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6)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동해·남해동부·제주 : 긴급조사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 서울 : 해양환경관리공단, 2016
청구기호
577.7 -17-1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2], 696 p.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7007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해양환경관리공단
주관연구책임자: 고병설
부록: 갯벌 행위제한 벌칙 손실보상 규정 비교
참고문헌 수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긴급조사 1. 서·남해 해양생태계 보완조사 38

제1장 서론 39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42

1. 갯벌생태조사 42

2. 수중생태조사 54

제3장 연구결과 60

1. 갯벌생태조사 60

2. 연안생태조사 81

3. 수중생태조사 171

제4장 결론 204

1. 갯벌생태조사 204

2. 연안생태조사 204

3. 수중생태조사 206

제5장 참고문헌 208

긴급조사 2.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조사 211

제1장 과업의 개요 213

1.1. 과업배경 213

1.2. 과업목적 217

1.3. 과업범위 217

제2장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조사 218

2.1. 대형저서동물 218

2.2. 염생식물 251

2.3. 바닷새 277

제3장 대부도 갯벌 현황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298

3.1. 설문조사 개요 298

3.2. 설문조사 결과 299

제4장 종합결론 및 제언 301

제5장 참고문헌 303

1. 저서생물 분야 303

2. 염생식물 분야 306

3. 바닷새 분야 307

긴급조사 3. 연안습지 관리개선(안) 및 중장기 발전전략 마련 309

제1장 연구의 개요 311

1.1. 과업의 필요성 311

1.2. 과업의 목적 312

제2장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국가 이행계획 수립 313

2.1. 람사르 전략계획의 주요 현안사항 313

2.2. 제3차 람사르 전략계획(2009~2015) 이행 현황 파악 316

2.3.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2016~2024) 국내 이행계획(안) 326

2.4. 람사르 협약 CEPA 프로그램 국내 이행계획(안) 332

제3장 제3차 연안습지보전기초계획 372

3.1. 연안습지 보전 기초계획 개요 372

3.2. 연안습지 현황과 관리여건 374

3.3. 계획의 기본방향 및 추진과제 405

제4장 신갯벌 관리전략의 구상 427

4.1. 연안습지(갯벌)의 현황 및 관리 문제 427

4.2. 해양보호구역 설정의 국내외 사례 442

4.3. 갯벌관리 신전략(안) 448

제5장 습지보전법 정비 방안 457

5.1. 현행 법제의 흠결 457

5.2. 갯벌의 보전 및 현명한 이용에 관한 법률(가) 461

제6장 청정갯벌에 대한 인증제 도입 477

6.1. 배경 및 필요성 477

6.2. 유사제도 및 도입 시사점 481

6.3. 도입방안 485

제7장 참고문헌 527

긴급조사 4. 전남갯벌 현황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 529

제1장 과업의 개요 531

1.1. 과업배경 531

1.2. 과업목적 531

1.3. 과업범위 532

제2장 갯벌 현황과 위협요소 533

2.1. 갯벌이란? 533

2.2. 갯벌의 기능과 가치 533

2.3. 갯벌의 세계적 분포화 특성 535

2.4. 갯벌의 위협 요소 536

제3장 전남갯벌의 현황과 특성 542

3.1. 전남갯벌의 형성 542

3.2. 전남갯벌의 인문사회환경과 특성 547

3.3. 전남갯벌의 자연환경과 특성 576

3.4. 해양보호구역관련 법·제도 검토 617

3.5. 전남갯벌의 유형 구분 632

제4장 국외 갯벌의 보존·이용 사례 및 정책 634

4.1. 스리랑카 연안지역 정책 사례 634

4.2. 홍콩 마이 포 습지 사례 636

제5장 전남서부갯벌의 비전과 목표 642

5.1. SWOT 분석 642

5.2. 계획과제 645

5.3. 비전과 목표 649

제6장 전남서부갯벌의 추진전략별 방향 652

6.1. 갯벌의 보호·관리기반 구축 652

6.2. 갯벌의 기능과 가치제고 659

6.3. 삶과 생활을 위한 갯벌자원의 비교우위 강화 665

6.4. 전남서부갯벌의 정체성 제고와 세계화 670

제7장 참고문헌 674

긴급조사 5. 제주 문섬 등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발전전략 수립 연구 677

