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수도권 미세먼지 연직분포 및 광학특성 연구 = Research on vertical distribution and optical property of particulate matt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1 [전자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NIER-SP ; 2015-206
면수
148
제어번호
MONO1201770816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김상우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Abstract 9

I. 서론 21

제1절 연구의 배경 21

제2절 연구의 목적 24

제3절 참여 연구자 26

II. 연구내용 및 방법 27

제1절 한반도 미세먼지의 물리ㆍ광학적 특성 분석 및 공간분포 특성 조사 27

1. 연구 내용 27

2. 연구 방법 27

제2절 중국에서 발생, 유입된 미세먼지와 한반도 국지발생 미세먼지 특성 조사 28

1. 연구 내용 28

2. 연구 방법 28

제3절 지상원격탐사(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연직 분포 특성 도출 31

1. 연구 내용 31

2. 연구 방법 31

제4절 원격측정 자료를 활용한 미세먼지 예보제 현업지원 방안 마련 33

1. 연구 내용 33

2. 연구 방법 33

제5절 단방향 원격측정장비 운영 방법 확립 35

1. 연구 내용 35

2. 연구 방법 35

제6절 에어로졸 나노입자 개수 측정 기반 구축을 위한 기술 지원 36

1. 연구 내용 36

2. 연구 방법 36

제7절 탄소 발생원 추정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 지원 37

1. 연구 내용 37

2. 연구 방법 37

III. 연구 결과 및 고찰 39

제1절 한반도 미세먼지의 물리ㆍ광학적 특성 분석 및 공간분포 특성 조사 39

제2절 중국에서 발생, 유입된 미세먼지와 한반도 국지발생 미세먼지 특성 조사 58

1. 라이다 관측 자료를 통한 에어로졸의 종류 구별 및 질량농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 74

2. 라이다로부터 산출된 질량농도와 지상관측 질량농도 비교 검증 78

3.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의 미세먼지 수평 및 연직 분포 특성과 기상장과의 연관성 분석 81

제3절 지상원격탐사(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연직 분포 특성 도출 74

제4절 원격측정 자료를 활용한 미세먼지 예보제 현업지원 방안 마련 85

1. 대기질 (미세먼지) 현업 예보사례 85

2. 국내 원격관측 자료 현황 87

3. 위성자료 활용방법 제시 92

4. 미세먼지 현업 예보에의 활용 방안 94

제5절 단방향 원격측정장비 운영 방법 확립 96

1. 차등흡수분광계 표준운영방 96

2. 시도측정계 표준운영방법 109

제6절 에어로졸 나노입자 개수 측정 기반 구축을 위한 기술 지원 118

1. 제작된 Mini-DMA의 성능 평가 118

2. 백령도 집중 측정소의 TSI 3034 모델 성능 평가 120

3. 백령도 주변 대기의 나노 입자 모니터링 122

제7절 탄소 발생원 추정기술 개발을 위한 기술 지원 128

1.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128

2. AMS와 안정동위원소 측정 결과 130

IV. 결론 및 세부수행계획상 목표 달성 137

제1절 결론 137

제2절 세부수행계획상 목표 달성 141

V. 기대성과 및 활용계획 143

1. 기대성과 143

2. 활용계획 143

VI. 참고문헌 145

Table 2-1. 장거리이동 연무(Long-range transported haze; LH), 황사(Yellow sand; YS), 도시연무(Urban haze; UH)사례와 각 사례의 PM2.5/PM10비율 30

Table 3-1. 한반도내 주요지역의 과년도(2011~2014년)과 2015년도의 5~6월 평균 에어로졸 광학특성 및 미세먼지 농도 48

Table 3-2. 장거리이동 연무와 도시연무의 PM2.5, σsp의 시간규모 60

Table 3-3. 장거리이동 연무, 황사, 도시연무에 대한 Single Scattering Albedo (SSA). all은 사례기간 전체구간, peak는 사례분류절차에 따른 PM농도 +1이상인 구간 65

Table 3-4. 장거리이동 연무, 황사, 도시연무에 대한 백령도와 서울의 peak기간 동안의 평균 화학성분 72

Table 3-5. 장거리이동 연무, 황사, 도시연무에 대한 백령도와 서울의 peak기간 동안의 평균 화학조성비(S/N, S/Si, S/Ca) 73

