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학교 체육·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 초·중학교를 중심으로 / 연구책임자: 이승미 ; 공동연구자: 이경언, 윤기준, 최성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청구기호
371.19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 478 p. : 삽화, 도표, 서식 ; 26 cm
총서사항
연구보고 ; RRC 2017-7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885947
제어번호
MONO1201813300
주기사항
부록: 1. 교사용 설문지 ; 2. 장학사용 설문지 ; 3. 학생용 설문지 외
참고문헌: p. 418-436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Ⅰ. 서론 2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2

가. 연구의 필요성 22

나. 연구 목적 29

2. 연구 내용 30

가.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의 의의와 연구의 틀 30

나.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실태 및 지원 요구 30

다.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우수 사례 30

라.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31

3. 연구 추진 방법 31

가. 문헌 연구 31

나. 전문가 협의회 31

다. 면담 조사 32

라. 설문 조사 33

마. 델파이 조사 36

바. 워크숍 개최 37

Ⅱ.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정책의 이론적 배경 38

1.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의 의의 39

가.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의 의미 39

나. 학교 체육ㆍ예술 교육에서 지역 연계의 의의 40

2.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분석 틀 43

가.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지원 주체 44

나.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유형 45

Ⅲ.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정책 49

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정책 50

가. 지역 연계 학교체육 정책 50

나.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역 연계 현황 52

다.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제시된 체육과 지역 연계 현황 55

라. 시사점 59

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정책 60

가. 지역 연계 학교 예술교육 정책 60

나. 음악ㆍ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역 연계 현황 66

다.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제시된 음악ㆍ미술과 지역 연계 현황 74

라. 시사점 100

Ⅳ.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및 요구 102

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및 요구 103

가. 설문 조사 결과 103

나. 면담 조사 결과 152

다. 시사점 168

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및 요구 169

가. 설문 조사 결과 169

나. 면담 조사 결과 228

다. 시사점 261

Ⅴ.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269

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270

가. 국내 사례 270

나. 국외 사례 278

다. 시사점 285

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285

가. 국내 사례 285

나. 국외 사례 316

다. 시사점 348

Ⅵ.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350

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351

가. 제도적 연계 352

나. 물적 연계 354

다. 인적 연계 355

라. 정보 연계 356

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358

가. 제도적 연계 363

나. 물적 연계 368

다. 인적 연계 369

라. 정보 연계 369

Ⅶ. 요약 및 정책 제언 373

1. 요약 374

가.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의 이론적 배경 374

나.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정책 375

다.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및 요구 376

라.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379

마.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 382

2. 정책 제언 385

가.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법규의 정비 388

나.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협력 체제 구축 406

다. 교육과정 중심의 지역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 417

라. 지역과 학교의 소통 활성화 425

참고문헌 431

ABSTRACT 450

[부록 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의견 조사 설문지(중학교 교사용) 457

[부록 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의견 조사 설문지(교육지원청 예술담당 장학사용) 467

[부록 3] 학교 예술교육에 대한 의견 조사 설문지(중학생용) 477

[부록 4] 2차 델파이 조사지 481

판권기 2

〈표 Ⅰ-3-1〉 국외 면담 조사 대상 국가의 선정 이유 및 주요 방문지 32

〈표 Ⅰ-3-2〉 교사/장학사 대상 설문 문항 구성 33

〈표 Ⅰ-3-3〉 학생 대상 설문 문항 구성 34

〈표 Ⅰ-3-4〉 설문 대상자 35

〈표 Ⅰ-3-5〉 설문 응답자수 35

〈표 Ⅰ-3-6〉 설문 일정 36

〈표 Ⅰ-3-7〉 델파이 조사 연구 일정 37

〈표 Ⅰ-3-8〉 워크숍 내용 37

〈표 Ⅱ-2-1〉 델파이 조사 대상 43

〈표 Ⅱ-2-2〉 델파이 문항 구성 43

〈표 Ⅱ-2-3〉 델파이 조사 결과(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지원 주체) 45

