4-12〉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정점별 생태학적 지수 1045

〈표 3-4-13〉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047

〈표 3-4-1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정점별 생태학적 지수 1049

〈표 3-5-1〉 해양생태계 기본 난자치어 조사 정점 좌표 1051

〈표 3-5-2〉 2016년 월별·정점별 어란 출현량 1053

〈표 3-5-3〉 조사시기 출현한 어란의 DNA 분석 결과 1057

〈표 3-6-1〉 조사권역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58

〈표 3-6-2〉 동해권역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58

〈표 3-6-3〉 남해동부, 제주권역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59

〈표 3-6-4〉 조사권역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 1059

〈표 3-6-5〉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및 평균 생물량 비교 1061

〈표 3-6-6〉 조사권역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61

〈표 3-6-7〉 동해권역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61

〈표 3-6-8〉 남해동부, 제주권역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총 출현종수 1062

〈표 3-6-9〉 조사권역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생물량 1062

〈표 3-6-10〉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및 평균 생물량 비교 1063

〈표 3-6-11〉 조사권역별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066

〈표 3-6-12〉 조사권역별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평균 개체수 1067

〈표 3-6-13〉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평균 개체수 비교 1069

〈표 3-6-14〉 조사권역별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069

〈표 3-6-15〉 조사권역별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평균 개체수 1070

〈표 3-6-16〉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평균 개체수 비교 1072

〈표 3-6-17〉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075

〈표 3-6-18〉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두족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084

〈표 3-6-19〉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091

〈표 3-6-20〉 동해북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비교 1095

〈표 3-6-21〉 동해남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비교 1096

〈표 3-6-22〉 남해동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비교 1097

〈표 3-6-23〉 제주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비교 1098

〈표 3-6-24〉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자치어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100

〈표 3-1-1〉 2016 해양생태계 부양 핵심공간조사 유영동물 조사 정점 좌표 1103

〈표 3-1-2〉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04

〈표 3-1-3〉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06

〈표 3-1-4〉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08

〈표 3-1-5〉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10

〈표 3-1-6〉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13

〈표 3-1-7〉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15

〈표 3-1-8〉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17

〈표 3-1-9〉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20

〈표 3-2-1〉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22

〈표 3-2-2〉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24

〈표 3-2-3〉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26

〈표 3-2-4〉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28

〈표 3-2-5〉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30

〈표 3-2-6〉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32

〈표 3-2-7〉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35

〈표 3-2-8〉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36

〈표 3-2-9〉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38

〈표 3-2-10〉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40

〈표 3-2-11〉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42

〈표 3-2-12〉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44

〈표 3-2-13〉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46

〈표 3-2-14〉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148

〈표 3-3-1〉 핵심공간 난자치어 조사 정점 좌표 1152

〈표 3-3-2〉 한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 1153

〈표 3-3-3〉 금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 1158

〈표 3-3-4〉 낙동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 1163

〈표 3-3-5〉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 1169

〈표 3-4-1〉 핵심공간에서 채집된 어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176

〈표 3-4-2〉 핵심공간에서 채집된 두족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180

〈표 3-4-3〉 핵심공간에서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의 비교 1184

〈표 3-4-4〉 한강하구에서의 기존자료와 비교 1187

〈표 3-4-5〉 금강하구에서의 기존자료와 비교 1188

〈표 3-4-6〉 낙동강하구에서의 기존자료와 비교 1189

〈표 3-4-7〉 동해남부 용승해역의 기존자료와 비교 1191

〈표 3-4-8〉 핵심공간에서 채집된 자치어에 대한 정점별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 1193

〈표 3-1-1〉 수중생태계 핵심공간 5개 지역의 각 정점별 위치정보 및 명칭 1196

〈표 3-1-2〉 문섬 조사지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197

〈표 3-1-3〉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198

〈표 3-1-4〉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198

〈표 3-1-5〉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199

〈표 3-1-6〉 문섬의 수심별 단각류 상위 우점종 개체수 및 점유율 1199

〈표 3-1-7〉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생물량, 개체수 1200

〈표 3-1-8〉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과거자료 비교 1201

〈표 3-1-9〉 문섬 조사지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시기별, 정점별 출현종수 1202

