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주요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사업단 = Model development for self-sufficiency rate improvement of major grains-feed : 최종보고서 / 농림축산식품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농림축산식품부, 2017
청구기호
338.19 -18-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23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주요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 사업
제어번호
MONO1201806438
주기사항
사업단 주관기관명: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업단장: 조가옥
참고문헌: p. 482-485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사업단의 개요 및 성과목표 64

제1절 사업단의 개요 64

1. 연구사업 대상 품목 : 4개 품목(쌀, 밀, 콩, 조사료) 64

2. 연구사업의 필요성 65

3. 연구사업의 목적 68

4. 연구의 범위 69

제2절 사업단의 조직체계 및 추진전략 70

1. 사업단 조직체계 70

2. 사업단 조직별 운영·관리 내용 71

3. 사업단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추진전략 71

4. 품목별 자급률 제고모델 보급, 확산 전략 72

5. 총괄 및 실증과제 현황 73

제3절 연구성과 목표 대비 실적 74

제2장 곡물자급률 관련 국내외 현황 75

제1절 한국과 일본의 자급률 비교 75

1. 식량-곡물, 식료-곡류-식품의 개념 비교 75

2. 자급률 관련 개념 비교 76

3. 한국과 일본의 자급률 비교 84

제2절 일본 식료자급률에서의 시사점 87

1. 일본 자급률의 유형과 특징 87

2. 일본 자급률의 변화의 특징 88

3. 시사점 90

제3절 OECD국가의 자급률 비교 92

제3장 식량·곡물 자급률 하락과 자급률 제고 실증연구 93

제1절 식량의 안정공급과 식량·곡물 자급률의 의미 93

1. 법률에 있어서 식량의 안정공급과 자급률 93

2. 식량·곡물자급률의 의미와 계산식 97

제2절 식량·곡물 자급률 변화실태 101

1. 식량·곡물자급률과 양곡의 수급실태 변화 101

2. 품목별 자급률 변화 104

제3절 식량·곡물자급률 하락 원인 111

1. 수요량의 변화 : 증가에서 정체로 111

2. 식량 생산량 감소 114

3. 농업노동력의 고령화 123

제4절 자급률 하락과 농업소득의 정체 131

1. 경지이용률 하락 134

2. 농업소득의 정체 141

제5절 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를 위한 실증연구 방향 146

1. 곡물-조사료를 둘러싼 여건변화 요약 146

2. 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 실증연구 149

제4장 쌀 비용절감과 수급안정 모델 156

제1절 현상 진단 156

1. 쌀 수급실태 156

2. 도별 쌀 생산량, 10a당 수량, 재배면적 변화 163

3. 쌀 수익성 저하와 비용증대 166

4. 쌀 생산 노동력 투입 변화 170

5. 쌀 생산 농자재 투입 변화 177

제2절 쌀 생산비 절감과 수급안정 통합모델 181

1. 쌀 비용절감 통합모델 181

2. 쌀 수급안정 통합모델 186

3. 일본에서의 쌀 생산조정의 사례 193

제3절 쌀 비용절감을 위한 실증연구 결과 200

1. 최적 직파재배 모델 개발 200

2. 벼 시비량·노동력 절감 모델 개발 225

제4절 쌀 수급안정과 소비촉진을 위한 실증연구 결과 234

1. 가공용·수출용 쌀 생산-유통 계열화 모델 개발 234

제5장 밀 자급률 제고모델 260

제1절 현상진단 260

1. 맥류 수급변화 260

2. 맥종별 재배면적, 10a당 수량 및 생산량 변화 268

3. 맥종별 총수입 및 비용변화 275

제2절 밀 자급률 통합모델과 밀 자급률 목표치 284

1. 밀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284

2. 밀 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조건 287

제3절 밀 자급률 제고를 위한 실증연구 결과 289

