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 Aquatic ecosystem monitoring in weirs of the Yeongsan River. 4-5, [1-2] / 영산강·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영산강·섬진강수계관리위원회, 2016-2017
청구기호
577.6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영산강·섬진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 2016-2017년도
제어번호
MONO1201810710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2016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보고서
책등표제: (2016년도 7회차)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책등표제: (2017년도 8회차) 영산강수계 보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연구기관: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연구책임자: 박종환
참고문헌 수록
내용: 4, [1]. 7년차 (최종) 보고서 -- 4, [2]. 7년차 (요약) 보고서 -- 5, [1]. 8년차 (최종) 보고서 -- 5, [2]. 8년차 (요약) 보고서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9

제2절 연구 목표 29

1. 최종목표 29

2. 당해 연도 사업목표 30

3. 연도별 연구내용 30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32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33

제1절 연구내용 33

제2절 연구범위 33

1. 시간적 범위 33

2. 공간적 범위 34

제3절 연구방법 36

1. 기상, 수리·수문 환경 조사 36

2. 이화학적 수질 조사 36

3. 생물상 조사 38

제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60

제1절 기상, 수리·수문 환경 60

1. 기상 60

2. 수리·수문 65

제2절 이화학 수질환경 69

1. 현장측정항목 69

2. 유기물항목 71

3. 영양염류 항목 74

4. 미생물 항목 77

5. 중금속 항목 79

제3절 생물상 79

1. 식물플랑크톤 79

2. 동물플랑크톤 100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12

4. 어류 137

5. 수변식생 152

6. 양서·파충류 201

7. 포유류 210

제5장 결론 219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222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223

제1절 조사연구 목표 223

제2절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223

1. 연구내용 223

2. 연구범위 223

제3절 달성도 224

참고문헌 225

표 1-2-1-1. 연차별 사업 내용 31

표 3-3-2-1. 이화학적 수질조사 지점 37

표 3-3-3-1. 식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38

표 3-3-3-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조사일자 41

표 3-3-3-3. 어류 조사지점 43

표 3-3-3-4. 승촌보 일대 조사지점 46

표 3-3-3-5. 조사 기간 46

표 3-3-3-6. 죽산보 일대 조사지점 46

표 3-3-3-7. 조사기간 47

표 3-3-3-8. Y3지역 조사지점 48

표 3-3-3-9. 조사기간 48

표 3-3-3-10. Y2지역 조사지점 49

표 3-3-3-11. 조사기간 49

표 3-3-3-12. Y1지역 조사지점 50

표 3-3-3-13. 조사기간 50

표 3-3-3-14. 우점도 평가 51

표 3-3-3-15. 하천식생의 구분 51

표 3-3-3-16. 조사지역별 조사구간 55

표 3-3-3-17. 조사일정 및 주요 조사내용 55

표 3-3-3-18. 조사지역별 조사구간 58

표 3-3-3-19. 포유류 조사시기 59

표 4-1-1-1. 광주지역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6년 월평... 64

표 4-1-1-2. 목포지역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6년 월평... 65

표 4-2-1-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69

표 4-2-2-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71

표 4-2-3-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74

표 4-2-4-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77

표 4-3-1-1.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 현황 89

표 4-3-1-2.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98

표 4-3-1-3.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도 지수 99

표 4-3-1-4.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우점도 지수 99

표 4-3-1-5.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풍부도 지수 99

표 4-3-1-6.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균등도 지수 100

표 4-3-2-1. 2016년 SC-U의 우점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밀도와 상대풍부도 110

표 4-3-2-2. 2016년 JS-U의 우점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밀도와 상대풍부도 111

