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년) 공직생활실태조사 =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 한국행정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17
청구기호
352.6 -18-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43 p : 도표 ; 26 cm
제어번호
MONO1201804235
주기사항
부록: 1. 주요 항목별 상대표준오차 ; 2. 2017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참고문헌: p. 243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 수록됨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조사개요 19

1. 조사목적 20

2. 조사연혁 20

3. 법적근거 20

4. 조사주기 20

5. 조사시기 21

6. 조사기관 21

7. 조사대상 21

8. 조사방법 21

9. 조사부문 21

10. 조사항목 22

11. 주요 용어 정리 23

1) 개방형 직위제도 23

2) 양성평등채용목표제 23

3) 지역인재추천채용제 23

4) 인사드래프트제 23

5) 경력개발제도 24

6) 맞춤형 복지제도 24

7) 일/가정 양립정책 24

8) 육아휴직제도 24

9) 유연근무제 24

10) 탄력근무제 24

11) 스마트워크 24

12) 스마트워크센터 25

13) 재택근무 25

14) 모바일근무 25

15) 화상회의 25

16) 필수보직기간(사전전보제한기간) 25

17) 변화관리 25

18) 공공봉사동기 25

19) 조직시민행동 26

20) 혁신행동 26

21) 공직가치 26

22) 조직몰입 26

23) 직무만족 26

12. 응답자 특성별 분포 27

Ⅱ. 표본설계 및 모수추정 28

1. 모집단 정의 29

1) 목표모집단 29

2) 조사모집단 31

2. 표본추출틀 33

3. 모집단 층화 34

4. 표본크기 결정 34

5. 표본배분 35

6. 표본추출 38

7. 가중치 산정 41

1) 설계 가중치 41

2) 무응답 조정 42

3) 사후층화 조정 42

4) 최종 가중치 산출 42

8. 모수추정 42

Ⅲ. 조사결과 분석 44

1. 업무환경 45

1) 평소 업무량 45

2) 근무환경 46

3) 업무수행을 위한 자원 제공 47

2. 인사제도: 임용 및 보직관리 48

1) 승진 및 보수 48

2) 여성의 고위직 승진 49

3) 후생복지 51

3. 인사제도: 능력발전 및 역량계발 지원 52

1) 교육훈련 및 능력발전 52

2) 업무수행역량 52

3) 업무 전문성 수준 54

4) 전문성 저해 요인 56

5) 공직 전문성 강화방안 56

4. 조직관리 58

1) 리더십 58

2) 변화관리 59

3) 공무원 부정부패 60

5. 조직구성원의 동기, 태도 및 행동 61

1) 공직가치 61

2) 직무만족 및 공직만족도 62

3) 삶에 대한 만족도 65

Ⅳ. 통계결과표 66

〈Ⅰ-1〉 평소 업무량 67

〈Ⅰ-1-1〉 평소업무량이 많은 이유 68

〈Ⅰ-2〉 근무환경 만족도 69

〈Ⅰ-3-1〉 업무수행 위한 자원제공 인식_1. 나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인력 등 인적 자원을 적절히 제공받고 있다 70

〈Ⅰ-3-2〉 업무수행 위한 자원제공 인식_2. 나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예산 등 물적 자원을 적절히 제공받고 있다 71

〈Ⅰ-3-3〉 업무수행 위한 자원제공 인식_3. 나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정보나 IT시설 등 정보 자원을 적절히 제공받고 있다 72

〈Ⅰ-4-1〉 업무자율성 인식_1. 나는 업무수행 방식/절차에 대한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 73

〈Ⅰ-4-2〉 업무자율성 인식_2. 나는 업무수행 속도/마감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74

〈Ⅰ-4-3〉 업무자율성 인식_3. 나는 업무수행 순서/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75

〈Ⅱ-5-1〉 채용 인식_1. 우리기관은 업무에 적합한 전문성을 가진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76

