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관리천이 식생기반조성기술 및 물리성 개량장비개발 = Development of planting bed treatment technology and an equipment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of soil for managed succession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
청구기호
577 -17-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환경산업선진화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 3차년도
제어번호
MONO1201771765
주기사항
책등표제: 관리천이 식생기반조성기술 및 물리성 개량장비개발 최종보고서
총괄연구기관: (주)수프로
주관연구책임자: 윤택승
부록: 1. 훼손지 유형별 생태계 복원 가이드라인 ; 2. 훼손지 식재기반 정비 가이드라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29

1-1. 연구개발 목적 31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31

1-3. 연구개발 범위 37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1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57

3-1. 훼손지 유형별 생태계 복원 및 가이드라인 59

가. 연구개발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59

나.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62

다. 연구개발 결과 요약 76

3-2. 훼손지 유형별 현지자원활용 식재기반 조성기술 개발 76

가. 연구개발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76

나.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79

다. 연구개발 결과 요약 179

3-3. 관리천이용 수목 대량생산 기술 개발 180

가.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180

나.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182

다. 연구개발 결과 요약 265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267

4-1. 목표달성도 269

4-2. 관련분야 기여도 271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273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77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295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299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03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07

11. 기타사항 311

12. 참고문헌 315

부록 324

〈부록 1〉 훼손지 유형별 생태계 복원 가이드라인 325

〈부록 2〉 훼손지 식재기반 정비 가이드라인 812

〈표 2.1.1〉 토양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항목과 평가등급별 평가기준 43

〈표 2.1.2〉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평가항목과 평가등급별 평가기준 44