표 4-3-3-1. 연간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12

표 4-3-3-2. 영산강 보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14

표 4-3-3-3. 영산강 보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114

표 4-3-3-4. 1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15

표 4-3-3-5. 1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16

표 4-3-3-6. 1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117

표 4-3-3-7. 2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18

표 4-3-3-8. 2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19

표 4-3-3-9. 2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119

표 4-3-3-10. 3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20

표 4-3-3-11. 3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21

표 4-3-3-12. 3차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121

표 4-3-3-13. 승촌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23

표 4-3-3-14. 승촌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25

표 4-3-3-15. 승촌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126

표 4-3-3-16. 죽산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28

표 4-3-3-17. 죽산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29

표 4-3-3-18. 죽산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130

표 4-3-3-19. 영산강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132

표 4-3-3-20. 영산강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34

표 4-3-3-21. 영산강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134

표 4-3-4-1. 영산강 보별 어류 출현현황 138

표 4-3-4-2. 영산강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39

표 4-3-4-3. 영산강 보별 어류 군집지수 139

표 4-3-4-4.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출현현황 140

표 4-3-4-5.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41

표 4-3-4-6.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군집지수 141

표 4-3-4-7.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출현현황 142

표 4-3-4-8.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43

표 4-3-4-9.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군집지수 143

표 4-3-4-10. 승촌보 구간 어류 출현현황 144

표 4-3-4-11. 승촌보 구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45

표 4-3-4-12. 승촌보 구간 어류 군집지수 145

표 4-3-4-13. 죽산보 구간 어류 출현현황 147

표 4-3-4-14. 죽산보 구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48

표 4-3-4-15. 죽산보 구간 어류 군집지수 148

표 4-3-4-16.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출현현황 150

표 4-3-4-17.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151

표 4-3-4-18.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군집지수 151

표 4-3-5-1.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1차) 153

표 4-3-5-2.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2차) 153

표 4-3-5-3.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1,2차 합산) 153

표 4-3-5-4.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식재식물 목록 154

표 4-3-5-5.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155

표 4-3-5-6.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156

표 4-3-5-7.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57

표 4-3-5-8.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1차) 163

표 4-3-5-9.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2차) 163

표 4-3-5-10.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1차와 2차 합산) 163

표 4-3-5-11.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164

표 4-3-5-12.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165

표 4-3-5-13.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166

표 4-3-5-14.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69

표 4-3-5-15.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175

표 4-3-5-16.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2차 조사) 175

표 4-3-5-17.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175

표 4-3-5-18.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176

표 4-3-5-19.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177

표 4-3-5-20.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178

표 4-3-5-21.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4 179

표 4-3-5-22.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183

표 4-3-5-23.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2차 조사) 183

표 4-3-5-24.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1, 2차 조사) 184

표 4-3-5-25. 영산대교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184

표 4-3-5-26.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186

표 4-3-5-27.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187

표 4-3-5-28.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88

표 4-3-5-29.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192

표 4-3-5-30.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192

표 4-3-5-31.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1차+2차조사) 193

표 4-3-5-32.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193

표 4-3-5-33.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194

표 4-3-5-34.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195

표 4-3-5-35.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197

표 4-3-6-1. 양서류 분포현황 201

표 4-3-2-2. 파충류 분포현황 201

표 4-3-6-3. 5개 지역에서 관찰된 양서·파충류의 지역별 분포현황 202

표 4-3-6-4. 양서·파충류의 계절별 분포 현황 203

표 4-3-6-5. 양서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203

표 4-3-6-6. 파충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204

표 4-3-6-7. 양서·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204

표 4-3-6-8.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파충류의 법정보호 지정 현황 205