〈Ⅱ-5-2〉 채용 인식_2. 개방형 직위제도는 채용의 민주성을 실제로 제고하고 있다 77

〈Ⅱ-5-3〉 채용 인식_3. 양성평등채용목표제는 채용의 대표성을 실제로 제고하고 있다 78

〈Ⅱ-5-4〉 채용 인식_4. 지역인재 추천채용제는 다양한 인적자원 활용을 위해 확대될 필요가 있다 79

〈Ⅱ-6-1〉 승진 인식_1. 우리 기관의 승진절차는 적절하다 80

〈Ⅱ-6-2〉 승진 인식_2. 우리 기관에서 승진에 반영되는 근무성적평정은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81

〈Ⅱ-6-3〉 승진 인식_3. 우리 기관에서 업적평가 결과는 승진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다 82

〈Ⅱ-6-4〉 승진 인식_4. 인사 드래프트제는 연공서열식 인사 관행을 쇄신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83

〈Ⅱ-6-5〉 승진 인식_5. 우리 기관에서 여성이 고위직으로 승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84

〈Ⅱ-7〉 실제 승진에 미치는 요인_1순위 85

〈Ⅱ-7〉 실제 승진에 미치는 요인_1+2+3순위 87

〈Ⅱ-8-1〉 배치전환 인식_1. 나는 내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적합한 업무에 배치되고 있다 89

〈Ⅱ-8-2〉 배치전환 인식_2.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한 부서에서의 평균 근무 기간은 적당한 수준이다 90

〈Ⅱ-8-3〉 배치전환 인식_3. 경력개발제도는 전문성 제고에 도움이 된다 91

〈Ⅱ-9-1〉 보수 및 보상 인식_1. 내가 받는 보수는 내 업무성과에 비추어 적정하다 92

〈Ⅱ-9-2〉 보수 및 보상 인식_2. 내가 받는 보수는 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기업 직원(대기업체 수준)과 비교할 때 적정한 수준이다 93

〈Ⅱ-9-3〉 보수 및 보상 인식_3. 나는 담당업무의 난이도를 감안할 때 공정한 보상을 받고 있다 94

〈Ⅱ-9-4〉 보수 및 보상 인식_4. 나는 담당업무의 책임성 정도를 고려할 때 공정한 보상을 받고 있다 95

〈Ⅱ-10-1〉 후생복지 인식_1. 선택형 복지제도 혜택은 실제 필요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96

〈Ⅱ-10-2〉 후생복지 인식_2. 공무원 후생복지제도는 민간기업(대기업체 수준)과 비교할 때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97

〈Ⅱ-10-3〉 후생복지 인식_3. 나는 원하는 시기에 자유로이 휴가(연가)를 사용할 수 있다 98

〈Ⅱ-11-1〉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경험_1. 육아휴직제도 99

〈Ⅱ-11-2〉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경험_2. 직장 내 보육시설 100

〈Ⅱ-11-3〉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경험_3. 유연근무제/탄력근무제 101

〈Ⅱ-12-1〉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 만족도_1. 육아휴직제도 활용 만족도 102

〈Ⅱ-12-2〉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 만족도_2. 직장 내 보육시설 활용 만족도 103

〈Ⅱ-12-3〉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활용 만족도_3. 유연근무제/탄력근무제 활용 만족도 104

〈Ⅱ-12-1〉 스마트워크 이용경험_1. 스마트워크센터를 이용해 본 경험 105

〈Ⅱ-12-2〉 스마트워크 이용경험_2. 재택근무를 이용해 본 경험 106

〈Ⅱ-12-3〉 스마트워크 이용경험_3. 모바일 근무를 이용해 본 경험 107

〈Ⅱ-12-4〉 스마트워크 이용경험_4. 화상회의를 이용해 본 경험 108

〈Ⅱ-12-1〉 스마트워크 이용만족도_1. 스마트워크센터 이용 만족도 109

〈Ⅱ-12-2〉 스마트워크 이용만족도_2. 재택근무 이용 만족도 110

〈Ⅱ-12-3〉 스마트워크 이용만족도_3. 모바일 근무 이용 만족도 111

〈Ⅱ-12-4〉 스마트워크 이용만족도_4. 화상회의 이용 만족도 112

〈Ⅲ-13-1〉 교육훈련/능력발전 인식_1. 나는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다 113

〈Ⅲ-13-2〉 교육훈련/능력발전 인식_2. 나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경우 적절한 교육훈련/능력발전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다 114

