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림을 통한 산림지역 비점오염관리방안 연구 =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forest and control measures : 2년차 최종보고서 /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편] 인기도
발행사항
하남 :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16
청구기호
363.7394 -18-9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 vii, 103 p. : 삽화, 도표 ; 30 cm
총서사항
(2016년도)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
제어번호
MONO1201811471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2016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보고서
연구기관명: 강원대학교
연구책임자: 김범철
참고문헌: p. 100-103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SUMMARY

Contents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22

1. 연구배경 22

2. 연구목적 23

3. 연구범위 23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5

제3장 조사 및 분석방법 31

제1절 상수원 관리지역 내 관리현황 조사 31

1. 산림관리사업 현황조사 31

제2절 산림쇄설물의 유출 및 호수내 퇴적특성 조사 32

1. 산림쇄설물 유출량 측정 32

2. 호수의 산림쇄설물 퇴적분포 34

3. 호수로 유입된 산림쇄설물의 퇴적량 조사 35

4. 산림쇄설물 분해속도 측정 36

제3절 산림쇄설물에 의한 수환경 영향 분석 38

1. 산림쇄설물에 의한 메탄발생량 조사 38

2. 산림쇄설물 용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39

제4절 산림의 유형별 낙엽이동성 조사 43

1. 모델의 선정 43

2. ENVI_met 모델의 특징 44

3. 모델의 개요 45

4. 대상영역 및 수종 설정 48

5. 시나리오 설정 51

6. 초기입력자료 및 영향예측지점 설정 53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56

제1절 한강수계의 산림관리사업 관리현황 56

1. 한강수계 강원도내 산림관리사업 현황 56

2. 한강수계 산림관리사업 현황 59

3. 수계와 숲가꾸기 사업의 지리적 분포 특성 60

제2절 산림쇄설물의 유출 및 호수내 퇴적특성 조사 62

1. 시범연구지역과 소양강 유역의 산림쇄설물 유출량 측정 62

2. 호수의 산림쇄설물 퇴적분포 68

3. 호수로 유입된 산림쇄설물의 퇴적량 조사 69

제3절 산림쇄설물에 의한 수환경 영향 분석 71

1. 산림쇄설물에 의한 메탄발생량 조사 71

2. 산림쇄설물 용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75

3. 산림쇄설물의 분해속도 측정 84

제4절 산림의 유형별 낙엽이동성 조사 86

1. 1차년 연구결과 요약 86

2. 지형 특성에 따른 낙엽 이동성 모의 결과 분석 89

제5절 산림쇄설물이 수환경에 미치는 영향 103

1. 산림지역 저수지의 산림쇄설물로 인한 수질악화 103

2. 낙엽퇴적으로 인한 수질악화 사례 105

제5장 산림쇄설물 저감시설 적용사례 108

제1절 산림쇄설물 저감시설의 필요성 108

제2절 국내 적용사례 109

제3절 국외 적용사례 114

제4절 수환경을 고려한 산림쇄설물 최적관리방안 117

제6장 요약 및 결론 119

참고문헌 121

(표 1-1) 소양강댐의 연도별 부유물 수거 현황 23

(표 3-1) 관리 사업 현황 DB구축의 예 31

(표 3-2) 시범연구지역의 식생분포 32

(표 3-3) 연차별 용출실험 조건 비교 40

(표 3-4) 수종별 모델 입력자료 51