〈표 Ⅱ-2-4〉 델파이 조사 결과(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유형과 그 하위 항목) 46

〈표 Ⅱ-2-5〉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분석 틀 47

〈표 Ⅱ-2-6〉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구 48

〈표 Ⅲ-1-1〉 2009 개정, 2015 개정 초ㆍ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53

〈표 Ⅲ-1-2〉 2009 개정,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55

〈표 Ⅲ-2-1〉 문화 및 예술교육 관련 법령에서 '문화', '문화예술', '예술' 용어의 정의 64

〈표 Ⅲ-2-2〉 시ㆍ도 및 시ㆍ도 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진흥) 조례 제정 현황 65

〈표 Ⅲ-2-3〉 2009 개정, 2015 개정 초ㆍ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66

〈표 Ⅲ-2-4〉 2009 개정, 2015 개정 초ㆍ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69

〈표 Ⅲ-2-5〉 2009 개정,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74

〈표 Ⅲ-2-6〉 2009 개정,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서 지역 연계 관련 내용 84

〈표 Ⅳ-1-1〉 설문 응답 현황(학교체육) 103

〈표 Ⅳ-1-2〉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교사용/장학사용 설문 구성 내용 103

〈표 Ⅳ-1-3〉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학생 대상 설문 문항 구성 내용 104

〈표 Ⅳ-1-4〉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한 인식 여부 105

〈표 Ⅳ-1-5〉 학교체육에서 법/제도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05

〈표 Ⅳ-1-6〉 학교체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06

〈표 Ⅳ-1-7〉 학교체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06

〈표 Ⅳ-1-8〉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 인지 여부 107

〈표 Ⅳ-1-9〉 학교체육에서 인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07

〈표 Ⅳ-1-10〉 학교체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08

〈표 Ⅳ-1-11〉 학교체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08

〈표 Ⅳ-1-12〉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방법의 효과성 인식 정도 108

〈표 Ⅳ-1-13〉 학교체육에서 인적 지원 효과성 인식 정도 109

〈표 Ⅳ-1-14〉 학교체육에서 물적 지원 효과성 인식 정도 109

〈표 Ⅳ-1-15〉 학교체육에서 정보 지원 효과성 인식 정도 110

〈표 Ⅳ-1-16〉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영역의 효과성 인식 정도 110

〈표 Ⅳ-1-17〉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체육동아리의 효과성 인식 정도 111

〈표 Ⅳ-1-18〉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1

〈표 Ⅳ-1-19〉 정과 체육 수업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1

〈표 Ⅳ-1-20〉 정과 체육 수업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2

〈표 Ⅳ-1-21〉 창의적 체험활동 내 체육동아리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2

〈표 Ⅳ-1-22〉 창의적 체험활동 내 체육동아리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3

〈표 Ⅳ-1-23〉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3

〈표 Ⅳ-1-24〉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4

〈표 Ⅳ-1-25〉 방과후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4

〈표 Ⅳ-1-26〉 방과후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5

〈표 Ⅳ-1-27〉 자유학기제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5

〈표 Ⅳ-1-28〉 자유학기제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6

〈표 Ⅳ-1-29〉 토요스포츠데이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16

〈표 Ⅳ-1-30〉 토요스포츠데이에서 지역 연계 활용 방법(복수응답) 117

〈표 Ⅳ-1-3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를 활용할 때 어려운 점 117

〈표 Ⅳ-1-32〉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를 위한 교육 활동 시간의 부족 119

〈표 Ⅳ-1-33〉 학교체육에서 안전사고 및 관리에 대한 우려⑴(학교 밖으로의 이동 등) 119

〈표 Ⅳ-1-34〉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용 자원에 관한 정보 부재 119

