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학술용역(총차년도) / 서울특별시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산지방재과, 2017
청구기호
577.53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 316 p. (일부접지)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07029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총괄책임연구원: 김남춘
부록: 1. 식물생태계 변화 ; 2. 동물생태계 ; 3. 무기환경
참고문헌: p. 313-314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부 연구개요 14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15

제2장 연구범위 16

제3장 연구내용 17

제4장 연구수행체계 18

1. 연구수행체계 18

2. 연구진행보고(1차년도) 19

3. 연구진행보고(2차년도) 22

4. 연구추진 일정 26

제5장 조사ㆍ분석방법 27

1. 식물생태계 27

2. 동물생태계 38

3. 무기환경 47

4. 사방시설 51

제2부 생태계 변화양상 52

제1장 식물생태계 53

1. 식물상 53

2. 현존식생 66

3. 복구지 식생 79

4. 수목활력도 116

5. 참나무시들음병 120

6. 식물생태계 변화 결론 128

제2장 동물생태계 130

1. 포유류 130

2. 양서ㆍ파충류 137

3. 곤충류 145

4. 조류 155

5. 동물생태계 변화 결론 172

제3장 무기환경 177

1. 토양환경 177

2. 토양 환경 결론 189

제4장 종합진단 190

제3부 사방시설 192

제1장 국내ㆍ외 사방시설의 관리 실태 조사 193

1. 국내 타 시ㆍ도 사방시설관리 조사 193

2. 해외 사방시설관리 실태조사 197

제2장 현황분석 210

1. 2011년 우면산 산사태 현황 210

제3장 복구사업 모니터링 213

1. 산사태 복구사업 모니터링 개요 213

2.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 장기 모니터링의 방향 217

3. 사방공학적 기능 평가 218

4. 사방사업이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 223

5. 모니터링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사항 230

6. 복구사업 모니터링 235

제4부 관리계획수립 237

제1장 단ㆍ중ㆍ장기 관리계획 수립 238

1. 미션 및 주요과제 238

2. 식물생태계 240

3. 동물생태계 251

4. 사방시설 253

5. 년차계획 255

제2장 유지 및 프로그램 256

1. 유지방안 제시 256

2. 프로그램 제시 261

[부록] 264

1. 식물생태계 변화 265

2. 동물생태계 298

참고문헌 304

판권기 307

[표 1.1] 연구추진일정 26

[표 1.2] 현존식생유형 분류 기준 및 내용(서울특별시 도시생태현황도 작성지침) 29

[표 1.3] 복구지 식생 현장조사 시기 31

[표 1.4] 우점도 및 군도의 계급 및 내용 31

[표 1.5] 복구지 식물상 방형구 현황 33

[표 1.6] 수목활력도 조사대상 수목 34

[표 1.7] 목시평가 4단계 순위 및 기준 35

[표 1.8] 동물생태계 조사시기 38

[표 1.9] 포유류 조사방법 39

[표 1.10] 양서ㆍ파충류 조사방법 41

[표 1.11] 육상곤충류 조사방법 44

[표 1.12] 조류 표기방법 46

[표 1.13] 토양 시료 채취 내역 48

[표 1.14] 토양의 유기탄소함량 계산식 49

[표 1.15] 토양의 전질소 함량 계산식 50

[표 1.16] 토양의 유효인산 계산식 50

[표 1.17] 토양의 치환성 Ca 계삭식 50

[표 2.1] 2016년 우면산 식물종 목록 53

[표 2.2] 우면산 식물상 변화 54

[표 2.3] 우면산 귀화식물 목록 55

[표 2.4] 우면산 식물 Raunkiaer 생활형 분석 57

[표 2.5] 우면산 출현 식물종 목록 및 과거 자료 비교 58

[표 2.6]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비율 및 과거자료 비교 67

[표 2.7] 전원마을(1-1공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비율 68

[표 2.8] 임광래미안(1-2공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비율 69

[표 2.9] 보덕사(2공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비율 70

[표 2.10] 생태저수지구간(3공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비율 71

[표 2.11] 송동마을(4공구)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 비율 72

[표 2.12] 우면산 산사태 지역 소실 군락(전체) 73

[표 2.13] 전원마을(1-1공구) 산사태 지역의 소실 군락 비율 74

[표 2.14] 임광래미안(1-2공구) 산사태 지역의 소실 군락 비율 75

[표 2.15] 보덕사(2공구) 산사태 지역의 소실 군락 비율 76

[표 2.16] 생태저수지구간(3공구) 산사태 지역의 소실 군락 비율 77

[표 2.17] 송동마을(4공구) 산사태 지역의 소실 군락 비율 78

[표 2.18] 녹화사방 조성 방안 79

[표 2.19] 산록, 산복부 묘목식재 80

[표 2.20] 복구사업시 종자배합비 80

[표 2.21] 복구 공사시 사용한 유형 방법 81

[표 2.22] 우면산 복구지 식물종 목록 83

[표 2.23] 1공구 A-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85

[표 2.24] 1공구 C-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87

[표 2.25] 2공구 A-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89