〈표 3-1-10〉 문섬에서 출현한 보호대상해양생물(산호충류) 목록 1203

〈표 3-1-11〉 문섬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204

〈표 3-1-12〉 문섬의 산호충류 개체수를 우점종 1204

〈표 3-1-13〉 문섬의 산호충류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개체수 1205

〈표 3-1-14〉 문섬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07

〈표 3-1-15〉 문섬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굵은글꼴) 및 아우점종 피도(괄호안의 수) 1208

〈표 3-1-16〉 문섬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208

〈표 3-1-17〉 문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209

〈표 3-1-18〉 문섬 조사정점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209

〈표 3-2-1〉 남형제섬 조사지역의 암반 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210

〈표 3-2-2〉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211

〈표 3-2-3〉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211

〈표 3-2-4〉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를 우점종 1212

〈표 3-2-5〉 남형제섬의 수심별 단각류 상위 우점종 서식 개체수 및 점유율 1212

〈표 3-2-6〉 부산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조사정점별 평균 피도, 생물량, 개체수 1213

〈표 3-2-7〉 부산 남형제섬의 암반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한 과거자료 비교 1214

〈표 3-2-8〉 남형제섬 조사지역에서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시기별, 정점별 출현종수 1215

〈표 3-2-9〉 남형제섬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보호대상해양생물 목록 1216

〈표 3-2-10〉 남형제섬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217

〈표 3-2-11〉 남형제섬의 산호충류 개체수 우점종 1217

〈표 3-2-12〉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개체수 1218

〈표 3-2-13〉 남형제섬 대표 우점종의 년도별 비교 1219

〈표 3-2-14〉 부산 남형제섬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19

〈표 3-2-15〉 남형제섬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굵은글꼴) 및 아우점종 피도(괄호안의 수) 1221

〈표 3-2-16〉 남형제섬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221

〈표 3-2-17〉 남형제섬 조하대의 조사 시기별 R/P와 (R+C)/P 값 1221

〈표 3-2-18〉 남형제섬 조사정점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222

〈표 3-3-1〉 경북 왕돌초 조사지역에서의 암반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223

〈표 3-3-2〉 왕돌초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224

〈표 3-3-3〉 왕돌초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224

〈표 3-3-4〉 왕돌초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225

〈표 3-3-5〉 왕돌초의 수심별 단각류 상위 우점종 개체수 및 점유율 1225

〈표 3-3-6〉 왕돌초 조사정점별 평균 피도, 생물량, 개체수 1226

〈표 3-3-7〉 왕돌초의 암반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한 과거자료 비교 1227

〈표 3-3-8〉 왕돌초 조사지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시기별, 정점별 출현종수 1228

〈표 3-3-9〉 왕돌초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229

〈표 3-3-10〉 왕돌초의 산호충류 개체수 우점종 1229

〈표 3-3-11〉 왕돌초의 산호충류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개체수 1230

〈표 3-3-12〉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31

〈표 3-3-13〉 왕돌초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굵은글꼴) 및 아우점종 피도(괄호안의 수) 1233

〈표 3-3-14〉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233

〈표 3-3-15〉 왕돌초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233

〈표 3-3-16〉 왕돌초 조사정점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234

〈표 3-4-1〉 울릉도 조사지역에서의 암반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235

〈표 3-4-2〉 울릉도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236

〈표 3-4-3〉 울릉도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237

〈표 3-4-4〉 울릉도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237

〈표 3-4-5〉 울릉도의 수심별 단각류 상위 우점종 개체수 및 점유율 1237

〈표 3-4-6〉 울릉도 암반무척추동물의 조사정점별 평균 피도, 생물량, 개체수 1238

〈표 3-4-7〉 울릉도의 암반무척추동물 과거자료 자료 비교 1239

〈표 3-4-8〉 울릉도 조사지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시기별, 정점별 출현종수 1240

〈표 3-4-9〉 울릉도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242

〈표 3-4-10〉 울릉도의 산호충류 개체수 우점종 1242

〈표 3-4-11〉 울릉도의 산호충류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개체수 1242

〈표 3-4-12〉 울릉도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44

〈표 3-4-13〉 울릉도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굵은글꼴) 및 준 우점종(괄호안의 수는 피도) 1245

