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DMZ일원 훼손지역의 자생종 활용 생태복원기술 개발 =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s development using native species in DMZ vicinities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
청구기호
577.0951 -17-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 제3차년도
제어번호
MONO1201771755
주기사항
책등표제: DMZ일원 훼손지역의 자생종 활용 생태복원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총괄연구기관: 일송환경복원(주) ; 협동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주관연구책임자: 김경훈
부록: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실무 가이드라인 ; 훼손지 유형 DB ; 1차년도 현장조사 야장 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1

1-1. 연구개발 목적 31

가. 연구의 중요성 31

나. DMZ 일원의 생태적 중요성 및 훼손현황 34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36

가. DMZ 일원의 생태적 복원의 필요성 36

1-3. 연구개발 범위 38

가. 현지 식물자원 확보 및 종자활용기술 개발 38

나. 생태복원용 소재 및 특수묘목 생산 시스템 구축 41

다. 현지자원을 활용한 시공기술 44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1

2-1. 국외 기술개발 동향 51

가. 생태복원과 관련된 연구 동향 51

나. 기계시공에 의한 파종 51

다. 자생종자 활용 52

라. 현지자원 활용 및 시드뱅크 53

마. 종자산업 및 처리기술 58

2.2. 국내 기술개발 동향 60

가. 생태복원 목표 및 식생 60

나. 훼손지 복원 63

다. 종자 관련 65

라. 종자 수입 현황 66

마. 토양의 건강성 회복 72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81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81

가.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81

나.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82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83

가. 종자활용기술 83

나. 생산시스템 구축 161

다. 복원 기술 적용 226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330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335

4-1. 목표달성도 335

4-2. 관련분야 기여도 342

가.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342

나.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343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47

5-1. 사업화 계획 347

가. 사업화 계획 347

나. 사업화 전략 351

다. 사업화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 352

라. 무역수지 개선효과 35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57

6-1. 해외 자생식물을 활용한 복원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357

가. 미국 Denali National Park and Preserve에서의 자생식물 복원 매뉴얼 357

나. 미국 Minnesota 지역의 자생식물 복원 가이드라인 358

다. 미국 National Park Service의 훼손지 복원 가이드라인 359

라. 캐나다 Alberta 지역의 자생식물 식생복원 가이드라인 361

마. 미국 National Park Service의 자생식물 이용 프로젝트 362

6-2. 해외 자생식물을 활용한 복원 사례 363

가. 체코 Krkonose National Park의 훼손 산림생태계 복원 사례 363

나. 일본 국립공원의 자연환경복원 364

6-3. 종합 시사점 366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369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73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77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81

11. 기타사항 385

12. 참고문헌 389

부록 399

〈부록 1〉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실무 가이드라인 401

목차 402

1. 식생복원녹화 개요 403

2. 식생복원녹화 계획 408

3. 식생복원녹화 재료 433

4. 식생복원녹화 공사 454

5.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478

부록 : 참고문헌 486

〈부록 2〉 생태복원용 식물종자 매뉴얼 488

목차 489

1. 생태복원용 종자 품질유지 490

2. 생태복원용 식물 500

3. 기타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2009) 526

DMZ일원 훼손지 유형분석 및 평가지표 개발 532

환경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제출서) 532

제출문 533

요약서 536

요약문 540

SUMMARY 546

목차 550

1. 연구개발과제 개요 558

1-1. 연구개발 필요성 559

1-2. DMZ 일원 현황 567

1-3. 훼손관련 선행연구 576

1-4. DMZ 일원 훼손의 영향 592

1-5. 훼손지 생태복원 사례 분석 617

1-6. 종합 분석 632

2. DMZ 훼손유형 분류 및 복원모형 구축 633

2-1. 훼손지 현장조사 635

2-2. 훼손유형 도출 658

2-3. 훼손 유형에 따른 생태복원 적용 683

2-4. 종합분석 702

3. 생태복원지 평가지표 개발 703

3-1. 평가지표 개발 705

3-2. 전문가 설문 결과 716

3-3. 생태복원 평가지표 검증 725

3-4. 순응적 관리방안 742

3-5. 종합분석 752

4. 결론 및 제언 753

5.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761

6.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765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769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773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777

