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능정보사회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고교 교육과정 방향 탐색 연구 : 학습자 중심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 교육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교육부, 2017
청구기호
379.155 -18-2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x, 335 p. : 삽화, 도표, 서식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5930
제어번호
MONO1201811293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연구책임자: 이광우
부록: 1.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고교학점제 편성·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 2. 시·도 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 ; 3. 신설 과목 개설에 관한 시·도교육청 지침 외
참고문헌: p. 287-293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머리말 6

연구요약 7

Ⅰ. 서론 2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2. 연구 내용 23

3. 연구 방법 25

Ⅱ.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학점제의 논의 맥락 27

1.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관련 지침 28

2. 교육부 차원의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 정책 추진 현황 32

가. 고교교육력 제고 방안 32

나.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 33

다.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34

라. 지능정보사회 대비 중장기 교육 방향 36

마. 고교 교육력 제고 사업 지원 계획 발표 38

바. 시사점 40

3. 문재인 정부의 고교학점제 정책 41

4. 고등학교에서의 학점제의 성격 43

가. 학점제의 개념 43

나. 고교학점제 도입의 교육 정책적 의의: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45

Ⅲ. 고등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운영 국내 사례 49

1. 도봉고등학교 50

가. 학교 운영 현황 50

나. 학생 중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51

다. 향후 과제 61

2. 한서고등학교 62

가. 학교 운영 현황 62

나. 학생 중심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63

다. 수업 및 평가 방식의 변화 67

라.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 절차 68

마.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 지원 프로그램 개발 69

바. 향후 과제 72

3. 신현고등학교 73

가. 학교 운영 현황 73

나.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 선택권 보장 74

다. 학생 참여형 수업을 통한 교과 교육과정 운영 83

라. 향후 과제 85

4. 삼성고등학교 87

가. 학교 운영 현황 87

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특징 90

다. 학생중심의 선택 과목 편성ㆍ운영 91

라. 선택 교육과정 편성 표 93

마. 시사점 102

Ⅳ. 시ㆍ도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사례 104

1. 협력 교육과정 거점학교 및 연합형 선택 교육과정(서울특별시 교육청) 105

가. 협력 교육과정 거점학교 및 연합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의 배경 105

나. 거점학교 및 연합형 교육과정 운영 현황(2017년 기준) 106

다. 향후 과제 112

2.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115

가.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배경 115

나. 캠퍼스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현황 117

다. 향후 과제 122

3. 학교 간 꿈두레 공동교육과정(인천광역시 교육청) 124

가. 학교 간 꿈두레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배경 124

나. 학교 간 꿈두레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 125

다. 향후 과제 132

4. 교육과정 클러스터(경기도 교육청) 134

가.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의 배경 134

나.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현황 136

다. 향후 과제 139

5. 시사점 142

Ⅴ. 고등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운영 국외 사례 146

1. 미국 147

가. 고등학교 학제 및 특징 147

나. 고등학교에서의 학점제 147

다. 고등학교 학점제 사례-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148

라. 학생의 과목 선택권, 조기졸업, 재이수 160

마. 시사점 162

2. 영국 163

가. 영국의 학제 163

나. 영국의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목 164

다. 시사점 170

3. 캐나다(온타리오 주) 171

가. 교육 체제 개관 171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특징 172

다. 대입 제도 178

라. 시사점 178

4. 호주(빅토리아 주) 179

가. 교육 체제 개관 179

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특징 180

다. 대입 제도 186

라. 시사점 187

5. 핀란드 188

가. 핀란드 학제 188

나. 핀란드 교육과정 개황 190

다. 핀란드 고등학교의 편제 191

라. 평가 196

마. 대학입학시험 196

바. 시사점 198

Ⅵ.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학점제 관련 요구조사 200

1. 조사 방법 201

가. 설문조사의 내용과 방법 201

나. 응답자 배경변인 202

2. 조사 결과 및 시사점 205

가. 고교학점제 도입 필요성 205

나. 교육 과정 206

다. 교육 평가 224

라. 수능 및 대입전형 242

마. 지원 방안 248

바. 시사점 258

Ⅶ. 학습자 중심의 진로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점제 실행 방안 261

1. 고교학점제 실행 방향 및 과제 262

2. 고교학점제의 단계적 추진 방안 263

가. 준비단계: 고교학점제 실행의 필요조건으로서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264

