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훼손지 유형별 복원재료의 생장 반응 해석 = Analysis of growth and ecophysiological properties of indigenous plants for ecological restoration / 환경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환경부 ;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
청구기호
577 -17-1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vii, 347 p.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72087
주기사항
총괄연구기관명: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심상인
부록: 건조피해지 복원 소재 매뉴얼용 생장특성표 ; 염해피해지 복원 소재 매뉴얼용 생장특성표
참고문헌: p. 333-338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서

요약문

SUMMARY(영문요약문)

목차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0

1-1. 연구개발 목적 42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42

1-3. 연구개발 범위 44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6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48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52

3.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56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58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60

I. 1년차 결과: 복원 소재 발아 및 초기 유묘 반응 60

II. 2년차 결과: 훼손지 유형별(건조지) 복원재료의 선발 및 생장 반응 조사 113

III. 3년차 결과: 염해지 복원재료의 생장 반응 조사 142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333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336

4-1. 목표달성도 338

4-2. 관련분야 기여도 338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340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44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348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352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356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360

11. 기타사항 365

12. 참고문헌 369

부록 378

건조피해지 복원 소재 매뉴얼용 생장특성표 380

〈표 I.1.1〉 복원소재 식물의 발아율 1 62

〈표 I.1.2〉 복원소재 식물별 발아율 2 63

〈표 I.1.3〉 25℃/15℃에서 배양 7일 후의 발아율 64

〈표 I.1.4〉 25℃/15℃에서 배양 7일 후의 지상부(초엽) 길이 65

〈표 I.1.5〉 25℃/15℃에서 배양 7일 후의 지하부(유근) 길이 65

〈표 I.1.6〉 낮은 수분퍼텐셜 하에서 21일차 초장(생장률) 70

〈표 I.1.7〉 단자엽 식물종들의 삼투압 처리에 따른 생장 변화 71

〈표 I.1.8〉 지상부 생체중(%; 각 0bar의 생체중을 분모로 백분율로 나타냄) 72

〈표 I.1.9〉 지하부생체중(%; 각 0bar의 생체중을 분모로 백분율로 나타냄) 73

〈표 I.1.10〉 지상부건물중(%; 각 0bar의 건물중을 분모로 백분율로 나타냄) 74

〈표 I.1.11〉 지하부건물중(%; 각 0bar의 건물중을 분모로 백분율로 나타냄) 75

〈표 I.1.12〉 지상부 생체중(단자엽식물) 77

〈표 I.1.13〉 지하부 생체중(단자엽식물) 77

〈표 I.1.14〉 지상부 건물중(단자엽식물) 77

〈표 I.1.15〉 지하부 건물중(단자엽식물) 77

〈표 I.1.16〉 14일차 엽록소 형광(0 bar의 처리 대비 백분율, %) 78

〈표 I.1.17〉 21일차 엽록소 형광(0 bar의 처리 대비 백분율, %) 78

〈표 I.1.18〉 14일차 엽록소형광(단자엽식물) 79

〈표 I.1.19〉 21일차 엽록소형광(단자엽식물) 79

〈표 I.1.20〉 고삼투압 처리에서 21일차 초장(생장률) 82

〈표 I.1.21〉 고삼투압 처리에서 쌍자엽식물의 초장 반응 88

〈표 I.1.22〉 14일차 엽록소 형광 억제도 96

〈표 I.1.23〉 21일차 엽록소 형광 억제도 97

〈표 I.1.24〉 14일차 엽록소형광(Fv/Fm) 98

〈표 I.1.25〉 21일차 엽록소형광(Fv/Fm) 99

〈표 I.1.26〉 지상부생체중 억제도 102

〈표 I.1.27〉 지상부 건물중 억제도 103

〈표 I.1.28〉 지하부 생체중 억제도 104

〈표 I.1.29〉 지하부건물중 105

〈표 I.1.30〉 지하부 생체중 106

〈표 I.1.31〉 지상부 건물중 107

〈표 I.1.32〉 지상부 생체중 108

〈표 I.1.33〉 지하부 건물중 109

〈표 II.1.1〉 이식 18일차 복원재료별 생육 조사를 가장 높을 값을 100%로 환산한 수치 119

〈표 II.1.2〉 과습 조건하에서 14종의 생육 평균 122

〈표 II.1.3〉 적습 조건하에서 14종의 생육 평균 123

〈표 II.1.4〉 약건 조건하에서 14종의 생육 평균 124

〈표 II.2.1〉 강건 조건하에서 14종의 생육 평균 127

〈표 II.2.2〉 스트레스 10일차 복원재료별 생육 조사를 가장 높을 값을 100%로 환산한 수치 128

〈표 II.2.3〉 스트레스 10일차 복원재료별 생육 조사 결과 138

〈표 II.2.4〉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복원재료의 열역학 이미지 및 온도 140