9-1. 안전관리 현황 779

9-2. 안전교육 실시 780

9-3. 안전관련 예산 780

9-4. 유해물질 및 위험기계·기구 780

9-5. 정밀 안전진단 결과 780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787

11. 참고문헌 791

12. 기타사항 : 부록 및 첨부자료 797

12-1. 부록 799

부록 1 : 훼손지 유형 DB 800

부록 2 : 1차년도 현장조사 야장 824

부록 3 : 2차년도 현장조사 야장 851

부록 4 : 3차년도 현장조사 야장 905

부록 5 : 생태복원 가이드라인(안) 955

부록 6 : DMZ일원 훼손유형에 따른 생태복원 간편 모니터링 매뉴얼 981

12-2. 연구비로 구매 된 장비 1036

〈표 1-1-1〉 DMZ 일원의 훼손 유형 및 현황 35

〈표 1-3-1〉 기존 기술과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의 차이점 40

〈표 1-3-2〉 기존 종자공급체계 및 구축예정 종자공급체계 42

〈표 2-1-1〉 현지토양 및 종자 활용 기술 54

〈표 2-2-1〉 파종에 의해 활용 가능한 종자 예시 61

〈표 2-2-2〉 2009년 중국에서 수입된 주요 종자(식물검역원, 2010) 68

〈표 2-2-3〉 2009년 미국에서 수입된 주요 종자(식물검역원, 2010) 69

〈표 2-2-4〉 2009년 수입된 녹화용 주요 부자재(식물검역원, 2010) 70

〈표 2-2-5〉 2010~2012년에 수입된 종자(식물검역원, 2012) 71

〈표 2-2-6〉 특허검색 : 키워드 "비탈면, 훼손지"+"녹화,복구"(국내 특허 600여건 이상) 74

〈표 2-2-7〉 특허검색 : 키워드 "종자 전처리, 발아촉진, 발아세"+"녹화" 76

〈표 2-2-8〉 특허검색 : 키워드 "생태 복원"+"녹화" 77

〈표 3-2-1〉 현행 식생자료를 기준으로 한 단계별 목표식생 선정 84

〈표 3-2-2〉 복원목표에 따른 종자종류(표준타입)와 도입가능지역의 기준(예시) 85

〈표 3-2-3〉 녹화지역과 생태자연도별 비탈면 녹화목표 86

〈표 3-2-4〉 자연경관형 적용지역 복원 시 사용종자 87

〈표 3-2-5〉 온량지수에 의한 산림기후대 구분 (Yim&Kira, 1975; 양금철, 2001) 88

〈표 3-2-6〉 분포역 온량지수에 따른 식물군락 89

〈표 3-2-7〉 수종별 생육온량지수 90

〈표 3-2-8〉 DMZ일원 및 선발된 일부 수종에 따른 온량지수 분포 91

〈표 3-2-9〉 민북지역의 주요 산림군집 112

〈표 3-2-10〉 현지종자 채종, 시기, 방법 116

〈표 3-2-11〉 발아력조기 확인 및 검증 131

〈표 3-2-12〉 붉나무(Rhus javanica L.)와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의 채집정보 134

〈표 3-2-13〉 자원식물들의 엽록체 기반 분자마커 정보 135

〈표 3-2-14〉 단풍나무의 바코드 마커 프라이머 정보 137

〈표 3-2-15〉 붉나무의 엽록체 기반 분자 마커 정보 137

〈표 3-2-16〉 단풍나무의 엽록체 기반 분자 마커 정보 138

〈표 3-2-17〉 붉나무와 단풍나무의 PCR 수행 조건 139

〈표 3-2-18〉 붉나무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자의 NGS 분석 결과 144

〈표 3-2-19〉 붉나무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자의 엽록체 정보 145

〈표 3-2-20〉 붉나무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자의 45S rDNA genome 정보 145

〈표 3-2-21〉 붉나무의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 간 SNP와 InDel 개수 148

