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제도(가칭) 운영방안 연구 [전자자료] / 안보경영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방부,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11
제어번호
MONO1201813659
주기사항
[제출처]: 국방부
연구수행기관: 안보경영연구원
연구책임자: 유형곤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42

1. 연구배경 및 목적 42

2. 연구범위 44

3. 기존 타 유사 정책연구 대비 본 연구의 차별성 46

제2장 최근의국방분야환경의변화와민군협력활성화기조 60

1. 국방분야의 거시적 환경변화 종합(PEST Framework) 60

2. 국방분야 환경변화 항목별 세부 내용 62

3. 타 국가의 민군기술협력 추진현황과 시사점 71

제3장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개요 및 기대효과 99

1. 국방기술개발사업 구성 및 운영 현황 99

2. 정출연을 활용한 첨단 국방기술역량 강화 추진 시 저해요인 104

3.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개념 및 효과성 118

제4장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전 순기 수행체계 설계방안 126

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수행체계 설계 원칙 126

2. 정출연주관기술개발사업단계별업무절차및이해관계자별업무분장 129

제5장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유망 기술분야 선정(안) 135

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유망 기술분야 선정 개요 및 필요성 135

2. 기술분야별 유망 기술분야 선정 결과 137

제6장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제도 신설 추진 이행로드맵 149

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정착을 위한 쟁점사항 및 해소방안 149

2. 향후 전력지원체계 분야로의 확대 방안 151

3. 관련 법령ㆍ규정 제ㆍ개정(안) 155

4. 시기별 이행로드맵 종합 161

제7장 결론 164

참고문헌 166

[부록 1] 정출연연구자대상국방기술개발사업참여관련설문조사 결과 169

[부록 2] 정출연별국방기술개발과제중점참여가능분야조사결과 193

[부록 3]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관련 FAQ 209

〈표 1-1〉 최근 이루어진 본 연구와의 유사 정책연구 사례(2011년 이후) 46

〈표 1-2〉 정부 출연연 참여 저해요인 우선순위에 대한 기관별 설문조사 결과 비교 48

〈표 1-3〉 기존 연구에서 민군기술협력 유망기술분야 선정기준 조사 방법 49

〈표 1-4〉 기존 연구에서 민군기술협력 유망기술분야에 대한 투자 우선순위(9개 기술분야) 50

〈표 1-5〉 기존 연구에서 국방활용 기술조사 대상 기관 51

〈표 1-6〉 기존 연구에서 기술의 주요 특성 항목구성 상세 52

〈표 1-7〉 기존 연구에서 민간 정출연 보유 국방활용가능 기술조사정보 52

〈표 1-8〉 '13년 착수 민군융합기술연구사업 과제 내역 54

〈표 1-9〉 2016년도 민군융합기술연구사업 신규과제 선정 결과 55

〈표 1-10〉 민군융합기술연구사업 추진체계 개선 이행로드맵 55

〈표 1-11〉 정출연 대상 민간기술 활용성 조사 항목 57

〈표 1-12〉 유망 민간기술의 군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한 이행로드맵 57