나. 실행 단계: 고교학점제 실행의 선결 조건 마련(중장기) 266

Ⅷ. 요약 및 정책 제언 268

1. 요약 269

2. 정책 제언 280

가. 학점제의 실행 기반 281

나. 교육과정 관련 284

다. 교육평가 286

라. 수능 및 대입제도 측면 288

마. 교육 인프라 측면: 교원 수급과 시설 확보 측면 290

바. 지원 측면 293

참고문헌 294

ABSTRACT 301

[부록 1]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고교학점제 편성ㆍ운영에 관한 설문조사 305

[부록 2] 시ㆍ도 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 현황 317

[부록 3] 신설 과목 개설에 관한 시ㆍ도교육청 지침 324

[부록 4] 회의록 331

〈표 Ⅱ-1-1〉 교육과정기별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지침 내용 29

〈표 Ⅱ-1-2〉 교육과정기별 학생의 선택 과목 이수를 지원하는 내용 29

〈표 Ⅱ-1-3〉 신설 과목 개설에 관한 시ㆍ도교육청의 지침(서울특별시교육청 예시) 31

〈표 Ⅱ-2-1〉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방안의 주요 내용 34

〈표 Ⅱ-2-2〉 고등학교 교육 개선을 위한 방향(방안) 및 계획 비교 40

〈표 Ⅱ-3-1〉 문재인 정부의 고교학점제 관련 정책 내용 42

〈표 Ⅱ-4-1〉 고교학점제 도입 관련 그간의 정책 추진 경과 46

〈표 Ⅲ-1-1〉 도봉고 교직원 현황 50

〈표 Ⅲ-1-2〉 도봉고 학생 현황 50

〈표 Ⅲ-1-3〉 도봉고 교실 현황 51

〈표 Ⅲ-1-4〉 도봉고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의 특징 52

〈표 Ⅲ-1-5〉 도봉고 2017학년도 입학생의 필수 이수 과목 53

〈표 Ⅲ-1-6〉 도봉고의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편성표(2017년도 입학생) 54

〈표 Ⅲ-1-7〉 도봉고 선택 과목 목록(예시) 57

〈표 Ⅲ-1-8〉 2학년 개설 과목 선택(예시)(도봉고 사례) 58

〈표 Ⅲ-1-9〉 국어 교과 선택 과목 학습 내용(도봉고 사례) 59

〈표 Ⅲ-1-10〉 도봉고 수강신청서(예시) 60

〈표 Ⅲ-1-11〉 학생 과목 선택 확인 사항(도봉고 사례) 61

〈표 Ⅲ-2-1〉 한서고 학년별 과목 구분(2017학년도 입학생 기준) 64

〈표 Ⅲ-2-2〉 2017학년 입학생을 위한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단위 배당표 65