〈표 3-2-22〉 단풍나무 (양구, 중국), 당단풍나무의 NGS 분석 결과 154

〈표 3-2-23〉 단풍나무 (양구, 중국), 당단풍나무의 엽록체 정보 154

〈표 3-2-24〉 단풍나무 (양구, 중국), 당단풍나무의 45S nrDNA 정보 154

〈표 3-2-25〉 단풍나무(양구), 단풍나무(중국), 중국단풍나무(A. buergerianum), 당단풍나무 간... 157

〈표 3-2-26〉 단풍나무(양구), 단풍나무(중국), 중국단풍나무(A. buergerianum), 당단풍나무의... 157

〈표 3-2-27〉 선발식물종의 탈종 및 정선방법 164

〈표 3-2-28〉 종자의 저장 방법 172

〈표 3-2-29〉 선발식물종의 저장방법 173

〈표 3-2-30〉 복원용 식물종자 매뉴얼 182

〈표 3-2-31〉 종자코팅 재료 및 접착제 194

〈표 3-2-32〉 코팅종자 발아율 200

〈표 3-2-33〉 6구 육묘용기 203

〈표 3-2-34〉 12구 육묘용기 203

〈표 3-2-35〉 20구 육묘용기 204

〈표 3-2-36〉 24구 육묘용기 204

〈표 3-2-37〉 28구 육묘용기 205

〈표 3-2-38〉 35구 육묘용기 205

〈표 3-2-39〉 40구 육묘용기 206

〈표 3-2-40〉 80구 육묘용기 206

〈표 3-2-41〉 4구 육묘용기 207

〈표 3-2-42〉 15구 육묘용기 207

〈표 3-2-43〉 24구 육묘용기 208

〈표 3-2-44〉 육묘용기별 생육측정 209

〈표 3-2-45〉 물오리나무 생육측정 211

〈표 3-2-46〉 산뽕나무 생육측정 212

〈표 3-2-47〉 신갈나무 생육측정 213

〈표 3-2-48〉 종자팩 실험구 조성 216

〈표 3-2-49〉 일반환경(실외) 활력도 측정 217

〈표 3-2-50〉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 활력도 측정(40℃, RH 70%) 218