[표 2.26] 2공구 B-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1

[표 2.27] 2공구 C-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3

[표 2.28] 3공구 A-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4

[표 2.29] 3공구 C-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5

[표 2.30] 4공구 A-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7

[표 2.31] 4공구 C-유형 식생군락 분석결과 99

[표 2.32] 우면산 식물군집구조 조사구 위치 101

[표 2.33] 우면산 식물군집 유형분류 및 대표조사구 102

[표 2.34] 조사구1(상수리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3

[표 2.35] 조사구2(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3

[표 2.36] 조사구3(아까시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4

[표 2.37] 조사구4(밤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4

[표 2.38] 조사구5(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5

[표 2.39] 조사구6(팥배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5

[표 2.40] 조사구7(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6

[표 2.41] 조사구8(굴참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6

[표 2.42] 조사구9(아까시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7

[표 2.43] 조사구10(소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7

[표 2.44] 조사구11(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8

[표 2.45] 조사구12(아까시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8

[표 2.46] 조사구13(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9

[표 2.47] 조사구14(잣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09

[표 2.48] 조사구15(잣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0

[표 2.49] 조사구16(아까시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0

[표 2.50] 조사구17(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1

[표 2.51] 조사구18(밤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1

[표 2.52] 조사구19(밤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2

[표 2.53] 조사구20(잣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2

[표 2.54] 조사구21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3

[표 2.55] 조사구22(상수리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3

[표 2.56] 조사구23(상수리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4

[표 2.57] 조사구24(신갈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4

[표 2.58] 조사구25(아까시나무군집) 식물군집구조 변화 115

[표 2.59] 수목활력도 4단계 평가 결과 116

[표 2.60] 1공구 우면산 일대 포유류 종목록 130

[표 2.61] 2공구 우면산 일대 포유류 종목록 131

[표 2.62] 3공구 우면산 일대 포유류 종목록 132

[표 2.63] 4공구 우면산 일대 포유류 종목록 133

[표 2.64] 우면산 일대 공구별 포유류 종목록 135

[표 2.65] 1공구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 종목록 137

[표 2.66]/[표 2.65] 2공구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 종목록 138

[표 2.67]/[표 2.66] 3공구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 종목록 140

[표 2.68]/[표 2.67] 4공구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 종목록 141

[표 2.69]/[표 2.68] 우면산 일대 공구별 양서파충류 종목록 143

[표 2.70]/[표 2.69] 우면산 일대의 곤충류 분류군 수 145

[표 2.71]/[표 2.70] 우면산 일대의 곤충류 목록 147

[표 2.72]/[표 2.71] 1공구 우면산 일대의 조류 종목록 156

[표 2.73]/[표 2.72] 2공구 우면산 일대의 조류 종목록 159

[표 2.74]/[표 2.73] 3공구 우면산 일대의 조류 종목록 162

[표 2.75]/[표 2.74] 4공구 우면산 일대의 조류 종목록 165

[표 2.76]/[표 2.75]우면산 법정보호종 조류 종목록 168

[표 2.77]/[표 2.76]우면산 종 분포 현황 176

[표 2.78]/[표 2.77]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 지역 토양의 물리적 특성 180

[표 2.79]/[표 2.78]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 지역의 입도 조성 및 토성 182

