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외항만개발협력사업 다변화방안 연구용역 : 항만운영정보시스템 / 해양수산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해양수산부, 2016
청구기호
387.1 -17-12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서식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73725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책임자: 김찬호
부록: 1. 한국과 라오스 간 LOI(Letter Of Intent) ; 2. 전자정부지원사업 수요조사 양식 ; 3. Port-MIS english version development environment guide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 수록됨
부록/보유자료:해외항만개발협력사업 다변화방안 연구용역 : 항만물류정보화사업 해외진출전략 수립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6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7

제2장 국내외 항만물류정보시스템 및 표준화 동향 18

제1절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 현황 20

1. 공공부문 20

2. 민간부문 47

3. 기술 및 법제도 현황 50

4. 시사점 53

제2절 국외 항만물류정보시스템 현황 55

1. 싱가포르 항만청(PSA)의 PORTNET 55

2. 홍콩 HIT의 OnePort, 3P, nGen, PIONEER 57

3. 일본의 수출입정보시스템(NACCS) 59

4. 네덜란드의 PORTBASE 61

5. 벨기에 앤트워프 항만의 APCS, Descartes GLN 64

6. 중국의 e-Port 66

7. 독일의 DAKOSY 68

8. 시사점 70

제3절 항만물류정보분야의 국제 표준 동향 74

1. IMO 해상교통분야 국제 표준화 현황 74

2. EU의 항만물류정보 표준화 추진 현황 83

3. 세계 관세기구(WCO)의 표준화 적용 현황 86

제4절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글로벌 적합성 88

1. 글로벌 적합성 개요 88

2. 글로벌 적합성의 유형과 조건 90

3.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표준화 전략방향 92

4. 시사점 94

제3장 해외 진출 대상국가 및 항만 선정 96

제1절 해외진출 성공사례 분석 98

1. 우리나라 정보시스템의 해외진출 성공사례 98

2. 항만물류정보시스템 해외진출 사례 110

3. 항만개발 분야의 해외진출 사례 113

4. 시사점 120

제2절 해외진출 대상 국가(항만) 선정 방법 121

1. 중점 추진 대상 국가 선정 방법 121

2. 중점 추진 대상 항만 선정 방법 132

제3절 대상 국가별 주요 현황 134

제4장 해외진출 추진전략 164

제1절 비전 및 전략 166

제2절 단계별 사업 추진 방안 167

1. 사업 추진 시 고려 사항 167

2. 단계별 추진절차 167

제3절 사업 추진 단계별 주체의 역할 170

제4절 예산 확보 방안 177

1.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해외진출 사업 예산 확보 방안 177

2. 주요 예산 지원분야별 사업 추진 일정 179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92

