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사회기반시설의 성능중심 관리·운영을 위한 한국형 성능등급 산정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 건설기술연구사업 최종보고서 /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국토교통부, 2017
청구기호
620.86 -17-34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lxviii, 924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R&D ; 16SCIP-C079146-03
국토교통연구개발사업 R&D report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7770138
제어번호
MONO1201773124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공동연구기관: 한국시설안전공단, 대한토목학회, (주)토탈페이브시스템
주관연구기관책임자: 박기태
참고문헌: p. 913-924
본문은 한국어, 요약문과 목차는 한국어, 영어가 혼합 수록됨
부록/보유자료:사회기반시설의 성능중심관리·운영을 위한 한국형 성능등급 산정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28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72

1.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72

2. 연구개발 목표 및 범위 80

3. 연구개발 주요내용 92

제2장 국내외 기술 및 산업 현황 102

1.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 102

2. 국내외 시장 분석 및 관련 산업 현황 139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성과 168

제1절 유지관리체계 선진화 마스터플랜 168

1. 개요 168

2. 기술개발 방향 정립 170

3. 유지관리체계 선진화를 위한 과제 제안 179

4. 과제 중복성 검토 및 분석 182

5. 최종 과제구성 185

6. 과제 제안요구서(RFP)작성 188

7. 선진화 마스터플랜 파급효과 조사 및 분석 193

8. 소결 204

제2절 시설물별 안전성 평가방법 206

1. 개요 206

2. 시설물별 평가지표 정립 214

3. 시설물별 평가지표 정량화 233

4. 시설물 안전성평가 등급산정 매뉴얼 개발 238

5. 소결 260

제3절 시설물별 강재 내구성 평가방법 262

1. 개요 262

2. 시설물 유형별 평가지표 정립 265

3. 평가지표 정량화 270

4. 환경조건을 고려한 시설물 유형별 및 부재별 등급분류 방법 286

5. 시설물 유형별 강재 내구성 등급산정 매뉴얼 개발 310

6. 소결 329

제4절 시설물별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방법 332

1. 개요 332

2. 시설물 유형을 고려한 평가지표 정립 333

3. 시설물의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지표 정량화 349

4. 환경조건을 고려한 내구성 등급화 방안 353

5. 시설물 유형별 내구성 등급산정 매뉴얼 개발 377

6. 소결 394

제5절 비탈면 내구성 평가방법 398

1. 개요 398

2. 평가지표 정립 398

3. 평가지표 정량화 399

4. 지표별 등급분류 방법 403

5. 비탈면 내구성 등급산정 매뉴얼 개발 407

6. 소결 412

제6절 강재 및 콘크리트 종합내구성 평가방법 414

1. 개요 414

2. 대상 시설물별 종합내구성 평가방법 415

3. 소결 425

제7절 시설물별 서비스성능 평가방법 428

1. 개요 428

2. 시설물 유형별 평가지표 정립 431

3. 시설물 유형별 평가지표 정량화 442

4. 시설물 특성을 고려한 등급 산정 방법 446

5. 시설물 유형별 서비스성능 등급산정 매뉴얼 개발 451

6. 소결 482

제8절 성능평가지표별 최적점검방법 486

1. 강재 내구성 분야 성능평가지표별 최적점검방법 486

2. 콘크리트 내구성 분야 성능평가지표별 최적점검방법 500

3. 서비스 성능 분야 성능평가지표별 최적점검방법 507

4. 현장점검을 통한 현장적용성 검증 522

5. 개발 필요 점검기술 제시 535

6. 소결 537

제9절 시설물별 종합성능 평가방법 540

1. 개요 540

2. 시설물 종합성능 평가방법 매뉴얼 개발 549

3. 성능평가 프로그램 개발 557

4. 소결 590

제10절 시설물별 목표성능등급 결정 방법 592

1. 개요 592

2. 시설물 유형별 목표성능등급 설정 기본 프로세스 정립 및 설정 기법 제시 605

3. 시범적용을 통한 목표성능 평가 검증 664

4. 시설물 유형별 목표성능등급 설정 매뉴얼 개발 671

5. 소결 722

제11절 성능평가를 고려한 최적유지관리 기법 및 투자우선순위 결정 방법 724

1. 투자우선순위 산정 개요 724

2. 투자의사결정 방법론 및 표준 로직 750

3. 소결 812

제12절 SOC 유지관리 예산 투자실적 기반 거시적 유지관리 투자예산 산정 814

1. 개요 814

2. 분석 방법 815

3. 분석 결과 817

4. 향후 연구 방향 834

5. 소결 850

제13절 대표 성능등급 산정 방법론 852

1. 개요 852

2. 미국 ASCE 대표 성능등급 제도 조사 분석 853

3. SOC 시설물별 핵심 평가인자 및 인과관계 분석 859

4. 정성적 평가인자 정량화 방안 862

5. 한국형 대표성능등급 제도 구축 방향 867

6. 대표 성능등급 평가지표 가중치(안) 결정 868

7. 소결 872

제14절 시설물별 성능중심 평가방법의 시범적용 결과 874

1. 개요 874

2. 절차 및 주요내용 878

3. 시범적용 결과 검토 880

4. 소결 899

제15절 결론 902

제4장 연구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대성과 908

1. 연구목표 달성도 908

2. 관련분야 기대성과 915

3. 성능중심 평가체계 실무 도입 효과분석 917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920

1. 연구분야별 주요 핵심성과물 활용방안 920

2. 성능평가제도 시행 관련 기타 활용방안 923

3. 연구결과의 기업 활용방안 924

4. 정부 정책과의 연계 및 활용방안 925

5. 관련 후속연구개발과의 연계성 937

6.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940

제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 정보 942

1. 개요 942

2. 성능중심 평가체계 관련 해외 사례 944

제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964

제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 장비 현황 966

제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 및 보안조치 이행 실적 968

제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970

제11장 참고문헌 984

[부록 1] 선진화 마스터플랜 수립 및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내용없음) 26

[부록 2] 시범적용 결과 보고서(내용없음) 26

〈표 1.1.1〉 미국 인프라시설 투자 부족에 의한 경제적 손실 예상 사례 72

〈표 1.2.1〉 사회기반시설 시설의 종류 및 성능항목에 대한 정의 80

〈표 1.2.2〉 연구분야별 과제 구성 81

〈표 1.2.3〉 유지관리체계 선진화 방안 개발 분야 83

〈표 1.2.4〉 성능평가 프로세스 및 시범적용 기술 개발 분야 84

〈표 1.2.5〉 목표성능등급 설정 기술 개발 분야 85

〈표 1.2.6〉 투자우선순위 의사결정모델 기술 개발 분야 86

〈표 1.2.7〉 SOC시설물 대표 성능등급 산정 방안 제시 분야 87

〈표 1.2.8〉 연구분야별 세부목표 88

〈표 1.3.1〉 유지관리체계 선진화 방안 개발 분야 세부연구내용 92

〈표 1.3.2〉 성능평가 프로세스 및 시범적용 기술 개발 분야 세부연구내용 94

〈표 1.3.3〉 SOC시설물별 목표성능등급 설정 기술 개발 분야 세부연구내용 99

〈표 1.3.4〉 주요 SOC시설물별 투자우선순위 의사결정모델기술 개발 분야 세부연구내용 100

〈표 1.3.5〉 SOC시설물 대표 성능등급 산정 방안 제시 분야 세부연구내용 101

〈표 2.1.1〉 주요 방식기술별 우리나라 기술수준(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2012) 106

〈표 2.1.2〉 강재 내구성 평가 관련 주요 연구개발 현황 107

〈표 2.1.3〉 IoT 시설물 관리 시스템 관련 연구개발 현황 108

〈표 2.1.4〉 목표성능등급 설정 분야 국내 연구개발 현황 110

〈표 2.1.5〉 SOC시설물 안전성 평가 관련 R&D 과제현황 113

〈표 2.1.6〉 재해에 강한 새로운 방재 / 감지 기술의 실용화 분야(괄호 안 실제 확보 예산) 116

〈표 2.1.7〉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안전하고 조화로운 국토 / 도시 실현 118

〈표 2.1.8〉 도장 강재의 상태등급 평가기준 122

〈표 2.1.9〉 서비스성능 관련 국가별 성능평가 대상 및 평가지표 123

〈표 2.1.10〉 목표성능등급 설정 분야 국외 연구개발 현황 124

〈표 2.1.11〉 MAP-21 프로그램 재편 131

〈표 2.1.12〉 North Carolina주 교통부 예산의 전략적 운송수단 예산 분배 공식 133

〈표 2.1.13〉 미국 교량시설물의 투자우선순위 사례 133

〈표 2.1.14〉 호주 지자체별 시설물 예산 수립 방식 135

〈표 2.1.15〉 도로 관련 성능지표 사례 135

〈표 2.2.1〉 SOC시설물 관리주체별 현황 및 등급변화 분석 139

〈표 2.2.2〉 관리주체의 도로교량 최근 등급분포 141

〈표 2.2.3〉 관리주체의 도로터널 최근 등급분포 142

〈표 2.2.4〉 관리주체의 옹벽 최근 등급분포 142

〈표 2.2.5〉 관리주체의 절토사면 최근 등급분포 142

〈표 2.2.6〉 관리주체의 철도교량 최근 등급분포 143

〈표 2.2.7〉 관리주체의 철도터널 최근 등급분포 143

〈표 2.2.8〉 관리주체의 철도역사 최근 등급분포 143

〈표 2.2.9〉 관리주체의 하천 시설물 최근 등급분포 144

〈표 2.2.10〉 관리주체의 수도 시설물 최근 등급분포 144

〈표 2.2.11〉 관리주체의 항만 최근 등급분포 144

〈표 2.2.12〉 관리주체의 댐 최근 등급분포 145

〈표 2.2.13〉 관리주체의 공공하수처리 시설물 최근 등급분포 145

〈표 2.2.14〉 관리주체의 건축물 최근 등급분포 145

〈표 2.2.15〉 철도 유지보수비 현황 154

〈표 2.2.16〉 철도 시설물 개량 비용 154

〈표 2.2.17〉 개발도상국의 SOC(교통) 유지·보수 투자 추정(2008~2015년) 157

〈표 2.2.18〉 우리나라의 SOC(교통) 유지·보수 투자 추정(2008~2015년) 158

〈표 2.2.19〉 미국 시설물 신규투자 및 운영비 추이 159

〈표 2.2.20〉 미국 시설물 투자규모 추이 160

〈표 2.2.21〉 일본의 장래 유지관리 및 갱신 비용 추계 160

〈표 2.2.22〉 일본 SOC 예산 및 GDP 대비 비중 추이 160

〈표 2.2.23〉 국내외 시설물 예산 배분 방식 차이점 163

〈표 2.2.24〉 교통부문 SOC 유지보수 투자 추정 165

〈표 2.2.25〉 향후 시설물 유지관리 시장의 증가율 전망 166

〈표 3.1.1〉 기술개발환경 Needs 도출 174

〈표 3.1.2〉 고속 / 정밀 진단기술(중점분야 1) 176

〈표 3.1.3〉 Big Data 기반 고신뢰성 성능저하 예측기술(중점분야 2) 177

〈표 3.1.4〉 3T 기반 창의형 센서 활용 기술(중점분야 3) 177

〈표 3.1.5〉 상태정량화 기반 플랫폼형 성능평가 체계개발 기술(중점분야 4) 177

〈표 3.1.6〉 자산&유지관리 정책 및 평가 기술(중점분야 5) 178

〈표 3.1.7〉 기술수요조사의 개요 179

〈표 3.1.8〉 유지관리 선진화 평가체계 항목 180

〈표 3.1.9〉 선진화 성능평가 프로세스 항목 181

〈표 3.1.10〉 성능평가 선진화 프로세스 항목별 제안 과제 182

〈표 3.1.11〉 과제 연계성 도출을 위한 대상과제 선정 184

〈표 3.1.12〉 단계별 과제 추진체계 186

〈표 3.1.13〉 파급효과 유형별 정의 및 핵심 성과요소 193

〈표 3.1.14〉 일반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파급효과 조사 및 분석요소 및 조사 및 분... 194