[표 2.80]/[표 2.79]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 지역 토양의 화학적 특성 188

[표 3.1] 구역별 수림대의 목표 200

[표 3.2] 중력식콘크리트사방댐의 손상 특징 203

[표 3.3] 메쌓기사방댐의 열화 및 손상 특징 206

[표 3.4] 찰쌓기사방댐의 열화 및 손상의 특징 207

[표 3.5] 우면산 산사태 재해 발생 현황 211

[표 3.6] 우면산 산사태 복구공사 주요 적용공법 211

[표 3.7] 산림토목과 일반토목의 사방개념의 차이 213

[표 3.8] 모니터링 조사방법별 비교 216

[표 3.9] 우면산 사방댐 23개소에 대한 안정성 조사 결과 219

[표 4.1] 단ㆍ중ㆍ장기 분야별 전략 및 관리계획 239

[표 4.2] 생태계 교란종 및 덩굴식물 면적제시 240

[표 4.3] 생태계 교란종 및 덩굴식물 면적제시 시 우선제거순위 245

[표 4.4] 사방시설 주변 토심합계 249

[표 4.5] 자연림, 인공림 면적비율 250

[표 4.6] 아까시나무 평균 흉고수고와 흉고직경 251

[표 4.7] 동물생태계 모니터링 방법 252

[표 4.8] 단ㆍ중ㆍ장기 관리계획별 년차 계획 255

[표 4.9] 나비생태원 경제성 분석 258

[표 4.10] 소생물권 조성 경제성 분석 259

[표 4.11] 등산로 훼손 등급 판정기준 259

[표 4.12] 등산로 정비 경제성 분석(100m당) 260

[그림 1.1] 연구대상지 16

[그림 1.2] 연구수행체계 18

[그림 1.3]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1차) 착수보고 주요 내용 19

[그림 1.4]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1차) 중간보고 주요 내용 20

[그림 1.5]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1차) 최종보고 주요 내용 21

[그림 1.6]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2차) 착수보고 주요 내용 22

[그림 1.7]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2차) 중간보고 주요 내용 23

[그림 1.8]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2차) 시민ㆍ전문가토론회 주요 내용 24

[그림 1.9]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 연구(2차) 최종보고 주요 내용 25