제1장 서론 679

1.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679

1.2. 과업의 목적 680

1.3. 과업의 범위 680

제2장 서귀포 인근해역 현황 분석 682

2.1. 현황 및 여건 682

2.2. 현안사항 및 문제점 690

2.3. 국내외 사례 694

제3장 비전 및 추진전략 703

3.1. 추진방향 설정 703

3.2. 비전 및 추진전략 709

제4장 전략별 중점 추진 과제 710

4.1. 해양생태계 보전 및 체계적 관리 710

4.2. 인프라 구축 및 실행력 확보 716

4.3. 가치증진 및 미래성장 산업화 721

제5장 기대 효과 730

5.1. 해양생태계 보전 및 체계적 관리 730

5.2. 인프라 구축 및 실행력 확보 730

5.3. 가치증진 및 미래성장 산업화 731

제6장 참고문헌 732

긴급조사 1. 서·남해 해양생태계 보완조사 19

〈표 2-1〉 vrs-RTK GPS의 제원 및 기본수준점을 이용한 검·교정 과정 42

〈표 2-2〉 갯벌생태 조사정점 좌표 45

〈표 2-3〉 입자의 크기에 따른 퇴적물의 입도등급 46

〈표 2-4〉 표준물질을 이용한 미량금속의 회수율(n=3) 47

〈표 2-5〉 연안생태 조사정점 좌표 50

〈표 2-6〉 수중생태 조사 암반무척추 및 해조류 정점 좌표 56

〈표 2-7〉 수중생태 조사 해초류 정점 좌표 59

〈표 3-1〉 태안해안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66

〈표 3-2〉 다도해해상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 67

〈표 3-3〉 태안해안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상위 10위 우점종 77

〈표 3-4〉 다도해해상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상위 10위 우점종 77

〈표 3-5〉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평가 79

〈표 3-6〉 충남 태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6

〈표 3-7〉 전북 변산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7

〈표 3-8〉 전남 신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8

〈표 3-9〉 전남 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9

〈표 3-10〉 전남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0

〈표 3-11〉 전남 여수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1

〈표 3-12〉 전남 고흥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2

〈표 3-13〉 경남 통영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3

〈표 3-14〉 충남 태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4

〈표 3-15〉 전북 변산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4

〈표 3-16〉 전남 신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5

〈표 3-17〉 전남 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5

〈표 3-18〉 전남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5

〈표 3-19〉 전남 여수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6

〈표 3-20〉 전남 고흥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6

〈표 3-21〉 경남 통영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127

〈표 3-22〉 충남 태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27

〈표 3-23〉 전북 변산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28

〈표 3-24〉 전남 신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28

〈표 3-25〉 전남 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29

〈표 3-26〉 전남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29

〈표 3-27〉 전남 여수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30

〈표 3-28〉 전남 고흥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30

〈표 3-29〉 경남 통영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31

〈표 3-30〉 충남 태안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 농도 131

〈표 3-31〉 전북 변산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2

〈표 3-32〉 전남 신안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4

〈표 3-33〉 전남 진도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5

〈표 3-34〉 전남 완도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6

〈표 3-35〉 전남 여수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7

〈표 3-36〉 전남 고흥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8

〈표 3-37〉 경남 통영해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9

〈표 3-38〉 태안해안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우점종 147

〈표 3-39〉 변산국립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우점종 147

〈표 3-40〉 다도해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우점종 148

〈표 3-41〉 한려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기준 우점종 149

〈표 3-42〉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 다양도 및 균등도 지수 151

〈표 3-43〉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평가 153

〈표 3-44〉 충남 태안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55

〈표 3-45〉 전북 변산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56

〈표 3-46〉 전남 신안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58

〈표 3-47〉 전남 진도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59

〈표 3-48〉 전남 완도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0

〈표 3-49〉 전남 여수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1

〈표 3-50〉 전남 고흥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2

〈표 3-51〉 경남 통영에서 출현한 어란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3

〈표 3-52〉 충남 태안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4

〈표 3-53〉 전북 변산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5

〈표 3-54〉 전남 완도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7

〈표 3-55〉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8

〈표 3-56〉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69

〈표 3-57〉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의 종조성 및 출현량 170

〈표 3-58〉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71

〈표 3-59〉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72

〈표 3-60〉 나로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73

〈표 3-61〉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74

〈표 3-62〉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물량 175

〈표 3-63〉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생물량 176

〈표 3-64〉 나로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정점별 출현종수 177

〈표 3-65〉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수 178

〈표 3-66〉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태지수 179

〈표 3-67〉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중요도 180

〈표 3-68〉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태지수 180

〈표 3-69〉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중요도 181

〈표 3-70〉 나로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태지수 182

〈표 3-71〉 나로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중요도 182

〈표 3-72〉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태지수 183

〈표 3-73〉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중요도 183

〈표 3-74〉 상조도에 분포하는 해초의 군락 특성 186

〈표 3-75〉 나로도에 분포하는 해초의 군락 특성 187

〈표 3-76〉 상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88

〈표 3-77〉 하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89

〈표 3-78〉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90

〈표 3-79〉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92

〈표 3-80〉 상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193

〈표 3-81〉 상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194

〈표 3-82〉 하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개체수 194

〈표 3-83〉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195

〈표 3-84〉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196

〈표 3-85〉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개체수 196

〈표 3-86〉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체량 197

〈표 3-87〉 상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98

〈표 3-88〉 상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98

〈표 3-89〉 하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99

〈표 3-90〉 하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199

〈표 3-91〉 나로도 정점 1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200

〈표 3-92〉 나로도 정점 1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200

〈표 3-93〉 나로도 정점 2 조간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201

〈표 3-94〉 나로도 정점 2 조하대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우점종 201

〈표 3-95〉 상조도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지수 202

〈표 3-96〉 하조도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지수 202

〈표 3-97〉 나로도 정점 1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지수 203

〈표 3-98〉 나로도 정점 2 암반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지수 203

긴급조사 2.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조사 22

〈표 1-1〉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215

〈표 1-2〉 연안습지보호지역 지정 기준 216

〈표 2-1〉 대부도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대형저서동물 조사 정점 좌표 220