〈표 3-2-51〉 고온환경 활력도 측정(50℃) 219

〈표 3-2-52〉 소형, 중형 이동형 보관장비 222

〈표 3-2-53〉 기존 제품과 차이점 223

〈표 3-2-54〉 토색이 갖는 특성 231

〈표 3-2-55〉 토양 pH와 수종분포 234

〈표 3-2-56〉 토성에 따른 양분과 수분보유능력 236

〈표 3-2-57〉 현장 토양의 토심별 화학적 특성 237

〈표 3-2-58〉 국립산림과학원의 수목식재지 토양의 기준 238

〈표 3-2-59〉 현장 토양의 토심별 중금속 함량 239

〈표 3-2-60〉 토양 기반재의 혼합 비율 239

〈표 3-2-61〉 혼합 토양의 화학적 특성 240

〈표 3-2-62〉 혼합 토양의 중금속 함량 241

〈표 3-2-63〉 실험구 조성에 사용된 혼합종자의 배합비 244

〈표 3-2-64〉 개별 실험구의 재료 혼합비 245

〈표 3-2-65〉 출현종 수 248

〈표 3-2-66〉 발아개체수 250

〈표 3-2-67〉 분산분석에 의한 실험처리별 유의성 평가 251

〈표 3-2-68〉 Y05-A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2

〈표 3-2-69〉 Y05-B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3

〈표 3-2-70〉 Y05-C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3

〈표 3-2-71〉 Y05-D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4

〈표 3-2-72〉 Y05-E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4

〈표 3-2-73〉 Y20-A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5

〈표 3-2-74〉 Y20-B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5

〈표 3-2-75〉 Y20-C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6

〈표 3-2-76〉 Y20-D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6

〈표 3-2-77〉 Y20-E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7

〈표 3-2-78〉 Y40-A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7

〈표 3-2-79〉 Y40-B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8

〈표 3-2-80〉 Y40-C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8

〈표 3-2-81〉 Y40-D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9

〈표 3-2-82〉 Y40-E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59

〈표 3-2-83〉 CDR(대조구) 실험구의 피복율 분석 260

〈표 3-2-84〉 현지 토양의 혼합비율에 따른 피복율 분석 261

〈표 3-2-85〉 1차 식생유기블록 재료 혼합 265

〈표 3-2-86〉 시험시공 종자 배합표 283

〈표 3-2-87〉 실험구 조성 284

〈표 3-2-88〉 식생면네트(종자) 모니터링 287

〈표 3-2-89〉 식생면네트(종자+우드화이버) 모니터링 287

〈표 3-2-90〉 식생유기블록(5개/㎡)모니터링 288

〈표 3-2-91〉 식생유기블록(9개/㎡) 모니터링 288

〈표 3-2-92〉 파종 및 복토(CODRA 100%) 모니터링 289

〈표 3-2-93〉 파종 및 복토(CODRA 10%+현지토양 10%) 모니터링 289

〈표 3-2-94〉 시험시공지 화학적 특성(pH, 유기물함량, 전질소량) 290

〈표 3-2-95〉 시험시공지 화학적 특성(유효인산, 전기전도도, 염분농도, CEC) 291

〈표 3-2-96〉 식생면네트(종자) 모니터링 294

〈표 3-2-97〉 식생면네트(종자+우드화이버) 모니터링 294

〈표 3-2-98〉 식생유기블록(5개/㎡) 모니터링 295

〈표 3-2-99〉 식생유기블록(9개/㎡) 모니터링 295

〈표 3-2-100〉 파종 및 복토(CODRA 100%) 모니터링 296

〈표 3-2-101〉 파종 및 복토(CODRA 10%+현지토양 10%) 모니터링 296

〈표 3-2-102〉 시험시공지 화학적 특성(pH, 유기물함량, 전질소량) 298

〈표 3-2-103〉 시험시공지 화학적 특성(유효인산, 전기전도도, 염분농도, CEC) 298

〈표 3-2-104〉 시험시공 종자 배합표 300

〈표 3-2-105〉 실험구 조성 301

〈표 3-2-106〉 coirnet + seed spray + 자작나무 묘목 식재 모니터링 302

