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북핵은 현실이다 : 북핵 문제, 묻고 답하다 / 지은이: 이수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수혁 의원실], [2017]
청구기호
328.331 -18-38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113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의정보고서
제어번호
MONO1201813132
주기사항
표제관련정보: 『북한은 현실이다』에 이은 『북핵은 현실이다』 국회의원 이수혁이 말하는 북핵 문제의 실상과 전략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저자약력]

프롤로그 / 이수혁

목차

chapter 1. 북핵,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을 맞이하다 15

[Q1] 북한의 ICBM급 미사일 시험(2017년 7월 4일, 7월 28일, 11월 29일)과 6차 핵 실험(2017년 9월 3일)은 어느 정도 심각한 것인가? 이미 핵 실험을 다섯 번 진행한 것에 한 번 더 추가한 것뿐이지 않는가? 19

[Q2] 현재의 북핵 국면을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 이유와 의미는 무엇인가? 22

chapter 2.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안보 논란에 대해 묻고 답하다 25

1. 대북 군사적 옵션 27

[Q3] 북핵 위기 해결을 위해 미 행정부 내 강경파는 대북 군사적 옵션 문제를 제기했고, 우리 사회의 지식인들이나 언론에서도 이에 찬동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대북 군사적옵션의 법적·제도적 기초는 무엇인가? 27

[Q4] 북핵 위기 해결을 위한 대북 군사적 옵션이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29

2. 코리아 패싱과 운전자론 31

[Q5]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 참여한 전문가로서 코리아 패싱 논란을 어떻게 보는가? 31

[Q6] 북한이 ICBM급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한 위기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소위 '운전자론'은 한계에 부딪힌 것 아니냐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32

3. 자체 핵무장론 및 전술핵 재배치 33

[Q7] 일각에서는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나 핵무장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자체 핵무장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떻게 진행되며, 불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자체 핵무장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는 무엇인가? 33

[Q8] 우리 정부가 NPT를 탈퇴하여 핵 개발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있는가? 36

[Q9]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는 가능한가? 과정상 어떠한 문제점이 있으며, 실효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43

[Q10] 일각에서는 북한의 핵 위협을 막아내기 위해서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를 통한 공포의 핵 균형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이중결정'을 통한 서독 내 핵무기 배치가 독일 생존의 길이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를 어떻게 보는가? 44

[Q11] '이중결정'을 북핵 위기 상황에서 제기된 전술핵 재배치 논란에 적용할 수 있지 않는가? 46

4.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안 - 경제제재 48

[Q12] 유엔안보리 경제제재의 목적은 무엇인가? 48

[Q13] 2017년 8월 5일, 9월 11일 두 차례에 걸쳐 유엔안보리에서 고강도의 대북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강력한 대북 결의가 북한의 태도 전환을 유도할 것이라는 기대가 많았다. 어떻게 평가하는가? 49

[Q14]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원유공급 제한이 필요하다는 국제적인 여론이 강하다. 중국이 원유공급을 제한하면서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유도한 전례가 있지 않은가? 51

chapter 3. '북한은 현실이다' : 세 가지 가설은 변하지 않았다 55

[Q15] 첫 번째 가설, 북한은 붕괴하지 않는다? 이는 북한 급변사태로 대변되는 북한 붕괴론 주장과 사뭇 다르다.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58

[Q16] 독일 통일의 핵심 요인은 무엇이며, 당시 독일의 상황은 현재 한반도와는 어떻게 다른가? 61

[Q17] 두 번째 가설,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61

[Q18] 북한의 핵 개발 의도에 대해 보다 쉬운 설명이 필요하다. 핵 개발 의도를 어떻게 볼 수 있는가? 대응방안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62

[Q19] 세 번째 가설, 중국은 북한을 버리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의 북중관계는 기존의 순치 관계, 혈맹 관계로 설명하는데 무리가 있는 것 아닌가? 66

[Q20] 북한에 대한 중국의 태도를 어떻게 이해하면 되는가? 69

chapter 4. 북핵 폐기를 위한 세 가지 방법 : 우리는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73

[Q21] 북핵 폐기의 세 가지 길을 논하기 전에 현 북한의 핵과 미사일 고도화에 대한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 어떻게 평가하는가? 앞으로 북한은 핵을 어떻게 사용할 것으로 보는가? 75

[Q22]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는다'라는 가설을 세워놓고 북핵 폐기 방법을 논하는 것은 논리적인 모순 아닌가? 77

[Q23] 북핵 폐기의 세 가지 길은 무엇인가? 78

[Q24] 첫 번째 길, 핵을 북한이 스스로 포기한다. 이상적으로 들리는데, 어떻게 평가하는가? 78

[Q25] 선제공격 등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두 번째 길, 무력에 의한 핵 폐기. 가능하다고 보는가? 79

[Q26] 마지막으로 세 번째 길, 협상에 의한 폐기. 이것 역시 말은 좋지만 현실성이 떨어지는 방법 아닌가? 지난 수십 년간의 지지부진한 협상에 대한 비판으로 협상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다 82

chapter 5. 한국의 역할 : 협상 시즌I을 기억하고 시즌II를 준비하자 85

[Q27] 협상체의 모델은 4자 및 6자회담 등 다자회담의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 된다. 다자간의 논의는 복잡한 국제질서와 해당 국가들의 이해를 반영하고 있는데, 그 기원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87

