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만경강 상류권역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1-[4] / 익산지방국토관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익산 : 국토교통부 익산지방국토관리청, 2017
청구기호
627.12 -18-2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4책 : 삽화, 도표, 설계도, 지도 ; 30 cm
총서사항
도보 ; 제2614호
전라북도 고시 ; 제2017-261호
제어번호
MONO1201813487
주기사항
[용역기관]: (주)도화엔지니어링, (주)유신, (주)이산
내용: 1. 만경강, 용연천, 수만천, 대아천, 운문천, 시랑천 -- 2. 고산천, 대지천, 석학천, 수락천, 성북천, 구룡천, 신흥천, 용학천 -- 3. 화전천, 천호천, 주치천 -- [4]. 부록
부록/보유자료:만경강 상류권역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및 부록 [전자자료]  바로보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13

1.1. 과업의 목적 13

1.1.1. 하천기본계획 13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3

1.2. 과업의 범위 13

1.3. 기본원칙 35

1.3.1. 수립주체 35

1.3.2. 수립방향 35

1.4. 유역현황도 35

1.5. 보고서 수록 기준 37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39

2.1. 유역현황 39

2.1.1. 유역의 개황 39

2.1.2. 수계의 구성 40

2.1.3. 유역의 특성 42

2.2. 하천특성 50

2.2.1. 하천사업의 연혁 50

2.2.2. 치수 부문 51

2.2.3. 이수 부문 66

2.2.4. 하천환경 부문 68

2.2.5. 하천이용 부문 75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77

2.3.1. 상위계획 77

2.3.2. 관련계획 77

2.3.3. 관련계획 검토결과 83

제3장 종합분석 85

3.1. 치수특성 분석 85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85

3.1.2. 하상변동 분석 127

3.1.3. 시설물 능력검토 155

3.2. 이수특성 분석 159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159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160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161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162

3.3.1. 하천의 물리특성 162

3.3.2. 생물서식성 163

3.3.3. 수환경성 163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165

4.1. 치수 종합계획 165

4.1.1. 기본방향 설정 165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68

4.2. 이수 종합계획 185

4.2.1. 기본방향 설정 185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86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204

4.3.1. 기본방향 설정 204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205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207

4.4.1. 공간 특성을 고려한 지구의 지정 207

4.4.2. 하천환경 관리계획의 수립 208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213

5.1. 경제성 분석 213

5.1.1. 사업지구 분할 213

5.1.2. 경제성 분석 213

5.2. 소요재원 214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215

5.4. 결론 및 기대효과 216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216

5.4.2. 주요 사업내용 221

5.4.3. 기대효과 223

부도 224

1. 만경강 225

2. 용연천 394

3. 수만천 436

4. 대아천 468

5. 운문천 500

6. 시랑천 540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607

1.1. 과업의 목적 607

1.1.1. 하천기본계획 607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607

1.2. 과업의 범위 607

1.3. 기본원칙 629

1.3.1. 수립주체 629

1.3.2. 수립방향 629

1.4. 유역현황도 629

1.5. 보고서 수록 기준 631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633

2.1. 유역현황 633

2.1.1. 유역의 개황 633

2.1.2. 수계의 구성 635

2.1.3. 유역의 특성 637

2.2. 하천특성 645

2.2.1. 하천사업의 연혁 645

2.2.2. 치수 부문 646

2.2.3. 이수 부문 665

2.2.4. 하천환경 부문 666

2.2.5. 하천이용 부문 674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676

2.3.1. 상위계획 676

2.3.2. 관련계획 676

2.3.3. 관련계획 검토결과 680

제3장 종합분석 682

3.1. 치수특성 분석 682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682

3.1.2. 하상변동 분석 738

3.1.3. 시설물 능력검토 779

3.2. 이수특성 분석 784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784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785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787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788

3.3.1. 하천의 물리특성 788

3.3.2. 생물서식성 789

3.3.3. 수환경성 789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791

4.1. 치수 종합계획 791

4.1.1. 기본방향 설정 791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795

4.2. 이수 종합계획 818

4.2.1. 기본방향 설정 818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819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841

4.3.1. 기본방향 설정 841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842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844

4.4.1. 공간 특성을 고려한 지구의 지정 844

4.4.2. 하천환경 관리계획의 수립 845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849

5.1. 경제성 분석 849

5.1.1. 사업지구 분할 849

5.1.2. 경제성 분석 850

5.2. 소요재원 853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854

5.4. 결론 및 기대효과 856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856

5.4.2. 주요 사업내용 861

5.4.3. 기대효과 863

부도 864

1. 고산천 865

2. 대치천 1004

3. 석학천 1046

4. 수락천 1083

5. 성북천 1124

6. 구룡천 1164

7. 신흥천 1231

8. 용학천 1265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개요 1331

1.1. 과업의 목적 1331

1.1.1. 하천기본계획 1331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1331

1.2. 과업의 범위 1331

1.3. 기본원칙 1353

1.3.1. 수립주체 1353

1.3.2. 수립방향 1353

1.4. 유역현황도 1353

1.5. 보고서 수록 기준 1355

제2장 유역 및 하천 현황 1357

2.1. 유역현황 1357

2.1.1. 유역의 개황 1357

2.1.2. 수계의 구성 1357

2.1.3. 유역의 특성 1359

2.2. 하천특성 1367

2.2.1. 하천사업의 연혁 1367

2.2.2. 치수 부문 1368

2.2.3. 이수 부문 1380

2.2.4. 하천환경 부문 1382

2.2.5. 하천이용 부문 1388

2.3. 관련계획 검토 및 조정 1390

2.3.1. 상위계획 1390

2.3.2. 관련계획 1391

2.3.3. 관련계획 검토결과 1392

제3장 종합분석 1395

3.1. 치수특성 분석 1395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1395

3.1.2. 하상변동 분석 1414

3.1.3. 시설물 능력검토 1426

3.2. 이수특성 분석 1429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1429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1430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1431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1432

3.3.1. 하천의 물리특성 1432

3.3.2. 생물서식성 1432

3.3.3. 수환경성 1432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1434

4.1. 치수 종합계획 1434

4.1.1. 기본방향 설정 1434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436

4.2. 이수 종합계획 1449

4.2.1. 기본방향 설정 1449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1450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1459

4.3.1. 기본방향 설정 1459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1460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1462

4.4.1. 공간 특성을 고려한 지구의 지정 1462

4.4.2. 하천환경 관리계획의 수립 1462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1466

5.1. 경제성 분석 1466

5.1.1. 사업지구 분할 1466

5.1.2. 경제성 분석 1466

5.2. 소요재원 1468

5.3. 투자우선순위 검토 1468

5.4. 결론 및 기대효과 1469

5.4.1. 하천기본계획 고시에 관한 사항 1469

5.4.2. 주요 사업내용 1472

5.4.3. 기대효과 1474

부도 1475

1. 화전천 1476

2. 천호천 1504

3. 주치천 1566

표제지

목차

제1장 개요 1624

1.1. 과업의 목적 1624

1.2. 과업의 범위 1624

1.3. 과업의 내용 1628

제2장 유역 및 하천특성 조사 1634

2.1. 유역현황 1634

2.1.1. 수계의 구성 1634

2.1.2. 유역의 특성 1649

2.2. 하천특성 1783

2.2.1. 하천사업의 연혁 1783

2.2.2. 치수부문 1788

2.2.3. 하천의 이용현황 1963

2.2.4. 하천의 환경현황 1967

2.2.5. 하천이용 부문 2243

2.3. 타 계획과의 조정 2250

2.3.1.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2008.12, 국토해양부) 2251

2.3.2. 만경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2012.6, 국토해양부) 2252

2.3.3. 만경강 하천정비기본계획(2003.10, 전라북도) 2253

2.3.4. 만경강, 고산천, 구룡천 하천정비기본계획(1992.10, 전라북도) 2254

2.3.5. 만경강 하천기본계획(2011.3, 완주군) 2255

2.3.6. 대아지구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2010.10, 농림수산식품부) 2256

2.3.7. 용연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4.12, 완주군) 2259

2.3.8. 주치천 외 2지구 하천정비기본계획(2007.1, 전라북도) 2260

2.3.9. 고산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3.12, 전라북도) 2262

2.3.10. 대치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7.11, 완주군) 2263

2.3.11. 수락천, 석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7.11, 전라북도) 2264