〈표 3.1.1〉 훼손지 유형별 기회 / 제한 요인 종합 70

〈표 3.2.1〉 생태계 유형 및 훼손원인별 조사지 주소 80

〈표 3.2.2〉 산림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물리성 85

〈표 3.2.3〉 산림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화학성 및 생물성 85

〈표 3.2.4〉 국내 농경지 및 산림 표토 화학성의 적합성 판단 기준 86

〈표 3.2.5〉 하천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물리성 89

〈표 3.2.6〉 하천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화학성 및 생물성 89

〈표 3.2.7〉 연안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물리성 91

〈표 3.2.8〉 연안생태계 훼손 전·후 표토의 화학성 및 생물성 91

〈표 3.2.9〉 국외 임목폐기물 활용 녹화기반재 관련연구 및 보고서 95

〈표 3.2.10〉 국내 임목폐기물 활용 녹화기반재 관련연구 및 보고서 95

〈표 3.2.11〉 균근의 종류 96

〈표 3.2.12〉 식생 제한요인, 출현사례, 식재상의 문제점 및 대책 97

〈표 3.2.13〉 국내의 식물 종류별 생육토심 103

〈표 3.2.14〉 일본의 규격 별 유효토층 두께 103

〈표 3.2.15〉 식재기반의 성립조건 104

〈표 3.2.16〉 식재기반의 표준 폭 105

〈표 3.2.17〉 9월 채취 참나무림 매토종자 출현식물 107

〈표 3.2.18〉 9월 채취 소나무림 매토종자 출현식물 108

〈표 3.2.19〉 11월 재취 참나무림 매토종자 출현식물 109

〈표 3.2.20〉 11월 채취 소나무림 매토종자 출현식물 110

〈표 3.2.21〉 표토관련 조경설계기준 및 조경공사표준시방서의 주요 내용 114

〈표 3.2.22〉 표토의 적합성 판단 기준 114

〈표 3.2.23〉 식재기반(조경용 비옥토)의적합성 판단 기준 115

〈표 3.2.24〉 임목폐기물 재활용 및 자원화 법률 116

〈표 3.2.25〉 임목폐기물 파쇄칩 현장 처리 시 작업 공정도 118

〈표 3.2.26〉 식생기반재의 취부 두께에 따른 파쇄칩 규격 118

〈표 3.2.27〉 토양개량 자재의 종류 119

〈표 3.2.28〉 퇴비의 토양개량 효과 120

〈표 3.2.29〉 무기질계 토양개량 자재의 효과와 대상 토양 121

〈표 3.2.30〉 주요 토양개량 자재 사용량(안)-조합사용(A+B) 121

〈표 3.2.31〉 주요 토양개량 자재 사용량(안)-단독사용 122

〈표 3.2.32〉 주요 토양미생물과 용도별 기작 123

〈표 3.2.33〉 소나무 이식 실험구 처리 125

〈표 3.2.34〉 졸참나무 이식 실험구 처리 125

〈표 3.2.35〉 공시식물 생육평가기준 126

〈표 3.2.36〉 소나무 이식 1년차의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물리성 127

〈표 3.2.37〉 소나무 이식 1년차의 대조구 및 실험구의 토양 화학성 127

〈표 3.2.38〉 졸참나무 이식 1년차의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물리성 130

〈표 3.2.39〉 졸참나무 이식 1년차의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화학성 130

〈표 3.2.40〉 소나무 이식 1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물리성의 식재기반 적합성 평가 133

〈표 3.2.41〉 소나무 이식 1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화학성의 식재기반 적합성 평가 133

〈표 3.2.42〉 졸참나무 이식 1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물리성의 식재기반 적합성 평가 134

〈표 3.2.43〉 졸참나무 이식 1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화학성의 식재기반 적합성 평가 135

〈표 3.2.44〉 식재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제원 136

〈표 3.2.45〉 유지관리와 유도관리 146

〈표 3.2.46〉 등산로 안내판 종류 149

〈표 3.2.47〉 시비량에 따른 참나무림 매토종자의 발아 154

〈표 3.2.48〉 시비량에 따른 소나무림 매토종자의 발아 156

〈표 3.2.49〉 소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의 토양 물리성 160

〈표 3.2.50〉 소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의 토양 화학성 160

〈표 3.2.51〉 졸참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의 토양 물리성 163

〈표 3.2.52〉 졸참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의 토양 화학성 163

〈표 3.2.53〉 소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식재기반 적합성 여부 166

〈표 3.2.54〉 졸참나무 이식 2년차 대조구 및 실험구 토양 식재기반 적합성 여부 167

〈표 3.2.55〉 물리성 개량장비 개선 항목 및 내용 168

〈표 3.2.56〉 물리성 개량장비의 기존기술과의 비교 170

〈표 3.2.57〉 표토 집적깊이별 매토종자 발아현황 172

〈표 3.2.58〉 테스트베드 식재기반 구성 및 배합비 176

〈표 3.2.59〉 테스트베드 식재기반의 기술적용 전·후 평가 176

〈표 3.2.60〉 논경작 훼손지 식재기반 개량 전·후 평가 179

〈표 3.3.1〉 설문항목별 응답빈도 상위의 주요 수종과 본 과제 실험대상 선정 수종 183

〈표 3.3.2〉 종자 채취 시기 및 장소 183

〈표 3.3.3〉 Length, width, length/width ratio and weight of Styrax japonicus seed 186

〈표 3.3.4〉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Styrax japonicus 187

〈표 3.3.5〉 Length, width, length/width ratio and weight of Quercus acutissima seed 187

〈표 3.3.6〉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Quercus acutissima 188

〈표 3.3.7〉 Length, width, length/width ratio and weight of Quercus serrata seed 188

〈표 3.3.8〉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Quercus serrata 189

〈표 3.3.9〉 Length, width, thickness, length/width ratio, length/thickness ratio, thickness/width ratio and weight of Carpinus laxiflora seed 189

〈표 3.3.10〉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Carpinus laxiflora 190

〈표 3.3.11〉 Length, width, length/width ratio and weight of Quercus glauca seed 190

〈표 3.3.12〉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Quercus glauca 190

〈표 3.3.13〉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haracters of Quercus glauca seed 191

〈표 3.3.14〉 Length, width, length/width ratio and weight of Cinnamomum camphora fruit and seed 192

〈표 3.3.15〉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Cinnamomum camphora 192

〈표 3.3.16〉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haracters of Cinnamomum camphora fruit and seed 192

