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친환경자재 적용 확대 및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글로벌화를 위한 인증기준 개선 연구 [전자자료]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303
제어번호
MONO1201813381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채창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 1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분석 15

1.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 16

2.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17

제3장 재료 및 자원 분야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20

1. G-SEED 2016 재료 및 자원의 개요 21

1.1.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재료 및 자원 21

1.2. G-SEED 2016 재료 및 자원 평가 항목의 의의 22

1.3. G-SEED 2016 재료 및 자원의 현황 검토 방향 25

2. 국내외 녹색건축인증의 재료 및 자원 분야 운영 현황 26

2.1. 국내외 재료 및 자원 인증항목 검토 26

2.2.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기준 재료 및 자원 항목 비교 36

3. G-SEED 2016 재료 및 자원 운영 현황 37

3.1. G-SEED 2016 인증 취득 현황 37

3.2. G-SEED 2016 재료 및 자원 항목 취득 현황 38

3.3. 녹색건축인증 등급과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41

4. 소결 42

5. 녹색인증 확대방안 검토 44

5.1.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사용 인증분야 확대 44

5.2. 저탄소 콘크리트 인증분야 확대 57

5.3. 녹색 및 저탄소 콘크리트 G-SEED 인증 75

5.4. 소결 78

제4장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 81

1. 국내ㆍ외 건축물에너지 및 환경오염 인증제도 현황 83

1.1. 국내 건축물에너지 현황 83

1.2. 국내 녹색건축인증의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현황 84

1.3. 국외 녹색건축인증의 에너지 분야 현황 86

2.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개선방향 93

2.1.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의 방향성 93

2.2.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개선안 검토 96

2.3. '2.1 에너지 성능'에서 동적 건축물 에너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개선(안) 125