2.3.12. 용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0.12, 전라북도) 2265

2.3.13. 천호천 하천정비기본계획(1999.11, 전라북도) 2266

2.3.14. 완주군 장기종합발전계획(2006.2, 완주군) 2267

2.3.15. 관련계획 검토결과 2268

제3장 종합분석 2271

3.1. 치수특성 분석 2271

3.1.1.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2271

3.1.2. 하상변동 분석 2530

3.1.3. 시설물 능력검토 2705

3.2. 이수특성 분석 2806

3.2.1. 수자원 부존량 산정 2806

3.2.2. 하천관리유량 산정 2851

3.2.3. 하천수 사용시설물 수요·공급량 추정 2860

3.3. 하천환경특성 분석 2924

3.3.1. 환경 영향 검토 2924

제4장 하천 정비 및 관리 계획 2941

4.1. 치수 종합계획 2941

4.1.1. 기본방향 설정 2941

4.1.2. 치수 정비 및 관리 계획 3009

4.2. 이수 종합계획 3082

4.2.1. 기본방향 설정 3082

4.2.2. 이수 정비 및 관리 계획 3083

4.3. 하천환경 종합계획 3166

4.3.1. 기본방향 설정 3166

4.3.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3176

4.4. 하천공간 관리계획 3220

4.4.1. 하천공간관리 3220

제5장 투자계획 및 기대효과 3378

5.1. 치수경제성 분석 3378

5.1.1. 자산 및 피해액 조사 3378

5.1.2. 투자효율 분석 3405

5.1.3. 적정 투자규모 및 연차별 사업계획 3420

5.2. 효과분석 3423

5.2.1. 기본사항 3423

5.2.2. 기본계획 수립에 의한 개선 효과 3423

5.2.3. 효과분석 3424

5.2.4. 결론 3425

제6장 참고문헌 및 기타자료 3427

6.1. 참고문헌 3427

6.2. 기타자료 3431

6.2.1. 주민설명회 3431

6.2.2.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의견 3445

6.2.3. 홍수관리구역 지정현황 3450

6.2.4. 자연형 여울계획 및 법면처리 식생계획 3453

vol.1 6

【표 1.2-1】 과업의 범위 14

【표 1.2-2】 과업구간 비교 16

【표 1.4-1】 권역별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35

【표 1.5-1】 하천별 보고서 수록기준 37

【표 2.1-1】 수계의 구성 40

【표 2.1-2】 유역의 평면적 특성 42

【표 2.1-3】 표고별 누가면적 구성비 42

【표 2.1-4】 유역의 평균경사, 평균고도 43

【표 2.1-5】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 45

【표 2.1-6】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50

【표 2.1-7】 하천별 유황분석 결과(비유량법) 50

【표 2.2-1】 저수지 현황 51

【표 2.2-2】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 현황 51

【표 2.2-3】 제방시설물 현황 52

【표 2.2-4】 주요저수지 제원 52

【표 2.2-5】 대표입경, 단위중량, 입도분포 53

【표 2.2-6】 유량-총유사량 곡선식 54

【표 2.2-7】 유량규모별 유사량 54

【표 2.2-8】 주요구간 만곡부 현황 55

【표 2.2-9】 주요 구간별 하상경사 55

【표 2.2-10】 구간별 하도특성 57

【표 2.2-11】 지배유량(Dury의 1.58년 빈도 홍수량 적용) 57

【표 2.2-12】 지배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58

【표 2.2-13】 최심하상고 비교 59

【표 2.2-14】 세굴·퇴적량 비교 61

【표 2.2-15】 과거 주요 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피해액순) 63

【표 2.2-16】 연도별 수해현황 65

【표 2.2-17】 완주군 피해종류별 풍수해 현황 65

【표 2.2-18】 2009년 홍수피해현황 66

【표 2.2-19】 이수시설물 현황 66

【표 2.2-20】 저수지 현황 67

【표 2.2-21】 환경기초시설물 현황 68

【표 2.2-22】 환경관련 지구·지역 지정현황 68

【표 2.2-23】 최근 5년간(2010~2014) 수질측정 결과(대아지) 71

【표 2.2-24】 하천수질 측정 결과(금회) 71

【표 2.2-25】 하천저질 측정 결과(금회) 71

【표 2.2-26】 하천별 발생부하량 현황 72

【표 2.2-27】 하천별 배출부하량 현황 73

【표 2.2-28】 유역의 주요 동식물상 74

【표 2.2-29】 고수부지 이용현황 75

【표 2.2-30】 완주군 문화행사 현황 75

【표 2.3-1】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목표연도 홍수량 산정결과 77

【표 2.3-2】 기본 및 계획홍수량 78

【표 2.3-3】 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78

【표 2.3-4】 기본 및 계획홍수량 78

【표 2.3-5】 과업의 범위 79

【표 2.3-6】 기본 및 계획홍수량 79

【표 2.3-7】 기본 및 계획홍수량 79

【표 2.3-8】 사업의 내용 80

【표 2.3-9】 기본 및 계획홍수량 81

【표 2.3-10】 과업의 범위 81

【표 2.3-11】 기본 및 계획홍수량 81

【표 2.3-12】 관련계획 검토결과 83

【표 2.3-13】 국토이용 및 도시 관련계획 검토결과 83

【표 3.1-1】 고산관측소 확률강우량 85

【표 3.1-2】 빈도별홍수량 89

【표 3.1-3】 기본 및 계획홍수량 91

【표 3.1-4】 조도계수 산정 93

【표 3.1-5】 기점홍수위 94

【표 3.1-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95

【표 3.1-7】 계획하폭산정 125

【표 3.1-8】 장래 하상변동 예측 128

【표 3.1-9】 기설 제방현황 156

【표 3.1-10】 배수구조물 현황 및 능력검토 157

【표 3.1-11】 횡단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158

【표 3.1-12】 기설교량 능력검토 158

【표 3.2-1】 연평균 강우량 159

【표 3.2-2】 수자원 부존량 159

【표 3.2-3】 유황 및 기준갈수량 160

【표 3.2-4】 하천유지유량 160

【표 3.2-5】 용수수요량 161

【표 3.3-1】 하천의 물리특성 162

【표 3.3-2】 하천의 생물서식성 163

【표 3.3-3】 하천의 수환경성 163

【표 4.1-1】 계획홍수량 166

【표 4.1-2】 하천별 축제계획 169

【표 4.1-3】 하천별 보축계획 172

【표 4.1-4】 하천별 고수호안 및 저수호안계획 174

【표 4.1-5】 배수시설 설치계획 175

【표 4.1-6】 횡단시설물 개량 179

【표 4.1-7】 교량시설물 설치계획 181

【표 4.2-1】 하천관리유량 185

【표 4.2-2】 물수지 분석 결과(2015년) 186

【표 4.2-3】 물수지 분석 결과(2020년) 187

【표 4.2-4】 물수지 분석 결과(2025년) 189

【표 4.3-1】 여울조성 계획 205

【표 4.3-2】 고수부지 관리계획 206

【표 4.4-1】 구간별 구역 구분 설정 207

【표 4.4-2】 구간별 하천환경 관리계획 208

【표 5.1-1】 사업지구 분할 213

【표 5.1-2】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214

【표 5.1-3】 분석결과 214

【표 5.2-1】 하천별·지구별 총사업비 215

【표 5.2-2】 분야별 사업공종별 총사업비 215

【표 5.3-1】 지구별 투자우선순위 평가결과 216

【표 5.4-1】 연평균 강우량과 수자원 부존량 217

【표 5.4-2】 홍수배분계획 217

【표 5.4-3】 주요지점별 기본홍수량·계획홍수량·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219

【표 5.4-4】 하천공간 지구지정 220

【표 5.4-5】 개수 계획 221

【표 5.4-6】 교량 계획 221

【표 5.4-7】 배수시설물 계획 221

【표 5.4-8】 보·낙차공 및 어도 계획 222

vol.2 600

【표 1.2-1】 과업의 범위 608

【표 1.2-2】 과업구간 비교 610

【표 1.4-1】 권역별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629

【표 1.5-1】 하천별 보고서 수록기준 631

【표 2.1-1】 수계의 구성 635

【표 2.1-2】 유역의 평면적 특성 637

【표 2.1-3】 표고별 누가면적 구성비 637

【표 2.1-4】 유역의 평균경사, 평균고도 638

【표 2.1-5】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 640

【표 2.1-6】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645

【표 2.1-7】 하천별 유황분석 결과 (비유량법) 645

【표 2.2-1】 저수지 현황 646

【표 2.2-2】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 현황 647

【표 2.2-3】 제방시설물 현황 647

【표 2.2-4】 주요저수지 제원 648

【표 2.2-5】 대표입경, 단위중량, 입도분포 649

【표 2.2-6】 유량-총유사량 곡선식 650

【표 2.2-7】 유량규모별 유사량 650

【표 2.2-8】 주요구간 만곡부 현황 651

【표 2.2-9】 주요 구간별 하상경사 652

【표 2.2-10】 구간별 하도특성 653

【표 2.2-11】 지배유량(Dury의 1.58년 빈도 홍수량 적용) 653

【표 2.2-12】 지배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654

【표 2.2-13】 최심하상고 비교 656

【표 2.2-14】 세굴·퇴적량 비교 659

【표 2.2-15】 과거 주요 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피해액순) 662

【표 2.2-16】 연도별 수해현황 662

【표 2.2-17】 완주군 피해종류별 풍수해 현황 664

【표 2.2-18】 2009년 홍수피해현황 664

【표 2.2-19】 이수시설물 현황 665

【표 2.2-20】 저수지 현황 665

【표 2.2-21】 환경기초시설물 현황 666

【표 2.2-22】 환경관련 지구·지역 지정현황 667

【표 2.2-23】 최근 5년간(2010~2014) 수질측정 결과 669

【표 2.2-24】 하천수질 측정 결과(금회) 670

【표 2.2-25】 하천저질 측정 결과(금회) 670

【표 2.2-26】 하천별 발생부하량 현황 671

【표 2.2-27】 하천별 배출부하량 현황 672

【표 2.2-28】 유역의 주요 동식물상 673

【표 2.2-29】 고수부지 이용현황 674

【표 2.2-30】 완주군 문화행사 현황 674

【표 2.3-1】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목표연도 홍수량 산정결과 676

【표 2.3-2】 기본 및 계획홍수량 677

【표 2.3-3】 기본 및 계획홍수량 677

【표 2.3-4】 과업의 범위 678

【표 2.3-5】 기본 및 계획홍수량 678

【표 2.3-6】 기본 및 계획홍수량 678

【표 2.3-7】 관련계획 검토결과 680

【표 2.3-8】 국토이용 및 도시 관련계획 검토결과 680

【표 3.1-1】 고산관측소 확률강우량 682

【표 3.1-2】 빈도별홍수량 687

【표 3.1-3】 기본 및 계획홍수량 690

【표 3.1-4】 조도계수 산정 693

【표 3.1-5】 기점홍수위 693

【표 3.1-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694

【표 3.1-7】 계획하폭산정 736

【표 3.1-8】 장래 하상변동 예측 739

【표 3.1-9】 기설 제방현황 779

【표 3.1-10】 배수구조물 현황 및 능력검토 782

【표 3.1-11】 횡단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783

【표 3.1-12】 기설교량 능력검토 784

【표 3.2-1】 연평균 강우량 784

【표 3.2-2】 수자원 부존량 785

【표 3.2-3】 유황 및 기준갈수량 786

【표 3.2-4】 하천유지유량 786

【표 3.2-5】 용수수요량 787

【표 3.3-1】 하천의 물리특성 788

【표 3.3-2】 하천의 생물서식성 789

【표 3.3-3】 하천의 수환경성 789

【표 4.1-1】 계획홍수량 792

【표 4.1-2】 하천별 축제계획 796

【표 4.1-3】 하천별 보축계획 800

【표 4.1-4】 하천별 고수호안 및 저수호안계획 801

【표 4.1-5】 배수시설 설치계획 802

【표 4.1-6】 횡단시설물 개량 808

【표 4.1-7】 교량시설물 설치계획 812

【표 4.1-8】 하도정비계획 816

【표 4.2-1】 하천관리유량 818

【표 4.2-2】 물수지 분석 결과(2015년) 819

【표 4.2-3】 물수지 분석 결과(2020년) 821

【표 4.2-4】 물수지 분석 결과(2025년) 823

【표 4.3-1】 여울조성 계획 842

【표 4.3-2】 고수부지 관리계획 843

【표 4.4-1】 구간별 구역 구분 설정 844

【표 4.4-2】 구간별 하천환경 관리계획 845

【표 5.1-1】 사업지구 분할 849

【표 5.1-2】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851

【표 5.1-3】 분석결과 852

【표 5.2-1】 하천별·지구별 총사업비 853

【표 5.2-2】 분야별 사업공종별 총사업비 854

【표 5.3-1】 지구별 투자우선순위 평가결과 855

【표 5.4-1】 연평균 강우량과 수자원 부존량 856

【표 5.4-2】 홍수배분계획 857

【표 5.4-3】 주요지점별 기본홍수량·계획홍수량·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859

