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연안통합관리 고도화 기반 연구 : 최종보고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7
청구기호
LM 346.046917 -17-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57 p.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71112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책임자: 최지연
부록: 1. 시도별 규사·규석 채취량('06∼'15) ; 2. 바다모래 채취의 관리 강화에 관한 통지 ; 3. 일본 규사 및 모래 채취 관련 법령 및 해안침식 관련 분쟁 사례 검토 외
중국과 일본 법률 일부를 한국어로 번역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제I장 연구사업의 개요 18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20

1. 연구제안의 배경과 필요성 20

2. 연구의 목적 22

제2절 연구의 범위 23

제II장 연안해역 설정 광업권 등 법률관계 분석과 법률 개정방안 26

제1절 연안해역 규사 광업권·채취 분포 현황 및 상충사례 28

1. 연안해역 규사 광업권 분포 및 채취실적 28

2. 규사·바다골재 채취 주요 판례 분석 38

제2절 국외 바다모래 등 광물채취 관련 법제도 분석 60

1. 일본 60

2. 중국 64

3. 독일 71

제3절 규사 등 바다모래 채취 관련 법률 개정방안 76

1. 규사 등 바다모래 채취 관련 제도 개선과제 도출 개요 76

2. 규사 등 바다모래 채취 관련 법령 개정방안 79

제III장 연안해역 적성평가 활용 고도화 및 지원체계 구축 90

제1절 연안해역적성평가 개요와 국내 유사제도 92

1. 연안해역적성평가의 지침 개요 92

2. 국내외 유사 관련제도 분석 96

제2절 충남연안 연안해역적성평가 시범적용 123

1. 연안해역적성평가 시범적용 123

2. 연안해역적성평가의 한계 및 문제점 138

제3절 연안해역적성평가 개선방안과 지침 개정(안) 마련 140

1. 연안해역적성평가의 개선방안 140

2. 연안해역적성평가 지침 개정(안) 144

3. 개정(안) 지침 적용(검증) -충남 보령시 대상 155

제IV장 연안침식관리구역 효율적 관리방안 마련 162

제1절 정밀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시행 방안 164

1. 침식관리구역 개요 164

2. 국내 침식 모니터링 현황 및 한계 172

3. 국외 사례 178

4. 관리구역 침식실태 204

5. 관리구역 정밀모니터링 방안 218

제2절 침식관리구역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247

1. 거버넌스 구축 목적 247

2. 거버넌스 이론 검토 247

3. 국내·외 유사 거버넌스 검토 250

4. 침식관리구역 거버넌스 구축 방안 263

제V장 격자단계별 연안해역 공간기반 정보 활용 관리방안 268

제1절 과업의 개요 270

1. 개요 270

2. 추진 흐름도 271

제2절 환경 및 현황분석 272

1. 정책동향 및 법제도 분석 272

2. 공간자료 분석 288

3. 정보기술 동향 분석 303

4. 사례 분석 306

제3절 미래모형 수립 332

1. 추진 전략 332

2. 추진 과제 336

제4절 이행계획 수립 340

1. 이행과제 및 로드맵 340

2. 소요예산 산정 344

부록 346

〈부록 1〉 시도별 규사·규석 채취량('06~'15) 348

〈부록 2〉 바다모래 채취의 관리 강화에 관한 통지 356

〈부록 3〉 일본 규사 및 모래 채취 관련 법령 및 해안침식 관련 분쟁 사례 검토 377

〈부록 4〉 성급 해양기능구획 편성에 관한 기술요구 391

〈부록 5〉 정밀모니터링 세부 내용 422

표 1-1. 해역이용 면적 20

표 2-1. 전국 연안해역 규사 광업권 분포 현황 28

표 2-2. 충남연안 광업권 현황 29

표 2-3. 충남연안 광업권 소유권 이전 및 존속기간 현황 29

표 2-4. 태안군 광업권 현황 30

표 2-5. 경북연안 광업권 현황 31

표 2-6. 경북연안 광업권 소유권 이전 및 존속기간 현황 32

표 2-7. 울진군 광업권 현황 32