1. 해양수산부 자체 예산확보를 통한 적극적인 해외 진출 모색 필요 194

2. 항만운영정보시스템의 모듈화를 통한 진출방안 다변화 194

3. 해외 컨설팅 전문기관 확보 및 유관기관과 공동 진출 모색 195

4.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에 대한 적극적인 국제 홍보 강화 195

5. 민간 기업과의 협력 강화 195

6. 패키지형 사업 추진 196

7. 지속적인 수요 발굴 196

8. 태평양 도서 국가와의 협력 강화 197

부록 198

부록 1. 한국과 라오스 간 LOI(Letter Of Intent) 200

부록 2. 전자정부지원사업 수요조사 양식 206

부록 3. Port-MIS English Version Development Environment Guide 214

〈표 2-1〉 Port-MIS 구축 현황 21

〈표 2-2〉 권역별 Port-MIS 업체등록현황(16년 9월 기준) 21

〈표 2-3〉 Port-MIS 민원신고 종류 25

〈표 2-4〉 주요 서비스 내용 28

〈표 2-5〉 유관 정보시스템 서비스 현황 30

〈표 2-6〉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GCTS) 구성 31

〈표 2-7〉 실시간 물류추적 정보서비스 구성 내용 33

〈표 2-8〉 위험물 컨테이너 관리시스템(Port-DMS) 시스템 구성 35

〈표 2-9〉 수출입물류지원정보시스템 구성 37

〈표 2-10〉 수출입물류지원정보시스템 서비스 및 기능 39

〈표 2-11〉 해운항만물류협업시스템(u-SCM) 구성 40

〈표 2-12〉 해운종합정보시스템 42

〈표 2-13〉 해운종합정보시스템 주요 서비스 및 기능 43

〈표 2-14〉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특징 50

〈표 2-15〉 항만물류통합정보체계 구축 및 운영 관련 법제도 52

〈표 2-16〉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 현황 53

〈표 2-17〉 PORTNET의 주요 서비스 56

〈표 2-18〉 Portbase의 주요 서비스 63

〈표 2-19〉 중국 e-Port 주요 서비스 67

〈표 2-20〉 DAKOSY 주요 서비스 69

〈표 2-21〉 글로벌 적합성 정책적 협력 방안 90

〈표 3-1〉 전자정부의 주요 수출품목 현황 101

〈표 3-2〉 전자정부 해외진출을 위한 공통기반 조성과제 101

〈표 3-3〉 전자정부 해외진출을 위한 타부처 지원과제 102

〈표 3-4〉 UNI-PASS 해외진출 사업 현황 105

〈표 3-5〉 UNI-PASS 구성 시스템 105

〈표 3-6〉 UNI-PASS 패키지 주요 특징 106

〈표 3-7〉 UNI-PASS 고객접근 전략 107

〈표 3-8〉 UNI-PASS 수출 현황 108

〈표 3-9〉 해외 진출 추진 현황 110

〈표 3-10〉 국내 항만물류정보시스템 미흡 요인 112

〈표 3-11〉 우리나라의 해외항만개발사업 추진 현황 116

〈표 3-12〉 2015년 ODA 중점협력국 121

〈표 3-13〉 해양수산부의 해외항만개발협력사업 추진 대상 국가 121

〈표 3-14〉 항만운영정보시스템 관련 사전타당성조사 수행 및 사업 추진 대상 국가 122

〈표 3-15〉 대상국가별 시장성 및 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조사 결과 126