〈표 2-2〉 출현 대형저서동물군의 국·영문 명칭 및 축약코드명 222

〈표 2-3〉 ISEP 지수에 따른 건강도 등급(Grab) 224

〈표 2-4〉 ISEP 지수에 따른 건강도 등급(Corer) 224

〈표 2-5〉 대형저서동물 동물군별 출현종수 225

〈표 2-6〉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출현종수 226

〈표 2-7〉 대형저서동물 동물군별 평균 서식밀도 228

〈표 2-8〉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서식밀도 229

〈표 2-9〉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기준 상위 우점종 231

〈표 2-10〉 대형저서동물 동물군별 평균 생체량 232

〈표 2-11〉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생체량 233

〈표 2-12〉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기준 우점종 235

〈표 2-13〉 대형저서동물 다양도 지수 236

〈표 2-14〉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건강도 238

〈표 2-15〉 후보지역 출현종 목록 240

〈표 2-16〉 대부도 갯벌의 흰발농게 위치별 면적, 밀도 및 추정 총 개체수 244

〈표 2-17〉 기존 조사결과와의 비교 246

〈표 2-18〉 법적보호종 중 무척추동물목록 249

〈표 2-19〉 우리나라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희귀종 목록 250

〈표 2-20〉 고랫부리 갯벌의 트랜섹트 설치 위치 252

〈표 2-21〉 상동 갯벌의 트랜섹트 설치 위치 253

〈표 2-22〉 갯벌식물 풍부성(식생면적)과 다양성(염생식물종수) 평가기준 척도 253

〈표 2-23〉 고랫부리 갯벌의 소산 염생식물종 및 해안사구식물종 목록 254

〈표 2-24〉 고랫부리 갯벌의 각 군락별 분포 면적 262

〈표 2-25〉 고랫부리 갯벌 측선조사 지선의 거리별 식생 현황 263

〈표 2-26〉 고래부리갯벌 주요 군락의 밀도 및 현존량 266

〈표 2-27〉 상동 갯벌의 소산 염생식물종 및 해안사구식물종 목록 267

〈표 2-28〉 상동 갯벌의 각 군락별 분포 면적 268

〈표 2-29〉 상동 갯벌 측선조사 지선의 거리별 식생 현황 273

〈표 2-30〉 상동 갯벌 주요 군락의 밀도 및 현존량 275

〈표 2-31〉 후보지의 습지보호지역 지정기준 평가 277

〈표 2-32〉 국내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278

〈표 2-33〉 연안습지보호지역 현황 및 바닷새류 실태 279

〈표 2-34〉 고랫부리, 상동 갯벌의 바닷새 조사 시기 281

〈표 2-35〉 대부도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전체 바닷새 조사 결과 287

〈표 2-36〉 고랫부리 갯벌의 바닷새 현황 290

〈표 2-37〉 현지조사 결과 관찰된 법정보호종의 목록 291

〈표 2-38〉 상동 갯벌의 바닷새 현황 293

〈표 2-39〉 현지조사 결과 관찰된 법정보호종의 목록 294

〈표 2-40〉 후보지 대상 연안습지 등급평가 결과 295

〈표 2-41〉 연안습지보호지역의 등급화 결과 296

긴급조사 3. 연안습지 관리개선(안) 및 중장기 발전전략 마련 23

〈표 2-1〉 제3차 람사르 전략계획(2009~2015) 이행 현황: 목표1 316

〈표 2-2〉 제3차 람사르 전략계획(2009~2015) 이행 현황: 목표2 319

〈표 2-3〉 제3차 람사르 전략계획(2009~2015) 이행 현황: 목표3 320

〈표 2-4〉 제3차 람사르 전략계획(2009~2015) 이행 현황: 목표4 322

〈표 2-5〉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국내적용가능 평가지표: 전략목표(Strategic Goals) 1 328

〈표 2-6〉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국내적용가능 평가지표: 전략목표(Strategic Goals) 2 329

〈표 2-7〉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국내적용가능 평가지표 : 전략목표(Strategic Goals) 3 329

〈표 2-8〉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국내적용가능 평가지표 : 운영목표(Operational Goal) 330

〈표 2-9〉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전략목표별 추진과제 : 전략목표(Strategic Goals) 1 330

〈표 2-10〉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전략목표별 추진과제: 전략목표(Strategic Goals) 2 331

〈표 2-11〉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전략목표별 추진과제: 전략목표(Strategic Goals) 3 331

〈표 2-12〉 제4차 람사르 전략계획 전략목표별 추진과제: 운영목표(Operational Goal) 331

〈표 2-13〉 람사르협약에서 CEPA 프로그램의 발전과정 334

〈표 2-14〉 1999~2015 람사르협약 CEPA 프로그램 비전의 변화 335

〈표 2-15〉 CEPA 프로그램의 수립 원칙 336

〈표 2-16〉 CEPA 프로그램의 이행주체들 337

〈표 2-17〉 CEPA 프로그램의 9개 목표와 43개 세부목표 338

〈표 2-18〉 CEPA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 가능 평가지표 341

〈표 2-19〉 2011~2016년 CEPA 활동목록 349

〈표 2-20〉 CEPA 프로그램 계획 수립 1차 회의 참석자 명단 357

〈표 2-21〉 CEPA 프로그램 계획 수립 2차 회의 참석자 명단 358

〈표 2-22〉 CEPA 프로그램 계획 수립 3차 회의 참석자 명단 359

〈표 2-23〉 국내 적용 평가지표에 따른 현행 CEPA 활동 평가 360

〈표 2-24〉 국내 연안습지 CEPA 프로그램 세부 이행계획 367

〈표 3-1〉 연도별 갯벌 면적 변화 추이 375

〈표 3-2〉 주요 갯벌 매립·간척 사업 현황 376

〈표 3-3〉 시도별 갯벌 분포 현황 376

〈표 3-4〉 제2차 연안습지 기초조사 수행 개요 378

〈표 3-5〉 제2차 연안습지기초조사 조사 내용 379

〈표 3-6〉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 세부기준 386

〈표 3-7〉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387

〈표 3-8〉 해양보호구역(습지보호지역 포함)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390

