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7) 콘텐츠 교육기관 및 인력수요 현황조사 / 한국콘텐츠진흥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나주 :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 2017
청구기호
338.4779 -18-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83, 20, 469 p. : 도표, 서식 ; 30 cm
총서사항
KOCCA 연구보고서 ; 17-15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5146520
제어번호
MONO1201810557
주기사항
연구수행기관: (주)윕스
연구책임자: 김현종
부록: 1. 콘텐츠 산업인력 직무분석 기존 연구자료 ; 2.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상의 콘텐츠 산업인력 적용범위 ; 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콘텐츠 분야별 직무 유형 외
참고문헌: p. 414-41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일러두기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10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10

2. 주요 연구내용 111

3. 연구 수행방법 112

제2장 콘텐츠산업 및 직무 분류체계 116

제1절 콘텐츠산업 분류체계 116

1. 콘텐츠산업 정의 116

2. 콘텐츠산업 분류체계 117

제2절 콘텐츠산업 직무 분류 130

제3장 콘텐츠 교육기관 현황 146

제1절 조사 개요 146

1. 조사 목적 146

2. 조사 연혁 146

3. 조사 개요 148

제2절 모집단 설정 및 표본설계 151

1. 정규 교육기관 모집단 설정 151

2. 정규 교육기관 표본설계 152

3. 비정규 교육기관 모집단 설정 153

4. 비정규 교육기관 표본설계 154

제3절 국내 콘텐츠 정규 교육기관 전수조사 156

1.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현황 156

2.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 및 취업 현황 174

3.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현황 192

4.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 및 취업 현황 196

제4절 국내 콘텐츠 교육기관 표본조사 211

1. 콘텐츠 정규 교육기관 표본조사(고등교육기관) 211

2. 콘텐츠 정규 교육기관 표본조사(고등학교) 249

3. 콘텐츠 비정규 교육기관 표본조사 278

제5절 해외 콘텐츠 교육기관 벤치마킹 사례분석 286

1. 해외 콘텐츠 관련 교육기관 사례 286

2. 주요 교육기관 심층 분석 294

3. 해외 벤치마킹 시사점 320

제6절 소결 326

제4장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 336

제1절 조사 개요 336

1. 조사 개요 336

2. 모집단 및 표본설계 336

3. 주요 조사내용 339

제2절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및 인력 현황 340

1.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340

2. 콘텐츠인력 정규/비정규직 비율(2017년 기준) 341

3. 세부 유형벌 종사자 수 및 부족률(2016년 기준) 342

4.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2016년 기준) 352

5. 콘텐츠인력 종사자(2016년 기준) 및 구인 현황 364

6. 콘텐츠인력 퇴사(퇴직 및 이직) 현황 365

7. 콘텐츠산업의 인력난 366

8. 직무별 인력 채용상의 어려움 368

제3절 프리랜서 활용 현황 375

1. 프리랜서 활용 여부 375

2. 프리랜서 고용 현황(2016년 기준) 376

3. 프리랜서 활용 이유 377

4. 향후 프리랜서 활용 규모(비활용기업 포함) 378

제4절 콘텐츠기업 교육훈련 현황 379

1. 재직자 대상 교육훈련 현황 379

2. 직무역량 기여 정도 383

3. 실무적응 교육훈련 소요기간 및 교육비 지불의사 384

4. 정규 교육기관 교과 과정의 직무 수행 충족도 385

5. 콘텐츠 산업인력 역량 강화 386

6. 산업 진입 예비인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390

제5절 소결 393

제5장 콘텐츠산업 인력수요 및 교육기관 배출인력 전망 398

제1절 콘텐츠산업 인력수요 전망 398

1.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전망 398

2. 인력양성 관점 종사자 수 전망 402

제2절 콘텐츠 교육기관 배출인력 전망 404

1. 콘텐츠 교육기관 배출인력 현황 404

2. 콘텐츠 교육기관 배출인력 전망 406

제3절 콘텐츠산업 직무별 수요 및 요구 역량 408

1. 교육기관 직무 수요 및 요구 역량 408

2. 사업체 직무 수요 및 요구 역량 436

제4절 소결 451

제6장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성과분석 458

제1절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458

1. 문화부 인력양성사업 정책 흐름 458

2.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462

3.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력양성사업 지원유형 분석 469

제2절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력양성사업 성과분석 471

1. 인력양성사업 주요 성과 471

2. 인력양성사업 성과 종합분석 480

제3절 주요 부처 인력양성사업 비교분석 488

1. 부처별 인력양성사업 추진 개요 488

2. 부처별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497

3. 지자체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503

제4절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개선방안 506

1.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추진현황 및 성과 요약 506

2.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개선사항 510

참고문헌 521

부록 526

부록 1. 콘텐츠 산업인력 직무분석 기존 연구자료 528

부록 2.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상의 콘텐츠 산업인력 적용범위 530

부록 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콘텐츠 분야별 직무 유형 533

부록 4. 장르별 콘텐츠 관련학과 리스트 536

부록 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콘텐츠 관련학과 리스트 541

부록 6. 콘텐츠 비정규 교육기관 리스트 544

부록 7. 조사표(4종) 549

부록 7-1. 조사표(정규 교육기관_대학용) 549

부록 7-2. 조사표(정규 교육기관_고등학교용) 556

부록 7-3. 조사표(비정규 교육기관) 563

부록 7-4. 조사표(사업체) 567

판권기 577

[표 2-1] OECD 콘텐츠 및 미디어 상품 분류 118

[표 2-2] 출판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0

[표 2-3] 만화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1

[표 2-4] 음악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2