〈Ⅲ-13-3〉 교육훈련/능력발전 인식_3. 최근에 이수한 교육훈련/능력발전 활동은 나의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었다 115

〈Ⅲ-14-1〉 업무수행역량 인식_1. 내가 수행하는 업무는 높은 역량이 요구된다 116

〈Ⅲ-14-2〉 업무수행역량 인식_2. 현재 내가 맡고 있는 직무는 나의 역량과 일치한다 117

〈Ⅲ-14-3〉 업무수행역량 인식_3. 나의 업무수행 역량은 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민간기업 (대기업 수준)담당자보다 우수하다 118

〈Ⅲ-15-1〉 전체 공무원의 업무 전문성 수준 119

〈Ⅲ-15-2〉 전체 공무원 대비 본인의 업무 전문성 수준 120

〈Ⅲ-16〉 공무원 전문성 향상의 저해요인_1순위 121

〈Ⅲ-16〉 공무원 전문성 향상의 저해요인_1+2순위 122

〈Ⅲ-17〉 공직전문성 강화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정책_1순위 123

〈Ⅲ-17〉 공직전문성 강화를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정책_1+2순위 124

〈Ⅳ-18-1〉 기관의 조직목표 인식_1. 나는 우리 기관의 조직목표를 명확히 알고 있다 125

〈Ⅳ-18-2〉 기관의 조직목표 인식_2. 우리 기관에서는 조직목표 간 우선순위가 분명하다 126

〈Ⅳ-18-3〉 기관의 조직목표 인식_3. 조직목표는 담당 업무수행을 위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한다 127

〈Ⅳ-18-4〉 기관의 조직목표 인식_4. 나는 담당업무가 조직목표 달성과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지 명확히 알고 있다 128

〈Ⅳ-19-1〉 기관의 리더십 인식_1. 나의 상사는 목표가 달성될 경우 내가 받게 될 보상/이익에 대해 잘 이해시켜 준다 129

〈Ⅳ-19-2〉 기관의 리더십 인식_2. 나의 상사는 업무성과에 따른 보상/이익을 얻기 위해 내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130

〈Ⅳ-19-3〉 기관의 리더십 인식_3. 나의 상사는 내가 미래에 지향해야 할 확고한 비전을 제시해 준다 131

〈Ⅳ-19-4〉 기관의 리더십 인식_4. 나의 상사는 내가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132

〈Ⅳ-19-5〉 기관의 리더십 인식_5. 나의 상사는 내가 새로운 시각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 133

〈Ⅳ-19-6〉 기관의 리더십 인식_6. 나의 상사는 내 자신을 스스로 개발해 나가도록 도와준다 134

〈Ⅳ-19-7〉 기관의 리더십 인식_7. 나의 상사는 다른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정확히 안다 135

〈Ⅳ-19-8〉 기관의 리더십 인식_8. 나의 상사는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표현한다 136

〈Ⅳ-19-9〉 기관의 리더십 인식_9. 나의 상사는 자신의 실수를 솔직하게 인정한다 137

〈Ⅳ-20-1〉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1. 우리 기관은 계획수립/목표설정/목표달성을 강조한다 138

〈Ⅳ-20-2〉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2. 우리 기관은 경쟁력/성과/실적을 중시한다 139

〈Ⅳ-20-3〉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3. 우리 기관은 창의성/혁신성/도전을 강조한다 140

〈Ⅳ-20-4〉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4. 우리 기관은 새로운 도전과제 해결을 위해 직원들의 직관/통찰력, 성장/자원획득을 중시한다 141

〈Ⅳ-20-5〉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5. 우리 기관은 참여/협력/신뢰, 구성원의 능력발전을 강조한다 142

〈Ⅳ-20-6〉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6. 우리 기관은 조직사기/팀워크를 중시한다 143

〈Ⅳ-20-7〉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7. 우리 기관은 안정성/일관성/규칙준수를 강조한다 144

〈Ⅳ-20-8〉 기관의 조직문화 인식_8. 우리 기관은 문서화/책임/통제/정보관리를 중시한다 145

〈Ⅳ-21-1〉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_1. 우리 기관에서는 공정한 방식을 통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146