〈표 3-9〉 해양보호구역 중장기 평가 적용 틀 391

〈표 3-10〉 해양보호구역 중장기 효과성 정량 평가 결과 391

〈표 3-11〉 갯벌생태안내인 교육과정의 구성 396

〈표 3-12〉 갯벌생태안내인 교육인증 현황 397

〈표 3-13〉 구역규제형 수산자원 관리 수단 398

〈표 3-14〉 수산자원 보호수면 지정현황(2015년 12월 기준) 399

〈표 3-15〉 수산자원 관리수면 지정현황 400

〈표 4-1〉 우리나라 갯벌의 지역별 분포 현황(2013년 기준) 428

〈표 4-2〉 우리나라 갯벌면적 변동 추이 429

〈표 4-3〉 주요 갯벌 매립·간척 사업 현황 429

〈표 4-4〉 제1차 연안습지기초조사 조사현황 430

〈표 4-5〉 제2차 연안습지기초조사 조사현황 432

〈표 4-6〉 2015~2016년 갯벌생태계 조사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별 특성 436

〈표 4-7〉 연안습지(갯벌)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438

〈표 4-8〉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관리효과성 정량평가 결과 442

〈표 4-9〉 수산자원관리 주요 정책수단 444

〈표 4-10〉 수산자원관리 주요 정책수단 445

〈표 4-11〉 수산자원 보호수면 지정현황(2015년 12월 기준) 447

〈표 4-12〉 수산자원 관리수면 지정현황 448

〈표 4-13〉 5대 부문별 세부 추진과제 456

〈표 6-1〉 국내의 패류생산해역 분류기준 478

〈표 6-2〉 국내 수산물 인증제 근거 법령 및 주요 내용 480

〈표 6-3〉 국내 수산물 인증제의 한계 480

〈표 6-4〉 해역 등급 분류 기준(미국) 481

〈표 6-5〉 패류 위생기준(미국) 482

〈표 6-6〉 강우조건별 해역 폐쇄기간(미국) 482

〈표 6-7〉 해역 등급 분류 기준(EU) 483

〈표 6-8〉 패류 위생기준(EU) 483

〈표 6-9〉 수산물 지리적표시 등록현황 486

〈표 6-10〉 행위제한 규정 비교 488

〈표 6-11〉 벌칙 규정 비교 491

〈표 6-12〉 손실보상규정 비교 495

긴급조사 4. 전남갯벌 현황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 25

〈표 2-1〉 우리나라 갯벌의 가치 534

〈표 2-2〉 우리나라 갯벌 분포 현황 535

〈표 3-1〉 전남갯벌 인접 시·군 인구 및 세대 현황 547

〈표 3-2〉 전남갯벌 인접 시·군 인구 및 세대 증가 추이(1995~2015) 548

〈표 3-3〉 전남갯벌 인접 시·군 연령별 인구 현황(2015) 549

〈표 3-4〉 전남갯벌 인접 시·군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별 부가가치 현황(2013) 551

〈표 3-5〉 전남갯벌 인접 시·군 지역내 총생산 및 산업별 부가가치 성장률(2010~2013) 552

〈표 3-6〉 전남갯벌 인접 시·군 산업별 종사자수 553

〈표 3-7〉 국내 해양관광시장 수요 예측 554

〈표 3-8〉 전남연안 시·군 관광객 현황(2013~2015) 556

〈표 3-9〉 무안·신안군 주요 지점별 관광객 현황 557

〈표 3-10〉 전남연안 시·군 관광지 현황(2016) 558

〈표 3-11〉 전남연안 시·군 지역축제 현황(2016) 559

〈표 3-12〉 전라남도 해양관광자원 현황(2013) 560

〈표 3-13〉 전남연안 시·군 어촌체험마을 현황(2014) 561

〈표 3-14〉 전남연안 시·군 갯벌방문객센터 현황 562

〈표 3-15〉 전남 시·군별 갯벌 현황 563

〈표 3-16〉 전남 해면어장 개발 현황 564

〈표 3-17〉 전남 시·군별 어장 개발 현황 564

〈표 3-18〉 수산물 생산 동향 565

〈표 3-19〉 전남 갯벌 양식어업 현황 565

〈표 3-20〉 전남 주요 갯벌 수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 565

〈표 3-21〉 전라남도 연안정비사업(연안보전, 친수연안조성) 567

〈표 3-22〉 전라남도 연안정비사업(휴양시설조성사업) 575

〈표 3-23〉 전라남도 주요 갯벌 수질 현황 578

〈표 3-24〉 전라남도 주요 갯벌 퇴적물 성분 특성 581

〈표 3-25〉 전남갯벌 인근의 조류 서식 현황 599

〈표 3-26〉 2014~2015년 겨울철 전남갯벌 인근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I급 조류 현황 599

〈표 3-27〉 2014~2015년 겨울철 전남갯벌 인근의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조류 현황 600