표 2-8. 경북연안 연도별 해역 규사 채취량 33

표 2-9. 전남연안 연도별 해역 규사 채취량 34

표 2-10. 경북지역 광물(규사/규석) 채취 현황 35

표 2-11. 전남지역 광물(규사/규석) 채취 현황 35

표 2-12. 충남지역 광물(규사/규석) 채취 현황 36

표 2-13. 강원지역 광물(규사/규석) 채취 현황 36

표 2-14. 경기지역 광물(규사/규석) 채취 현황 37

표 2-15.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운영현황 43

표 2-16. 무안군 법원 판결 결과와 판결 이유 52

표 2-17. 당사자 주장 및 재결 결과 53

표 2-18. 당사자 주장 및 재결 결과 55

표 2-19. 전문기관의 조사보고서 적합성 판단 요인 57

표 2-20. 규사 채취로 인한 해양환경 등 영향 판단 요소 58

표 2-21. 자연침해조정의 대상사업 73

표 2-22. 자연침해의 서술·논증적 평가기준 및 방법 75

표 2-23. 균형계수에 의한 생태복원 면적 산출 매트릭스 75

표 2-24. 규사 등 제도개선 과제 및 주요 내용 79

표 2-25. 「광업법」 상 바다규사 채취 관련 규제 조항 81

표 2-26. 현 「골재채취법」 관련 조항 83

표 2-27. 제도개선 과제 및 주요 내용 88

표 3-1. 연안해역적성평가 제도적 근거 92

표 3-2. 연안해역적성평가 평가지표 94

표 3-3. 연안해역적성평가 평가지표별 판정기준 95

표 3-4. 토지적성평가 법적 근거 96

표 3-5. 2015년 이후 토지적성평가 개정 내용 97

표 3-6. 토지적성평가 절차 99

표 3-7. 토지적성평가 대상 지역 및 활용도 100

표 3-8. 토지적성평가 평가지표군 101

표 3-9. 토지적성평가 지표별 산정방법 및 적용 예시 101

표 3-10. 토지적성평가 별도분류 기준 102

표 3-11. 토지적성평가 적성등급 103

표 3-12. 토지적성평가 검증 개정 전·후 변화 104

표 3-13. LH 검증업무 절차 104

표 3-14.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법적 근거 105

표 3-15.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법제적 평가항목 107

표 3-16.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환경 생태적 평가항목 107

표 3-17. 법제적 평가 기준 (자연환경부문) 108

표 3-18. 법제적 평가 기준(물환경부문) 108

표 3-19. 법제적 평가 기준(기타환경부문) 109

표 3-20. 환경·생태적 평가 기준 110

표 3-21. 해양기능구획기술지침 공간범위 114

표 3-22. 국가해양기능구획 실시 절차 115

표 3-23. 자료구분 및 세부내용 116

표 3-24. 해양기능구획을 위한 분석 내용 118

표 3-25. 성급 해양기능구획 실시 절차 120

표 3-26. 성급 해양기능구획 공간 단위 120

표 3-27. 성급 해양기능구획을 위한 평가 방법 121

표 3-28. 의제처리 해역 공간 면적 123

표 3-29. 관리연안해역 범위 설정 방법 124

표 3-30. 해저광구·해저광구제외의 면적 비교 125

표 3-31. 격자 크기별 갯수 128

표 3-32. 충남연안해역의 보호생물종 129

표 3-33. 충남연안해역의 수질(WQI) 129

표 3-34. 환경적특성 평가지표 공간정보 구축 과정 130

표 3-35. 이용특성 평가지표 공간정보 구축 과정 131

표 3-36. 활용 가능성 평가지표 공간정보 구축 과정 132

표 3-37. 평가지표별 점수값 산정 및 최종적성값 산출 133

표 3-38. 지역별 최종적성값 셀 개수 비교 134

표 3-39. 지역별 최종적성값 셀 갯수 비율(%) 비교 134

표 3-40. 지역별 표준화값 분포 135

표 3-41. 보전적성 및 이용적성 등급 분류 135

표 3-42. 가용한 지표별 점수값 예시 139

표 3-43. 연안해역적성평가 지침 개선방안(안) 요약 143

표 3-44. 가용한 지표별 점수값 산정방법 157

표 4-1. 봉평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 현황 164

표 4-2. 봉평해변 관리방향 167

표 4-3. 대광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 현황 168