3. 소결 130

제5장 물순환관리 분야 현황 분석 및 개선방향 131

1. 수자원 이용 및 인증제도 현황 132

1.1. 수자원 이용현황 132

1.2. 녹색건축 인증제도 현황 133

1.3. 물 사용량관련 문헌조사 139

2. 절수형기기 관련 법규 및 제도 142

2.1. 절수형기기 관련 국내 법규 및 기준 142

2.2. 절수형기기 관련 해외 기준 148

2.3. 절수형기기 관련 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152

3. 절수형기기 사용량 산출 기준 고찰 157

3.1. 설계기준에 따른 물사용기기 산출방안 검토 157

3.2. 건축물 이용자 수에 의한 산출방안 검토 159

3.3. 건축물 사례검토 162

4. 절수형기기 사용 인증항목 개선방안 검토 167

4.1. 절수형기기 사용 인증항목 개선방안 검토 167

4.2. 절수형기기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170

제6장 녹색건축 인증제도 글로벌화를 위한 인증기준 개선안 제시 175

1. 재료 및 자원 분야 인증평가기준(안) 제시 177

1.1. 환경성선언 제품의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177

1.2. 저탄소 자재의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179

1.3. 자원순환 자재의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180

1.4. 유해물질 저감 자재의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181

1.5.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비율 인증항목 개선(안) 182

1.6. 신규항목제안 : 순환골재의 사용 184

2.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인증평가기준(안) 제시 186

2.1. 에너지성능 인증항목 개정(안) : 주거용 건축물 186

2.2. 에너지성능 인증항목 개정(안) : 비주거용 건축물 189

3. 물순환관리 분야 인증평가기준(안) 제시 191

3.1. 물순환관리 인증항목 개정(안) : 주거용 건축물 191

3.2/3.1. 물순환관리 인증항목 개정(안) : 비주거용 건축물 193

제7장 결론 195

참고문헌 199

[부록 1] 환경표지 인증기준 저탄소 콘크리트 202

머리말 207

1. 적용 범위 208

2. 인용 표준 208

3. 용어와 정의 208

3.1. 저탄소 콘크리트 208

3.2. 콘크리트 혼화재료 208

3.3. 플라이 애시 208

3.4. 고로 슬래그 미분말 208

4. 환경 관련 기준 209

4.1. 플라이 애시 209

4.2. 고로슬래그 미분말 시멘트 209

4.3. 자원 재활용의 계산 210

5. 품질 관련 기준 210

5.1. 시멘트 골재 및 기타 첨가제 210

5.2. 저탄소 콘크리트 재료 210

5.3. 저탄소 콘크리트 종류 및 품질 211

6. 소비자 정보 211

7. 검증방법 및 시험방법 211

7.1. 일반사항 211

7.2. 검증방법 211

8. 인증사유 212

공통기준 213

인증기준에 따른 검증 방법 214

[붙임] 해설 215

[부록 2] 녹색건축 인증기준 순환골재의 사용 해설서 228

[부록 3] 국내 표준건축물 모델링 가이드라인 241

A1.1. 서론 244

A1.1.1. 배경 및 필요성 244

A1.1.2. 목적 245

A1.1.3. 범위 및 대상 245

A1.1.4. 용어 정의 246

A1.2. 동적 건축물 에너지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및 기상파일 248

A1.2.1. 동적 건축물 에너지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선정 248

A1.2.2. 동적 건축물 에너지시뮬레이션 표준 기상파일 249

A1.3. 표준건축물 모델링 지침 251

A1.3.1. 표준건축물 모델링 251

A1.3.2. 표준건축물 운전스케줄 258

A1.4. 제출서류 300

A1.5. 참고문헌 301

판권기 303

[표 3.1] G-SEED 재료 및 자원 항목 구성 26

[표 3.2] G-SEED 재료 및 자원 인증항목 26

[표 3.3] BREEAM 재료 및 자원 항목 구성 29

[표 3.4] BREEAM 재료 및 자원 인증항목 29

[표 3.5] LEED 재료 및 자원 항목 구성 31

[표 3.6] LEED 재료 및 자원 인증 31

[표 3.7]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기준 재료 및 자원 항목 구성 및 비교 36

[표 3.8] G-SEED 2016 인증취득 현황 37

[표 3.9] G-SEED 2016 재료 및 자원 항목 인증 취득 현황 39

[표 3.10] 3.5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비율 항목 사례 검토 40

[표 3.11] 녹색건축인증 등급과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현황 41

[표 3.12] 14년 재활용 용도별 순환골재 판매량 현 44

[표 3.13] 2015년도 골재원별 공급비 45

[표 3.14]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품질기준 (KS F 2573) 47

[표 3.15] 순환골재 사용방법 및 적용 가능 부위(현행) 48

[표 3.16] 25-24-12 설계강도 콘크리트배합표의 예 50

[표 3.17] 순환골재의 품질 51

[표 3.18] 순환골재의 품질 52

[표 3.19] 콘크리트용 골재 사용현황 53

[표 3.20] 순환골재 사용비율 54

[표 3.21] 순환골재 사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56

[표 3.22] 순환골재 사용비율 57

[표 3.23] 포틀랜드 시멘트 중의 주요 화합 물량 57

[표 3.24] KS L 5405 플라이애시 품질 기준 60

[표 3.25] KS L 5211 플라이애시 시멘트의 종류 및 기준 61

[표 3.26] KS L 5211 플라이애시 시멘트 품질 기준 61

[표 3.27] KS L 2563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품질 63

[표 3.28] KS L 5210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종류 및 기준 63

[표 3.29]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품질 기준 64

[표 3.30] 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 사용 환경마크 인증 표준현황 70