[표 2-5] 영화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3

[표 2-6] 게임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4

[표 2-7] 애니메이션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4

[표 2-8] 방송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5

[표 2-9] 광고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6

[표 2-10] 캐릭터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7

[표 2-11] 지식정보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8

[표 2-12] 콘텐츠솔루션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9

[표 2-13] 공연산업 분류체계 및 조사 대상 업종 129

[표 2-14] 출판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2

[표 2-15] 만화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3

[표 2-16] 음악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4

[표 2-17] 영화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5

[표 2-18] 게임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6

[표 2-19] 애니메이션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7

[표 2-20] 방송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8

[표 2-21] 광고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39

[표 2-22] 캐릭터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40

[표 2-23] 지식정보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41

[표 2-24] 콘텐츠솔루션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42

[표 2-25] 공연분야 업무 프로세스별 직무체계 143

[표 3-1] 국내 콘텐츠 교육기관 전수조사 개요 148

[표 3-2] 국내 콘텐츠 교육기관 표본조사 개요 149

[표 3-3] 정규 교육기관 조사내용 149

[표 3-4] 비정규 교육기관 조사내용 150

[표 3-5] 학제별 콘텐츠 관련학과 보유 학교 수 및 학과 수(2017) 151

[표 3-6] 콘텐츠 정규교육기관 모집단 및 표본설계, 응답학과 152

[표 3-7] 콘텐츠 관련 강좌 보유 기관 수 및 강좌 수(2017) 154

[표 3-8] 콘텐츠 비정규 교육기관 모집단 및 표본설계 155

[표 3-9] 학제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학과, 재적학생 수(2017) 156

[표 3-10] 권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학과, 재적학생 수(2017) 157

[표 3-11]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학과, 재적학생 수(2017) 158

[표 3-12]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학과, 재적학생 구성비 및 비율(2017) 159

[표 3-13]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학과, 재적학생 수(2017) 160

[표 3-14] 권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수(2017) 161

[표 3-15] 권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과 수(2017) 162

[표 3-16] 권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생 수(2016) 163

[표 3-17] 지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교 수(2017) 164

[표 3-18] 지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과 수(2017) 165

[표 3-19] 지역별·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생 수(2016) 166

[표 3-20] 고등교육기관 학교 변동 현황(2012~2017) 167

[표 3-21] 고등교육기관 학과 변동 현황(2012~2017) 168

[표 3-22] 고등교육기 관 학생 변동 현황(2012~2016) 169

[표 3-23]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전년 대비 변동 내역(2015~2017) 170

[표 3-24] 권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전년 대비 변동 내역(2015~2017) 171

[표 3-25]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전년 대비 변동 내역(2015~2017) 172

[표 3-26]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전년 대비 변동 내역(2015~2017) 173

[표 3-27] 학제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2015) 174

[표 3-28]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 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75

[표 3-29] 권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76

[표 3-30] 지역별 고등교육기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77

[표 3-31]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78

[표 3-32] 학제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5) 179

[표 3-33] 권역별 고둥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5) 180

[표 3-34]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5) 181

[표 3-35]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5) 182

[표 3-36]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3

[표 3-37] 권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4

[표 3-38] 권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프리랜서 제외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4

[표 3-39]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5

[표 3-40] 지역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프리랜서 제외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6

[표 3-41]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7

[표 3-42] 장르별 고등교육기관 콘텐츠 관련학과 프리랜서 제외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5) 188