〈표 3-2-107〉 coirnet + seed spray + 소나무 묘목 식재 모니터링 303

〈표 3-2-108〉 coirnet + seed spray + 상수리나무 묘목 식재 모니터링 303

〈표 3-2-109〉 시험시공지 조성 계획 304

〈표 3-2-110〉 파종 및 이식 기준 305

〈표 3-2-111〉 파종 식물 모니터링 310

〈표 3-2-112〉 편책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311

〈표 3-2-113〉 주요 시험구의 평가 자료 312

〈표 3-2-114〉 실험구 조성 계획 316

〈표 3-2-115〉 50% 간벌의 조사구 1, 2 318

〈표 3-2-116〉 50% 간벌의 조사구 3, 4 319

〈표 3-2-117〉 대조구(간벌 0%)의 조사구 1, 2 322

〈표 3-2-118〉 대조구(간벌 0%)의 조사구 3, 4 323

〈표 3-2-119〉 25% 간벌의 조사구 1, 2 326

〈표 3-2-110〉 25% 간벌의 조사구 3, 4 327

〈표 4-1-1〉 연구목표 달성도 335

〈표 4-2-1〉 연구성과 목표달성도 337

〈표 4-2-2〉 지식재산권 338

〈표 4-2-3〉 논문게재 338

〈표 4-2-4〉 학술회의 발표 339

〈표 4-2-5〉 학술회의 개최 339

〈표 4-2-6〉 법·정책·지침 활용 성과 340

〈표 4-2-7〉 홍보실적 340

〈표 4-2-8〉 고용창출 340

〈표 4-2-9〉 사업화 성과 341

〈표 5-1-1〉 생태복원 관련 2013년도 시장규모 분석 348

〈표 5-1-2〉 환경부 복원 분야 및 예산(환경부, 2011 예산안 기준) 350

〈표 5-1-3〉 산림청 복원 분야 및 예산(산림청, 2011 예산안 기준) 350

〈표 5-1-4〉 국토해양부 복원 분야 및 예산(국토해양부, 2011 예산안 기준) 351

〈표 5-1-5〉 사업화 전략 351

〈표 5-1-6〉 연도별 수입대체효과, 수출효과 353

〈표 5-1-7〉 2009년 녹화용 종자 및 소재 수입 물량 및 대체 가능성 354

〈표 6-1-1〉 미국 Denali National Park and Preserve에서의 자생식물 복원 매뉴얼 357

〈표 6-1-2〉 미국 Minnesota 지역의 자생식물 복원 가이드라인 358

〈표 6-1-3〉 미국 National Park Service의 훼손지 복원 가이드라인 359

〈표 6-1-4〉 캐나다 Alberta 지역의 자생식물 식생복원 가이드라인 361

〈표 6-1-5〉 미국 National Park Service의 자생식물 이용 프로젝트 362

〈표 6-2-1〉 체코 Krkonose National Park의 훼손 산림생태계 복원 사례 363

〈표 6-2-2〉 일본 국립공원의 자연환경복원 364

〈표 6-3-1〉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종합 시사점 도출 366

〈표 10-1-1〉 지식재산권 381

〈표 10-1-2〉 논문게재 381

〈그림 1-1-1〉외래도입종에 의한 조기 급속녹화 사례 32

〈그림 1-1-2〉 DMZ 일원의 범위(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1) 34

〈그림 1-2-1〉 생태복원의 구조와 기능 분류 36

〈그림 1-3-1〉 복원용 종자 선정 및 발아개선 프로세스 38

〈그림 1-3-2〉 현지 식물자원 확보 및 종자 활용 기술 39

〈그림 1-3-3〉 본 연구과제의 현지종자 활용 신규 프로세스 41

〈그림 1-3-4〉 현지 묘목을 이용한 묘목 생산 중 (총괄주관연구기관) 43

〈그림 1-3-5〉 녹화용 소재 및 특수묘목 생산 시스템 43

〈그림 1-3-6〉 기술의 발전방향과 문제점에 따른 개발기술의 차별성 44

〈그림 1-3-7〉 개발기술에 따른 기존 시공 프로세스의 변화 46

〈그림 1-3-8〉 현지자원 및 현지종자를 이용한 생태복원 기술 47

〈그림 2-1-1〉 이질적인 설계에 의한 생태복원 사례(일본) 55

〈그림 2-1-2〉 미노오가와댐 복원사례(시공 20년 후) 56

〈그림 2-1-3〉 제2메이신고속도로 복원사례(시공 3년 후) 56

〈그림 2-1-4〉 표토블럭 이식 시공 장면 57

〈그림 2-1-5〉 현지 채취 종자를 이용한 묘목생산 시설 58

〈그림 2-1-6〉 미국 및 캐나다의 임목폐기물 처리기술 사례 58

〈그림 2-1-7〉 미국의 교차로 주변 임목폐기물 멀칭 후 조경수 식재한 모습 58

〈그림 2-2-1〉 식생기반의 조건에 따른 적용공법별 시공두께 60

〈그림 2-2-2〉 현지 묘목을 이용한 묘목 생산 중 (총괄연구기관) 64

〈그림 2-2-3〉 토양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의 크기별 종류(EC, 2010) 72

〈그림 2-2-4〉 토양침식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과 요소들간의 상호관계(EC, 2010) 73

