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 연구책임: 서원선 ; 공동연구원: 김훈, 서욱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
청구기호
362.4184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 190 p. ; 24 cm
총서사항
정책 ; 17-12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9212559
제어번호
MONO1201807127
주기사항
"보이스아이" 바코드 수록
부록: 1.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설문지 ; 2. 미국 주정부 직업재활 기관(State-Federal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의 직업재활 서비스 적격성심사(eligibility determination) 기준과 내용 ; 3. 미국 주정부 직업재활기관의 개별고용계획(Individualized Plan for Employment, IPE) 양식
참고문헌: p. 157-159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발간사 4

연구요약 12

Ⅰ. 서론 27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8

2. 연구 범위 및 방법 32

1) 연구 범위 32

2) 연구 방법 33

3. 연구수행체계 34

Ⅱ.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35

1. 시각장애인의 취업현황 36

2. 시각장애인 진입이 용이한 직종 사례 39

1) 안마사 및 헬스키퍼 39

2) 바리스타 41

3) 점역ㆍ교정사 42

4) 속기사 43

5) 제빵기능사 45

3.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전달체계 48

1) 맹학교 직업반 48

2) 대한안마사협회 53

3) 시각장애인복지관 54

4) 한국장애인개발원 62

Ⅲ.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관련된 해외 사례 65

1. 미국 66

1) 개관 66

2) 미국의 주정부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과정과 내용 66

3) 재활서비스(Rehabilitation Services)의 종류와 제공 68

2. 영국 75

1) 개관 75

2) 잡센터 플러스(JobCentre Plus) 76

3) 잡센터 플러스의 장애 고용 어드바이저(Disability Employment Advisors) 76

4) 노동접근(Access to Work) 프로그램 78

5) 노동선택(Work Choice) 프로그램 81

6) 시각장애인수당(Blind Persons Allowance) 82

3. 일본 83

1) 일본의 시각장애인 현황 83

2) 시각장애인의 직업 현황 89

3) 고용 지원 서비스 98

4) 시각장애인 직업의 향후 과제 100

4. 시사점 103

Ⅳ.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개선을 위한 양적 및 질적 분석 105

1. 설문조사 107

1) 조사개요 107

2) 조사결과 109

2. 질적조사 127

1) 연구 참여자 선정 127

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28

3) 자료의 수집과 분석 128

4) 연구의 엄격성 129

5) 분석 결과 129

3. 포커스그룹인터뷰 152

1) 연구 설계 및 질문의 개발 152

2) 자료 수집 과정 및 절차 152

3) 자료 분석 154

4) 분석 결과 154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60

1. 미시적 결론 및 정책제언 162

1) 구직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162

2) 시각장애인 직업재활에 필요한 매뉴얼 164

3) 시각장애인을 위한 직종 개발 165

4) 시각장애인을 위한 상담 167

2. 거시적 결론 및 정책제언 169

1) 개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례관리 체계 169

2) 개별 맞춤형 심사를 위한 적격성 기준 171

3) 장애관련 기관과의 연계 및 기능 구분 172

참고문헌 175

[부록 1]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설문지 179

[부록 2] 미국 주정부 직업재활 기관(State-Federal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y)의 직업재활 서비스 적격성심사(Eligibility Determination) 기준과 내용 191

[부록 3] 미국 주정부 직업재활기관의 개별고용계획(Individualized Plan for Employment, IPE) 양식 204

판권기 207

〈표 Ⅰ-1-1〉 시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미국 재활기관의 서비스 종류 30

〈표 Ⅱ-1-1〉 장애유형별 장애인 경제활동 상태 추정(15세 이상 인구, 2016년 5월 기준) 36

〈표 Ⅱ-1-2〉 장애유형별 구직자수, 취업자수, 취업률 현황 37

〈표 Ⅱ-1-3〉 사업체 및 장애유형별 고용현황 38

〈표 Ⅱ-2-1〉 시각장애인 직업훈련 현황 46

〈표 Ⅱ-3-1〉 자립생활전공과 교육과정 49

〈표 Ⅱ-3-2〉 이료재활전공과 교육 과정 50

〈표 Ⅱ-3-3〉 이료전문전공과 표준교육과정 52

〈표 Ⅱ-3-4〉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고용지원센터 고용지원사업 54

〈표 Ⅱ-3-5〉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 직업평가센터 직업평가사업 57

〈표 Ⅱ-3-6〉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회 근로사업장 및 보호작업시설 운영사업 58