표 4-4. 대광해변 관리방향 171

표 4-5. 대광해변 관리방향 172

표 4-6. 정밀 모니터링 조사항목 173

표 4-7. 국내 정밀모니터링 사례 173

표 4-8. 국내 정밀모니터링 방법 요약 175

표 4-9. 꽃지해수욕장 정밀모니터링 개요 176

표 4-10. Sylt 섬 모니터링 개요 179

표 4-11. Sylt 섬 측량 현황 181

표 4-12. 항공레이져 수심측량 시스템 주요 사항 199

표 4-13. 국외 침식 정밀모니터링 시사점 203

표 4-14. 봉평해변 관측기선별 해빈폭 변화 205

표 4-15. 봉평해변 관측기선별 단면적 변화 206

표 4-16. 봉평해변 항공사진 분석 207

표 4-17. 봉평해변 침식원인 208

표 4-18. 대광해변 관측기선별 해빈폭 변화 210

표 4-19. 대광해변 관측기선별 단면적 변화 211

표 4-20. 도찬리해변 관측기선별 해빈폭 변화 213

표 4-21. 도찬리해변 관측기선별 단면적 변화 214

표 4-22. 대광, 도찬리해변 백사장 잠식 현황 215

표 4-23. 대광해변 침식원인 216

표 4-24. 정밀 침식모니터링 목적별 주요 내용 218

표 4-25. 침식 관련 자연현상 219

표 4-26. 정밀 침식모니터링 조사항목(예시) 221

표 4-27. 봉평해변 정밀모니터링 고려사항 224

표 4-28. 봉평해변 정밀 침식모니터링 조사 개요 228

표 4-29. 대광해변 정밀모니터링 고려사항 237

표 4-30. 대광해변 정밀모니터링 조사 개요 238

표 4-31. 거버넌스 정의 248

표 4-32. 참여적 거버넌스 및 협력적 거버넌스 248

표 4-33. 중앙·지역관리위원회 기능 및 구성 251

표 4-34. 시민모니터링 사례 252

표 4-35. 시민모니터링 조사항목 253

표 4-36. 옹진군 해양보호구역 관리위원회 기능 및 구성 254

표 4-37. 신두리사구센터 운영위원회 기능 및 구성 255

표 4-38. 순천만습지위원회 기능 및 구성 256

표 4-39. 돗토리현 토사관리 주요 정책 259

표 4-40. 돗토리현 모니터링 방법 260

표 4-41. 돗토리현 토사관리 관련 부문별 관리자 업무 261

표 4-42. 영국 Coastal Group 내 주요 기관 262

표 4-43. 이해관계자 특성 및 침식관리구역 적용 264

표 4-44. 이해관계자 특성 및 침식관리구역 적용 265

표 4-45. 관리구역별 협의체 고려사항 266

표 4-46. 봉평해변 관리구역 협의체 구성 266

표 5-1. 연안해역적성평가 관련 법률 현황 279

표 5-2. 연안관리지역계획의 주요 내용 285

표 5-3. 연안용도해역의 주요 내용 286

표 5-4. 연안해역 의제 내용 289

표 5-5. 주제도 현황 289

표 5-6. 국립해양조사원 관리 및 제공 현황 291

표 5-7. 기본 모니터링 분석 항목 293

표 5-8. '15년 연안정비 최종결과물 및 연안공간정보 분석자료 302

표 5-9. 토지적성평가 기능 상세 308

표 5-10.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분석 모델 313

표 5-11. 격자단계 314

표 5-12. 격자형 해양정보 주요기능 314

표 5-13. 연안공간정보 주요기능 317

표 5-14. 격자형 해양정보 서비스 제공 정보 322

표 5-15. 연안공간정보 시범구축 제공데이터 324

표 5-16. 연안해역적성평가 기능 상세 326

표 5-17. 해외 해양공간계획의 주요 내용 328

표 5-18. 연안공간정보 통합관리체계 세부 서비스 목록 335

표 5-19. 공동활용 및 통합을 위한 지침 정비 추진내용 341

표 5-20. 격자형 해양정보 관리체계 핵심 메타데이터 341

표 5-21. 개방공유 기반의 플랫폼 구축(활용) 추진 내용 342

표 5-22. 해양공간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추진 내용 342

표 5-23. 연안관리 의사결정지원 체계 구축 추진 내용 343

표 5-24. 소요예산 총괄 344

표 5-25. 과제별 소요예산 총괄 344

부록 표 3-1. 골재채취단지 지정 및 운영현황 378

부록 표 4-1. 해양기능구획분류체계 395

부록 표 4-2. 바다사용방식공제등급 구분의 자원환경조건 406

부록 표 4-3. 해양기능구획분류체계해안 기본기능구 등록서 416