【표 5.4-4】 하천공간 지구지정 860

【표 5.4-5】 개수 계획 861

【표 5.4-6】 교량 계획 861

【표 5.4-7】 배수시설물 계획 861

【표 5.4-8】 보·낙차공 및 어도 계획 862

vol.3 1325

【표 1.2-1】 과업의 범위 1332

【표 1.2-2】 과업구간 비교 1334

【표 1.4-1】 권역별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1353

【표 1.5-1】 하천별 보고서 수록기준 1355

【표 2.1-1】 수계의 구성 1358

【표 2.1-2】 유역의 평면적 특성 1359

【표 2.1-3】 표고별 누가면적 구성비 1359

【표 2.1-4】 유역의 평균경사, 평균고도 1360

【표 2.1-5】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 1362

【표 2.1-6】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1367

【표 2.1-7】 하천별 유황분석 결과 (비유량법) 1367

【표 2.2-1】 저수지 현황 1368

【표 2.2-2】 하천기본계획 및 하천정비 현황 1368

【표 2.2-3】 제방시설물 현황 1369

【표 2.2-4】 대표입경, 단위중량, 입도분포 1370

【표 2.2-5】 유량-총유사량 곡선식 1370

【표 2.2-6】 유량규모별 유사량 1371

【표 2.2-7】 주요 구간별 하상경사 1371

【표 2.2-8】 구간별 하도특성 1372

【표 2.2-9】 지배유량(Dury의 1.58년 빈도 홍수량 적용) 1372

【표 2.2-10】 지배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1372

【표 2.2-11】 최심하상고 비교 1374

【표 2.2-12】 세굴·퇴적량 비교 1375

【표 2.2-13】 과거 주요 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피해액순) 1377

【표 2.2-14】 연도별 수해현황 1379

【표 2.2-15】 완주군 피해종류별 풍수해 현황 1379

【표 2.2-16】 2009년 홍수피해현황 1380

【표 2.2-17】 이수시설물 현황 1380

【표 2.2-18】 저수지 현황 1381

【표 2.2-19】 환경관련 지구·지역 지정현황 1382

【표 2.2-20】 하천수질 측정 결과(금회) 1384

【표 2.2-21】 하천저질 측정 결과(금회) 1385

【표 2.2-22】 하천별 발생부하량 현황 1385

【표 2.2-23】 하천별 배출부하량 현황 1386

【표 2.2-24】 유역의 주요 동식물상 1387

【표 2.2-25】 고수부지 이용현황 1388

【표 2.2-26】 완주군 문화행사 현황 1388

【표 2.3-1】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목표연도 홍수량 산정결과 1390

【표 2.3-2】 과업의 범위 1391

【표 2.3-3】 기본 및 계획홍수량 1391

【표 2.3-4】 기본 및 계획홍수량 1391

【표 2.3-5】 관련계획 검토결과 1392

【표 2.3-6】 국토이용 및 도시 관련계획 검토결과 1393

【표 3.1-1】 고산관측소 확률강우량 1395

【표 3.1-2】 빈도별홍수량 1398

【표 3.1-3】 기본 및 계획홍수량 1399

【표 3.1-4】 조도계수 산정 1401

【표 3.1-5】 기점홍수위 1401

【표 3.1-6】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1402

【표 3.1-7】 계획하폭산정 1413

【표 3.1-8】 장래 하상변동 예측 1415

【표 3.1-9】 기설 제방현황 1426

【표 3.1-10】 배수구조물 현황 및 능력검토 1427

【표 3.1-11】 횡단시설물 현황 및 능력검토 1428

【표 3.1-12】 기설교량 능력검토 1428

【표 3.2-1】 연평균 강우량 1429

【표 3.2-2】 수자원 부존량 1429

【표 3.2-3】 유황 및 기준갈수량 1430

【표 3.2-4】 하천유지유량 1430

【표 3.2-5】 용수수요량 1431

【표 3.3-1】 하천의 물리특성 1432

【표 3.3-2】 하천의 생물서식성 1432

【표 4.1-1】 계획홍수량 1435

【표 4.1-2】 하천별 축제계획 1437

【표 4.1-3】 하천별 보축계획 1440

【표 4.1-4】 하천별 고수호안 및 저수호안계획 1441

【표 4.1-5】 배수시설 설치계획 1442

【표 4.1-6】 횡단시설물 개량 1444

【표 4.1-7】 교량시설물 설치계획 1446

【표 4.1-8】 하도정비계획 1447

【표 4.2-1】 하천관리유량 1449

【표 4.2-2】 물수지 분석 결과(2015년) 1450

【표 4.2-3】 물수지 분석 결과(2020년) 1451

【표 4.2-4】 물수지 분석 결과(2025년) 1451

【표 4.3-1】 여울조성 계획 1460

【표 4.4-1】 구간별 구역 구분 설정 1462

【표 4.4-2】 구간별 하천환경 관리계획 1463

【표 5.1-1】 사업지구 분할 1466

【표 5.1-2】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1467

【표 5.1-3】 분석결과 1467

【표 5.2-1】 하천별·지구별 총사업비 1468

【표 5.2-2】 분야별 사업공종별 총사업비 1468

【표 5.3-1】 지구별 투자우선순위 평가결과 1469

【표 5.4-1】 연평균 강우량과 수자원 부존량 1470

【표 5.4-2】 홍수배분계획 1470

【표 5.4-3】 주요지점별 기본홍수량·계획홍수량·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1471

