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커뮤니케이션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제1장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발전의 역사 가. 서양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발전과정 나. 신문·잡지에 관한 연구·교육의 시작과 저널리즘학의 성립 다. 저널리즘학과 스피치학의 통합과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발전 라. 한국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발전과 주요 동향
제2장 독립학문의 요건과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교육 대상 가. 독립학문으로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주요 요건과 정의 나. 연구대상으로서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본질과 유형
제3장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 목적과 방법 가.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기능과 연구의 필요성 나.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의 주요 목적 다.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방법과 접근방법
제2편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제1장 세계 주요 국가의 커뮤니케이션학 교육 실태 가. 미국에서 커뮤니케이션학 교육과 주요 대학의 교과과정 나. 독일에서 커뮤니케이션학 교육과 주요 대학의 교과과정 다. 영국에서 커뮤니케이션학 교육과 주요 대학의 교과과정 라. 일본에서 커뮤니케이션학 교육과 주요 대학의 교과과정
제2장 한국의 커뮤니케이션학 교육 실태 가.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학부의 현황과 명칭 나.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학부 교과과정 실례
제3편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무엇을 연구하는가 제1장 커뮤니케이션 관련 학회 분과들을 통해 본 연구분야 가.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 내역을 알아보기 위한 두 가지 방법 나. 미국의 3대 커뮤니케이션 학회를 통해 본 연구분야 다. 유럽의 2대 커뮤니케이션 학회를 통해 본 연구분야 라. 한국의 주요 커뮤니케이션 학회를 통해 본 연구분야 마. 7대 커뮤니케이션 학회 분과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분야
제2장 커뮤니케이션 연구논문들을 통해 본 연구주제 가. 외국의 커뮤니케이션 학술지 논문들을 통해 본 주요 연구 주제 나. 한국 커뮤니케이션 학술를 통해 본 주요 연구 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 언론/정보/신문/방송/영상/광고/홍보학 길라잡이 = What is the discipline of communication : a guide book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65687
302.2 -18-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65688
302.2 -18-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출신 학자들의 공동 작업으로 해당 영역을 포괄하는 이론, 현상, 이슈 등을 총망라한 커뮤니케이션학 총서 첫 번째 권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the Discipline of Communication: A Guide Book 언론 / 정보 / 신문 / 방송 / 영상 / 광고 / 홍보학 길라잡이
이 책의 내용은 크게 3개 편(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커뮤니케이션학은 어떤 학문인가’에서는 커뮤니케이션학의 기원과 발전 과정, 연구?교육 대상, 연구 목적과 방법 등을 소개했다.
제2편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무엇을 가르치는가’에서는 세계 여러 주요 국가들과 우리나라에서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실태와 교과과정을 소개했다.
제3편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무엇을 연구하는가’에서는 외국과 우리나라 커뮤니케이션 관련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 분과들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학의 연구분야를 알아본 뒤에, 이들 학회에서 발행하는 주요 학술지에 과거 1년간 실린 논문들의 연구주제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학에서는 주로 무엇을 연구하는지를 소개했다.
책속에서
[P.15] 커뮤니케이션학(the academic discipline of communication)이란 어떤 학문인가?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신문학’· ‘신문방송학’· ‘언론학’· ‘언론정보학’· ‘미디어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언론정보영상학’· ‘광고홍보학’ 등으로 부르는 학문을 말하는데,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커뮤니케이션학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커뮤니케이션’(com- munication)이라는 영어 단어에 적합한 우리말을 아직 찾지 못해서이다.
[P. 27] 17세기부터는 신문· 잡지 등 문자 내지 인쇄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영국· 프랑스· 독일 등지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20세기로 들어와서는 신문· 잡지 등에 관한 연구와 교육이 영국에서는 ‘저널리즘학’(journalism), 프랑스에서는 ‘주르나리즈므학’(journalisme), 독일에서는 ‘차이퉁스학’(Zeitungswissenschaft)이라는 학문으로 성립하여 하나의 독립학문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P. 113]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하여 연구· 교육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이 인류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커뮤니케이션은 인류사회에서 어떤 역할, 즉 어떠한 기능(機能)을 수행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