표 4-3-6-9. 연도별 조사지역의 양서·파충류상 비교 207

표 4-3-6-10. 연도별 양서·파충류의 생태지수 208

표 4-3-7-1. 포유류 분포현황 210

표 4-3-7-2. 지역별 포유류상 211

표 4-3-7-3. 계절별 포유류상 211

표 4-3-7-4. 포유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212

표 4-3-7-5. 5개 조사지역의 연도별 파충류상 비교 214

표 4-3-7-6. 영산강수계 지류하천의 계절별 수달 분포현황 215

그림 3-2-2-1. 조사 지점 및 구간 (수질, 동·식물플랑크톤, 저서대형무척추동물, 어... 35

그림 3-3-3-1. 시료채취 지점별 사진 38

그림 3-3-3-2. 어류상 조사 지점 43

그림 3-3-3-3. 수변식생 조사지점 사진-죽산보 47

그림 3-3-3-4. 조사지점 사진-Y3지역 48

그림 3-3-3-5. 지점사진-Y2지역 49

그림 3-3-3-6. 조사지점 사진-Y1지역 50

그림 3-3-3-7. 양서·파충류 조사지역 54

그림 3-3-3-8. 포유류 조사지역 58

그림 4-1-1-1. 광주지역의 기후요소별 월평균 변화 61

그림 4-1-1-2. 목포지역의 기후요소별 월평균 변화 62

그림 4-1-1-3. 영산강 상류(광주)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63

그림 4-1-1-4. 목포지역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64

그림 4-1-2-1. 승촌보와 죽산보지점의 유량변화 66

그림 4-1-2-2. 승촌보와 죽산보지점의 월평균 유량비교 67

그림 4-1-2-3. 승촌보의 유입량과 방류량, 순유출량 68

그림 4-1-2-4. 죽산보의 유입량과 방류량, 순유출량 68

그림 4-2-1-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수온 69

그림 4-2-1-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pH 70

그림 4-2-1-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DO 70

그림 4-2-1-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전기전도도 71

그림 4-2-2-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BOD 72

그림 4-2-2-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COD 72

그림 4-2-2-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OC 73

그림 4-2-2-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SS 73

그림 4-2-2-5.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탁도 74

그림 4-2-3-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N 75

그림 4-2-3-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NO₃-N 75

그림 4-2-3-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NH₃-N 76

그림 4-2-3-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P 76

그림 4-2-3-5.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PO₄-P 77

그림 4-2-4-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Chl- α 78

그림 4-2-4-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총대장균군 78

그림 4-2-4-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분원성대장균군 79

그림 4-3-1-1.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총 종수의 변화 80

그림 4-3-1-2.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월 평균 변화 81

그림 4-3-1-3.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총 개체수의 변화 82

그림 4-3-1-4. SC-U 지점의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월 평균변화 83

그림 4-3-1-5. JS-U 지점의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화 84

그림 4-3-1-6. 영산강수계 출현 식물 플랑크톤 88

그림 4-3-1-7. 조사지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의 변화 96

그림 4-3-1-8. 조사지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의 변화 97

그림 4-3-2-1.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누적... 101

그림 4-3-2-2. 2016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102

그림 4-3-2-3.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평균 출현 밀도 103

그림 4-3-2-4.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평균... 104

그림 4-3-2-5. 2016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밀도... 105

그림 4-3-2-6. 2016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106

그림 4-3-2-7. 2016년 주요 군집별 동물플랑크톤 탄소생체량 107

그림 4-3-2-8.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평균 군집지수 108

그림 4-3-3-1. 승촌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126

그림 4-3-3-2. 죽산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130

그림 4-3-3-3. 영산강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135

그림 4-3-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 출현종 사진 136

그림 4-3-5-1. 승촌보 조사 지점 수생식물 157

그림 4-3-5-2. 승촌보 지역에 확인된 귀화식물 158

그림 4-3-5-3. 승촌보 조사지점 상류 지점 사진 159

그림 4-3-5-4. 승촌보 건설현장 상부 1km 지점 식생단면도 160

그림 4-3-5-5. 승촌보 조사지점 하류 지점 사진 161

그림 4-3-5-6. 승촌보 건설현장 하부 1km 지점 식생단면도 161

그림 4-3-5-7. 2016년도 승촌보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162

그림 4-3-5-8. 죽산보조사 지점 수생식물 168

그림 4-3-5-9. 죽산보에서 확인된 귀화식물 170

그림 4-3-5-10. 죽산보 상하류 지점 사진 171

그림 4-3-5-11. 죽산보 건설현장 상부 1km 지점 식생단면도 171

그림 4-3-5-12. 죽산보 설치지점 사진 172

그림 4-3-5-13. 죽산보 건설현장 주변지점 지점 식생단면도 172

그림 4-3-5-14. 죽산보 건설현장 하부 1km 지점 식생단면도 173

그림 4-3-5-15. 2016년도 죽산보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174

그림 4-3-5-16. Y3지역조사 지점 수생식물 178

그림 4-3-5-17. Y3지역 조사지점 생태계교란야생종 180

그림 4-3-5-18. Y3지역 상부 조사 지점 사진 181

그림 4-3-5-19. Y3지역 하부 조사 지점 사진 181

그림 4-3-5-20. 2016년도 Y3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182

그림 4-3-6-21. Y2지역조사 지점 식재종 186

그림 4-3-5-22. Y2지역조사 지점 수생식물 188

그림 4-3-5-23. Y2지역 조사지점 귀화식물 189

그림 4-3-5-24. Y2지역 상류 지점 사진 190

그림 4-3-5-25. Y2지역 하류 지점 사진 191

그림 4-3-5-26. 2016년도 Y2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191

그림 4-3-6-27. Y1지역조사 지점 수생식물 196

그림 4-3-5-28. Y1지역 조사지점 귀화종 197

그림 4-3-5-29. Y1지역 상류 지점 사진 198

그림 4-3-5-30. Y1지역 하류 지점 사진 199

그림 4-3-5-31. 2016년도 Y1지역 현존식생도 200

그림 4-3-6-1. 양서·파충류 법정보호종 출현 지점 206

그림 4-3-6-2. 조사 지역에서 관찰된 양서·파충류의 연도별 출현종수 비교 208

그림 4-3-6-3. 연도별 양서·파충류의 생태지수 비교 209

그림 4-6-7-1. 죽산보 213

그림 4-3-7-2. 승촌보 213

그림 4-3-7-3. Y3지역 213

그림 4-3-7-4. Y2지역 213

그림 4-3-7-5. Y1지역 213

그림 4-3-7-6. 포유류 출현종 현황 218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4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49