〈표 Ⅲ-2-3〉 한서고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절차 69

〈표 Ⅲ-2-4〉 한서고 시간표 및 교실 배치 예시 71

〈표 Ⅲ-3-1〉 2017학년도 입학생 교육과정 편제표 79

〈표 Ⅲ-3-2〉 수업시간표 구성 변화 83

〈표 Ⅲ-3-3〉 교과벌 수업 운영 사례 84

〈표 Ⅲ-3-4〉 공학 기술의 수업재구성 예 84

〈표 Ⅲ-3-5〉 신현고 학교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만족도 85

〈표 Ⅲ-4-1〉 삼성고 교직원 현황 87

〈표 Ⅲ-4-2〉 삼성고 학생 88

〈표 Ⅲ-4-3〉 삼성고 시설 현황 88

〈표 Ⅲ-4-4〉 삼성고의 이수 학기별 공통선택 과목 편성 현황 92

〈표 Ⅲ-4-5〉 삼성고의 계열 선택 과목 편성 93

〈표 Ⅲ-4-6〉 자연과학 과정 94

〈표 Ⅲ-4-7〉 공학 과정 95

〈표 Ⅲ-4-8〉 IT 과정 96

〈표 Ⅲ-4-9〉 생명과학 과정 97

〈표 Ⅲ-4-10〉 국제인문 과정 98

〈표 Ⅲ-4-11〉 사회과학 과정 99

〈표 Ⅲ-4-12〉 경제경영 과정 100

〈표 Ⅲ-4-13〉 예술체육 과정 101

〈표 Ⅳ-1-1〉 거점학교 및 연합형 교육과정 추진의 근거 106

〈표 Ⅳ-1-2〉 협력 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 형태 107

〈표 Ⅳ-1-3〉 협력 교육과정 거점학교 현황 107

〈표 Ⅳ-1-4〉 운영 교과목 및 운영 형태(예시) 108

〈표 Ⅳ-1-5〉 연합형의 운영 형태 109

〈표 Ⅳ-1-6〉 연합형 교육과정 운영의 방식 110

〈표 Ⅳ-1-7〉 2017학년도 연합형 교육과정 운영 학교 현황 111

〈표 Ⅳ-1-8〉 협력 교육과정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만족도(학생, 교사, 학부모) 112