Table 3-6. AR600 기기 개요 97

Table 3-7. LPV-3 기기 개요 110

Table 3-8. LPV 송신부의 발생 에러 및 해결방안 112

Table 3-9. TSI 3034 모델 분극 성능 120

Table 3-10. 원소탄소 및 전체 탄소에 대한 14C 분석 결과 131

Fig. 1-1. 2006년 5월 16일~19일 서울대학교 라이다로 측정한 후방산란강도(위)와 편광소멸도(아래) 22

Fig. 1-2. 미세먼지에 존재하는 탄소의 분류(Huang et al., 2006) 23

Fig. 2-1. 장거리이동연무(LRT), 황사(YS) 및 도시연무(UH) 등의 구체적인 구분 방법론 예시. 1단계 에어로졸 부하량, 2단계 두 지점의 시간차이, 3단계 역궤적 분석, 4단계 미세먼지 비율 등으로 구성된다. 옹스트롬(A)은 추후 고려될 예정이다 29

Fig. 3-1. 한반도 내 대기오염집중측정소와 고산기후관측소의 위치 39

Fig. 3-2. 한반도 도심지역의 월별 오존 농도(왼쪽)와 동아시아의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월별 CO 배출량(오른쪽) [KORUS-AQ White Paper, 2015] 40

Fig. 3-3. 한반도 내 주요 지역에서 측정한 2011~2013년의 (a) 에어로졸 산란계수, (b) 에어로졸 흡수계수, (c) 블랙카본 질량농도, (d) PM10 (백령도-주황색, 대전-파란색, 고산-검은색, 광주-초록색, 제주-하늘색, 서울-빨간색, 울산-보라색) 41

Fig. 3-4. 한반도 내 도심지역과 배경지역의 (a) 에어로졸 산란계수, (b) 에어로졸 흡수계수, (c) 블랙카본 질량농도의 95, 75, 50, 25, 5 퍼센타일과 지역별 평균(검은 점-지역별 평균, 빨간 점선-도심지역 평균, 파란 점선-배경지역 평균) 42

Fig. 3-5. 한반도 내 주요 지역에서의 (a) 에어로졸 산란계수, (b) 에어로졸 흡수계수, (c) 블랙카본 질량농도, (d) PM10의 월변화(백령도-주황색, 대전-파란색, 고산-검은색, 광주-초록색, 제주-하늘색, 서울-빨간색, 울산-보라색) 43

Fig. 3-6. (a) 과년도(2011~2014년) 5월과 6월, (b) 2015년 5월과 6월 동아시아의 에어로졸 광학두께, 지오포텐셜 고도(실선) 그리고 바람벡터(화살표), (c) 과년도와 2015년의 5월과 6월 에어로졸 광학두께의 아노말리 45

Fig. 3-7. 서울에서 라이다 관측으로 산출된 2006~2014년과 2015년 5월과 6월의 평균 에어로졸 소산계수 연직분포 46

Fig. 3-8. 도심지역(서울)과 배경지역(백령, 고산)에서 AERONET 기반의 선포토미터로 관측된 2011~2014년과 2015년 5월과 6월의 평균 에어로졸 광학 두께 46

Fig. 3-9. 도심지역(서울, 대전, 광주)과 배경지역(백령, 봉성, 고산)의 에어로졸 산란계수(위)와 에어로졸 흡수계수(중간), 블랙카본 질량농도(아래) 과년도(2011~2014년) 5월~6월 평균과 2015년 5월~6월 평균의 편차(빨간색 실선-2011~2014년 5월~6월 평균) 47

Fig. 3-10. 한반도내 주요 지역(빨간색-서울, 파란색-대전, 초록색-광주, 보라색-울산, 주황색-백령, 하늘색-봉성, 검은색-고산)의 2015년 5~6월 (a) 에어로졸 산란계수, (b) 에어로졸 흡수계수, (c) 블랙카본 질량농도 그리고 (d) 미세먼지(PM10) 농도의 일별 데이터에 대한 시계열 그래프(하늘색 음영-사례 1, 붉은색 음영-사례 2) 49

Fig. 3-11. 첫 번째 사례 기간(2015년 5월 14~16일) 동안 (a) 한반도 주요 지역(빨간색-서울, 파란색-대전, 초록색-광주, 보라색-울산, 주황색-백령, 하늘색-봉성)의 에어로졸 산란 계수(위)와 에어로졸 흡수계수(중간), 블랙카본 질량농도(아래)의 시간별 시계열 및 (b) PM2.5 이온성분 50

Fig. 3-12. 2015년 5월 13~16일 00UTC의 지상일기도 51

Fig. 3-13. 2015년 5월 14~16일 라이다로 관측한 (a) 서울, (b) 고산 그리고 (c) 울산의 후방산란강도(위)와 편광소멸도(아래) 52

Fig. 3-14. 두번째 사례 기간(2015년 6월 11~12일)동안 (a) 한반도 주요 지역(빨간색-서울, 파란색-대전, 초록색-광주, 보라색-울산, 주황색-백령, 하늘색-봉성)의 에어로졸 산란계수와 에어로졸 흡수계수, 옹스트롬지수 및 블랙카본 질량농도의 시간별 시계열 그래프와 (b) PM2.5 이온성분 분석 53