[표 3-43] 콘텐츠 관련 고등학교 수, 학과 수(2017) 192

[표 3-44] 권역별 콘텐츠 관련 고등학교 수, 학과 수(2017) 193

[표 3-45] 지역별 콘텐츠 관련 고등학교 수, 학과 수(2017) 194

[표 3-46] 장르별 콘텐츠 관련 고등학교 수, 학과 수(2017) 195

[표 3-47] 권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취업대상자(2016) 196

[표 3-48] 지역별 고등학교 콘댄츠 관련학과 졸업자, 취업대상자(2016) 197

[표 3-49] 장르별 고등학교 콘댄츠 관련학과 졸업자, 취업대상자(2016) 198

[표 3-50]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취업대상자 변동 현황(2012~2016) 199

[표 3-51] 권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6) 199

[표 3-52] 지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6) 200

[표 3-53] 권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변동 현황(2012~2016) 201

[표 3-54] 지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변동 현황(2012~2016) 202

[표 3-55] 장르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자 변동 현황(2012~2016) 203

[표 3-56] 장르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변동 현황(2012~2016) 204

[표 3-57] 권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6) 205

[표 3-58] 지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6) 206

[표 3-59] 장르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2016) 207

[표 3-60]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대상자,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6) 208

[표 3-61] 권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 2012~2016) 208

[표 3-62] 지역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6) 209

[표 3-63] 장르별 고등학교 콘텐츠 관련학과 취업자 변동 현황(2012~2016) 210

[표 3-64] 학제별 평균 입학·졸업생 수 212

[표 3-65] 장르별 평균 입학·졸업생 수 212

[표 3-66] 학제·장르별 졸업생 취업 및 진로현황 214

[표 3-67] 학제·장르별 콘텐츠 분야 취업자 직군 비중 215

[표 3-68] 학제·장르별 전임·비전임 교수 현황 217

[표 3-69] 학제·장르별 교육 현황 만족도 219

[표 3-70] 학제·장르별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 여부 221

[표 3-71] 학제·장르별 정부지원사업 도움 정도 222

[표 3-72] 학제·장르별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정부지원사업 224

[표 3-73] 학제·장르별 교육시설 필요성 225

[표 3-74] 학제·장르별 교육 기자재 필요성 227

[표 3-75] 학제·장르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 229

[표 3-76] 학제·장르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유무 231

[표 3-77] 학제·장르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유 현황 232

[표 3-78] 학제·장르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도 233

[표 3-79] 학제·장르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도 234

[표 3-80] 학제·장르별 해외 교육기관·기업과의 교류 여부 236

[표 3-81] 학제·장르별 해외 교육기관·기업과의 교류 현황 237

[표 3-82] 학제·장르별 교과 과정의 충족도 238

[표 3-83] 학제·장르별 역량 강화 항목 중요도 240

[표 3-84] 학제·장르별 역량 강화 항목 효과도 240

[표 3-85] 학제·장르별 산업인력 역량강화 및 인력수급 프로그램 효과도 242

[표 3-86] 학제·장르별 핵심적인 교육 방법(1순위) 243

[표 3-87] 학제·장르별 효과도가 큰 교육 방법(1순위) 245

[표 3-88] 학제·장르별 강화해야 할 교육 방법(1순위) 246

[표 3-89] 학제·장르별 정부 지원이 필요한 교육 방법(1순위) 248

[표 3-90] 장르별 평균 입학·졸업생 수(고등학교) 250

[표 3-91] 장르별 졸업생 취업 및 진로현황(고등학교) 251

[표 3-92] 장르별 졸업생 콘텐츠 분야 취업자 직군 비중(고등학교) 253

[표 3-93] 장르별 교육 현황 만족도(고등학교) 254

[표 3-94] 장르별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 여부(고등학교) 255

[표 3-95] 장르별 정부지원사업 도움 정도(고등학교) 256

[표 3-96] 장르별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정부지원사업(고등학교) 258