〈표 3-28〉 전남 김 양식 면적과 생산량 610

〈표 3-29〉 전남 지주식 김 양식 면적과 생산량 610

〈표 3-30〉 전남 꼬막 생산량 612

〈표 3-31〉 전남 백합 생산량 614

〈표 3-32〉 전남 바지락 생산량 615

〈표 3-33〉 연안·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617

〈표 3-34〉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15. 1. 20. 개정) 618

〈표 3-35〉 습지보전법(2014. 3. 24. 개정) 620

〈표 3-36〉 어촌·어항법(2014. 10. 15. 일부개정) 620

〈표 3-37〉 연안관리법(2013. 8. 13. 일부개정) 621

〈표 3-38〉 해양보호구역 현황 623

긴급조사 5. 제주 문섬 등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발전전략 수립 연구 26

〈표 2-1〉 제주특별자치도 인구현황 682

〈표 2-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인구현황 682

〈표 2-3〉 서귀포시 행정동 인구현황 683

〈표 2-4〉 해안폐기물 발생원 및 주요 폐기물 685

〈표 2-5〉 발전전략 수립 관련 법률 및 계획 686

〈표 3-1〉 SWOT 분석을 통한 사업계획 도출 705

〈표 3-2〉 사업계획별 전략유형 분류 706

〈표 3-3〉 보전·조사부문 중점 추진과제 및 추진전략 도출 707

〈표 3-4〉 법제도·인프라·거버넌스강화부문 중점 추진과제 및 추진전략 도출 707

〈표 3-5〉 경제·관광활성화부문 중점 추진과제 및 추진전략 도출 708

〈표 4-1〉 '해역 오염원 관리'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13

〈표 4-2〉 '해양생태계 조사 및 수용력 평가'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14

〈표 4-3〉 '용도별 해역관리'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15

〈표 4-4〉 '서귀포 해양보호구역 관리센터 건립'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18

〈표 4-5〉 '지역 관리위원회 활성화'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19

〈표 4-6〉 '법·제도 정비 및 규정 마련'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20

〈표 4-7〉 '수중체험장 조성 및 에코다이빙 아카데미 운영 '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22

〈표 4-8〉 '테마마을 조성 및 바다마당 관광 육성'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27

〈표 4-9〉 '지속가능 어업기반 마련' 부문 사업계획 총괄표 729

긴급조사 1. 서·남해 해양생태계 보완조사 28

〈그림 2-1〉 갯벌생태 조사지역 및 정점 43

〈그림 2-2〉 체분석 방법과 피펫 방법에 의한 입도분석 전경 44

〈그림 2-3〉 캔코어를 이용한 대형저서동물의 채집 및 분리 48

〈그림 2-4〉 연안생태 조사지역 및 정점 51

〈그림 2-5〉 난자치어 분석 사진 54

〈그림 2-6〉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방형구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하는 연구원 55

〈그림 2-7〉 수중생태 조사 암반무척추 및... 55

〈그림 2-8〉 경성기질 조하대에서 수중방형구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하는 연구원 56

〈그림 2-9〉 서·남해권역 해초류 조사 정점... 58

〈그림 3-1〉 태안해안 갯벌 전경 61

〈그림 3-2〉 태안해안 갯벌 지형단면 특성 62

〈그림 3-3〉 다도해해상 갯벌 전경 63

〈그림 3-4〉 다도해해상 갯벌 지형단면 특성 64

〈그림 3-5〉 태안해안 갯벌 퇴적물의 유형 65

〈그림 3-6〉 태안해안 갯벌 퇴적물의 구간별 입도 분포 65

〈그림 3-7〉 다도해해상 갯벌 퇴적물의 유형 67

〈그림 3-8〉 다도해해상 갯벌 퇴적물의 구간별 입도 분포 67

〈그림 3-9〉 태안해안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8

〈그림 3-10〉 다도해해상 갯벌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 분포 69

〈그림 3-11〉 태안해안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0

〈그림 3-12〉 다도해해상 갯벌 퇴적물의 미량금속 농도 분포 71

〈그림 3-13〉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72

〈그림 3-14〉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72

〈그림 3-15〉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분류군별... 72

〈그림 3-16〉 태안해안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73

〈그림 3-17〉 태안해안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개체수 74

〈그림 3-18〉 태안해안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74

〈그림 3-19〉 다도해해상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75

〈그림 3-20〉 다도해해상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 75

〈그림 3-21〉 다도해해상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75

〈그림 3-22〉 태안해안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 다양도 및 균등도 78

〈그림 3-23〉 다도해해상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종 다양도 및 균등도 78

〈그림 3-24〉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80

〈그림 3-25〉 조사해역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좌, 수지도 ; 우, 다차원... 80