〈표 Ⅳ-1-35〉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용하지 않는 이유 120

〈표 Ⅳ-1-36〉 안전사고 및 관리에 대한 우려⑵(학교 밖으로의 이동 등) 121

〈표 Ⅳ-1-37〉 활용 가능한 지역의 체육 전문가(강사 등) 부족 121

〈표 Ⅳ-1-38〉 학생의 흥미와 관심 부족 122

〈표 Ⅳ-1-39〉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필요성 인식 여부 122

〈표 Ⅳ-1-40〉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의 필요 이유 123

〈표 Ⅳ-1-4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법별 요구 정도 124

〈표 Ⅳ-1-42〉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조례에서 지역 연계 활용 내용 명시 125

〈표 Ⅳ-1-43〉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지역 연계 활용 내용 명시 125

〈표 Ⅳ-1-44〉 시ㆍ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교육과정 지침에서 지역 연계 활용 내용 명시 126

〈표 Ⅳ-1-45〉 지원 주체별 요구사항(주관식, 복수응답) 126

〈표 Ⅳ-1-46〉 학교 밖에서 오신 체육 선생님에게 배운 경험 128

〈표 Ⅳ-1-47〉 학교 밖에서 오신 체육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128

〈표 Ⅳ-1-48〉 학교 밖에서 오신 체육 선생님의 수업에의 만족도 129

〈표 Ⅳ-1-49〉 학교 밖에서 오신 체육 선생님의 수업에의 만족 이유 129

〈표 Ⅳ-1-50〉 학교 밖에서 오신 체육 선생님의 수업에의 불만족 이유 130

〈표 Ⅳ-1-51〉 학교체육수업에서의 학교 밖 시설 이용 경험 131

〈표 Ⅳ-1-52〉 학교 밖의 시설을 이용한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131

〈표 Ⅳ-1-53〉 학교 밖에서 참여한 체육수업에의 만족도 131

〈표 Ⅳ-1-54〉 학교 밖에서 참여한 체육수업에의 만족 이유 132

〈표 Ⅳ-1-55〉 학교 밖에서 참여한 체육수업에의 불만족 이유 132

〈표 Ⅳ-1-56〉 교내 활동 중 학교 밖 체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133

〈표 Ⅳ-1-57〉 학교 밖 체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133

〈표 Ⅳ-1-58〉 학교 밖 체육 프로그램 참여의 만족도 134

〈표 Ⅳ-1-59〉 학교 밖 체육 프로그램 참여에의 만족 이유 134

〈표 Ⅳ-1-60〉 학교 밖 체육 프로그램 참여에의 불만족 이유 135

〈표 Ⅳ-1-61〉 학교 밖 체육수업을 위해 가고 싶은 곳(주관식, 복수응답) 136

〈표 Ⅳ-1-62〉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 137

〈표 Ⅳ-1-63〉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해 알게 된 경로 137

〈표 Ⅳ-1-64〉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인식 정도 137

〈표 Ⅳ-1-65〉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해 알게 된 경로 138

〈표 Ⅳ-1-66〉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육전문가에 대한 인식 정도 138

〈표 Ⅳ-1-67〉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육전문가에 대해 알게 된 경로 138

〈표 Ⅳ-1-68〉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정도 139

〈표 Ⅳ-1-69〉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육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된 경로 139

〈표 Ⅳ-1-70〉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각 지역 연계 방식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 140

〈표 Ⅳ-1-71〉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체육 전문가 활용 방식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 140

〈표 Ⅳ-1-72〉 학교체육의 발전에 대한 영역별 지역 연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 141

〈표 Ⅳ-1-73〉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 파악 여부 141

〈표 Ⅳ-1-74〉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 파악 방법 141

〈표 Ⅳ-1-75〉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이유 142

〈표 Ⅳ-1-76〉 2017년 학교체육지역협의체 운영 계획의 구체적 수립 여부 142

〈표 Ⅳ-1-77〉 학교체육지역협의체의 다양한 인적 자원으로의 구성 여부 143

〈표 Ⅳ-1-78〉 학교체육지역협의체 구성원의 소속 기관(복수응답) 143

〈표 Ⅳ-1-79〉 학교체육지역협의체가 다양한 인적 자원으로 구성되지 못한 이유 143

〈표 Ⅳ-1-80〉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 활성화 계획 수립 여부 144

〈표 Ⅳ-1-81〉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 지원을 위한 활용방법(복수응답) 144