제2절 연구 목표 249

1. 최종목표 249

2. 당해 연도 사업목표 250

3. 연도별 연구내용 250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252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253

제1절 연구내용 253

제2절 연구범위 253

1. 시간적 범위 253

2. 공간적 범위 254

제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256

제1절 기상, 수리·수문 환경 256

1. 기상 256

2. 수리·수문 258

제2절 이화학 수질환경 260

1. 현장측정항목 260

2. 유기물항목 260

3. 영양염류 항목 261

4. 미생물 항목 261

5. 중금속 항목 262

제3절 생물상 262

1. 식물플랑크톤 262

2. 동물플랑크톤 265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69

4. 어류 272

5. 수변식생 274

6. 양서·파충류 285

7. 포유류 287

제5장 결론 290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293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294

제1절 조사연구 목표 294

제2절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294

1. 연구내용 294

2. 연구범위 294

제3절 달성도 295

참고문헌 296

표 1-2-1-1. 연차별 사업 내용 251

표 4-2-1-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260

표 4-2-2-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260

표 4-2-3-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261

표 4-2-4-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261

표 4-3-3-1. 연간 영산강 보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269

표 4-3-3-2. 영산강 보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271

표 4-3-3-3. 영산강 보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271

표 4-3-4-1. 영산강 보별 어류 출현현황 273

표 4-3-4-2. 영산강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274

표 4-3-4-3. 영산강 보별 어류 군집지수 274

표 4-3-5-1.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1차) 275

표 4-3-5-2.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2차) 275

표 4-3-5-3. 2016년도 통합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1,2차 합산) 276

표 4-3-5-4.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1차) 277

표 4-3-5-5.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2차) 277

표 4-3-5-6. 2016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1차와 2차 합산) 277

표 4-3-5-7.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279

표 4-3-5-8.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2차 조사) 279

표 4-3-5-9. 2016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279

표 4-3-5-10.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281

표 4-3-5-11.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2차 조사) 281

표 4-3-5-12. 2016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1, 2차 조사) 282

표 4-3-5-13.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283

표 4-3-5-14.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 (1차 조사) 283

표 4-3-5-15. 2016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1차+2차조사) 283

표 4-3-6-1. 양서류 분포현황 285

표 4-3-6-2. 파충류 분포현황 285

표 4-3-6-3. 5개 지역에서 관찰된 양서·파충류의 지역별 분포현황 286

표 4-3-6-4.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파충류의 법정보호 지정 현황 287

표 4-3-7-1. 포유류 분포현황 287

표 4-3-7-2. 지역별 포유류상 288

그림 3-2-2-1. 조사 지점 및 구간 (수질, 동·식물플랑크톤, 저서대형무척추동물, 어... 255

그림 4-1-1-1. 영산강 상류(광주)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257

그림 4-1-1-2. 목포지역의 지난 5년(2011-2015)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57

그림 4-1-2-1. 승촌보와 죽산보지점의 유량변화 259

그림 4-1-2-2. 승촌보와 죽산보지점의 월평균 유량비교 259

그림 4-3-1-1.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총 종수의 변화 263

그림 4-3-1-2.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월 평균 변화 263

그림 4-3-2-1.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누적... 265

그림 4-3-2-2.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평균 출현 밀도 266

그림 4-3-2-3.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평균... 267

그림 4-3-2-4. 2016년 조사 지점에 따른 평균 군집지수 268

그림 4-3-5-1. 2016년도 승촌보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276

그림 4-3-5-2. 2016년도 죽산보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278

그림 4-3-5-3. 2016년도 Y3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280

그림 4-3-5-4. 2016년도 Y2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282

그림 4-3-5-5. 2016년도 Y1지역 현존식생도 284

그림 4-3-7-1. 죽산보 289

그림 4-3-7-2. 승촌보 289

그림 4-3-7-3. Y3지역 289

그림 4-3-7-4. Y2지역 289

그림 4-3-7-5. Y1지역 289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32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29

제2절 연구 목표 329

1. 최종목표 329

2. 당해 연도 사업목표 330

3. 연도별 연구내용 330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332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333