〈그림 3-26〉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1

〈그림 3-27〉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2

〈그림 3-28〉 변산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2

〈그림 3-29〉 변산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3

〈그림 3-30〉 신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4

〈그림 3-31〉 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5

〈그림 3-32〉 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5

〈그림 3-33〉 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6

〈그림 3-34〉 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6

〈그림 3-35〉 여수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7

〈그림 3-36〉 여수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8

〈그림 3-37〉 고흥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89

〈그림 3-38〉 고흥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89

〈그림 3-39〉 통영해역 동물플랑크톤 주요 출현분류군 비율 90

〈그림 3-40〉 통영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분류군 수 90

〈그림 3-41〉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1

〈그림 3-42〉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1

〈그림 3-43〉 변산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2

〈그림 3-44〉 변산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2

〈그림 3-45〉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3

〈그림 3-46〉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3

〈그림 3-47〉 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4

〈그림 3-48〉 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4

〈그림 3-49〉 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5

〈그림 3-50〉 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5

〈그림 3-51〉 여수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6

〈그림 3-52〉 여수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6

〈그림 3-53〉 고흥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7

〈그림 3-54〉 고흥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7

〈그림 3-55〉 통영해역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7

〈그림 3-56〉 통영해역 동물플랑크톤 생체량(A : 습중량, B : 건중량) 98

〈그림 3-57〉 태안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8

〈그림 3-58〉 변산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99

〈그림 3-59〉 신안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0

〈그림 3-60〉 진도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0

〈그림 3-61〉 완도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1

〈그림 3-62〉 여수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2

〈그림 3-63〉 고흥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3

〈그림 3-64〉 통영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3

〈그림 3-65〉 태안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4

〈그림 3-66〉 변산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4

〈그림 3-67〉 신안해역 우점 동물플랑크톤 출현개체수 105

〈그림 3-68〉 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6

〈그림 3-69〉 완도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6

〈그림 3-70〉 여수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7

〈그림 3-71〉 고흥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7

〈그림 3-72〉 통영해역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108

〈그림 3-73〉 서남권역과 남해권역의 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 108

〈그림 3-74〉 유사도분석(nMDS) 109

〈그림 3-75〉 충남 태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0

〈그림 3-76〉 전북 변산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0

〈그림 3-77〉 전남 신안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1

〈그림 3-78〉 전남 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2

〈그림 3-79〉 전남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3

〈그림 3-80〉 전남 여수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4

〈그림 3-81〉 전남 고흥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5

〈그림 3-82〉 경남 통영해역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점유율 115

〈그림 3-83〉 충남 태안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6

〈그림 3-84〉 전북 변산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7

〈그림 3-85〉 전남 신안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8

〈그림 3-86〉 전남 진도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19

〈그림 3-87〉 전남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0

〈그림 3-88〉 전남 여수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1

〈그림 3-89〉 전남 고흥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2

〈그림 3-90〉 경남 통영해역에서 출현한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123

〈그림 3-91〉 충남 태안해역에서의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엽록소-a 농도 132

〈그림 3-92〉 전북 변산해역에서의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3

〈그림 3-93〉 전남 신안해역에서의... 134

〈그림 3-94〉 전남 진도해역에서의... 135

〈그림 3-95〉 전남 완도해역에서의... 136

〈그림 3-96〉 전남 여수해역에서의... 137

〈그림 3-97〉 전남 고흥해역에서의... 138

〈그림 3-98〉 경남 통영해역에서의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 139

〈그림 3-99〉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140

〈그림 3-100〉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141

〈그림 3-101〉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141

〈그림 3-102〉 태안해안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42

〈그림 3-103〉 변산국립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143

〈그림 3-104〉 다도해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143

〈그림 3-105〉 다도해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 144

〈그림 3-106〉 다도해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144

〈그림 3-107〉 한려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종수 145

〈그림 3-108〉 한려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출현개체수 145

〈그림 3-109〉 한려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146

〈그림 3-110〉 다도해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다양도 및 균등도 150

〈그림 3-111〉 한려해상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다양도 및 균등도 151

〈그림 3-112〉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154

〈그림 3-113〉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세부 정점에 따른 군집구조 155

〈그림 3-114〉 충남 태안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56

〈그림 3-115〉 전북 변산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57

〈그림 3-116〉 전북 변산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57

〈그림 3-117〉 전남 신안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58

〈그림 3-118〉 전남 신안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58

〈그림 3-119〉 전남 진도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59

〈그림 3-120〉 전남 진도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59

〈그림 3-121〉 전남 완도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60

〈그림 3-122〉 전남 완도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1

〈그림 3-123〉 전남 여수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62

〈그림 3-124〉 전남 여수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2

〈그림 3-125〉 전남 고흥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63

〈그림 3-126〉 전남 고흥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3

〈그림 3-127〉 경남 통영에서의 어란 종 조성비 164

〈그림 3-128〉 경남 통영에서의 어란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4

〈그림 3-129〉 충남 태안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65

〈그림 3-130〉 충남 태안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5

〈그림 3-131〉 전북 변산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66

〈그림 3-132〉 전북 변산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6

〈그림 3-133〉 전남 완도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67

〈그림 3-134〉 전남 완도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7

〈그림 3-135〉 전남 여수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68

〈그림 3-136〉 전남 여수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68

〈그림 3-137〉 전남 고흥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69

〈그림 3-138〉 전남 고흥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70

〈그림 3-139〉 경남 통영에서의 자치어 종 조성비 170

〈그림 3-140〉 경남 통영에서의 자치어 정점별 출현종수 및 출현량 171

〈그림 3-141〉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구성비 172

〈그림 3-142〉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구성비 173

〈그림 3-143〉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구성비 174

〈그림 3-144〉 조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물량 구성비 175

〈그림 3-145〉 조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생물량 구성비 177

〈그림 3-146〉 나로도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구성비 178

〈그림 3-147〉 나로도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 구성비 179

〈그림 3-148〉 상조도의 해초류 분포지역 및 분포면적 184

〈그림 3-149〉 나로도의 해초류 분포지역 및 분포면적 185

〈그림 3-150〉 나로도에 서식하는 해초류 모습 185

〈그림 3-151〉 상조도에서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물량 구성비 188

〈그림 3-152〉 상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88

〈그림 3-153〉 하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물량 구성비 189

〈그림 3-154〉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물량 구성비 190

〈그림 3-155〉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91

〈그림 3-156〉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생물량 구성비 191

〈그림 3-157〉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192

〈그림 3-158〉 상조도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193

〈그림 3-159〉 나로도 정점 1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195

〈그림 3-160〉 나로도 정점 2에 출현한 암반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197