〈그림 3-2-1〉 DMZ일원의 생태자연도(환경부 환경공간정보서비스, 2013년 고시) 87

〈그림 3-2-2〉 국내 온량지수(WI)의 구분, 공석준 등(2012) 89

〈그림 3-2-3〉 사면별 자연우세 수종(교목성) 92

〈그림 3-2-4〉 사면별 자연우세 수종(관목성) 93

〈그림 3-2-5〉 개암나무 종자, 수형 94

〈그림 3-2-6〉 고로쇠나무 종자, 수형 95

〈그림 3-2-7〉 단풍나무 종자, 수형 96

〈그림 3-2-8〉 물오리나무 종자, 수형 96

〈그림 3-2-9〉 산벚나무 종자, 수형 97

〈그림 3-2-10〉 물푸레나무 종자, 수형 98

〈그림 3-2-11〉 상수리나무 종자, 수형 98

〈그림 3-2-12〉 소나무 종자, 수피 99

〈그림 3-2-13〉 신갈나무 종자, 수형 100

〈그림 3-2-14〉 신나무 종자, 수형 100

〈그림 3-2-15〉 졸참나무 종자, 수형 101

〈그림 3-2-16〉 층층나무 종자, 수형 102

〈그림 3-2-17〉 팥배나무 종자, 수형 102

〈그림 3-2-18〉 개옻나무 종자, 수형 103

〈그림 3-2-19〉 국수나무 종자, 수형 104

〈그림 3-2-20〉 꼬리조팝나무 종자, 수형 104

〈그림 3-2-21〉 버드나무 종자, 수형 105

〈그림 3-2-22〉 붉나무 종자, 수형 106

〈그림 3-2-23〉 산뽕나무 종자, 수형 106

〈그림 3-2-24〉 싸리 종자, 수형 107

〈그림 3-2-25〉 진달래 종자, 수형 108

〈그림 3-2-26〉 철쭉 종자, 수형 108

〈그림 3-2-27〉 개쉬땅나무 종자, 수형 109

〈그림 3-2-28〉 복장나무 종자, 수형 110

〈그림 3-2-29〉 조사대상지1 :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일대 112

〈그림 3-2-30〉 조사대상지2 : 강원도 인제군(미시령) 일대 113

〈그림 3-2-31〉 조사대상지3 : 강원도 화천군 일대 113

〈그림 3-2-32〉 현지식물 동종 114

〈그림 3-2-33〉 현지 종자 채집 114

〈그림 3-2-34〉 현장에서 재취한 식물종자 115

〈그림 3-2-35〉 일본 D사의 발아력조기검증 FLOW 118

〈그림 3-2-36〉 황산처리 후 24시간 침지한 붉나무 종자의 크기 변화... 119

〈그림 3-2-37〉 황산처리 한 붉나무 종자의 발아율 120

〈그림 3-2-38〉 개쉬땅나무 종자 파종 121

〈그림 3-2-39〉 개쉬땅나무 종자의 발아율 121

〈그림 3-2-40〉 24시간 침지한 벌노랑이 종자 크기변화(좌: 침지 전, 우: 침지 후) 122

〈그림 3-2-41〉 벌노랑이 종자의 발아율 123

〈그림 3-2-42〉 24시간 침지한 자귀나무 종자 크기변화(좌: 침지 전, 우: 침지 후) 123

〈그림 3-2-43〉 자귀나무 종자의 발아율 124

〈그림 3-2-44〉 24시간 침지한 싸리 종자 크기변화(좌: 침지 전, 우: 침지 후) 125

〈그림 3-2-45〉 24시간 침지시킨 후 종피를 제거한 싸리 종자 125

〈그림 3-2-46〉 24시간 침지한 비수리 종자 크기변화(좌: 침지 전, 우: 침지 후) 126

〈그림 3-2-47〉 24시간 침지한 비수리 종자의 발아율 127

〈그림 3-2-48〉 억새 종자의 치상 직후 127

〈그림 3-2-49〉 억새 종자의 파종 후... 127

〈그림 3-2-50〉 내종피까지 제거한 산벚나무 종자 128

〈그림 3-2-51〉 내종피를 제거한 산벚나무 종자의 발아율 변화 129

〈그림 3-2-52〉 내종피를 제거한 복장나무 종자의 파종직후(좌)와 3일 후(우) 사진 130

〈그림 3-2-53〉 내종피를 제거한 복장나무 종자의 발아율 130

〈그림 3-2-54〉 종자처리로 통한 발아력조기 검증 132

〈그림 3-2-55〉 붉나무 수집종 간 다형성을 보이는 PCR 결과 140

〈그림 3-2-56〉 참싸리 수집종 간 다형성을 보이는 PCR 결과 141

〈그림 3-2-57〉 물오리나무 수집종 간 다형성을 보이는 PCR 결과 142

〈그림 3-2-58〉 소나무 수집종 간 다형성을 보이는 PCR 결과 142

〈그림 3-2-59〉 단풍나무 수집종 간 다형성을 보이는 PCR 결과 143

〈그림 3-2-60〉 개쉬땅나무 수집종들의 PCR 결과 143

〈그림 3-2-61〉 붉나무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의 엽록체 145

〈그림 3-2-62〉 붉나무 양구수집종의 45S nrDNA 146

〈그림 3-2-63〉 붉나무 중국수입종자의 45S nrDNA 146

〈그림 3-2-64〉 psbK-psbI 기반 국내외 수집된 붉나무 8개체의 PCR 증폭 결과 147

〈그림 3-2-65〉 붉나무 8개체의 psbK-psbl 지역 서열 비교 147

〈그림 3-2-66〉 mvista 분석을 통한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의 엽록체 서열 비교 148