[표 3-97] 장르별 교육시설 필요도(고등학교) 259

[표 3-98] 장르별 교육 기자재 필요도(고등학교) 260

[표 3-99] 장르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중복 응답, 고등학교) 262

[표 3-100] 장르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유무(고등학교) 263

[표 3-101] 장르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유 현황(고등학교) 264

[표 3-102] 장르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도(고등학교) 265

[표 3-103] 장르별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도(고등학교) 265

[표 3-104] 장르별 해외 교육기관·기업과 교류 유경험 비율(중복 응답, 고등학교) 268

[표 3-105] 장르별 역량 강화 항목 중요도(고등학교) 269

[표 3-106] 장르별 역량 강화 항목 효과도(고등학교) 270

[표 3-107] 장르별 산업인력 역량강화 및 인력수급 프로그램 효과도(고등학교) 271

[표 3-108] 장르별 핵심적인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3

[표 3-109] 장르별 효과도가 큰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4

[표 3-110] 장르별 강화해야 할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5

[표 3-111] 장르별 정부 지원이 필요한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7

[표 3-112] 기관유형·장르별 콘텐츠 분야 교육 과정 279

[표 3-113] 기관유형·장르별 수강생의 신분 280

[표 3-114] 기관유형·장르별 수강생의 전공 281

[표 3-115] 기관유형·장르별 취업한 콘텐츠 분야 283

[표 3-116] 기관유형·장르별 취업자의 강좌 내용과 직무 일치 여부 285

[표 3-117] 미국 드레이퍼 대학 286

[표 3-118] 스탠퍼드 디자인스쿨(Design School) 287

[표 3-119] CAL Arts 288

[표 3-120] Full Sail Unlversty 289

[표 3-121] 도쿄대 미디어콘텐츠와 디지털휴머니티즈 개요 289

[표 3-122] 디지털헐리우드대학 개요 290

[표 3-123] 파브리카(Fabrica) 291

[표 3-124] 프라운호퍼 아카데미(Fraunhofer) 292

[표 3-125] AFTRS(Australian Film Television and Radio School) 292

[표 3-126] VFS(Vancouver Film School) 293

[표 3-127] Full Sail University 학부 교육 과정 296

[표 3-128] Full Sail University 대학원(석사) 교육 과정 298

[표 3-129] Full Sail University 학부 학비(총액 기준) 300

[표 3-130] Full Sail University 대학원 학비(총액 기준) 301

[표 3-131] AFI Conservatory 영화촬영 전공 커리큘럼 303

[표 3-132] AFI Conservatory 연출 전공 커리큘럼 304

[표 3-133] AFI Conservatory 편집 전공 커리큘럼 304

[표 3-134] AFI Conservatory 제작 전공 커리큘럼 305

[표 3-135] AFI Conservatory 프로덕션 디자인 전공 커리큘럼 306

[표 3-136] AFI Conservatory 시나리오 전공 커리큘럼 306

[표 3-137] AFI Conservatory 학비(2018년 기준) 307

[표 3-138] AFI Conservatory 재정지원 대상자 전공별 최소 이수단위시간 308

[표 3-139] 스탠퍼드 디자인스쿨 개설 강의 310

[표 3-140] 스댄퍼드 디자인스쿨 정규 커리큘럼(2017년 가을학기 기준) 311

[표 3-141] 스탠퍼드 디자인스쿨 워크숍/단기 프로그램(2017년 봄학기 기준) 312

[표 3-142] 드레이퍼 대학 히어로 트레이닝 프로그램 커리큘럼 313

[표 3-143] 드레이퍼 대학 관리자 프로그램 커리큘럼(2017년 8월 과정 기준) 314

[표 3-144] 드레이퍼 대학 실리콘밸리 학기제 커리큘럼 315

[표 3-145] 드레이퍼 대학 학비(2017년 기준) 315

[표 3-146] 미네르바 스쿨의 4년 과정 커리률럼 317

[표 3-147] 미네르바 스쿨의 전공별 세부 과정 318

[표 3-148] 미네르바 대학 연간 학비(2017-18년 기준) 319

[표 3-149] 해외 주요 교육기관의 기술환경 변화 대응 신규 교육체계 321

[표 3-150] 해외 주요 교육기관의 산학협력 체계 323

[표 3-151] 해외 주요 교육기관의 융합환경 대응 프로젝트 베이스 교육체계 325

[표 4-1]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조사 개요 336

[표 4-2]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조사 모집단 현황 336

[표 4-3]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조사 표본설계 및 응답기업 특성 338