〈표 3-4-14〉 울릉도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246

〈표 3-4-15〉 울릉도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246

〈표 3-4-16〉 왕돌초 조사정점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246

〈표 3-5-1〉 독도 조사지역에서의 암반저서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출현종수 1247

〈표 3-5-2〉 독도의 암반무척추동물 피도 우점종 1248

〈표 3-5-3〉 독도의 암반무척추동물 생체량 우점종 1248

〈표 3-5-4〉 독도의 암반무척추동물 개체수 우점종 1249

〈표 3-5-5〉 독도의 수심별 단각류 상위 우점종 개체수 및 점유율 1249

〈표 3-5-6〉 독도 암반무척추동물의 조사정점별 평균 피도, 생물량, 개체수 1250

〈표 3-5-7〉 독도 조사지역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52

〈표 3-5-8〉 독도의 산호충류 피도 우점종 1253

〈표 3-5-9〉 독도의 산호충류 개체수 우점종 1253

〈표 3-5-10〉 독도의 산호충류 조사정점별, 시기별 평균 피도, 개체수 1253

〈표 3-5-11〉 독도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55

〈표 3-5-12〉 독도의 해조류 조사시기별, 수심별 우점종(굵은글꼴) 및 아우점종 피도(괄호안의 수) 1256

〈표 3-5-13〉 독도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조사시기별, 수심별 건중량 1256

〈표 3-5-14〉 독도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1257

〈표 3-5-15〉 독도 조사정점에서 목시조사를 통해 확인된 어류종수 및 우점종 1257

〈표 3-5-16〉 독도 수질환경 조사 정점 위치표 1258

〈표 3-5-17〉 독도 수질환경 조사항목 1259

〈표 3-5-18〉 독도 수질환경 일반항목 조사결과 1264

〈표 3-5-19〉 독도 수질환경 중금속 조사결과 1266

〈표 3-5-20〉 독도 해역의 정점별 Total Chlorophyll-a의 농도 1266

〈표 3-5-21〉 독도 해역의 정점별 Nano Chlorophyll-a의 농도 1267

〈표 3-5-22〉 독도 해역 표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1273

〈표 3-5-23〉 독도 해역 저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1273

〈표 3-5-24〉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생체량 1276

〈표 3-5-25〉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우점종 1277

〈표 3-5-26〉 독도 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분류체계별 목록 1280

〈표 3-5-27〉 독도 해역에서 출현한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종 목록 1280

〈표 3-6-1〉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암반저서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281

〈표 3-6-2〉 핵심공간 5개지역의 암반 무척추동물 피도, 생체량, 개체수 1282

〈표 3-6-3〉 핵심공간 각 정점에서의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 1283

〈표 3-6-4〉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산호충류의 출현종수 1283

〈표 3-6-5〉 핵심공간에서 출현한 보호대상 해양생물 1284

〈표 3-6-6〉 핵심공간 5개지역의 산호충류 피도, 개체수 1284

〈표 3-6-7〉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285

〈표 3-6-8〉 핵심공간 5개지역에서의 해조류 건중량과 (R+C)/P 값 1285

〈표 3-6-9〉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어류 출현종수 1286

〈그림 3-1-1〉 2016년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연안생태계 기본조사 해역 정점도 744