〈표 3.1.15〉 파급효과 분석 방법론의 장단점 및 객관화 가능성 195

〈표 3.1.16〉 시특법 개정 내용과 도출된 과제와의 연관성 197

〈표 3.1.17〉 마스터플랜 수립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202

〈표 3.2.1〉 성능평가 대상시설물 206

〈표 3.2.2〉 교량시설물 세부범위 208

〈표 3.2.3〉 터널시설물 세부범위 208

〈표 3.2.4〉 옹벽시설물 세부범위 209

〈표 3.2.5〉 비탈면시설물 세부범위 209

〈표 3.2.6〉 댐시설물 세부범위 210

〈표 3.2.7〉 하굿둑시설물 세부범위 210

〈표 3.2.8〉 수문시설물 세부범위 211

〈표 3.2.9〉 제방시설물 세부범위 211

〈표 3.2.10〉 공항시설물 세부범위 211

〈표 3.2.11〉 항만 및 어항시설물 세부범위 212

〈표 3.2.12〉 상수도시설물 세부범위 212

〈표 3.2.13〉 안전성 예비평가지표 도출을 위한 검토 자료 목록 215

〈표 3.2.14〉 대안개발기법 검토항목 219

〈표 3.2.15〉 대안선택기법 검토항목 220

〈표 3.2.16〉 교량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1

〈표 3.2.17〉 터널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2

〈표 3.2.18〉 옹벽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2

〈표 3.2.19〉 비탈면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4

〈표 3.2.20〉 댐 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5

〈표 3.2.21〉 수문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7

〈표 3.2.22〉 제방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8

〈표 3.2.23〉 하굿둑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29

〈표 3.2.24〉 공항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30

〈표 3.2.25〉 항만·어항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30

〈표 3.2.26〉 상수도시설물의 안전성평가 지표 232

〈표 3.2.27〉 침하 / 부상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3

〈표 3.2.28〉 경사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3

〈표 3.2.29〉 활동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4

〈표 3.2.30〉 기초세굴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4

〈표 3.2.31〉 일반 구조물 콘크리트 균열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4

〈표 3.2.32〉 수처리 구조물 콘크리트 균열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5

〈표 3.2.33〉 콘크리트 박리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5

〈표 3.2.34〉 콘크리트 박락 및 층분리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5

〈표 3.2.35〉 철근노출 면적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6

〈표 3.2.36〉 누수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6

〈표 3.2.37〉 백태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6

〈표 3.2.38〉 콘크리트 파손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7

〈표 3.2.39〉 신축이음 탈락 및 열화의 상태안전성 평가 기준 237

〈표 3.2.40〉 상태지수의 범위 239

〈표 3.2.41〉 영역별 상태지수의 범위 239

〈표 3.2.42〉 FEMA 지침서의 안전등급 기준 243

〈표 3.2.43〉 뉴저지주 Newark항의 안전등급 기준 244

〈표 3.2.44〉 NAVFAC의 안전등급 기준 244

〈표 3.2.45〉 미연방 도로국의 안전등급 기준 245

〈표 3.2.46〉 뉴욕시 교통국의 안전등급 기준 245

〈표 3.2.47〉 일본 댐기술센터의 안전등급 기준 246

〈표 3.2.48〉 운수성 항만국의 안전등급 기준 247

〈표 3.2.49〉 토목연구소의 안전등급 기준 247

〈표 3.2.50〉 Binnie Black & Veatch 사의 안전등급 기준 248

〈표 3.2.51〉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안전관리 등급 248

〈표 3.2.52〉 해양수산수 실시요령의 안전관리 등급 249

〈표 3.2.53〉 사회기반시설물 종별 안전성평가 체계 구분 250

〈표 3.2.54〉 결함지수 산정 예시 250

〈표 3.2.55〉 상태안전성평가 결과 산정 예시 251

〈표 3.2.56〉 주변상태 결함점수 산정 예시 251

〈표 3.2.57〉 기본시설물 상태안전성평가 결과 산정 예시 251

〈표 3.2.58〉 부재별 손상상태 평가표 예시 253

〈표 3.2.59〉 개별부재 평가표 예시 253

〈표 3.2.60〉 복합부재 평가표 예시 254

〈표 3.2.61〉 개별시설 평가표 예시 254

〈표 3.2.62〉 복합시설 평가표 예시 255

〈표 3.2.63〉 전체시설 평가표 예시 255

〈표 3.2.64〉 철근콘크리트구조 결함유형별 상태안전성평가 예시 257

〈표 3.2.65〉 부재별 상태안전성평가 예시 258

〈표 3.2.66〉 안전성평가 안전등급 기준 259

〈표 3.3.1〉 기존 평가방법 및 성능중심 강재 내구성 평가방법 비교 263

〈표 3.3.2〉 강재 내구성평가 대상 시설물 유형 263

〈표 3.3.3〉 교량 시설물 평가지표 265

〈표 3.3.4〉 보강토 옹벽 시설물 평가지표 266

〈표 3.3.5〉 댐 및 하굿둑 시설물 평가지표 266

〈표 3.3.6〉 수문 시설물 평가지표 267

〈표 3.3.7〉 공항 시설물 평가지표 268

〈표 3.3.8〉 항만 및 어항 시설물 평가지표 268

〈표 3.3.9〉 상수도 시설물 평가지표 269

〈표 3.3.10〉 발청 및 도장열화의 각 세부지표에 대한 등급별 점수 270

〈표 3.3.11〉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270

〈표 3.3.12〉 열화실험별 실험방법 273

〈표 3.3.13〉 부식환경별 촉진배율 274

〈표 3.3.14〉 두께 감소량에 따른 실제 공용기간 279

〈표 3.3.15〉 젖음시간의 분류(KS D ISO 9223) 284

〈표 3.3.16〉 이산화황에 의한 오염(P) 분류(KS D ISO 9223) 285

〈표 3.3.17〉 평가지표별 관련 시설물 및 대상 부재 286

〈표 3.3.18〉 발청의 평가기준 288

〈표 3.3.19〉 발청의 평가기준 (권양기 와이어로프) 289

〈표 3.3.20〉 박리의 평가기준 290

〈표 3.3.21〉 균열의 평가기준 290

〈표 3.3.22〉 부풂의 평가기준 291

〈표 3.3.23〉 변색 및 백아화의 평가기준 292

〈표 3.3.24〉 보강토 옹벽 보강재의 아연도금 변색 평가기준 293

〈표 3.3.25〉 보강재 아연도금의 열화상태별 표면색 및 표준사진 293

〈표 3.3.26〉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기준 294

〈표 3.3.27〉 발청 및 도장열화 종합평가 등급분류 기준 294

〈표 3.3.28〉 도장두께 평가기준 297

〈표 3.3.29〉 보강토 옹벽 보강재의 도금두께 평가기준 297

〈표 3.3.30〉 대기환경의 평가기준 298

〈표 3.3.31〉 대기 부식성의 등급 299

〈표 3.3.32〉 강설횟수의 평가기준 300

〈표 3.3.33〉 누수 평가기준 301

〈표 3.3.34〉 관주변 토양종류 평가기준 301

〈표 3.3.35〉 토양 비저항 평가기준 302

〈표 3.3.36〉 토양 pH 평가기준 302

〈표 3.3.37〉 황산 및 염소이온 평가기준 302

〈표 3.3.38〉 관대지 전위차 평가기준 303

〈표 3.3.39〉 와이어로프 직경감소 평가기준 303

〈표 3.3.40〉 와이어로프 소선절단 평가기준 304

〈표 3.3.41〉 피복재 손상의 평가기준 304

〈표 3.3.42〉 아노드 손상·소모량 및 전위차 평가기준 305

〈표 3.3.43〉 운용가능한 경우(등급 a ~ d) 전위차 305

〈표 3.3.44〉 교체가 필요한 경우(등급 a)의 전위차 305

〈표 3.3.45〉 경과년수에 대한 평가기준 306

〈표 3.3.46〉 용접부 부식 등급분류기준 307

〈표 3.3.47〉 평가항목별 가중치 311

〈표 3.3.48〉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312

〈표 3.3.49〉 케이블 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312

〈표 3.3.50〉 강 보강재 열화진전지표에 대한 가중치 313

〈표 3.3.51〉 강 보강재 내구성평가 가중치 313

〈표 3.3.52〉 평가항목별 가중치 (문비 및 공도교) 314

〈표 3.3.53〉 평가항목별 가중치 (권양기 와이어로프) 314

〈표 3.3.54〉 문비 및 권양기 와이어로프 가중치 314

〈표 3.3.55〉 공도교 부재별 가중치 315

〈표 3.3.56〉 댐 시설물의 강재 내구성 종합평가 가중치 315

〈표 3.3.57〉 등급별 점수(기존 지침의 결함도 지수) 317

〈표 3.3.58〉 내구등급별 점수범위(기존 지침의 결함도 점수범위) 317

〈표 3.3.59〉 발청 및 도장열화 시험 기준 수량 (교량 시설물 예) 319

〈표 3.3.60〉 도장두께 시험 기준수량 (교량 시설물 예) 320

〈표 3.3.61〉 평가항목별 가중치 321

〈표 3.3.62〉 평가항목별 가중치 322

〈표 3.3.63〉 항만 계류시설 강부재(강말뚝 및 널말뚝 등)의 사용환경별 평가항목 322

〈표 3.3.64〉 수상부(비말대)에서의 평가지표 가중치 323

〈표 3.3.65〉 간만대 피복재 시공 및 미시공 경우의 평가지표 가중치 323

〈표 3.3.66〉 수중부 경우의 평가지표 가중치 323

〈표 3.3.67〉 상수도 관로 시설에 대한 평가항목별 가중치 324

〈표 3.3.68〉 부속시설물에 대한 평가항목별 가중치 (예 : 강구조물 : 강재 연락교) 324

〈표 3.3.69〉 부속시설에 대한 평가항목별 가중치(예 : 에어챔버, 약품저장탱크 등) 324

〈표 3.3.70〉 관로 및 밸브실 가중치 325

〈표 3.3.71〉 환경의 구분에 따른 평가항목 적용 326

〈표 3.3.72〉 부재 수준의 내구성 평가등급 326

〈표 3.3.73〉 발청 및 도장열화 시험 기준 수량 (공항 시설물 예) 328

〈표 3.3.74〉 도장두께, 누수 시험 기준 수량 (공항 시설물 예) 328

〈표 3.3.75〉 대기환경 기준 수량 (공항 시설물 예) 328

〈표 3.3.76〉 세부지침 포함 예정 항목 및 미포함 연구결과 비교 330

〈표 3.4.1〉 현행 유지관리 체계에서의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항목 335