제1절 연구내용 333

제2절 연구범위 333

1. 시간적 범위 333

2. 공간적 범위 334

제3절 연구방법 336

1. 기상, 수리·수문 환경 조사 336

2. 이화학적 수질 조사 336

3. 생물상 조사 338

제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357

제1절 기상, 수리·수문 환경 357

1. 기상 357

2. 수리·수문 361

제2절 이화학 수질환경 365

1. 현장측정항목 365

2. 유기물항목 367

3. 영양염류 항목 370

4. 미생물 항목 373

5. 중금속 항목 375

제3절 생물상 375

1. 식물플랑크톤 375

2. 동물플랑크톤 403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422

4. 어류 457

5. 수변식생 476

6. 양서·파충류 542

7. 포유류 549

제5장 결론 558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561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562

제1절 조사연구 목표 562

제2절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562

1. 연구내용 562

2. 연구범위 562

제3절 달성도 563

참고문헌 564

표 1-2-1-1. 연차별 사업 내용 331

표 3-3-2-1. 이화학적 수질조사 지점 336

표 3-3-3-1. 식물플랑크톤 조사 지점 338

표 3-3-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일자 340

표 3-3-3-3. 어류 조사지점 342

표 3-3-3-4. 승촌보 일대 조사지점 344

표 3-3-3-5. 조사 기간 344

표 3-3-3-6. 죽산보 일대 조사지점 345

표 3-3-3-7. 조사기간 345

표 3-3-3-8. Y1지역 조사지점 346

표 3-3-3-9. 조사기간 346

표 3-3-3-10. Y2지역 조사지점 347

표 3-3-3-11. 조사기간 347

표 3-3-3-12. Y3지역 조사지점 348

표 3-3-3-13. 조사기간 348

표 3-3-3-14. 우점도 평가 349

표 3-3-3-15. 하천식생의 구분 349

표 3-3-3-16. 조사지역별 조사구간 352

표 3-3-3-17. 조사일정 및 주요 조사내용 353

표 3-3-3-18. 조사지역별 조사구간 355

표 3-3-3-19. 포유류 조사시기 356

표 4-1-1-1. 광주지역의 지난 5년(2012-2016)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7년 월평균 기온·... 360

표 4-1-1-2. 목포지역의 지난 5년(2012-2016)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7년 월평균... 361

표 4-2-1-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365

표 4-2-2-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367

표 4-2-3-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370

표 4-2-4-1. 조사기간에 따른 항목별 평균 및 최대, 최소 373

표 4-3-1-1. 식물플랑크톤의 출현종 현황 384

표 4-3-1-2.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현황 393

표 4-3-1-3.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다양도 지수 395

표 4-3-1-4.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우점도 지수 395

표 4-3-1-5.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풍부도 지수 396

표 4-3-1-6.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 균등도 지수 396

표 4-3-1-7.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식물플랑크톤의 변화 397

표 4-3-2-1. 2017년 SC3의 우점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밀도와 상대풍부도 411

표 4-3-2-2. 2017년 JS3의 우점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밀도와 상대풍부도 412

표 4-3-2-3. 2010~2017년 조사 지점에 따른 우점 동물플랑크톤 421

표 4-3-3-1. 연간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22

표 4-3-3-2. 영산강 보 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24

표 4-3-3-3. 영산강 보 구간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24

표 4-3-3-4. 1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26

표 4-3-3-5. 1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27

표 4-3-3-6. 1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27

표 4-3-3-7. 2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29

표 4-3-3-8. 2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30

표 4-3-3-9. 2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30

표 4-3-3-10. 3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31

표 4-3-3-11. 3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32

표 4-3-3-12. 3차 영산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32

표 4-3-3-13. 승촌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33

표 4-3-3-14. 승촌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35

표 4-3-3-15. 승촌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36

표 4-3-3-16. 죽산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38

표 4-3-3-17. 죽산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39

표 4-3-3-18. 죽산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40

표 4-3-3-19. 영산강 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42

표 4-3-3-20. 영산강 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43

표 4-3-3-21. 영산강 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43

표 4-3-3-22. 연간 영산강 보 구간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45

표 4-3-3-23. 영산강 보 구간 중앙부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45

표 4-3-3-24. 영산강 보 구간 중앙부 연평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45

표 4-3-3-25. 승촌보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47

표 4-3-3-26. 승촌보 구간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48

표 4-3-3-27. 승촌보 구간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48

표 4-3-3-28. 죽산보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50

표 4-3-3-29. 죽산보 구간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51

표 4-3-3-30. 죽산보 구간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51

표 4-3-3-31. 영산강 보 상·하류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453

표 4-3-3-32. 영산강 보 상·하류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 및 아우점종 454