[Q28] 북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 협상체의 모델과 진행 경로는 어떻게 예상하는가? 89

[Q29] 북미 양자 회담에서는 어떤 의제가 다뤄졌는가? 89

[Q30] 이 의원은 6자회담에서 한국 측 초대 수석대표로 활동했다. '시즌 I'의 6자회담이 주는 시사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여전히 유효한 개념인가? 91

[Q31] 북핵 문제가 25년 이상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94

[Q32] '협상 시즌 II'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95

[Q33] 북한의 핵 개발로 인해 한반도 비핵화 합의가 사문화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우리 정부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어떤 입장을 유지해야 하는가? 100

[Q34]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에 대해 북한은 "잠꼬대 같은 궤변이자 가소로운 망발" 이라며 평가절하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101

[Q35] 2017년 11월 8일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회연설에 대해서 어떻게 평가하는가? 102

[Q36] 트럼프 대통령의 국회연설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102

[Q37] 트럼프 대통령은 왜 북한 인권 문제를 중요하게 다뤘다고 보는가? 103

[Q38] 한미정상회담 공동발표문 중 '한미동맹이 인도·태평양지역의 안보, 안정과 번영을 위한 핵심 축' 이라는 내용이 되었다. 이에 일부 언론은 "아마추어다, 동의하지 않으면 사전 협의 과정에서 걸렀어야 했다"며 우리 외교의 무능을 질타하고 있다. 이 부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104

chapter 6. 〈보론〉 외교는 국익을 향한 무한한 사명감과 창의성이 필요하다 111

[Q39] 우리가 필요로 하는 유능한 외교관은 어떠한 자질이 요구되는가? 114

[Q40] 후배 외교관들에게 해줄 수 있는 조언이 있다면 무엇인가? 114

판권기 116

〈I-1〉 ICBM급 미사일 시험 발사를 바라보는 김정은 17

〈I-2〉 북한의 달라진 미사일 발사 방식 18

〈I-3〉 북한의1~6차 핵 실험 위력 19

〈I-4〉 2017년 7월 이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비교 20

〈I-5〉 북한의 수소탄 개발 경고 : 핵 개발의 종착역 21

〈I-6〉 쿠바 미사일 위기를 뛰어넘을 북핵 위기감(感) 22

〈II-1〉 한반도 안보 위기를 고조시킨 북미 간 말 폭탄 28

〈II-2〉 "문제는 역할분담이다" 32

〈II-3〉 "核무장론은 국제 현실에 무지하거나. 정치적 선동에 불과" 36

〈II-4〉 국정감사장에서 이수혁 의원과 참고인 서균렬 교수(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간 한국의 핵무기 제조 기술 평가에 대한 질의응답 39

〈II-5〉 전술핵과 전략핵의 차이점 44

〈II-6〉 전술핵이란 무엇인가? 45

〈II-7〉 국정감사장에서 이수혁 의원이 조명균 통일부장관에게 '이중결정'의 한반도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질의한 내용 47

〈II-8〉 2006년 이후 유엔 안보리 북핵·미사일 관련 결의안 채택 주요일지 50

〈II-9〉 중국의 대북 송유관 폐쇄(2003년) 여부에 대한 중국대표의 설명 52

〈II-10〉 안보리 결의안 석유수출 제한 조항 52

〈III-1〉 보수 정부 9년 북한 붕괴론 관련 발언 60

〈III-2〉 핵무기의 심리적 용도 63

〈III-3〉 "北 핵 포기 않는다는 토대서 정책 세워야 협상 길 열릴 것" 64

〈III-4〉 "'中은 절대 北안 버려' 가정하고 북핵 접근해야" 66

〈III-5〉 북한의 운명, 중국의 대북정책 그리고 북한의 핵 프로그램 71

〈IV-1〉 협상과 파업 77

〈IV-2〉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이수혁 의원과 이낙연 국무총리 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군사적 조치 관련 질의응답 80

〈IV-3〉 북핵 폐기를 위한 전쟁 :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의 '속편' 81

〈IV-4〉 우리 시대의 평화(Peace for Our Time) 83

〈V-1〉 "남북한 실무급 외교채널 가동" 90

〈V-2〉 "협상테이블 없어 북핵 가속화된 것, 상황 악화 막는 기능해" 92

〈V-3〉 6자회담에서 한국이 제시했던 3단계 해법 94

〈V-4〉 "북핵 해결할 '제네바 북·미회담 시즌2' 열릴 것" 97

〈V-5〉 "지금은 전쟁 아니라 외교 단계...'말 폭탄'은 協商으로 막바지 과정" 98

〈V-6〉 '북한관련 미국 정부 인사의 주요발언' 99

〈V-7〉 군사적 옵션,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에서 제외된 배경 105

〈V-8〉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 중 이수혁 의원과 임성남 외교부 1차관 간 한미정상회담 공동언론발표문 상 트럼프 대통령의 '인도·태평양 구상' 표현과 관련한 질의응답 108

〈VI-1〉 다오위타이(釣魚臺)에서 모인 6자회담 대표 113

〈VI-2〉 "외교는 가능성의 예술이다" 115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6760 328.331 -18-3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6761 328.331 -18-3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6762 328.331 -18-38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