〈표 3.3.17〉 Weight of Camellia japonica seed collected in 2014 193

〈표 3.3.18〉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Camellia japonica seed collected in 2014 193

〈표 3.3.19〉 Several main characters of Pinus thunbergii seed 194

〈표 3.3.20〉 Distribution of seed weight in Pinus thunbergii 194

〈표 3.3.21〉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haracters of Pinus thunbergii seed 195

〈표 3.3.22〉 Distribution of seed weight according to individual tree of Styrax japonica 196

〈표 3.3.23〉 Distribution of weight, length, weight and length/width ratio in Camellia japonica fruit collected in 2015 197

〈표 3.3.24〉 Variation of seed numbers according to the fruit weight of Camellia japonica collected in 2015 198

〈표 3.3.25〉 Variation of fruit size and seed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ed per fruit of Camellia japonica collected in 2015 198

〈표 3.3.26〉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haracters of Camellia japonica fruit 199

〈표 3.3.27〉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Quercus glauca according to seed weight 200

〈표 3.3.28〉 Germination rate of Camellia japonica according to seed weight during the storage in ground 200

〈표 3.3.29〉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glauca seedlings according to seed weight after first grown season 201

〈표 3.3.30〉 Growth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seedlings according to seed weight after first grown season 202

〈표 3.3.31〉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according to seed weight and storage period at room temperature condition 204

〈표 3.3.32〉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according to seed weight and storage period at 4℃ dry storage condition 204

〈표 3.3.33〉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according to seed weight and storage period at 4℃ wet sand storage condition 205

〈표 3.3.34〉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according to seed weight and storage period at 4℃ wet filter paper storage condition 206

〈표 3.3.35〉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acutissima seedlings according to container size after first grown season 207

〈표 3.3.36〉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glauca seedlings according to nursing soil to 24 cells container after first grown season 208

〈표 3.3.37〉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glauca seedlings according to nursing soil to 15 cells container after first grown season 209