〈표 III.1.1〉 처리 14일차 사초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43

〈표 III.1.2〉 0mM NaCl 조건에서 사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43

〈표 III.1.3〉 50mM NaCl 조건에서 사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43

〈표 III.1.4〉 200mM NaCl 조건에서 사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44

〈표 III.1.5〉 처리 14일차 화본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48

〈표 III.1.6〉 0mM NaCl 조건에서 화본과의 100% 환산시 생육 평균 149

〈표 III.1.7〉 50mM NaCl 조건에서의 화본과의 생육 평균 149

〈표 III.1.8〉 200mM NaCl 조건에서의 화본과의 생육 평균 150

〈표 III.1.9〉 처리 14일차 국화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56

〈표 III.1.10〉 0mM NaCl 조건에서 국화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57

〈표 III.1.11〉 50mM NaCl 조건에서 국화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57

〈표 III.1.12〉 200mM NaCl 조건에서 국화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58

〈표 III.1.13〉 처리 14일차 콩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62

〈표 III.1.14〉 0mM NaCl 조건에서 콩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3

〈표 III.1.15〉 50mM NaCl 조건에서 콩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3

〈표 III.1.16〉 200mM NaCl 조건에서 콩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3

〈표 III.1.17〉 처리 14일차 돌나물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67

〈표 III.1.18〉 0mM NaCl 조건에서 돌나물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7

〈표 III.1.19〉 50mM NaCl 조건에서 돌나물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8

〈표 III.1.20〉 200mM NaCl 조건에서 돌나물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68

〈표 III.1.21〉 처리 14일차 석죽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71

〈표 III.1.22〉 0mM NaCl 조건에서 석죽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2

〈표 III.1.23〉 50mM NaCl 조건에서 석죽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2

〈표 III.1.24〉 200mM NaCl 조건에서 석죽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2

〈표 III.1.25〉 처리 14일차 미나리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76

〈표 III.1.26〉 0mM NaCl 조건에서 미나리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6

〈표 III.1.27〉 50mM NaCl 조건에서 미나리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7

〈표 III.1.28〉 200mM NaCl 조건에서 미나리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77

〈표 III.1.29〉 처리 14일차 방동사니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81

〈표 III.1.30〉 0mM NaCl 조건에서 방동사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2

〈표 III.1.31〉 50mM NaCl 조건에서 방동사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2

〈표 III.1.32〉 200mM NaCl 조건에서 방동사니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2

〈표 III.1.33〉 처리 14일차 부처꽃과 식물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85

〈표 III.1.34〉 0mM NaCl 조건에서 부처꽃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6

〈표 III.1.35〉 50mM NaCl 조건에서 부처꽃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6

〈표 III.1.36〉 200mM NaCl 조건에서 부처꽃과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86

〈표 III.1.37〉 처리 14일차 기타과 별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91

〈표 III.1.38〉 0mM NaCl 조건에서 기타과 종들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92

〈표 III.1.39〉 50mM NaCl 조건에서 기타과 종들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92

〈표 III.1.40〉 200mM NaCl 조건에서 기타과 종들의 100% 환산시 생육정도 193

〈표 III.1.41〉 처리 14일차, 단자엽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198

〈표 III.1.42〉 처리 14일차, 쌍자엽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200

〈표 III.1.43〉 처리 14일차, 염해지 복원재료별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203

〈표 III.1.44〉 염해 복원재료의 고염(200mM NaCl) 처리구에서 내성 순위 207

〈표 III.2.1〉 처리 14일차 붓꽃과 식물 생육 조사 222

〈표 III.2.2〉 -0.05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붓꽃과와의 생육 평균 223