Fig. 3-15. 2015년 6월 11~12일 00UTC의 지상일기도 54

Fig. 3-16. NRL/US Navy의 Monterey Laboratory NAAPS 모델의 지상층 미세먼지 농도 모의 결과(2015년 6월 11일 12UTC~2015년 6월 12일 06UTC) 55

Fig. 3-17. MAPS-Seoul캠페인에서 수행된 2015년 6월 12일 지상 PM10 농도의 앙상블 모델 모의 결과(왼쪽: 동아시아, 오른쪽: 한반도) 55

Fig. 3-18. 2015년 6월 11~13일 라이다로 관측한 (a) 서울, (b) 고산의 후방산란강도(위)와 편광소멸도(아래) 56

Fig. 3-19. (a) 사례 1(고농도 사례, 2015년 5월 14~16일)과 (b) 사례 2(황사 사례, 2015년 6월 11~12일)기간에서 에어로졸 산란계수와 흡수계수, 블랙카본 질량농도의 지역별 평균(막대-사례기간 평균, 십자가-2015년 5월~6월 평균) 57

Fig. 3-20. 장거리이동 연무사례(2012년 3월 4~8일)의 성분별(PM2.5, PM10, σsp) 시계열 그래프 58

Fig. 3-21. 황사사례(2011년 5월 10~14일)의 성분별(PM2.5, PM10, σsp) 시계열 그래프 59

Fig. 3-22. 장거리이동 연무사례(2011년 6월 1~5일)의 성분별(PM2.5, PM10, σsp) 시계열 그래프 60

Fig. 3-23. 서울지점에 대한 장거리이동 연무(5사례)와 도시연무(3사례)의 σsp시간규모 비교 그래프 61

Fig. 3-24. Anderson et al. (2003)연구에 제시된 4지점(BND, Spitz, ACE-Asia, LITE)에 대한 자기상관그래프 62

Fig. 3-25. 장거리이동 연무, 도시연무에 대한 σext와 Viseye의 관계 63

Fig. 3-26. 장거리이동 연무, 황사, 도시연무에 대한 (1-e-1) τa와 τcal 비교 64

Fig. 3-27. 장거리이동 연무사례(2012년 1월 11~15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6

Fig. 3-28. 장거리이동 연무사례(2012년 5월 2~6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7

Fig. 3-29. 장거리이동 연무사례(2013년 1월 10~14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7

Fig. 3-30. 도시연무사례(2011년 6월 1~5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8

Fig. 3-31. 도시연무사례(2012년 5월 11~15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9

Fig. 3-32. 황사사례(2011년 4월 30일~ 5월 4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69

Fig. 3-33. 황사사례(2011년 5월 10~14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70

Fig. 3-34. 황사사례(2012년 11월 26~30일)의 화학성분(Sulfate, Nitrate, Silicon, Calcium, Magnesium, Ammonium) 시계열 그래프 71

Fig. 3-35. 에어로졸 종류 및 소산계수, 질량농도 산출 과정 모식도 77

Fig. 3-36. 2015년 3월 29일부터 3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 라이다에서 관측하여 산출한 (a) 후방산란강도, (b) 편광소멸도, (c) 에어로졸 종류, (d) 에어로졸 소산계수, (e) 에어로졸 질량농도 79

Fig. 3-37. 2015년 3월 29일부터 3월 30일까지 서울 관악산 지상관측 에어로졸 질량농도(빨간색 실선)와 서울대학교 라이다에서 산출한 에어로졸 질량농도. (초록색: 서울 지역 평균 질량소산효율을 적용, 파란색: 에어로졸 종류 구분에 따라 질량소산효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산출) 80

Fig. 3-38. 2015년 10월 18일~24일 PM10 농도의 일변화 81

Fig. 3-39. 2015년 10월 18일~24일 라이다로 관측한 (a) 서울, (b) 고산 그리고 (c) 울산의 후방산란강도(위)와 편광소멸도(아래) 82

Fig. 3-40. 2015년 10월 18일~24일 09시 지상일기도 84

Fig. 3-41. 국내 라이다 보유 및 관측 현황 88

Fig. 3-42. 국내 라이다 운영기관 및 관측 요소 88

Fig. 3-43. AERONET 관측소 90

Fig. 3-44. SKYNET/skyradiometer 관측소의 위치(빨간점) 91

Fig. 3-45. 국내 SKYNET 관측지점 및 자료기간 (http://metsat.snu.ac.kr/ksnet/data.php) 91

Fig. 3-46. 국내 SKYNET 관측지점에서 관측한 (a) 황사사례(노란색; 2011년 5월 13일)와 (b) 라이다 후방산란강도 및 편광소멸도와 (c) 연무사례(분홍색; 2012년 5월10일)와 (d)연무사례의 라이다 관측자료 92