〈그림 3-2-67〉 붉나무의 양구수집종과 중국 수입종의 엽록체 기반 InDel 마커 개발 및 적용 149

〈그림 3-2-68〉 붉나무의 양구수집종과 중국수입종의 엽록체 기반 SNP 마커 개발지역 150

〈그림 3-2-69〉 붉나무 8개체에 rh_hrm_11 마커를 적용하여 HRM 분석을 수행한 결과 150

〈그림 3-2-70〉 psbI-psbK 지역을 이용한 단풍 polymorphism 확인 151

〈그림 3-2-71〉 rpoB 지역을 이용한 단풍나무 polymorphism 확인 151

〈그림 3-2-72〉 rpoC1 지역을 이용한 단풍나무 polymorphism 확인 152

〈그림 3-2-73〉 trnH-psbA 지역을 이용한 단풍나무 polymorphism 확인 152

〈그림 3-2-74〉 단풍나무 종들의 rpoB, rpoC1, trnH-psbA 서열 기반 계통도 153

〈그림 3-2-75〉 단풍나무(양구), 단풍나무(중국), 당단풍나무의 엽록체 155

〈그림 3-2-76〉 단풍나무 종들의 엽록체 서열 기반 계통도 156

〈그림 3-2-77〉 mvista을 이용한 양구, 중국, 당단풍나무, 중국단풍(A. buergerianum) 간 엽록... 157

〈그림 3-2-78〉 Acer_01 마커를 이용한 단풍나무 polymorphism 확인 158

〈그림 3-2-79〉 Acer_07 마커를 이용한 단풍나무(중국) 특이적인 amplicon 확인 159

〈그림 3-2-80〉 Acer_08 마커를 이용한 단풍나무(양구) 특이적인 amplicon 확인 159

〈그림 3-2-81〉 현지 채집 종자의 건조(양광건조 및 반음건조) 및 침수처리 166

〈그림 3-2-82〉 개쉬땅나무 종자의 정선 166

〈그림 3-2-83〉 물오리나무 종자의 정선 167

〈그림 3-2-84〉 산뽕나무 종자의 정선 167

〈그림 3-2-85〉 소형 종자탈망기를 이용한 종피 및 이물질 제거 168

〈그림 3-2-86〉 종자풍선기에 의한 이물질 제거 169

〈그림 3-2-87〉 단풍나무와 소나무의 정선 169

〈그림 3-2-88〉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내 저장실 온습도 175

〈그림 3-2-89〉 Millennium Seed Bank의 종자 저장 175

〈그림 3-2-90〉 단기 저장용 항온항습실(좌) 및 건조용 항온항습실(우) 전경 176

〈그림 3-2-91〉 단기 저장용(좌) 및 건조 숙성용(우) 항온항습실의 온습도 설정 177

〈그림 3-2-92〉 단기 저장용 항온항습실 및 건조 숙성용 항온항습실의 내부전경 177

〈그림 3-2-93〉 실내 묘포장 및 묘포장 내부 178

〈그림 3-2-94〉 실외 묘포장 전경 178

〈그림 3-2-95〉 자생식물을 이용한 비탈면의 생태복원녹화 실무 가이드라인 180

〈그림 3-2-96〉 종자코팅 전문가 회의 191

〈그림 3-2-97〉 종자코팅기 제작관련 미팅 192

〈그림 3-2-98〉 종자 피복물질 193

〈그림 3-2-99〉 접착제 polyvinyl alcohol(PVA) 193

〈그림 3-2-100〉 종자코팅 제조 195

〈그림 3-2-101〉 종자코팅 파종 및 배치 195

〈그림 3-2-102〉 건조 시 일부 갈라짐 현상 197

〈그림 3-2-103〉 물오리나무 종자코팅 198

〈그림 3-2-104〉 산뽕나무 종자코팅 198

〈그림 3-2-105〉 붉나무 종자코팅 199

〈그림 3-2-106〉 산벚나무 종자코팅 199

〈그림 3-2-107〉 종자팩 실험환경 조성 215

〈그림 3-2-108〉 종자팩 실험과정 및 조성 216

〈그림 3-2-109〉 테트라졸리움 실험 217

〈그림 3-2-110〉 일반환경(실외) 활력도 측정 218

〈그림 3-2-111〉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 활력도 측정(40℃, RH 70%) 219

