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역정보화 성숙도 진단모델을 활용한 지자체 정보화 수준측정 방안 연구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행정자치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행정자치부, 201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제어번호
MONO1201806700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터젠컨설팅(주), (주)창의컨설팅
연구책임자: 류종학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목차

I. 이슈 분석 8

1. 정치적(Political) 이슈 9

1.1. 국민의 정치 관심 증가 9

1.2. 공공부문의 민영화 가속 11

1.3.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한 정책 활성화 13

1.4. 6차산업화 확산을 위한 정책 활성화 16

2. 경제적(Economical) 이슈 17

2.1. 농수축산업의 6차 산업화 가속 17

2.2. 세계경제 불확실성 증가 및 국내 산업 수출 둔화 21

2.3. 소비트렌드의 개인화 확대 23

2.4. 정보화 개념의 진화 25

3. 사회적(Social) 이슈 27

3.1. 기후 변화 및 에너지 고갈 등 환경 문제 대두 27

3.2. 안전에 대한 욕구 증가 30

3.3. 인구 고령화 문제 심화 32

3.4. 관광 트렌드의 변화 33

4. 기술적(Technological) 이슈 35

4.1. 공공부문의 ICBM 기술 활용 가속화 35

4.2. 지능형 기기 및 가상현실 관련 시스템·플랫폼 발전 전망 41

4.3. R&D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43

4.4. 신기술 간 융합 기반 차세대 과학기술의 발전 44

II. 유사 진단모델 분석 45

1. 성숙도 모델 평가 46

1.1. CeDS(지자체 전자정부 진단 및 솔루션 체계) 46

1.2. 범정부 EA 성숙도 모델 55

2. 정보화 성과 평가 65

2.1.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점검 65

2.2. 정부 3.0. 추진점검 70

3. 벤치마킹 요소 도출 72

III. 지자체 정보서비스 현황분석 73

1. 범정부 EA포털 자료를 활용한 분석 74

1.1. 범정부 EA포털 자료 활용 74

1.2. 지자체 업무기능-EA등록 시스템 매칭 75

2. 정보시스템 도입 지자체 업무영역 분석 76

2.1. 전체현황 76

2.2. 주요 업무기능영역 (정책분야) 세부분석 79

3. Coverage 분석의 시사점 82

3.1. EA 요소항목 추가 필요성 82

3.2. EA데이터에 기반한 Coverage분석의 한계 83

3.3. 성숙도진단 대상 정보서비스 선정관련 시사점 83

IV . 모델 개발 방법론 및 진단 모델 85

1. 지자체 유형화 86

1.1. 지자체 유형화 개요 86

1.2. 유형별 지자체 도출 결과 87

2. 진단서비스 도출 90

2.1. 개요 및 도출 절차 90

2.2. 도출 결과 93

3. 진단모델 95

3.1. 진단모델 개요 95

3.2. 20개 대표 정보서비스 진단 기준 99

4. 전문가 검토 142

4.1. 전문가 검토 목적 및 방법 142

4.2. 전문가 검토의견 144

V. 지자체 예비진단 146

1. 조사방법론 147

1.1. 조사목적 및 검토대상 정보서비스 147

1.2. 조사대상 지자체 선정 148

1.3. 조사방식 152

2. 지자체 방문조사 154

2.1. 방문조사의 목적 및 대상 154

2.2. 방문조사의 진행 155

2.3. 방문조사 결과 156

3. 서면조사 161

3.1. 서면조사의 목적 및 대상 161

3.2. 서면조사 결과 162

4. 지자체 예비진단의 시사점 179

4.1. 예비진단 지자체 20개 정보서비스 도입현황 (Coverage) 179

4.2. 시사점 183

VI. 전문가 평가 및 예비진단 반영 187

1. 성숙도 진단 대상 정보서비스 변경 188

2. 성숙도 진단 항목, 지표 개선방향 구체화 189

첨부 191

[첨부1] 지자체 유형별 개별/공통시스템 비율 192

[첨부2] 정책분야별 공통정보시스템 분포 193

[첨부3] 정책분야별 개별정보시스템 분포 194

[첨부4] 지자체 유형별 20개 대표정보서비스 제공현황 195

[첨부5] 지역정보화 성숙도 진단 모델 196

[첨부6] 지역정보화 성숙도 진단 예비 양식 236

[첨부7] 지역정보화 성숙도 진단 매뉴얼 312

[첨부8] 지역정보화 성숙도 진단 가이드라인 407

[표 1] 2016년 검색 키워드 순위 10

[표 2] 해외 주요국의 공공부문 개혁 사례 11

[표 3] 공기업 민영화 추진 후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 12

[표 4] 공기업 민영화 추진 후 부채비율 12

[표 5] 농업법인의 농업 생산 외 활동 부가가치 증가 17

[표 6] 6차 산업화 참여 농가의 매출, 소득, 수익률 19

[표 7] 6차 산업 주체와 유통업체 유형별 고용창출 효과 비교 19

[표 8] 세계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 21

[표 9]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 22

[표 10] 1인 가구 관련 신조어 23

[표 11] 10대 관광 트렌드 변화('10~'15) 34

[표 12] 해외 주요국의 공공 클라우드 시장 활성화 사례 37

[표 13] 공공부문 빅데이터 해외 활용 사례 39