【표 5.4-4】 하천공간 지구지정 1471

【표 5.4-5】 개수계획 1472

【표 5.4-6】 교량 계획 1472

【표 5.4-7】 배수시설물 계획 1472

【표 5.4-8】 보·낙차공 및 어도 계획 1473

vol.4 1603

〈표 1.2-1〉 과업구간 현황 1625

〈표 2.1-1〉 수계의 구성 1642

〈표 2.1-2〉 과업유역내 소하천 현황 1643

〈표 2.1-3〉 유역의 평면적 특성 1654

〈표 2.1-4〉 표고별 누가면적 및 구성비 1661

〈표 2.1-5〉 유역의 평균표고 및 평균경사 1669

〈표 2.1-6〉 합·분류지점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1683

〈표 2.1-7〉 토양분류 기준 1700

〈표 2.1-8〉 수문학적 토양 유형 비교 1701

〈표 2.1-9〉 토양통(토양군)별 수문학적 구분 1702

〈표 2.1-10〉 수문학적 토양군별 면적 분포 1711

〈표 2.1-11〉 토지이용현황 1712

〈표 2.1-12〉 소유권별 임야면적 1722

〈표 2.1-13〉 임상별 임야면적 1723

〈표 2.1-14〉 연도별 인구 추이현황(완주군) 1724

〈표 2.1-15〉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만경강) 1724

〈표 2.1-16〉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용연천) 1725

〈표 2.1-17〉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수만천) 1725

〈표 2.1-18〉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대아천) 1726

〈표 2.1-19〉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운문천) 1726

〈표 2.1-20〉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시랑천) 1727

〈표 2.1-21〉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고산천) 1727

〈표 2.1-22〉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대치천) 1728

〈표 2.1-23〉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석학천) 1729

〈표 2.1-24〉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수락천) 1729

〈표 2.1-25〉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성북천) 1730

〈표 2.1-26〉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구룡천) 1730

〈표 2.1-27〉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신흥천) 1731

〈표 2.1-28〉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용학천) 1731

〈표 2.1-29〉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화전천) 1732

〈표 2.1-30〉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천호천) 1732

〈표 2.1-31〉 행정구역 및 인문현황(주치천) 1733

〈표 2.1-32〉 문화재 지정 현황 1733

〈표 2.1-33〉 문화재 현황 1733

〈표 2.1-34〉 지명의 유래 및 전설(경천면) 1745

〈표 2.1-35〉 지명의 유래 및 전설(고산면) 1747

〈표 2.1-36〉 지명의 유래 및 전설(동상면) 1750

〈표 2.1-37〉 지명의 유래 및 전설(비봉면) 1753

〈표 2.1-38〉 지명의 유래 및 전설(소양면) 1757

〈표 2.1-39〉 지명의 유래 및 전설(운주면) 1758

〈표 2.1-40〉 지명의 유래 및 전설(화산면) 1759

〈표 2.1-41〉 기상관측소 현황 1765

〈표 2.1-42〉 우량관측소 현황 1765

〈표 2.1-43〉 우량관측기록 보유현황 1767

〈표 2.1-44〉 수위관측소 현황 1767

〈표 2.1-45〉 수위관측기록 보유현황 1768

〈표 2.1-46〉 관측소별 수위-유량 관계곡선식 1768

〈표 2.1-47〉 월별강수량(전주기상대) 1773

〈표 2.1-48〉 주요 호우시 강우관측기록(전주기상대) 1774

〈표 2.1-49〉 유황분석 1775

〈표 2.1-50〉 기상현황 1781

〈표 2.2-1〉 하천정비현황 1783

〈표 2.2-2〉 제방공사 개요 1784

〈표 2.2-3〉 제방공사 연혁 1785

〈표 2.2-4〉 저수지 현황 1786

〈표 2.2-5〉 주요저수지 제원 1787

〈표 2.2-6〉 대아지구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 개요 1787

〈표 2.2-7〉 하천 관련계획 수립현황 1788

〈표 2.2-8〉 유로의 만곡부 현황 1790

〈표 2.2-9〉 하천별 하도특성 1793

〈표 2.2-10〉 구간별 횡단형 현황 1806

〈표 2.2-11〉 하도특성 기초 인자 1823

〈표 2.2-12〉 지배유량 산정결과 1825

〈표 2.2-13〉 하천밀도 1829

〈표 2.2-14〉 계획홍수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1849

〈표 2.2-15〉 지배유량에 따른 하도수리량 1853

〈표 2.2-16〉 하폭 변화 비교 1867

〈표 2.2-17〉 최심하상고 변화비교 1896

〈표 2.2-18〉 횡단적 변동 비교 1932

〈표 2.2-19〉 과거 주요 호우 및 태풍피해 현황(피해액순) 1950

〈표 2.2-20〉 연도별 피해액 1952

〈표 2.2-21〉 연도별 홍수피해현황(완주군) 1952

〈표 2.2-22〉 2009년 과업구간내 홍수피해현황 1953

〈표 2.2-23〉 2010년 만경강 홍수피해현황 1953

〈표 2.2-24〉 홍수피해현황 사진 1954

〈표 2.2-25〉 과우일수(전주지방) 1955

〈표 2.2-26〉 과우일수에 의한 가뭄빈도 1956

〈표 2.2-27〉 연도별 최저 저수율(전라북도) 1957

〈표 2.2-28〉 저수율에 의한 가뭄빈도 1957

〈표 2.2-29〉 주요 가뭄 발생년도 1958

〈표 2.2-30〉 주요 가뭄 발생현황 1958

〈표 2.2-31〉 우리나라 5대 가뭄 1959

〈표 2.2-32〉 생활용수 피해현황 1960

〈표 2.2-33〉 경작지 피해현황 1960

〈표 2.2-34〉 가뭄대책 1961

〈표 2.2-35〉 상수도 보급현황 1963

〈표 2.2-36〉 수리시설물 현황 1964

〈표 2.2-37〉 저수지 현황 1964

〈표 2.2-38〉 보 현황 1964

〈표 2.2-39〉 양수장 현황 1966

〈표 2.2-40〉 집수암거 현황 1966

〈표 2.2-41〉 수질조사 일시 및 기상 1967

〈표 2.2-42〉 하천수질·하천저질 조사항목 1967

〈표 2.2-43〉 하천수질 분석방법 및 분석기기 1968

〈표 2.2-44〉 하천저질 분석방법 및 분석기기 1968

〈표 2.2-45〉 하천수질 및 하천저질 조사지점 1969

〈표 2.2-46〉 하천 수질환경 기준(생활환경 기준) 1972

〈표 2.2-47〉 하천 수질환경 기준(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1972

〈표 2.2-48〉 국내사업에서 채택한 저질제거기준 1974

〈표 2.2-49〉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 1974

〈표 2.2-50〉 하천수질 조사결과 1982

〈표 2.2-51〉 하천저질 조사결과 1995

〈표 2.2-52〉 하천저질 입도분석 결과 1997

〈표 2.2-53〉 조사구간 현황 2001

〈표 2.2-54〉 조사시기 및 조사항목 2002

〈표 2.2-55〉 분류군별 조사방법 2003

〈표 2.2-56〉 하천식생 분포역 구분 2005

〈표 2.2-57〉 군집분석 2005

〈표 2.2-58〉 녹지자연도 산정기준 2006

〈표 2.2-59〉 식생보전등급 기준 2007

〈표 2.2-60〉 생물서식처평가 및 수서생태계건강성 분석 2008

〈표 2.2-6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2008

〈표 2.2-62〉 어류를 이용한 생물등급의 판정 2008

〈표 2.2-63〉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2009

〈표 2.2-64〉 환경부의 하천자연도 등급구분(안) 2010

〈표 2.2-65〉 식생단면조사지점 2011

〈표 2.2-66〉 조사지역의 소산식물목록 현황(전체) 2013

〈표 2.2-67〉 조사지역의 소산식물목록 현황 2013

〈표 2.2-68〉 생활형 분석(전체) 2020

〈표 2.2-69〉 문헌별 특정식물(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IV이상, 희귀식물) 현황 2021

〈표 2.2-70〉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2023

〈표 2.2-71〉 보호수 및 노거수 현황 2025

〈표 2.2-72〉 하천별 귀화식물 현황 2026

〈표 2.2-73〉 하천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현황 2028

〈표 2.2-74〉 하천별 특산식물 현황 2029

〈표 2.2-75〉 하천별 희귀식물 현황 2029

〈표 2.2-76〉 하천별 현황사진 및 하천식생 현황 2032

〈표 2.2-77〉 계획하천의 하천식생유형 2040

〈표 2.2-78〉 식생보전등급 평가결과 2043

〈표 2.2-79〉 하천별 식생단면도 및 식생분포 현황 2044

〈표 2.2-80〉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생별 분포 면적(수만천, 시랑천) 2064

〈표 2.2-81〉 녹지자연도 분포 현황(수만천, 시랑천) 2065

〈표 2.2-82〉 식생보전등급 사정기준 2070

〈표 2.2-83〉 식생보전등급 면적 분포 현황(수만천, 시랑천) 2070

〈표 2.2-84〉 추가 하천부지 현황 2075

〈표 2.2-85〉 조사구간의 육상 및 육수동물상 조사결과 집계표(현지 및 문헌조사) 2076

〈표 2.2-86〉 각 하천별 포유류 조사결과 집계표(현지) 2077

〈표 2.2-87〉 포유류 목록-현지 2079

〈표 2.2-88〉 포유류 목록-문헌 2080

〈표 2.2-89〉 각 하천별 양서·파충류 조사결과 집계표(현지) 2083

〈표 2.2-90〉 양서·파충류 목록 - 현지 2085

〈표 2.2-91〉 양서·파충류 목록 - 문헌 2086

〈표 2.2-92〉 각 하천별 포유류 조사결과 집계표(현지) 2087

〈표 2.2-93〉 조류 목록 - 현지 2089

〈표 2.2-94〉 조류 목록 - 문헌 2113

〈표 2.2-95〉 각 하천별 포유류 조사결과 집계표(현지) 2118

〈표 2.2-96〉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종합조사결과) 2119

〈표 2.2-97〉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만경강) 2119

〈표 2.2-98〉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용연천) 2120

〈표 2.2-99〉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수만천) 2120

〈표 2.2-100〉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대아천) 2121

〈표 2.2-101〉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운문천) 2121

〈표 2.2-102〉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시랑천) 2122

〈표 2.2-103〉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고산천) 2122

〈표 2.2-104〉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대치천) 2123

〈표 2.2-105〉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석학천) 2123

〈표 2.2-106〉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수락천) 2124

〈표 2.2-107〉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성북천) 2124

〈표 2.2-108〉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구룡천) 2125

〈표 2.2-109〉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신흥천) 2125

〈표 2.2-110〉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용학천) 2126

〈표 2.2-111〉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화전천) 2126

〈표 2.2-112〉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천호천) 2127

〈표 2.2-113〉 육상곤충 분류군별 현황(주치천) 2127

〈표 2.2-114〉 육상곤충 목록 - 현지 2129

〈표 2.2-115〉 각 조사지점의 생물서식처평가(QHEI) 2142

〈표 2.2-116〉 각 조사지점의 서식수변환경 및 생물서식처 평가(QHEI) 2144

〈표 2.2-117〉 각 조사지점의 어류 조사결과 집계표 2154

〈표 2.2-118〉 각 조사지점의 어류상(1차 조사) 2155

〈표 2.2-119〉 각 조사지점의 어류상(2차 조사) 2156

〈표 2.2-120〉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1차 조사) 2159

〈표 2.2-121〉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2차 조사) 2160

〈표 2.2-122〉 우점종 및 생태특성 2161

〈표 2.2-123〉 각 조사지점의 어류 군집분석(1차 조사) 2164

〈표 2.2-124〉 각 조사지점의 어류 군집분석(2차 조사) 2165

〈표 2.2-125〉 각 조사지점의 어류평가지수(FAI) 및 환경상태 2168

〈표 2.2-126〉 각 조사지점의 어류평가지수(FAI) 및 환경상태(2차 조사) 2169

〈표 2.2-127〉 어류상 - 문헌 2171

〈표 2.2-128〉 멸종위기I급 어류인 퉁사리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 2175

〈표 2.2-129〉 퉁사리 방류지점(고산천-4)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확인된 어류 목록 2176

〈표 2.2-130〉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결과 집계표 2178

〈표 2.2-131〉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1차 조사) 2181

〈표 2.2-132〉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2차 조사) 2186

〈표 2.2-133〉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1차 조사) 2192

〈표 2.2-134〉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2차 조사) 2193

〈표 2.2-135〉 우점종 및 생태특성 2194

〈표 2.2-136〉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1차 조사) 2195

〈표 2.2-137〉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2차 조사) 2196

〈표 2.2-138〉 각 조사지점의 저서동물지수(BMI) 2199

〈표 2.2-139〉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 문헌 2202

〈표 2.2-140〉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1차 조사) 2211

〈표 2.2-141〉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2차 조사) 2212

〈표 2.2-142〉 각 조사지점의 부착조류 군집분석 2213

〈표 2.2-143〉 각 조사지점의 부착돌말지수(TDI) 2214

〈표 2.2-144〉 각 조사지점의 부착조류(1차 조사) 2215

〈표 2.2-145〉 각 조사지점의 부착조류(2차 조사) 2217

〈표 2.2-146〉 부착조류 - 문헌 2220

〈표 2.2-147〉 조사구간의 법정보호종 현황 2223

〈표 2.2-148〉 야생생물 보호구역 지정현황 2241

〈표 2.2-149〉 고수부지 현황 2243

〈표 2.2-150〉 하천부속물 및 하천공작물의 보호구역 2245

〈표 2.2-151〉 문화행사 2248

〈표 2.2-152〉 도시계획지역 개발방향 2249

〈표 2.3-1〉 하천 관련계획 수립현황 2250

〈표 2.3-2〉 국토이용 및 도시 관련계획 수립현황 2250

〈표 2.3-3〉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 과업범위 2251

〈표 2.3-4〉 만경강 유역종합치수계획 목표연도 홍수량 산정결과 2251

〈표 2.3-5〉 만경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완) 과업범위 2252

〈표 2.3-6〉 만경강 하천기본계획(보완) 기본 및 계획홍수량 2252

〈표 2.3-7〉 만경강 하천기본계획(보완) 계획홍수위 2252

〈표 2.3-8〉 만경강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53

〈표 2.3-9〉 만경강 하천기본계획 계획홍수량 2253

〈표 2.3-10〉 만경강, 고산천, 구룡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54

〈표 2.3-11〉 만경강, 고산천, 구룡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 및 계획 홍수량 2254