〈그림 3-1-2〉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단위면적당 밀도 840

〈그림 3-1-3〉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단위면적당 생체량 842

〈그림 3-1-4〉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형태적 특성 846

〈그림 3-1-5〉 조사해역 잘피의 정점별 분포도 848

〈그림 3-3-1〉 동해·남해동부·제주권역 어류 조사정점 980

〈그림 3-3-2〉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984

〈그림 3-3-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985

〈그림 3-3-4〉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985

〈그림 3-3-5〉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다양도지수 986

〈그림 3-3-6〉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에 대한 집피분석 결과 986

〈그림 3-3-7〉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997

〈그림 3-3-8〉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998

〈그림 3-3-9〉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998

〈그림 3-3-10〉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종다양도지수 999

〈그림 3-3-11〉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999

〈그림 3-3-12〉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08

〈그림 3-3-13〉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08

〈그림 3-3-1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009

〈그림 3-3-15〉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다양도지수 1009

〈그림 3-3-16〉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10

〈그림 3-3-17〉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16

〈그림 3-3-18〉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17

〈그림 3-3-19〉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017

〈그림 3-3-20〉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종다양도지수 1018

〈그림 3-3-21〉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18

〈그림 3-4-1〉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25

〈그림 3-4-2〉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25

〈그림 3-4-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026

〈그림 3-4-4〉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27

〈그림 3-4-5〉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28

〈그림 3-4-6〉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28

〈그림 3-4-7〉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029

〈그림 3-4-8〉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30

〈그림 3-4-9〉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31

〈그림 3-4-10〉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31

〈그림 3-4-11〉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032

〈그림 3-4-12〉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33

〈그림 3-4-13〉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33

〈그림 3-4-1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034

〈그림 3-4-15〉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35

〈그림 3-4-16〉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37

〈그림 3-4-17〉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37

〈그림 3-4-18〉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038

〈그림 3-4-19〉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39

〈그림 3-4-20〉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40

〈그림 3-4-21〉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41

〈그림 3-4-22〉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041

〈그림 3-4-2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43

〈그림 3-4-24〉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44

〈그림 3-4-25〉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44

〈그림 3-4-26〉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045

〈그림 3-4-27〉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46

〈그림 3-4-28〉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047

〈그림 3-4-29〉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047

〈그림 3-4-30〉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048

〈그림 3-4-31〉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1049

〈그림 3-5-1〉 어류 및 난자치어 조사 정점도 1050

〈그림 3-5-2〉 남해동부·동해·제주권역 현장조사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 양상 1054

〈그림 3-5-3〉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055

〈그림 3-5-4〉 조사해역 1차 조사 시 자치어 중 우점종 사진 1055

〈그림 3-5-5〉 조사해역 2차 조사 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055

〈그림 3-5-6〉 조사해역에서 2차 조사 시 자치어 중 우점종 사진 1056

〈그림 3-5-7〉 유전자분석 어란 현미경 사진 1056

〈그림 3-6-1〉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평균 생물량 1059

〈그림 3-6-2〉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종수(좌) 및 생물량(우) 1060

〈그림 3-6-3〉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평균 생물량 1062

〈그림 3-6-4〉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시기별 종수(왼쪽) 및 생물량(오른쪽) 1063

〈그림 3-6-5〉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단위면적당 밀도 1064

〈그림 3-6-6〉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단위면적당 생체량 1065

〈그림 3-6-7〉 조사해역에 분포하는 잘피의 분포면적 1066

〈그림 3-6-8〉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1067

〈그림 3-6-9〉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평균 개체수 1068

〈그림 3-6-10〉 조사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1068

〈그림 3-6-11〉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출현종수 1070

〈그림 3-6-12〉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정점별 평균 개체수 1071

〈그림 3-6-13〉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시기별 종수(좌) 및 개체수(우) 1071

〈그림 3-6-14〉 조사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 중 아열대성 종 출현 빈도 1073