〈표 Ⅱ-3-7〉 직업재활팀 운영사업(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 60

〈표 Ⅱ-3-8〉 장애인일자리사업 구분(한국장애인개발원) 63

〈표 Ⅱ-3-9〉 우리나라 시각장애인 주요 직업재활 서비스 64

〈표 Ⅲ-2-1〉 노동접근(Access to Work) 평가 기간에 따른 지원 정도 80

〈표 Ⅲ-2-2〉 노동선택(Work Choice) 프로그램 업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기간 81

〈표 Ⅲ-3-1〉 장애종류별 신체장애인 수 84

〈표 Ⅲ-3-2〉 등급별 시각장애인 현황 84

〈표 Ⅲ-3-3〉 시각장애인 전체 수의 원인 질환(좋은 쪽 시력 0.5) 85

〈표 Ⅲ-3-4〉 안마마사지지압사 국가시험합격자 수의 추이(정안인ㆍ시각장애인 별) 89

〈표 Ⅲ-3-5〉 안마마사지지압사 국가시험합격자 수의 추이(시각장애인교육기관별 합격자) 89

〈표 Ⅲ-3-6〉 안마사 수의 변화 91

〈표 Ⅲ-3-7〉 정보처리 직업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는 단체와 훈련기간 96

〈표 Ⅲ-3-8〉 녹음 타이핑 속기훈련시설 및 훈련 기간 97

〈표 Ⅲ-3-9〉 시각장애인 직업 소개 상황 성과(2012-2016) 100

〈표 Ⅳ-1-1〉 시각장애인 직업재활 제도 개선을 위한 설문 조사내용 108

〈표 Ⅳ-1-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0

〈표 Ⅳ-1-3〉 직장을 다니는 경우 직업 111

〈표 Ⅳ-1-4〉 직장을 다니는 경우 직업(주관식) 112

〈표 Ⅳ-1-5〉 직장을 다니는 경우 근로기간 112

〈표 Ⅳ-1-6〉 현재 구직 중인 경우 원하는 직업 113

〈표 Ⅳ-1-7〉 현재 구직 중인 경우 원하는 직업(주관식) 113

〈표 Ⅳ-1-8〉 현재 구직 중인 경우 구직 기간 114

〈표 Ⅳ-1-9〉 현재 구직 중인 경우 만 15세 이후부터 지금까지 취업 경험 유무 115

〈표 Ⅳ-1-10〉 구직에 필요한 직업재활 서비스 필요 정도 117

〈표 Ⅳ-1-11〉 직업 유무에 따른 구직에 필요한 직업재활 서비스 필요 정도 차이 119

〈표 Ⅳ-1-12〉 고용 유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의 능력 혹은 서비스 중요 정도 121

〈표 Ⅳ-1-13〉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국가적인 지원 필요 정도 123

〈표 Ⅳ-1-14〉 직업 유무에 따른 직업재활을 위한 국가적 지원 필요 정도 차이 124

〈표 Ⅳ-1-15〉 시각장애인이 진입하기 용이한 직종(주관식) 125

〈표 Ⅳ-2-1〉 심층인터뷰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28

〈표 Ⅳ-2-2〉 개방코딩 결과 130

〈표 Ⅳ-3-1〉 포커스그룹인터뷰 질문 내용 152

〈표 Ⅳ-3-2〉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53

〈표 Ⅴ-1-1〉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지원 주요 내용 166

〈표 Ⅴ-2-1〉 미국 및 영국의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 사례 171

[그림 Ⅰ-1-1] 미국 및 영국의 개별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식 30

[그림 Ⅰ-3-1] 연구수행체계 34

[그림 Ⅳ-2-1] 시각장애인의 직업재활의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 133

[그림 Ⅴ-2-1] 개별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를 위한 사례관리 및 서비스 전달체계 171

[그림 Ⅴ-2-2] 시각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기관별 연계 및 기능 17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1136 362.4184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