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육개발협력 연구. 1, 기초교육 실천 전략 / 연구책임자: 안해정 ; 공동연구자: 서예원, 최정윤, 김미숙, 윤종혁, 김창환, 이기석, 문무경, 박환보, 신윤정, 윤철경 [외] 인기도
발행사항
진천군 : 한국교육개발원, 2017
청구기호
379.129 -18-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x, 415 p. : 삽화, 도표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 2017-24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6663157
제어번호
MONO1201812485
주기사항
부록: 1. 제 10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 2. 제 113차 KEDI 교육정책포럼 및 SDGs 달성을 위한 교육개발협력연구(Ⅰ) 2차 포럼 개최 ; 3. 기초교육 개발협력사업 사례 분석(국경없는교육가회 연구용역) 외
참고문헌: p. 317-327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Ⅰ. 서론 2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4

2. 연구 내용 35

3. 연구 방법 38

4. 선행연구 분석 41

가. 교육개발협력 기초교육 분야 관련 연구 42

나. 지역 관련 개발협력 연구 :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51

다. 교육개발협력연구 : 방법론 활용을 중심으로 55

Ⅱ. 기초교육의 쟁점 및 과제 57

1. 영유아 교육 59

가. 교육제도 및 정책 59

나. 교육과정 및 평가 65

다. 교사 훈련 68

라. 한국의 노력 71

2. 초중등 교육 72

가. 교육제도 및 정책 72

나. 교육과정 및 평가 87

다. 교육 시설 및 학습 환경 97

라. 교사 훈련 110

마. 교육 형평성 127

바. 학교 밖 아동ㆍ청소년 139

3. 소결 151

Ⅲ. 지역별 기초교육 현황 및 특징 153

1. 아시아 154

가. 교육의 질 제고 156

나. 평등한 교육기회의 확대 164

2. 아프리카 172

가. 교육의 질 제고 172

나. 평등한 교육기회의 확대 177

3. 중남미 및 기타 182

가. 교육의 질 제고 185

나. 평등한 교육기회의 확대 193

4. 소결 201

Ⅳ. 기초교육 개발협력사업 전략 개발 203

1. 한국의 기초교육 개발협력사업 통계 분석 204

가. 분석 개요 204

나. 분석 결과 206

2. 기초교육 분야 개발협력 사례 분석 218

가. 선진공여국 사례 분석 218

나. 한국 사례 분석 226

다. 기초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수립을 위한 시사점 237

3. 협력국가별 유형 분석 239

가. 개요 239

나. 분석 방법 242

다. 협력국가 유형 분석 결과 252

라. 유형별 기초교육 지원 전략 254

4. 소결 256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58

1. 연구요약 및 결론 259

2. 정책제언 265

가. 기초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체제 265