〈그림 3-6-15〉 감포와 속초 주변 연안의 수온변동 그래프 1073

〈그림 3-6-16〉 동해북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096

〈그림 3-6-17〉 동해남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097

〈그림 3-6-18〉 남해동부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098

〈그림 3-6-19〉 제주해역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099

〈그림 3-6-20〉 고성군 초도리 금구도 주변에서 출현한 삼나무말 분포도와 보호구역지정 예비안 1101

〈그림 3-1-1〉 핵심공간조사에서 유영동물 조사 정점 1102

〈그림 3-1-2〉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04

〈그림 3-1-3〉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04

〈그림 3-1-4〉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05

〈그림 3-1-5〉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06

〈그림 3-1-6〉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07

〈그림 3-1-7〉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07

〈그림 3-1-8〉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09

〈그림 3-1-9〉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09

〈그림 3-1-10〉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09

〈그림 3-1-11〉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11

〈그림 3-1-12〉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11

〈그림 3-1-13〉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12

〈그림 3-1-14〉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13

〈그림 3-1-15〉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14

〈그림 3-1-16〉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14

〈그림 3-1-17〉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15

〈그림 3-1-18〉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16

〈그림 3-1-19〉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16

〈그림 3-1-20〉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18

〈그림 3-1-21〉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18

〈그림 3-1-22〉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19

〈그림 3-1-23〉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20

〈그림 3-1-24〉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21

〈그림 3-1-25〉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어류 중 우점종 사진 1121

〈그림 3-2-1〉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23

〈그림 3-2-2〉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23

〈그림 3-2-3〉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24

〈그림 3-2-4〉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25

〈그림 3-2-5〉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25

〈그림 3-2-6〉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26

〈그림 3-2-7〉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27

〈그림 3-2-8〉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27

〈그림 3-2-9〉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28

〈그림 3-2-10〉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29

〈그림 3-2-11〉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29

〈그림 3-2-12〉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30

〈그림 3-2-13〉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31

〈그림 3-2-14〉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31

〈그림 3-2-15〉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32

〈그림 3-2-16〉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33

〈그림 3-2-17〉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33

〈그림 3-2-18〉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두족류 중 우점종 사진 1134

〈그림 3-2-19〉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35

〈그림 3-2-20〉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35

〈그림 3-2-21〉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36

〈그림 3-2-22〉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37

〈그림 3-2-23〉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37

〈그림 3-2-24〉 핵심공간조사에서 동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38

〈그림 3-2-25〉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39

〈그림 3-2-26〉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39

〈그림 3-2-27〉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0

〈그림 3-2-28〉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41

〈그림 3-2-29〉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41

〈그림 3-2-30〉 핵심공간조사에서 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2

〈그림 3-2-31〉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43

〈그림 3-2-32〉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43

〈그림 3-2-33〉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4

〈그림 3-2-34〉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45

〈그림 3-2-35〉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45

〈그림 3-2-36〉 핵심공간조사에서 하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6

〈그림 3-2-37〉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47

〈그림 3-2-38〉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47

〈그림 3-2-39〉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자망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7

〈그림 3-2-40〉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비 1149

〈그림 3-2-41〉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149

〈그림 3-2-42〉 핵심공간조사에서 추계조사 시 통발에 채집된 갑각류 중 우점종 사진 1149

〈그림 3-3-1〉 핵심공간 난·자치어 조사 정점 1151

〈그림 3-3-2〉 한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조사시기별, 정점별 출현 양상 1153

〈그림 3-3-3〉 유전자분석 어란 현미경 사진 1154

〈그림 3-3-4〉 핵심공간조사 동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55

〈그림 3-3-5〉 핵심공간조사 동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우점종 사진 1155

〈그림 3-3-6〉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56

〈그림 3-3-7〉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우점종 사진 1156

〈그림 3-3-8〉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56

〈그림 3-3-9〉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57

〈그림 3-3-10〉 핵심공간조사의 추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57

〈그림 3-3-11〉 핵심공간조사의 추계조사 시 한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57

〈그림 3-3-12〉 금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조사시기별, 정점별 출현 양상 1158

〈그림 3-3-13〉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0

〈그림 3-3-14〉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우점종 사진 1160

〈그림 3-3-15〉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1

〈그림 3-3-16〉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1

〈그림 3-3-17〉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2

〈그림 3-3-18〉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금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2

〈그림 3-3-19〉 낙동강 하구에서 출현한 어란의 조사시기별, 정점별 출현 양상 1164

〈그림 3-3-20〉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5

〈그림 3-3-21〉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6

〈그림 3-3-22〉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6

〈그림 3-3-23〉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6

〈그림 3-3-24〉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7

〈그림 3-3-25〉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7

〈그림 3-3-26〉 핵심공간조사의 추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68

〈그림 3-3-27〉 핵심공간조사의 추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68

〈그림 3-3-28〉 동해남부 용승해역에서 출현한 어란의 조사시기별, 정점별 출현 양상 1170

〈그림 3-3-29〉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동해남부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71

〈그림 3-3-30〉 핵심공간조사의 동계조사 시 동해남부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우점종 사진 1171

〈그림 3-3-31〉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동해남부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72

〈그림 3-3-32〉 핵심공간조사의 춘계조사 시 동해남부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72

〈그림 3-3-33〉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동해남부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 비율 1173