〈Ⅳ-21-2〉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_2. 우리 기관은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모든 직원들의 의견을 고려한다 147

〈Ⅳ-21-3〉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_3.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나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148

〈Ⅳ-21-4〉 기관의 의사결정 인식_4. 우리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에 대해 직원들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149

〈Ⅳ-22-1〉 기관의 변화관리 인식_1. 우리 기관은 융통성 있고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한다 150

〈Ⅳ-22-2〉 기관의 변화관리 인식_2. 우리 기관은 혁신을 위해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용인한다 151

〈Ⅳ-22-3〉 기관의 변화관리 인식_3. 우리 기관에서 변화는 대체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온다 152

〈Ⅳ-23-1〉 기관의 협업/의사소통 인식_1. 우리 기관에서는 업무상 협조가 필요한 경우 부서 간 협업이 대체로 원활하다 153

〈Ⅳ-23-2〉 기관의 협업/의사소통 인식_2. 우리 기관에서는 부서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상하 간(수직적)의사소통이 원활하다 154

〈Ⅳ-23-3〉 기관의 협업/의사소통 인식_3. 우리 기관에서는 부서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직원 간(수평적)의사소통이 원활하다 155

〈Ⅳ-24-1〉 기관의 조직성과 인식_1. 우리 기관은 비용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56

〈Ⅳ-24-2〉 기관의 조직성과 인식_2. 우리 기관의 성과는 꾸준히 향상되어 왔다 157

〈Ⅳ-24-3〉 기관의 조직성과 인식_3. 우리 기관의 성과와 질은 개선되고 있다 158

〈Ⅳ-25-1〉 기관의 성과관리 인식_1. 상관은 내가 조직목표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이해하도록 잘 도와준다 159

〈Ⅳ-25-2〉 기관의 성과관리 인식_2. 상관은 내가 업무를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해 파악하고 있다 160

〈Ⅳ-25-3〉 기관의 성과관리 인식_3. 나는 상관에게 나의 성과에 대해 규칙적으로 피드백을 받고 있다 161

〈Ⅳ-25-4〉 기관의 성과관리 인식_4. 상관으로부터 받는 피드백은 나의 성과 제고에 도움이 된다 162

〈Ⅳ-25-5〉 기관의 성과관리 인식_5. 우리 기관은 업무성과가 낮은 직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163

〈Ⅳ-26-1〉 업무성과 인식_1. 나는 담당업무에 기대되는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164

〈Ⅳ-26-2〉 업무성과 인식_2. 나는 담당업무 성과를 위해 책임을 충실히 완수한다 165

〈Ⅳ-26-3〉 업무성과 인식_3. 나는 담당업무와 관련되어 있는 조직 및 타 기관, 이해관계자로부터 요구되는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166

〈Ⅳ-27〉 업무상 높은 성과를 내는 데 있어 주된 장애요인_1순위 167

〈Ⅳ-27〉 업무상 높은 성과를 내는 데 있어 주된 장애요인_1+2+3순위 169

〈Ⅳ-28〉 전년 대비 공무원의 부정부패 정도 인식 171

〈Ⅴ-29-1〉 공공봉사동기 인식_1. 국가와 국민을 위한 뜻깊은 봉사는 나에게 매우 중요하다 172

〈Ⅴ-29-2〉 공공봉사동기 인식_2. 비록 웃음거리가 된다고 하더라도 나는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나설 용의가 있다 173

〈Ⅴ-29-3〉 공공봉사동기 인식_3. 나에게는 사회에 어떤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 개인적인 성취보다 더욱 큰 의미가 있다 174

〈Ⅴ-29-4〉 공공봉사동기 인식_4.나는 사회의 선(善)을 위해서라면 스스로 매우 큰 희생을 감수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 175