(표 3-5) 낙엽이동성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 설정 51

(표 3-6) 시나리오 Type별 초기 경계자료(기상) 설정 54

(표 3-7) 낙엽이동성 모의를 위한 ENVI_MET 모델 실행조건 54

(표 4-1) 수계와 숲가꾸기 사업 구역의 지리적 위치 비교분석결과 57

(표 4-2) 수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주요 임상 현황 58

(표 4-3) 한강수계 내 산림관리사업 현황 59

(표 4-4) 한강수계와 숲가꾸기 사업 구역의 지리적 위치 비교분석결과표 60

(표 4-5) 한강수계 100m 이내의 임상현황 61

(표 4-6) 시범연구지역의 강우특성 62

(표 4-7) 무강우시 산림쇄설물의 평균유출량 63

(표 4-8) 강우시 산림쇄설물의 유출량 63

(표 4-9) 시범관리지역에서 유출되는 강우사상별 유기탄소 부하량 65

(표 4-10) 시범관리지역에서 유출되는 유기탄소의 연간부하량 및 선행연구의 비교 67

(표 4-11) 산림쇄설물 침강실험 결과 70

(표 4-12) 가스 포집 조건과 포집량 72

(표 4-13) 소양호에서 측정된 메탄 유출량 74

(표 4-14) 각 반응조의 유기물과 영양염류 용출속도 82

(표 4-15) 낙엽 및 퇴적물 용출속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결과 비교 83

(표 4-16) 소양호의 낙엽 분해계수와 선행연구의 비교 85

(표 5-1) 다목적댐 부유쓰레기 처리현황 108

(그림 2-1) 위치에 따른 방풍림의 풍속감소 효과 26

(그림 2-2) 난기류 방지를 위한 방풍림의 활용 27

(그림 2-3) 나무 전·후방 5m지점의 연직 풍속변화 결과 28

(그림 2-4) 초고층 건물 주변의 바람길 영향 분석 29

(그림 2-5) 건물배치와 바림길 패턴 유형 30

(그림 3-1) 숲가꾸기 사업 사례 31

(그림 3-2) 산림쇄설물 유출량 조사지점 32

(그림 3-3) 시범관리지역에 설치된 유량측정 및 산림쇄설물 포집장비 33

(그림 3-4) 산림쇄설물 유출량 측정과정 33

(그림 3-5) 소양호 산림쇄설물 퇴적분포 조사지점 34

(그림 3-6) 산림쇄설물 퇴적분포 조사방법 34

(그림 3-7) 강우시 산림쇄설물 호수내 퇴적량 조사지점 35

(그림 3-8) 호수 내 산림쇄설물 퇴적량 특정을 위한 모식도와 제작된 trap 35

(그림 3-9) 호내 산림쇄설물 퇴적량 측정을 위해 trap을 설치하는 모습 36

(그림 3-10) 낙엽 침강 및 분해 실험 위치 37

(그림 3-11) 분해속도 측정을 위해 낙엽망을 설치하는 모습 37

(그림 3-12) 산림쇄설물에 의한 메탄발생량 조사지점 38

(그림 3-13) 메탄가스 포집장치 설치 모식도와 현장조사 모습 39

(그림 3-14) 퇴적량 비교실험 반응조 모식도 41

(그림 3-15) 나뭇가지 혼합여부 비교실험 반응조 모식도 42

(그림 3-16) 기후학 규모에 따른 공간규모 구분 44

(그림 3-17) ENVI_MET 모델 홈페이지 화면 45

(그림 3-18) ENVI met 모델의 데이터 흐름도 47

(그림 3-19) A Type 내의 시나리오구분 48

(그림 3-20) 지형조건에 따른 시나리오 Type 구분 49

(그림 3-21) 북한강 하류 팔당댐 인근 도로(파란색 음영)영역 50

(그림 3-22) 낙엽이동성 모의를 위한 대상수종별 높이 50

(그림 3-23) B Type 지형의 간벌밀도에 따른 시나리오 설정 52

(그림 3-24) C Type 지형의 시나리오에 따른 수목 배치 및 하천방향... 53

(그림 3-25) Type 별 유체흐름방향의 영향예측지점(R)을 설정하였음. 유체의 흐름... 55

(그림 4-1) 한강수계(강원도권) 내 산림관리사업 현황 56

(그림 4-2) 수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숲가꾸기 사업 현황 분석결과 57

(그림 4-3) 수계로부터 1km 이내에서의 임상 현황 58

(그림 4-4) 한강수계 내 산림관리사업 현황 59

(그림 4-5) 수계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숲가꾸기 사업 현황 분석결과 60