[표 4-4] 콘텐츠산업 인력 현황조사 주요 조사내용 339

[표 4-5] 규모·분야별 종사자 수 340

[표 4-6] 규모·분야별 콘텐츠인력 정규직/비정규직 인원 비율(2017년 현재 기준) 341

[표 4-7] 산업분야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및 부족인원 342

[표 4-8] 규모·분야·직무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344

[표 4-9] 규모·분야·직무별 콘벤츠인력 부족인원 345

[표 4-10] 규모·분야·학력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347

[표 4-11] 규모·분야·학력별 콘텐츠인력 부족인원 348

[표 4-12] 규모·분야·직능수준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350

[표 4-13] 규모·분야·직능수준별 콘텐츠인력 부족인원 351

[표 4-14] 산업분야별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 352

[표 4-15] 규모·분야·직무별 콘텐츠인력 구인인원 353

[표 4-16] 규모·분야·직무별 콘텐츠인력 채용인원 354

[표 4-17] 규모·분야·학력별 산업 분야 구인인원 356

[표 4-18] 규모·분야·학력별 산업 분야 채용인원 357

[표 4-19] 규모·분야·직능수준별 구인인원 359

[표 4-20] 규모·분야·직능수준별 채용인원 360

[표 4-21] 규모·분야·경력별 콘텐츠인력 구인 비중 362

[표 4-22] 규모·분야·경력별 콘텐츠인력 채용인원 363

[표 4-23] 규모·분야·경력 여부별 콘텐츠인력 전공별 구인인력 비중 364

[표 4-24] 규모·분야별 2016년 퇴사(퇴직 및 이직) 인원 365

[표 4-25] 규모·분야별 콘텐츠 관련 직무별 인력 채용상의 어려움 정도 368

[표 4-26] 규모·분야별 기획창작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 370

[표 4-27] 규모·분야별 콘텐츠 제작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1

[표 4-28] 규모·분야별 마케팅/홍보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3

[표 4-29] 규모·분야별 연구개발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4

[표 4-30] 규모·분야별 프리랜서 활용 여부 375

[표 4-31] 규모·분야별 한 해 동안 고용한 프리랜서 376

[표 4-32] 규모·분야별 프리랜서 활용 이유 377

[표 4-33] 규모·분야별 향후 프리 랜서 활용 규모 378

[표 4-34] 규모·분야별 재직자 대상 교육훈련 실시 여무 379

[표 4-35] 규모·분야별 신입직 교육훈련 실시 항목(1순위) 380

[표 4-36] 규모·분야별 경 력 직 교육훈련 실시 항목(1순위) 381

[표 4-37] 규모·분야별 교육훈련 미 실시 이유(1순위) 382

[표 4-38] 규모·분야별 직무역량 기여 정도 383

[표 4-39] 규모·분야별 실무적응 교육훈련 소요기간 384

[표 4-40] 규모·분야별 콘벤츠 관련 교과 과정의 직무 수행 충족도 386

[표 4-41] 규모·분야별 콘댄츠 산업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항목별 중요도 387

[표 4-42] 규모·분야별 콘텐츠 산업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항목별 효과도 388

[표 4-43] 규모·분야별 콘텐츠산업내 인력 수급 및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도 389

[표 4-44] 규모·분야별 효과가 큰 교육 프로그램(1순위) 390

[표 4-45] 규모·분야별 강화해야 할 교육방법(1순위) 391

[표 4-46] 규모·분야별 정부지원이 필요한 교육방법(1순위) 392

[표 5-1] 장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2011~2015) 398

[표 5-2] 장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예측(2015~2020) : 선행연구 399

[표 5-3] 장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전망(2011~2020) 400

[표 5-4] 장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전망(2016~2022) 401

[표 5-5] 인력양성 관점에서의 장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전망(2016~2022) 402

[표 5-6] 인력양성 관점에서의 직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 전망(2016~2022) 403

[표 5-7] 인 력 양성 관점 에서의 직무별 콘텐츠산업 종사자 비율(2016~2022) 403

[표 5-8] 학제별 졸업생 수 전망(2015~2025) : 선행 연구 404

[표 5-9] 학제별 졸업생 수(2015~2025) : 교육통계서비스 405

[표 5-10] 학제별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생 수(2012~2015) 405

[표 5-11] 학제별 콘텐츠 관련학과 졸업생 비중(2012~2015) 406

[표 5-12] 장르별 콘텐츠 관련학과 배출인력 전망(졸업생 기준 2016~2022) 407

[표 5-13] 장르별 콘텐츠 관련학과 배출인력 전망(취업대상자 기준 2016~2022) 407

[표 5-14] 학제·장르별 현재 핵심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09

[표 5-15] 학제·장르별 5년 후 핵심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10

[표 5-16] 학제·장르별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11

[표 5-17] 학제·장르별 필요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고등교육기관) 413

[표 5-18] 학제·장르별 직무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 해소를 위한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효과(고등교육기관) 414

[표 5-19] 학제·장르별 현재 강조하는 교육(1순위, 고등교육기관) 415

[표 5-20] 학제·장르별 재학생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1순위, 고등교육기관) 417

[표 5-21] 학제·장르별 5년 후 핵심 필요 이력(1순위, 고등교육기관) 418

[표 5-22] 학제·장르별 인재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교육기관) 420

[표 5-23] 학제·장르별 인재 핵심 능력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교육기관) 422