〈표 Ⅳ-2-1〉 공동교육과정 ⅠㆍⅡㆍⅢ의 주요 특징 115

〈표 Ⅳ-2-2〉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추진의 근거 116

〈표 Ⅳ-2-3〉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 필요성과 실행가능성 116

〈표 Ⅳ-2-4〉 2017년 1학년 공동교육과정 Ⅰ의 운영 내용 118

〈표 Ⅳ-2-5〉 (공동교육과정 Ⅰ) 2017학년도 2학기 권역별 거점학교 공동교육과정 현황 119

〈표 Ⅳ-2-6〉 2017년 1학년 공동교육과정 Ⅱ의 운영 내용 121

〈표 Ⅳ-2-7〉 캠퍼스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 123

〈표 Ⅳ-3-1〉 꿈두레 공동교육과정 운영 경과 125

〈표 Ⅳ-3-2〉 거점형 중심학교 운영 현황 128

〈표 Ⅳ-3-3〉 밴드형 중심학교 운영 현황 130

〈표 Ⅳ-3-4〉 꿈두레 공동교육과정 참여 학생 만족도 132

〈표 Ⅳ-4-1〉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추이 135

〈표 Ⅳ-4-2〉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기준 137

〈표 Ⅳ-4-3〉 2017년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현황 138

〈표 Ⅳ-5-1〉 시ㆍ도교육청의 공동교육과정 운영의 주요 특징 비교 143

〈표 Ⅴ-1-1〉 미국 캘리포니아 주 요구 고등학교 졸업최저 교과군과 이수학점 149

〈표 Ⅴ-1-2〉 LA 통합교육구 교과군별 졸업최저 이수학점과 교과군별 선택 과목 예시 151

〈표 Ⅴ-1-3〉 LA 통합교육구와 대학별 입학 요구 졸업최저 이수학점 152

〈표 Ⅴ-1-4〉 LA 통합교육구와 대학별 입학요강의 교과군별 과목 예시 153

〈표 Ⅴ-1-5〉 'Us News & World Report 2017'에 나타난 두 고등학교 순위 156

〈표 Ⅴ-1-6〉 Palos Verdes Peninsula 고등학교 최저 졸업이수 학점과 교과군 157

〈표 Ⅴ-1-7〉 영어 교과군 이수경로 158

〈표 Ⅴ-1-8〉 수학 교과군 이수경로 158

〈표 Ⅴ-1-9〉 Fairfax 고등학교 교과군별 졸업최저 이수학점과 교과군별 선택과목 예 159

〈표 Ⅴ-2-1〉 2017년부터 적용되는 개정된 GSCEs 등급 체계 167

〈표 Ⅴ-2-2〉 Key Stage 3~4 과정의 학생 평가 168

〈표 Ⅴ-2-3〉 영국의 GCSE 이수과목 내신 반영 비율 168

〈표 Ⅴ-2-4〉 영국의 AS 및 A2 과목 169

〈표 Ⅴ-2-5〉 영국의 A-level 과목별 평가 영역 예 170

〈표 Ⅴ-3-1〉 온타리오 주 Algoma 학교구의 12학년 교과목 예시 174

〈표 Ⅴ-4-1〉 호주 빅토리아주의 학제 및 교육과정 유형 180

〈표 Ⅴ-4-2〉 VCE 과목 180

〈표 Ⅴ-4-3〉 VCE 지리 과목 교육과정 구성 체제 182

〈표 Ⅴ-4-4〉 VCE 지리 1, 2 단원 평가 과제 183

〈표 Ⅴ-4-5〉 VCE 지리 3, 4 단원 최종 평가 184

〈표 Ⅴ-4-6〉 성적 분포에 따른 최종 점수 185

〈표 Ⅴ-4-7〉 VCE 최종 성적표 사례 185

〈표 Ⅴ-4-8〉 VCE 과목 이수 pass와 fail의 기준 186

〈표 Ⅴ-5-1〉 핀란드 고등학교 편제와 단위(course) 배당 193

〈표 Ⅴ-5-2〉 7단계 평가 196

〈표 Ⅴ-5-3〉 2006-2013년간 고등학교에서 학업 불이행(Discontinuation of education)의 비율 199

〈표 Ⅵ-1-1〉 설문지의 내용 201

〈표 Ⅵ-1-2〉 설문조사의 방법, 대상, 시기, 회수율 202

〈표 Ⅵ-1-3〉 고교학점제 교사 응답자의 학교배경 분포 202

〈표 Ⅵ-1-4〉 교사 응답자의 개인배경 분포 203

〈표 Ⅵ-1-5〉 교과 담당 응답자의 분포(중복응답) 204

〈표 Ⅵ-1-6〉 교사 담당 교과별 응답자 분포 205

〈표 Ⅵ-2-1〉 고교학점제 도입ㆍ시행 인지 정도 205

〈표 Ⅵ-2-2〉 고교학점제 도입ㆍ시행의 필요성 206

〈표 Ⅵ-2-3〉 고교학점제의 도입ㆍ시행 이유 206

〈표 Ⅵ-2-4〉 교과 총 필수 이수 단위 감축의 필요성 여부 207

〈표 Ⅵ-2-5〉 총 필수 이수 단위의 감축 필요성에 대한 교과별 의견 207

〈표 Ⅵ-2-6〉 고교학점제 필수 이수 단위 감축 비율 208

〈표 Ⅵ-2-7〉 기초 교과 영역 총 이수단위 50% 초과에 대한 조정여부 208

〈표 Ⅵ-2-8〉 교과별 기초 교과 영역 총 이수단위 50% 초과에 대한 조정 여부 209

〈표 Ⅵ-2-9〉 기초 교과 영역 이수 단위 총합 비율 제한 기준 축소 비율 209

〈표 Ⅵ-2-10〉 총 이수단위(204 단위) 조정의 필요성 210

〈표 Ⅵ-2-11〉 총 이수단위(204 단위) 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과별 의견 210