〈표 3.4.2〉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항목 336

〈표 3.4.3〉 ○○댐의 시설개요 339

〈표 3.4.4〉 대상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메카니즘 339

〈표 3.4.5〉 대상 옹벽의 시설개요 340

〈표 3.4.6〉 대상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메카니즘 341

〈표 3.4.7〉 ○○ 하구둑의 시설개요 342

〈표 3.4.8〉 ○○ 하구둑의 콘크리트 내구성 조사 항목 343

〈표 3.4.9〉 ○○교의 시설개요 344

〈표 3.4.10〉 대상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메카니즘 344

〈표 3.4.11〉 ○○공항의 시설개요 345

〈표 3.4.12〉 공항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 메커니즘 346

〈표 3.4.13〉 상수도 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메카니즘 348

〈표 3.4.14〉 항만 시설물의 열화환경 및 대응 열화메카니즘 349

〈표 3.4.15〉 염화물 침투량 평가등급 제안 350

〈표 3.4.16〉 공용연수에 따라 피복콘크리트가 탄산화되는데 걸리는 시간 350

〈표 3.4.17〉 탄산화 깊이에 따른 평가등급 제안 351

〈표 3.4.18〉 피복(표면부) 콘크리트 품질에 따른 평가기준 제안 353

〈표 3.4.19〉 건전부 / 비건전부의 상대적 비교에 따른 평가기준 제안 353

〈표 3.4.20〉 해안별 비래염분량의 지역계수 356

〈표 3.4.21〉 해안별 비래염분량의 지역계수 356

〈표 3.4.22〉 염해에 대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설계·시공 유지관리 지침의 평가기준 356

〈표 3.4.23〉 염해환경의 평가기준(해안거리) 제안 357

〈표 3.4.24〉 해상 높이에 따른 염해환경의 평가예시 360

〈표 3.4.25〉 염화칼슘 살포량 계산표 361

〈표 3.4.26〉 제설제의 살포비율 및 기준(도로관리과, 시속 43km 기준) 362

〈표 3.4.27〉 ASTM C 672 등급 기준 362

〈표 3.4.28〉 ASTM C 672 중 제설제 살포량 관련 기준 363

〈표 3.4.29〉 ASTM C 672 중 스케일링 저항성 관련 기준 363

〈표 3.4.30〉 염해환경의 평가기준 제안 (제설제) 363

〈표 3.4.31〉 「서울시 제설대책 매뉴얼」기준 최심신적설 및 강설일수 조건 364

〈표 3.4.32〉 「서울시 제설대책 매뉴얼」기준 강설일수(x) 계산법 365

〈표 3.4.33〉 한국도로공사 기준 강설일수(x) 계산법 365

〈표 3.4.34〉 건설교통부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370

〈표 3.4.35〉 콘크리트 구조기준(2012) 371

〈표 3.4.36〉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내구성편 371

〈표 3.4.37〉 도로교 표준시방서(2013) 372

〈표 3.4.38〉 미국 교통부 연방 도로청(FHWA)의 동결융해 기준 372

〈표 3.4.39〉 미국 교통부 연방 도로청(FHWA)의 동결융해 반복횟수 관련 기준 373

〈표 3.4.40〉 미국 교통부 연방 도로청(FHWA)의 동결융해 반복횟수 관련 기준 373

〈표 3.4.41〉 동해환경의 평가기준 제안 374

〈표 3.4.42〉 동해환경의 평가기준별 대상 지역 374

〈표 3.4.43〉 황산염 평가등급 (ACI Building Code 318) 376

〈표 3.4.44〉 노출 범주 및 등급 (콘크리트구조기준, 2012) 376

〈표 3.4.45〉 황산염 평가등급 (EN 206-1) 376

〈표 3.4.46〉 토양의 황산염 평가등급 제안 376

〈표 3.4.47〉 토양의 pH 평가등급 제안 377

〈표 3.4.48〉 토양의 염소이온 평가등급 제안 377

〈표 3.4.49〉 시설물 유형별 내구성 평가항목 378

〈표 3.4.50〉 등급별 열화환경의 상태 379

〈표 3.4.51〉 지표별 평가 예시 379

〈표 3.4.52〉 평가등급별 점수 예시 379

〈표 3.4.53〉 평가등급에 따른 점수범위 예시 379

〈표 3.4.54〉 부재별 가중치 예시 380

〈표 3.4.55〉 열화진전 평가 예시 380

〈표 3.4.56〉 열화환경 평가 예시 380

〈표 3.4.57〉 하굿둑의 세부시설물 등급산정(예시) 380

〈표 3.4.58〉 일반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381

〈표 3.4.59〉 케이블교량의 부재별 가중치 381

〈표 3.4.60〉 교량종류 및 환경별 평가지표 382

〈표 3.4.61〉 시험항목별(교각 / 교대, 바닥판, 거더, 주탑) 재료시험 수량 382

〈표 3.4.62〉 세부 부재별(도로 / 철도 터널) 가중치 383

〈표 3.4.63〉 본선라이닝(도로 / 철도), 갱문의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83

〈표 3.4.64〉 환기구콘크리트(도로 / 철도)의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83

〈표 3.4.65〉 시험항목별(본선라이닝, 갱문, 환기구콘크리트) 재료시험 수량 384

〈표 3.4.66〉 댐 시설물의 가중치 384

〈표 3.4.67〉 여수로(접근수로 / 조절부 / 도수로 / 감세공)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85