〈표 III.2.3〉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붓꽃과와의 생육 평균 223

〈표 III.2.4〉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붓꽃과와의 생육 평균 223

〈표 III.2.5〉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붓꽃과와의 생육 평균 224

〈표 III.2.6〉 처리 14일차 백합과 식물 생육 조사 227

〈표 III.2.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백합과의 생육 평균 228

〈표 III.2.8〉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백합과의 생육 평균 228

〈표 III.2.9〉 -0.1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백합과의 생육 평균 229

〈표 III.2.10〉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백합과의 생육 평균 229

〈표 III.2.11〉 처리 14일차 국화과 식물 생육 조사 234

〈표 III.2.12〉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국화과의 생육 평균 236

〈표 III.2.13〉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국화과의 생육 평균 237

〈표 III.2.14〉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국화과의 생육 평균 238

〈표 III.2.15〉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국화과의 생육 평균 239

〈표 III.2.16〉 처리 14일차 화본과 식물 생육 조사 248

〈표 III.2.1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화본과의 생육 평균 250

〈표 III.2.18〉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화본과의 생육 평균 250

〈표 III.2.19〉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화본과와의 생육 평균 251

〈표 III.2.20〉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화본과의 생육 평균 251

〈표 III.2.21〉 처리 14일차 콩과 식물 생육 조사 256

〈표 III.2.22〉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콩과의 생육 평균 257

〈표 III.2.23〉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콩과의 생육 평균 257

〈표 III.2.24〉 -0.1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콩과의 생육 평균 257

〈표 III.2.25〉 -0.2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콩과의 생육 평균 258

〈표 III.2.26〉 처리 14일차 미나리아재비과 식물 생육 조사 261

〈표 III.2.2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미나리아재비과의 생육 평균 261

〈표 III.2.28〉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미나리아재비과의 생육 평균 262

〈표 III.2.29〉 -0.1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미나리아재비과의 생육 평균 262

〈표 III.2.30〉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미나리아재비과의 생육 평균 262

〈표 III.2.31〉 처리 14일차 마타리과 식물 생육 조사 266

〈표 III.2.32〉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마타리과의 생육 평균 267

〈표 III.2.33〉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마타리과의 생육 평균 267

〈표 III.2.34〉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마타리과의 생육 평균 267

〈표 III.2.35〉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마타리과의 생육 평균 268

〈표 III.2.36〉 처리 14일차 장미과 식물 생육 조사 271

〈표 III.2.3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장미과와의 생육 평균 271

〈표 III.2.38〉 -0.05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장미과와의 생육 평균 272

〈표 III.2.39〉 -0.1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장미과와의 생육 평균 272

〈표 III.2.40〉 -0.2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장미과와의 생육 평균 272

〈표 III.2.41〉 처리 14일차 꿀풀과 식물 생육 조사 276

〈표 III.2.42〉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꿀풀과의 생육 평균 277

〈표 III.2.43〉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꿀풀과의 생육 평균 277

〈표 III.2.44〉 -0.1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꿀풀과의 생육 평균 277

〈표 III.2.45〉 -0.2MPa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꿀풀과의 생육 평균 278

〈표 III.2.46〉 처리 14일차 돌나물과 식물 생육 조사 281

〈표 III.2.4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돌나물과의 생육 평균 282

〈표 III.2.48〉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돌나물과의 생육 평균 282

〈표 III.2.49〉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돌나물과의 생육 평균 282

〈표 III.2.50〉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돌나물과의 생육 평균 283

〈표 III.2.51〉 처리 14일차 사초과 식물 생육 조사 286

〈표 III.2.52〉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사초과와의 생육 평균 287

〈표 III.2.53〉 -0.05MPa 건조처리조건에서의 사초과와의 생육 평균 287

〈표 III.2.54〉 -0.1MPa 건조처리조건에서의 사초과와의 생육 평균 287

〈표 III.2.55〉 -0.2MPa 건조처리조건에서의 사초과와의 생육 평균 288

〈표 III.2.56〉 처리 14일차 산토끼꽃과 식물 생육 조사 291

〈표 III.2.57〉 0MPa(Control) 건조 정도 조건에서의 산토끼꽃과의 생육 평균 292

〈표 III.2.58〉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산토끼꽃과의 생육 평균 292

〈표 III.2.59〉 -0.1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산토끼꽃과의 생육 평균 292

〈표 III.2.60〉 -0.2 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산토끼꽃과의 생육 평균 293