긴급조사 2.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조사 33

〈그림 1-1〉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도 214

〈그림 2-1〉 대부도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 대형저서동물 조사 정점도 219

〈그림 2-2〉 대형저서동물의 현장채집 및 종 동정과정 221

〈그림 2-3〉 대형저서동물 종조성 225

〈그림 2-4〉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출현종수 227

〈그림 2-5〉 대형저서동물 동물군별 서식밀도 비중 228

〈그림 2-6〉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서식밀도 230

〈그림 2-7〉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 기준 최우점종과 정점별 서식밀도 231

〈그림 2-8〉 대형저서동물 동물군별 생체량 비중 232

〈그림 2-9〉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생체량 234

〈그림 2-10〉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기준 최우점종과 정점별 생체량 235

〈그림 2-11〉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다양도 지수 237

〈그림 2-12〉 대형저서동물 정점별 건강도 239

〈그림 2-13〉 대부도 갯벌의 횐발농게 특징 243

〈그림 2-14〉 흰발농게 서식처 244

〈그림 2-15〉 대부도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보지의 위치 251

〈그림 2-16〉 고랫부리 갯벌 남부의 식생도 256

〈그림 2-17〉 고랫부리 갯벌 중부의 식생도 257

〈그림 2-18〉 고랫부리 갯벌 북부의 식생도 258

〈그림 2-19〉 고랫부리 갯벌 동부의 식생도 259

〈그림 2-20〉 고랫부리 갯벌 중부 갈대-천일사초군락의 확대 식생도 1 260

〈그림 2-21〉 고랫부리 갯벌 중부 갈대-천일사초군락의 확대 식생도 2 261

〈그림 2-22〉 고랫부리 갯벌의 각 트랜섹트별 군락 측면도 265

〈그림 2-23〉 상동 갯벌 남부의 식생도 269

〈그림 2-24〉 상동 갯벌 중부의 식생도 270

〈그림 2-25〉 상동 갯벌 북부의 식생도 271

〈그림 2-26〉 상동 갯벌 남부 갈대-천일사초군락의 확대 식생도 272

〈그림 2-27〉 상동 갯벌의 각 트랜섹트별 군락 측면도 274

〈그림 2-28〉 고랫부리 갯벌에서 확인된 바닷새의 시기별 종수와 개체수 289

〈그림 2-29〉 고랫부리 갯벌에서 확인된 주요 우점종 현황 289

〈그림 2-30〉 고랫부리 갯벌 법정보호종 관찰 위치도 291

〈그림 2-31〉 상동 갯벌에서 확인된 바닷새의 시기별 종수와 개체수 292

〈그림 2-32〉 상동 갯벌에서 확인된 주요 우점종 현황 292

〈그림 2-33〉 상동 갯벌 법정보호종 관찰 위치도 294

〈그림 2-34〉 대부도 갯벌의 바닷새 297

긴급조사 3. 연안습지 관리개선(안) 및 중장기 발전전략 마련 34

〈그림 2-1〉 람사르 전략계획의 역사 314

〈그림 2-2〉 CEPA 행동계획 수립 1차 회의 357

〈그림 2-3〉 CEPA 행동계획 수립 2차 회의 359

〈그림 2-4〉 CEPA 행동계획 수립 3차 회의 360

〈그림 3-1〉 연안습지기초계획의 위상 374

〈그림 3-2〉 제2차 연안습지기초조사 조사권역 379

〈그림 3-3〉 우리나라 갯벌의 생물다양성... 380

〈그림 3-4〉 우리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종조성비 380

〈그림 3-5〉 조사물량의 증가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의 변화 381

〈그림 3-6〉 총 출현종수에 근거한 생물다양성 우수 갯벌 382

〈그림 3-7〉 정점 당 평균 출현종수(0.1㎡)에 근거한 생물다양성 우수 갯벌 382

〈그림 3-8〉 저서생물상의 유사도에 따라 무리 지어진 한국갯벌의 생물지리권역 383

〈그림 3-9〉 강화 남단 갯벌 갯끈풀(Spartina altemiflora) 군락 전경 385

〈그림 3-10〉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지정 추이 388

〈그림 3-11〉 습지보호지역 관리효과성 정량평가 도시 392

〈그림 3-12〉 갯끈풀 분포 전경과 제거 작업 395

〈그림 3-13〉 연안습지보전기초계획 기존 계획의 기조 비교 406

〈그림 4-1〉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조사된 우리나라 갯벌 서식 생물군별 출현 종수 431