〈표 3.4.68〉 댐체(하류면 / 댐마루)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85

〈표 3.4.69〉 댐체(상류면)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85

〈표 3.4.70〉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85

〈표 3.4.71〉 콘크리트 옹벽, 보강토 옹벽(전면부 콘크리트)의 환경별 평가지표 386

〈표 3.4.72〉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86

〈표 3.4.73〉 하굿둑의 세부 시설물별 가중치 387

〈표 3.4.74〉 배수관문, 방조제의 평가지표 387

〈표 3.4.75〉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87

〈표 3.4.76〉 제방의 부재별 가중치 388

〈표 3.4.77〉 둑마루, 제내지 / 제외지 부재별 평가지표 388

〈표 3.4.78〉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88

〈표 3.4.79〉 수문의 평가지표 388

〈표 3.4.80〉 수문의 부재별 가중치 388

〈표 3.4.81〉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89

〈표 3.4.82〉 해상 높이에 따른 염해환경의 평가예시 389

〈표 3.4.83〉 염화물 침투량 평가등급 수정 제안 390

〈표 3.4.84〉 공항 시설물의 부재별 평가지표 391

〈표 3.4.85〉 공항의 부재별 가중치 391

〈표 3.4.86〉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91

〈표 3.4.87〉 항만 및 어항의 세부 시설물별 가중치 392

〈표 3.4.88〉 항만 및 어항 시설물의 부재별 평가지표 392

〈표 3.4.89〉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92

〈표 3.4.90〉 상수도 토목구조물의 콘크리트 종류별 평가지표 393

〈표 3.4.91〉 상수도 수로터널의 평가지표 393

〈표 3.4.92〉 시험항목별 재료시험 수량 393

〈표 3.5.1〉 비탈면 형식별 내구성 평가지표 399

〈표 3.5.2〉 동적콘관입시험(DCPT) Nd치(이미지참조) 399

〈표 3.5.3〉 토질종류별 기본 물성 (간극비 - 내부마찰력) 401

〈표 3.5.4〉 암종별 내압강도 402

〈표 3.5.5〉 암석의 그룹별 분류 402

〈표 3.5.6〉 토사비탈면의 지반상태 등급 및 기준 403

〈표 3.5.7〉 토양경도계 측정에 따른 등급 404

〈표 3.5.8〉 암반비탈면의 지반상태 등급 및 기준 405

〈표 3.5.9〉 표면보호공 평가 등급 및 기준 405

〈표 3.5.10〉 비탈면보강공 평가 등급 및 기준 406

〈표 3.5.11〉 ISRM 5단계 분류법 406

〈표 3.5.12〉 해머타격시험을 통한 암반의 풍화등급 5단계 분류법 407

〈표 3.5.13〉 비탈면 형식에 따른 지표별 가중치 408

〈표 3.5.14〉 등급별 점수 및 범위 409

〈표 3.5.15〉 평가지표 및 조사항목별 시험(조사) 기준수량 411

〈표 3.5.16〉 세부지침 포함 예정 항목 및 미포함 연구결과 비교 412

〈표 3.6.1〉 강재 및 콘크리트 내구성평가 대상 시설물 414

〈표 3.6.2〉 일반교량 종합내구성 평가를 위한 가중치 415

〈표 3.6.3〉 케이블교량 종합내구성 평가를 위한 가중치 416

〈표 3.6.4〉 기존 지침의 상태평가 항목 및 결함점수 417

〈표 3.6.5〉 보강토 옹벽 종합내구성 평가를 위한 가중치 417

〈표 3.6.6〉 수문시설의 기존 세부시설물별 가중치 417

〈표 3.6.7〉 수문 시설물 종합내구성 평가 가중치 418

〈표 3.6.8〉 댐 및 하굿둑 시설의 기존 세부시설물별 가중치 418

〈표 3.6.9〉 댐 및 하굿둑 시설물 종합내구성 평가 가중치 418

〈표 3.6.10〉 점수범위에 따른 등급분류 기준 419

〈표 3.6.11〉 부재 종류에 따른 가중치 419

〈표 3.6.12〉 층별 중요도 산정(예) 420

〈표 3.6.13〉 잔교식 구조물의 구성부재별 가중치 421

〈표 3.6.14〉 계류시설물 유형별 가중치 422

〈표 3.6.15〉 등급별 점수 423

〈표 3.6.16〉 점수범위에 따른 등급분류 기준 423

〈표 3.6.17〉 상수도 시설물 종합내구성 평가를 위한 가중치 424

〈표 3.6.18〉 세부지침 포함 예정의 종합 내구성 평가방법 및 가중치 항목 425

〈표 3.7.1〉 기존 평가방법 및 서비스 성능 평가 방법 비교 429

〈표 3.7.2〉 서비스성능평가 대상 시설물 유형 429

〈표 3.7.3〉 성능의 구분과 정의 431

〈표 3.7.4〉 도로교량 시설물 평가지표 434

〈표 3.7.5〉 철도교량 시설물 평가지표 434

〈표 3.7.6〉 서비스 성능평가의 결함도 지수화 434

〈표 3.7.7〉 도로터널 시설물 평가지표 435

〈표 3.7.8〉 철도터널 시설물 평가지표 435

〈표 3.7.9〉 서비스 성능평가의 결함도 지수화 436

〈표 3.7.10〉 댐 시설물 평가지표 436

〈표 3.7.11〉 수문 시설물 평가지표 437

〈표 3.7.12〉 제방 시설물 평가지표 438

〈표 3.7.13〉 하굿둑 시설물 평가지표 438

〈표 3.7.14〉 공항 시설물 평가지표 439

〈표 3.7.15〉 항만 / 어항 시설물 평가지표 440

〈표 3.7.16〉 상수도 시설물 평가지표 441

〈표 3.7.17〉 콘크리트 포장의 HPCI 등급기준 442

〈표 3.7.18〉 1단계 시설물별 지표별 근거 443

〈표 3.7.19〉 2단계 시설물별 지표별 근거 444

〈표 3.7.20〉 수리와 교체의 명확화 (방충재) 445

〈표 3.7.21〉 운전자에 대한 도로조명의 휘도 기준 446

〈표 3.7.22〉 교량 조명의 성능평가 기준 447

〈표 3.7.23〉 복수기준 지표 447

〈표 3.7.24〉 상수도 시설물의 평가단계별 평가대상 부재 및 시설물(예) 448

〈표 3.7.25〉 상수도 시설물의 평가지표별 적용단계 449

〈표 3.7.26〉 권양기 작동유무 평가 산정 예 449

〈표 3.7.27〉 밸브의 손상 1단계 평가 450

〈표 3.7.28〉 밸브의 손상 2단계 평가 450

〈표 3.7.29〉 평가항목별 가중치 453

〈표 3.7.30〉 평가항목별 가중치 453

〈표 3.7.31〉 평가항목별 가중치 454

〈표 3.7.32〉 평가항목별 가중치 455

〈표 3.7.33〉 평가항목별 가중치 455

〈표 3.7.34〉 평가항목별 가중치 456

〈표 3.7.35〉 평가항목별 가중치 456

〈표 3.7.36〉 평가항목별 가중치 457

〈표 3.7.37〉 등급별 점수 459

〈표 3.7.38〉 가중치 반영된 등급 점수 예(○○도로교량) 460

〈표 3.7.39〉 최종평가 결과 점수 460

〈표 3.7.40〉 ○○대교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 및 보완 사항 461

〈표 3.7.41〉 ○○대교 교량 조명 휘도 측정 값 463

〈표 3.7.42〉 ○○교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 및 보완 사항 464

〈표 3.7.43〉 ○○댐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 및 보완 사항 466

〈표 3.7.44〉 ○○댐의 수질 467

〈표 3.7.45〉 ○○터널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 및 보완 사항 468

〈표 3.7.46〉 평가항목별 가중치 472

〈표 3.7.47〉 평가항목별 가중치 473

〈표 3.7.48〉 평가항목별 가중치 473

〈표 3.7.49〉 평가항목별 가중치 474

〈표 3.7.50〉 등급별 점수 477

〈표 3.7.51〉 가중치 반영된 등급 점수 예(○○공항) 477

〈표 3.7.52〉 최종평가 결과 점수 478

〈표 3.7.53〉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도 ○○군의 ○○공항) 479

〈표 3.7.54〉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군 ○○항) 480

〈표 3.7.55〉 현장 적용성 검증 결과(○○도 ○○시 ○○상수도) 481

〈표 3.7.56〉 세부지침 포함 항목 및 연구결과 요약 483

〈표 3.8.1〉 성능평가지표별 적용시설물 486

〈표 3.8.2〉 대기환경 적용 대상시설물 488

〈표 3.8.3〉 SRM 5단계 분류법 499

〈표 3.8.4〉 성능평가지표별 적용시설물 500

〈표 3.8.5〉 도로터널의 방재시설 설치기준 508

〈표 3.8.6〉 철도터널의 방재시설 설치기준 509

〈표 3.8.7〉 요일별 열차운행 횟수 510

〈표 3.8.8〉 진동사용성 측정기기 예시 513

〈표 3.8.9〉 구동모터 및 브레이크 상세육안점검표 514

〈표 3.8.10〉 공항의 서비스 평가항목 516

〈표 3.8.11〉 비탈면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2

〈표 3.8.12〉 비탈면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 522

〈표 3.8.13〉 하구둑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3

〈표 3.8.14〉 철도 터널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 524

〈표 3.8.15〉 ○○댐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5

〈표 3.8.16〉 도로 교량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6

〈표 3.8.17〉 ○○공항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7

〈표 3.8.18〉 ○○공항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29

〈표 3.8.19〉 ○○공항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30

〈표 3.8.20〉 ○○항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 531

〈표 3.8.21〉 ○○항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계선주, 차막이) 532

〈표 3.8.22〉 ○○항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계선주, 차막이) 533

〈표 3.8.23〉 ○○권 광역상수도 강재 내구성 현장검증 결과 533

〈표 3.8.24〉 ○○권 광역상수도 서비스 성능 현장검증 결과 534

〈표 3.9.1〉 리포트 카드 평가대상 시설물 540

〈표 3.9.2〉 리포트카드 평가지표 및 정의 541

〈표 3.9.3〉 리포트카드 평가등급 분류 542

〈표 3.9.4〉 시설물별 성능간 가중치 546

〈표 3.9.5〉 시설물별 성능간 가중치 548

〈표 3.9.6〉 시설물별 종합성능평가지수에 따른 성능등급의 판정 550

〈표 3.9.7〉 기존평가체계와 성능중심평가체계의 내구성 평가지표 비교 552

〈표 3.9.8〉 기존평가체계와 성능중심평가체계의 서비스성능 평가지표 비교 553

〈표 3.9.9〉 교량 종합성능평가 프로그램 구성 558

〈표 3.9.10〉 댐 종합성능 평가 프로그램 구성 568

〈표 3.9.11〉 내구성 평가 시트의 구성 572

〈표 3.9.12〉 공항 종합성능 평가 프로그램의 구성 580

〈표 3.9.13〉 내구성 평가 시트의 구성 584

〈표 3.10.1〉 다목적댐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8

〈표 3.10.2〉 도로 시설물의 대표인자 607

〈표 3.10.3〉 철도 시설물의 대표인자 608

〈표 3.10.4〉 하천 및 댐 시설물의 대표인자 608

〈표 3.10.5〉 공항 시설물의 대표인자 609

〈표 3.10.6〉 항만 / 어항 시설물의 대표인자 610

〈표 3.10.7〉 상수도 시설물의 대표인자 610

〈표 3.10.8〉 현재 도로교량의 안전성 등급 611

〈표 3.10.9〉 최초 진단시 도로교량의 안전성 등급 612

〈표 3.10.10〉 도로 기능별 구분과 일반적 계획지침 613

〈표 3.10.11〉 2015년 일반국도 일 교통량별 현황 614

〈표 3.10.12〉 대상 시설물(도로교량)의 우회거리(km) 도시 615

〈표 3.10.13〉 우회거리에 따른 사용자비용 616

〈표 3.10.14〉 2015년 일반국도 차선당 중차량 통행량 현황 617

〈표 3.10.15〉 현재 철도교량의 안전성 등급 619

〈표 3.10.16〉 최초 진단시 철도교량의 안전성 등급 620

〈표 3.10.17〉 현재 도로터널의 안전성 등급 625

〈표 3.10.18〉 최초 진단시 도로터널의 안전성 등급 626

〈표 3.10.19〉 도로 기능별 구분과 일반적 계획지침 627

〈표 3.10.20〉 2015년 일반국도 일 교통량별 현황 628

〈표 3.10.21〉 대상 시설물(도로터널)의 우회거리 629

〈표 3.10.22〉 우회거리에 따른 사용자비용 630

〈표 3.10.23〉 현재 철도터널의 안전성 등급 631

〈표 3.10.24〉 최초 진단시 철도터널의 안전성 등급 632

〈표 3.10.25〉 현재 도로옹벽의 안전성 등급 636

〈표 3.10.26〉 최초 진단시 도로옹벽의 안전성 등급 637

〈표 3.10.27〉 현재 철도옹벽의 안전성 등급 639

〈표 3.10.28〉 최초 진단시 철도옹벽의 안전성 등급 640

〈표 3.10.29〉 현재 절토사면의 안전성 등급 641

〈표 3.10.30〉 최초 진단시 절토사면의 안전성 등급 642

〈표 3.10.31〉 현재 수문의 안전성 등급 644

〈표 3.10.32〉 최초 진단시 수문의 안전성 등급 645

〈표 3.10.33〉 현재 제방의 안전성 등급 646

〈표 3.10.34〉 최초 진단시 제방의 안전성 등급 647

〈표 3.10.35〉 현재 하굿둑의 안전성 등급 648