[표 5-24] 장르별 현재 핵심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4

[표 5-25] 장르별 5년 후 핵심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4

[표 5-26] 장르별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5

[표 5-27] 장르별 필요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고등학교) 427

[표 5-28] 장르별 직무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 해소를 위한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효과(고등학교) 428

[표 5-29] 장르별 현재 강조하는 교육(1순위, 고등학교) 429

[표 5-30] 장르별 재학생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1순위, 고등학교) 430

[표 5-31] 장르별 5년 후 핵심 필요 이력(1순위, 고등학교) 431

[표 5-32] 장르별 핵심 역량 중요도(고등학교) 433

[표 5-33] 장르별 핵심 능력 중요도(고등학교) 435

[표 5-34] 규모·분야별 현재 핵심 직무(1순위, 사업체) 437

[표 5-35] 규모·분야별 향후(5년 후) 핵심 직무(1순위, 사업체) 438

[표 5-36] 규모·분야별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1순위, 사업체) 439

[표 5-37] 규모·분야별 필요 역량 및 보상수준 격차(사업체) 441

[표 5-38] 규모·분야별 직무 역량 및 보상수준 격차 해소를 위한 콘텐츠 인력양성사업 효과(사업체) 442

[표 5-39] 규모·분야별 회사에서 중요시하는 교육 및 이력(1순위, 사업체) 444

[표 5-40] 규모·분야별 신입 인력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1순위, 사업체) 445

