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북극권 에너지자원 개발동향과 부산지역 정책수요 / 연구책임: 황인주 ; 공동연구: 이성규, 허중식, 허윤수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산발전연구원, 2017
청구기호
333.8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ix, 151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북극정책연구 ; 2017-12-770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967705
제어번호
MONO120180025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49-151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서론 12

1. 연구의 배경 12

2. 연구의 필요성 16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18

1) 연구의 범위 18

2) 주요 연구내용 18

제2장 북극권 에너지자원 개발 현황 20

1. 연안국 정책동향 20

1) 북미지역 24

2) 유럽지역 31

3) 러시아 35

2. 에너지자원개발 현황 38

1) 자원개발 투자전략 및 현황 38

2) 러시아 44

3) 북미 53

4) 유럽 61

3. 자원 수송 현황 63

1) 파이프라인 통한 자원 수송 63

2) 북극항로 통한 자원 수송 70

4. 시사점 74

제3장 북극권 지원개발 기술 현황 78

1. 기술 현황 및 니즈 78

1) 국내 현황 78

2) 국외 현황 79

3) 기술 개발시 고려사항 85

2. 시험인증 산업 및 기술 현황 89

1) 시험인증 산업 현황 89

2) 국내ㆍ외 시설 및 시험장비 및 구축 현황 91

3) 국제 표준화 현황 95

3. 시사점 99

제4장 부산지역 북극권 관련 산업 역량분석 102

1. 북극 관련 산업 현황 102

1) 부산시 해양산업 현황 102

2) 부산지역 기업 북극인식도 조사 109

2. 북극 관련 산업의 부산지역 경쟁력 분석 116

1) 산업 생태계 117

2) 인프라 120

3) 중앙 및 지방정부 지원 126

3. 부산지역 SWOT 분석 131

1) SWOT분석 131

2) SWOT분석에 따른 전략 141

제5장 북극권 진출을 위한 정책방안 도출 144

1. 정책방향 144

1) 고려사항 144

2) 북극권 진출을 위한 정책방향 147

2. 정책수요 발굴 149

1) 정책수요 전망 149

2) 정책제안 152

제6장 결론 157

참고문헌 159

판권기 162

〈표 Ⅱ-1〉 사업영역별 세부 가치사슬과 설명 40

〈표 Ⅱ-2〉 Rosneft의 북극해에서 외국기업과 협력 현황 47

〈표 Ⅲ-1〉 극한 관련 부처별 과제 진행현황 분석 79

〈표 Ⅲ-2〉 Nansen Institut 극지 프로젝트 시 지켜져야 할 사항 86

〈표 Ⅲ-3〉 그린피스 Shell사 북극지역 사업 수행 문제점 86

〈표 Ⅲ-4〉 북극권 사업 시 환경적 리스크 인자 87

〈표 Ⅳ-1〉 지역별 해양산업 사업체 현황 103

〈표 Ⅳ-2〉 부산지역 대분류별 해양사업체 수 103

〈표 Ⅳ-3〉 부산시 북극 연관 사업체 수 105

〈표 Ⅳ-4〉 부산시 해양산업 현안과제 106

〈표 Ⅳ-5〉 해양관련 제조업 중요도 및 경쟁력 수준 107

〈표 Ⅳ-6〉 중앙 및 지방정부 지원 필요분야 108

〈표 Ⅳ-7〉 부산시 및 부산항만공사 지원 필요분야 108

〈표 Ⅳ-8〉 북극진출을 위한 우선적 추진방안 115

〈표 Ⅳ-9〉 북극진출을 위한 장기적 추진방안 116

〈표 Ⅳ-10〉 북극관련 부산지역 북극진출 경쟁력 요인 117

〈표 Ⅳ-11〉 전국 대비 분야별 부산 사업체 비중 120

〈표 Ⅳ-12〉 부산항 북항 컨테이너 부두 시설 현황 121

〈표 Ⅳ-13〉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노선 현황 122

〈표 Ⅳ-14〉 지역별 해양수산 졸업생 현황 126

〈표 Ⅳ-15〉 부산시 북극진출 관련 사업 129

〈표 Ⅳ-16〉 부산시 해양플랜트 관련 사업 130

〈표 Ⅳ-17〉 부산시 해양산업 종사자 현황 134

〈표 Ⅳ-18〉 부산시 해양산업 사업체 구분 135

〈표 Ⅳ-19〉 부산지역 북극관련사업 SWOT분석 140

〈표 Ⅴ-1〉 정책방안 도출 위한 국내ㆍ외 환경분석 144

〈그림 Ⅰ-1〉 북극권 개발 국제적 활동 현황 13

〈그림 Ⅱ-1〉 북극권과 인접국 현황 20

〈그림 Ⅱ-2〉 북극권 개발 여건 검토 21

〈그림 Ⅱ-3〉 에너지자원의 가치사슬 관련 플랜트 개요도 39

〈그림 Ⅱ-4〉 북극권 에너지자원 개발 가치사슬 연관도 40

〈그림 Ⅱ-5〉 러시아의 Arctic Gate Offshore Terminal 49

〈그림 Ⅱ-6〉 Gazprom의 Obsko-Tazovsky가스생산센터 내 주요 가스전 51

〈그림 Ⅱ-7〉 Novatek의 '야말 LNG' 및 'Arctic LNG-2' 사업 54

〈그림 Ⅱ-8〉 2016년 기준 미국 알래스카주 대륙붕 광구별 미발견 기술적가채자원량(UTRR) 56

〈그림 Ⅱ-9〉 Point Thomson 매장지와 보퍼트해 연안 주요 매장지 58

〈그림 Ⅱ-10〉 캐나다 북극지역의 석유ㆍ가스 자원 매장지 60

〈그림 Ⅱ-11〉 러시아의 대유럽 가스수출 수송망 64

〈그림 Ⅱ-12〉 북극지역 원유의 ESPO송유관 통한 동북아지역 공급 65

〈그림 Ⅱ-13〉 북미지역 AKLNG 가스관 69

〈그림 Ⅱ-14〉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72

〈그림 Ⅲ-1〉 대심도 수압 파쇄기술의 진전 81

〈그림 Ⅲ-2〉 Electrostatic Coalescers, FRAMES 82

〈그림 Ⅲ-3〉 이송관로 설치 방식 83

〈그림 Ⅲ-4〉 러시아 북극지역 Kvaener's GBS 솔루션(KVAENER, 2014) 84

〈그림 Ⅲ-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토공학 관련 시험기 91

〈그림 Ⅲ-6〉 극한공학 실험실 개요도 92

〈그림 Ⅲ-7〉 한국해양연구원 대형 빙해 수조 93

〈그림 Ⅲ-8〉 북극권 기술니즈 및 핵심키워드 100

〈그림 Ⅳ-1〉 북극 상업적 활용도가 높은 산업 110

〈그림 Ⅳ-2〉 북극 진출 애로 사항 112

〈그림 Ⅳ-3〉 북극 관련 산업 진출의향 변화 113

〈그림 Ⅳ-4〉 북극 진출 시 최우선 전략 114

〈그림 Ⅳ-5〉 동남권 산업단지 및 특화 산업 118

〈그림 Ⅳ-6〉 부산항의 물류비용 및 기간 단축 123

〈그림 Ⅳ-7〉 부산연구개발특구 구역 124

〈그림 Ⅳ-8〉 부산 해양산업클러스터 구상(안) 12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6780 333.8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