〈표 3.10.36〉 최초 진단시 하굿둑의 안전성 등급 648

〈표 3.10.37〉 현재 다목적댐의 안전성 등급 649

〈표 3.10.38〉 최초 진단시 댐의 안전성 등급 650

〈표 3.10.39〉 각 공항별 운영 정보 (한국공항공사 항공통계) 651

〈표 3.10.40〉 공항 시설물 중 1종 건축물 점검 / 진단 결과... 652

〈표 3.10.41〉 현재 항만의 안전성 등급 653

〈표 3.10.42〉 최초 진단 시 항만의 안전성 등급 654

〈표 3.10.43〉 "화물량×하역능력"자료(해양수산부 통계연보 자료) 659

〈표 3.10.44〉 상태지수에 의한 평가기준 661

〈표 3.10.45〉 현재 상하수도의 안전성 등급 662

〈표 3.10.46〉 최초 진단시 상하수도의 안전성 등급 663

〈표 3.10.47〉 1단계 시범적용 대상 시설물 현황 664

〈표 3.10.48〉 결함도 점수 범위에 따른 목표종합성능등급의 분류기준 666

〈표 3.10.49〉 상태평가 결과 (2015년 기준) 666

〈표 3.10.50〉 목표 결함도 범위 (0.20≤X〈0.26) 시뮬레이션 결과 667

〈표 3.10.51〉 B등급 (0.20≤X〈0.26)을 만족하기 위한 소요예산 결과 667

〈표 3.10.52〉 목표 결함도 범위(0.13≤X〈0.20) 시뮬레이션 결과 668

〈표 3.10.53〉 B등급 (0.13≤X〈0.20)을 만족하기 위한 소요예산 결과 668

〈표 3.10.54〉 목표 결함도 범위 (0≤X〈0.13) 시뮬레이션 결과 669

〈표 3.10.55〉 A등급 (0≤X〈0.13)을 만족하기 위한 소요예산 결과 669

〈표 3.11.1〉 프로젝트 레벨 우선순위 절차 726

〈표 3.11.2〉 프로젝트 레벨 우선순위 절차 727

〈표 3.11.3〉 관리주체단위 의사결정 과정 730

〈표 3.11.4〉 시설물 유지관리시 고려하여야 할 정성적 요소 731

〈표 3.11.5〉 도로교량 시설물에 대한 성능지표 및 조치 사례 739

〈표 3.11.6〉 도로교량 성능 예측 모델 사례 739

〈표 3.11.7〉 비용 추정 모델 개발과정 740

〈표 3.11.8〉 비용 추정 사례 740

〈표 3.11.9〉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우선순위별 점수 사례 741

〈표 3.11.10〉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가중치 사례 741

〈표 3.11.11〉 사례분석 시설물 현황 I 744

〈표 3.11.12〉 사례분석 시설물 현황 II 744

〈표 3.11.13〉 시설물에 관한 국민 안전 인식도 751

〈표 3.11.14〉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 부실화 원인 751

〈표 3.11.15〉 시설물 관리주체의 예산확보 수준 751

〈표 3.11.16〉 CSMS 운영 내용 755

〈표 3.11.17〉 성능지표 설정의 예시 759

〈표 3.11.18〉 성능지표 선정 규칙 760

〈표 3.11.19〉 시설물 점검 주기 761

〈표 3.11.20〉 중요성 기준에 대한 예시 763

〈표 3.11.21〉 국내에 리스크관리를 적용할 경우 하수도 리스크 관리 항목 정의 764

〈표 3.11.22〉 비용편익 분석 절차 767

〈표 3.11.23〉 터널보수 내용 및 비용추세식 771

〈표 3.11.24〉 절토사면 보수 내용 및 비용추세식 772

〈표 3.11.25〉 성토사면 보수 내용 및 비용추세식 772

〈표 3.11.26〉 교량 주요 조치 비용 772

〈표 3.11.27〉 댐 주요 조치 비용 778

〈표 3.11.28〉 수문 주요 조치 비용 778

〈표 3.11.29〉 제방 주요 조치 비용 778

〈표 3.11.30〉 시설물별 AHP 결과 784

〈표 3.11.31〉 시설물별 AHP 결과 (계속) 785

〈표 3.11.32〉 ○○대교 부재별 손상내역 및 공사비 786

〈표 3.11.33〉 안전성 가중치 787

〈표 3.11.34〉 내구성 가중치 788

〈표 3.11.35〉 서비스 성능(사용성) 가중치 788

〈표 3.11.36〉 성능간 가중치 788

〈표 3.11.37〉 공법별 가중치 산정 789

〈표 3.11.38〉 우선순위지수 산정 결과 790

〈표 3.11.39〉 순위에 따른 필요예산 분석 결과 791

〈표 3.11.40〉 ○○공항 개별시설별 손상내역 및 공사비 792

〈표 3.11.41〉 안전성 가중치 793

〈표 3.11.42〉 층별 가중치 산정의 예 794

〈표 3.11.43〉 서비스 성능(사용성) 가중치 794

〈표 3.11.44〉 성능간 가중치 794

〈표 3.11.45〉 공법별 가중치 산정 795

〈표 3.11.46〉 가중치 산출과정 사례 796

〈표 3.11.47〉 우선순위지수 산정 결과 797

〈표 3.11.48〉 순위에 따른 필요예산 분석 결과 798

〈표 3.11.49〉 세부지표별 예산분류 (도로교량) 799

〈표 3.11.50〉 우선순위 항목 (도로교량) 800

〈표 3.11.51〉 우선순위 평가점수 (도로교량) 801

〈표 3.11.52〉 우선순위 평가점수 산정 과정 (난간) 802

〈표 3.11.53〉 주요 조치방안 (도로교량) 802

〈표 3.11.54〉 세부지표별 예산 배정 (공항 시설물) 803

〈표 3.11.55〉 우선순위 항목 (공항 시설물) 804

〈표 3.11.56〉 공항 규모 구분 804

〈표 3.11.57〉 심각도 분류기준에 의한 심각도 산정 805

〈표 3.11.58〉 발생가능성 분류기준에 의한 발생가능성 산정 805

〈표 3.11.59〉 위험평가 매트릭스에 의한 위험수준 판정 805

〈표 3.11.60〉 위험도 및 조치수준 매트릭스에 의한 조치수준 결정 806

〈표 3.11.61〉 우선순위 평가점수 산정 예시 806

〈표 3.11.62〉 주요 조치방안 (공항 시설물) 807

〈표 3.11.63〉 부재별 우선조치 대상 항목 (교량-상부구조) 809

〈표 3.11.64〉 개별시설별 우선조치 대상 항목 810

〈표 3.12.1〉 시설물 대상 및 참고 자료 목록 815

〈표 3.12.2〉 시설물별 적용 추정방법 816

〈표 3.12.3〉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도로포장) 817

〈표 3.12.4〉 포장형식별 유지보수 현황 817

〈표 3.12.5〉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도로교량) 819

〈표 3.12.6〉 터널의 유지보수 항목 821

〈표 3.12.7〉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도로터널) 821

〈표 3.12.8〉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도로사면) 822

〈표 3.12.9〉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철도사면) 822

〈표 3.12.10〉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철도교량) 823

〈표 3.12.11〉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철도터널) 825

〈표 3.12.12〉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항만시설) 826

〈표 3.12.13〉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댐) 827

〈표 3.12.14〉 유지관리비 산정 사례 828

〈표 3.12.15〉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공항) 828

〈표 3.12.16〉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상수도) 830

〈표 3.12.17〉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제방, 보, 하구둑, 수문) 831

〈표 3.12.18〉 분석 대상 시설물 현황(국가어항) 832

〈표 3.12.19〉 대상 시설물 유지보수 총액 833

〈표 3.12.20〉 국토교통부 대상 시설물 유지보수 추정액 833

〈표 3.12.21〉 심각도 분석 기준 838

〈표 3.12.22〉 정보시스템 기능 측면 요구사항 수집 838

〈표 3.12.23〉 도로 시설물(DB 목록) 840

〈표 3.12.24〉 철도 시설물(DB 목록) 841

〈표 3.12.25〉 기타 시설물(DB 목록) 841

〈표 3.12.26〉 정보시스템 단계별 구축방안 843

〈표 3.12.27〉 관리목표 및 성과지표 846

〈표 3.12.28〉 전담팀 업무 전략 및 계획(안) 848

〈표 3.13.1〉 ASCE 리포트카드 년도별 및 시설물별 대표등급 변화 (ASCE, 2013) 853

〈표 3.13.2〉 ASCE 등급분류 체계 및 정의 (ASCE, 2013 / 2016) 855

〈표 3.13.3〉 평가지표별 주요 평가내용 (ASCE, 2013 / 2016) 857

〈표 3.13.4〉 대표등급 평가인자 (도로 / 철도 시설물 - 교량) 859

〈표 3.13.5〉 도로 교량에 대한 가중치 적용 사례 (미국 루이지에나) 860

〈표 3.13.6〉 델파이분석 : 성능평가 항목별 중요도 분석 예 862

〈표 3.13.7〉 델파이분석 : 성능평가 항목별 최종반영 여부 결정 예 863

〈표 3.13.8〉 AHP분석 : 지표간 가중치 결정을 위한 조사양식 (강재내구성 분야 사례) 863

〈표 3.13.9〉 교량 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68

〈표 3.13.10〉 터널 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69

〈표 3.13.11〉 사면 / 옹벽 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69

〈표 3.13.12〉 포장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70

〈표 3.13.13〉 하천 시설물(댐 / 하굿둑 / 수문 / 제방)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70

〈표 3.13.14〉 항만 및 어항 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71

〈표 3.13.15〉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평가지표간 가중치(안) 871

〈표 3.14.1〉 시범적용 대상시설물 875

〈표 3.14.2〉 시범적용 추진일정 877

〈표 3.14.3〉 교량 성능지표 점검표 881

〈표 3.14.4〉 터널 성능지표 점검표 883

〈표 3.14.5〉 옹벽(보강토옹벽) 성능지표 점검표 884

〈표 3.14.6〉 옹벽(콘크리트옹벽) 성능지표 점검표 885

〈표 3.14.7〉 비탈면 성능지표 점검표 886

〈표 3.14.8〉 다목적댐 성능지표 점검표 887

〈표 3.14.9〉 하굿둑 성능지표 점검표 889

〈표 3.14.10〉 수문 성능지표 적정성 891

〈표 3.14.11〉 제방 성능지표 적정성 892

〈표 3.14.12〉 공항(여객터미널) 성능지표 점검표 893

〈표 3.14.13〉 잔교식 계류시설 성능지표 점검표 894

〈표 3.14.14〉 중력식 계류시설 성능지표 점검표 895

〈표 3.14.15〉 널말뚝식 계류시설 성능지표 점검표 896

〈표 3.14.16〉 광역상수도 성능지표 점검표 897

〈표 3.14.17〉 시설물별 만족도 지표 분석 결과(계속) 899

〈표 3.14.18〉 평균점수별 만족도 901

〈표 5.1.1〉 연구분야별 세부기술 및 핵심성과물의 활용방안 921

〈표 5.3.1〉 연구결과의 기업 활용방안 924

〈표 5.4.1〉 전부개정 시특법 및 시행령 개정안 성능평가 관련 주요 조문 926

〈표 5.4.2〉 연구성과 활용을 통한 법 이행 세부추진과제 목록 926

〈표 5.5.1〉 미국 각 주별 예방 유지관리 조치 현황 예(교량 중심) 938

〈표 6.1.1〉 해외 각국의 대표적 성능평가 시행 사례 943

〈표 6.2.1〉 MAP-21 의 구성 944

〈표 6.2.2〉 점검체계별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항목 948

〈표 6.2.3〉 콘크리트 건축물 평가기준 949

〈표 6.2.4〉 콘크리트 건축물 균열에 대한 보수 여부 판단기준 950

〈표 6.2.5〉 일본 토목연구소의 판정기준 950

〈표 6.2.6〉 도장 강재의 상태등급 평가기준 952

〈표 6.2.7〉 이음부 부근 거더 단부에 대한 도장열화 등급 평가기준(MDOT, 2017) 952

〈표 6.2.8〉 내후성 교량 강재의 상태등급 평가기준 953

〈표 6.2.9〉 국가별 서비스성능 평가 적용개념 954

〈표 6.2.10〉 국가별 대상 시설물 및 평가지표 955

〈표 6.2.11〉 해외 성능평가지표 대비 개발지표 비교 955

〈표 6.2.12〉 미국 MAP-21 법안의 목표별 주요내용 및 의미 960

〈표 6.2.13〉 기존 및 MAP-21 프로그램의 비교 961

〈표 6.2.14〉 교통부 예산의 전략적 운송수단 예산 분배 공식 963

〈표 6.2.15〉 고속도로 관리예산 구성 963

〈표 7.1.1〉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964

〈그림 1.1.1〉 미국 인프라시설물별 대표성능등급 현황 72

〈그림 1.1.2〉 국내 시설물 노후화 상태 및 향후 전망 73

〈그림 1.1.3〉 시설물별 사고 및 안전등급 현황 74

〈그림 1.1.4〉 최근 10년간 이상기후로 인한 국내 피해현황 74

〈그림 1.1.5〉 선진국의 SOC 정책 및 기술 개발 동향 75

〈그림 1.1.6〉 한국의 시설물 경과연수 76

〈그림 1.1.7〉 한국의 시설물 안전도 평가 결과 76

〈그림 1.2.1〉 연구개발과제구성 및 정의 82

〈그림 2.1.1〉 시특법에 의한 유지관리 체계 102

〈그림 2.1.2〉 제3차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본계획 비전 및 목표 103

〈그림 2.1.3〉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의 메가트렌드 및 미래사회... 104

