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영영장판(嶺營藏版)과 영남의 출판문화 / 집필: 정재훈, 김남기, 옥영정, 손계영, 박순, 박용찬 ; 기획: 경상북도,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7
청구기호
070.5095199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40 p. : 삽화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1804759
제어번호
MONO1201810974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판권기

서문 / 정재훈

목차

제1장 조선 시대 지방 감영의 출판문화 / 정재훈 10

1. 머리말 10

2. 지방 감영과 출판문화 14

3. 경상감영과 영영장판 22

4. 맺음말 - 영영장판과 영남의 출판문화 29

참고문헌 33

제2장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현황과 성격 / 김남기 34

1. 규장각 책판의 분류와 제작 시기 비정 34

2. 규장각 책판의 소장 경위와 현황 43

1) 규장각 책판의 소장 경위 43

2) 규장각 소장 책판의 현황과 성격 48

3.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현황과 성격 56

4. 맺음말 62

참고문헌 65

제3장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기록내용 분석 : 「누판고(鏤板考)」와 「서책목록(書冊目錄)」을 중심으로 / 옥영정 66

1. 머리말 66

2. 경상감영 책판이 수록된 주요 책판목록의 현황 70

1) 조선 후기 책판목록류 71

2) 지지(地誌)의 책판기록과 책판목록의 비교 79

3. 「누판고」와 「서책목록」의 기록 내용 분석 85

1) 「누판고」 85

2) 「서책목록」 91

3) 현존하는 경상감영 책판 102

4. 맺음말 103

참고문헌 104

부록 : 대구 경상감영 책판이 수록된 주요 책판목록의 비교 105

제4장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출판과 간행본의 특징 / 손계영 113

1. 머리말 113

2. 경상감영 간행본의 주제별 현황 114

3. 경상감영 간행본의 간기 분석 120

1) 간기의 형태 121

2) 간기의 표현 124

4. 경상감영 출판의 특징 127

1) 지역 거점 간행소로서의 중앙간인본(中央刊印本) 번각과 배포 127

2) 경상감사 주도의 문집류(文集類) 간행 132

3) 문집·족보류 책판의 이동과 사찰에서의 별도 관리 139

5. 맺음말 143

참고문헌 146

제5장 영영판의 범주에 대한 재고찰 / 박순 147

1. 서론 147

2. 영영판의 종류 149

1) 대구감영 설치 이전의 영영판 149

2) 대구감영 시기의 영영판 155

3. 영영판의 기준에 대한 재고(再考) 163

4. 영영판의 범주 169

5. 맺음말 177

참고문헌 179

제6장 대구·경북 지역 근·현대 출판과 문학 / 박용찬 180

1. 머리말 180

2. 근대계몽기 : 재전당서포와 광문사 184

3. 일제강점기 : 문예지와 교지(校誌)들 211

4. 해방기 : 「죽순」과 아동문학 매체 216

5. 1950년대 : 전선매체들과 지역의 출판사들 225

6. 맺음말 238

참고문헌 23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1501 070.5095199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1502 070.5095199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영영장판(嶺營藏版)’에서 영영(嶺營)은 곧 경상감영(慶尙監營)을 말하며, 장판(藏版)은 소장 판목을 가리킨다. 따라서 영영장판은 조선 시대 경상감영에 소장되어 있던 목판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인쇄술 발전과 지식계층 확대의 영향으로 지식 전파 매체로서 책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그 어느 때보다 컸고, 이러한 출판문화의 한 획을 담당한 곳이 지방 감영이었다. 조선 시대의 출판은 먼저 중앙에서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주요 서적을 간행하고 나면 각 지방에서 이 서적을 모본으로 삼아 목판본을 제작.확산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고도의 전문성과 막대한 비용, 물력(物力)을 동원할 수 있는 지방 감영이 자연히 출판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역할은 조선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대구의 경우 근대에 와서도 문학과 잡지 출판의 메카로 불릴 만큼 출판문화가 번성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당시 대구 경상감영에 소장되었던 목판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그중 일부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을 뿐 그 전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확인 가능한 영영장판과 그 판본을 우선 연구함으로써 조선 시대 경상도의 출판문화를 조사?정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2016년 경상북도가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에 관련 연구를 의뢰하였다. 이 책은 그 결과물로서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조선 시대 지방 감영의 출판문화를 개관하고, 규장각 소장 영영장판의 소장 경위와 현황, 성격을 알아본다. 이어 당대에 제작된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그 내용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경상감영 책판목록을 제시하고, 조선 후기 경상감영의 출판과 경상감영 간행본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목록에 나타난 영영판의 범주를 재설정할 필요성을 제언한다. 나아가 근.현대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과 문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서책 출판과 연계된 대구?경북 지역의 출판문화 전통이 지역 근.현대 출판의 원류로 작용하였음을 밝힌다.

    지방자치제가 도입된 지 20여 년이 지났지만 현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서 중앙 집중 현상이 심화되는 모순에 빠져 있다. 조선 시대 출판문화에 대한 탐색이 이러한 문제 상황에 대한 해답을 모두 제시할 수는 없겠지만, 이 시기 중앙과 지방이 출판을 매개로 활발하게 교류.소통한 점, 지방 감영이 지역 출판문화의 거점으로 기능한 점 등은 지금의 독자들도 되새길 만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이 대구.경북 지역, 나아가 우리나라 모든 지역의 문화사와 현재를 돌아보고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