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서울동행프로젝트 환경분석을 통한 운영전략 수립 연구보고서 / 주최: 서울특별시 ; 주관: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자원봉사센터, 2017
청구기호
361.37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ⅳ, xviii, 157 p. : 삽화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10352
주기사항
수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책임연구원: 이선미
참고문헌: p. 122-12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연구진

목차

요약 8

I. 서론 27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7

1-1. 연구의 필요성 27

1-2. 연구 목적 27

2. 연구 내용과 사업 추진 체계 28

2-1. 연구내용 28

2-2. 사업 추진 전략 및 체계 29

3. 연구 방법 30

4. 기대효과 33

II. 서울동행프로젝트 현황 분석 34

1. 서울동행프로젝트 참여 현황 34

1-1. 서울동행프로젝트 대학생 참여 추세 변화 34

1-2. 서울동행프로젝트 수혜기관(수혜자) 참여 추세 변화 37

1-3. 서울동행프로젝트 분야별 참여 추세 변화 37

1-4. 소결 39

2. 서울동행프로젝트 운영 현황 39

2-1. 프로젝트 운영개요 39

2-2. 담당조직 현황 40

2-3. 소결_주요 특징 요약 42

III. 서울동행프로젝트 외부 환경 변화 분석 43

1.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43

1-1. 인구 구조 변화 43

1-2. 과학 기술과 산업 구조의 변화 49

1-3. 청년 노동 시장 변화 57

1-4. 사회 불평등과 교육복지 정책 63

2. 교육 환경 변화 66

2.1.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66

2.2. 진로 및 직업교육의 중요성 확대 69

2-3. 대학생 대외활동 참여 추세 변화 70

2-4. 정보통신기술에 기초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구축 가속화 72

2.5. 동행 프로젝트에의 함의 74

3. 동행 유사 프로그램 현황 75

3-1. 역사적 사례 1: 미국국가봉사단(Americorps) 75

3-2. 역사적 사례 2: 학생사회개발단 76

3-3. 최근 사례 1: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TFA) 76

3-4. 최근 사례 2: 한양대학교 사회봉사 사회혁신센터 77

3-5. 최근 사례 3: 한국장학재단 교육근로장학사업 78

3-6. 최근 사례 4: 기업의 대학생-청소년 멘토링 프로그램 80

3-7. 최근 사례 5: 자치구청의 대학생 멘토링 사업 81

4. 대학생 사회참여 관련 정책 현황 82

4-1. 정부의 정책현황 82

4-2. 서울시의 정책현황 83

4-3. 정책현황의 시사점 84

IV. 서울동행프로젝트 개선 전략 도출 85

1. 서울시동행프로젝트 이해관계자 의견 조사 85

1-1.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 인터뷰 결과 85

1-2.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102

2. 대학생 자원봉사 참여 감소 원인 125

3. 서울동행프로젝트 SWOT 분석 126

3-1. 외부환경 분석 126

3-2. 내부역량 분석 127

3-3. SWOT 분석 128

3-4. 전략 기획 시나리오 도출 129

4. 이해관계자 시나리오 워크숍 결과 131

4-1. 목적 및 주요 내용 131

4-2. 진행방법 132

4-3. 이해관계자 워크숍 결과 132

V. 동행 프로젝트 발전전략 제안 142

1. 전략방향 142

1-1. 개요 142

2. 발전전략 제안 143

2-1. 운영체계 143

2-2. 프로그램 144

2-3. 이해관계자 145

2-4. 사회적 위상 146

참고문헌 148

별첨 151

별첨 1] 동행 프로젝트 현황 기초 통계 153

(1) 동행 프로그램별 봉사자 수 추이(2009년~2017년) 153

(2) 동행 프로그램별 수혜학생 수 추이(2009년~2017년) 154

(3) 교과목 학습지도 프로그램 수요처별 봉사자 수 추이(2009년~2017년) 155

(4) 봉사자 출신 학교 추이(2009년~2017년) 156

(5) 봉사자 출신 학과 추이(2009년~2017년) 160

(6) 주요 학교별 봉사자 증감 추이(2013년~2017년) 161

(7) 지역구별 봉사자 현황 및 증감 추이(2010년~2017년) 162

(8) 봉사자 만족도 추이(2012년~2017년) 163

(9) 봉사자 지원동기 추이(2011년~2017년) 164

(10) 봉사자 지원 경로 추이(2013년~2017년) 165

(11) 지역구별 수혜학생 수 추이(2009년~2017년) 166

(12) 저소득층 수혜학생 수 추이(2013년~2017년) 168

(13) 수혜학생 만족도 추이(2011년~2016년) 169

별첨 2] 대학생 설문지 170

별첨 3] 수혜기관 담당자 설문지 175

별첨 4]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 설문 180

별첨 5] 시나리오 워크숍 활동지 183

판권기 184

〈표 I-1〉 사업 추진 일정 30

〈표 II-1〉 전체 봉사자 수 34

〈표 II-2〉 출신학교 및 봉사자 수 34

〈표 II-3〉 전공별 분포: 교육 관련 전공 및 비교육 관련 전공 비교 36

〈표 II-4〉 봉사자 출신 상위 10위학과 36

〈표 II-5〉 프로그램별 봉사자 수 38

〈표 III-1〉 학령인구의 변화 46

〈표 III-2〉 산업혁명 과정 비교 51

〈표 III-3〉 직업적인 핵심역량의 중요도 변화 67

〈표 III-4〉 20대가 선호하는 모바일 검색 서비스 73

〈표 III-5〉 콘텐츠 형식별 완독비율 및 적정 길이 74