〈표 1-13〉 기존 유사 정책연구 대비 본 연구의 차별성 59

〈표 2-1〉 국방연구개발 예산 추이 64

〈표 2-2〉 국내 4차 산업혁명 관련 전략적 투자범위 67

〈표 2-3〉 '18년 대상 국방연구개발예산 배분ㆍ조정 내역 69

〈표 2-4〉 국방과학기술진흥정책 상 민ㆍ군기술협력 활성화 이행과제 70

〈표 2-5〉 미국의 국방예산과 국방연구개발비 추이 72

〈표 2-6〉 미국 국방 목록화 및 표준화 법에서의 국방부 장관의 표준화 의무사항 72

〈표 2-7〉 미 국방부의 민군기술협력 관련 사업 현황('10~'12년) 73

〈표 2-8〉 DIUx를 통한 획득절차와 일반 획득절차와의 비교 75

〈표 2-9〉 DIUx 사업의 전 순기 수행체계 75

〈표 2-10〉 CRADA의 기대효과(benefit) 78

〈표 2-11〉 Military-Use CRADA의 개념 79

〈표 2-12〉 미 국방부 산하 기관의 CRADA 적용 시 고려사항 79

〈표 2-13〉 CRADA 단계별 수행 내용 80

〈표 2-14〉 이스라엘 산업무역노동부 수석과학자실의 R&D 추진단계 83

〈표 2-15〉 이스라엘의 민군기술협력 관련 사업 내역 83

〈표 2-16〉 MAGNET 사업의 지원 시 전제조건 85

〈표 2-17〉 MAGNET 사업의 컨소시움 운영원칙 : Model Principles 85

〈표 2-18〉 MAGNET 위원회 구성내역 86

〈표 2-19〉 MAGNET 사업의 주요 특징 86

〈표 2-20〉 MEIMAD 위원회 구성내역 87

〈표 2-21〉 MEIMAD 사업의 정부 지원비율 88

〈표 2-22〉 프랑스 병기본부의 임무ㆍ기능 변화 90

〈표 2-23〉 30-year Plan(PP30) 및 민군기술협력 간 관계도 91

〈표 2-24〉 프랑스의 국방 R&D 예산구조별 민군기술협력 예산 내역(2012년) 91

〈표 2-25〉 프랑스 병기본부 및 국립연구청 간 민군기술협력 확대 추이 93

〈표 2-26〉 ASTRID 사업의 예산지원 기준 94

〈표 2-27〉 프랑스 ASTRID 프로그램의 선정내역 94

〈표 2-28〉 RAPID 사업의 예산지원 규모 95

〈표 2-29〉 RAPID 사업의 예산투입 비율(2010년) 95

〈표 2-30〉 민군협력연구(Recherche-duale) 수행내역 96

〈표 2-31〉 민군협력연구(Recherche-duale) 내 중소기업 수행과제 비율 96

〈표 2-32〉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병기본부, 합참)의 민군협력연구 추진내역 96

〈표 2-33〉 국내ㆍ외 민군기술협력사업 추진현황과의 비교 및 주요 특징 97

〈표 3-1〉 국방기술개발사업 형태별 소개 100

〈표 3-2〉 일반기초연구 특성 101

〈표 3-3〉 순수기초연구 특성 101

〈표 3-4〉 국제공동기초연구 특성 101

〈표 3-5〉 특화연구실 특성 102

〈표 3-6〉 특화연구센터 특성 102

〈표 3-7〉 응용연구 특성 102

〈표 3-8〉 시험개발 특성 103

〈표 3-9〉 2017~2031 대상 핵심기술과제 현황 103

〈표 3-10〉 정출연별 운영 현황 종합('15년 기준) 105

〈표 3-11〉 정출연 보유 군 활용가능 기술 식별건수 및 완료 건수 107

〈표 3-12〉 2016년도 무기체계별 민간기술 활용성 분석 시 유망 정출연 보유 기술 목록 108

〈표 3-13〉 정출연의 국방기술개발사업 참여 저해요인 종합 109

〈표 3-14〉 국방연구개발사업에 의한 지식재산권 소유권에 대한 방위사업법 개정 조항 110

〈표 3-15〉 국방연구개발사업에서의 지식재산권 소유권 제도개선 내역 111

〈표 3-16〉 전문연구기관에 대한 핵심기술과제 수의계약 근거 조항 111

〈표 3-17〉 2015년 전문연구기관 지정 현황(정출연만 기재) 112

〈표 3-18〉 방위사업법 상 성실실패제도 근거 조항 추가내역 114

〈표 3-19〉 최근의 정출연 Spin-On 활성화 제도개선 사항과 정출연의 기대수준 115

〈표 3-20〉 정출연의 국방사업 참여제한 요소별 최근의 제도개선 사항의 충족도 116

〈표 3-21〉 선도형 핵심기술사업 제안 실적 및 기획연구 대상과제 선정 실적(2016년 기준) 117

〈표 3-22〉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대상 기관 범주 119

〈표 3-23〉 정출연의국방사업참여제한요소별 "정출연주관기술개발사업" 제도의충족도검토결과 122

〈표 4-1〉 정출연의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주요 특징 126

〈표 4-2〉 정출연의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단계별 추진 방안(안) 128

〈표 4-3〉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민수부처 공동/단독투자 과제의 사전기획연구 범위(안) 130

〈표 4-4〉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과제 착수방식 131

〈표 4-5〉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 선정 방식 132

〈표 4-6〉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과제관리 및 평가 방식 133

〈표 4-7〉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지식재산권 및 기술료(Royalty) 제도 134