〈표 2.3-12〉 만경강, 고산천, 구룡천 하천기본계획 조도계수 2255

〈표 2.3-13〉 만경강 하천기본계획 과업범위 2255

〈표 2.3-14〉 만경강 하천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55

〈표 2.3-15〉 만경강 하천기본계획 조도계수 2256

〈표 2.3-16〉 대아저수지 현 시설현황 및 계획시설규모 2256

〈표 2.3-17〉 용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59

〈표 2.3-18〉 용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0

〈표 2.3-19〉 용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0

〈표 2.3-20〉 주치천 외 2지구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0

〈표 2.3-21〉 주치천 외 2지구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1

〈표 2.3-22〉 주치천 외 2지구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1

〈표 2.3-23〉 고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2

〈표 2.3-24〉 고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2

〈표 2.3-25〉 고산천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2

〈표 2.3-26〉 대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3

〈표 2.3-27〉 대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3

〈표 2.3-28〉 대치천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3

〈표 2.3-29〉 수락천, 석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4

〈표 2.3-30〉 수락천, 석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4

〈표 2.3-31〉 수락천, 석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5

〈표 2.3-32〉 용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5

〈표 2.3-33〉 용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 및 계획 홍수량 2265

〈표 2.3-34〉 용학천 하천정비기본계획 조도계수 2266

〈표 2.3-35〉 천호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범위 2266

〈표 2.3-36〉 천호천 하천정비기본계획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266

〈표 2.3-37〉 하천 관련계획 검토 결과 2268

〈표 2.3-38〉 국토이용 및 도시 관련계획 검토 결과 2269

〈표 3.1-1〉 홍수량 산정지점 2271

〈표 3.1-2〉 우량관측소 현황 2285

〈표 3.1-3〉 2010년 8월 집중호우시 시우량 현황 2285

〈표 3.1-4〉 주요호우사상의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2290

〈표 3.1-5〉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및 추정빈도 2291

〈표 3.1-6〉 홍수량 산정결과 및 추정빈도 2294

〈표 3.1-7〉 흔적수위 조사 및 홍수위 계산(2010년 8월 집중호우시) 2299

〈표 3.1-8〉 관측소별 강우자료 검토결과 2312

〈표 3.1-9〉 고산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고정시간) 2314

〈표 3.1-10〉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2316

〈표 3.1-11〉 고산관측소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임의시간) 2317

〈표 3.1-12〉 FARD2006의 적용분포형 2318

〈표 3.1-13〉 확률분포형별 적합도 검정결과 2326

〈표 3.1-14〉 적합도 검정결과(Gumbel 분포) 2326

〈표 3.1-15〉 빈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2327

〈표 3.1-16〉 기수립 계획과 자료기간 및 분석방법 비교 2327

〈표 3.1-17〉 기수립 계획과 확률강우량 비교 2328

〈표 3.1-18〉 강우강도식 종류 2329

〈표 3.1-19〉 재현기간별 강우강도식 계수(전대수 다항식) 2330

〈표 3.1-20〉 재현기간별 강우강도식 계수 2331

〈표 3.1-21〉 면적감소계수 곡선식의 매개변수 2333

〈표 3.1-22〉 강우지속기간별 최빈분위 2335

〈표 3.1-23〉 전주기상대의 무차원 누가분포 2335

〈표 3.1-24〉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회귀식 2336

〈표 3.1-25〉 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2338

〈표 3.1-26〉 농경지역 및 임목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2339

〈표 3.1-27〉 도시지역의 유출곡선지수(AMC-II조건) 2340

〈표 3.1-28〉 토지피복유형별 유출곡선지수(AMC-II 기준) 2341

〈표 3.1-29〉 5일선행강수량조사 2342

〈표 3.1-30〉 산정지점별 유출곡선지수(CN) 2343

〈표 3.1-31〉 Clark의 유역추적법의 매개변수 산정 결과 2353

〈표 3.1-32〉 NRCS 무차원단위도의 시간별 종거 2361

〈표 3.1-33〉 HEC-1 모형의 단위도별 매개변수 산정 2365

〈표 3.1-34〉 Muskingum 하도추적 방법의 매개변수 산정 결과 2371

〈표 3.1-35〉 재현기간별 홍수량 2375

〈표 3.1-36〉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규모 2395

〈표 3.1-37〉 하천별 설계빈도 결정 2396

〈표 3.1-38〉 유역종합치수계획의 기존저수지 치수능력 증대 계획 2397

〈표 3.1-39〉 대아저수지 현 시설현황 및 계획시설규모 2398

〈표 3.1-40〉 대아저수지 표고별 면적 및 저류량 2399

〈표 3.1-41〉 동상저수지 제원 2401

〈표 3.1-42〉 경천저수지 제원 2402

〈표 3.1-43〉 경천저수지 최적 일정률(R) 산정결과 2403

〈표 3.1-44〉 저수지 홍수조절 효과 고려 전·후 홍수량 2404

〈표 3.1-45〉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405

〈표 3.1-46〉 기수립계획과 홍수량 산정방법 비교(만경강) 2413

〈표 3.1-47〉 유역종합대비 홍수량 산정 매개변수 비교(만경강) 2415

〈표 3.1-48〉 기수립 계획과의 홍수량 비교(만경강) 2416

〈표 3.1-49〉 기수립계획과 홍수량 산정방법 비교(고산천) 2417

〈표 3.1-50〉 유역종합대비 홍수량 산정 매개변수 비교(고산천) 2418

〈표 3.1-51〉 기수립 계획과의 홍수량 비교(고산천) 2419

〈표 3.1-52〉 기수립 계획과의 홍수량 산정방법 비교 2420

〈표 3.1-53〉 인근수계 홍수량과의 비교(50년 빈도) 2434

〈표 3.1-54〉 기점수위 2444

〈표 3.1-55〉 흔적수위에 의한 조도계수 추정 2445

〈표 3.1-56〉 하천 및 수로의 상황에 따른 조도계수 2450

〈표 3.1-57〉 조도계수 표에 의한 조도계수 추정 2451

〈표 3.1-58〉 Manning-Strickler 공식에 의해 산정된 조도계수 2452

〈표 3.1-59〉 조도계수 n의 기본값 2454

〈표 3.1-60〉 조도계수에 대한 식생의 영향 2454

〈표 3.1-61〉 조도계수에 대한 수로 단면 불규칙성의 영향 2455

〈표 3.1-62〉 조도계수에 대한 수로 표면 불규칙성의 영향 2455

〈표 3.1-63〉 장애물의 n값에 대한 영향 2455

〈표 3.1-64〉 수로 선형 불규칙성의 n값에 대한 영향 2455

〈표 3.1-65〉 NRCS 방법에 의해 산정된 조도계수 2456

〈표 3.1-66〉 조도계수 총괄 2459

〈표 3.1-67〉 하도계획 수립과 관련된 결정사항 2462

〈표 3.1-68〉 빈도별 홍수위 2468

〈표 3.1-69〉 계획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2523

〈표 3.1-70〉 계획하폭 2525

〈표 3.1-71〉 하상 재료 입도분석 결과(체분석) 2531

〈표 3.1-72〉 하상 재료 입도분석 결과(비중계 분석) 2542

〈표 3.1-73〉 하천유사의 구분 2604

〈표 3.1-74〉 유사량 측정 개요 2607

〈표 3.1-75〉 오성교 지점 유사량 측정 성과 2608

〈표 3.1-76〉 유량-부유사량관계식 2611

〈표 3.1-77〉 유량-총유사량관계식(Modified Einstein, 1995) 2612

〈표 3.1-78〉 유사량 공식의 특성 2615

〈표 3.1-79〉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2615

〈표 3.1-80〉 평형하상경사 산정 방법 2621

〈표 3.1-81〉 하상변동예측결과 2626

〈표 3.1-82〉 퇴적 및 세굴 구간 관리방안 2703

〈표 3.1-83〉 기존시설물 현황 2705

〈표 3.1-84〉 기성제방 현황 2706

〈표 3.1-85〉 제방고가 부족한 기성제 현황 2710

〈표 3.1-86〉 배수시설물 능력검토 2717

〈표 3.1-87〉 신설 계획 2738

〈표 3.1-88〉 보 및 낙차공 현황 2740

〈표 3.1-89〉 Bligh 계수 2751

〈표 3.1-90〉 보·낙차공 능력검토 결과 2752

〈표 3.1-91〉 가동보 형식비교 2762

〈표 3.1-92〉 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2763

〈표 3.1-93〉 어도의 구조적 형식별 분류 2766

〈표 3.1-94〉 상황별 어도선택 기준표 2766

〈표 3.1-95〉 어도 형식별 장단점 검토 2767

〈표 3.1-96〉 기존교량 현황 2770

〈표 3.1-97〉 계획홍수량에 따른 경간장 2779

〈표 3.1-98〉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2779

〈표 3.1-99〉 교량 능력검토 2780

〈표 3.1-100〉 교량 신설 및 이설계획 2789

〈표 3.1-101〉 교각형상에 대한 보정계수(K1) 2791

〈표 3.1-102〉 흐름입사각에 대한 보정계수(K2) 2791

〈표 3.1-103〉 하상조건에 대한 보정계수(K3) 2791

〈표 3.1-104〉 하상재료의 크기에 대한 보정계수(K4) 2792

〈표 3.1-105〉 교각 폭에 대한 보정계수(K5) 2792

〈표 3.1-106〉 세굴심 및 세굴방지공폭 산정 2795

〈표 3.1-107〉 사석직경(D) 및 사석중량(W) 2801

〈표 3.2-1〉 유출특성계수 f 2806

〈표 3.2-2〉 월별 보정치 E의 값 2807

〈표 3.2-3〉 Kajiyama공식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고(만경강 등 지방하천 17개소) 2808