1. 밀 안정생산·품질규격화 모델 개발 289

제6장 콩 자급률 제고모델 : 일관기계화 생산모델 312

제1절 현상진단 312

1. 콩 수급 변화추이 312

2. 콩 생산량, 재배면적 변화 314

3. 콩 수익성과 가격 변화 322

4. 콩 생산 노동력 및 농자재 투입 변화추이 327

제2절 콩 자급률제고 통합모델과 콩 자급률 목표치 332

1. 콩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332

2. 콩 자급률제고 목표치와 달성조건 333

제3절 콩 자급률제고를 위한 실증연구 결과 335

1. 콩 일관기계화 생산 모델 개발 335

2. 쌀 생산조정에서 논콩 재배를 통한 콩 자급률 제고 354

제7장 조사료 자급률 제고모델 358

제1절 현상진단 358

1. 주요 가축 사육두수 변화와 전망 및 사료 수급실태 358

2. 사료작물 재배면적 변화 362

3. 조사료 수급실적 변화 372

4. 대가축 부분 수익성과 사료비 실태 377

제2절 조사료 자급률제고 통합모델과 조사료 자급률 목표치 382

1. 정부의 국내산 조사료 생산·이용 확대방안 382

2. 조사료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385

3. 조사료 자급률제고 목표치 386

4. 곡물자급률 제고방안(안) 387

제3절 조사료 자급률 제고를 위한 실증연구 결과 392

1. 중부지역 중심 2모작 작부체계 모델 개발 392

2. 건초·헤일리지 생산-소비 모델 401

제8장 곡물 가공제품 소비촉진 모델 409

제1절 현상진단 409

1. 주요 양곡 수급실태 409

2. 주요 곡물 가공용 원료 소비실태 411

3. 주요 곡물 가공용 원료 구입시 고려사항 414

제2절 곡물가공제품 소비촉진 통합모델 416

제3절 곡류 가공제품 소비촉진 모델개발을 위한 실증과제 417

1. 곡물을 이용한 가공제품 소비촉진 모델 개발 417

제9장 자급률 제고를 위한 지역단위 통합모델 439

제1절 밀, 조사료 자급률 제고를 위한 답리작 활성화 439

1. 통계청의 작물 분류사례와 답리작 개념 439

2. 논벼 이외의 논 이용실태의 변화 441

3. 논 이모작 작부체계별 수익성 비교 445

4. 정부의 답리작 활성화 추진 전략을 통한 자급률 제고방안 446

제2절 곡물-조사료 자급률제고를 위한 지역단위 공동경영체 육성 454

1. 식량작물 생산 농가군의 특징과 주산지형성 454

2. 논농업에서의 들녘경영체 육성 460

3. 밭작물에서의 밭작물공동경영체 육성지원 465

4. 공동농업경영 활성화 468

5. 일본의 집락영농 공동경영사례 469

제3절 자급률 제고를 위한 지역단위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473

1. 지역단위 자급률 제고방향 473

2. 지역단위 곡물자급률 제고방안 시스템 474

3. 성과확산을 위한 중점대상과 곡물자급률 제고 전문단지 육성 478

제10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481

제11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486

1. 최적 직파재배 모델 개발 486

2. 벼 시비량·노동력 절감 모델 개발 487

3. 가공용·수출용 쌀 생산-유통 계열화 모델 개발 488

4. 밀 안정생산·품질규격화 모델 개발 489

5. 콩 일관기계화 생산 모델 개발 490

6. 중부지역 조사료 생산 및 건초 생산 모델 개발 491

7. 가공제품 소비촉진 모델 개발 492

제12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정보 493

제1절 일본 식료자급률 제고를 위한 정책변화 및 시사점 493

1. 식료자급률 향상과 경영소득안정대책 493

2. 일본 식료자급률과 쌀 생산조정의 요약과 시사점 511

제2절 일본 쌀 비즈니스 및 가공시장 전망, 전략 520

1. 쌀·밥 시장의 Topic 520

2. 쌀 비즈니스의 현상분석과 전망 522

3. 쌀밥 시장의 현상분석과 전망 525

4. 유력 쌀밥 관련 기업의 전략 분석 538

5. 주목기업의 개별 실태 : 31개 회사 540

제13장 연구시설·장비 현황 544

제14장 참고문헌 545

붙임 549

〈붙임 1〉 실증단지의 총수익 증대부문과 비용절감 부문 조사방법 549

〈붙임 2〉 연도별 품목별 수급상황 559

표 1. 국내 주요 곡물·조사료의 생산, 소비 실태 및 방향 67

표 2. 일본의 자급률 수치 제공 분류 요약 80

표 3. 일본에서 자급률 종류와 산출방식 82

표 4. 일본 자급률 종류별 장·단점 83