〈그림 2.1.4〉 국내 콘크리트 구조물 동결융해 손상위험 분석 결과 105

〈그림 2.1.5〉 대기 오염도 106

〈그림 2.1.6〉 강우 pH 장기변동 조사 106

〈그림 2.1.7〉 교량관리시스템 체계 108

〈그림 2.1.8〉 PSCI 단경간 거더 상태등급 변화모델 및 회귀함수(박승현, 2007) 111

〈그림 2.1.9〉 유지관리 의사결정 지원 프로그램 111

〈그림 2.1.10〉 도로교량 의사결정... 112

〈그림 2.1.11〉 도로포장 의사결정... 112

〈그림 2.1.12〉 사면 보강 의사결정... 112

〈그림 2.1.13〉 항만 유지관리 의사결정... 112

〈그림 2.1.14〉 Bridge and Structure Inspection Program Manual(MDT, 2017) 120

〈그림 2.1.15〉 유럽 전체의 서비스 등급별 분포 125

〈그림 2.1.16〉 Quality of speed, Frequency 축으로 한 서비스 등급별 분포 126

〈그림 2.1.17〉 인프라성능 지속관리체계 시범사업 및 시스템 구축 기획연구 127

〈그림 2.1.18〉 미국 미네소타 주의 교통시설물 성능보고서 예시 128

〈그림 2.1.19〉 미국 미네소타 주의 항공교통 성능 평가 예시 129

〈그림 2.1.20〉 FAA PCI 적용 방법 예시... 130

〈그림 2.1.21〉 Moving Ahead for Progress in 21st Century Act. MAP-21 항목 130

〈그림 2.1.22〉 캐나다 인프라 부서의 예산 배분 계획 136

〈그림 2.1.23〉 각국의 인프라 평가보고서(예) 138

〈그림 2.2.1〉 관리주체별 도로교량의 경과연수 분포도 146

〈그림 2.2.2〉 관리주체별 도로터널의 경과연수 분포도 146

〈그림 2.2.3〉 관리주체별 옹벽의 경과연수 분포도 147

〈그림 2.2.4〉 관리주체별 절토사면의 경과연수 분포도 147

〈그림 2.2.5〉 관리주체별 철도교량의 경과연수 분포도 148

〈그림 2.2.6〉 관리주체별 철도터널의 경과연수 분포도 148

〈그림 2.2.7〉 관리주체별 항만의 경과연수 분포도 149

〈그림 2.2.8〉 관리주체별 댐의 경과연수 분포도 149

〈그림 2.2.9〉 관리주체별 하천 시설물의 경과연수 분포도 150

〈그림 2.2.10〉 관리주체별 수도 시설물의 경과연수 분포도 150

〈그림 2.2.11〉 관리주체별 공공하수처리 시설물의 경과연수 분포도 151

〈그림 2.2.12〉 관리주체별 건축물의 경과연수 분포도 151

〈그림 2.2.13〉 SOC분야 총사업비 예상액(국회예산정책처, 2009) 152

〈그림 2.2.14〉 도로 투자현황 및 도로관리 비교(국토해양부, 2010) 152

〈그림 2.2.15〉 도로 투자비 대비 유지보수비 비중(국토교통부, 2015) 153

〈그림 2.2.16〉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시장현황(한국시설안전공단, 2012) 155

〈그림 2.2.17〉 시설물 유지관리 시장 현황(대한전문건설협회, 각연도) 156

〈그림 2.2.18〉 OECD 회원국의 SOC(교통) 유지·보수 투자 추이(1995~2010년) : ... 157

〈그림 2.2.19〉 미국과 일본 교량 노후화현황 158

〈그림 2.2.20〉 미국 교통 및 수자원 인프라 공공지출 추이(~2014년) 159

〈그림 2.2.21〉 일본 비파괴검사 장치... 161

〈그림 2.2.22〉 세계 비파괴검사 장치... 161

〈그림 2.2.23〉 일본 비파괴검사 시장 구분 161

〈그림 2.2.24〉 미국 비파괴검사 기기의 시장 162

〈그림 2.2.25〉 세계 비파괴검사 타입에 따른 매출 비중 변화 162

〈그림 2.2.26〉 세계 주요 국가들의 사회기반시설물 시장 성숙도의 변화 164

〈그림 2.2.27〉 자산관리 시스템을 통한 시설물 유지관리 예산 배분 과정 164

〈그림 3.1.1〉 미래의 SOC 평가체계 개념도 170

〈그림 3.1.2〉 기술개발 방향 설정 프로세스 171

〈그림 3.1.3〉 ISSUE TREE 176

〈그림 3.1.4〉 기술수요조사 절차 178

〈그림 3.1.5〉 유지관리 선진화 평가체계 항목과... 180

〈그림 3.1.6〉 성능평가 프로세스 선진화 구상 181

〈그림 3.1.7〉 우선순위 산정 평가지표 183

〈그림 3.1.8〉 5대 중점분야 및 최종 과제 추진체계 185

〈그림 3.1.9〉 거시적 단계별 과제 추진 로드맵 186

〈그림 3.1.10〉 세부과제별 개발 필요 핵심요소기술 리스트(안) 187

〈그림 3.1.11〉 5대 중점분야에 대한 파급효과 유형분석 196

〈그림 3.1.12〉 기 수행 또는 수행중인 유지관리 관련 과제... 200

〈그림 3.2.1〉 안전성 평가지표 도출 절차(터널 사례) 214

〈그림 3.2.2〉 예비평가지표에 대한 델파이 기법 적용 사례(터널) 220

〈그림 3.2.3〉 기능상태지수에 따른 조정계수의 구분 241

〈그림 3.2.4〉 평가지수 평가체계 단계별 절차 252

〈그림 3.2.5〉 퍼지적분 개념도 257

〈그림 3.3.1〉 도장 강재 열화요인 (열화진전 요인) 264

〈그림 3.3.2〉 열화 촉진 환경요인 (열화환경 요인) 264

〈그림 3.3.3〉 강재 내구성평가 매뉴얼(안) 개발 과정 264

〈그림 3.3.4〉 대기조건 발청 및 도장열화 열화모델 271

〈그림 3.3.5〉 교량 시설물 열화 데이터 조사 및 취득 과정 272

〈그림 3.3.6〉 실외실험진행 과정 273

〈그림 3.3.7〉 실내실험진행 과정 274

〈그림 3.3.8〉 하천조건 발청 및 도장열화 열화모델 275

〈그림 3.3.9〉 해양조건 발청 및 도장열화 열화모델 275

〈그림 3.3.10〉 실험체 상세도 276

〈그림 3.3.11〉 용접재료 및 용접과정 276

〈그림 3.3.12〉 용접 완료후 실험체 상태 277

〈그림 3.3.13〉 부식촉진실험 장비(Q-FOG) 277

〈그림 3.3.14〉 부식촉진실험 결과 (30일) 277

〈그림 3.3.15〉 초음파 탐상기 278

〈그림 3.3.16〉 초음파 탐상실험 과정 278

〈그림 3.3.17〉 부식열화에 따른 초음파속도 감소율 280

〈그림 3.3.18〉 부식열화에 따른 감쇠계수 증가율 281

〈그림 3.3.19〉 강재시편 282

〈그림 3.3.20〉 실내 염수분무시험 282

〈그림 3.3.21〉 KS D ISO 8407에 따른 표면의 부식 생성물을 제거 283

〈그림 3.3.22〉 제설제 살포횟수에 따른 강재 감소량 283

〈그림 3.3.23〉 농도에 따른 따른 강재 감소량 283

〈그림 3.3.24〉 비래염분 조사지역 및 농도분포 분석 결과 285

〈그림 3.3.25〉 발청 및 도장열화 열화모델 및 종합 등급분류기준(대기조건) 296

〈그림 3.3.26〉 대기환경 세부지표 조사방법 299

〈그림 3.3.27〉 초음파 속도 측정에 기반한 용접부 열화모델 308

〈그림 3.3.28〉 감쇠계수 측정에 기반한 용접부 열화모델 309

〈그림 3.3.29〉 내구등급 산정 절차도 316

〈그림 3.3.30〉 교량 시설물 강박스거더 열화조사 318

〈그림 3.3.31〉 하굿둑 시설물 갑문 쉬트파일 열화조사 318

〈그림 3.3.32〉 댐 시설물 수문 열화조사 318

〈그림 3.3.33〉 열화모델 검증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강교량 20개소 추가 조사 318