〈표 Ⅳ-1-82〉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의 필요성 인식 여부 145

〈표 Ⅳ-1-83〉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가 필요한 이유 145

〈표 Ⅳ-1-84〉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가 필요한 이유(다양한 지역 연계 활동을 통해 학교체육의 내실화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146

〈표 Ⅳ-1-85〉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가 필요한 이유(학생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 및 애향심 함양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146

〈표 Ⅳ-1-86〉 학교체육에서의 지역 연계가 필요한 이유(지역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의 체육 관련 기관 역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147

〈표 Ⅳ-1-87〉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 148

〈표 Ⅳ-1-88〉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지역 연계 활용 내용 명시) 149

〈표 Ⅳ-1-89〉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학교교육계획서에 지역 연계 활용 내용 명시) 149

〈표 Ⅳ-1-90〉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지역의 체육 전문가 인력풀 정보 제공) 150

〈표 Ⅳ-1-9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지역의 체육 전문가 제공) 150

〈표 Ⅳ-1-92〉 학교체육에서 지원 주체별 요구사항(주관식, 복수응답) 151

〈표 Ⅳ-1-93〉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관련 면담 대상자 152

〈표 Ⅳ-1-94〉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관련 면담 내용 152

〈표 Ⅳ-2-1〉 설문 응답 현황(학교 예술교육) 170

〈표 Ⅳ-2-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교사용/장학사용 설문 구성 내용 170

〈표 Ⅳ-2-3〉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에 대한 학생 대상 설문 문항 구성 내용 171

〈표 Ⅳ-2-4〉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 172

〈표 Ⅳ-2-5〉 학교 음악교육에서 법, 제도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72

〈표 Ⅳ-2-6〉 학교 음악교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72

〈표 Ⅳ-2-7〉 학교 음악교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73

〈표 Ⅳ-2-8〉 학교 음악교육에서 인적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73

〈표 Ⅳ-2-9〉 학교 음악교육에서 인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74

〈표 Ⅳ-2-10〉 학교 음악교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74

〈표 Ⅳ-2-11〉 학교 음악교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74

〈표 Ⅳ-2-12〉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방법의 효과성 인식 정도 175

〈표 Ⅳ-2-13〉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영역의 효과성 인식 정도(초등학교) 176

〈표 Ⅳ-2-14〉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영역의 효과성 인식 정도(중학교) 176

〈표 Ⅳ-2-15〉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76

〈표 Ⅳ-2-16〉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이루어지는 영역(복수응답)-초등 177

〈표 Ⅳ-2-17〉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이루어지는 영역(복수응답)-중학교 177

〈표 Ⅳ-2-18〉 학교 음악교육에서 영역별로 지역 연계를 위해 활용한 방법(복수응답)-초등 178

〈표 Ⅳ-2-19〉 학교 음악교육에서 영역별로 지역 연계를 위해 활용한 방법(복수응답)-중학교 178

〈표 Ⅳ-2-20〉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를 활용할 때 어려운 점 179

〈표 Ⅳ-2-21〉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180

〈표 Ⅳ-2-22〉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필요성 인식 여부 181

〈표 Ⅳ-2-23〉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182

〈표 Ⅳ-2-24〉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법별 요구 정도 183

〈표 Ⅳ-2-25〉 학교 음악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주체별 요구(주관식, 복수응답) 185

〈표 Ⅳ-2-26〉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 187

〈표 Ⅳ-2-27〉 학교 미술교육에서 법, 제도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87