〈표 Ⅵ-2-12〉 총 이수단위(204 단위)의 조정 정도 211

〈표 Ⅵ-2-13〉 고교학점제 시행 시 선택과목 관련 각 사항의 필요 정도 211

〈표 Ⅵ-2-14〉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경로 관련 정보 212

〈표 Ⅵ-2-15〉 과목별 이수 기준 상세화 212

〈표 Ⅵ-2-16〉 학기별 최소 및 최대 학점 이수 기준 213

〈표 Ⅵ-2-17〉 고교학점제 시행 시 선택과목 관련 각 사항의 필요 정도 기술통계량 214

〈표 Ⅵ-2-18〉 고교학점제 시행 시 학기당 과목 이수 단위 허용 범위 214

〈표 Ⅵ-2-19〉 고교 학점에 학기당 이수 과목 수를 8개 이내 제한 기준 유지 여부 215

〈표 Ⅵ-2-20〉 공통과목 이수 이후 선택과목 운영 방식 215

〈표 Ⅵ-2-21〉 과목 선택권이 확대될 경우 각 항목들의 문제 정도 216

〈표 Ⅵ-2-22〉 과목 선택권이 확대될 경우 각 항목들의 문제 정도 216

〈표 Ⅵ-2-23〉 학생별 공강 시간 발생, 종례 시간 다양화, 근태(출결) 점검, 이동수업 등에 따른 학생 관리 문제 217

〈표 Ⅵ-2-24〉 대학 진학에 유리한 과목 중심으로 선택 과목 편성 가능성 218

〈표 Ⅵ-2-25〉 특정 과목 중심의 선택 쏠림 현상 219

〈표 Ⅵ-2-26〉 타 학교 전학 시 이수 단위 산정의 혼란 219

〈표 Ⅵ-2-27〉 교사별 담당 과목 수의 불균형 초래 220

〈표 Ⅵ-2-28〉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각 교육과정 운영 방안의 필요 221

〈표 Ⅵ-2-29〉 학교 내에서 개인 맞춤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 221

〈표 Ⅵ-2-30〉 학교 간 연합 교육과정(공동교육과정) 운영의 필요 222

〈표 Ⅵ-2-31〉 지역사회 연계형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 222

〈표 Ⅵ-2-32〉 온라인 기반형 교육과정 운영의 필요 223

〈표 Ⅵ-2-33〉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교 내신 평가 방식 224

〈표 Ⅵ-2-34〉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교 내신 평가 방식에 대한 교과별 의견 224

〈표 Ⅵ-2-35〉 내신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노력의 방향(2개 중복 응답 가능) 225