〈표 3-16〉 무역효율성의 점수변환표 127

〈표 3-17〉 무역의존도의 점수변환표 127

〈표 3-18〉 국가경제 위험도의 점수변환표 128

〈표 3-19〉 정치사회 위험도의 점수변환표 129

〈표 3-20〉 전자정부 발전도의 점수변환표 129

〈표 3-21〉 사업수행 안정성의 점수변환표 129

〈표 3-22〉 대상국가별 시장성 및 위험성의 점수변환 평가 결과 131

〈표 3-23〉 대상국가 및 항만의 기초 조사 항목 133

〈표 3-24〉 라오스의 일반현황 134

〈표 3-25〉 라오스의 주요 경제현황 및 투자 고려 요인 평가 135

〈표 3-26〉 최근 對라오스 무상 ODA 규모(KOICA 기준) 136

〈표 3-27〉 2014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평가 136

〈표 3-28〉 2014 e-참여지수 평가 136

〈표 3-29〉 2013 정보통신개발지수 136

〈표 3-30〉 2012년 정보통신 주요 통계 136

〈표 3-31〉 라오스의 전자정부 구축 세부목표 및 추진내용 137

〈표 3-32〉 라오스의 전자정부 계획 기대효과 138

〈표 3-33〉 라오스의 주요 수출입 화물 141

〈표 3-34〉 캄보디아의 일반현황 142

〈표 3-35〉 캄보디아의 주요 경제현황 및 투자 고려 요인 평가 143

〈표 3-36〉 최근 對캄보디아 무상 ODA 규모(KOICA 기준) 143

〈표 3-37〉 對캄보디아 EDCF 규모(승인 기준) 144

〈표 3-38〉 2014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평가 144

〈표 3-39〉 2014 e-참여지수 평가 144

〈표 3-40〉 2013 정보통신개발지수 144

〈표 3-41〉 2012 정보통신 주요 통계 144

〈표 3-42〉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입 화물(2015) 148

〈표 3-43〉 필리핀의 일반현황 149

〈표 3-44〉 필리핀의 주요 경제현황 및 투자 고려 요인 평가 150

〈표 3-45〉 최근 對필리핀 무상 ODA 규모(KOICA 기준) 150

〈표 3-46〉 2014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평가 151

〈표 3-47〉 2014 e-참여지수 평가 151

〈표 3-48〉 2013 정보통신개발지수 151

〈표 3-49〉 2012 정보통신 주요 통계 151

〈표 3-50〉 필리핀 주요 항만의 일반화물 처리실적 152

〈표 3-51〉 필리핀 주요항만의 컨테이너 화물처리실적 153

〈표 3-52〉 필리핀 주요항만의 선박입출항 실적 153

〈표 3-53〉 필리핀의 주요 수출입 화물 153

〈표 3-54〉 베트남의 일반현황 154

〈표 3-55〉 베트남의 주요 경제현황 및 투자 고려 요인 평가 155

〈표 3-56〉 2014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평가 156

〈표 3-57〉 2014 e-참여지수 평가 156

〈표 3-58〉 2013 정보통신개발지수 156

〈표 3-59〉 2012 정보통신 주요 통계 156

〈표 3-60〉 베트남 항만별 물동량 157

〈표 3-61〉 베트남의 주요 수출입 화물 158

〈표 3-62〉 미얀마의 일반현황 159

〈표 3-63〉 미얀마의 주요 경제현황 및 투자 고려 요인 평가 160

〈표 3-64〉 2014년 전자정부 발전지수 평가 161

〈표 3-65〉 2014 e-참여지수 평가 161

〈표 3-66〉 2013 정보통신개발지수 161

〈표 3-67〉 2012 정보통신 주요 통계 161

〈표 3-68〉 미얀마 항만의 선박입출항 및 컨테이너 처리실적 162

〈표 3-69〉 미얀마 항만의 선박입출항 및 비컨테이너 실적 162

〈표 3-70〉 미얀마의 주요 수출입 화물 163

〈표 4-1〉 단계별 사업계획 내용 168

〈표 4-2〉 단계별 주요 수행 업무 169

〈표 4-3〉 전자정부 ODA 사업의 집행기관별 주요 업무 171

〈표 4-4〉 발굴 단계에서의 주체별 추진사항 172

〈표 4-5〉 사전조사 단계에서의 주체별 추진사항 173

〈표 4-6〉 계획수립 단계에서의 주체별 추진사항 174

〈표 4-7〉 사업화 단계에서의 주체별 추진사항 175

〈표 4-8〉 사후관리 단계에서의 주체별 추진사항 176

〈표 4-9〉 각 기관별 지원하는 예산의 장단점 비교 178

〈표 4-10〉 전자정부 기본계획에서의 글로벌 전자정부 질서 주도를 위한 추진 내용 179

〈표 4-11〉 개발재원의 형태 181

〈표 4-12〉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통합평가 체계구조 184

〈표 4-13〉 무상협력 사업 중 프로젝트 사업의 진행 절차 186

〈표 4-14〉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 절차 및 과정 188

〈표 4-15〉 한국국제협력단 프로젝트사업 및 EDCF 지원 절차 190

〈그림 1-1〉 연구 범위 및 수행방법 17

〈그림 2-1〉 항만운영정보시스템의 주요 구성 내용 22

〈그림 2-2〉 항만운영정보시스템 체계도 22

〈그림 2-3〉 Port-MIS 2.0 개념도 23

〈그림 2-4〉 Port-MIS 2.0 기능구성도 23

〈그림 2-5〉 Port-MIS 정보연계 구성도 24

〈그림 2-6〉 Port-MIS 하드웨어 구성도 24

〈그림 2-7〉 Port-MIS 소프트웨어 구성도 25

〈그림 2-8〉 무역항의 선박 입출항 업무 프로세스 26

〈그림 2-9〉 SP-IDC 서비스 시스템 개념도 27

〈그림 2-10〉 SP-IDC 하드웨어 구성도 28

〈그림 2-11〉 SP-IDC 소프트웨어 외부망 구성도 29

〈그림 2-12〉 SP-IDC 소프트웨어 내부망 구성도 29

〈그림 2-13〉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 개념도 32

〈그림 2-14〉 RFID기반 자동화 운영시스템 개념도 32

〈그림 2-15〉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의 실시간 물류추적 정보서비스 개념도 33