[그림 1.10] 식물상 주요 조사 경로 27

[그림 1.11] 현존식생도 작성 체계 28

[그림 1.12] 복구지 식생 조사 장비 33

[그림 1.13] 수목활력도 조사 대상지 전경 35

[그림 1.14] 수목활력도 조사 대상지 36

[그림 1.15] 참나무시들음병 분류방법 37

[그림 1.16] 포유류 간접조사방법(예시) 40

[그림 1.17] 양서ㆍ파충류 간접조사방법(예시) 41

[그림 1.18] 우면산 두꺼비 서식지 조사지 42

[그림 1.19] 곤충류 조사방법(예시) 45

[그림 1.20] 토양 채취 장소 47

[그림 2.1] Raunkiaer 생활형 분석결과 57

[그림 2.2] 유헝별 녹화방법 81

[그림 2.3] 1공구 A-유형 전경 84

[그림 2.4] 1공구 C-유형 전경 86

[그림 2.5] 2공구 A-유형 전경 88

[그림 2.6] 2공구 B-유형 전경 90

[그림 2.7] 2공구 C-유형 전경 92

[그림 2.8] 3공구 A-유형 전경 94

[그림 2.9] 3공구 C-유형 전경 95

[그림 2.10] 4공구 A-유형 전경 96

[그림 2.11] 4공구 C-유형 전경 98

[그림 2.12] 우면산 내 식물군집구조 방형구 위치 102

[그림 2.13] 식물군집구조 문제점 및 해결방안 115

[그림 2.14]/[그림 2.15]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 120

[그림 2.15]/[그림 2.16] 참나무시들음병 분포현황 121

[그림 2.16]/[그림 2.17] 고도별 피해목 분포 122

[그림 2.17]/[그림 2.18] 사면별 피해목 분포 123

[그림 2.18]/[그림 2.19] 경사별 피해목 분포 124

[그림 2.19]/[그림 2.20] 등산로로 부터의 거리별 출현한 피해목 125

[그림 2.20]/[그림 2.21] 흉고직경 별 피해목 분포 126

[그림 2.21]/[그림 2.22] Kernel density에 따른 감염집중지역 127

[그림 2.22]/[그림 2.23] 참나무 시들음병 문제점과 해결방안 127

[그림 2.23]/[그림 2.24] 식물생태계 조사결과 및 문제점 129

[그림 2.24]/[그림 2.25] 우면산 일대의 포유류 136

[그림 2.25]/[그림 2.26]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 144

[그림 2.26]/[그림 2.27] 현지조사에서 확인된 곤충류 구성비 146

[그림 2.27]/[그림 2.28] 조사년도별 곤충류 분류군 구성비 146

[그림 2.28]/[그림 2.29] 우면산 일대의 곤충류 154

[그림 2.29]/[그림 2.30] 우면산 조류 출현종 1 169

[그림 2.30]/[그림 2.31] 우면산 조류 출현종 2 170

[그림 2.31]/[그림 2.32] 우면산 조류 출현종 3 171

[그림 2.32]/[그림 2.33] 우면산 일대 포유류의 변화상 172

[그림 2.33]/[그림 2.34] 우면산 일대 양서파충류의 변화상 173

[그림 2.34]/[그림 2.35] 동물생태계 조사결과 및 문제점 175

[그림 2.35]/[그림 2.36]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의 평균 토심 177

[그림 2.36]/[그림 2.37]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의 토양 경도 178

[그림 2.37]/[그림 2.38]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 토양 내 수분함량 179

[그림 2.38]/[그림 2.39]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의 토양층 입도 조성 181

[그림 2.39]/[그림 2.40]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의 토양산도 평균 183

[그림 2.40]/[그림 2.41]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의 전기 전도도(EC) 평균 184

[그림 2.41]/[그림 2.42]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 토양 내 치환성 양이온 K 함량 185

[그림 2.42]/[그림 2.43]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 토양 내 전질소 함량 186

[그림 2.43]/[그림 2.44]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 토양 내 유기물 함량 187

[그림 2.44]/[그림 2.45]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인근 미피해지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CEC) 188

[그림 2.45]/[그림 2.46] 토양환경 조사결과 및 해결방안 189

[그림 3.1] 사방시설 안전조치 체계도 195

[그림 3.2] 사방시설 사진에 여러 가지 처리를 한 후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박재현, 2005) 196