〈표 Ⅳ-2-28〉 학교 미술교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87

〈표 Ⅳ-2-29〉 학교 미술교육에서 물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88

〈표 Ⅳ-2-30〉 학교 미술교육에서 인적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88

〈표 Ⅳ-2-31〉 학교 미술교육에서 인적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88

〈표 Ⅳ-2-32〉 학교 미술교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한 인식 정도 189

〈표 Ⅳ-2-33〉 학교 미술교육에서 정보 지원에 대해 알게 된 방법 189

〈표 Ⅳ-2-34〉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방법의 효과성 인식 정도 190

〈표 Ⅳ-2-35〉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영역의 효과성 인식 정도 190

〈표 Ⅳ-2-36〉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용 여부 191

〈표 Ⅳ-2-37〉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이루어지는 영역(복수응답) 192

〈표 Ⅳ-2-38〉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이루어지는 영역(복수응답) 192

〈표 Ⅳ-2-39〉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영역별로 지역 연계를 위해 활용한 방법(복수응답) 193

〈표 Ⅳ-2-40〉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영역별로 지역 연계를 위해 활용한 방법(복수응답) 194

〈표 Ⅳ-2-41〉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를 활용할 때 어려운 점 195

〈표 Ⅳ-2-42〉 지역 연계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196

〈표 Ⅳ-2-43〉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필요성 인식 여부 197

〈표 Ⅳ-2-44〉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198

〈표 Ⅳ-2-45〉 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법별 요구 정도 200

〈표 Ⅳ-2-46〉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주체별 지원 요구 사항(복수응답가능) 203

〈표 Ⅳ-2-47〉 학교의 음악, 미술 수업에서 학교 밖에서 오신 선생님에게 배운 경험 여부 206

〈표 Ⅳ-2-48〉 학교 밖에서 오신 음악이나 미술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206

〈표 Ⅳ-2-49〉 학교 밖에서 오신 음악이나 미술 선생님의 수업 만족도 207

〈표 Ⅳ-2-50〉 학교 밖에서 오신 음악이나 미술 선생님의 수업에의 만족 이유 207

〈표 Ⅳ-2-51〉 학교 밖에서 오신 음악이나 미술 선생님의 수업에의 불만족 이유 208

〈표 Ⅳ-2-52〉 학교 음악, 미술 수업에서 학교 밖 문화시설 이용 경험 208

〈표 Ⅳ-2-53〉 학교 밖 문화시설을 이용한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209

〈표 Ⅳ-2-54〉 학교 밖의 문화시설을 이용한 수업에의 만족도 209

〈표 Ⅳ-2-55〉 학교 밖 문화시설을 이용한 수업에의 만족 이유 210

〈표 Ⅳ-2-56〉 학교 밖 문화시설을 이용한 수업에 만족에의 불만족 이유 210

〈표 Ⅳ-2-57〉 학교 밖의 예술 관련 프로그램 참여 경험 211

〈표 Ⅳ-2-58〉 학교 밖 예술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업의 종류(복수응답) 211

〈표 Ⅳ-2-59〉 학교 밖 예술 관련 프로그램에의 만족도 211

〈표 Ⅳ-2-60〉 학교 밖의 예술 관련 프로그램에의 만족 이유 212

〈표 Ⅳ-2-61〉 학교 밖의 예술 관련 프로그램에의 불만족 이유 212

〈표 Ⅳ-2-62〉 학교 밖 음악, 미술 수업을 위해 가고 싶은 곳(주관식, 복수응답) 213

〈표 Ⅳ-2-63〉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한 인식 정도 215

〈표 Ⅳ-2-64〉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를 지원하는 법, 제도에 대해 알게 된 방법 216

〈표 Ⅳ-2-65〉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한 인식 정도 216

〈표 Ⅳ-2-66〉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기자재에 대해 알게 된 방법 216

〈표 Ⅳ-2-67〉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 전문가에 대한 인식 정도 217