〈표 5-1〉 정출연 주관 유망기술분야 지정ㆍ운영에 따른 장ㆍ단점 136

〈표 5-2〉 국방과학기술표준분류별 기술수준 및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39

〈표 5-3〉 센서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1

〈표 5-4〉 정보통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2

〈표 5-5〉 제어/전자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3

〈표 5-6〉 탄약/에너지 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4

〈표 5-7〉 추진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5

〈표 5-8〉 화생방 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6

〈표 5-9〉 소재 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7

〈표 5-10〉 플랫폼/구조 기술 분야 중점 기술분야(소분류)별 연구기반지수 산출 내역 148

〈표 6-1〉 본 사업 추진 시 기존 국방기관과의 쟁점사항과 해소 방안 149

〈표 6-2〉 본 사업 추진 시 타 민간연구기관과의 쟁점사항과 해소 방안 150

〈표 6-3〉 전력지원체계 기술개발 환경 현황 및 미비점 153

〈표 6-4〉 전력지원체계 분야에 대한 정출연의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단계별 추진 방안(안) 154

〈표 6-5〉 정출연 등 민간기관 소유 지식재산권 활용에 따른 기술료 제공 근거 조항 155

〈표 6-6〉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추진을 방위사업관리규정 개정(안) 156

〈표 6-7〉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업무처리 지침 조항 구성(안) 158

〈표 6-8〉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도입을 위한 이행로드맵 161

〈표 6-9〉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관련 지식재산권 및 기술료 제도 정비 이행로드맵 162

〈표 6-10〉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신설 공감대 형성을 위한 이행로드맵 162

〈표 6-1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성과 향상을 위한 과기정통부/정출연 대상 협조요청 사항 163

[그림 1-1] 기존 연구에서의 민군기술협력 유망기술분야 선정 절차 49

[그림 1-2] 기존 연구에서의 정출연 보유기술의 민간기술 활용성(Spin-On) 영향 요소 56

[그림 2-1] 최근의 국방분야 환경의 변화 종합 61

[그림 2-2] 킬체인(Kill Chain) 구축 체계도 63

[그림 2-3] 한반도 주변국의 군사력 수준 63

[그림 2-4] 국방연구개발 예산 중 산학연 주관과제 예산 비중(2015년 기준) 65

[그림 2-5] 지능정보기술과 타 산업ㆍ기술과의 융합 예시 66

[그림 2-6] 정부의 4차 산업혁명 R&D 투자 매트릭스 사례 68

[그림 2-7] 국방과학기술 비전 및 정책목표 69

[그림 2-8] 프랑스의 국방 R&D 상 민군기술협력 프로세스 92

[그림 3-1] 무기체계 연구개발과 국방기술개발과의 연계도 99

[그림 3-2]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운영 현황 104

[그림 3-3] 과학기술분야 25개 정출연의 예산 추이(최근 5년간) 106

[그림 3-4] 전문연구기관 활용 업무 수행 절차도 112

[그림 3-5] 공개대상 핵심기술과제 정보 확대 사례 113

[그림 3-6] 국방기술로드맵 상 핵심기술 및 과제 현황 소개 내용 예시 113

[그림 3-7]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의 개념 118

[그림 3-8] 정출연 보유기술의 기술개발 단계(1단계~9단계) 사례 119

[그림 3-9] 정출연 연구자 대상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에 대한 기대효과 조사 결과 123

[그림 4-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투자주체별 추진 절차 129

[그림 5-1]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유망 기술분야 개념 135

[그림 5-2] 정출연 주관 기술개발사업 유망 기술분야 선정 기준 137

[그림 5-3] 기술수준 및 연구기반지수를 적용한 유망 기술분야 식별 내역 138

[그림 5-4] 센서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1

[그림 5-5] 정보통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2

[그림 5-6] 제어/전자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3

[그림 5-7] 탄약/에너지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4

[그림 5-8] 추진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5

[그림 5-9] 화생방 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6

[그림 5-10] 소재 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7

[그림 5-11] 플랫폼/구조 기술 분야 내 유망 기술분야(소분류) 식별 내역 148

[그림 6-1] 전력지원체계와 무기체계 간 비교 151

[그림 6-2] 국방기술개발사업 관련 법제 구조 변경 내역 15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