[표 3.31] 결합재 50% 이상 치환 삼성분계 콘크리트 사용현황 71

[표 3.32] 저탄소 콘크리트적용에 따른 CO₂ 저감 효과 72

[표 3.33] 국내 년도별 온실가스 배출 저감 목표 72

[표 3.34] 저탄소 콘크리트적용에 따른 CO₂ 예상 감축량 73

[표 3.35] 설계강도별 결합재 사용량 범위 73

[표 3.36] 콘크리트 가격 결정 구조 74

[표 3.37] 저탄소 콘크리트적용에 따른 경제적 획득 효과 74

[표 3.38] G-SEED 연계 방식 비교 75

[표 3.39] G-SEED 인증 연계를 위한 순환골재 및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시 인증 구분 76

[표 3.40] EL 746 규정의 개정 사항 77

[표 3.41] EL 746 규정의 개정 사항 78

[표 4.1] 신축 주거용 건축물의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평가방법 84

[표 4.2] 신축 비주거용 건축물의 에너지 및 환경오염 분야 평가방법 85

[표 4.3] 국외 녹색건축인증의 '2.1 에너지 성능'에 해당하는 인증항목 86

[표 4.4] 미국의 LEED 에너지 분야 인증항목 및 평가방법 87

[표 4.5] 영국의 BREEAM International 에너지 분야 인증항목 및 평가방법 88

[표 4.6] 싱가폴의 Green Mark 에너지 분야 인증항목 및 평가방법 89

[표 4.7] 카타르의 GSAS 에너지 분야 인증항목 및 평가방법 90

[표 4.8] 국내ㆍ외 녹색건축인증 에너지성능의 평가방법 비교 91

[표 4.9] 국내ㆍ외 건축물 에너지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표준건축물 모델링 관련 문헌자료 목록 95

[표 4.10] 표준건축물 모델링을 위한 국내 법규 및 국외 가이드라인 목록 96

[표 4.11] 표준건축물의 창호 지침내용 비교 100

[표 4.12] (Deru et al., 2011)의 Table 4: Occupancy by space type 105

[표 4.13] ASHRAE Handbook: Fundaamentals(2001)의 Table 6.3: Typical rates at which heat is given off by human beings in different states of activity 107

[표 4.14] Table 6.2: Benchmark allowances for internal heat gains in typical buildings 108