표 5. 한국과 일본의 곡물 품목별 수급내용과 자급률 계산식 84

표 6. 한국과 일본의 주요 곡물의 식량자급률의 변화추이 86

표 7. 일본의 자급률 단계별 곡물의 수급상황의 연평균 증감률 89

표 8. OECD주요국의 자급률 비교(2013년) 92

표 9. 일본의 자급률 수치 제공 지표 분류 요약 99

표 10. 양곡의 수급현황의 변화추이 103

표 11. 곡물자급률과 식량자급률 변화추이 105

표 12. 생산량과 수요량에서 각 품목별 비율 변화추이 109

표 13. 사료 제외 수요량과 사료수요량에서의 품목별 비율변화추이 110

표 14. 총인구 및 농가인구 변화추이 111

표 15. 농가와 비농가의 쌀과 기타 양곡의 소비량 변화추이 111

표 16. 양곡 1인당 연간소비량 변화추이 112

표 17. 주요 품목별 1인 1일당 공급에너지 변화추이 113

표 18. 주요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추이 115

표 19. 쌀, 맥류, 두류 생산량 변화추이 116

표 20. 쌀, 맥류, 두류 재배면적 변화추이 119

표 21. 식량작물 품목별 연대별 10a당 평균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120

표 22. 식량작물 품목별 연대별 10a당 평년작 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121

표 23. 연도별·품목별 10a당 수량 변화추이 122

표 24. 연령별·성별 농가인구의 변화추이 123

표 25. 연령대별 농림어업 취업인구의 변화추이 124

표 26. 농업경영주의 연령대별 변화추이 125

표 27. 농업경영주 연령대별 각 기간별 증감 인원 125

표 28. 논벼, 보리, 콩 수확농가의 연령대별 농가수 변화추이 126

표 29. 영농형태별 경영주 연령대별 비교(2005년) 127

표 30. 영농형태별 경영주 연령대별 비교(2016년) 127

표 31. 쌀 수확면적별 농가수의 변화추이(1970~2016년) 128

표 32. 쌀, 보리, 콩 수확면적별 농가수 변화비교 129

표 33. 영농형태별 경지규모별 농가수(2005-2016년) 130

표 34. 식량·곡물자급률 관련 요인들의 변화추이 133

표 35. 도별 경지, 논, 밭 이용률 변화추이 135

표 36. 도별·품목별 경지, 논, 밭 이용률 비교(2016년) 136

표 37. 도별 식량작물 경지, 논, 밭 이용률 변화추이 138

표 38. 도별 맥류의 경지, 논, 밭 이용률 변화추이 140

표 39. 농가소득 구성항목의 변화추이 142

표 40. 농업총수입 주요 작목별 구성내용 144

표 41. 주요 작목별 농업총수입대비 비율 144

표 42. 농업소득률 변화추이 145

표 43. 2004년 이후 연도별 MMA 쌀 도입계획 및 실적과 수출량 156

표 44. 쌀 연도별 수급 변화추이(2004~2016년잠정) 157

표 45. 쌀 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변화추이(2004~2016년잠정) 158

표 46. 쌀 수급관련 통계의 변화 159

표 47. 쌀 재배면적, 10a당 수량 및 재배면적 변화추이 161

표 48. 일본의 주식용쌀 등 수요량과 생산량, 재고량 및 현미60㎏당 쌀가격의 변화 162

표 49. 벼 재배면적, 10a당 수량 및 재배면적 변화추이 163

표 50. 도별 10a당 쌀 수량 변화추이 164

표 51. 연대별·도별 쌀 10a당 평균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165

표 52. 연대별·도별 쌀 10a당 평년작 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165

표 53. 2005년 이후 10a당 쌀 생산비 비목별 변화추이 167

표 54. 10a당 쌀 생산 작업별 노동시간 비율 변화추이 171

표 55. 10a당 쌀 생산 작업별 노동시간 비율 변화추이 171

표 56. 직파부분 관련 노동력 투입시간의 변화추이 172

표 57. 도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교(2016년) 174

표 58. 전국평균 대비 도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율(2016년) 174

표 59. 경영주 연령대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교(2016년) 175

표 60. 전국대비 경영주 연령대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율(2016년) 175