[표 5-41] 규모·분야별 5년 후 핵심 필요이력(사업체) 446

[표 5-42] 규모·분야별 핵심 역량 중요도(사업체) 448

[표 5-43] 규모·분야별 핵심 능력 중요도(사업체) 450

[표 6-1]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력양성사업 예산 현황 462

[표 6-2]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개요 463

[표 6-3] 우수크리에이터발굴지원 사업개요 464

[표 6-4] 콘텐츠재교육 사업개요 465

[표 6-5] 사이버콘텐츠아카데미 사업개요 466

[표 6-6] 콘텐츠창의체험스쿨 사업개요 467

[표 6-7] 해외석사과정지원 사업개요 467

[표 6-8] 기술기반융합형콘텐츠창업인력양성 사업개요 468

[표 6-9] 장르별 지원유형 469

[표 6-10] 교육기간별 지원유형 469

[표 6-11] 직무별 지원유형 470

[표 6-12] 교육대상별 지원유형 470

[표 6-13]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 주요 성과 471

[표 6-14] 우수크리에이터발굴지원사업 주요 성과 473

[표 6-15] 콘텐츠재교육사업 주요 성과 475

[표 6-16] 사이버콘텐츠아카데미사업 주요 성과 476

[표 6-17] 콘텐츠창의체험스쿨사업 주요 성과 477

[표 6-18] 국내외연계융합형창의인재양성사업 주요 성과 479

[표 6-19] 인력양성사업 예산지원 대비 교육 수혜인원 481

[표 6-20] 수혜대상별 지원예산 구성비 481

[표 6-21] 실무역량 향상 주요 성과 483

[표 6-22] 산업인력 공급기반 조성 주요 성과 486

[표 6-23] 교육부 주요 인력양성사업(산업연계, 산학협력사업) 489

[표 6-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요 인력양성사업 492

[표 6-25] 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인력양성사업 493

[표 6-26] 고용노동부 주요 인력양성사업(산학협력 및 산업수요 대응사업) 495

[표 6-27] 중소기업벤처부 주요 인력양성사업 496

[표 6-28] 부처별 주요 콘텐츠 관련 인력양성사업 497

[표 6-29] 부처별 인력양성사업 주요 추진내용 요약 500

[표 6-30] 부처별 인력양성사업 추진체계 주요 내용 502

[표 6-31] 주요 지자체 콘텐츠분야 인력양성 관련 사업(2017년 기준) 505

[표 6-32] 콘텐츠인력양성정책 시기별 특징 507

[표 6-33] 인력양성사업 주요 성과 요약 508

[표 6-34] 주요 부처 인력양성사업 예산 및 주요 단위사업별 지원 규모(2017년 기준) 510

[표 6-35] 한국콘텐츠진흥원 산학협력 관련 인력양성사업 512

[표 6-36]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 관련 인력양성사업 추진개요 516

[그림 3-1] 콘텐츠 교육기관 현황조사 구성 148

[그림 3-2] 콘텐츠 관련학과 분류 절차 151

[그림 3-3] 전문대학 4차 유지취업률 비교(2015) 189

[그림 3-4] 대학 4차 유지취업률 비교(2015) 190

[그림 3-5] 대학원 4차 유지취업률 비교(2015) 191

[그림 3-6] 연도별 평균 입학·졸업생 수 211

[그림 3-7] 취업 및 진로현황 213

[그림 3-8] 연도별 졸업생 진로 비율 213

[그림 3-9] 졸업생 콘텐츠 분야 취업자 직군 비중 215

[그림 3-10] 전임·비전임 교수 현황 216

[그림 3-11] 연도별 전임·비전임 교수 구성 비율 216

[그림 3-12] 교육 현황 만족도 218

[그림 3-13]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 여부 219

[그림 3-14] 연도별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률 220

[그림 3-15] 정부지원사업 도움 정도 221

[그림 3-16]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정부지원사업 223

[그림 3-17] 교육시설 필요성 224

[그림 3-18] 교육 기자재 필요성 226

[그림 3-19] 채널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중복 응답) 227

[그림 3-20] 연도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중복 응답) 228

[그림 3-21] 연도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유 비율 229

[그림 3-22] 연도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유 현황(중복 응답) 230

[그림 3-23]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펼요도 및 효과도 232

[그림 3-24]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도 및 효과도 포트폴리오 분석 234

[그림 3-25] 연도별 해외 교육기관·기업과의 교류 경험률 235

[그림 3-26] 연도별 해외 교육기관·기업과 교류 현황(중복 응답) 235

[그림 3-27] 교과 과정의 충족도 237

[그림 3-28] 역량 강화 항목 중요도 및 효과도 239

[그림 3-29] 산업인력 역량강화 및 인력수급 프로그램 효과도 241

[그림 3-30] 핵심적인 교육 방법(1순위) 242

[그림 3-31] 효과도가 큰 교육 방법(1순위) 244

[그림 3-32] 강화해야 할 교육 방법(1순위) 245

[그림 3-33] 정부 지원이 필요한 교육 방법(1순위) 247

[그림 3-34] 연도별 평균 입학·졸업생 수(고등학교) 249

[그림 3-35] 취업 및 진로현황(고등학교) 250

[그림 3-36] 연도별 졸업생 진로 비율(고등학교) 251

[그림 3-37] 졸업생 콘텐츠 분야 취업자 직군 비중(고등학교) 252

[그림 3-38] 교육 현황 만족도(고등학교) 253

[그림 3-39]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 여부(고등학교) 254

[그림 3-40] 연도별 정부지원사업 수혜 경험률(고등학교) 255

[그림 3-41] 정부지원사업 도움 정도(고등학교) 256

[그림 3-42]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정부지원사업(고등학교) 257

[그림 3-43] 교육시설 필요도(고등학교) 258

[그림 3-44] 교육 기자재 필요도(고등학교) 260

[그림 3-45] 채널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중복 응답, 고등학교) 261

[그림 3-46] 연도별 취업정보 획득 경로(중복 응답, 고등학교) 261

[그림 3-47] 연도별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보유 비율(고등학교) 262