〈그림 4-2〉 2차 연안습지기초조사 조사권역 432

〈그림 4-3〉 갯벌생태계 군집분석 결과 434

〈그림 4-4〉 2015-2016년 조사자료에 근거한 갯벌 저서생물 군집 435

〈그림 4-5〉 연안습지보호지역 지정 추이 439

〈그림 4-6〉 연안습지 습지보호지역 관리효과성 정량평가 결과 도시 441

〈그림 4-7〉 동해안 고성군 보호수면의 위치와 지정현황 446

〈그림 4-8〉 갯벌 관리 3대 추진전략 451

〈그림 4-9〉 갯벌 신전략 공간범위 확대방안 451

긴급조사 4. 전남갯벌 현황분석 및 발전전략 수립 35

〈그림 2-1〉 갯벌의 세계적 분포 536

〈그림 2-2〉 간척으로 인한 조간대 서식지의 상대적 소실 비중 537

〈그림 3-1〉 갯벌의 범위 542

〈그림 3-2〉 썰물과 밀물에서의 등해수면선 543

〈그림 3-3〉 최종빙기시기의 수륙분포 544

〈그림 3-4〉 서해안 해수면 변화 544

〈그림 3-5〉 서해안 갯벌의 형태 분류 546

〈그림 3-6〉 신안과 무안의 갯벌 분포 584

〈그림 3-7〉 함평만 주변 중형저서동물 분포 585

〈그림 3-8〉 증도 주변 중형저서동물 분포 585

〈그림 3-9〉 암해도 주변 중형저서동물 분포 586

〈그림 3-10〉 도암만 주변 중형저서동물 분포 588

〈그림 3-11〉 여자만 주변 중형저서동물 분포 588

〈그림 3-12〉 함평만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0

〈그림 3-13〉 탄도만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1

〈그림 3-14〉 증도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2

〈그림 3-15〉 압해도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4

〈그림 3-16〉 도암만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5

〈그림 3-17〉 여자만 주변 대형저서동물 출현종 수 및 개체 수 596

〈그림 3-18〉 2014~2015년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의 전남갯벌 인근 조사 정점 598

〈그림 3-19〉 전남 연안 및 갯벌 주변 보호대상 해양생물(어류) 분포도 601

〈그림 3-20〉 전남 연안 및 갯벌 주변 보호대상 해양생물(해조류) 분포도 602

〈그림 3-21〉 전남 연안 및 갯벌 주변 보호대상 해양생물(파충류) 분포도 602

〈그림 3-22〉 전남 연안 및 갯벌 주변 보호대상 해양생물(무척추동물) 분포도 603

〈그림 3-23〉 전남지역 해양보호구역 현황 605

〈그림 3-24〉 무안·신안지역 도립공원과 습지보호지역 지정 현황 606

〈그림 3-25〉 다양한 갯벌자원 607

〈그림 3-26〉 고흥 남성리의 바지락양식장(갯벌농장) 607

〈그림 3-27〉 고흥 백일도의 바지락양식장(갯벌농장) 608

〈그림 3-28〉 낙지 종묘 방류사업(전남도 보도자료) 608

〈그림 3-29〉 해남군 문내면의 세발나물 재배지 609

〈그림 3-30〉 전남 김 양식 면적과 생산량 610

〈그림 3-31〉 전남 지주식 김 양식 면적과 생산량 611

〈그림 3-32〉 김 양식에 사용되는 활성처리제 611

〈그림 3-33〉 전남 꼬막 생산량 612

〈그림 3-34〉 꼬막 생산량 감소 원인(보성군, 2013) 613

〈그림 3-35〉 전남 백합 생산량 614

〈그림 3-36〉 전남 바지락 생산량 615

〈그림 3-37〉 바지락 유생발생 과정 616

〈그림 3-38〉 전남 어가 인구의 연도별 변동 616

〈그림 3-39〉 갯벌 패류양식 생산 현장 617

〈그림 3-40〉 해양보호구역 지정 현황 624

〈그림 3-41〉 전남갯벌의 유형별 구분 633

〈그림 4-1〉 생태계 접근 방식 635

〈그림 4-2〉 홍콩 마이 포 습지 위치도 636

〈그림 4-3〉 마이 포 자연보호지구 관리 방식 638

〈그림 4-4〉 마이 포 자연보호지구 관리 관련 기관 638

〈그림 4-5〉 마이 포 내 허우하이만 습지 관리지역 구분도 639

〈그림 4-6〉 마이 포 습지 완충지역 639

〈그림 4-7〉 마이 포 관리지역 구분도 640

〈그림 5-1〉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650

〈그림 5-2〉 전남서부갯벌의 비전 651

긴급조사 5. 제주 문섬 등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발전전략 수립 연구 36

〈그림 1-1〉 문섬 등 주변해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지정 도면 681

〈그림 1-2〉 단계별 이행계획 681

〈그림 2-1〉 제주도 지역별 해안폐기물 성상 특성도 685

〈그림 2-2〉 해양생태계 보전 관리 기본계획의 위상 687

〈그림 2-3〉 제주미래비전 체계 688

〈그림 2-4〉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비전 체계도 689

〈그림 2-5〉 제2차 문섬 등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관리기본계획 추진전략 690

〈그림 2-6〉 지리산 생태탐방연수원 전경 696

〈그림 2-7〉 해양폐기물 중점 해안 선정 및 관리 697

〈그림 2-8〉 몬터레이만 방문객센터 698

〈그림 2-9〉 플로리다 산호초 방문객센터 698

〈그림 2-10〉 시파단의 허가된 다이빙 포인트 맵 701

〈그림 2-11〉 스쿠버다이빙 가스 충전 스테이션 702

〈그림 2-12〉 필리핀 관광청 공기탱크 검사 702

〈그림 3-1〉 바다마당(마을명)관광추진체계 구축 72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38104 577.7 -17-1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