표 61. 재배규모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교(2016년) 176

표 62. 전국대비 재배규모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율(2016년) 176

표 63. 경영주 연령대별 쌀 10a당 투입물량 및 시간 비교(2016년) 178

표 64. 경영주 연령대별 전국평균 대비 쌀 10a당 투입물량 비율(2016년) 178

표 65. 도별 쌀 10a당 투입물량 및 시간 비교(2016년) 179

표 66. 전국평균 대비 도별 쌀 10a당 투입물량 및 시간 비율(2016년) 179

표 67. 재배규모별 쌀 10a당 투입물량 및 시간 비교(2016년) 180

표 68. 전국평균 대비 재배규모별 쌀 10a당 투입물량 및 시간 비율(2016년) 180

표 69. 쌀 생산비 비목의 자본재, 노동력, 토지로 구분한 비목 비교 181

표 70. 10a당 쌀 생산비 비목별 비율(2014~'16년 평균) 182

표 71. 쌀 생산비 비목의 자본재, 노동력, 토지로 구분한 비목 비교 183

표 72. 10a당 쌀 생산비 비목별 비율(2014~'16년 평균) 185

표 73. 총인구 및 농가인구 추정치 187

표 74.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변화추이 188

표 75. 1인당 연간 쌀소비량 및 필요생산량 추정치 188

표 76. 가공용쌀 수요량 변화추이 191

표 77. 가공용쌀 수요처별 수요량 추정치 191

표 78. 1인당 연간 소비량 변화치 적용 쌀 적정생산 목표치 192

표 79. 기계이앙 대비 직파재배의 10a당 수익성과 생산비 비교 213

표 80. 1차(2015년) 직파재배 모델별 10a당 수익성과 생산비 비교 214

표 81. 2차(2016년) 직파재배 모델별 10a당 수익성과 생산비 비교 215

표 82. 시도별 최근 직파재배면적 변화추이 216

표 83. 시도별 직파유형별 재배면적 변화 217

표 84. 일본에서 직파재배와 이앙재배의 노동시간, 생산비, 생산량 비교 218

표 85. 보리 자급률, 생산량. 재배면적, 수량, 1인당 연간소비량 변화추이 261

표 86. 보리쌀 연도별 수급 변화추이(2003~2015년잠정) 262

표 87. 보리 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변화추이 263

표 88. 보리의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의 변화추이 263

표 89. 밀 자급률, 생산량, 재배면적, 10a당 수량, 1인당 연간소비량 변화 265

표 90. 밀 연도별 수급 변화추이(2003~2015년잠정) 266

표 91. 밀 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변화추이 267

표 92. 밀의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의 변화추이 267

표 93. 맥종별 재배면적, 10a당 수량 및 생산량 변화추이 268

표 94. 최근 맥종별 재배면적 변화 269

표 95. 맥종별 주요산지 시도별 10a당 평균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272

표 96. 맥종별 주요산지 시도별 10a당 평년작 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272

표 97. 주요산지 시도별 맥종별 10a당 평균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272

표 98. 주요산지 시도별 맥종별 10a당 평년작 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273

표 99. 최근 주요 시도별 밀 10a당 수량 변화와 변동계수 274

표 100. 맥종별 10a당 수익성과 비목 비율 비교(2011~'15년 평균) 275

표 101. 맥종별 10a당 총수입과 소득 변화추이 276

표 102. 쌀보리 10a당 조수입과 비용의 변화추이 277

표 103. 쌀보리 10a당 노동력 투입내용의 변화추이 277

표 104. 겉보리 10a당 조수입과 비용의 변화추이 278

표 105. 겉보리 10a당 노동력 투입내용의 변화추이 278

표 106. 맥주보리 10a당 조수입과 비용의 변화추이 279

표 107. 맥주보리 10a당 노동력 투입내용의 변화추이 279

표 108. 밀 10a당 수익성과 경영비 변화추이 280

표 109. 맥종별 노동1시간당 총수입과 소득 변화추이 282

표 110. 최근 10년간 밀 자급률, 소비량, 생산량, 면적, 10a당 수량 변화추이(양곡연도) 287

표 111. 밀 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생산량, 재배면적 및 10a당 수량 287

표 112. 밀 식량자급률 목표치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량과 재배면적 추정치 288

표 113. 밀 식량자급률 제고를 통한 소득 증대효과 288

표 114. 일본 밭작물 직접지불교부금에서 밀 지급기준 301

표 115. 일본에서 맥류(밀 포함) 품질구분 301

표 116. 일본에서 밀 품질평가 기준 302

표 117. 콩 연도별 수급 변화추이(2003~2015년잠정) 312

표 118. 콩 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변화추이 313

표 119. KREI 중장기 콩 수급전망(양곡년도) 313

표 120. 두류 종류별 생산량 변화추이(1980~2016년) 314

표 121. 두류 종류별 재배면적 변화추이(1980~2016년) 315

표 1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콩 재배의향면적 조사결과 318

표 123. 도별 콩 10a당 평균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320

표 124. 연대별·도별 콩 10a당 평년작 수량,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변화추이 320