〈표 3.2-4〉 Tank 모형 최적 매개변수 2811

〈표 3.2-5〉 Tank 모형에 의한 평균유출량 2812

〈표 3.2-6〉 비유량법 적용을 위한 유역면적 및 연평균강수량 2829

〈표 3.2-7〉 비유량법에 의한 일평균유량 2830

〈표 3.2-8〉 방법별 평균 유출량 비교 2839

〈표 3.2-9〉 수자원 부존량의 구성 2848

〈표 3.2-10〉 유황 2851

〈표 3.2-11〉 대표어종과 대리어종 일람표 2853

〈표 3.2-12〉 주요어종의 서식처 수리조건 2853

〈표 3.2-13〉 생태계를 고려한 하천관리 유량 2855

〈표 3.2-14〉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2857

〈표 3.2-15〉 평가기준 및 필요유량 2857

〈표 3.2-16〉 하천유지유량 2858

〈표 3.2-17〉 분구 구분 2861

〈표 3.2-18〉 행정구역별 상수도 현황 및 인구적용 비율 2874

〈표 3.2-19〉 행정구역별 상수도 보급현황 2877

〈표 3.2-20〉 생활용수 이용현황 2877

〈표 3.2-21〉 경지면적 및 농업용수 이용현황 2880

〈표 3.2-22〉 관련계획별 장래인구 증가비율 2884

〈표 3.2-23〉 분구별 장래인구 추정 2885

〈표 3.2-24〉 급수보급율 2887

〈표 3.2-25〉 단위급수량 2887

〈표 3.2-26〉 분구별 생활용수 수요량(2015년) 2888

〈표 3.2-27〉 분구별 생활용수 수요량(2020년) 2891

〈표 3.2-28〉 분구별 생활용수 수요량(2025년) 2893

〈표 3.2-29〉 공업용수 장래 원단위 추정 2896

〈표 3.2-30〉 업종별 월평균 조업일수 2897

〈표 3.2-31〉 유역내 분구별 장래 경지면적 추정 2899

〈표 3.2-32〉 단위용수량의 산정조건 2902

〈표 3.2-33〉 묘대기간의 용수량 산정기준 2902

〈표 3.2-34〉 작물 소비수량 계수 2903

〈표 3.2-35〉 주간시간 백분율 2904

〈표 3.2-36〉 평균침투량 2904

〈표 3.2-37〉 관개전의 작물 성장계수 2906

〈표 3.2-38〉 단위용수량(1983~2012년) 2906

〈표 3.2-39〉 분구별 농업용수 수요량(2015년) 2907

〈표 3.2-40〉 분구별 농업용수 수요량(2020년) 2909

〈표 3.2-41〉 분구별 농업용수 수요량(2025년) 2911

〈표 3.2-42〉 분구별 용수수요 총괄 2913

〈표 3.3-1〉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기상) 2924

〈표 3.3-2〉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지형·지질) 2924

〈표 3.3-3〉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동·식물상) 2926

〈표 3.3-4〉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수리·수문) 2927

〈표 3.3-5〉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토지이용) 2928

〈표 3.3-6〉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대기질) 2929

〈표 3.3-7〉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수질) 2930

〈표 3.3-8〉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친환경적 자원순환) 2931

〈표 3.3-9〉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토양) 2931

〈표 3.3-10〉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소음·진동) 2932

〈표 3.3-11〉 자연환경,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경관) 2933

〈표 3.3-12〉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현황 2937

〈표 3.3-13〉 중권역별 목표기준(생활환경기준) 2937

〈표 3.3-14〉 중권역별 목표기준(건강보호항목 목표기준) : 전체 중권역 2937

〈표 3.3-15〉 계획하천 단위유역 및 관할 지자체 2939

〈표 4.1-1〉 계획홍수위, 하폭 및 기설제방고 2941

〈표 4.1-2〉 하도계획 기본방향 3009

〈표 4.1-3〉 제방 축조계획 3013

〈표 4.1-4〉 보축계획 3015

〈표 4.1-5〉 계획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3053

〈표 4.1-6〉 구간별 둑마루폭 3054

〈표 4.1-7〉 계획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3055

〈표 4.1-8〉 구간별 여유고 3055

〈표 4.1-9〉 비탈경사 3057

〈표 4.1-10〉 환경을 고려한 호안공법 3058

〈표 4.1-11〉 허용단위소류력 3059

〈표 4.1-12〉 허용단위소류력에 대한 안전성 3059

〈표 4.1-13〉 유속에 대한 안전성 3059

〈표 4.1-14〉 계획 지구별 허용단위소류력 검토 3060

〈표 4.1-15〉 개수 계획 3066

〈표 4.1-16〉 배수시설물 계획 3067

〈표 4.1-17〉 보·낙차공 및 어도 계획 3068

〈표 4.1-18〉 교량 계획 3070

〈표 4.1-19〉 기초터파기시 토사유출 저감대책 3076

〈표 4.1-20〉 모니터링 요소별 내용 3079

〈표 4.1-21〉 모니터링 분석 3081

〈표 4.2-1〉 하천유지유량 3082

〈표 4.2-2〉 생활용수 소모량 변화율 3084

〈표 4.2-3〉 분구별 생·공용수 순물소모량(30개년 평균) 3085

〈표 4.2-4〉 분구별 농업용수 순물소모량(30개년 평균) 3087

〈표 4.2-5〉 목표년도별 물수지분석 추정결과 3118

〈표 4.2-6〉 물수지 분석 결과(2015년) 3124

〈표 4.2-7〉 물수지 분석 결과(2020년) 3128

〈표 4.2-8〉 물수지 분석 결과(2025년) 3132

〈표 4.3-1〉 중권역별 목표기준(생활환경기준) 3168

〈표 4.3-2〉 유기물질에 따른 수생동식물과 수질오염의 정도 3168

〈표 4.3-3〉 주요어족의 생태적 요구조건 3169

〈표 4.3-4〉 경관측면의 목표수질 3170

〈표 4.3-5〉 하천별 목표수질등급 설정 3172

〈표 4.3-6〉 하천 수질모델의 종류 및 특성 3176

〈표 4.3-7〉 수질모델의 보정 및 검증을 위한 경계조건 3180

〈표 4.3-8〉 소구간별 수리학적계수(사업시행전) 3183

〈표 4.3-9〉 Q2K모델에 적용된 수질반응계수 3185

〈표 4.3-10〉 하천별 유황분석 3195

〈표 4.3-11〉 소구간별 수리학적계수 (개수후) 3195

〈표 4.3-12〉 모의 시나리오 구성 3197

〈표 4.3-13〉 하천별 상류부 장래수질예측 결과비교 3201

〈표 4.3-14〉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형식별 개요 3216

〈표 4.3-15〉 비점오염 저감시설 선정시 사전 고려사항 3217

〈표 4.3-16〉 새만금유역(만경강수계) 수질개선 종합대책 세부내용 3218

〈표 4.4-1〉 하천공간관리 기본방향 3220

〈표 4.4-2〉 지구 지정기준 3223

〈표 4.4-3〉 지구 세분화 3223

〈표 4.4-4〉 하천공간 지구구분 3371

〈표 4.4-5〉 지구별 유지관리 방향 3376

〈표 5.1-1〉 치수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현황 3378

〈표 5.1-2〉 피해액의 종류 및 산정방법 3388

〈표 5.1-3〉 단위침수면적당 손실인명수 및 손실원단위 3388

〈표 5.1-4〉 도시의 유형별 구분 3389

〈표 5.1-5〉 침수면적당 발생이재민수 3389

〈표 5.1-6〉 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3390

〈표 5.1-7〉 년도별 건설업 Deflator 보정지수 3390

〈표 5.1-8〉 년도별 소비자 물가지수(전라북도) 3391

〈표 5.1-9〉 침수 해당 행정구역별 전체 대상자산 3392

〈표 5.1-10〉 행정구역별 침수편입율(50년빈도) 3393

〈표 5.1-11〉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3397

〈표 5.1-12〉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3397

〈표 5.1-13〉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3397

〈표 5.1-14〉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3397

〈표 5.1-15〉 침수심별 사업체 유형고정자산·재고자산의 피해율 3397

〈표 5.1-16〉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 3398

〈표 5.1-17〉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 산정방법 3398

〈표 5.1-18〉 대상지구별 예상 연평균피해경감기대액(편익) 3399

〈표 5.1-19〉 시설물별 잔존가치 3406

〈표 5.1-20〉 경제성 분석 결과 3407

〈표 5.1-21〉 평가기준의 요약 3415

〈표 5.1-22〉 생태자연도 등급기준 3417

〈표 5.1-23〉 지구별 사업투자 우선순위 3418

〈표 5.1-24〉 각 지구별 소요 사업비(50년빈도) 3420

〈표 5.1-25〉 각 지구별 연차별 사업계획 3421

〈표 5.2-1〉 계획시설물에 의한 효과 3424

〈표 6.2-1〉 하천별 여울계획 수립구간 3455

〈표 6.2-2〉 하천별 출현식생 및 식재식생 3457

〈표 6.2-3〉 식재 구간 및 식재 방법 3459

〈표 6.2-4〉 하천별 축제계획구간 식재계획 3461

〈표 6.2-5〉 하천별 보축계획구간 식재계획 3463

〈표 6.2-6〉 하천별 고수호안 및 저수호안계획구간 식재계획 3465

vol.1 10

【그림 1.2-1】 과업위치도 15

【그림 1.2-2】 과업위치도(만경강) 18

【그림 1.2-3】 과업위치도(용연천) 19

【그림 1.2-4】 과업위치도(수만천) 20

【그림 1.2-5】 과업위치도(대아천) 21

【그림 1.2-6】 과업위치도(운문천) 22

【그림 1.2-7】 과업위치도(시랑천) 23

【그림 1.2-8】 과업위치도(고산천) 24

【그림 1.2-9】 과업위치도(대치천) 25

【그림 1.2-10】 과업위치도(석학천) 26

【그림 1.2-11】 과업위치도(수락천) 27

【그림 1.2-12】 과업위치도(성북천) 28

【그림 1.2-13】 과업위치도(구룡천) 29

【그림 1.2-14】 과업위치도(신흥천) 30

【그림 1.2-15】 과업위치도(용학천) 31

【그림 1.2-16】 과업위치도(화전천) 32

【그림 1.2-17】 과업위치도(천호천) 33

【그림 1.2-18】 과업위치도(주치천) 34

【그림 1.4-1】 만경강 및 동진강권역(8개) 하천기본계획 수립 현황 위치도 36

【그림 2.1-1】 수계모식도 41

【그림 2.1-2】 유역의 표고 및 경사 분포도 43

【그림 2.1-3】 유역의 지질도 및 수문학적 토양군 44

【그림 2.1-4】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46

【그림 2.1-5】 문화재 현황도 47

【그림 2.1-6】 고(古)지도 48

【그림 2.1-7】 수문관측소 위치도 49

【그림 2.2-1】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 54

【그림 2.2-2】 하폭 변화도 59

【그림 2.2-3】 최심하상고 변화 60

【그림 2.2-4】 기수립 및 금회 횡단적 변동 비교 61

【그림 2.2-5】 과거 주요 태풍 경로도 64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만경강) 86

【그림 3.1-2】 홍수량 산정지점도(수만천) 87

【그림 3.1-3】 홍수량 산정지점도(시랑천, 화전천, 주치천) 88

【그림 4.1-1】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만경강, 용연천) 166

【그림 4.1-2】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수만천, 대아천, 운문천, 시랑천) 167

【그림 4.1-3】 제방 및 호안 표준단면도 170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2015년) 191

【그림 4.2-2】 물수지 모식도(2020년) 195

【그림 4.2-3】 물수지 모식도(2025년) 199

vol.2 604

【그림 1.2-1】 과업위치도 609

【그림 1.2-2】 과업위치도(만경강) 612

【그림 1.2-3】 과업위치도(용연천) 613

【그림 1.2-4】 과업위치도(수만천) 614

【그림 1.2-5】 과업위치도(대아천) 615

【그림 1.2-6】 과업위치도(운문천) 616

【그림 1.2-7】 과업위치도(시랑천) 617

【그림 1.2-8】 과업위치도(고산천) 618

【그림 1.2-9】 과업위치도(대치천) 619

【그림 1.2-10】 과업위치도(석학천) 620

【그림 1.2-11】 과업위치도(수락천) 621

【그림 1.2-12】 과업위치도(성북천) 622

【그림 1.2-13】 과업위치도(구룡천) 623

【그림 1.2-14】 과업위치도(신흥천) 624

【그림 1.2-15】 과업위치도(용학천) 625

【그림 1.2-16】 과업위치도(화전천) 626

【그림 1.2-17】 과업위치도(천호천) 627

【그림 1.2-18】 과업위치도(주치천) 628

【그림 1.4-1】 만경강 및 동진강권역(8개) 하천기본계획 수립 현황 위치도 630

【그림 2.1-1】 수계모식도 636

【그림 2.1-2】 유역의 표고 및 경사 분포도 638

【그림 2.1-3】 유역의 지질도 및 수문학적 토양군 639

【그림 2.1-4】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641

【그림 2.1-5】 문화재 현황도 642

【그림 2.1-6】 고(古)지도 643

【그림 2.1-7】 수문관측소 위치도 644

【그림 2.2-1】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 650

【그림 2.2-2】 하폭 변화도 655

【그림 2.2-3】 최심하상고 변화 657

【그림 2.2-4】 기수립 및 금회 횡단적 변동 비교 659

【그림 2.2-5】 과거 주요 태풍 경로도 663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고산천) 683