〈그림 3.3.34〉 도장두께 조사 수량 (거더 및 2차부재) 320

〈그림 3.3.35〉 현장검증에 의한 강재 내구성 지표별 평가기준 적합성 검토 327

〈그림 3.4.1〉 콘크리트 내구성평가 프로세스 338

〈그림 3.4.2〉 ○○댐 전경(콘크리트 댐 부분) 339

〈그림 3.4.3〉 ○○댐 전경(필댐 부분) 339

〈그림 3.4.4〉 여수로 340

〈그림 3.4.5〉 댐체 340

〈그림 3.4.6〉 옹벽 전경(시점) 340

〈그림 3.4.7〉 옹벽 전경(중앙부) 340

〈그림 3.4.8〉 배수구 341

〈그림 3.4.9〉 상단부 341

〈그림 3.4.10〉 수문(상류측) 342

〈그림 3.4.11〉 갑문(상류측) 342

〈그림 3.4.12〉 갑문 표면 균열 343

〈그림 3.4.13〉 갑문 표면 균열 343

〈그림 3.4.14〉 교량 박스 거더 내부 백태 343

〈그림 3.4.15〉 철도교량 전경(시점) 344

〈그림 3.4.16〉 철도교량 전경(중앙부) 344

〈그림 3.4.17〉 ○○교 열화 사진 345

〈그림 3.4.18〉 ○○공항 전경 346

〈그림 3.4.19〉 지하층 콘크리트 346

〈그림 3.4.20〉 활주로측 외벽 콘크리트 346

〈그림 3.4.21〉 토양채취 위치(상수도 시설) 347

〈그림 3.4.22〉 수로터널 조사장면 347

〈그림 3.4.23〉 강관 삽입 수로터널 347

〈그림 3.4.24〉 피복 콘크리트 품질 평가_장항항 348

〈그림 3.4.25〉 간만대 표면부 콘크리트 348

〈그림 3.4.26〉 비래염분 환경하의 염화물... 349

〈그림 3.4.27〉 비래염분 환경하의 2개... 349

〈그림 3.4.28〉 동결융해 싸이클에 따른... 352

〈그림 3.4.29〉 동결융해 싸이클에 따른... 352

〈그림 3.4.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비래염분량 측정 자료 355

〈그림 3.4.31〉 해상 특수교의 높이별 비래염분량 조사_영종대교 예시 358

〈그림 3.4.32〉 해상교량의 비래염분포집기 설치 장면 359

〈그림 3.4.33〉 거북선대교 주탑의 높이별... 359

〈그림 3.4.34〉 제2남해대교 주탑의 높이별... 359

〈그림 3.4.35〉 국도상 교량의 높이별 비래염분량 360

〈그림 3.4.36〉 고속도로에서의 제설제 사용량과 강설횟수, 강설량간의 상관성 361

〈그림 3.4.37〉 동결융해 일수 비교 결과 365

〈그림 3.4.38〉 76개 관측지점에 대한 등급 평가 결과 비교 366

〈그림 3.4.39〉 제설제환경의 등급별 분포 366

〈그림 3.4.40〉 도로옹벽에 설치된 비래염분 포집장치 367

〈그림 3.4.41〉 도로옹벽의 높이별 비래염분량 368

〈그림 3.4.42〉 도로옹벽의 높이별 비래염분량 368

〈그림 3.4.43〉 도로터널의 높이별 비래염분량 369

〈그림 3.4.44〉 도로터널의 내부의 깊이별 비래염분량 370

〈그림 3.4.45〉 76개 관측지점의 동결융해 싸이클 수 374

〈그림 3.4.46〉 동해환경의 등급별 분포 375

〈그림 3.5.1〉 간극률과 경도계 Hardness(Scale's length)의 관계 (김찬용 외. 2010) 400

〈그림 3.5.2〉 토양경도계의 Hardness와 토질지반 내부마찰각 관계 401

〈그림 3.5.3〉 산중식 토양경도계 구조 404

〈그림 3.5.4〉 간이 동적콘관입시험(D.C.P.T) 결과 410

〈그림 3.5.5〉 휴대용 콘관입시험기를 이용한 비탈면 지반상태 평가 411

〈그림 3.7.1〉 성능등급 측정 방법 430

〈그림 3.7.2〉 수리 및 보수의 개념 정립 430

〈그림 3.7.3〉 년차별 연구수행 내용 430

〈그림 3.7.4〉 델파이 조사 예시 432

〈그림 3.7.5〉 웹설문 조사 절차 432

〈그림 3.7.6〉 중요도 산정 방법 452

〈그림 3.7.7〉 서비스성능 등급 산정의 예(교량) 458

〈그림 3.7.8〉 진동사용성 측정(도로교량) 462

〈그림 3.7.9〉 진동사용성의 고유진동수 분석(도로교량) 462

〈그림 3.7.10〉 일반교량의 점검시설 유무 463

〈그림 3.7.11〉 진동사용성 측정(철도교량) 465

〈그림 3.7.12〉 진동사용성의 고유진동수 분석(철도교량) 465

〈그림 3.7.13〉 점검시설(댐) 467

〈그림 3.7.14〉 터널 내 조도 측정 469

〈그림 3.7.15〉 터널 내 대피공간 469

〈그림 3.7.16〉 터널의 방재시설 469

〈그림 3.7.17〉 현장제어반(하굿둑) 470

〈그림 3.7.18〉 권양기(하굿둑) 470

〈그림 3.7.19〉 점검시설(하굿둑) 470

〈그림 3.7.20〉 퇴적(수문) 471

〈그림 3.7.21〉 통수능력(수문) 471

〈그림 3.7.22〉 서비스성능 등급 산정의 예(교량) 475

〈그림 3.8.1〉 이산화황 농도 조사의 예 489

〈그림 3.8.2〉 습도 조사의 예 489

〈그림 3.8.3〉 강설횟수 조사의 예 490

〈그림 3.8.4〉 디지털 버니어캘리퍼스 490

〈그림 3.8.5〉 와이어로프 직경의 올바른 측정의 예 490

〈그림 3.8.6〉 토양 채취 샘플러 492

〈그림 3.8.7〉 4전극법 측정 개요도 493

〈그림 3.8.8〉 동적콘관입 시험기 495

〈그림 3.8.9〉 산중식 경도계 구조 496

〈그림 3.8.10〉 2015년 운행체계 개편 화물열차 현황 511

〈그림 3.8.11〉 환경부 상수도통계 정보 화면 521

〈그림 3.8.12〉 물정보포털서비스 수요 및 용량 정보 화면 521

〈그림 3.8.13〉 피복(표면부) 콘크리트 품질... 528

〈그림 3.8.14〉 공항 서비스 성능 현장 조사(○○공항) 528

〈그림 3.8.15〉 피복(표면부)... 529

〈그림 3.8.16〉 공항 서비스 성능 현장 조사(○○공항) 530

〈그림 3.8.17〉 피복(표면부) 콘크리트 품질 측정(○○권 광역상수도) 534

〈그림 3.9.1〉 종합성능등급 평가체계(안) 545

〈그림 3.9.2〉 AHP 분석 절차 547

〈그림 3.9.3〉 AHP 분석 구조 547

〈그림 3.9.4〉 종합성능 평가 결과산정절차 549

〈그림 3.9.5〉 교량의 종합성능 평가 결과산정절차 557

〈그림 3.9.6〉 프로그램 초기화면 559

〈그림 3.9.7〉 상태적 안전성 평가 - 상부구조형식별 평가 559

〈그림 3.9.8〉 상태적 안전성 평가 - 상부구조형식 종합 560

〈그림 3.9.9〉 구조적 안전성 평가 560

〈그림 3.9.10〉 조적 안전성 평가 561

〈그림 3.9.11〉 발청 및 도장열화 : 세부지표 평가 561

〈그림 3.9.12〉 발청 및 도장열화 : 부재 수준 평가 562

〈그림 3.9.13〉 도장두께 : 경간 수준 평가 562

〈그림 3.9.14〉 도장두께 : 부재 수준 평가 563

〈그림 3.9.15〉 대기환경 563

〈그림 3.9.16〉 대기환경 564

〈그림 3.9.17〉 열화환경 564

〈그림 3.9.18〉 열화진전 평가 : 부재 수준 평가 565

〈그림 3.9.19〉 내구성 평가 : 시설물 수준 565

〈그림 3.9.20〉 사용성 평가 : 시설물 수준 566

〈그림 3.9.21〉 종합성능평가 결과 566

〈그림 3.9.22〉 댐의 종합성능 평가 결과산정절차 567

〈그림 3.9.23〉 프로그램 초기화면 568

〈그림 3.9.24〉 안전성 평가 화면 1 569

〈그림 3.9.25〉 안전성 평가 화면 2 570

〈그림 3.9.26〉 안전성 평가 화면 3 570

〈그림 3.9.27〉 안전성 평가 화면 4 571

〈그림 3.9.28〉 안전성 평가 화면 5 571

〈그림 3.9.29〉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1 572

〈그림 3.9.30〉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2 573

〈그림 3.9.31〉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3 573

〈그림 3.9.32〉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4 574

〈그림 3.9.33〉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5 574

〈그림 3.9.34〉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6 575

〈그림 3.9.35〉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7 575

〈그림 3.9.36〉 강재 내구성 평가 화면 8 575

〈그림 3.9.37〉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화면 1 576

〈그림 3.9.38〉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화면 2 576

〈그림 3.9.39〉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화면 3 577

〈그림 3.9.40〉 콘크리트 내구성 평가 화면 4 577

〈그림 3.9.41〉 내구성 평가 종합 577

〈그림 3.9.42〉 서비스성능 평가 578

〈그림 3.9.43〉 종합성능평가 578

〈그림 3.9.44〉 댐 종합성능평가 초기화면 (평가 종료 후) 578

〈그림 3.9.45〉 공항의 종합성능 평가 결과산정절차 579

〈그림 3.9.46〉 프로그램 초기화면 581

〈그림 3.9.47〉 안전성 평가 화면 1 581

〈그림 3.9.48〉 안전성 평가 화면 2 582

〈그림 3.9.49〉 안전성 평가 화면 3 582

〈그림 3.9.50〉 안전성 평가 화면 4 583

〈그림 3.9.51〉 안전성 평가 화면 5 583

〈그림 3.9.52〉 내구성 평가 화면 1 584

〈그림 3.9.53〉 내구성 평가 화면 2 585

〈그림 3.9.54〉 내구성 평가 화면 3 585

〈그림 3.9.55〉 내구성 평가 화면 4 586

〈그림 3.9.56〉 내구성 평가 화면 5 586

〈그림 3.9.57〉 내구성 평가 화면 6 587

〈그림 3.9.58〉 내구성 평가 화면 7 587

〈그림 3.9.59〉 내구성 평가 화면 8 588

〈그림 3.9.60〉 내구성 평가 화면 9 588

〈그림 3.9.61〉 서비스 성능 589

〈그림 3.9.62〉 종합성능평가 589

〈그림 3.9.63〉 공항 종합성능평가 초기화면 (평가 종료 후) 589

〈그림 3.10.1〉 도로교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3

〈그림 3.10.2〉 철도교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3

〈그림 3.10.3〉 도로터널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4

〈그림 3.10.4〉 철도터널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4

〈그림 3.10.5〉 도로옹벽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5

〈그림 3.10.6〉 철도옹벽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5

〈그림 3.10.7〉 절토사면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6

〈그림 3.10.8〉 수문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6

〈그림 3.10.9〉 제방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7

〈그림 3.10.10〉 상하수도의 준공 후 사용현황 598

〈그림 3.10.11〉 유럽 전체의 서비스 등급별 분포 600

〈그림 3.10.12〉 전체 결과를 Quality of speed, Frequency 축으로 한... 601

〈그림 3.10.13〉 차량이동 및 도보이동 시 상세 사례 601

〈그림 3.10.14〉 차량이동 및 도보이동 시 상세 사례 602

〈그림 3.10.15〉 재난경보 및 비상대피로를 포함한 앱 정보... 602

〈그림 3.10.16〉 미국 National Highway System의 STRAHNET... 603

〈그림 3.10.17〉 영국 도로분류기준 및 Primary Route Network 도로망... 604

〈그림 3.10.18〉 사례 : 교량분야 성능등급과 목표성능등급의 프로세스 606

〈그림 3.10.19〉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도로교량) 611

〈그림 3.10.20〉 등급별 도로교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12

〈그림 3.10.21〉 2015년 일반국도 일 교통량 분석 613

〈그림 3.10.22〉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614

〈그림 3.10.23〉 대상 시설물(도로교량)의 우회거리(km) 도시 615

〈그림 3.10.24〉 우회거리에 따른 사용자비용(원) 도시 616

〈그림 3.10.25〉 2015년 일반국도 차선당 중차량 통행량 분석 617

〈그림 3.10.26〉 산업단지 밀집지역 예상 구간내 차선당 중차량 통행량 618

〈그림 3.10.27〉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철도교량) 619

〈그림 3.10.28〉 A등급 철도교량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20

〈그림 3.10.29〉 B등급 철도교량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20

〈그림 3.10.30〉 C등급 철도교량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21

〈그림 3.10.31〉 국내 철도노선 분포 622

〈그림 3.10.32〉 국내 철도 일교통량 분포 622

〈그림 3.10.33〉 국내 철도노선의 평균속도 분포 623

〈그림 3.10.34〉 철도노선의 일교통량과 평균속도의 상관관계 623

〈그림 3.10.35〉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도로터널) 625

〈그림 3.10.36〉 등급별 도로터널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26

〈그림 3.10.37〉 2015년 일반국도 일 교통량 분석 627

〈그림 3.10.38〉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628

〈그림 3.10.39〉 터널의 우회거리 629

〈그림 3.10.40〉 우회거리에 따른 사용자비용(원) 도시 630

〈그림 3.10.41〉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철도터널) 631

〈그림 3.10.42〉 등급별 철도터널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32

〈그림 3.10.43〉 국내 철도노선 분포 633

〈그림 3.10.44〉 국내 철도 일교통량 분포 634

〈그림 3.10.45〉 국내 철도노선의 평균속도 분포 634

〈그림 3.10.46〉 철도노선의 일교통량과 평균속도의 상관관계 635

〈그림 3.10.47〉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도로옹벽) 636

〈그림 3.10.48〉 등급별 도로옹벽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37

〈그림 3.10.49〉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철도옹벽) 639

〈그림 3.10.50〉 등급별 철도옹벽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40

〈그림 3.10.51〉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절토사면) 641

〈그림 3.10.52〉 등급별 절토사면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42

〈그림 3.10.53〉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수문) 644

〈그림 3.10.54〉 등급별 수문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45

〈그림 3.10.55〉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제방) 646

〈그림 3.10.56〉 등급별 제방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47

〈그림 3.10.57〉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다목적댐) 649

〈그림 3.10.58〉 등급별 다목적댐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50

〈그림 3.10.59〉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항만) 653

〈그림 3.10.60〉 등급별 항만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 등급 비교 654

