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농업·농촌창업 활성화를 위한 경기도의 정책 방향 = Policy directions for invigorating the rural entrepreneurship in Gyeonggi-do / 연구책임: 이수행 ; 공동연구: 김태곤, 김상규, 박정지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경기연구원(GRI), 2017
청구기호
338.1 -18-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 88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정책연구 ; 2017-94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8848249
제어번호
MONO120180431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85-86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1

1. 연구범위 11

2. 연구내용 11

3. 연구방법 12

제2장 농촌창업 지원정책 현황 및 시사점 13

제1절 창업과 일자리창출 효과 14

제2절 농식품부의 농촌창업 관련 주요 정책 16

1. 농어민후계자육성사업 16

2. 향토산업육성사업 17

3. 농어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포괄보조금사업) 18

4.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 19

5. 청년 농산업 창업 지원 사업 20

6. 농업의 6차산업화(농촌융복합산업) 22

7. 농식품 벤처창업지원 특화센터 운영 25

제3절 경기도의 농촌창업 지원정책 현황 26

제4절 농촌창업 지원정책의 시사점 28

제3장 농촌창업의 사례분석 32

제1절 국내 농촌창업 사례 33

1. 지역주도형 33

2. 기업참여형 35

3. 귀농ㆍ귀촌인 주도형 38

제2절 일본의 농촌창업 지원정책 및 사례 44

1. 일본의 농업 종사자 인증제도 45

2. 농업 인력강화 지원 사업 46

3. 농촌창업 금융지원 정책 53

제4장 경기도 농촌창업 지원시스템 구축 방향 57

제1절 농촌창업 지원시스템 구축 필요성 58

1. 질 좋은 농촌창업 유도 58

2. 농촌창업에 대한 실패 가능성 최소화 60

3. 개방적인 농촌창업 플랫폼 구축 및 상품 개발 지원 강화 62

4. 농촌창업 관련 체계적인 지원체계 구축 65

5. 농촌창업 사업체에 대한 체계적인 판매지원시스템 구축 66

제2절 농촌창업 지원시스템 구축 방향 67

1. 농촌의 새로운 일자리 확충을 통한 농촌인구 유입 확대 67

2. 지역의 가치사슬에 기초한 새로운 가치창출 및 지역경제 회생 68

3. 도시와 농촌의 상생 71

제3절 경기도의 농촌창업 여건 및 주요 추진과제 74

1. 경기도의 농촌창업 여건 74

2. 주요 추진과제 76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84

참고문헌 87

Abstract 89

판권기 2

〈표 2-1〉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이유 및 주요내용 23

〈표 2-2〉 6차산업화 단계별 창업지원 내용 24

〈표 3-1〉 농업 인력강화 지원 사업 46

〈표 4-1〉 6차산업화 사업체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 현황 63

〈표 4-2〉 농식품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개선 과제 64

〈표 4-3〉 농식품 관련 사업체의 경쟁력 비교 66

〈표 4-4〉 경기도 농촌창업 여건 SWOT 분석 76

〈그림 2-1〉 OECD국의 기업 존속 년수별 고용 증가율 14

〈그림 2-2〉 청년 농산업창업 지원 사업(안) 22

〈그림 2-3〉 농식품 벤처ㆍ창업지원 특화센터 역할 26

〈그림 2-4〉 경기도 창농 팜셰어 현황 27

〈그림 2-5〉 농업/농촌의 변화 29

〈그림 2-6〉 농산업 육성정책 추진 현황 29

〈그림 3-1〉 오미자 기술혁신시스템 구조 34

〈그림 3-2〉 영천와인산업화 모델 35

〈그림 3-3〉 오창농협의 통합물류시스템 36

〈그림 3-4〉 오창농협의 사업추진 방식 37

〈그림 3-5〉 ㈜대상의 천일염사업 운영방식 38

〈그림 3-6〉 백석 올미마을 산업현황 39

〈그림 3-7〉 백석 올미마을 추진내용 39

〈그림 3-8〉 문경 오미자밸리 로드맵 41

〈그림 3-9〉 문경 오미자밸리 산업현황 41

〈그림 3-10〉 에덴식품 산업현황 42

〈그림 3-11〉 초산정 추진과정 43

〈그림 3-12〉 초산정 산업현황 43

〈그림 3-13〉 취농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일본 정부의 시책 44

〈그림 3-14〉 신규 취농 계획 인증 절차 45

〈그림 3-15〉 농업 차세대 인재투자사업의 실행체계 및 절차 47

〈그림 3-16〉 경영개시형 인재투자사업 사례 49

〈그림 3-17〉 청년 취농자금 융자 절차 54

〈그림 3-18〉 청년 취농자금 이용 사례 54

〈그림 4-1〉 세계 식품시장 및 타산업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59

〈그림 4-2〉 농업 관련 교육생 및 학생들의 창업의향 60

〈그림 4-3〉 귀농ㆍ귀촌인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 61

〈그림 4-4〉 농업부문의 공유가치에 기초한 농촌창업 방향 68

〈그림 4-5〉 농업부문의 비즈니스 가치사슬 69

〈그림 4-6〉 마을단위의 농촌창업 방안 70

〈그림 4-7〉 농촌창업의 전제조건 73

〈그림 4-8〉 경기 농촌창업 지원 플랫폼(가칭) 구축 방안 78

〈그림 4-9〉 예비 농업 창업존(가칭) 운영 방안 81

〈그림 4-10〉 개방형 농촌창업 공간 구축 방안(안) 8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4994 338.1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74995 338.1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