〈그림 3-2-112〉 고온환경 활력도 측정(50℃) 220

〈그림 3-2-113〉 이동형 종자보관장비 도면 222

〈그림 3-2-114〉 소형 종자보관장비 223

〈그림 3-2-115〉 중형 종자보관장비 223

〈그림 3-2-116〉 복원용 식물 생산 225

〈그림 3-2-117〉 토양체와 토양단위체 226

〈그림 3-2-118〉 토양 생성인자간의 상호관계 227

〈그림 3-2-119〉 현지 토양의 채취 228

〈그림 3-2-120〉 토양 층위의 구분 228

〈그림 3-2-121〉 토양 단면 조사도구 229

〈그림 3-2-122〉 용적밀도와 수분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 채취 순서 230

〈그림 3-2-123〉 산중식 경도계를 이용한 토양 경도 측정 230

〈그림 3-2-124〉 토색 조사 방법 231

〈그림 3-2-125〉 촉감에 의한 토상 구분 방법 232

〈그림 3-2-126〉 DMZ 일원 현지 토양 채취 지점(양원도 양구군 펀치볼마을) 242

〈그림 3-2-127〉 임목파쇄집 및 상토 243

〈그림 3-2-128〉 기반재 혼합 재료 246

〈그림 3-2-129〉 실험구 설계 246

〈그림 3-2-130〉 공시재료의 준비 246

〈그림 3-2-131〉 재료의 혼합 및 취부 247

〈그림 3-2-132〉 실험구 조성 247

〈그림 3-2-133〉 총 개체수 전수조사 249

〈그림 3-2-134〉 초본 및 목본 발아개체수 251

〈그림 3-2-135〉 자연형 식생블럭 입체도 및 단면도 264

〈그림 3-2-136〉 1차 식생유기블록 제작 과정 265

〈그림 3-2-137〉 1차 식생유기블록 제작 과정 266

〈그림 3-2-138〉 상토 70%+황토 30% 비율의 CMC 변화에 따른 강도 267

〈그림 3-2-139〉 상토 50%+황토 50% 비율의 CMC 변화에 따른 강도 267

〈그림 3-2-140〉 상토 50% + 황토 50% + CMC 200g 268

〈그림 3-2-141〉 형태를 유지한 제품(좌) /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 제품(위) 268

〈그림 3-2-142〉 분상토와 황토를 이용한 단립화제 적용 실험 270

〈그림 3-2-143〉 상토와 황토 혼합토양에 단립화재료에 따른 제품 271

〈그림 3-2-144〉 식생유기블록의 종자 발아 272

〈그림 3-2-145〉 식생유기블록 실험시공 적용 273

〈그림 3-2-146〉 식생면네트 제작 과정 275

〈그림 3-2-147〉 제작 및 설치 276

〈그림 3-2-148〉 현지자원 활용할 수 있는 기기장비 제작 278

〈그림 3-2-149〉 토양 이화학성에 의한 훼손지(백두대간 보호구역 내 석회광산) 280

〈그림 3-2-150〉 식생면네트 제작 과정 281

〈그림 3-2-151〉 식생유기블록 제작 과정 282

〈그림 3-2-152〉 실험구 조성 과정 284

〈그림 3-2-153〉 실험구 조성 완료 285

〈그림 3-2-154〉 좌 : 시공직후 우 : 시공후 12개월 286

〈그림 3-2-155〉 표층부 유실에 의한 훼손지(백두대간 보호구역 내 석회광산) 291

〈그림 3-2-156〉 실험구 조성 292

〈그림 3-2-157〉 토양 시료 채취 297

〈그림 3-2-158〉 원지형 변형에 의한 훼손지(백두대간 보호구역 내 석회광산) 299

〈그림 3-2-159〉 시험시공지 전경 302

〈그림 3-2-160〉 식생쇠퇴 및 표층부유실의 훼손지(DMZ내) 304

〈그림 3-2-161〉 시험구 배치도 307

〈그림 3-2-162〉 질경이 활착율 및 피복도 평가 308

〈그림 3-2-163〉 산거울 활착율 및 피복도 평가 308

〈그림 3-2-164〉 순응적 관리 대상지(백두대간 보호구역 내 석회광산) 315

〈그림 3-2-165〉 조사구 설치 316

〈그림 3-2-166〉 50% 간벌 조사구의 수목 위치 320

〈그림 3-2-167〉 대조구(간벌 0%) 조사구의 수목 위치 324

〈그림 3-2-168〉 25% 간벌 조사구의 수목 위치 328

〈그림 5-1-1〉 SWOT 분석 35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3624 577.0951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3625 577.0951 -17-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