〈그림 3-3-34〉 핵심공간조사의 하계조사 시 낙동강하구 정점에서 채집된 자치어 우점종 사진 1173

〈그림 3-4-1〉 한강하구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188

〈그림 3-4-2〉 금강하구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189

〈그림 3-4-3〉 낙동강하구에서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190

〈그림 3-4-4〉 동해남부 용승해역의 이전자료와 정점별 비교 1191

〈그림 3-1-1〉 제주도 문섬의 조사정점 위치 1194

〈그림 3-1-2〉 부산 남형제섬의 조사정점 위치 1194

〈그림 3-1-3〉 경북 왕돌초의 조사정점 위치 1195

〈그림 3-1-4〉 울릉도의 조사정점 위치 1195

〈그림 3-1-5〉 독도의 조사정점 1196

〈그림 3-1-6〉 문섬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종조성 1197

〈그림 3-1-7〉 문섬의 우점 무척추동물인 분홍바다맨드라미와 태생굴 1198

〈그림 3-1-8〉 문섬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200

〈그림 3-1-9〉 문섬의 수심별 암반무척추동물 우점종 피도 1201

〈그림 3-1-10〉 문섬 조사정점 에서 산호충류 종조성 1202

〈그림 3-1-11〉 제주 문섬에서 출현한 보호대상해양생물(산호) 1203

〈그림 3-1-12〉 문섬의 우점 산호인 분홍바다맨드라미와 가시수지맨드라미 1204

〈그림 3-1-13〉 문섬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 점유율 1205

〈그림 3-1-14〉 문섬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1206

〈그림 3-1-15〉 문섬의 가시수지맨드라미 증가 경향성 1206

〈그림 3-1-16〉 문섬에서 출현한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1207

〈그림 3-1-17〉 문섬에 우점하는 갈조류 감태(Ecklonia cava) 1208

〈그림 3-2-1〉 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조성 1210

〈그림 3-2-2〉 남형제섬에서 우점하는 호박해면과 민가시산호 1211

〈그림 3-2-3〉 남형제섬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213

〈그림 3-2-4〉 남형제섬의 수심별 암반무척추동물 우점종 피도 1214

〈그림 3-2-5〉 남형제섬 조사정점에서의 산호충류 종조성 1215

〈그림 3-2-6〉 남형제섬에서 출현한 보호대상해양생물(산호) 1216

〈그림 3-2-7〉 남형제섬의 우점 산호인 민가시산호 1217

〈그림 3-2-8〉 남형제섬의 산호충류 분류군별 피도 점유율 1218

〈그림 3-2-9〉 남형제섬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18

〈그림 3-2-10〉 부산 남형제섬에서 출현한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종수 1220

〈그림 3-2-11〉 부산 남형제섬에 우점하는 갈조류 곰피(Ecklonia stolonifera) 1220

〈그림 3-3-1〉 왕돌초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조성 1223

〈그림 3-3-2〉 왕돌초의 우점 무척추동물인 호박해면 1224

〈그림 3-3-3〉 왕돌초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생체량비 1226

〈그림 3-3-4〉 왕돌초의 수심별 암반무척추동물 우점종 피도 1227

〈그림 3-3-5〉 왕돌초의 조사정점에서의 산호충류 종조성 1228

〈그림 3-3-6〉 왕돌초의 우점 산호인 부채뿔산호 1229

〈그림 3-3-7〉 왕돌초 산호충류의 분류군별 점유도 1230

〈그림 3-3-8〉 왕돌초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31

〈그림 3-3-9〉 왕돌초에서 출현한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1232

〈그림 3-3-10〉 왕돌초에 우점하는 갈조류 팽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n) 1232

〈그림 3-4-1〉 울릉도의 암반 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조성 1235

〈그림 3-4-2〉 울릉도의 우점 무척추동물인 긴네모돌조개 1236

〈그림 3-4-3〉 울릉도의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238

〈그림 3-4-4〉 울릉도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39

〈그림 3-4-5〉 울릉도 조사정점에서의 산호충류 종조성 1240

〈그림 3-4-6〉 울릉도의 보호대상새양생물인 유착나무돌산호(좌)와 희귀종인 해송류(우) 1241

〈그림 3-4-7〉 울릉도의 우점 산호인 바다딸기류(Eleutherobia spp.) 1241

〈그림 3-4-8〉 울릉도 산호충류의 분류군별 점유도 1243

〈그림 3-4-9〉 울릉도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43

〈그림 3-4-10〉 울릉도에서 출현한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종수 1244