〈표 3.3.38〉 노지재배 및 컨테이너재배의 특성 211

〈표 3.3.39〉 노지재배 및 컨테이너재배의 장단점 212

〈표 3.3.40〉 수종별 유묘형태와 식재수목 크기 221

〈표 3.3.41〉 4L 컨테이너 수목의 생장상황 223

〈표 3.3.42〉 수종별 연간 생장량 228

〈표 3.3.43〉 뿌리발달 촉진용 4L 특수 컨테이너 상세설명 233

〈표 3.3.44〉 시설양묘용 비닐온실의 형태 및 규격 234

〈표 3.3.45〉 컨테이너를 이용한 수목 재배 방식의 구분 243

〈표 3.3.46〉 식생복원 현장적용 테스트 식재수목의 생장상황 245

〈표 3.3.47〉 생장단계별 컨테이너 수목 생산체계 247

〈표 3.3.48〉 원예특작시설의 단동비닐온실 규격 및 설계강도 248

〈표 3.3.49〉 원예특작시설의 지역별 내재해 설계기준 적설심 및 풍속 248

〈표 3.3.50〉 생산자 및 수요자 관점의 컨테이너 수목 생산 장·단점 264

〈표 6.1.1〉 동경항야조공원 목표생물종별 환경관리방법 280

〈그림 1.2.1〉 산림훼손지의 복원 방향 33

〈그림 1.2.2〉 수변훼손지의 복원 방향 34

〈그림 1.3.1〉 훼손지 관리천이 식생복원의 전체 기술구성도 38

〈그림 1.3.2〉 훼손지 유형별 생태계 복원 및 가이드라인 개발체계도 38

〈그림 1.3.3〉 훼손지 유형별 현지자원활용 식재기반 조성기술 개발체계도 39

〈그림 1.3.4〉 관리천이용 수목 대량생산기술 개발체계도 40

〈그림 3.1.1〉 훼손지 유형화 및 현장실태조사 공간적 범위 60

〈그림 3.1.2〉 산림생태축 주요 단절 요인 62

〈그림 3.1.3〉 하천생태축 주요 단절 요인 63

〈그림 3.1.4〉 해안 네트워크의 주요 단절 요인 64

〈그림 3.1.5〉 훼손지 유형 65

〈그림 3.1.6〉 1차 훼손지의 전·후 비교 66

〈그림 3.1.7〉 2차 훼손지의 전·후 비교 67

〈그림 3.1.8〉 3차 훼손지의 전·후 비교 67

〈그림 3.1.9〉 4차 훼손지의 전·후 비교 68

〈그림 3.2.1〉 산림생태계 등산로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86

〈그림 3.2.2〉 산림생태계 등산로 훼손지역 표토 평가 86

〈그림 3.2.3〉 산림생태계 밤나무림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87

〈그림 3.2.4〉 산림생태계 밤나무림 훼손지역 표토 평가 87

〈그림 3.2.5〉 산림생태계 밭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87

〈그림 3.2.6〉 산림생태계 밭 훼손지역 표토 평가 87

〈그림 3.2.7〉 산림생태계 채석장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88

〈그림 3.2.8〉 산림생태계 채석장 훼손지역 표토 평가 88

〈그림 3.2.9〉 하천생태계 논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90

〈그림 3.2.10〉 하천생태계 논 훼손지역 표토 평가 90

〈그림 3.2.11〉 하천생태계 주거지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90

〈그림 3.2.12〉 하천생태계 주거지 훼손지역 표토 평가 90

〈그림 3.2.13〉 연안생태계 야영지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92

〈그림 3.2.14〉 연안생태계 야영지 훼손지역 표토 평가 92

〈그림 3.2.15〉 연안생태계 오토캠프장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93

〈그림 3.2.16〉 연안생태계 오토캠프장 훼손지역 표토 평가 93

〈그림 3.2.17〉 연안생태계 해안건축물 주변 자연지역 표토 평가 93

〈그림 3.2.18〉 연안생태계 해안건축물 훼손지역 표토 평가 93

〈그림 3.2.19〉 식재기반의 조성 및 정비과정 100

〈그림 3.2.20〉 식재기반 정비공법의 종류 100

〈그림 3.2.21〉 국내 토양개량기술 특허 분석 101

〈그림 3.2.22〉 국내 토양개량제 종류별 특허 분석 101

〈그림 3.2.23〉 일본의 기술요소별 토양개량 특허 분석 102

〈그림 3.2.24〉 일본의 재료별 토양개량제 특허 분석 102

〈그림 3.2.25〉 식재수목의 종류별 유효토층 두께 개념도 104

〈그림 3.2.26〉 식재기반의 단면 모식도 104

〈그림 3.2.27〉 매토종자 채취 장소 105

〈그림 3.2.28〉 매토종자 샘플채취 방법 106

〈그림 3.2.29〉 매토종자 발아실험 106

〈그림 3.2.30〉 9월 채취 참나무림 매토종자 출현 현황 107