[표 4.15] (Deru et al., 2011) Table 6: Outside air requirements 109

[표 4.16] Hot water consumption per occupant 110

[표 4.17] 20개 실 용도별 운전스케줄 작성을 위한 근거 정리 110

[표 4.18] '2.1 에너지 성능' 개선안 (신축 주거용) 125

[표 4.19] '2.1 에너지 성능' 개선안 (신축 비주거용) 128

[표 5.1] 상수도 운영현황 132

[표 5.2] 물순환관리 분야 '절수형기기' 평가방법(신축주거용 건축물) 134

[표 5.3] 물순환관리 분야 '절수형기기' 평가방법(신축비주거용 건축물) 135

[표 5.4] 절수형기기 배정 136

[표 5.5] 산출기준 변화(주거용건축물) 137

[표 5.6] 물 사용량 및 물 소비량의 연구 현황 139

[표 5.7] 물 절약 연구 현황 140

[표 5.8] 위생기구 연구현황 141

[표 5.9] 수도법 절수설비 관련 기준 143

[표 5.10] 최대 토수유량 기준 144

[표 5.11] 총 사용수량 기준 145

[표 5.12] 물소비량 146

[표 5.13] 절수등급 표시 146

[표 5.14] 물 소비량 기준 146

[표 5.15] 절수등급 표시 147

[표 5.16] 물 소비량 기준 147

[표 5.17] 절수등급 표시 147

[표 5.18] 해외 물 표시제 및 등급제 운영현황 148

[표 5.19] 물순환 관리 분야 평가항목 152

[표 5.20] 물사용 기기별 기준(Baseline) 154

[표 5.21] 물사용량 기준(Baseline) : 비주거 154

[표 5.22] 물사용량 기준(Baseline) : 주거 155

[표 5.23] 물사용 기기별 기준(Baseline) 156

[표 5.24] 기기 유형별 물 효율 소비량 레벨 156

[표 5.25] 건축용도별 대상인원 계산 157

[표 5.26] 건축물용도별 대상인원 위생기구 계산 158

[표 5.27] LEED 건물유형별 거주자 밀도 159

[표 5.28] BREEAM 건물유형별 거주자 밀도 160

[표 5.29] 피난규정별 재실자 밀도 161

[표 5.30] 기준별 건축물 사용자 수 검토 163

[표 5.31] 물 사용 기기별 용량 및 개수 163

[표 5.32] 물 사용량 기준(Baseline) 163

[표 5.33] 물 사용량 계획(Design) 164

[표 5.34] 물 사용 기기별 용량 및 개수 165

[표 5.35] 물 사용량 기준(Baseline) 165

[표 5.36] 물 사용량 계획(Design) 166

[표 5.37] 검토대상 녹색건축 인증취득 건축물 167

[표 5.38] 절수형 기기 기준별 사용량 비교 168

[표 5.39] 엄무용건축물 물 사용 절감률 169

[표 5.40] 공동주택 물 사용 절감률 169

[표 5.41] 절수형기기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신축 주거용) 171

[표 5.42] 절수형기기 사용 인증항목 개선안 (신축 비주거용) 173

[표 6.1] 분야별 녹색건축 인증항목 개선안 제안 항목 176

[그림 1.1] 연구의 목표 13

[그림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그림 2.1] 녹색건축인증 건축물 16

[그림 2.2] 국가별 녹색건축 인증제도 17

[그림 3.1] G-SEED 2016 재료 및 자원 항목의 변화(주거용 건축물) 22

[그림 3.2] 환경성선언(EPD)의 목적 및 구성 22

[그림 3.3] 저탄소 자재의 사용 항목의 목적 및 구성 23

[그림 3.4] 자원순환 자재의 사용 항목의 목적 및 구성 23

[그림 3.5] 유해물질 저감 자재의 사용 항목의 목적 및 구성 24

[그림 3.6]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비율 항목의 목적 및 구성 24

[그림 3.7] G-SEED 2016 녹색건축자재의 적용 개요 42

[그림 3.8] 녹색건축자재의 점진적 확대 방안 43

[그림 3.9] 해사 채취에 따른 생태계파괴 및 민원 46

[그림 3.10] 석산개발에 따른 환경파괴 및 민원 46

[그림 3.11] 시범사업 현황 48

[그림 3.12] 시범사업 진행현황 49

[그림 3.13] 콘크리트 설계강도별 출하비율 50

[그림 3.14] 순환골재 생산 시설 분포현황도 (40㎞ 기준) 55

[그림 3.15] 석회석 광산 및 시멘트 생산 플랜트 58