〈표 Ⅵ-2-36〉 선택 과목의 선수 학습 능력 점검을 위한 진단 평가 필요 여부 226

〈표 Ⅵ-2-37〉 선택 과목의 선수 학습 능력 점검 진단평가의 필요 여부에 대한 교과별 의견 226

〈표 Ⅵ-2-38〉 고교학점제 관련 각 제도 도입의 필요성 정도 227

〈표 Ⅵ-2-39〉 고교학점제 관련 속진제 도입 필요성 정도 227

〈표 Ⅵ-2-40〉 고교학점제 관련 조기졸업제 도입 필요성 정도 228

〈표 Ⅵ-2-41〉 고교학점제 관련 유급제 도입 필요성 정도 229

〈표 Ⅵ-2-42〉 고교학점제 관련 재이수제 도입 필요성 정도 229

〈표 Ⅵ-2-43〉 고교학점제 관련 각 제도 도입의 필요성 기술통계량 230

〈표 Ⅵ-2-44〉 속진제와 조기졸업제 도입으로 인한 각 항목의 문제 정도 231

〈표 Ⅵ-2-45〉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 간 위화감 조성 231

〈표 Ⅵ-2-46〉 졸업에 필요한 학점 취득을 위한 과열 경쟁 야기 232

〈표 Ⅵ-2-47〉 조기졸업과 수능 시기와의 연계 부족 232

〈표 Ⅵ-2-48〉 속진제와 조기졸업제 도입으로 인한 각 항목의 문제 정도의 기술통계량 233

〈표 Ⅵ-2-49〉 조기졸업제 시행의 경우 적절한 졸업 시기 234

〈표 Ⅵ-2-50〉 조기졸업제 시행에 따른 적절한 졸업 시기에 대한 교과별 의견 234

〈표 Ⅵ-2-51〉 유급제와 재이수제 도입으로 인한 각 항목의 문제 정도 235

〈표 Ⅵ-2-52〉 유급이나 재이수를 피하기 위한 과목의 선택 경향성 초래 236

〈표 Ⅵ-2-53〉 재이수로 인한 학생의 학습 부담 증가 236

〈표 Ⅵ-2-54〉 유급이나 재이수로 인한 학생 간 위화감 조성 237

〈표 Ⅵ-2-55〉 자퇴 등 학업 중단 학생 증가 238

〈표 Ⅵ-2-56〉 유급제와 재이수제의 도입으로 인한 각 항목의 문제 정도 기술통계량 238

〈표 Ⅵ-2-57〉 고교학점제 도입 시 재이수제를 적용할 교과목 239

〈표 Ⅵ-2-58〉 고교학점제 도입 시 재이수제를 적용할 교과목에 대한 교과별 의견 239

〈표 Ⅵ-2-59〉 고교학점제 도입 시 재이수제 시행 방식 240

〈표 Ⅵ-2-60〉 고교학점제 도입 시 재이수제 시행 방식에 대한 교과별 의견 241

〈표 Ⅵ-2-61〉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재이수제 도입 시기 241

〈표 Ⅵ-2-62〉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재이수제 도입 시기에 대한 교과별 의견 242

〈표 Ⅵ-2-63〉 고교학점제 시행 시 대학수학능력시험 역할 242

〈표 Ⅵ-2-64〉 고교학점제 시행 시 대학수학능력시험 역할에 대한 교과별 의견 243

〈표 Ⅵ-2-65〉 대학수학능력과 입학생의 전공 적합도 평가 자료의 적절성 243

〈표 Ⅵ-2-66〉 학교생활기록부 이수 과목의 전공 적합도 244

〈표 Ⅵ-2-67〉 학교생활기록부 이수 과목의 성적 245

〈표 Ⅵ-2-68〉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245

〈표 Ⅵ-2-69〉 대학수학능력 전공 적합도 각 평가 자료의 적절성 기술통계량 246

〈표 Ⅵ-2-70〉 대학 전공별 대입에 필요한 이수 과목 정보의 안내ㆍ공시의 필요성 247

〈표 Ⅵ-2-71〉 대학 전공별 대입 필요 이수 과목 정보 안내ㆍ공시의 필요성에 대한 교과별 의견 247

〈표 Ⅵ-2-72〉 교사 담당 교과별 대학 전공별 대입에 필요한 이수 과목 정보 안내ㆍ공시의 필요성 기술통계량 248

〈표 Ⅵ-2-73〉 고교학점제 운영 시 각 항목별 지원의 필요성 249

〈표 Ⅵ-2-74〉 다양한 선택 과목 운영에 따른 교원 수급 문제 해결 필요성 249

〈표 Ⅵ-2-75〉 학생 개인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상담 교사 확대 필요성 250

〈표 Ⅵ-2-76〉 교원 업무 경감을 위한 교무행정인력 증원 필요성 251

〈표 Ⅵ-2-77〉 학생의 선택 과목 신청 및 교사의 시간표 조정을 위한 온라인 운영 시스템 구축 필요성 251

〈표 Ⅵ-2-78〉 다양한 선택 과목을 운영할 수 있는 교실(시설)의 확보 필요성 252

〈표 Ⅵ-2-79〉 공강 시간에 학생이 머물 수 있는 공간 확보의 필요성 253

〈표 Ⅵ-2-80〉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의 필요성 254

〈표 Ⅵ-2-81〉 지역별, 학교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각종 지원의 필요성 254

〈표 Ⅵ-2-82〉 고교학점제를 운영 시 각 항목별 지원의 필요성 기술통계량 255

〈표 Ⅵ-2-83〉 다양한 선택 과목 운영에 따른 교원 수급 문제의 해결 방식 256

〈표 Ⅵ-2-84〉 다양한 선택 과목 운영에 따른 교원 수급 문제의 해결 방식에 대한 교과별 의견 256

〈표 Ⅵ-2-85〉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 257

〈표 Ⅵ-2-86〉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에 가장 필요한 항목에 대한 교과별 의견 258