【그림 3.1-2】 홍수량 산정지점도(대치천, 용학천) 684

【그림 3.1-3】 홍수량 산정지점도(석학천, 수락천, 성북천) 685

【그림 3.1-4】 홍수량 산정지점도(구룡천, 신흥천) 686

【그림 4.1-1】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고산천, 대치천) 792

【그림 4.1-2】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석학천, 수락천, 성북천, 구룡천, 신흥천) 793

【그림 4.1-3】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용학천) 794

【그림 4.1-4】 제방 및 호안 표준단면도 797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2015년) 825

【그림 4.2-2】 물수지 모식도(2020년) 830

【그림 4.2-3】 물수지 모식도(2025년) 835

vol.3 1328

【그림 1.2-1】 과업위치도 1333

【그림 1.2-2】 과업위치도(만경강) 1336

【그림 1.2-3】 과업위치도(용연천) 1337

【그림 1.2-4】 과업위치도(수만천) 1338

【그림 1.2-5】 과업위치도(대아천) 1339

【그림 1.2-6】 과업위치도(운문천) 1340

【그림 1.2-7】 과업위치도(시랑천) 1341

【그림 1.2-8】 과업위치도(고산천) 1342

【그림 1.2-9】 과업위치도(대치천) 1343

【그림 1.2-10】 과업위치도(석학천) 1344

【그림 1.2-11】 과업위치도(수락천) 1345

【그림 1.2-12】 과업위치도(성북천) 1346

【그림 1.2-13】 과업위치도(구룡천) 1347

【그림 1.2-14】 과업위치도(신흥천) 1348

【그림 1.2-15】 과업위치도(용학천) 1349

【그림 1.2-16】 과업위치도(화전천) 1350

【그림 1.2-17】 과업위치도(천호천) 1351

【그림 1.2-18】 과업위치도(주치천) 1352

【그림 1.4-1】 만경강 및 동진강권역(8개) 하천기본계획 수립 현황 위치도 1354

【그림 2.1-1】 수계모식도 1358

【그림 2.1-2】 유역의 표고 및 경사 분포도 1360

【그림 2.1-3】 유역의 지질도 및 수문학적 토양군 1361

【그림 2.1-4】 유역의 토지이용 변화 1363

【그림 2.1-5】 문화재 현황도 1364

【그림 2.1-6】 고(古)지도 1365

【그림 2.1-7】 수문관측소 위치도 1366

【그림 2.2-1】 유량-총유사량 관계곡선 1370

【그림 2.2-2】 하폭 변화도 1373

【그림 2.2-3】 최심하상고 변화 1374

【그림 2.2-4】 기수립 및 금회 횡단적 변동 비교 1376

【그림 2.2-5】 과거 주요 태풍 경로도 1378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화전천, 주치천) 1396

【그림 3.1-2】 홍수량 산정지점도(천호천) 1397

【그림 4.1-1】 만경강 상류권역 유역의 계획홍수량 배분도(화전천, 천호천, 주치천) 1435

【그림 4.1-2】 제방 및 호안 표준단면도 1438

【그림 4.2-1】 물수지 모식도(2015년) 1452

【그림 4.2-2】 물수지 모식도(2020년) 1454

【그림 4.2-3】 물수지 모식도(2025년) 1456

vol.4 1616

〈그림 1.2-1〉 과업위치도 1627

〈그림 1.3-1〉 과업수행 흐름도 1632

〈그림 2.1-1〉 하천모식도 1647

〈그림 2.1-2〉 하천현황도 1648

〈그림 2.1-3〉 하천유역도 1658

〈그림 2.1-4〉 표고별 누가면적비 1660

〈그림 2.1-5〉 유역의 입체적 특성도 1674

〈그림 2.1-6〉 합·분류지점의 경계설정 현황 1685

〈그림 2.1-7〉 지질계통도(만경강) 1688

〈그림 2.1-8〉 지질계통도(용연천) 1689

〈그림 2.1-9〉 지질계통도(수만천) 1689

〈그림 2.1-10〉 지질계통도(대아천) 1689

〈그림 2.1-11〉 지질계통도(운문천) 1690

〈그림 2.1-12〉 지질계통도(시랑천) 1690

〈그림 2.1-13〉 지질계통도(고산천) 1691

〈그림 2.1-14〉 지질계통도(대치천) 1691

〈그림 2.1-15〉 지질계통도(석학천) 1692

〈그림 2.1-16〉 지질계통도(수락천) 1692

〈그림 2.1-17〉 지질계통도(성북천) 1692

〈그림 2.1-18〉 지질계통도(구룡천) 1693

〈그림 2.1-19〉 지질계통도(신흥천) 1693

〈그림 2.1-20〉 지질계통도(용학천) 1694

〈그림 2.1-21〉 지질계통도(화전천) 1694

〈그림 2.1-22〉 지질계통도(천호천) 1694

〈그림 2.1-23〉 지질계통도(주치천) 1695

〈그림 2.1-24〉 지질도 1696

〈그림 2.1-25〉 토양도 1703

〈그림 2.1-26〉 토지이용도 1719

〈그림 2.1-27〉 문화재 현황도 1734

〈그림 2.1-28〉 대동여지총도 1739

〈그림 2.1-29〉 수문관측소 위치도 1766

〈그림 2.1-30〉 월별 강수량 현황 1772

〈그림 2.1-31〉 유황곡선 1776

〈그림 2.1-32〉 평년 기상도 1780

〈그림 2.1-33〉 기상현황 1782

〈그림 2.2-1〉 하도의 종단형 1796

〈그림 2.2-2〉 마찰속도 및 무차원 소류력 비교도 1831

〈그림 2.2-3〉 수면폭/수심비 및 수심/대표입경비 비교도 1840

〈그림 2.2-4〉 유로의 평면적 변동(만경강) 1859

〈그림 2.2-5〉 유로의 평면적 변동(고산천) 1860

〈그림 2.2-6〉 유로의 평면적 변동(용연천, 대아천, 운문천) 1861

〈그림 2.2-7〉 유로의 평면적 변동(수만천) 1862

〈그림 2.2-8〉 유로의 평면적 변동(시랑천, 화전천, 주치천) 1863

〈그림 2.2-9〉 유로의 평면적 변동(대치천, 용학천, 천호천) 1864

〈그림 2.2-10〉 유로의 평면적 변동(석학천, 수락천, 성북천) 1865

〈그림 2.2-11〉 유로의 평면적 변동(구룡천, 신흥천) 1866

〈그림 2.2-12〉 하폭 비교도 1891

〈그림 2.2-13〉 최심하상고의 변화 1922

〈그림 2.2-14〉 기수립 및 금회 최심하상고 변동 비교 1928

〈그림 2.2-15〉 기수립 및 금회 횡단적 변동 비교 1946

〈그림 2.2-16〉 과거 주요 태풍경로도 1951

〈그림 2.2-17〉 수질 조사지점 위치도 1971

〈그림 2.2-18〉 계획하천 지점별 수질그래프(BOD 항목) 1991

〈그림 2.2-19〉 조사범위 및 조사지점 위치도 2012

〈그림 2.2-20〉 조사지역의 식물상 현황 2016

〈그림 2.2-21〉 조사지역의 보호수 분포도 2030

〈그림 2.2-22〉 조사지역의 노거수 분포도 2031

〈그림 2.2-23〉 수만천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I) 2066

〈그림 2.2-24〉 수만천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II) 2067

〈그림 2.2-25〉 시랑천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I) 2068

〈그림 2.2-26〉 시랑천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II) 2069

〈그림 2.2-27〉 수만천 식생보전등급도(I) 2071

〈그림 2.2-28〉 수만천 식생보전등급도(II) 2072

〈그림 2.2-29〉 시랑천 식생보전등급도(I) 2073

〈그림 2.2-30〉 시랑천 식생보전등급도(II) 2074

〈그림 2.2-31〉 포유류 법정보호종 흔적사진(I) 2081

〈그림 2.2-32〉 포유류 법정보호종 흔적사진(II) 2082

〈그림 2.2-33〉 양서·파충류 개체사진 2084

〈그림 2.2-34〉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종합결과 2088

〈그림 2.2-35〉 조류 개체사진(춘계-I) 2092

〈그림 2.2-36〉 조류 개체사진(춘계-II) 2093

〈그림 2.2-37〉 조류 개체사진(하계) 2094

〈그림 2.2-38〉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만경강) 2095

〈그림 2.2-39〉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용연천) 2096

〈그림 2.2-40〉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수만천) 2097

〈그림 2.2-41〉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대아천) 2098

〈그림 2.2-42〉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운문천) 2099

〈그림 2.2-43〉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시랑천) 2100

〈그림 2.2-44〉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고산천) 2101

〈그림 2.2-45〉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대치천) 2102

〈그림 2.2-46〉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석학천) 2103

〈그림 2.2-47〉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수락천) 2104

〈그림 2.2-48〉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성북천) 2105

〈그림 2.2-49〉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구룡천) 2106

〈그림 2.2-50〉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신흥천) 2107

〈그림 2.2-51〉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용학천) 2108

〈그림 2.2-52〉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화전천) 2109

〈그림 2.2-53〉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천호천) 2110

〈그림 2.2-54〉 분류군별 종조성비, 개체수조성비, 상대풍부도 및 군집지수(주치천) 2111

〈그림 2.2-55〉 육상곤충 개체사진(춘계-I) 2136

〈그림 2.2-56〉 육상곤충 개체사진(춘계-II) 2137

〈그림 2.2-57〉 육상곤충 개체사진(춘계-III) 2138

〈그림 2.2-58〉 육상곤충 개체사진(하계-I) 2139

〈그림 2.2-59〉 육상곤충 개체사진(하계-II) 2140

〈그림 2.2-60〉 육상곤충 개체사진(하계-III) 2141

〈그림 2.2-61〉 어류 개체사진(I) 2157

〈그림 2.2-62〉 어류 개체사진(II) 2158

〈그림 2.2-63〉 채집된 어종의 개체수 상대풍부도(1차 조사) 2161

〈그림 2.2-64〉 채집된 어종의 개체수 상대풍부도(2차 조사) 2162

〈그림 2.2-65〉 각 조사지점의 어류 군집지수(1차 조사) 2166

〈그림 2.2-66〉 각 조사지점의 어류 군집지수(2차 조사) 2167

〈그림 2.2-67〉 각 조사지점의 어류평가지수(FAI)(1차 조사) 2168

〈그림 2.2-68〉 각 조사지점의 어류평가지수(FAI)(2차 조사) 2169

〈그림 2.2-69〉 퉁사리 복원지역에서 채집된 퉁사리 개체수 2174

〈그림 2.2-70〉 퉁사리 복원지역에서 실시한 정밀조사 구간 2174

〈그림 2.2-71〉 퉁사리 채집지역의 수환경 변화 2175

〈그림 2.2-72〉 전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종수 2179

〈그림 2.2-73〉 전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각 분류군별 수서곤충 종수 2179