[그림 3.16]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 점유율 58

[그림 3.17] 국내 건설수주현황(원문불량) 59

[그림 3.18] 국내 플라이애시 발생 및 재활용 현황 65

[그림 3.19] 국내 플라이애시 발생 및 재활용 현황 65

[그림 3.20] 플라이애시 및 슬래그 미분말의 콘크리트 활용 66

[그림 3.21] 항만공사, 도로공사 예시 66

[그림 3.22] 댐, 교각 공사 예시 67

[그림 3.23] 지반공사, 터널공사 예시 67

[그림 3.24] 혼화재료 사용에 따른 응결시간 비교 68

[그림 3.25] 결합재 330kg/㎥ 재령에 따른 배합별 압축강도 발현 비교 68

[그림 3.26] 레미콘 및 플라이애시 탄소발자국인증 현황 69

[그림 3.27] KS F 4009 결합재 관련 규정 71

[그림 3.28] 콘크리트 설계강도별 출하비율 73

[그림 3.29] 치환에 따른 레미콘 원가 절감비율 74

[그림 3.30] 녹색 및 저탄소 콘크리트 인증 절차(G-SEED 인증용) 76

[그림 4.1] 가정상업부문 에너지원별 소비추이(원문불량) 83

[그림 5.1] 1인당 물사용량 추세 132

[그림 5.2] 해외 국가별 물 표시 인증 라벨 152

[그림 5.3] 인증제도별 절수량 비교 153

[부록 1] 환경표지 인증기준 저탄소 콘크리트 209

표 1. 저탄소 콘크리트의 전과정 단계별 환경성 항목 209

표 2. 플라이애시 시멘트의 종류 209

표 3. 고로 슬래그 시멘트의 종류 210

표 4. 인증기준 항목별 시험방법 및 검증방법 212

표 5. 레미콘ㆍ아스콘 품질관리 지침 별표 1, 혼화재를 사용한 레미콘의 품질관리 218

표 6/표 1. 저탄소 콘크리트의 전과정 단계별 환경성 항목 219

표 7/표 2. 플라이애시 시멘트의 종류 219

표 8/표 2. 고로 슬래그 시멘트의 220

표 9. 25-24-12 설계강도 콘크리트배합(플라이애시 시멘트 사용) 221

표 10. 25-24-12 설계 강도 콘크리트배합(고로슬래그 시멘트 사용) 222

표 11. 25-24-12 설계강도 콘크리트배합 (플라이애시 시멘트와 고로슬래그 시멘트 동시 사용) 222

표 12. 25-24-12 설계강도 콘크리트배합 223

표 13/표 3. 인증기준 항목별 시험방법 및 검증방법 227

[부록 3] 국내 표준건축물 모델링 가이드라인 249

〈표 A1.1〉 중부지역, 남부지역, 제주도 249

〈표 A1.2〉 국내 표준 기상데이터 주요지역 250

〈표 A1.3〉 표준건축물 열관류율 252

〈표 A1.4〉 공동주택 표준건축물의 창면적 기준 252

〈표 A1.5〉 표준건축물의 창호 열관류율 253

〈표 A1.6〉 표준건축물의 창호 SHGC 254

〈표 A1.7〉 표준건축물의 실 용도별 조명밀도 255

〈표 A1.8〉 표준건축물의 실 용도별 기기밀도 256

〈표 A1.9〉 표준건축물의 급탕보일러 효율 257

〈표 A1.10〉 표준건축물의 열원설비 효율 258

〈표 A1.11〉 '주거공간'의 표준스케줄 260

〈표 A1.12〉 '소규모사무실(30m² 이하)'의 표준스케줄 262

〈표 A1.13〉 '대규모사무실(30m² 초과)'의 표준스케줄 264

〈표 A1.14〉 '회의실 및 세미나실'의 표준스케줄 266

〈표 A1.15〉 '강당'의 표준스케줄 268

〈표 A1.16〉 '구내식당'의 표준스케줄 270

〈표 A1.17〉 '화장실'의 표준스케줄 272

〈표 A1.18〉 '그 외 체류공간(휴게, 탈의, 헬스장 등)'의 표준스케줄 274

〈표 A1.19〉 '부속공간(로비, 복도, 계단실 등)'의 표준스케줄 276

〈표 A1.20〉 '창고/설비/문서실'의 표준스케줄 278

〈표 A1.21〉 '전산실'의 표준스케줄 280

〈표 A1.22〉 '주방 및 조리실'의 표준스케줄 282

〈표 A1.23〉 '병실'의 표준스케줄 284

〈표 A1.24〉 '객실'의 표준스케줄 286

〈표 A1.25〉 '교실(초중고)'의 표준스케줄 288

〈표 A1.26〉 '강의실(대학)'의 표준스케줄 290

〈표 A1.27〉 '매장(상점/백화점)'의 표준스케줄 292

〈표 A1.28〉 '전시실(전시관/박물관)'의 표준스케줄 294

〈표 A1.29〉 '열람실(도서관)'의 표준스케줄 296

〈표 A1.30〉 '체육시설'의 표준스케줄 298

〈그림 A1.1〉 열적 존, 공조존, 공간기능 24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