표 4-3-3-33. 영산강 보 상·하류 중앙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454

표 4-3-3-34. '10~'17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결과 456

표 4-3-4-1. 영산강 보별 어류 출현현황 458

표 4-3-4-2. 영산강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59

표 4-3-4-3. 영산강 보별 어류 군집지수 459

표 4-3-4-4.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출현현황 461

표 4-3-4-5.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62

표 4-3-4-6. 영산강 1차 조사 보별 어류 군집지수 462

표 4-3-4-7.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출현현황 464

표 4-3-4-8.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65

표 4-3-4-9. 영산강 2차 조사 보별 어류 군집지수 465

표 4-3-4-10. 승촌보 구간 어류 출현현황 467

표 4-3-4-11. 승촌보 구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68

표 4-3-4-12. 승촌보 구간 어류 군집지수 468

표 4-3-4-13. 죽산보 구간 어류 출현현황 470

표 4-3-4-14. 죽산보 구간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71

표 4-3-4-15. 죽산보 구간 어류 군집지수 471

표 4-3-4-16.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출현현황 473

표 4-3-4-17.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우점종 및 아우점종 474

표 4-3-4-18. 영산강 보 구간 상·하류 어류 군집지수 474

표 4-3-4-19. '10~'17년 어류 조사결과 475

표 4-3-5-1. 2017년 승촌보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476

표 4-3-5-2. 승촌보 지역 식물상 조사표 476

표 4-3-5-3.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식재식물 목록 477

표 4-3-5-4.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479

표 4-3-5-5.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480

표 4-3-5-6. 승촌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481

표 4-3-5-7. 승촌보 일대 하부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484

표 4-3-5-8. 2017년 죽산보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489

표 4-3-5-9. 죽산보 식물상 조사표 489

표 4-3-5-10. 죽산보 식물상 조사표(2) 490

표 4-3-5-11.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491

표 4-3-5-12.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492

표 4-3-5-13.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493

표 4-3-5-14. 죽산보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494

표 4-3-5-15. 죽산보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497

표 4-3-5-16. 죽산보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2) 498

표 4-3-5-17. 죽산보 하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500

표 4-3-5-18. 2017년 Y1지역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505

표 4-3-5-19. Y1지역 식물상 조사표 505

표 4-3-5-20. Y1지역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507

표 4-3-5-21.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507

표 4-3-5-22. Y1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508

표 4-3-5-23. Y1지역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511

표 4-3-5-24. 2017년 Y2지역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516

표 4-3-5-25. Y2지역 식물상 조사표 516

표 4-3-5-26. Y2지역 식물상 조사표(2) 518

표 4-3-5-27.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519

표 4-3-5-28.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520

표 4-3-5-29. Y2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521

표 4-3-5-30. Y2지역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523

표 4-3-5-31. 2017년 Y3지역 일대의 식물상 (1,2차 조사) 528

표 4-3-5-32. Y3지역 식물상 조사표 528

표 4-3-5-33.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식재한 식물 목록 529

표 4-3-5-34.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목록 530

표 4-3-5-35.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수생식물 목록 530

표 4-3-5-36. Y3지역 일대의 수변에 분포하는 귀화식물 목록 531

표 4-3-5-37. Y3지역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533

표 4-3-5-38. Y3지역 상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2) 534

표 4-3-5-39. Y3지역 하류지역 하천단면도 식생조사표 536

표 4-3-5-40. '10~'17년 수변식생의 조사결과 541

표 4-3-6-1. 양서류 분포현황 542

표 4-3-6-2. 파충류 분포현황 542

표 4-3-6-3. 양서·파충류의 지역별 분포현황 543

표 4-3-6-4. 양서·파충류의 계절별 분포 현황 544

표 4-3-6-5. 양서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544

표 4-3-6-6. 파충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544

표 4-3-6-7. 양서·파충류의 군집분석 현황 545

표 4-3-6-8.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파충류의 법정보호 지정 현황 546