〈그림 2.2-74〉 전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개체수 2180

〈그림 2.2-75〉 전 조사지점에서 확인된 각 분류군별 수서곤충 개체수 2180

〈그림 2.2-76〉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개체사진 2191

〈그림 2.2-77〉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1차 조사) 2197

〈그림 2.2-78〉 각 조사지점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2차 조사) 2198

〈그림 2.2-79〉 각 조사지점의 저서동물지수(BMI)(1차 조사) 2200

〈그림 2.2-80〉 각 조사지점의 저서동물지수(BMI)(2차 조사) 2200

〈그림 2.2-8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 특성을 이용한 유사도 분석 2201

〈그림 2.2-82〉 부착조류 개체사진 2219

〈그림 2.2-83〉 법정보호종 분포도 - 문헌 2224

〈그림 2.2-84〉 포유류 법정보호종 분포도 - 현지 2225

〈그림 2.2-85〉 조류 법정보호종 분포도 - 현지 2226

〈그림 2.2-86〉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시랑천) 2227

〈그림 2.2-87〉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고산천) 1/4 2227

〈그림 2.2-88〉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고산천) 2/4 2228

〈그림 2.2-89〉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고산천) 3/4 2228

〈그림 2.2-90〉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고산천) 4/4 2229

〈그림 2.2-91〉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구룡천) 2229

〈그림 2.2-92〉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용연천) 1/2 2230

〈그림 2.2-93〉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용연천) 2/2 2230

〈그림 2.2-94〉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만경강) 2231

〈그림 2.2-95〉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수만천) 2231

〈그림 2.2-96〉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수락천) 2232

〈그림 2.2-97〉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대치천) 1/2 2232

〈그림 2.2-98〉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대치천) 2/2 2233

〈그림 2.2-99〉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석학천) 2233

〈그림 2.2-100〉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용학천) 2234

〈그림 2.2-101〉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천호천) 2234

〈그림 2.2-102〉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대아천) 2235

〈그림 2.2-103〉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화전천) 2235

〈그림 2.2-104〉 수달 출현위치도 - 현지(운문천) 2236

〈그림 2.2-105〉 삵 출현위치도 - 현지(용학천) 2236

〈그림 2.2-106〉 삵 출현위치도 - 현지(석학천) 2237

〈그림 2.2-107〉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시랑천) 2237

〈그림 2.2-108〉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만경강) 1/4 2238

〈그림 2.2-109〉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만경강) 2/4 2238

〈그림 2.2-110〉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만경강) 3/4 2239

〈그림 2.2-111〉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만경강) 4/4 2239

〈그림 2.2-112〉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수락천) 2240

〈그림 2.2-113〉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고산천) 2240

〈그림 2.2-114〉 법정보호종(조류) 출현위치도 - 현지(구룡천) 2241

〈그림 2.2-115〉 조사구간의 생태자연도 2242

〈그림 2.3-1〉 대아지구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 계획도 2258

〈그림 3.1-1〉 홍수량 산정지점도 2275

〈그림 3.1-2〉 Thiessen망도 2284

〈그림 3.1-3〉 호우사상별 위성영상 2290

〈그림 3.1-4〉 면적강우량 및 누가우량 분포 2292

〈그림 3.1-5〉 흔적수위 조사 및 계산수위 검토 결과 2304

〈그림 3.1-6〉 강우분석 절차 2311

〈그림 3.1-7〉 고산관측소와 전주기상대간의 티센망도 2313

〈그림 3.1-8〉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2316

〈그림 3.1-9〉 고산관측소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IDF)곡선(전대수 다항식) 2332

〈그림 3.1-10〉 Huff 방법의 무차원 누가곡선 2336

〈그림 3.1-11〉 CN 분포도(AMC-III) 2347

〈그림 3.1-12〉 Clark 단위도의 개념 2349

〈그림 3.1-13〉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2352

〈그림 3.1-14〉 NRCS 무차원단위도 2361

〈그림 3.1-15〉 Snyder 합성단위도 2364

〈그림 3.1-16〉 홍수위 상승시 및 하강시 하도구간 저류량의 형태 변화 2369

〈그림 3.1-17〉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한 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 2372

〈그림 3.1-18〉 인접 상·하류의 홍수량 역전 현상 발생 사유 2394

〈그림 3.1-19〉 대아저수지 둑높이기사업 모식도 2400

〈그림 3.1-20〉 수위-내용적 곡선(대아, 경천, 동상저수지) 2402

〈그림 3.1-21〉 계획홍수량 배분도 2409

〈그림 3.1-22〉 인근수계 홍수량과의 비교 2431

〈그림 3.1-23〉 만경강(지방) 및 고산천(지방) 합류부 현황 2443

〈그림 3.1-24〉 축차계산단면 2466

〈그림 3.1-25〉 계획하폭 산정도 2524

〈그림 3.1-26〉 하상시료채취 위치도 2530

〈그림 3.1-27〉 입도분포곡선-만경강 2543

〈그림 3.1-28〉 오성교 전경 및 수위계 2607

〈그림 3.1-29〉 유사량 측정 현장사진 2608

〈그림 3.1-30〉 총유사량 추정결과 2609

〈그림 3.1-31〉 유량-부유사량 관계곡선 2611

〈그림 3.1-32〉 유량-총유사량관계곡선 2612

〈그림 3.1-33〉 HEC-6의 계산 격자 구성 2622

〈그림 3.1-34〉 유량의 분할(1년) 2624

〈그림 3.1-35〉 평형하상고 2694

〈그림 3.1-36〉 고정보 및 낙차공 능력검토 제원도 2750

〈그림 3.1-37〉 자연형 보 및 낙차공 예시도 2761

〈그림 3.1-38〉 어도의 입구가 적정한 예 2764

〈그림 3.1-39〉 부적정한 어도의 위치 2765

〈그림 3.2-1〉 Tank 모형의 저수유출과정 2811

〈그림 3.2-2〉 수자원 부존량의 구성 2849

〈그림 3.2-3〉 용수량 산정지점도 2864

〈그림 3.2-4〉 생활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2884

〈그림 3.2-5〉 농업용수 수요추정 흐름도 2898

〈그림 3.2-6〉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방법 2898

〈그림 3.2-7〉 용수수요량 총괄 2915

〈그림 4.1-1〉 제방·호안 계획단면도 3063

〈그림 4.1-2〉 침사지 표준단면도 및 현황사진 3075

〈그림 4.1-3〉 오탁방지막 표준단면도 및 현황사진 3075

〈그림 4.1-4〉 모니터링 계획 3078

〈그림 4.2-1〉 연도별 가뭄발생 순위 3089

〈그림 4.2-2〉 기준갈수년에 대한 목표연도별 연중 용수수요량 및 용수부족량의 변화 3091

〈그림 4.2-3〉 분구별 물부족량 추정 현황도 3109

〈그림 4.2-4〉 물수지 모식도(2015년) 3136

〈그림 4.2-5〉 물수지 모식도(2020년) 3145

〈그림 4.2-6〉 물수지 모식도(2025년) 3154

〈그림 4.2-7〉 용수공급관리 대책방안 3163

〈그림 4.3-1〉 수질보전 전략의 형성체계 3167

〈그림 4.3-2〉 하천별 모식도 3177

〈그림 4.3-3〉 수질모델 보정 및 검증 결과 3186

〈그림 4.3-4〉 하천별 장래 말단 수질변화 예측결과 3205

〈그림 4.3-5〉 수질개선 대책사업의 분류 3214

〈그림 4.3-6〉 마을하수처리장 처리계통 모식도 3215

〈그림 4.4-1〉 하천공간 정비계획의 전체 흐름도 3221

〈그림 4.4-2〉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만경강) 3227

〈그림 4.4-3〉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만경강) 3228

〈그림 4.4-4〉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용연천) 3248

〈그림 4.4-5〉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용연천) 3249

〈그림 4.4-6〉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수만천) 3255

〈그림 4.4-7〉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수만천) 3256

〈그림 4.4-8〉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대아천) 3261

〈그림 4.4-9〉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대아천) 3262

〈그림 4.4-10〉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운문천) 3267

〈그림 4.4-11〉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운문천) 3268

〈그림 4.4-12〉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시랑천) 3275

〈그림 4.4-13〉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시랑천) 3276

〈그림 4.4-14〉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고산천) 3281

〈그림 4.4-15〉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고산천) 3282

〈그림 4.4-16〉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대치천) 3299

〈그림 4.4-17〉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대치천) 3300

〈그림 4.4-18〉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석학천) 3304

〈그림 4.4-19〉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석학천) 3305

〈그림 4.4-20〉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수락천) 3311

〈그림 4.4-21〉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수락천) 3312

〈그림 4.4-22〉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성북천) 3318

〈그림 4.4-23〉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성북천) 3319

〈그림 4.4-24〉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구룡천) 3325

〈그림 4.4-25〉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구룡천) 3326

〈그림 4.4-26〉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신흥천) 3335

〈그림 4.4-27〉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신흥천) 3336

〈그림 4.4-28〉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용학천) 3340

〈그림 4.4-29〉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용학천) 3341

〈그림 4.4-30〉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화전천) 3349

〈그림 4.4-31〉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화전천) 3350

〈그림 4.4-32〉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천호천) 3354

〈그림 4.4-33〉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천호천) 3355

〈그림 4.4-34〉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 일람도(주치천) 3365

〈그림 4.4-35〉 하천공간 지구별 관리계획도(주치천) 3366

〈그림 5.1-1〉 치수경제성분석 지구별 위치도 3380

〈그림 5.1-2〉 피해액(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3387

〈그림 5.1-3〉 AHP 기법의 분석과정 3414

〈그림 5.1-4〉 치수사업 투자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계층도 3415

〈그림 5.1-5〉 평가기준별 가중치 3418

〈그림 6.2-1〉 홍수관리구역의 설정-하천기본계획 수립 구간 3450

〈그림 6.2-2〉 여울과 소(웅덩이)의 종단 및 평면구조 3453

〈그림 6.2-3〉 자연형 여울 예시도 3454

〈그림 6.2-4〉 제방법면 식재표준단면도 3460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88171 627.12 -18-2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2 627.12 -18-2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3 627.12 -18-2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4 627.12 -18-2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5 627.12 -18-2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6 627.12 -18-21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7 627.12 -18-21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88178 627.12 -18-21 v.4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