〈그림 3.2.31〉 9월 채취 소나무림 매토종자 출현 현황 108

〈그림 3.2.32〉 11월 채취 참나무림 매토종자 출현 현황 109

〈그림 3.2.33〉 11월 채취 소나무림 매토종자 출현 현황 110

〈그림 3.2.34〉 식재 시 사용되는 장비의 분류 111

〈그림 3.2.35〉 소나무 생장에 따른 수고 변화(1년차) 128

〈그림 3.2.36〉 소나무 생장에 따른 근원경 변화(1년차) 128

〈그림 3.2.37〉 소나무 생육평가지표 변화(1년차) 129

〈그림 3.2.38〉 졸참나무 생장에 따른 수고 변화(1년차) 131

〈그림 3.2.39〉 졸참나무 생장에 따른 근원경 변화(1년차) 132

〈그림 3.2.40〉 졸참나무 생육평가지표 변화(1년차) 132

〈그림 3.2.41〉 현장토양 분류 과정의 원리 136

〈그림 3.2.42〉 식재기반 물리성 개량 장비 부위별 상세 137

〈그림 3.2.43〉 식재기반 물리성 개량 장비 139

〈그림 3.2.44〉 물리성 개량 장비 1차 테스트 과정 140

〈그림 3.2.45〉 물리성 개량 장비 1차 테스트 문제점 141

〈그림 3.2.46〉 물리성 개량 장비 1차 테스트 후 개선사항 141

〈그림 3.2.47〉 물리성 개량 장비 2차 테스트-스크린 30° 143

〈그림 3.2.48〉 물리성 개량 장비 2차 테스트-스크린 20° 143

〈그림 3.2.49〉 물리성 개량 장비 3차 테스트 144

〈그림 3.2.50〉 식재기반 물리성 개량 장비 시작품 145

〈그림 3.2.51〉 자연천이와 유도관리에 의한 관리천이의 차이 151

〈그림 3.2.52〉 유도관리의 목표 151

〈그림 3.2.53〉 유도관리의 기본 원칙 151

〈그림 3.2.54〉 유도관리의 장점 152

〈그림 3.2.55〉 유도관리 식재기법(안) 152

〈그림 3.2.56〉 시비량에 따른 참나무림 매토종자의 발아 및 초기생장 155

〈그림 3.2.57〉 시비량에 따른 소나무림 매토종자의 발아 및 초기생장 157

〈그림 3.2.58〉 토양수분이 매토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 158

〈그림 3.2.59〉 소나무 생장에 따른 수고변화 161

〈그림 3.2.60〉 소나무 수고 변화량 161

〈그림 3.2.61〉 소나무 생장에 따른 흉고지름 변화 161

〈그림 3.2.62〉 소나무 흉고지름 변화량 161

〈그림 3.2.63〉 소나무 생장에 따른 수목생육평가지표 변화 162

〈그림 3.2.64〉 소나무 수목생육평가지표 변화량 162

〈그림 3.2.65〉 졸참나무 생장에 따른 수고 변화 164

〈그림 3.2.66〉 졸참나무 수고 변화량 164

〈그림 3.2.67〉 졸참나무 생장에 따른 흉고지름 변화 164

〈그림 3.2.68〉 졸참나무 흉고지름 변화량 164

〈그림 3.2.69〉 졸참나무 생장에 따른 수목생육평가지표 변화 165

〈그림 3.2.70〉 졸참나무 수목생육평가지표 변화량 165

〈그림 3.2.71〉 물리성 개량장비의 현장적용 문제점 168

〈그림 3.2.72〉 물리성 개량장비 개선사항 168

〈그림 3.2.73〉 물리성 개량장비 개선 후 성능평가 169

〈그림 3.2.74〉 식생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국내 특허 등록증 170

〈그림 3.2.75〉 매토종자 집적에 따른 온습도 변화 실험 171

〈그림 3.2.76〉 표토집적 깊이에 따른 평균온도 변화 172

〈그림 3.2.77〉 표토집적 깊이에 따른 평균습도 변화 172

〈그림 3.2.78〉 경산자연마당사업 시범현장 구축 대상지 173

〈그림 3.2.79〉 식재기반 조성 과정 174

〈그림 3.2.80〉 식재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운용 과정 174

〈그림 3.2.81〉 경산자연마당사업지 내 테스트베드 구축 과정 175

〈그림 3.2.82〉 경산자연마당사업지 내 테스트베드 구축 후 초본류 변화 177

〈그림 3.2.83〉 논경작 훼손지 식재기반 개량 과정 178

〈그림 3.3.1〉 연구대상 채취 종자의 형태 184

〈그림 3.3.2〉 동백나무 열매 크기의 다양성 196

〈그림 3.3.3〉 수목의 재배형태 210

〈그림 3.3.4〉 Valley Crest Tree Company의 Quercus agrifolia 컨테이너 재배 215

〈그림 3.3.5〉 Byland Nurseries Ltd.의 컨테이너 지상재배 217

〈그림 3.3.6〉 Byland Nurseries Ltd.의 이중컨테이너 지중재배 217

〈그림 3.3.7〉 컨테이너 유묘의 적응성 구명 대상 용기 220

〈그림 3.3.8〉 수종별 컨테이너 적응성 222