〈그림 3.10.61〉 A등급 항만 시설물의 진단 초기 및 현재 등급 비교 655

〈그림 3.10.62〉 B등급 항만 시설물의 진단 초기 및 현재 등급 비교 655

〈그림 3.10.63〉 C등급 항만 시설물의 진단 초기 및 현재 등급 비교 656

〈그림 3.10.64〉 항만별 선박입출항 화물량(2013~2015 3년간 평균 연간... 657

〈그림 3.10.65〉 선박입출항 화물량 분포도 657

〈그림 3.10.66〉 항만별 하역능력(2013~2015 3년간 평균 하역능력) 658

〈그림 3.10.67〉 하역능력 분포도(해양수산부 통계연보 자료) 658

〈그림 3.10.68〉 선박입출항 화물량과 하역능력 분포도 659

〈그림 3.10.69〉 화물량과 하역능력에 따른 항만별 통계분석 660

〈그림 3.10.70〉 접안능력 분포도(단위 : 항만 개소) 661

〈그림 3.10.71〉 현재의 안전성 위주의 성능등급(상하수도) 662

〈그림 3.10.72〉 등급별 상하수도 시설물의 진단초기 및 현재상태등급 비교 663

〈그림 3.10.73〉 ○○대교(구) 시설물의 목표성능등급 상향 시 소요되는 비용 670

〈그림 3.11.1〉 프로젝트 레벨 투자우선순위 725

〈그림 3.11.2〉 네트워크 레벨 투자우선순위 모델 개요 725

〈그림 3.11.3〉 프로젝트 레벨 의사결정 과정 726

〈그림 3.11.4〉 네트워크 레벨 우선순위 평가 절차 728

〈그림 3.11.5〉 네트워크 레벨 우선순위 평가 기본 과정 729

〈그림 3.11.6〉 위원회를 통한 의사결정 수행 절차 731

〈그림 3.11.7〉 목표성능과 평가 성능간 비교 분석(GAP) 737

〈그림 3.11.8〉 가상 시나리오 분석 예 738

〈그림 3.11.9〉 비용분석을 위한 개발 모델 738

〈그림 3.11.10〉 도로교량 시설물에 대한 성능 예측 모델 740

〈그림 3.11.11〉 기본 분석 과정 742

〈그림 3.11.12〉 확장 분석 과정 743

〈그림 3.11.13〉 사례 분석 결과(예산을 전혀 배정하지 않았을 경우) 745

〈그림 3.11.14〉 사례 분석 결과(기능성 예산만 투자한 경우) 745

〈그림 3.11.15〉 사례 분석 결과(기본분석-평가성능에 따른 최적시기 예산 배정) 746

〈그림 3.11.16〉 사례 분석 결과(확장분석) 746

〈그림 3.11.17〉 기본분석 및 확장분석에 대한 예산 예측 결과 747

〈그림 3.11.18〉 기본분석 연차별 투자 금액 747

〈그림 3.11.19〉 확장분석 연차별 투자 금액 748

〈그림 3.11.20〉 제1, 2종 시설물 Vs. 기타... 750

〈그림 3.11.21〉 안전등급 시설물 비중... 750

〈그림 3.11.22〉 BMS 의사결정 알고리즘 753

〈그림 3.11.23〉 TMS 의사결정 알고리즘 754

〈그림 3.11.24〉 CSMS 개념도 755

〈그림 3.11.25〉 포장관리시스템 흐름도 756

〈그림 3.11.26〉 아스팔트포장 구간의 보수공법결정체계 흐름도 757

〈그림 3.11.27〉 항만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구성도 757

〈그림 3.11.28〉 수자원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흐름도 758

〈그림 3.11.29〉 수도분야 정보시스템 흐름도 759

〈그림 3.11.30〉 시설물의 자산관리 절차에서 성능수준 760

〈그림 3.11.31〉 위험관리 절차 762

〈그림 3.11.32〉 고속도로 교량 예산 및 유지보수 단가(좌 : 2013년, 우 : 2014년) 769

〈그림 3.11.33〉 지역본부별 신축이음 단가(m당 196만원) 770

〈그림 3.11.34〉 지역본부별 강교도장 단가(공법별로 편차가 큼) 770

〈그림 3.11.35〉 지역본부별 단면보수 단가 770

〈그림 3.11.36〉 지역본부별 균열보수(수지주입공법) 단가 771

〈그림 3.11.37〉 지역본부별 균열보수(표면처리공법) 단가 771

〈그림 3.11.38〉 댐에 대한 단위면적당 손상 표준량 비율 773

〈그림 3.11.39〉 수문에 대한 단위면적당 손상 표준량 비율 773

〈그림 3.11.40〉 제방에 대한 단위면적당 손상 표준량 비율 774

〈그림 3.11.41〉 댐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774

〈그림 3.11.42〉 댐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계속) 775

〈그림 3.11.43〉 수문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776

〈그림 3.11.44〉 수문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계속) 777

〈그림 3.11.45〉 제방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777

〈그림 3.11.46〉 제방에 대한 공용년수 대비 표준 손상량 (계속) 778

〈그림 3.11.47〉 업종에 대한 설문 참여 현황 779

〈그림 3.11.48〉 경력에 대한 설문 참여 현황 779

〈그림 3.11.49〉 경력에 대한 설문 참여 현황 (계속) 780

〈그림 3.11.50〉 공항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1〉 어항 / 항만 시설물... 783

〈그림 3.11.52〉 상수도 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3〉 교량 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4〉 터널 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5〉 비탈면 시설물... 783

〈그림 3.11.56〉 수문 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7〉 옹벽 시설물 예산... 783

〈그림 3.11.58〉 제방 / 하구둑... 784

〈그림 3.11.59〉 댐 시설물 예산... 784

〈그림 3.12.1〉 도로포장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17

〈그림 3.12.2〉 교량 성능예측 및 비용 추정 사례 819

〈그림 3.12.3〉 도로종류별 교량 현황 819

〈그림 3.12.4〉 도로교량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0

〈그림 3.12.5〉 도로교의 부재별 비용 예측 결과 820

〈그림 3.12.6〉 도로터널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1

〈그림 3.12.7〉 도로사면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2

〈그림 3.12.8〉 철도사면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3

〈그림 3.12.9〉 철도교량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4

〈그림 3.12.10〉 철도교량의 부재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4

〈그림 3.12.11〉 철도터널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5

〈그림 3.12.12〉 항만시설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6

〈그림 3.12.13〉 댐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7

〈그림 3.12.14〉 공항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29

〈그림 3.12.15〉 상수도 시설(관로)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30

〈그림 3.12.16〉 하천 시설물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31

〈그림 3.12.17〉 국가어항의 연간 유지보수 비용 예측 결과 832

〈그림 3.12.18〉 시설물 부재별 성능예측모델 개발 기법 834

〈그림 3.12.19〉 연간 손상 발생량 산정 835

〈그림 3.12.20〉 예산에 따른 시설물 군 성능 변화 사례 836

〈그림 3.12.21〉 선진유지관리(자산관리)와 위험도분석 관계 836

〈그림 3.12.22〉 위험도 등급별 관리 기준 사례 837

〈그림 3.12.23〉 GIS 및 빅데이터 고급 통계 분석(성능예측) 툴 개발 사례 842

〈그림 3.12.24〉 예측모델개발 및 DB 구축 소요기간 843

〈그림 3.12.25〉 기반시설물 자산관리통합시스템 기본프레임워크 844

〈그림 3.12.26〉 시설물 점검 방식 최적화 방법 846

〈그림 3.12.27〉 시설물 자산 가치 평가 방법 사례 847

〈그림 3.12.28〉 유지관리체계 및 위원회 구성 방안 847

〈그림 3.13.1〉 각국의 인프라 평가보고서 852

〈그림 3.13.2〉 국가적 차원의 ASCE 리포트 카드 위원회 (ASCE, 2013 / 2016) 855

〈그림 3.13.3〉 미국의 대표 성능등급 산정 절차 (ASCE, 2013 / 2016) 855

〈그림 3.13.4〉 자료분석 및 등급산정 절차 859

〈그림 3.13.5〉 공용년수에 따른 재정확보 비율 추이 861

〈그림 3.13.6〉 댐 시설물 대표등급 산정 사례(미국 루이지에나 주) 862

〈그림 3.13.7〉 대표등급 산정 절차 예시(미국 ASCE) 864

〈그림 3.13.8〉 미국의 지역별 구조적 결함 및 기능성 퇴화 교량 분포도(미국 ASCE) 866

〈그림 3.13.9〉 미국 년도별 구조적 결함 및 기능적 퇴화 교량 개수(미국 ASCE) 866

〈그림 3.13.10〉 2000-2010년도 National Highway System (NHS)교량 결함률(미국 ASCE) 867

〈그림 3.13.11〉 응답자 전공분야 분포 868

〈그림 3.14.1〉 시범적용과 R&D의 역할 874

〈그림 3.14.2〉 시범적용 절차 878

〈그림 3.14.3〉 시범적용 결과 검토 방법 880

〈그림 5.1.1〉 성능중심 평가절차 및 각 연구분야의 기여도 920

〈그림 5.2.1〉 SOC시설물 성능평가시스템 구축 개념도(예) 923

〈그림 5.4.1〉 기존 국내 시설물 안전관리 관련 제도 925

〈그림 5.5.1〉 30년 이상 노후시설물 증가 추세 예측... 937

〈그림 6.1.1〉 성능중심 평가체계 시행 관련 해외 사례 (예 : 미국) 942

〈그림 6.1.2〉 예방적 유지보수 비용과 재가설 비용 비교 943

〈그림 6.2.1〉 Highway Trust Fund 예측(한국시설안전공단, 2014) 944

〈그림 6.2.2〉 미래의 부문별 SOC 투자액 추계 945

〈그림 6.2.3〉 교통투자계획의 비용편익 분석 예시 946

〈그림 6.2.4〉 사회기반시설 유지관리 및 개량비용의 추정 947

〈그림 6.2.5〉 Bridge and Structure Inspection Program Manual 951

〈그림 6.2.6〉 유럽 전체의 LOS 등급별 분포 956

〈그림 6.2.7〉 Quality of speed, Frequency 축으로 한 LOS 등급별... 957

〈그림 6.2.8〉 피상대피로 및 교통수단별 대피시간 분석 사례 957

〈그림 6.2.9〉 차량이동 및 도보이동 분석 사례 958

〈그림 6.2.10〉 비상대피로 파악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958

〈그림 6.2.11〉 미국 National Highway System의 STRAHNET(FHWA) 959

〈그림 6.2.12〉 영국 도로 목표성능등급 제도 적용 사례(Department for Transport, 2012) 959

〈그림 6.2.13〉 MAP-21 법안에 의한 시행 프로그램 비전 96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48704 620.86 -17-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48705 620.86 -17-3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