〈그림 3-4-11〉 울릉도에서 우점하는 갈조류(Ecklonia cava) 1245

〈그림 3-5-1〉 독도 조사정점에서의 암반무척추동물 종조성 1247

〈그림 3-5-2〉 독도의 우점무척추동물인 홍합 1248

〈그림 3-5-3〉 독도의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생체량비 1250

〈그림 3-5-4〉 독도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51

〈그림 3-5-5〉 독도 조사지점에서의 산호충류 종조성 1251

〈그림 3-5-6〉 독도의 우점 산호인 바다딸기류(Eleutherobia spp.) 1252

〈그림 3-5-7〉 독도 산호충류의 분류군별 점유도 1254

〈그림 3-5-8〉 울릉도의 수심별 산호충류 우점종 피도 1254

〈그림 3-5-9〉 독도에서 출현한 해조류 분류군별 종조성 및 출현종수 1255

〈그림 3-5-10〉 독도에서 우점하는 갈조류 감태(Ecklonia cava) 1256

〈그림 3-5-11〉 독도 수질환경 조사 정점도 1258

〈그림 3-5-12〉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수온 분포 1259

〈그림 3-5-13〉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염분 분포 1260

〈그림 3-5-14〉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수소이온농도(pH) 분포 1260

〈그림 3-5-15〉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용존산소(DO) 분포 1261

〈그림 3-5-16〉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용존무기질소(DIN) 분포 1261

〈그림 3-5-17〉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용존무기인(DIP) 분포 1262

〈그림 3-5-18〉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용존무기규소(DSi) 분포 1262

〈그림 3-5-19〉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부유입자물질(SPM) 분포 1263

〈그림 3-5-20〉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부유입자성유기탄소(POC) 분포 1263

〈그림 3-5-21〉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부유입자성질소(PN) 분포 1264

〈그림 3-5-22〉 독도 주변해역의 정점별 중금속 분포 1265

〈그림 3-5-23〉 독도 해역의 정점별 Total Chlorophyll-a 농도 1267

〈그림 3-5-24〉 독도 해역의 정점별 Nano Chlorophyll-a 농도 1268

〈그림 3-5-25〉 독도 해역 표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68

〈그림 3-5-26〉 독도 해역 표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종수 1269

〈그림 3-5-27〉 독도 해역 저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69

〈그림 3-5-28〉 독도 해역 저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종수 1270

〈그림 3-5-29〉 정성분석을 실시한 식물플라크톤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70

〈그림 3-5-30〉 독도 해역 표층에서 출현한 실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현존량 1271

〈그림 3-5-31〉 독도 해역 표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 1271

〈그림 3-5-32〉 독도 해역 저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현존량 1272

〈그림 3-5-33〉 독도 해역 저층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현존량 1272

〈그림 3-5-34〉 독도 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1274

〈그림 3-5-35〉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1274

〈그림 3-5-36〉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종수 1275

〈그림 3-5-37〉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분류군별 출현량 1275

〈그림 3-5-38〉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출현량 1276

〈그림 3-5-39〉 독도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의 우점종(Doliolidae) 1277

〈그림 3-5-40〉 독도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종수 1278

〈그림 3-5-41〉 독도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정점별 출현종수 1278

〈그림 3-5-42〉 독도에서 출현한 어란의 정점별 출현개채수 1279

〈그림 3-5-43〉 독도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정점별 출현개채수 1279

〈그림 3-5-44〉 독도에서 출현한 멸치의 어란과 자치어 1280

〈그림 3-6-1〉 핵심공간 5개지역의 암반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조성 1281

〈그림 3-6-2〉 핵심공간 5개지역의 피도를 근거로한 군집유사도 1282

〈그림 3-6-3〉 핵심공간 5개지역의 산호충류의 분류군별 종조성 1283

〈그림 3-6-4〉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종조성 1285

〈그림 3-6-5〉 조사정점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Cluster analysis) 1286