〈표 III.2.61〉 처리 14일차 기타과 복원 재료의 생육. 최대 생육 값의 비율 297

〈표 III.2.62〉 0MPa(Control) 건조 조건에서의 기타과 식물들의 생육 평균 298

〈표 III.2.63〉 -0.05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기타과 식물들의생육 평균 298

〈표 III.2.64〉 -0.1MPa 건조 조건에서의 기타과 식물들의 생육 평균 299

〈표 III.2.65〉 -0.2MPa 건조처리 조건에서의 기타과 식물들의 생육 평균 299

〈표 III.2.66〉 처리 14일차 단자엽별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304

〈표 III.2.67〉 처리 14일차 쌍자엽별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307

〈표 III.2.68〉 처리 14일차, 건조지 복원재료별 생장 조사 중 가장 높은 값을 100%으로 환산한 수치 312

〈표 III.2.69〉 건조 복원재료의 강건조(-0.2MPa) 처리구에서 내성 순위 320

〈그림 I.1.1〉 1차 발아조사(A; 가막사리, B; 강피)는 77종을 대상으로 3반복 발아조사... 61

〈그림 I.1.2〉 발아 후 정식 전 가식 상태 66

〈그림 I.1.3〉 이식 후 처리 2주 후 식물종 67

〈그림 I.1.4〉 처리 21일차 생장률(%), A;0, -0.5, -1.0, -2.0bar, B; -2.0bar. 70

〈그림 I.1.5〉 처리 21일차 지상부 생체중(%), A;0, -0.5, -1.0, -2.0bar, B;-1.0, -2.0bar 73

〈그림 I.1.6〉 삼투압 처리 21일차 지하부 생체중(%), A;0, -0.5, -1.0, -2.0bar, B;-1.0, -2.0bar 74

〈그림 I.1.7〉 건조 조건(고삼투압 처리)에서 21 일차 지상부 건물중(%), A;0, -0.5, -1.0, -2.0bar, B;-1.0, -2.0bar 75

〈그림 I.1.8〉 건조 조건(고삼투압 처리)에서 21일차 지하부 건물중(%), A;0, -0.5, -1.0, -2.0bar, B;-1.0, -2.0bar 76

〈그림 I.1.9〉 육안 조사시 가장 생육이 저조한 2종(나도생강, 큰김의털)과 생육이 우수한... 80

〈그림 I.1.10〉 고삼투압 처리에 대한 식물종들의 반응 87

〈그림 I.1.11〉 고삼투압 조건 하에서 육안으로 생육이 저조했던 쌍떡잎 복원 재료 94

〈그림 I.1.12〉 고삼투압 조건 하에서 육안으로 생육이 우수했던 쌍떡잎 복원 재료 95

〈그림 I.1.13〉 지하부 건물중. 한발처리 직전(0DAY)의 포트 사진... 110

〈그림 I.1.14〉 한국잔디의 proteome 분석을 위한 2차원 전기영동. 무처리(A;0bar)와... 111

〈그림 I.1.15〉 고삼투압 처리 직전(0 DAY)의 포트 사진(좌측부터... 112

〈그림 II.1.1〉 실험실에서 제작한 경사토주시스템 실 모형 113

〈그림 II.1.2〉 복원재료별 초장(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4

〈그림 II.1.3〉 복원재료별 기공전도도(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5

〈그림 II.1.4〉 복원재료별 엽록소형광 반응(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5

〈그림 II.1.5〉 복원재료의 지상부 생체중(좌상), 지하부 생체중(우상), 지상부 건물중(좌하), 지하부... 116

〈그림 II.1.6〉 복원재료별 지하부 생체중(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7

〈그림 II.2.7〉 복원재료별 지상부 생체중(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7

〈그림 II.2.8〉 복원재료별 지상부 건물중(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8

〈그림 II.2.9〉 복원재료별 지하부 건물중(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18

〈그림 II.2.1〉 경사토주시스템으로 생육 중인 복원재료(A;과습, B;적습, C;약건, D;강건) 130

〈그림 II.2.2〉 경사토주시스템에 이식 18일 이후의 복원재료의 생육 이미지 131

〈그림 II.2.3〉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초장(PH;Plant Hieght) 132

〈그림 II.2.4〉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기공전도도(SC;Stomatal Conductance) 133

〈그림 II.2.5〉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엽록소형광(CF;Chlorophyll Fluorescence) 134