표 125. 도별 콩 10a당 수량 변화추이 321

표 126. 최근 3년간 10a당 콩 수익성 및 비목별 비용 비교 323

표 127. 최근 4년간 10a당 콩 비목별 비율 비교 324

표 128. 콩 생산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및 동력사용시간 변화추이 328

표 129. 콩 작업별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329

표 130. 콩 농사의 기계화율의 변화추이 330

표 131. 콩 재배면적별 기계화율(2015년) 330

표 132. 최근 10년간 콩 자급률, 소비량, 생산량, 면적, 10a당 수량 변화(양곡연도) 333

표 133. 콩 자급률 목표치 달성을 위한 생산량, 재배면적 및 10a당 수량 333

표 134. 콩 식량자급률 목표치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량과 재배면적 추정치 334

표 135. 콩 식량자급률 제고를 통한 소득 증대효과 334

표 136. 주요 가축의 사육두수 및 사육농가수 변화추이 358

표 137. 소고기 수급 및 가격전망 359

표 138. 젖소 사육두수와 원유 수급전망(2015년 전망) 360

표 139. 사료의 수급실적 변화 361

표 140. 도별 사료작물 재배면적 변화추이(1975~2016) 363

표 141. 시·도별 대가축 사육두수 및 사료작물 재배면적(2016년) 364

표 142. 80년대말 경기지역 시군별 논밭별 식량작물 이모작 작부체계 367

표 143. 80년대말 강원지역 시군별 논밭별 식량작물 이모작 작부체계 368

표 144. 80년대말 충북지역 시군별 논밭별 식량작물 이모작 작부체계 369

표 145. 80년대말 충남지역 시군별 논밭별 식량작물 이모작 작부체계 370

표 146. 80년대말 경북 북부지역 시군별 논밭별 식량작물 이모작 작부체계 371

표 147. 답리작 사료작물 재배실적 변화 372

표 148. 조사료 수급현황 변화추이 373

표 149. 조사료 수급실적(2015.2) 374

표 150. 조사료 총소요량 대비 조사료 종류별 공급비율 375

표 151. 조사료 종류별 ha당 조사료 수량 375

표 152. 조사료 생산·유통 전문 경영체 육성 실태 376

표 153. 조사료 생산·유통 전문경영체 수(2013.12월 현재) 376

표 154. 한우번식우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사료비 변화추이 377

표 155. 한우비육우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사료비 변화추이 377

표 156. 육우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사료비 변화추이 378

표 157. 젖소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사료비 변화추이 378

표 158. 대가축 축종별 일반비, 사료비 구성내용 379

표 159. 대가축 축종별 일반비 대비 사료비 구성비율 379

표 160. 한우번식우와 젖소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비율 380

표 161. 한우비육우와 육우 1두당 수익성, 비용 및 비율 381

표 162. 조사료 자급률 목표치 386

표 163. 일본에서 용도별 쌀 생산조정 재배면적 및 생산량의 추이 390

표 164. 외국산 건초 종류별 농가구입가격 406

표 165. 양곡전체 수입처별 수입량과 주요 수요처별 수요량 변화추이 409

표 166. 주요 양곡별의 수입처별 수입량과 주요 수요처별 수요량 변화 410

표 167. 품목별 원료 사용량 및 구매금액의 변화 추이 411

표 168. 국내전체 식품제조품의 연도별 원료사용규모 및 국산원료 사용규모 변화 412

표 169. 원료 품목별 국산사용비중(비 식품제외) 412

표 170. 국산사용량 비중별 곡물 원료 현황(2015년) 412

표 171. 생산 품목별 국산 원료 사용량과 사용 비중 413

표 172. 생산제품별 매출액 및 출하량(2014년) 413

표 173. 사업체별 쌀 연간소비량 변화 414

표 174. 원료구입시 주요 고려사항 415

표 175. 국산원료 구매이유 415

표 176. 수입원료 구매이유 415

표 177. 통계청 농업면적조사에서의 작물 분류 439

표 178. 주요 부문별 논 재배면적 변화추이 441

표 179. 주요 작물의 논 재배면적의 변화추이 1 442

표 180. 주요 식량작물 전체 및 논 재배면적 비율의 변화 443

표 181. 도별 사료작물 전체 및 논 재배면적 비율의 변화 444

표 182. 벼(이모작) + 춘파 맥류·사료작물 수익성(농촌진흥청) 445