표 4-3-6-9. 연도별 양서류 군집분석 현황(최근 5년) 547

표 4-3-6-10. 연도별 파충류 군집분석 현황(최근 5년) 548

표 4-3-6-11. 2013~2017년 파충류 군집 동태 548

표 4-3-7-1. 포유류 분포현황 549

표 4-3-7-2. 지역별 포유류상 550

표 4-3-7-3. 계절별 포유류상 551

표 4-3-7-4. 포유류의 관찰지점별 분포현황 551

표 4-3-7-5. 5개 조사지역의 연도별 포유류상 비교 554

표 4-3-7-6. 영산강수계 지류하천의 계절별 수달 분포현황 555

그림 3-2-2-1. 조사 지점 및 구간 (수질, 동·식물플랑크톤, 수변식생, 저서, 어류 및 육상동물조사) 335

그림 4-3-3-1. 시료채취 지점별 사진 338

그림 3-3-3-2. 수변식생 조사지점 사진-죽산보 345

그림 3-3-3-3. 조사지점 사진-Y1지역 346

그림 3-3-3-4. 조사지점 사진-Y2지역 347

그림 3-3-3-5. 조사지점 사진-Y3지역 348

그림 3-3-3-6. 양서·파충류 조사지역 352

그림 3-3-3-7. 포유류 조사지역 355

그림 4-1-1-1. 광주지역의 기후요소별 월평균 변화 358

그림 4-1-1-2. 목포지역의 기후요소별 월평균 변화 359

그림 4-1-1-3. 영산강 상류(광주)의 지난 5년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7년... 360

그림 4-1-1-4. 목포지역의 지난 5년간 월평균 기온·강수량과 2017년 월평균... 361

그림 4-1-2-1. 승촌보와 죽산보 지점의 유량변화 362

그림 4-1-2-2. 승촌보와 죽산보 지점의 월평균 유량비교 363

그림 4-1-2-3. 승촌보의 유입량과 방류량, 순유출량 363

그림 4-1-2-4. 죽산보의 유입량과 방류량, 순유출량 364

그림 4-2-1-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수온 365

그림 4-2-1-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pH 366

그림 4-2-1-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DO 366

그림 4-2-1-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전기전도도 367

그림 4-2-2-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BOD 368

그림 4-2-2-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COD 368

그림 4-2-2-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OC 369

그림 4-2-1-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SS 369

그림 4-2-2-5.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탁도 370

그림 4-2-3-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N 371

그림 4-2-3-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NO₃-N 371

그림 4-2-3-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NH₃-N 372

그림 4-2-3-4.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TP 372

그림 4-2-3-5.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PO₄-P 373

그림 4-2-4-1.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Chl- α 374

그림 4-2-4-2.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총대장균군 374

그림 4-2-4-3. 지점에 따른 월별 변화추이_분원성대장균군 375

그림 4-3-1-1.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총 종수의 변화 376

그림 4-3-1-2.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월 평균 변화 377

그림 4-3-1-3.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총 개체수의 변화 378

그림 4-3-1-4. SC3 지점의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 379

그림 4-3-1-5. JS3 지점의 조사시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화 380

그림 4-3-1-6. 영산강수계 출현 식물 플랑크톤-계속 381

그림 4-3-1-7. 조사지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의 변화 391

그림 4-3-1-8. 조사지점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지수의 변화 392

그림 4-3-1-9. 승촌보 상류(SC3)의 연간 평균현존량 변화 397

그림 4-3-1-10. 죽산보 상류(JS3)의 연간 평균현존량 변화 398

그림 4-3-1-11. 승촌보 상류(SC3) 남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398

그림 4-3-1-12. 죽산보 상류(JS3) 남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399

그림 4-3-1-13. 승촌보 상류(SC3) 규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399

그림 4-3-1-14. 죽산보 상류(JS3) 규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400

그림 4-3-1-15. 승촌보 상류(SC3) 녹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400

그림 4-3-1-16. 죽산보 상류(JS3) 녹조강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401

그림 4-3-1-17. 승촌보 상류(SC3) 기타조류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401

그림 4-3-1-18. 죽산보 상류(JS3) 기타조류의 월 평균현존량 변화 402

그림 4-3-2-1. 2017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누적... 403

그림 4-3-2-2. 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404

그림 4-3-2-3. 2017년 조사 지점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평균 출현... 405

그림 4-3-2-4. 2017년 조사 지점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군집별... 406

그림 4-3-2-5. 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밀도... 407

그림 4-3-2-6. 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주요 동물플랑크톤... 408