(그림 4-6) 강우량과 산림쇄설물 유출량의 상관관계 64

(그림 4-7) 강우량과 산림쇄설물 유기탄소 유출량의 상관관계 66

(그림 4-8) 소양호의 산림쇄설물 퇴적분포 68

(그림 4-9) 잘려나간 낙엽침강 trap 69

(그림 4-10) 강우 후 호수 내 산림쇄설물 퇴적량 측정 70

(그림 4-11) 메탄 채집시기와 소양호의 수위변화 75

(그림 4-12) 시간에 따른 반응조 내 물색 변화 75

(그림 4-13) 나뭇가지 혼합여부 따른 반응조 내 DOC 농도변화 77

(그림 4-14) 나뭇가지 혼합여부 따른 반응조 내 TN농도변화 78

(그림 4-15) 나뭇가지 혼합여부 따른 반응조 내 TP농도변화 78

(그림 4-16) 퇴적량에 따른 반응조 내 DOC 변화 79

(그림 4-17) 퇴적량에 따른 반응조 내 TN 농도 변화 80

(그림 4-18) 퇴적량에 따른 반응조 내 TP 농도 변화 80

(그림 4-19) 시간에 따른 반응조 내 농도변화 및 용출속도 산정 82

(그림 4-20) 시간에 따른 낙엽의 무게 변화 84

(그림 4-21) 숲가꾸기 사업 전후 캐노피에서의 지표면 풍속 변화 예상도 86

(그림 4-22) A Type 낙엽이동성 CFD 연구결과. 단일수종 3가지 CASE에 대한... 87

(그림 4-23) A Type 낙엽이동성 연직단면 모델링 결과(a)과 범례(b) 88

(그림 4-24) 대상지역의 지형도 및 연직단면도. 대상지역은 남서쪽 방향의 기울기를... 90

(그림 4-25) 시나리오에 따른 연직 유체모의 결과 91

(그림 4-26) 모델 최하층인 0.5m 높이의 시나리오별 모델 결과 93

(그림 4-27) 모델 최하층인 1.0m 높이의 시나리오별 모델 결과 94

(그림 4-28) 모델 최하층인 1.5m 높이의 시나리오별 모델 결과 96

(그림 4-29) 모델 최하층인 2.5m 높이의 시나리오별 모델 결과 97

(그림 4-30) 모델 최하층인 4.5m 높이의 시나리오별 모델 결과 98

(그림 4-31) 단일식재와 혼합식재를 고려한 C타입 지형의 연직 유체 변화 99

(그림 4-32) 완만한 지형을 고려한 B타입 지형의 연직 풍속변화 차이 100

(그림 4-33) 시나리오별 지표 2.5m 높이의 수평 유체 변화 101

(그림 4-34) 시나리오의 영향예측지점(R1 - R6)별 연직 풍속변화 비교 102

(그림 4-35) 저수지의 COD와 총인 농도의 상관성 103

(그림 4-36) 저수지의 COD/TP 및 TOC/TP 비와 유역의 산림지역 비율 104

(그림 4-37) 수위가 낮아지면서 노출된 사천지의 낙엽퇴적물 106

(그림 4-38) 홍천 개운지의 낙엽퇴적 및 메탄발생 현황 107

(그림 5-1) 비투과형 사방댐의 종류 109

(그림 5-2) 투과형 사방댐의 종류 110

(그림 5-3) 다목적 사방댐의 종류 111

(그림 5-4) 영덕호에 설치된 낙엽유입 차단망과 산림쇄설물 관리 사례 112

(그림 5-5) 농업용 저수지 유입부에 설치된 부댐 113

(그림 5-6) Lynn Dam에 설치된 산림쇄설물 유도장치와 부유물 제거 수문 114

(그림 5-7) 하천에 설치된 유도 스크린 114

(그림 5-8) 저수지 유입부 저감시설 115

(그림 5-9) 국외 사방댐 적용 사례 116

(그림 5-10) 수계와 산림의 거리에 따른 낙엽 유입량의 변화 11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2574 363.7394 -18-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2575 363.7394 -18-9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