표 183. 영농형태별 경지규모별, 전겸업별, 경영주연령별, 판매금액별 농가수(2016년) 454

표 184. 식량작물, 양념채소 주산지의 시군수 현황 비교(2010년과 '15년) 455

표 185. 식량작물, 양념채소류 주산지 누적재배면적비율별 읍면동수 현황(2010년) 456

표 186. 김제시 맥류 주산지인 진봉면과 죽산면 맥종별 재배면적 변화추이 458

표 187. 식량작물 주산지 지정 시군 현황(2016년 9월) 459

표 188. 밭작물 공동경영체 육성지원사업 대상 시군과 품목 467

표 189. 일본 집락영농의 구성농가수별로 본 집락영농수 비율(전국) 471

표 190. 일본 집락영농의 농지의 집적면적규모별로 본 집락영농수 비율 472

표 191. 집락영농의 활동내역별 집락영농수 비율(전국, 복수응답) 472

표 192. 일본에 있어서 주요 도도부현별 자급률 변화추이 474

표 193. 일본 쌀 생산조정정책 주요 데이터 497

표 194. 일본 최근[경영소득안정대책]과 [수전활용직접지불교부금]에서 품목별 사업내용 499

표 195. 일본 경영소득안정대책과 수전활용직접지불교부금 등 사업별 사업명칭, 대상작물 및 16년 예산 500

표 196. 일본 사업별 대상작물별 교부금액 비교(2017년) 501

표 197. 일본 논에 있어서 맥류, 콩, 비주식용쌀 등의 소득(10a당 이미지) 502

표 198. 일본 밭작물 직접지불교부금의 품목별 수량단가와 면적환산 단가(2017년) 504

표 199. 밭작물 직접지불 교부금(2017년) 504

표 200. 일본의 밀 품목별 지급기준 504

표 201. 일본 맥주보리, 겉보리, 쌀보리의 품목별 지급기준 505

표 202. 일본 콩 품질구분 지급기준 505

표 203. 일본 메밀 품질구분 지급기준 505

표 204. 일본 전분원료용감자 품질구분 지급기준 505

표 205. 밭작물 직접지불교부금의 지불액과 지불대상자수 509

표 206. 전작물 직접지불교부금의 지불실적 수량 510

표 207. 수입감소영향 완화대책(나라시대책) 510

표 208. 쌀의 직접지불교부금의 지불액과 지불대상자 및 지불면적 511

표 209. 도별 쌀 10a당 노동력 투입시간 비교(2014년) 554

표 210. 2016년도(잠정) 양곡 수급상황 559

표 211. 2016년도(잠정)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60

표 212. 2016년도(잠정)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60

표 213. 2015년도 양곡 수급상황 561

표 214. 2015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62

표 215. 2015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62

표 216. 2014년도 양곡 수급상황(잠정) 563

표 217. 2014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64

표 218. 2014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64

표 219. 2013년도 양곡 수급상황 565

표 220. 2013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66

표 221. 2013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66

표 222. 2012년도 양곡 수급상황 567

표 223. 2012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68

표 224. 2012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68

표 225. 2011년도 양곡 수급상황 569

표 226. 2011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70

표 227. 2011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70

표 228. 2010년도 양곡 수급상황 571

표 229. 2010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72

표 230. 2010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72

표 231. 2009년도 양곡 수급상황 573

표 232. 2009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74

표 233. 2009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74

표 234. 2008년도 양곡 수급상황 575