부록 표 4-4. 해양기능구획분류체계근해 기본기능구 등록서 416

부록 표 4-5. 해양기능구획분류체계해안(근해) 기본기능구 색인표 416

부록 표 4-6. 해양기능구획분류체계성급 해양기능구획 도면범례 420

부록 표 5-1. 조석 관측 방법 분류 422

부록 표 5-2. 조류 관측 방법 분류 424

부록 표 5-3. 조류 조화분해 결과 사례 425

부록 표 5-4. 해빈폭, 단면적 및 경사도 변화 431

부록 표 5-5. 해빈류관측 성과표 예시 455

부록 표 5-6. 원인 분류 Matrix 466

부록 표 5-7. 수치모형실험의 종류 472

그림 1-1. 연구의 공간적 범위 24

그림 2-1. 경북연안 연도별 해역 규사 채취량 33

그림 2-2. 전남연안 연도별 해역 규사 채취량 34

그림 2-3. 경북·전남·충남·강원·경기·인천 규사·규석 총 채취량(해역+육역) 37

그림 2-4. 연도별 경북·전남·충남·강원·경기 규사·규석 총 채취량(해역+육역) 38

그림 2-5. 광업권 허가 절차 39

그림 2-6. 탐사권 허가 세부절차 39

그림 2-7. 채굴권 허가 세부절차 40

그림 2-8. 영해 내 바다골재 채취 절차 44

그림 2-9. 배타적 경제수역에서의 바다골재 채취 절차 45

그림 2-10. 무안군 해제면 광업권 구역 및 공유수면 점·사용 위치 49

그림 2-11. 중국 바다모래 채취 허가 절차 67

그림 2-12. 중국 바다모래 채취 관련 법률간 연계구조 68

그림 2-13. 자연침해 조정의 적용단계 74

그림 2-14. 제도개선을 위한 추진 절차 및 방법 76

그림 2-15. 채굴권 설정 흐름도 상의 공익 협의 단계 78

그림 2-16. 선갑해역의 해저지형도 및 표층퇴적물의 퇴적상 분포 82

그림 3-1. 연안해역적성평가 평가절차 93

그림 3-2. 토지적성평가 시행주체 및 절차 100

그림 3-3. 토지적성평가 등급별 입안 판정기준 103

그림 3-4.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제작 과정 106

그림 3-5. 충남 관리연안해역 공간범위 126

그림 3-6. 평가대상지역 격자 생성 127

그림 3-7. 평가대상지역 공백지역에 대한 격자 생성 방법 128

그림 3-8. 태안- 보령-서천 적성값과 중복대상지역 136

그림 3-9. 충남연안해역 연안해역적성평가 결과값 137

그림 3-10. 연안해역적성평가 절차 개요 146

그림 3-11. 개정(안) 적용을 위한 평가대상 지역 155

그림 3-12. 개정(안)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의 공간분포 156

그림 3-13. 개정(안) 적용을 통한 최종적성값 비교 158

그림 3-14. 개정(안) 적용을 통한 최종적성 표준화값 결과 159

그림 3-15. 현재 지침 적용 결과와 개정(안) 적용결과 비교 160

그림 3-16. 연안관리지역계획 연안용도구획과 개정(안) 적용결과 비교 161

그림 4-1. 봉평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도 165

그림 4-2. 봉평해변 관리방향 167

그림 4-3. 대광해변 연안침식관리구역 지정도 169

그림 4-4. 봉평해변 관리방향 171

그림 4-5. 꽃지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평면 배치도 176

그림 4-6. Sylt 섬 현황 및 양빈 실적 178

그림 4-7. Sylt 섬 모니터링 개요 179

그림 4-8. 수심측량결과 180

그림 4-9. Oregon 주 상세모니터링 지역 및 조사 기선 182

그림 4-10. 상세모니터링 지역 3차원 해빈표고 작성 사례 183

그림 4-11. 네덜란드 일과해안선(MCL) 185

그림 4-12. 해안선 후퇴(Egmond) 185

그림 4-13. 3년 주기 양빈 프로그램 186

그림 4-14. 네덜란드 양빈 시공사례 187

그림 4-15. 영국 건설산업연구·정보협회 연안침식관리 흐름도 188

그림 4-16. 영국 연안모니터링 정보·자료 제공 사이트 189

그림 4-17. (a)Quad RTK GPS, (b)Wheelbarrow RTK GPS 190

그림 4-18. Jetski RTK GPS 190

그림 4-19. jetski Raw data 191

그림 4-20. 지형 및 수심측량 결과 191

그림 4-21. 해빈단면측량 결과 192