그림 4-3-2-7. 2017년 주요 군집별 동물플랑크톤 탄소생체량 409

그림 4-3-2-8. 2017년 조사 지점에 따른 평균 군집지수 410

그림 4-3-2-9. 2010~2017년 조사 지점 및 연도에 따른 주요... 413

그림 4-3-2-10. 2010~2017년 각 조사 지점의 누적... 414

그림 4-3-2-11. 2010~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415

그림 4-3-2-12. 2010~2017년 조사 지점 및 연도에 따른 주요... 416

그림 4-3-2-13. 2010~2017년 각 조사 지점의 평균... 417

그림 4-3-2-14. 2010~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419

그림 4-3-2-15. 2010~2017년 조사 지점 및 시기에 따른 주요... 420

그림 4-3-3-1. 승촌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436

그림 4-3-3-2. 죽산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440

그림 4-3-3-3. 영산강 보 상·하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변화 444

그림 4-3-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 출현종 사진 455

그림 4-3-5-1. 승촌보 일대 하부 지점 식생단면도 485

그림 4-3-5-2. 2017년도 승촌보일대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485

그림 4-3-5-3. 승촌보 지역의 1차조사 식물 사진 487

그림 4-3-5-4. 승촌보 지역의 2차조사 식물 사진 488

그림 4-3-5-5. 죽산보 일대 상부 1km 지점 식생단면도 499

그림 4-3-5-6. 죽산보 하류 1km 지점 식생단면도 501

그림 4-3-5-7. 2017년도 죽산보일대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501

그림 4-3-5-8. 죽산보 지역의 1차조사 식물 사진 503

그림 4-3-5-9. 죽산보 지역의 2차조사 식물 사진 504

그림 4-3-5-10. Y1지역 상류 지점 하천단면도 512

그림 4-3-5-11. Y1지역 하류 지점 하천단면도 512

그림 4-3-5-12. 2017년도 Y1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513

그림 4-3-5-13. Y1 지역의 1차조사 식물 사진 514

그림 4-3-5-14. 지야대교 지역의 2차 조사 식물 사진 515

그림 4-3-5-15. Y2지역 상류 지점 하천단면도 524

그림 4-3-5-16. 2017년도 Y2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525

그림 4-3-5-17. Y2지역의 1차 조사 식물 사진 526

그림 4-3-5-18. Y2지역의 2차 조사 식물 사진 527

그림 4-3-5-19. Y3지역 하류지역 하천단면도 537

그림 4-3-5-20. Y3지역 조사지점 현존식생도 537

그림 4-3-5-21. Y3지역의 1차 조사 식물 사진 539

그림 4-3-5-22. Y3지역의 2차 조사 식물 사진 540

그림 4-3-6-1. 양서·파충류 법정보호종 출현 지점 546

그림 4-3-6-2. 2013~2017년 양서류 군집 동태 547

그림 4-3-7-1. 승촌보 일대 멸종위기종 출현지점 552

그림 4-3-7-2. 죽산보 일대 멸종위기종 출현지점 552

그림 4-3-7-3. 월산보 일대 멸종위기종 출현지점 553

그림 4-3-7-4. 만봉천 합류지점 일대 멸종위기종 출현지점 553

그림 4-3-7-5. 몽탄진등표 일대 멸종위기종 출현지점 553

그림 4-3-7-6. 포유류 출현종 현황 557

표제지

목차

제출문 569

요약문 571

Summary 579

제1장 서론 58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581

제2절 연구 목표 581

1. 최종목표 581

2. 당해 연도 사업목표 582

3. 연도별 연구내용 582

제2장 국내·외 연구현황 584

제3장 연구내용 및 방법 585

제1절 연구내용 585

제2절 연구범위 585

1. 시간적 범위 585

2. 공간적 범위 586

제4장 연구 결과 및 고찰 588

제1절 기상, 수리·수문 환경 588

1. 기상 588

2. 수리·수문 590

제2절 이화학 수질환경 592

1. 현장측정항목 592

2. 유기물항목 592

3. 영양염류 항목 593

4. 미생물 항목 593

5. 중금속 항목 593

제3절 생물상 594

1. 식물플랑크톤 594

2. 동물플랑크톤 600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604

4. 어류 609

5. 수변식생 612

6. 양서·파충류 631

7. 포유류 635

제5장 결론 640

제6장 조사연구결과의 활용방안 643

제7장 조사연구목표 달성도 644

제1절 조사연구 목표 644

제2절 조사연구의 내용 및 범위 644

1. 연구내용 644

2. 연구범위 644

제3절 달성도 645

참고문헌 64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0920 577.6 -18-1 v.4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0921 577.6 -18-1 v.4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0922 577.6 -18-1 v.4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0923 577.6 -18-1 v.4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6974 577.6 -18-1 v.5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6975 577.6 -18-1 v.5p.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6976 577.6 -18-1 v.5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506977 577.6 -18-1 v.5p.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