〈Ⅴ-29-5〉 공공봉사동기 인식_5. 나는 일상생활을 통해 우리가 얼마나 서로 의존적인 존재인지를 늘 되새기고 있다 176

〈Ⅴ-30-1〉 직무스트레스 원인_1. 나는 상급자들의 모순된 요구/지시를 받는 경우가 있다 177

〈Ⅴ-30-2〉 직무스트레스 원인_2. 내 역할에 대한 상사들/부하들의 요구사항이 다르다 178

〈Ⅴ-30-3〉 직무스트레스 원인_3. 공식 업무책임과 내 가치관 차이로 갈등을 겪은 적이 있다 179

〈Ⅴ-30-4〉 직무스트레스 원인_4. 나의 담당 업무에 대한 책임범위가 불분명하다 180

〈Ⅴ-30-5〉 직무스트레스 원인_5. 나의 담당 업무에 대한 우선순위가 불분명하다 181

〈Ⅴ-30-6〉 직무스트레스 원인_6. 나의 담당 업무에 대한 수행방법이 불분명하다 182

〈Ⅴ-30-7〉 직무스트레스 원인_7. 나의 담당 업무 및 책임은 너무 과중하다 183

〈Ⅴ-31-1〉 조직시민행동 인식_1. 나는 결근한 동료/업무량이 많은 동료의 업무를 돕는다 184

〈Ⅴ-31-2〉 조직시민행동 인식_2. 나는 동료들의 문제/걱정에 대해 귀 기울인다 185

〈Ⅴ-31-3〉 조직시민행동 인식_3. 나는 요청하지 않았음에도 상관의 업무를 돕는다 186

〈Ⅴ-32-1〉 혁신행동 인식_1. 나는 새롭고 독창적인 업무수행 방식을 창안/적용하도록 노력한다 187

〈Ⅴ-32-2〉 혁신행동 인식_2. 나는 업무수행 중 발생하는 문제해결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188

〈Ⅴ-33-1〉 공직가치 인식_1. 나는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한다 189

〈Ⅴ-33-2〉 공직가치 인식_2. 나는 내 업무의 판단기준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설득하고 설명한다 190

〈Ⅴ-33-3〉 공직가치 인식_3. 나는 언제나 개인적 가치보다 공직 의무를 중시하며 업무를 수행한다 191

〈Ⅴ-33-4〉 공직가치 인식_4. 나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공무원 윤리 가치와 규범을 준수한다 192

〈Ⅴ-33-5〉 공직가치 인식_5. 나는 민원인이나 동료들의 의견을 항상 존중한다 193

〈Ⅴ-33-6〉 공직가치 인식_6. 나는 어려움에 직면한 사람들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194

〈Ⅴ-33-7〉 공직가치 인식_7. 나는 업무수행 원칙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195

〈Ⅴ-33-8〉 공직가치 인식_8. 나는 조직과 정책의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96

〈Ⅴ-34-1〉 조직몰입 인식_1. 나는 이 조직에 남기 위하여 어떤 직무라도 수행할 용의가 있다 197

〈Ⅴ-34-2〉 조직몰입 인식_2. 나는 조직의 성공을 위해 보통 수준 이상으로 노력할 용의가 있다 198

〈Ⅴ-34-3〉 조직몰입 인식_3. 나는 우리 조직에 대해 소속감을 강하게 느낀다 199

〈Ⅴ-34-4〉 조직몰입 인식_4. 우리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는 나의 가치와 대체로 일치한다 200

〈Ⅴ-35-1〉 직무만족 인식_1. 나는 담당업무에 흥미가 있다 201

〈Ⅴ-35-2〉 직무만족 인식_2. 나는 열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202

〈Ⅴ-35-3〉 직무만족 인식_3. 나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성취감(보람)을 느낀다 203

〈Ⅴ-36-1〉 공직만족도 인식_1. 공무원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4

〈Ⅴ-36-2〉 공직만족도 인식_2. 나는 공직의 안정성에 대해 만족한다 205

〈Ⅴ-36-3〉 공직만족도 인식_3. 나는 공직의 장래성에 대해 만족한다 206

〈Ⅴ-36-4〉 공직만족도 인식_4. 나는 공무원 신분으로 근무하는 것에 대체로 만족한다 207

〈Ⅴ-37〉 이직의향 208

〈Ⅴ-37-1〉 이직의향이 있는 분야 209

〈Ⅴ-37-2〉 이직의향의 이유 210

〈Ⅴ-38-1〉 삶의 질 인식_1. 나는 현재 삶에 만족한다 211

〈Ⅴ-38-2〉 삶의 질 인식_2. 나는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때 행복하다 212