〈그림 3.3.9〉 4L 컨테이너 종가시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3

〈그림 3.3.10〉 4L 컨테이너 녹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4

〈그림 3.3.11〉 4L 컨테이너 상수리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4

〈그림 3.3.12〉 4L 컨테이너 졸참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5

〈그림 3.3.13〉 4L 컨테이너 굴참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6

〈그림 3.3.14〉 4L 컨테이너 때죽나무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6

〈그림 3.3.15〉 4L 컨테이너 해송의 지상부 및 지하부(뿌리) 생장 227

〈그림 3.3.16〉 Whitcomb system 및 생장 단계별 세근발달 촉진용 컨테이너 적용 사례 229

〈그림 3.3.17〉 공기단근 효과의 과정 231

〈그림 3.3.18〉 나선형 뿌리의 사례 232

〈그림 3.3.19〉 실험용 비닐온실 내·외부 전경 235

〈그림 3.3.20〉 관·시비 시설의 사례 236

〈그림 3.3.21〉 규격별 특수 컨테이너의 종류 237

〈그림 3.3.22〉 컨테이너 재배용 배합토 준비 사례 238

〈그림 3.3.23〉 다양한 전도방지 방법 240

〈그림 3.3.24〉 방풍망 사례 240

〈그림 3.3.25〉 전도방지용 컨테이너 고정고리의 평면도 및 투시도 241

〈그림 3.3.26〉 전도방지용 컨테이너 고정고리를 이용한 배치 예시 242

〈그림 3.3.27〉 위치에 따른 컨테이너재배 방식 243

〈그림 3.3.28〉 조밀배치와 이격배치 사례 244

〈그림 3.3.29〉 컨테이너 수목의 식생복원 현장적용 테스트 245

〈그림 3.3.30〉 비닐온실 설치 과정 249

〈그림 3.3.31〉 1단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의 종자파종 및 유묘형성기 252

〈그림 3.3.32〉 1단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의 빠른생육기 253

〈그림 3.3.33〉 상수리나무 노지재배의 종자파종 및 생장모니터링 253

〈그림 3.3.34〉 상수리나무 컨테이너묘와 노지묘의 뿌리발달 비교 254

〈그림 3.3.35〉 2단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 구축 255

〈그림 3.3.36〉 3단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 구축 255

〈그림 3.3.37〉 4단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 구축 256

〈그림 3.3.38〉 생장단계별 컨테이너 수목 대량생산체계 구축평면도 257

〈그림 3.3.39〉 식생복원 시범현장 컨테이너 수목 식재 258

〈그림 3.3.40〉 식생복원 시범현장 관리 및 모니터링 258

〈그림 3.3.41〉 테스트베드 컨테이너 수목 식재 후 시간경과에 따른 현장적응력 변화 259

〈그림 3.3.42〉 경산자연마당 조성사업지 테스트베드 식생복원 확인서 259

〈그림 3.3.43〉 비닐온실의 묘목 생산 배치계획도 261

〈그림 3.3.44〉 비닐온실의 중간목(대묘) 생산 배치계획도 262

〈그림 3.3.45〉 야외생육시설의 중·소형 수목 생산 배치계획도 263

〈그림 3.3.46〉 야외생육시설의 중·대형 수목 생산 배치사례 264

〈그림 6.1.1〉 동경항야조공원 환경관리 설명판 281

〈그림 6.1.2〉 갸자리아비오가든 282

〈그림 6.1.3〉 바다의숲공원 식재기반 283

〈그림 6.1.4〉 바다의숲공원 식생조성 284

〈그림 6.1.5〉 오오테모리 284

〈그림 6.2.1〉 우치야마녹지건설 기미츠그린센타(기업양묘장) 현지자문 286

〈그림 6.2.2〉 환경보전을 고려한 기미츠그린센타 조성 287

〈그림 6.2.3〉 우치야마녹지건설 기미츠그린센타의 수목 생산 287

〈그림 6.2.4〉 그린시시쿠라 수목 생산 및 유통 290

〈그림 6.2.5〉 관상원녹화 노지 및 컨테이너 수목생산 29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3632 577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3633 577 -17-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