〈표 Ⅳ-2-68〉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 전문가에 대해 알게 된 경로 217

〈표 Ⅳ-2-69〉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정도 217

〈표 Ⅳ-2-70〉 학교 예술교육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된 방법 218

〈표 Ⅳ-2-71〉 학교 예술교육의 발전을 위한 각 지역 연계 방식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 218

〈표 Ⅳ-2-72〉 학교 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영역별 효과성에 대한 인식 정도 219

〈표 Ⅳ-2-73〉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 파악 여부 219

〈표 Ⅳ-2-74〉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 파악 방법(복수응답) 219

〈표 Ⅳ-2-75〉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는 이유 220

〈표 Ⅳ-2-76〉 2017년 지역예술교육협의체 운영 계획의 구체적 수립 여부 220

〈표 Ⅳ-2-77〉 지역예술교육협의체의 다양한 인적 자원으로의 구성 여부 221

〈표 Ⅳ-2-78〉 지역예술교육협의체 구성원의 소속 기관(복수응답) 221

〈표 Ⅳ-2-79〉 지역 예술 교육협의체가 다양한 인적 자원으로 구성되지 못한 이유 221

〈표 Ⅳ-2-80〉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계획 수립 여부 222

〈표 Ⅳ-2-81〉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지역 연계 지원을 위한 활용 방법(복수응답) 222

〈표 Ⅳ-2-8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필요성 인식 여부 223

〈표 Ⅳ-2-83〉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가 필요한 이유 223

〈표 Ⅳ-2-84〉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법별 요구 정도 224

〈표 Ⅳ-2-85〉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법별 요구 정도(지역 연계를 위한 예산 지원) 225

〈표 Ⅳ-2-86〉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법별 요구 정도(지역 연계 프로그램 정보 제공) 226

〈표 Ⅳ-2-87〉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주체별 요구(주관식, 복수응답) 227

〈표 Ⅳ-2-88〉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관련 면담 대상자 228

〈표 Ⅳ-2-89〉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관련 면담 내용 229

〈표 Ⅴ-1-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대상 학교 및 교육지원청 270

〈표 Ⅴ-2-1〉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면담 대상 및 운영 성과 285

〈표 Ⅴ-2-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우수 사례 면담 내용 286

〈표 Ⅴ-2-3〉 지역 문화행사에서의 대취타 공연 사례 290

〈표 Ⅴ-2-4〉 학부모와 지역주민 대상 평생교육 프로그램 사례 295

〈표 Ⅴ-2-5〉 1학년 교육과정 재구성 운영 내용 298

〈표 Ⅴ-2-6〉 교육지원청의 지역예술교육협의체 운영 사례 314

〈표 Ⅴ-2-7〉 요코하마예술문화교육플랫폼 사무국의 '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교의 수 337

〈표 Ⅴ-2-8〉 요코하마예술문화교육플랫폼 사무국의 '학교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유형별 참여 학교의 수 337

〈표 Ⅴ-2-9〉 요코하마예술문화교육플랫폼의 '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코디네이터의 수 344

〈표 Ⅴ-2-10〉 요코하마예술문화교육플랫폼의 '학교 프로그램'의 희망조사 기입 사례 345

〈표 Ⅴ-2-11〉 학교 지역 코디네이터 양상강좌 배치교 대비 양성인수 348

〈표 Ⅵ-1-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51

〈표 Ⅵ-2-1〉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실태, 문제점 및 개선 방안 358

〈표 Ⅶ-2-1〉 학교체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따른 정책 방안 385

〈표 Ⅶ-2-2〉 학교 예술교육에서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따른 정책 방안 386