[표 14] 정부3.0 빅데이터 기반 행정 서비스 사례 40

[표 15] 2013~2016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 42

[표 16] 전자정부 성숙도 측정모델 측정 항목 47

[표 17] CeDS 모델 측정항목 48

[표 18] 단계별 성숙도 수준 정의 49

[표 19] 성숙도 측정 질의 52

[표 20] 정보화 추진역량 측정모델 측정 항목 56

[표 21] 정보화 추진역량 측정모델 성숙도 수준 57

[표 22] 「정보화 관리체계 영역」단계별 성숙도 수준 정의 58

[표 23] 「활용성과 영역」단계별 성숙도 수준 정의 59

[표 24] 성숙도 측정 절차 60

[표 25] 성숙도 진단 측정 질의 60

[표 26] 성숙도 수준별 배점 64

[표 27] 공공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별 역할 67

[표 28] 공공데이터 개방 시행계획 추진일정 68

[표 29] 공공데이터 개방 평가 지표 69

[표 30] '14년 대상 정부 3,0 평가 일정 및 절차(공공기관) 71

[표 31] 평가항목 및 세부 평가 지표('14년도 평가 기준) 71

[표 32] 정보시스템 유형별 구성 76

[표 33] 표준(공통)시스템의 구성 77

[표 34] 우수시스템의 구성 77

[표 35] 개별시스템의 구성 78

[표 36] 문화체육관광 정책분야 내 정보시스템 분포 80

[표 37] 사회복지 정책분야 내 정보시스템 분포 81

[표 38] BRM상 주요 정책분야 공통/개별 시스템 운용현황 및 주요 도입 업무기능 영역 83

[표 39]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기초자치단체 유형 분류 기준 86

[표 40]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기초자치단체 유형 분류 기준(226개 기초지자체 대상) 87

[표 41] PEST 환경 분석 주요 이슈 90

[표 42] 진단 대상 대표 정보서비스('17년~) 91

[표 43] '17년 진단 대상 대표 정보서비스 분류 및 정의 93

[표 44] 정보서비스 성숙도진단모델 진단대상 서비스 확대 계획 95

[표 45] '16년도 진단기준 개발 대상 서비스 95

[표 46] 정보서비스 혁신성 주요 진단 유형 96

[표 47] 정보서비스 성과목표 달성도 주요 진단 유형 96

[표 48] 전문가 검증 자문위원 142

[표 49] 전문가 검토사항 143

[표 50] 검토대상 정보서비스 147

[표 51] 20대 대표정보서비스와 BRM상 업무기능 매칭 148

[표 52] 지자체별 20개 대표정보서비스 해당 업무기능영역 정보시스템 운용현황 (광역시의 예) 149

[표 53] 별도선정 지자체 및 해당 대표정보서비스 151

[표 54] 방문조사대상 지자체 154

[표 55] 서면조사 응답 지자체 20개 대표정보서비스 도입 현황 162

[표 56] 예비진단 지자체 20개 정보서비스 도입 현황 179

[표 57] 지자체 유형별 20개 대표정보서비스 도입 현황 182

[표 58] 지자체 정보화 성숙도 計量化 예시 (의회정보공개 서비스 성숙도 진단의 예) 184

[표 59] '17년 지자체 정보화 성숙도 진단 대상 정보서비스 주요 변경사항 188

[그림 1] 19대·20대 총선 연령대별 투표율 비교 9

[그림 2] '2016을 뜨겁게 달군 검색어' 순위 10

[그림 3] 그린IT 국가전략의 비전 및 목표 13

[그림 4] 녹색정보화 계획 추진전략 15

[그림 5] 6차 산업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 사례(강원도 홍천 사랑말 한우) 18

[그림 6] 사회발전단계별 정보처리와 의사결정 모델 25

[그림 7] 세계 상업용 에너지 소비 추세 및 자원별 채굴 가능 년 수 28

[그림 8] 세계인구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변화 추이 29

[그림 9] '16년 11월 16일 이후 AI 발생 현황 31

[그림 10] 연도별 고령화 추세 32

[그림 11] 지능형 주차서비스 'SFPark' 35

[그림 12] 지능형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35

[그림 13] NTT 전력소비정보 통합관리시스템 36

[그림 14] 후쿠시마휠 36

[그림 15] LG유플러스 스마트크린 36

[그림 16] 서울시 도로조명 제어시스템 36

[그림 17] G-클라우드 목표모델 38

[그림 18] R&D 패러다임의 변화 43

[그림 19] 나노기술 경제의 응용분야 비중 44

[그림 20] 범정부 EA 성숙도 모델 구성 55

[그림 21] 공공데이터 개방 실태평가 및 환류체계 65

[그림 22] 공공데이터 종합 현황지도 (예시) 66

[그림 23]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실적 추진체계 66

[그림 24] 정부3.0 추진위원회 조직도 70

[그림 25] BRM상 업무기능-EA등록 정보시스템 매칭 75

[그림 26] 일반공공행정 정책분야 내 정보시스템 분포 79

[그림 27] 지자체 매핑을 통한 기초자치단체 유형분류 조정 87

[그림 28] 의회정보공개 서비스 세부 서비스(기능) 및 서비스 품질요건 도출 과정 97

[그림 29] 의회정보공개 서비스 진단 모델 및 설문 양식 개발 98

[그림 30] 전문가 검토 내용 요약 145

[그림 31] 지자체유형별 20개 대표정보서비스영역 정보시스템 도입 현황 (광역시의 예) 150

[그림 32] 예비진단 대상 지자체별 도입 정보서비스 수 180

[그림 33] 20개 정보서비스 별 도입 예비진단 지자체 수 181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