〈그림 2-16〉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34

〈그림 2-17〉 글로벌 컨테이너 추적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34

〈그림 2-18〉 위험물 컨테이너관리시스템 구성도 36

〈그림 2-19〉 위험물 컨테이너관리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36

〈그림 2-20〉 위험물 컨테이너관리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37

〈그림 2-21〉 수출입물류종합정보시스템 개념도 38

〈그림 2-22〉 검수정보 공동활용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39

〈그림 2-23〉 검수정보 공동활용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40

〈그림 2-24〉 해운항만물류협업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41

〈그림 2-25〉 해운항만물류협업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41

〈그림 2-26〉 해운종합정보시스템 개념도 42

〈그림 2-27〉 해운종합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구성도 44

〈그림 2-28〉 해운종합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도 44

〈그림 2-29〉 그림 30 해운항만물류통합정보망 개념도 45

〈그림 2-30〉 해운항만물류통합정보망 표준 플랫폼 개념도 46

〈그림 2-31〉 터미널 정보시스템 현황 구성도 47

〈그림 2-32〉 ATOMS 시스템 구성 48

〈그림 2-33〉 ATOMS 시스템 기능 49

〈그림 2-34〉 항만 배후단지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도 49

〈그림 2-35〉 싱가포르 PORTNET 화면 55

〈그림 2-36〉 홍콩 OnePort 화면 58

〈그림 2-37〉 NACCS(항공 및 해상) 정보 연계도 60

〈그림 2-38〉 NACCS(항공 및 해상)의 주요 사업 변천 내용 61

〈그림 2-39〉 네덜란드 PORTBASE 화면 62

〈그림 2-40〉 벨기에 APCS 화면 64

〈그림 2-41〉 중국 e-Port 화면 66

〈그림 2-42〉 독일 DAKOSY 화면 69

〈그림 2-43〉 CBRA(Cross-border Research Association) 요구사항 86

〈그림 2-44〉 동등성 인정에 의한 상호인정협정 91

〈그림 3-1〉 전자정부 2020 기본계획의 비전과 전략 98

〈그림 3-2〉 행정자치부의 전자정부 국제협력 추진전략 99

〈그림 3-3〉 전자정부 수출 현황(2015) 100

〈그림 3-4〉 2014년 대비 2015년의 해외지역별 수출 비중 100

〈그림 3-5〉 해외진출 대상국 선정을 위한 평가항목 123

〈그림 3-6〉 대상국가(항만) 선정 및 그룹핑 132

〈그림 3-7〉 프놈펜항(캄보디아)의 컨테이너 처리실적 146

〈그림 3-8〉 프놈펜항(캄보디아)의 벌크화물 처리실적 146

〈그림 3-9〉 프놈펜항(캄보디아)의 선박 입출항 실적 147

〈그림 3-10〉 프놈펜항(캄보디아)의 수입화물 통계 147

〈그림 3-11〉 프놈펜항(캄보디아)의 수출화물 통계 148

〈그림 4-1〉 비전 및 전략 166

〈그림 4-2〉 단계별 추진절차 168

〈그림 4-3〉 주체별 사업관리 내용 170

〈그림 4-4〉 발굴단계의 수행체계 172

〈그림 4-5〉 사전조사단계의 수행체계 173

〈그림 4-6〉 계획수립 단계의 수행체계 174

〈그림 4-7〉 사업화 단계의 수행체계 175

〈그림 4-8〉 사후관리 단계 주요 업무 주체 및 역할 176

〈그림 4-9〉 각 기관별 지원하는 예산의 주요 내용 177

〈그림 4-10〉 각 부처 전자정부 시스템 해외진출 지원 프로세스 180

〈그림 4-11〉 우리나라 ODA의 기본 프로그램 181

〈그림 4-12〉 우리나라의 ODA 거버넌스 182

〈그림 4-13〉 우리나라의 ODA 추진체계 183

〈그림 4-14〉 ODA 사업계획 추진절차 및 업무 처리 흐름 184

〈그림 4-15〉 우리나라의 ODA 사업평가 운용절차 185

〈그림 4-16〉 ODA 사업의 전반적인 사업 추진 절차 185

〈그림 4-17〉 국내 ODA자금을 활용한 사업 발주절차 및 기간 187

〈그림 4-18〉 대외경제협력기금의 지원 절차도 18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50026 387.1 -17-1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50027 387.1 -17-1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