[그림 3-48] 산학 연계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현황(고등학교) 263

[그림 3-49]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도 및 효과도(고등학교) 264

[그림 3-50] 산학 연계 프로그램의 필요도 및 효과도 포트폴리오 분석(고등학교) 266

[그림 3-51] 해외 교육기관·기업과의 교류 경험률(고등학교) 267

[그림 3-52] 해외 교육기관·기업과 교류 현황(중복 응답, 고등학교) 267

[그림 3-53] 역량 강화 항목 중요도 및 효과도(고등학교) 268

[그림 3-54] 산업인력 역량01 및 인력수급 프로그램 효과도(고등학교) 270

[그림 3-55] 핵심적인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2

[그림 3-56] 효과도가 큰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3

[그림 3-57] 강화해야 할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5

[그림 3-58] 정부 지원이 필요한 교육 방법(1순위, 고등학교) 276

[그림 3-59] 콘텐츠 분야 교육 과정 278

[그림 3-60] 수강생의 신분 279

[그림 3-61] 수강생의 전공 281

[그림 3-62] 취업한 콘텐츠 분야 282

[그림 3-63] 취업한 콘텐츠 분야 284

[그림 4-1] 콘텐츠인력 정규직/비정규직 인원 비율(2017년 기준) 341

[그림 4-2] 직무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및 부족률 343

[그림 4-3] 학력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수 및 부족률 346

[그림 4-4] 직능수준별 콘벤츠인력 종사자 수 및 부족률 349

[그림 4-5] 직무별 콘텐츠인력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 352

[그림 4-6] 학력별 콘텐츠인력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 355

[그림 4-7] 직능수준별 콘텐츠인력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 358

[그림 4-8] 경력별 콘텐츠인력 구인·채용인원 및 미충원율 361

[그림 4-9] 전공별 콘텐츠인력 종사자 364

[그림 4-10] 2016년 퇴사(퇴직 및 이직) 인원 365

[그림 4-11] 콘텐츠산업 업계의 인력난 심각 정도 366

[그림 4-12] 콘텐츠산업 업계의 인력난 원인 366

[그림 4-13] 업체의 인력 채용상 애로사항 해소를 위한 노력 367

[그림 4-14] 인력수급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우선 수행사항 367

[그림 4-15] 콘텐츠 관련 직무별 인력 채용상의 어려움 정도 368

[그림 4-16] 기획창작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69

[그림 4-17] 콘텐츠 제작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0

[그림 4-18] 마케팅/홍보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2

[그림 4-19] 연구개발직 신규 인력 채용 시 주된 애로사항(1순위) 373

[그림 4-20] 프리랜서 활용 여부 375

[그림 4-21] 2016년 고용 프리랜서 수 376

[그림 4-22] 프리랜서 활용 이유 377

[그림 4-23] 향후 프리 랜서 활용 규모 378

[그림 4-24] 재직자 대상 교육훈련 실시 여부 379

[그림 4-25] 신입직 교육훈련 실시 항목(1순위) 380

[그림 4-26] 경력직 교육훈련 실시 항목(1순위) 381

[그림 4-27] 교육훈련 미실시 이유(1순위) 382

[그림 4-28] 직무역량 기여 정도 383

[그림 4-29] 실무적응 교육훈련 소요기간 384

[그림 4-30] 콘텐츠 관련 교과 과정의 직무 수행 충족도 385

[그림 4-31] 콘텐츠 산업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항목별 중요도 및 효과도 386

[그림 4-32] 콘텐츠산업내 인력 수급 및 역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도 388

[그림 4-33] 효과가 큰 교육 프로그램(1순위) 390

[그림 4-34] 강화해야 할 교육방법(1순위) 391

[그림 4-35] 정부지원이 필요한 교육방법(1순위) 392

[그림 5-1] 현재의 핵심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08

[그림 5-2] 5년 후의 핵심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08

[그림 5-3]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1순위, 고등교육기관) 410

[그림 5-4] 필요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고등교육기관) 412

[그림 5-5] 직무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 해소에 대한 인력양성사업 효과(고등교육기관) 413

[그림 5-6] 현재 강조하는 교육(1순위, 고등교육기관) 415

[그림 5-7] 재학생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1순위, 고등교육기관) 416

[그림 5-8] 5년 후 핵심 필요 이력(1순위, 고등교육기관) 417

[그림 5-9] 인력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교육기관) 419

[그림 5-10] 인력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교육기관) 421

[그림 5-11] 현재의 핵심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3

[그림 5-12] 5년 후의 핵심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3

[그림 5-13]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1순위, 고등학교) 425

[그림 5-14] 필요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고등학교) 426

[그림 5-15] 직무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 해소에 대한 인력양성사업 효과(고등학교) 427

[그림 5-16] 현재 강조하는 교육(1순위, 고등학교) 429

[그림 5-17] 재학생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1순위, 고등학교) 430

[그림 5-18] 5년 후 핵심 필요 이력(1순위, 고등학교) 431

[그림 5-19] 인력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학교) 432

[그림 5-20] 인력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 및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고등학교) 434

[그림 5-21] 현재의 핵심 직무(사업체) 436

[그림 5-22] 향후(5년 후)의 핵심 직무(사업체) 436

[그림 5-23] 향후 인력수요 확대 예상 직무(사업체) 438

[그림 5-24] 필요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사업체) 440

[그림 5-25] 직무 역량 및 보상 수준 격차 해소에 대한 인력양성사업 효과(사업체) 441

[그림 5-26] 회사에서 중요시하는 교육 및 이력(1순위, 사업체) 443

[그림 5-27] 신입 인력들이 주로 쌓고 있는 이력(사업체) 444

[그림 5-28] 5년 후 핵심 필요이력(사업체) 446

[그림 5-29] 인력 핵심 역량의 현재 중요도(사업체) 447

[그림 5-30] 인력 핵심 역량의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사업체) 447

[그림 5-31] 인력 핵심 능력의 현재 중요도(사업체) 449

[그림 5-32] 인력 핵심 능력의 향후(5년 후) 중요도 변화(사업체) 449

[그림 6-1] 2015년도 창의인재양성사업 추진체계도 461

[그림 6-2] 콘텐츠창의인재동반사업 주요 성과 471

[그림 6-3] 우수크리에이터지원 주요 성과 47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1087 338.4779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1088 338.4779 -18-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