〈Ⅵ-1〉 성별 213

〈Ⅵ-2〉 연령 214

〈Ⅵ-3〉 혼인상태 215

〈Ⅵ-4〉 자녀의 수(만20세 미만) 216

〈Ⅵ-5〉 학력(입직당시) 217

〈Ⅵ-5〉 학력(현재) 218

〈Ⅵ-6〉 공무원 입직년도(재직기간) 219

〈Ⅵ-7〉 입직 시 채용 방식 220

〈Ⅵ-8〉 경력경쟁 채용 유형 221

〈Ⅵ-9〉 직급(입직당시) 222

〈Ⅵ-9〉 직급(현재) 223

〈Ⅵ-10〉 총 근무시간(1주일 평균) 224

〈Ⅵ-11〉 시간 외 근무시간(1주일 평균) 225

[부록 1] 주요 항목별 상대표준오차 227

Ⅰ. 업무환경 228

Ⅱ. 인사제도: 임용 및 보직관리 228

Ⅲ. 인사제도: 능력발전 및 역량계발 지원 230

Ⅳ. 조직관리 231

Ⅴ. 조직구성원의 동기, 태도 및 행동 234

[부록 2] 2017년 공직생활 실태조사 237

Ⅰ. 업무환경 238

Ⅱ. 인사제도: 임용 및 보직관리 239

Ⅲ. 인사제도: 능력발전 및 역량계발 지원 242

Ⅳ. 조직관리 244

Ⅴ. 조직구성원의 동기, 태도 및 행동 248

Ⅵ. 응답자 일반사항 252

참고문헌 253

판권기 254

〈표 Ⅱ-1〉 중앙부처 일반직 공무원 현황 29

〈표 Ⅱ-2〉 17개 시도 일반직 공무원 현황 31

〈표 Ⅱ-3〉 새 정부의 조직 개편을 반영한 중앙부처 국가 공무원 현황 32

〈표 Ⅱ-4〉 각 기관유형별 표본크기 방안 35

〈표 Ⅱ-5〉 중앙부처 대상 조사의 각 층별 표본배분 결과 36

〈표 Ⅱ-6〉 광역자치단체 대상 조사의 각 층별 표본배분 결과 37

〈표 Ⅱ-7〉 중앙부처 대상 조사의 각 층별 표본 크기 현황 39

〈표 Ⅱ-8〉 광역자치단체 대상 조사의 각 층별 표본 크기 현황 40

〈표 Ⅲ-1〉 직무만족 63

〈표 Ⅲ-2〉 공직만족도 64

[그림 Ⅲ-1] 평소 업무량 45

[그림 Ⅲ-2] 평소 업무량이 많은 이유 46

[그림 Ⅲ-3] 근무환경 만족도 46

[그림 Ⅲ-4] 업무수행을 위한 자원 제공 47

[그림 Ⅲ-5] 승진의 공정성 48

[그림 Ⅲ-6] 보수의 적정성 49

[그림 Ⅲ-7] 승진 및 보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 49

[그림 Ⅲ-8] 여성의 고위직 승진에 대한 어려움 50

[그림 Ⅲ-9] 후생복지 51

[그림 Ⅲ-10] 상대적 업무수행 역량 53

[그림 Ⅲ-11] 업무 전문성 수준 비교 54

[그림 Ⅲ-12] 2016년-2017년 전체 공무원의 업무 전문성 수준 비교 55

[그림 Ⅲ-13] 2016년-2017년 본인의 업무 전문성 수준 비교 55

[그림 Ⅲ-14] 공무원 전문성의 저해 요인 56

[그림 Ⅲ-15] 공직 전문성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방안 57

[그림 Ⅲ-16] 리더십 비교 58

[그림 Ⅲ-17] 변화관리에 대한 긍정적 인식 비교 59

[그림 Ⅲ-18] 전년 대비 공무원의 부정부패 정도 인식 60

[그림 Ⅲ-19] 공직가치 61

[그림 Ⅲ-20] 직무 및 공직만족도 변화 63

[그림 Ⅲ-21] 삶에 대한 만족도의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인식 비교 6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9631 352.6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9632 352.6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