표 235. 2008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76

표 236. 2008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76

표 237. 2007년도 양곡 수급상황 577

표 238. 2007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78

표 239. 2007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78

표 240. 2006년도 양곡 수급상황 579

표 241. 2006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80

표 242. 2006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80

표 243. 2005년도 양곡 수급상황 581

표 244. 2005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82

표 245. 2005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82

표 246. 2004년도 양곡 수급상황 583

표 247. 2004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84

표 248. 2004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84

표 249. 2003년도 양곡 수급상황 585

표 250. 2003년도 곡종별 생산량, 곡물 및 식량수요량 비율 586

표 251. 2003년도 품목별·부분별 공급량과 수요량 대비 비율 586

그림 1. 식량-곡물자급률 변화추이 65

그림 2. 품목별 식량자급률 변화추이 66

그림 3. 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 필요성 67

그림 4.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목적 및 추진방법 68

그림 5. 사업단 조직체계 70

그림 6. 사업단 운영.관리 체계 71

그림 7. 사업단 자급률제고 통합모델 추진전략 72

그림 8. 한국과 일본의 주요 곡물의 식량자급률의 변화추이 86

그림 9. 품목별 자급률 제고모델 보급, 확산 전략 72

그림 10. 일본의 곡물 및 식량자급률의 단계별 변화추이 89

그림 11. 곡물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추이 90

그림 12. 한국과 일본 곡물-식량자급률의 단계별 비교(한국 자급률 계산식에 의한 분석) 100

그림 13. 식량자급률과 곡물자급률의 변화추이 101

그림 14. 양곡의 주요 수급처별 수급량과 식량·곡물자급률 변화추이 102

그림 15. 주요 품목별 식량자급률 변화추이 104

그림 16. 양곡 생산량에서 주요 품목별 비율의 변화추이 106

그림 17. 양곡 수요량에서 주요 품목별 비율 변화추이 107

그림 18. 양곡 사료이외 수요량에서 주요 품목별 비율 변화추이 108

그림 19. 양곡 사료 수요량에서 주요 품목별 비율 변화추이 108

그림 20. 보리, 밀, 콩 생산량 변화추이 114

그림 21. 연도별 쌀 생산량의 변화와 식량-곡물자급률과의 관계 비교 117

그림 22. 보리쌀, 콩, 밀 재배면적 변화추이 118

그림 23. 식량·곡물자급률과 소득, 총수입, 재배면적의 변화추이 131

그림 24. 자급률과 식량작물 생산량 및 작물재배면적 변화비교 132

그림 25. 자급률과 농가의 수익성(소득, 총수입)의 변화비교 132

그림 26. 경지, 논, 밭 이용률의 변화추이(1975~2016년) 134

그림 27. 식량작물의 경지, 논, 밭 이용률 변화추이 137

그림 28. 맥류의 경지, 논, 밭 이용률 변화추이 139

그림 29. 농가소득 구성항목 농업소득비율 변화추이 141

그림 30. 농업총수입에서 식량작물 품목별 수입의 비율 143

그림 31. 농업총수입, 농업경영비, 농업소득, 농업소득률 변화추이 145

그림 32. 밀, 콩, 옥수수 국제곡물가격의 변화추이(2003~'16년) 147

그림 33.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요인 148

그림 34. 최근 3년간 곡물생산에 영향을 미친 이상기상 148

그림 35. 곡물자급률 제고를 위한 전체적인 틀 151

그림 36. 주요 곡물·조사료 자급률제고 목적 및 추진방법 152

그림 37. 주요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모델 개발과정의 차별성 153

그림 38. 주요 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를 위한 연차적 실증연구 방향 154