〈그림 II.2.6〉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135

〈그림 II.2.7〉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FW;/fresh...) 136

〈그림 II.2.8〉 강한발, 강염 조건 하에서 복원재료의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중(DW;Dry Weight) 137

〈그림 III.1.1〉 사초과 식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144

〈그림 III.1.2〉 사초과 식물의 염 농도별 생장 변화 144

〈그림 III.1.3〉 사초과 식물의 염 농도별 저해도 145

〈그림 III.1.4〉 좀보리 사초의 염 농도별 NDVI 변화 145

〈그림 III.1.5〉 사초과의 염 농도별 엽록소 형광 변화 145

〈그림 III.1.6〉 사초과의 염 농도별 기공전도도 변화 146

〈그림 III.1.7〉 사초과의 염 농도별 엽록소 함량 변화 146

〈그림 III.1.8〉 사초과 식물 열상 이미지 146

〈그림 III.1.9〉 화본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150

〈그림 III.1.10〉 화본과의 염 농도별 생장 변화 151

〈그림 III.1.11〉 화본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151

〈그림 III.1.12〉 화본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 변화 152

〈그림 III.1.13〉 화본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152

〈그림 III.1.14〉 화본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53

〈그림 III.1.15〉 화본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153

〈그림 III.1.16〉 화본과의 열상이미지 154

〈그림 III.1.17〉 국화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158

〈그림 III.1.18〉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59

〈그림 III.1.19〉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159

〈그림 III.1.20〉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 변화 159

〈그림 III.1.21〉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160

〈그림 III.1.22〉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변화 160

〈그림 III.1.23〉 국화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160

〈그림 III.1.24〉 국화과 식물 종 열상 이미지 161

〈그림 III.1.25〉 콩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164

〈그림 III.1.26〉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64

〈그림 III.1.27〉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164

〈그림 III.1.28〉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 변화 165

〈그림 III.1.29〉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의 변화 165

〈그림 III.1.30〉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165

〈그림 III.1.31〉 콩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166

〈그림 III.1.32〉 콩과의 식물 종 열상이미지 166

〈그림 III.1.33〉 돌나물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168

〈그림 III.1.34〉 돌나물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69

〈그림 III.1.35〉 돌나물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169

〈그림 III.1.36〉 돌나물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의 변화 169

〈그림 III.1.37〉 돌나물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169

〈그림 III.1.38〉 돌나물과의 영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70

〈그림 III.1.39〉 돌나물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 170

〈그림 III.1.40〉 돌나물과 열상이미지 170

〈그림 III.1.41〉 석죽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 함량 173

〈그림 III.1.42〉 석죽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73

〈그림 III.1.43〉 석죽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173

〈그림 III.1.44〉 석죽과(갯장구채와 대나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 변화 173