〈표 Ⅶ 1-1〉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실행 과제 262

〈표 Ⅶ-2-1〉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방안(단기) 265

〈표 Ⅶ-2-2〉 고교학점제 실행의 선결 조건 마련(중장기) 266

〈표 Ⅷ-2-1〉 학점제 도입 시 검토되어야 할 법규(예시) 282

〈표 Ⅷ-2-2〉 고등학교 교육과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비교 289

[그림 Ⅰ-2-1] 본 연구의 진행 절차 24

[그림 Ⅱ-2-1] 기초ㆍ심화 과정 운영 형태(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0: 2)) 32

[그림 Ⅱ-2-2] 중장기 교육 방향과 핵심 키워드(출처: 교육부(2016a: 2)) 36

[그림 Ⅱ-2-3]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변화 방향(출처: 교육부(2016b: 13) 부분 발췌) 37

[그림 Ⅱ-4-1] 학년제와 학점제 간 비교(출처: 교육부(2016b: 9)) 46

[그림 Ⅲ-2-1] 한서고 프로그램(개인별 선택 과목 입력 화면)(출처: 김상래(2017: 13)) 70

[그림 Ⅲ-2-2] 한서고 프로그램(선택 과목 신청 현황 화면)(출처: 김상래(2017: 13)) 70

[그림 Ⅲ-2-3] 한서고 프로그램을 활용한 반 편성 예시(출처: 김상래(2017: 14)) 71

[그림 Ⅲ-2-4] 한서고등학교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과서대금 납부고지서 예시(출처: 김상래(2017: 14) 그림의 일부를 제시함) 72

[그림 Ⅲ-4-1] 삼성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출처: 삼성고등학교 홈페이지(http://www.schoolinfo.go.kr/ei/ss/Pneiss_e01_s0p.do#frame)) 91

[그림 Ⅳ-1-1] 연합형의 운영 형태(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2017c: 8)) 110

[그림 Ⅳ-3-1] 거점형과 밴드형 교육과정 운영 방식(출처: 인천광역시교육청(2017a: 3)) 126

[그림 Ⅳ-3-2] 중심학교 공모 절차(출처: 인천광역시교육청(2017a: 4)) 127

[그림 Ⅴ-2-1] 영국의 학제(출처: 정영근 외(2014: 151)) 164

[그림 Ⅴ-2-2] 영국 국가 교육과정 중 Key Stage 4의 교과목 구조(출처: DfE(2014: 6)의 표를 번역하여 제시함) 165

[그림 Ⅴ-3-1] Algoma 학교구의 과학 교과 선수과목 체계도(출처: Algoma District School Board(2017: 90)) 177

[그림 Ⅴ-5-1] 핀란드의 학제(출처: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www.ncic.re.kr; https://webgate.ec.europa.eu/fpfis/mwikis/eurydice/index.php/Finland:Overview. 검색일: 2017. 6. 15) 189

[그림 Ⅴ-5-2] 핀란드 중학교 학생들의 고등학교 진학 현황(2001년/2014년 비교)(출처: EDUFI(2017: 6)) 190

[그림 Ⅴ-5-3] 핀란드 일반계 고등학교의 최소 필수, 심화, 총 과목수의 개요(출처: EDUFI(2017: 37)) 192

[그림 Ⅴ-5-4] 핀란드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군별 필수 및 심화과목수의 개요(출처: EDUFI(2017: 41)) 193

[그림 Ⅴ-5-5] 핀란드 교육과정에서 A언어와 B언어의 선택(출처: Fi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2016: 106)) 195

[그림 Ⅴ-5-6] 핀란드 대입시험의 개요(출처: EDUFI(2017: 39)) 197

[그림 Ⅴ-5-7]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핀란드 고등학교 학생 수 및 대입시험응시자 수의 변화(출처: http://www.stat.fi/til/lop/2016/lop_2016_2017-06-13_tie_001_en.html. 검색일: 2017. 6. 26) 198

[그림 Ⅶ-2-1] 학점제의 구성 요건 263

[그림 Ⅶ-2-2] 학점제 편성ㆍ운영의 시계열적 성격 263

〈표-1〉 전문가 협의회 개요 331

〈표-2〉 온라인 전문가 자문협의회 개요 334

〈표-3〉 워크숍 개요 33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411692 379.155 -18-2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