그림 39. 주요 곡물·조사료 자급률 제고 실증연구 추진체계 155

그림 40. 산지 쌀 가격과 10a당 쌀 수량의 변화추이 160

그림 41. 쌀 재배면적, 10a당 수량, 생산량 및 1인당 연간소비량 변화추이 160

그림 42. 일본의 주식용쌀 등 수요량과 생산량 및 현미60㎏당 쌀가격의 변화 162

그림 43. 주요 도별 10a당 쌀 수량 변화추이 164

그림 44. 10a당 쌀 총수입, 비용, 소득 변화추이 166

그림 45. 쌀 재배규모별 10a당 주요 항목별 비율(0.5ha미만농가=100%)(2014~'16년 평균) 168

그림 46. 쌀 재배규모별 10a당 주요 비목별 비율(2014~'16년 평균)(0.5ha미만농가=100%) 169

그림 47. 10a당 쌀 생산 주요 농기계 투입 관련 작업시간 변화추이 170

그림 48. 10a당 쌀 생산 주요 농기계 투입 관련 작업시간 변화추이 170

그림 49. 직파부분 관련 노동력 투입시간의 변화추이 172

그림 50. 노동주체별 10a당 쌀 생산 노동시간과 동력사용시간 변화 173

그림 51. 10a당 쌀 생산을 위한 주요 농자재 투입 변화 177

그림 52. 쌀 생산 비용절감 통합모델 184

그림 53. 쌀 수요처별 생산-소비촉진 및 수급안정 통합모델 186

그림 54. 일본 일일배송 쌀밥의 상품분야별 시장규모 추이와 예측 189

그림 55. 일본 가공쌀밥의 상품분야별 시장규모추이와 예측 190

그림 56. 일본 가공쌀법 생산량의 추이(종류별) 190

그림 57. 가공용쌀(식용) 수요량 변화추이 191

그림 58. 최근 직파유형별 재배면적 변화 216

그림 59. 일본 직파재배 면적 변화 218

그림 60. 보리자급률(식량), 식량자급률 및 생산량의 변화추이 260

그림 61. 밀 생산량, 밀 자급률(식량) 및 식량자급률 변화추이 264

그림 62. 맥종별 재배면적 비중 변화추이 269

그림 63. 맥류 주산지인 전북, 전남, 경남의 맥종별 재배면적의 비중 270

그림 64. 쌀과 맥종별 10a당 수량 변화추이 비교 271

그림 65. 맥종별 총수입, 경영비, 소득 비교(2012~'15년 평균) 281

그림 66. 맥종별 조곡 40㎏ 기준 수매가격 변화추이 283

그림 67. 세계 주요지역 밀 10a당 수량변화 추이 284

그림 68. 독일의 밀 초다수-품질 생산실현 사례분석 285

그림 69. 밀 자급률 제고 통합모델 286

그림 70. 일본 밀의 종류 및 상품명과 소맥분의 용도 사례 299

그림 71. 일본에서 밀의 종류별 단백질 함유량에 따른 이용방법 300

그림 72. 콩과 팥의 논 재배면적 비율 변화추이 316

그림 73. 콩 재배면적과 논콩 재배면적 변화추이 317

그림 74. 도별 논콩 재배면적 비율 변화추이 318

그림 75. 콩 주요 생산지역의 10a당 수량 변화추이 319

그림 76. 콩 10a당 수익성과 비용 변화추이 322

그림 77. 콩 1㎏당 수매가격 325

그림 78. 국산과 수입산 콩 1㎏당 도매가격 비교 325

그림 79. 콩(백태, 상품) 1㎏당 도매가격과 소매가격의 변화 326

그림 80. 한국과 일본 10a당 콩 노동력투입시간의 변화 추이 327

그림 81. 콩 생산 10a당 노동투입시간과 동력사용시간 변화 328

그림 82. 콩 생산 10a당 자재 투입물량 변화 331

그림 83. 콩 자급률 제고 통합모델 332

그림 84. 논콩 재배면적의 변화추이 355

그림 85. 전북 김제시 죽산면 콩 재배면적의 변화 비교 356

그림 86. 전북 김제시 죽산면과 기타읍면 콩 10a당 수량 변화 비교 357

그림 87. 한육우 사육 마리수 및 한우 도매가격 전망 359

그림 88. 사료작물 논, 밭 재배면적과 논 재배면적 비중 362

그림 89. 지역별 사료작물 주요 작부체계 365

그림 90. 지대별 청보리 안전작기 구분 366

그림 91. 중부지역 조사료 생산 및 건초 생산 통합모델 385

그림 92. 사료수요량과 수입량, 곡물자급률·식량자급률 변화추이 387

그림 93. 일본의 사료용포함 곡물전체자급률, 사료자급률, 주식용곡물자급률 388

그림 94. 곡물가공제품 생산-유통-소비촉진 통합모델 416

그림 95. 전북 김제시 읍면동별 맥종별 재배면적(2015년) 457

그림 96. 김제시 맥종별 재배면적 변화추이 458

그림 97. 들녘경영체 육성사업의 배경과 목적과 사업내용 460

그림 98. 들녘경영체 유형 및 유형별 주요 모델과 목표 461

그림 99. 들녘경영체 육성효과의 흐름도 462

그림 100. 지역 맞춤형 들녘경영체 지원시스템 사례 463

그림 101. 들녘경영체를 중심으로 지역 협의체와 그 역할 464

그림 102. 공동농업경영체 육성을 위한 요건강화 468

그림 103. 일본 집락영농수 변화추이 470

그림 104. 지역단위 곡물 자급률 제고 방향 473

그림 105. 일본 경영소득안정대책, 수전활용 직접지불교부금의 실시체계 475

그림 106. 지역단위 자급률 제고방안을 위한 주체별 흐름도 476

그림 107. 지역단위 자급률 제고를 위한 지원시스템 477

그림 108. 실증과제별 주요 연구성과내용과 성과확산 중점대상 및 관련정책 478

그림 109. 일본의 과거 식관법과 식량법에서 쌀 생산조정의 위치 493

그림 110. 일본 생산조정대책의 실시방법의 변천과정 496

그림 111. 일본 경영소득안정대책의 변화과정 498

그림 112. 일본 수량지불과 면적지불(영농계속지불)과의 관계 50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7753 338.19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77754 338.19 -18-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EM0000099330 338.19 -18-5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