나. 기초교육 핵심주제별 정책제언 284

다. SDGs 달성을 위한 기초교육 개발협력 실천 전략 322

참고문헌 330

Abstract 341

[부록 1] 제10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351

[부록 2] 제113차 KEDI 교육정책포럼 SDGs 달성을 위한 교육개발협력연구(Ⅰ) 2차 포럼 개최 366

[부록 3] 기초교육 개발협력사업 사례 분석(국경없는 교육기회 연구용역) 368

[부록 4] 캄보디아 초등학교 교원 역량강화 현지 연수를 위한 해외출장 보고서 408

[부록 5] SDG 4-교육 2030 운영위원회 회의 참석 출장 보고서 419

판권기 426

[표 Ⅰ-1] SDG 교육 목표(SDG 4)의 세부 목표 및 이행 방안 25

[표 Ⅰ-2] 지역별 중점협력국가(2차 CPS 기준) 27

[표 Ⅰ-3] 전문가 협의회 논의 사항(안) 40

[표 Ⅰ-4] 포럼 개최 계획(안) 40

[표 Ⅰ-5] 아프리카 교육개발협력을 위한 대상 국가군 선정 결과 53

[표 Ⅱ-1] 푸트라자야 선언문에 제시된 아태지역 유아교육과 보육의 실행과제 63

[표 Ⅱ-2] 남협력의 성과 및 향후 과제 75

[표 Ⅱ-3] 교육제도 및 정책관련 주요 기관 및 협의체 77

[표 Ⅱ-4] 전 세계 초등과정 무상교육 제도 법제화 현황 80

[표 Ⅱ-5] 영유아교육 무상교육, 의무교육 실시 현황(2014년 기준) 82

[표 Ⅱ-6] 1995~2012년 KOICA 민관협력 사업 예산변화 추이 83

[표 Ⅱ-7] 교사훈련 분야 ODA 지원 현황 (순지출액 기준) 120

[표 Ⅱ-8] 원조유형별 교사훈련 분야 협력사업 현황 121

[표 Ⅱ-9] 대륙별 교사훈련 분야 협력사업 현황 121

[표 Ⅱ-10] 대륙별 교사훈련 분야 협력사업 현황 122

[표 Ⅱ-11] 2017년도 교육부 ODA 사업 현황 123

[표 Ⅱ-12] 지역별ㆍ국가소득수준별 양성 평등 지수(2014) 136

[표 Ⅲ-1] 2011~2015 세계현황보고서 교육의 질 관련 지표 현황 157

[표 Ⅲ-2] 2011~2015 국별 초등교육 과정 훈련된 교사 비율 현황 159

[표 Ⅲ-3] 2014 아시아 주요 지역별 기초교육 참여도 현황 165

[표 Ⅲ-4] 아시아 7개 중점협력국 이수율과 문해율 현황 167

[표 Ⅲ-5] 지역별 교육 분야 ODA 지원 현황 169

[표 Ⅲ-6] 아시아 7개 중점협력국 교육분야 ODA 지원 현황 169

[표 Ⅲ-7] 아프리카 주요국 기초교육 부문 주요 성과 및 정책, 향후 과제 173

[표 Ⅲ-8] SSA 주요국 초등학교 양성평등 지수(GPI) 현황, 2006~2015 179

[표 Ⅲ-9] SSA 주요국 중학교 양성평등 지수(GPI) 현황, 2006~2015 180

[표 Ⅲ-10] 지역별 기초교육 ODA 규모 및 전체상위 수원국 현황 183

[표 Ⅲ-11] 지역별 기초교육 ODA 상위 수원국 현황 185

[표 Ⅲ-12] 지역별 교육 분야 ODA 원조현황(교육일반/기초교육) 187

[표 Ⅲ-13] 지역별 ODA 수혜 현황(전체 ODA, 1인당 ODA) 188

[표 Ⅲ-14] 2009~2014년 주요 지역별/소득별/국가별 초등학교 이수율 현황 191

[표 Ⅳ-1] 기초교육 핵심주제 및 주제별 지표 205

[표 Ⅳ-2] 기초교육 핵심 주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1~2015) 206