[그림 3.3] 미국의 산사태 관리 지도 197

[그림 3.4] 도시 산록부에 있어서 그린벨트정비사업의 모식도 199

[그림 3.5] 수림대의 기능 구분에 따른 정비 모식도 201

[그림 3.6] 도시산록 그린벨트정비사업에서 기능에 따른 수림대 구분 201

[그림 3.7] 일본 히로시마 모미지타니가와의 자연석을 이용한 정원사방 202

[그림 3.8] 사방댐 기초의 세굴상황 204

[그림 3.9] 사방댐 댐어깨의 파손 상황 204

[그림 3.10] 사방댐의 균열 발생 상황 205

[그림 3.11] 콘크리트의 마모 상황 206

[그림 3.12] 메쌓기 사방댐의 손상 상황 207

[그림 3.13] 찰쌓기 사방댐의 손상 상황 208

[그림 3.14] 일본의 토사재해 경계구역 지정에 따른 주민 대피율 209

[그림 3.15] 우면산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 현황도 210

[그림 3.16] 사방사업의 대상 예 214

[그림 3.17] 사업성과 모니터링 단계 215

[그림 3.18] 사방구조물 육안평가 221

[그림 3.19] 역 T형 옹벽 안전성 모니터링 222

[그림 3.20] 등산로에서 가시권 내에 있는 사방시설 조망점 위치 및 번호 224

[그림 3.21] 등산로 조망점별 상류 및 하류 전경 225

[그림 3.22] 사방사업지 주변 전경 및 하류 침사지 상태 230

[그림 3.23] 도시생활권 주변 산록지역에서의 사방대책 방향(전근우, 2015) 230

[그림 3.24] 우면산 생태저수지구간에 시공된 사방시설 및 주변 경관 232

[그림 3.25] 일본에서의 사방댐 녹화를 통한 경관성 향상 사례 233

[그림 4.1] 우면산 관리계획 수립 238

[그림 4.2] 서양등골나물 제거 방안 241

[그림 4.3] 칡 제거 방안 242

[그림 4.4] 미국자리공 제거 방안 243

[그림 4.5] 돼지풀, 미국가막사리 제거 방안 244

[그림 4.6]/[그림 4.5] 훈증처리목에 서식중인 광릉긴나무종 245

[그림 4.7]/[그림 4.6] 숲의 열림 및 수관 개방 246

[그림 4.8]/[그림 4.7] 우면산 사방시설 주변 생태교량 252

[그림 4.9] 우면산 두꺼비 서식처 조성 253

[그림 4.10] 우면산 산사태위험지도 254

[그림 4.11] 나비생태원 대상지 선정 과정 256

[그림 4.12] 나비생태원 대상지 선정 결과 257

[그림 4.13] 나비생태원 조성 후 257

[그림 4.14] 우면산 소생물권 적용 대상지 및 소생물권 유형 258

[그림 4.15] 우면산 정비 등산로와 등산로 정비 전후 260

[그림 4.16] 생태계 교란종 신고 앱 개발 262

[그림 4.17]/[그림 1] 우면산 등산로 및 둘레길 263

[부록 표 1] 복구지 식생 조사 방형구 GPS좌표 287

[부록 그림 1] 우면산 등산로 현황 265

[부록 그림 2] 우면산 일대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 266

[부록 그림 3] 우면산 일대 외래종 및 생태계 교란종 267

[부록 그림 4] 우면산 일대 출현 식물 268

[부록 그림 5] 우면산 일대 출현 식물 269

[부록 그림 6] 우면산 생태계 교란식물 분포현황도 271

[부록 그림 7] 우면산 현존식생도(2016) 272

[부록 그림 8] 전원마을(1-1공구) 현존식생도 273

[부록 그림 9] 임광래미안(1-2공구) 현존식생도 274

[부록 그림 10] 보덕사(2공구) 현존식생도 275

[부록 그림 11] 생태저수지구간(3공구) 현존식생도 276

[부록 그림 12] 송동마을(4공구) 현존식생도 277

[부록 그림 13] 우면산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78

[부록 그림 14] 전원마을(1-1공구)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79

[부록 그림 15] 임광래미안(1-2공구)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80

[부록 그림 16] 보덕사(2공구)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81

[부록 그림 17] 생태저수지구간(3공구)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82

[부록 그림 18] 송동마을(4공구) 산사태 지역의 과거 현존식생도(2010) 283

[부록 그림 19] 우면산 식생면적과 산사태 소실 면적의 상관관계 284

[부록 그림 20] 전원마을(1-1공구) 식생면적과 산사태 소실 면적의 상관관계 284

[부록 그림 21] 임광래미안(1-2공구) 식생면적과 산사태 소실 면적의 상관관계 285

[부록 그림 22] 보덕사(2공구) 식생면적과 산사태 소실 면적의 상관관계 285

[부록 그림 23] 생태저수지구간(3공구) 식생면적과 산사태 소실 면적의 상관관계 285

[부록 그림 24] 복구지 식생 조사 방형구 위치 286

[부록 그림 25]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1 289

[부록 그림 26]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2 290

[부록 그림 27]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3 291

[부록 그림 28]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4 292

[부록 그림 29]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5 293

[부록 그림 30]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6 294

[부록 그림 31]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7 295

[부록 그림 32] 복구지 식생 조사 사진 대상 8 296

[부록 그림 33] 참나무시들음병 발병 위치 297

[부록 그림 34] 우면산 출현종 위치 299

[부록 그림 35] 우면산 복구지의 토양 단면 및 전경 사진 300

[부록 그림 36] 우면산 복구지의 토양 단면 및 전경 사진 301

[부록 그림 37] 우면산 복구지의 토양 단면 및 전경 사진 302

[부록 그림 38] 우면산 복구지의 토양 단면 및 전경 사진 30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1106 577.53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71107 577.53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