그림 4-22. 비디오 모니터링 Network 시스템 194

그림 4-23.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설치 195

그림 4-24. (a)비디오 모니터링 타워, (b)이미지 병합 195

그림 4-25. UAV 관측 196

그림 4-26. 정밀 비디오 모니터링 연속영상 197

그림 4-27. 항공사진측량과 LiDAR 시스템의 비교 198

그림 4-28. 항공 수심레이져 측량체계 200

그림 4-29. (a)해양조사용 레이저 측량의 원리, (b)항공레이저 수심측량 방식 200

그림 4-30. Airborne Laser Bathymetry(SHOALS) 적용의 장점 201

그림 4-31. SBES, MBES 그리고 SHOALS 관측 자료 비교 202

그림 4-32. SHOALS를 이용한 인렡 지형 변화 관측 202

그림 4-33. 봉평해변 측량기선 204

그림 4-34. 봉평해변 주요 침식구간 204

그림 4-35. 봉평해변 9번 기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05

그림 4-36. 봉평해변 평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05

그림 4-37. 봉평해변 9번 기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06

그림 4-38. 봉평해변 평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06

그림 4-39. 봉평해변 백사장 잠식 현황 207

그림 4-40. 대광해변 측량기선 209

그림 4-41. 대광해변 주요 침식구간 209

그림 4-42. 대광해변 2번 기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10

그림 4-43. 대광해변 평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10

그림 4-44. 대광해변 2번 기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11

그림 4-45. 대광해변 평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11

그림 4-46. 도찬리해변 측량기선 212

그림 4-47. 도찬리해변 주요 침식구간 212

그림 4-48. 도찬리해변 3번 기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13

그림 4-49. 도찬리해변 평균 해빈폭 시계열 그래프 213

그림 4-50. 도찬리해변 6번 기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14

그림 4-51. 도찬리해변 평균 단면적 시계열 그래프 214

그림 4-52. 대광, 도찬리해변 백사장 잠식 현황 215

그림 4-53. 수심변화 분석(2000~2013년 수치해도 비교) 217

그림 4-54. 봉 평해변 정밀 침식모니터링 공간범위 223

그림 4-55. 관측정점 위치도 및 파고비 비교 226

그림 4-56. 조사 위치도 및 저주파 지층탐사 단면도 227

그림 4-57. 대광해변 정밀 침식모니터링 공간범위 236

그림 4-58. 비사 관측 시스템 예시 246

그림 4-59. 돗토리현 토사관리 체계 259

그림 4-60. 일본 돗토리현 토사관리계획 중 해변관리 주요 내용 261

그림 4-61. 영국 Coastal Group 분포 263

그림 4-62. 이해관계자 결정분석 방법(Outline stakeholder power-interest grid) 264

그림 5-1. 추진흐름도 271

그림 5-2. 정부 3.0 비젼 273

그림 5-3. 국가공간정보정책 비전 274

그림 5-4. 해양기반 국토종합계획 275

그림 5-5. 해양수산부 수산발전시행계획 276

그림 5-6. 해외 해양정책 277

그림 5-7. 정부의 국가공간정보 정책 시사점 279

그림 5-8. 이행체계 281

그림 5-9. 연안통합관리계획 284

그림 5-10.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의 기본 틀 285

그림 5-11. 법 제도 분석 시사점 288

그림 5-12.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공간계획 관련 사업 추진 현황 292