〈그림 III.1.45〉 석죽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의 변화 174

〈그림 III.1.46〉 석죽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74

〈그림 III.1.47〉 석죽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174

〈그림 III.1.48〉 석죽과 식물종 열상이미지 175

〈그림 III.1.49〉 미나리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177

〈그림 III.1.50〉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변화 178

〈그림 III.1.51〉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178

〈그림 III.1.52〉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 변화 178

〈그림 III.1.53〉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의 변화 179

〈그림 III.1.54〉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79

〈그림 III.1.55〉 미나리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 179

〈그림 III.1.56〉 미나리과 식물 열상이미지 180

〈그림 III.1.57〉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및 수분함량 183

〈그림 III.1.58〉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83

〈그림 III.1.59〉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183

〈그림 III.1.60〉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의 변화 183

〈그림 III.1.61〉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184

〈그림 III.1.62〉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84

〈그림 III.1.63〉 방동사니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184

〈그림 III.1.64〉 방동사니과 식물 열상 이미지 184

〈그림 III.1.65〉 부처꽃과의 14일차 생장과 수분 함량 187

〈그림 III.1.66〉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생장 변화 187

〈그림 III.1.67〉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187

〈그림 III.1.68〉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NDVI의 변화 188

〈그림 III.1.69〉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의 변화 188

〈그림 III.1.70〉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188

〈그림 III.1.71〉 부처꽃과의 염 농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189

〈그림 III.1.72〉 부처꽃과 식물종 열상이미지 189

〈그림 III.1.73〉 기타과 종들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193

〈그림 III.1.74〉 기타과의 염 농도별 생장 변화 194

〈그림 III.1.75〉 기타과 종들의 염 농도별 저해도 194

〈그림 III.1.76〉 기타과 종들의 염 농도별 NDVI 변화 195

〈그림 III.1.77〉 기타과 종들의 염 농도별 엽록소 형광 변화 195

〈그림 III.1.78〉 기타과 종들의 염 농도별 기공전도도 변화 196

〈그림 III.1.79〉 기타과 종들의 염 농도별 엽록소 함량 196

〈그림 III.1.80〉 기타과 종들의 염해 조건에서 열상이미지 197

〈그림 III.1.81〉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에 따른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초장 변화 210

〈그림 III.1.82〉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저해도 변화 212

〈그림 III.1.83〉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NDVI 변화 212

〈그림 III.1.84〉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엽록소 형광 변화 213

〈그림 III.1.85〉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엽록소 함량 변화 213

〈그림 III.1.86〉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에 따른 염해 내성 복원재료의 생체중과 건물중 및 수... 214

〈그림 III.1.87〉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에 따른 염해 내성 복원 재료의 기공전도도 214

〈그림 III.1.88〉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염해 내성 복원 재료의 광합성률 215

〈그림 III.1.89〉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초장 변화 215

〈그림 III.1.90〉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저해도 변화 217

〈그림 III.1.91〉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NDVI 변화 217

〈그림 III.1.92〉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엽록소 형광 변화 218

〈그림 III.1.93〉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엽록소 함량 변화 218

〈그림 III.1.94〉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염해 감수성 복원재료의 생체중과 건물중 및 수분... 219

〈그림 III.1.95〉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염해 감수성 복원 재료의 기공전도도 219

〈그림 III.1.96〉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염해 감수성 복원 재료의 광합성률 220

〈그림 III.2.1〉 처리 14일차 붓꽃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24

〈그림 III.2.2〉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생장 변화 224

〈그림 III.2.3〉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저해도 변화 225

〈그림 III.2.4〉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NDVI 변화 225

〈그림 III.2.5〉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형광 변화 225

〈그림 III.2.6〉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기공전도도의 변화 226

〈그림 III.2.7〉 붓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함량 변화 226

〈그림 III.2.8〉 붓꽃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26

〈그림 III.2.9〉 처리 14일차 백합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30

〈그림 III.2.10〉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30

〈그림 III.2.11〉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231

〈그림 III.2.12〉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의 변화 231

〈그림 III.2.13〉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의 변화 231

〈그림 III.2.14〉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232

〈그림 III.2.15〉 백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 232

〈그림 III.2.16〉 백합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32

〈그림 III.2.17〉 처리 14일차 국화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40

〈그림 III.2.18〉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변화 241

〈그림 III.2.19〉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242

〈그림 III.2.20〉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43

〈그림 III.2.21〉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44

〈그림 III.2.22〉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변화 245

〈그림 III.2.23〉 국화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246

〈그림 III.2.24〉 국화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47

〈그림 III.2.25〉 처리 14일차 화본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52

〈그림 III.2.26〉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52

〈그림 III.2.27〉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253

〈그림 III.2.28〉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53

〈그림 III.2.29〉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54

〈그림 III.2.30〉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변화 254

〈그림 III.2.31〉 화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255

〈그림 III.2.32〉 화본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55

〈그림 III.2.33〉 처리 14일차 콩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58

〈그림 III.2.34〉 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58

〈그림 III.2.35〉 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259

〈그림 III.2.36〉 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59

〈그림 III.2.37〉 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59

〈그림 III.2.38〉 콩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260

〈그림 III.2.39〉 족제비싸리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 260

〈그림 III.2.40〉 콩과 식물의 열상이미지 260

〈그림 III.2.41〉 처리 14일차 미나리아재비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63

〈그림 III.2.42〉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63

〈그림 III.2.43〉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263

〈그림 III.2.44〉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64

〈그림 III.2.45〉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64

〈그림 III.2.46〉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변화 264

〈그림 III.2.47〉 미나리아재비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264

〈그림 III.2.48〉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65

〈그림 III.2.49〉 처리 14일차 마타리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268