Fig. 3-47. AR600 전면부 98

Fig. 3-48. AR600 Analyser housing 98

Fig. 3-49. Sweden OPSIS사의 DOAS 시스템 개략도(김영준, 2002) 99

Fig. 3-50. 대기에서 미량기체를 측정하기 위한 주요 광학부와 대기구성요소 요약 그림(Platt et al., 1994) 100

Fig. 3-51. 차등 흡수 스팩트럼 (김영준, 2002) 101

Fig. 3-52. Warm up 메세지 103

Fig. 3-53. 관측 중 모니터 화면 103

Fig. 3-54. (a) 대기 중 방해인자의 영향이 있을 때의 차등흡수스펙트럼(Differential absorption spectrum)과 (b) 방해인자의 영향이 전혀 없을 때의 차등흡수스펙트럼 105

Fig. 3-55. DOAS 알고리즘 순서도 107

Fig. 3-56. 2015년 8월 15~24일 두 가지 관측 시스템으로 관측한 시간평균 농도 (파란색-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 시스템, 빨간색-차등흡수분광계(DOAS) 시스템) 108

Fig. 3-57. 두 가지 관측 시스템으로 관측한 오존,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의 농도 비교 108

Fig. 3-58. LPV-3의 Control unit 111

Fig. 3-59. LPV-3 Menu flowchart 113

Fig. 3-60. 수신기 전면 패널 114

Fig. 3-61. LPV-3 송신기의 모식도 116

Fig. 3-62. LPV-3 수신기의 모식도. 송신기에서 주사 되어 도달하는 빛을 모아서 감지하여 저기 신호로 변환, 그로부터 소산계수와 시정을 모두 계산하는 과정을 담당 117

Fig. 3-63. 자료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산출한 2013년 11월 호남권(광주) 시정 거리 시계열 117

Fig. 3-64. 미분형 전기 이동도 분석기를 이용한 입자 크기 측정실험장치도 118

Fig. 3-65. NIST SRM 1963의 입자 크기 분포 119

Fig. 3-66. 미분형 전기이동도 분석기의 calibration 결과 119

Fig. 3-67. TDMA 시스템의 모식도 120

Fig. 3-68. TDMA를 사용한 입자 크기 분류 121

Fig. 3-69. 2015년 7월 7일-11일의 입자 크기 분포 122

Fig. 3-70. 2015년 7월 9일의 입자 크기 분포 123

Fig. 3-71. 2015년 7월 16일의 입자 크기 분포 123

Fig. 3-72. 2015년 7월 16일의 시간에 따른 입자 크기분포의 변화 124

Fig. 3-73. 2015년 11월 9일부터 14일까지의 입자 크기 분포 변화 125

Fig. 3-74. 2015년 11월9일부터 14일까지 PM10의 측정 값 (기상청, 백령도) 126

Fig. 3-75. 2015년 11월 15일의 (a) HCT사 및 (b) TSI사의 SMPS 결과 비교 126

Fig. 3-76. HCT nano-SNPS 및 TSI SMPS의 측정 값의 비교 127

Fig. 3-77. 미세먼지 포집장치 (High volume PM2.5Particle Sampler, Tisch Environmental, Inc.) 128

Fig. 3-78. 석영필터에 걸러진 PM2.5 128

Fig. 3-79. 유기/원소탄소를 분리하기 위한 실험라인 모식도(Mouteva et al., 2015) 129

Fig. 3-80. 미국 얼바인(Irvine) thwo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 설치된 에어로졸 분석용 실험라인(Mouteva et al., 2015) 129

Fig. 3-81. 14C 분석결과를 이용한 원소탄소(elemental carbon)의 기원 추정 132

Fig. 3-82. 원소탄소의 화석연료 기원 비율. 외국 자료는 Zhang et al. (2014)과 Zhang et al. (2015) 자료를 이용하였다 133

Fig. 3-83. 질소와 탄소 안정동위원소값 비교. 인도와 탄자니아 대도시 자료는 각각 Agnihotri et al. (2011)와 Mkoma et al. (2014)를 이용하였다 134

Fig. 3-84. 질소안정동위원소(δ15N)와 탄소/질소 비율(Total C/Total N ratio)값 비교. 인도 자료는 Agnihotri et al. (2011)을 이용하였다 135

Fig. 3-85. 탄소안정동위원소(δ13C)와 탄소/질소 비율(Total C/Total N ratio)의 비교. 인도 자료는 Agnihotri et al. (2011)를 이용하였다 13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