〈표 IV-1〉 대학교 사회봉사 담당자의 일반적 특성 106

〈표 IV-2〉 참여대학생들의 대외활동 선택 기준 107

〈표 IV-3〉 동행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 수준 109

〈표 IV-4〉 동행 프로젝트의 운영 만족도 109

〈표 IV-5〉 동행 프로젝트의 장점 109

〈표 IV-6〉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장점 인식 비교 110

〈표 IV-7〉 동행 프로젝트에서 지속참여 방해 요인 110

〈표 IV-8〉 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지속 참여 방해 요인 응답 비교 111

〈표 IV-9〉 동행 프로젝트 참여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 111

〈표 IV-10〉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참여활성화 요인 비교 111

〈표 IV-11〉 동행 프로젝트에서 확대운영이 필요한 영역 112

〈표 IV-12〉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확대 운영 필요 영역 비교 112

〈표 IV-13〉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113

〈표 IV-14〉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의 유익성과 의미 비교 113

〈표 IV-15〉 동행 프로젝트의 바람직한 가치 지향 요인 113

〈표 IV-16〉 교육전공 여부에 따른 동행 프로젝트 가치 지향 인식 비교 114

〈표 IV-17〉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15

〈표 IV-18〉 수혜기관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목표 달성 수준 인식 116

〈표 IV-19〉 수혜기관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운영 평가 116

〈표 IV-20〉 수혜기관 관계자들의 관심과 인지도 수준 117

〈표 IV-21〉 수혜기관 담당자가 느끼는 동행 프로젝트 참여시 어려운 점 117

〈표 IV-22〉 동행 프로젝트에서 확대운영이 필요한 영역 118

〈표 IV-23〉 참여대학생들이 더 갖추어야 할 역량 요소 118

〈표 IV-24〉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요인 119

〈표 IV-25〉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 지향 요인 119

〈표 IV-26〉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20

〈표 IV-27〉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들이 인식한 동행 프로젝트 목표 달성 수준 121

〈표 IV-28〉 동행 프로젝트 운영 절차에 대한 평가 121

〈표 IV-29〉 대학관계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관심과 인지도 수준 121

〈표 IV-30〉 참여대학생에게 필요한 역량 요소 122

〈표 IV-31〉 동행 프로젝트 참여의 유익성과 의미 122

〈표 IV-32〉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 지향 요인 123

〈표 IV-33〉 개선점(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임) 123

〈표 IV-34〉 동행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 수준: 세 집단 비교 123

[그림 I-1] 사업 추진 체계 29

[그림 II-1] 주요 학교 봉사자 증감 추이 35

[그림 II-2] 최근 5년간 지역구 수혜학생 증감 추이 37

[그림 III-1] 서울시 인구피라미드의 변화(1980, 2015) 44

[그림 III-2] 행정동별 유소년 인구 분포 45

[그림 III-3] 산업별 취업자 비중의 추이 54

[그림 III-4] OECD 주요 국가의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54

[그림 III-5] 연도별 성별 취업률 및 지역별 계열별 취업률 58

[그림 III-6] 연도별 성별 졸업자수 및 지역별 계열별 졸업자수 59

[그림 III-7] 서울시 실업률 변화(2000~2015) 60

[그림 III-8] 소득 계층 내 격차 64

[그림 III-9] 21세기 학습을 위한 프레임워크 67

[그림 III-10] 2015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의 인간상과 핵심역량 68

[그림 III-11] 대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대외활동 프로그램 유형 비교 71

[그림 III-12] K-MOOC 홈페이지 73

[그림 IV-1] 참여대학생 응답자와 일반적 특성 103

[그림 IV-2] 수혜기관 담당자 중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05

[그림 IV-3] 대학 사회봉사 담당자들의 동행 프로젝트 관심 수준 106

[그림 IV-4] 참여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 107

[그림 IV-5] 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참여 동기 비교 108

[그림 IV-6] 동행 프로젝트의 가치지향 요인에 대한 세 집단 비교 124

[그림 IV-7] 그림 TAIDA Process 13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8647 361.37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78648 361.37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