〈그림 III.2.50〉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생장변화 268

〈그림 III.2.51〉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저해도 269

〈그림 III.2.52〉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NDVI 변화 269

〈그림 III.2.53〉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형광 변화 269

〈그림 III.2.54〉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기공전도도 변화 269

〈그림 III.2.55〉 마타리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함량의 변화 270

〈그림 III.2.56〉 마타리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70

〈그림 III.2.57〉 처리 14일차 장미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273

〈그림 III.2.58〉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73

〈그림 III.2.59〉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273

〈그림 III.2.60〉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74

〈그림 III.2.61〉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74

〈그림 III.2.62〉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274

〈그림 III.2.63〉 장미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의 변화 274

〈그림 III.2.64〉 장미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75

〈그림 III.2.65〉 처리 14일차 꿀풀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278

〈그림 III.2.66〉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 변화 278

〈그림 III.2.67〉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279

〈그림 III.2.68〉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 변화 279

〈그림 III.2.69〉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279

〈그림 III.2.70〉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 변화 280

〈그림 III.2.71〉 꿀풀과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280

〈그림 III.2.72〉 꿀풀과 식물종 열상이미지 280

〈그림 III.2.73〉 처리 14일차 돌나물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283

〈그림 III.2.74〉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생장변화 283

〈그림 III.2.75〉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저해도 284

〈그림 III.2.76〉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NDVI 변화 284

〈그림 III.2.77〉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형광의 변화 284

〈그림 III.2.78〉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기공전도도의 변화 285

〈그림 III.2.79〉 돌나물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함량의 변화 285

〈그림 III.2.80〉 돌나물과의 열상이미지 285

〈그림 III.2.81〉 처리 14일차 사초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288

〈그림 III.2.82〉 사초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생장변화 288

〈그림 III.2.83〉 사초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저해도 289

〈그림 III.2.84〉 사초과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형광 289

〈그림 III.2.85〉 지리대사초의 건조 정도 농도별 NDVI, 기공전도도, 엽록소 함량 변화 289

〈그림 III.2.86〉 사초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90

〈그림 III.2.87〉 처리 14일차 산토끼꽃과의 생장과 수분함량 293

〈그림 III.2.88〉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별 생장변화 293

〈그림 III.2.89〉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저해도 294

〈그림 III.2.90〉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NDVI 변화 294

〈그림 III.2.91〉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형광 변화 294

〈그림 III.2.92〉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기공전도도 변화 295

〈그림 III.2.93〉 산토끼꽃과의 건조 정도 농도별 엽록소 함량의 변화 295

〈그림 III.2.94〉 산토끼꽃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295

〈그림 III.2.95〉 기타과 식물들의 14일차 생장과 수분함량 및 저해도 300

〈그림 III.2.96〉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에 따른 생장변화 300

〈그림 III.2.97〉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에 따른 저해도 변화 301

〈그림 III.2.98〉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에 따른 NDVI의 변화 301

〈그림 III.2.99〉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에 따른 엽록소 형광 변화 302

〈그림 III.2.100〉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에 따른 기공전도도의 변화 302

〈그림 III.2.101〉 기타과 식물들의 건조 정도 처리에 따른 엽록소 함량 변화 303

〈그림 III.2.102〉 기타과 식물종의 열상이미지 303

〈그림 III.2.103〉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건조 내성 복원재료의 초장 변화 323

〈그림 III.2.104〉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시, 건조 내성 복원재료의 저해도 변화 324

〈그림 III.2.105〉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내성 복원재료의 NDVI의 변화 325

〈그림 III.2.106〉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엽록소 형광 변화 325

〈그림 III.2.107〉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엽록소 함량 변화 326

〈그림 III.2.108〉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생체중과 건물중 및 수분... 326

〈그림 III.2.109〉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기공전도도 327

〈그림 III.2.110〉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광합성률 327

〈그림 III.2.111〉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초장 생장 변화 328

〈그림 III.2.112〉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저해도 변화 329

〈그림 III.2.113〉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NDVI 변화 329

〈그림 III.2.114〉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엽록소 형광 변화 330

〈그림 III.2.115〉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엽록소 함량 변화 330

〈그림 III.2.116〉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시,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생체중과 건물 중 및... 331

〈그림 III.2.117〉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건조 감수성 복원 재료의 기공전도도도 331

〈그림 III.2.118〉 규소 및 과산화수소 처리 24일차, 건조 내성 복원 재료의 광합성률 33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5035 577 -17-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5036 577 -17-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