[표 Ⅳ-3] 지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1) 211

[표 Ⅳ-4] 지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2) 212

[표 Ⅳ-5] 지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3) 213

[표 Ⅳ-6] 지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4) 214

[표 Ⅳ-7] 지표별 ODA 사업 빈도 및 순지출액(2015) 215

[표 Ⅳ-8] 2011-2015년 연도별 기초교육 ODA 사업 빈도 순위 216

[표 Ⅳ-9] 2011~2015년 연도별 기초교육 ODA 사업 순지출액 순위 217

[표 Ⅳ-10] 현지 연수의 특징 및 주요 내용 231

[표 Ⅳ-11] 분석에 사용된 변인들의 기술통계량 240

[표 Ⅳ-12] 누적분산비율 결과(설명된 총분산) : 기초교육 일반 수준 246

[표 Ⅳ-13] 요인추출(주성분분석, 회전 않음, 고유치 1.0 이상) : 기초교육 일반 수준 248

[표 Ⅳ-14] 누적분산비율 결과(설명된 총분산) : 기초교육 형평성 수준 249

[표 Ⅳ-15] 요인추출(주성분분석, 회전 않음, 고유치 1.0 이상) :기초교육 형평성 250

[표 Ⅳ-16] 각 유형별 요인값 및 F-test결과 253

[표 Ⅳ-17] K-평균 군집분석 결과에 따른 국가 유형 분류 254

[표 Ⅴ-1] 기초교육 분야 SDG 세부 목표 추진 방향 및 실천 방안 323

[표 Ⅴ-2] SDGs 달성을 위한 기초교육 분야 개발협력 정책 제언 및 실천 전략 324

[그림 Ⅰ-1] 5개년 중장기 연구 개요(2017~2021) 28

[그림 Ⅰ-2] 1차 년도 연구 개요 31

[그림 Ⅰ-3] 단계별 협동연구 계획 32

[그림 Ⅰ-4] 1차 년도 연구 추진 체제 33

[그림 Ⅰ-5] 1차 년도 협동 연구 기관별 역할 34

[그림 Ⅰ-6] 협동연구 운영 및 일정별 연구 산출 계획 35

[그림 Ⅱ-1] 인적자본 투자 회수율 64

[그림 Ⅱ-2] 전 세계 ODA 규모추이 및 ODA/GNI 비율변화(1960~2014년) 74

[그림 Ⅱ-3] 적절한 급수와 위생시설을 갖춘 초등학교 비율 100

[그림 Ⅱ-4] 브로드밴드를 통한 인터넷 접속률 인구비율 103

[그림 Ⅱ-5] 중남미 6학년의 신체폭력과 심리적(정서적) 폭력 피해 비율 106

[그림 Ⅱ-6] 학교 밖 아동 수 추이변화(1990~2015년) 140

[그림 Ⅲ-1] MDGs 15년 아시아 지역 교육 분야 ODA 규모 추이 155

[그림 Ⅲ-2] 2014 아시아 지역 학교 밖 아동 및 청소년 비율 현황 166

[그림 Ⅲ-3] 아시아 지역 교육분야 대상 다자기구 ODA 규모 170

[그림 Ⅲ-4] 2011~2015 7개 중점협력국 대상 기초교육 분야 다자원조 방식 171

[그림 Ⅲ-5] 중남미 지역 형평성 관련 교육지표 현황 196

[그림 Ⅳ-1] 연도별 기초교육 핵심주제 사업빈도 변화 추이 208

[그림 Ⅳ-2] 연도별 기초교육 핵심주제 순지출액 변화 추이 208

[그림 Ⅳ-3] 읽기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수행 전략 224

[그림 Ⅳ-4] 스크리 검사 결과: 기초교육 일반 수준 247

[그림 Ⅳ-5] 스크리 검사 결과 : 기초교육 형평성 수준 249

[그림 Ⅴ-1] 1차년도 협동연구 추진 체계 및 과정 260

[그림 Ⅴ-2] SDGs 달성을 위한 기초교육 개발협력 정책 및 실천 전략 체제 266

[그림 Ⅴ-3] 옹호전략 개발의 단계(Cutter et al.(2015), p. 25의 내용을 재구성) 283

부록표목

[부록 1] 제10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351

〈표 1〉 '제102차 KEDI 교육정책 포럼' 프로그램 351

[부록 3] 기초교육 개발협력사업 사례 분석(국경없는 교육기회 연구용역) 376

[부록표 2-1] 르완다 기준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입학과 졸업 376

[그림부록 2-1] 무료로 배포된 E-book 표지 371

[그림부록 2-2] 사업 수행 체계 375

[그림부록 2-3]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381

[그림부록 2-4] 해당 사업 협력기관 체제 구성 39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5460 379.129 -18-6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5461 379.129 -18-6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