〈그림 3-6-6〉 핵심공간 5개 지역에서 확인된 어류 출현종 유사도 1287

〈부록 그림 1〉 삼척 신남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2

〈부록 그림 2〉 울진 나곡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2

〈부록 그림 3〉 울진 죽변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2

〈부록 그림 4〉 울진 거일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2

〈부록 그림 5〉 영덕 축산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3

〈부록 그림 6〉 포항 방어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3

〈부록 그림 7〉 경주 오류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3

〈부록 그림 8〉 기장 문동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3

〈부록 그림 9〉 동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4

〈부록 그림 10〉 거제 지심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4

〈부록 그림 11〉 매물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4

〈부록 그림 12〉 남해 미조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4

〈부록 그림 13〉 전남 금오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5

〈부록 그림 14〉 거제 지심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5

〈부록 그림 15〉 귀덕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5

〈부록 그림 16〉 남해 미조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5

〈부록 그림 17〉 섶섬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6

〈부록 그림 18〉 전남 금오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6

〈부록 그림 19〉 귀덕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6

〈부록 그림 20〉 귀덕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6

〈부록 그림 21〉 우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7

〈부록 그림 22〉 전남 금오도 수중생태 수직단면도 1307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1절 해양환경 1319

1. 수질환경 1319

2. 퇴적환경 1326

2절 부유생태 1328

1. 식물플랑크톤 1328

2. 동물플랑크톤 1334

3절 저서생태 1340

1. 중형저서동물 1340

2. 대형저서동물 1343

4절 어란 및 자차어 1347

1. 어란 1347

2. 자치어 1349

참고문헌 1354

〈표 4-1-1〉 2016년 동·남해동부 해역의 근해 해양관측점 위치표 1318

〈표 4-1-2〉 2016년 국가해양생태계 종합조사 근해분야 조사항목 1318

〈표 4-1-3〉 2016년 하계 동해·남해 동부해역에서 측정된 해양수질 일반 항목 1322

〈표 4-1-4〉 2016년 하계 동해·남해 동부해역에서 측정된 해양수질 미량 금속 1324

〈표 4-1-5〉 2016년 하계 동해·남해 동부해역에서 측정된 퇴적물의 입도 특성 1326

〈표 4-1-6〉 2016년 하계 동해·남해 동부해역에서 측정된 퇴적물의 환경 특성 1327

〈표 4-2-1〉 2016년 하계 동·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종 수 1329

〈표 4-2-2〉 2016년 하계 동·남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엽록소-a 결과 1330

〈표 4-2-3〉 2016년 하계 동해·남해동부에서 동물플랑크톤 출현 분류군 1334

〈표 4-2-4〉 2016년 하계 동해·남해동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분석결과 1338

〈표 4-2-5〉 2016년 하계 동해·남해동부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분석자료 1339

〈표 4-3-1〉 2016년 8월 정점별 중형저서동물의 서식 밀도 및 생체량 1340

〈표 4-3-2〉 2016년 하계 동해·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분포 1343

〈표 4-3-3〉 2016년 하계 동해·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분포 1344

〈표 4-3-4〉 2016년 하계 동해·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분포 1345

〈표 4-3-5〉 2016년 하계 동해·남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의 상위 우점종 10종 개체수 분포 1346

〈표 4-4-1〉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정점별 어란 출현량 1347

〈표 4-4-2〉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목별 출현량 1349

〈표 4-4-3〉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종별 우점종 출현량 1349

〈표 4-4-4〉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종조성 1350

〈표 4-4-5〉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자치어의 출현량 1353

〈그림 4-1-1〉 2016년 동·남해동부 해역의 근해조사 정점도 1317

〈그림 4-1-2〉 2016년 동·남해동부 해역의 해양환경 분포 1319

〈그림 4-1-3〉 2016년 동·남해동부 해역의 용존무기영양염류 분포 1320

〈그림 4-1-4〉 2016년 동·남해동부 해역의 용존무기질소 분포 1321

〈그림 4-2-1〉 2016년 하계에 동·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 1328

〈그림 4-3-1〉 2016년 8월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정점별 출현 비율 1341

〈그림 4-3-2〉 2016년 8월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의 정점별 생물량 비율 1341

〈그림 4-3-3〉 2016년 8월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분포 1342

〈그림 4-3-4〉 2016년 8월 정점별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분포 1342

〈그림 4-4-1〉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어란의 출현량(A) 및... 1348

〈그림 4-4-2〉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주요 어란의 형태 1348

〈그림 4-4-3〉 2016년 8월 생태계 종합조사 근해조사에서 채집된 주요 자치어 형태 135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38100 577.7 -17-18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8101 577.7 -17-18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8102 577.7 -17-18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38103 577.7 -17-18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