〈표 Ⅶ-2-3〉 「초ㆍ중등교육법」 개정(안) 390

〈표 Ⅶ-2-4〉 「지방자치법」 개정(안) 391

〈표 Ⅶ-2-5〉 학교 시설 및 설비 관리 및 개방과 관련한 조례 및 지침 개정(안) 392

〈표 Ⅶ-2-6〉 「학교체육진흥법」 개정(안) 394

〈표 Ⅶ-2-7〉 문화기본법 개정(안) 395

〈표 Ⅶ-2-8〉 지역문화진흥법 개정(안) 396

〈표 Ⅶ-2-9〉 문화예술진흥법 개정(안) 396

〈표 Ⅶ-2-10〉 문화예술교육지원법 개정(안) 397

〈표 Ⅶ-2-11〉 시ㆍ도 문화예술교육 지원(진흥) 조래 개ㆍ제정(안) 398

〈표 Ⅶ-2-12〉 시ㆍ도 교육청 문화예술교육 지원(진흥) 조래 개ㆍ제정(안) 399

〈표 Ⅶ-2-13〉 국가 교육과정 총론에서 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과 국가 및 교육청 수준의 지원 개정(안) 401

〈표 Ⅶ-2-14〉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지역 연계 내용 구체화(안) 402

〈표 Ⅶ-2-15〉 국가 수준 음악과 교육과정의 지역 연계 내용 구체화(안) 403

〈표 Ⅶ-2-16〉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음악과 지역 연계 내용 구체화(안) 404

〈표 Ⅶ-2-17〉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역 연계 내용 구체화(안) 405

〈표 Ⅶ-2-18〉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미술과 지역 연계 내용 구체화(안) 406

〈표 Ⅶ-2-19〉 지역예술교육협의체의 구성ㆍ운영 방안 414

〈표 Ⅶ-2-20〉 코디네이터 제도의 유형(안) 416

〈표 Ⅶ-2-21〉 코디네이터의 육성 및 질 관리(안) 416

〈표 Ⅶ-2-22〉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모델 활용 시 고려 사항 419

〈표 Ⅶ-2-23〉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제고를 위한 연수 지원 프로그램(안) 424

〈표 Ⅶ-2-24〉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홍보 대상과 홍보 내용 427

[그림 Ⅴ-1-1] 예술강사를 활용한 무용 수업 275

[그림 Ⅴ-1-2] E 교육지원청의 학교체육지역협의체 운영 276

[그림 Ⅴ-1-3] F 교육지원청의 스포츠 자원 지도 277

[그림 Ⅴ-1-4] 일본 세타가야 구의 커뮤니티 스쿨 280

[그림 Ⅴ-1-5] 일본 세타가야 중학교의 수영 수업 282

[그림 Ⅴ-2-1] 융합 프로그램 사례 296

[그림 Ⅴ-2-2] 업무추진체계 314

[그림 Ⅴ-2-3] Sachenwald 초등학교의 훈데르트 바서 프로젝트 결과물 320

[그림 Ⅴ-2-4] 독일의 학교 안팎의 예술교육 연계 현황 325

[그림 Ⅴ-2-5] 스미래가오카 초등학교의 캐릭터 비오라 활용 335

[그림 Ⅴ-2-6] 일본 초등학교의 학교 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사례 339

[그림 Ⅴ-2-7] 학교지원지역본부 활동 구도 343

[그림 Ⅴ-2-8] '학교 프로그램' 관련 학교, 코디네이터, 예술가의 역할 관계도 347

[그림 Ⅶ-2-1] 학교 체육ㆍ예술교육의 지역 연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387

[그림 Ⅶ-2-2]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심 협력 모델 410

[그림 Ⅶ-2-3] 교육지원청ㆍ문화재단 중심 협력 모델 411

[그림 Ⅶ-2-4] 지역예술교육협의체 모형(안) 414

[그림 Ⅶ-2-5] 교육지원청 중심 학교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모델 421

[그림 Ⅶ-2-6] 기초 지방자치단체 중심 교육지원청, 학교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모델 423

[그림 Ⅶ-2-7] 지역 축제 운영 모델(학생 참여형과 학생 주도형) 430

[그림 1] 연구 틀(안) 48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7865 371.19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7866 371.19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