그림 5-13. 위치도 및 자연현황정보 294

그림 5-14. 시설현황 295

그림 5-15. 기준점 및 측량결과 296

그림 5-16. 기선별 평균 변화량 분석 297

그림 5-17. 표층퇴적물 분석 298

그림 5-18. 침식현황분석(항공·위성사진) 299

그림 5-19. 침식변화분석(현황사진) 300

그림 5-20. 침식·퇴적 원인분석 및 고찰 301

그림 5-21. Gartner가 선정한 2016년 10대 전략기술 303

그림 5-22. 공간정보 및 정보기술 동향 시사점 306

그림 5-23. 토지적성평가의 절차개요 307

그림 5-24. 입안구역 검토 309

그림 5-25.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 310

그림 5-26. 공간자료관리시스템 및 데이터웨어하우스 311

그림 5-27. 분석모형관리시스템 312

그림 5-28. 지식관리시스템 313

그림 5-29. 격자별 해양정보 보유현황 317

그림 5-30. 격자선택을 통한 연안정보 보유현황 318

그림 5-31. 연도별 수심 개별조회 및 연도별 변화량 318

그림 5-32. 레이어 복합분석(해저지형 레이어와 수심레이어) 319

그림 5-33. 공간정보 기반의 기선별 해빈 변화 319

그림 5-34. 해안선 변동에 따른 해빈변화 320

그림 5-35. 연 평균 해빈폭 및 단면적 변화 상세정보 320

그림 5-36. 공유수면 관리 레이어 321

그림 5-37. 연안정비계획 레이어 321

그림 5-38. 격자형 해양정보 관리체계 시스템 구성 325

그림 5-39. 연안해역적성평가 화면 327

그림 5-40. 연안적성평가의 공간검색 기능 327

그림 5-41. 사례분석 시사점 331

그림 5-42. 개선 방향을 통한 사업추진 전략 332

그림 5-43. 비젼 및 추진과제 334

그림 5-44. 목표시스템 구성도 335

그림 5-45. 이행과제 도출 340

그림 5-46. 로드맵 343

부록 그림 5-1. 도플러유속계를 이용한 파랑관측 모식도 427

부록 그림 5-2. TOPEX에 의한 해양표면고도 관측 모식도 427

부록 그림 5-3. 도플러 유속계(ADCP)로 관측한 파랑자료의 원시자료분석 예시 428

부록 그림 5-4. 파향별 발생빈도 428

부록 그림 5-5. 파향별, 파고계급별 발생빈도 429

부록 그림 5-6. 주기별 발생빈도 429

부록 그림 5-7. 파향별, 파고계급별 발생빈도 429

부록 그림 5-8. 기선 측량 작업 430

부록 그림 5-9. 변화조사 자료처리 431

부록 그림 5-10. 시기별 해빈단면 비교 그래프 432

부록 그림 5-11. 해빈폭 변화 시계열 그래프 432

부록 그림 5-12. 단면적 변화 시계열 그래프 432

부록 그림 5-13. 변화조사 흐름도 433

부록 그림 5-14. 변화조사 전 준비작업(Hypack 설정방법) 434

부록 그림 5-15. 자료취득(변화조사 - 외업, Hypack 설정방법) 435

부록 그림 5-16. 기준점 측량 흐름도 436

부록 그림 5-17. 자료취득(RTK 변화조사 - 외업, Hypack 설정방법) 437

부록 그림 5-18. Hypack을 이용한 등심선, 격자수심 생성 438

부록 그림 5-19. 가시화 프로그램을 이용한 결과 분석 440

부록 그림 5-20. 단빔/다중빔 음향측심 성과물 비교 442

부록 그림 5-21. 멀티빔 변화조사 자료취득 흐름도 443

부록 그림 5-22. 멀티빔 변화조사 각 장비별 위치 및 보정치 443

부록 그림 5-23. 멀티빔 자료 캘리브레이션 실행방법 444

부록 그림 5-24. 멀티빔 자료 캘리브레이션 보정치 444

부록 그림 5-25. 멀티빔 변화조사 자료취득 프로그램(PDS2000) 444

부록 그림 5-26. 멀티빔 수심변화조사 자료처리 흐름도 445

부록 그림 5-27. 멀티빔 수심변화조사 자료처리 방법 446

부록 그림 5-28. PIV System을 이용한 해빈류 흐름분석 454

부록 그림 5-29. ADCP 관측 결과 예시(유속 수직 분포의 시계열도) 455

부록 그림 5-30. 부유사량 시계열 및 공간분포도 제시 457

부록 그림 5-31. 해상(좌) 및 해변(우)에서의 해저질 채취작업 458

부록 그림 5-32. 해저질 공간분포 결과 예시 459

부록 그림 5-33. 하천유사량 관측장비 460

부록 그림 5-34. 긴급 조사 결과 예시 462

부록 그림 5-35. 원인 분류 464

부록 그림 5-36. 원인 분류 단계 개념도 465

부록 그림 5-37. 평면배치계획 흐름도 47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3730 LM 346.046917 -1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3731 LM 346.046917 -17-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97379 LM 346.046917 -17-2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