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도성도
사진
목차
발간사 / 박원순 9
01. 역사도시의 도성과 성문 / 이상해 12
참고문헌 33
02. 중국 청대 성시(城市)의 성문 형제(形制)에 관한 고찰 / 한동수 36
1. 서언 37
2. 청대 부성의 성문 수량 37
3. 청대 부성의 성문 위치 45
4. 청대 부성의 성문 형식 45
5. 맺음말 53
참고문헌 59
03. 도시건축으로서의 한양도성 문루 / 조상순 62
1. 서론 63
2. 도시건축으로서 문루의 기능 69
1) 전좌(殿座), 그리고 헌괵례(獻馘禮) 69
2. Functions of Gate Pavilions as Urban Architecture 70
1) Jeonjwa and Heongoengnye 70
2) 영제 79
3) 종루 81
3. 형태와 건축구성 85
1) 형태 85
2) 건축 구성 91
4. 결론 99
참고문헌 101
04. 조선의 지리적 네트워크의 지렛대, 한양도성 성문 / 양보경 104
1. 도시는 네트워크이며, 성문은 네트워크의 지렛대였다 105
2. 한양도성 성문은 전국 도로의 출발점이었다 109
3. 성문은 한양도성을 거주 '장소'로 만들었다 113
4. 고지도가 이야기하는 한양도성 성문 113
참고문헌 119
05. 한양도성 성문의 관리와 문화적 가치 / 홍순민 122
1. 도성과 도성문 축성의 역사 123
1) 태조 연간의 도성 및 도성문 축조 123
2) 세종 연간의 도성 및 도성문 수축(修築) 127
3) 숙종 연간의 도성 수축과 도성문 개축 129
4) 영조 연간의 도성문 개축 137
2. 도성문의 구성과 위상 143
1) 대문과 소문 143
2) 암문의 존재 여부 147
3) 정문과 간문 149
3. 도성 및 성문 관리 153
1) 도성의 건축적 관리 담당 관서 153
2) 순심 척간 159
3) 파수 입직 161
4) 성문 개폐 163
4. 출입 관리와 통제 167
1) 관원의 출입 통제 167
2) 민간인 통제 169
3) 장례 169
4) 영제(영祭) 171
5. 도성의 의미와 가치 173
1) 서울의 표상 173
2) 근대화의 압박과 도성의 훼철 175
Contents
Publisher's message / PARK Won-soon 10
01. Walls and Gates of Historic Cities / LEE Sang-Hae 12
References 34
02. A Study on the Gate Systems and Styles of Qing-dynasty Chinese Walled Cities(Chengshi) / HAN Dong-soo 36
1. Introduction 38
2. Number of Gates in Qing-dynasty Fucheng 38
3. Positions of Gates in Qing-dynasty Fucheng 46
4. Gate Styles in Qing-dynasty Fucheng 48
5. Conclusion 54
References 60
03. Gate Pavilions of Hanyangdoseong as Urban Architecture / JO Sang-sun 62
1. Introduction 64
2. Functions of Gate Pavilions as Urban Architecture 70
1) Jeonjwa and Heongoengnye 70
2) Yeongje Rite 80
3) Belfry 82
3. Style and Architectural Composition 86
1) Style 86
2) Architectural Composition 92
4. Conclusion 100
References 102
04. Gates of Hanyangdoseong: Lever for the Geographical Network of Joseon Dynasty / YANG Bo-kyung 104
1. The City as a Network, Its Gates as Levers of the Network 106
2. The Gates of Hanyangdoseong: Departure Points of Roads that Connected the Capital with Every Part of Korea 110
3. Gates of Hanyangdoseong Turned the Walled Capital into a Living Space 114
4. Gates of Hanyangdoseong on Ancient Maps 114
References 120
05. Management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Gates in Hanyangdoseong / HONG Soon-min 122
1. History of the Construction of Hanyangdoseong and its Gates 124
1) Construction of Hanyangdoseong and its Gates during King Taejo's Reign 124
2) Repair of Hanyangdoseong and its Gates during King Sejong's Reign 126
3) Repair of Hanyangdoseong and Reconstruction of its Gates during King Sukjong's Reign 130
4) Reconstruction of the Gates during King Yeongjo's Reign 138
2. Architectural Design and Style of the Gates 144
1) Large and Small Gates 144
2) Did Ammun Exist? 148
3) Main Gates and Gates Between the Main Gates 150
3. Maintenance of Hanyangdoseong and its Gates 154
1) Agencies Responsible for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154
2) Patrol and Inspection 160
3) Assignment of Guards 162
4) Opening and Closing of the Gates 164
4. Control of Traffic 168
1) Control of Entry and Exit of Officials 168
2) Control of the Populace 170
3) Funerals 172
4) Yeongje 172
5.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Hanyangdoseong 174
1) Symbol of Seoul 174
2) Pressure of Modernization and the Demolition of Hanyangdoseong 176
사진 179
판권기 181
[뒷표지] 18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78669 | 951.9109 -18-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78670 | 951.9109 -18-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EM0000109603 | 951.9109 -18-5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