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호암천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 경상북도 [편] 인기도
발행사항
안동 : 경상북도, 2017
청구기호
627.12 -18-2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쪽수복잡) : 삽화, 도표,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815904
주기사항
[연구기관]: (주)한국종합기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과업의 개요 23

1.1. 과업의 목적 24

1.1.1. 하천기본계획 24

1.1.2.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24

1.2. 과업의 범위 26

1.3. 주요 내용 27

1.3.1. 작업계획 수립 및 현지답사 27

1.3.2. 하천측량 27

1.3.3. 하천기본계획 27

1.3.4. 하천시설관리대장 작성 28

1.3.5. 의견수렴 및 자문 28

1.4. 유역종합치수계획 및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29

제2장 하천측량 30

2.1. 일반사항 31

2.2. 골조측량 31

2.3. 도근측량 31

2.4. 수준측량 33

2.4.1. 수준 및 종단측량 33

2.5. 지형 현황 측량 36

2.5.1. 노선측량 36

제3장 하천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38

3.1. 일반현황 39

3.1.1. 유역의 일반현황 39

3.1.2. 유역의 자연현황 49

3.1.3. 유역의 사회·역사·문화적 현황 57

3.2. 수문 조사 71

3.2.1. 수문관측 현황 71

3.2.2. 수문관측기록 76

3.2.3. 기상 90

3.3. 하도 특성조사 93

3.3.1. 하도현황 조사 93

3.3.2. 하도의 평면형 94

3.3.3. 하도의 횡단형 95

3.3.4. 하상변동 양상 102

3.4. 하천사업의 연혁 및 피해현황 110

3.4.1. 하천개수 현황 110

3.4.2. 기성제 현황 110

3.4.3. 수해 및 가뭄피해 현황 111

3.5. 하천의 이용현황 153

3.5.1. 유수의 이용현황 153

3.5.2. 관광·위락 등 공간이용현황 156

3.6. 하천의 환경현황 168

3.6.1. 대기환경 168

3.6.2. 수질 환경 170

3.6.3. 하천의 생태환경 186

3.7. 관련계획 검토 273

3.7.1. 하천기본계획 273

제4장 홍수량 및 홍수위 산정 288

4.1.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289

4.1.1. 기본방향 289

4.1.2. 홍수량 산정지점 289

4.1.3. 강우분석 293

4.1.4. 지점확률강우량 산정 319

4.1.5.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322

4.1.6.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 322

4.1.7. 유효우량 분석 324

4.1.8. 홍수량 산정 331

4.2. 홍수위 산정 360

4.2.1. 계산방법 360

4.2.2. 홍수위 산정을 위한 자료의 선정 364

4.2.3. 기점 홍수위 370

4.2.4. 홍수위 계산 371

제5장 하상변동 분석 381

5.1. 하상재료 조사 382

5.1.1. 조사방법 382

5.1.2. 조사지점과 시료채취 382

5.1.3. 실험실 분석 384

5.2. 하천 유사량 조사 386

5.2.1. 유사량 측정방법 387

5.2.2. 경험공식에 의한 유사량 추정방법 387

5.2.3. 유사량 산정결과 391

5.3. 하상변동 및 하도안정 분석 394

5.3.1. 하상변동 원인 분석 394

5.3.2. 장래하상변동 예측 및 평형하상경사 검토 396

5.3.3. 하상변동 결과 검토 및 원인분석 407

5.3.4. 안정하도 유지대책 407

제6장 용수수요량 예측 및 물수지 분석 410

6.1. 용수수급현황의 파악 411

6.1.1. 용수이용 현황 411

6.2. 용수수요량 예측 417

6.2.1. 생활용수 417

6.2.2. 공업용수 423

6.2.3. 농업용수 423

6.2.4. 용수 수요 총괄 426

6.3. 물수지 분석 428

6.3.1. 갈수량 428

6.3.2. 물수지 분석 428

6.4. 용수수급계획 433

제7장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방향 설정 435

7.1. 하천의 종합적인 정비 및 이용에 관한 기본방향 436

7.1.1. 치수 측면 438

7.1.2. 이수 측면 439

7.1.3. 하천환경측면 439

7.2. 홍수처리계획의 기본 방향 441

7.3. 유수의 합리적인 이용에 관한 기본 방향 444

7.4. 하천환경관리에 관한 기본 방향 444

7.4.1. 하천환경관리 기본 방향 444

7.4.2. 하천환경관리 기본 목표 445

7.4.3. 하천환경 정비 방향 446

7.5. 바람직한 하천 모습 설정 456

제8장 하천의 정비·이용 보전에 관한 사항 458

8.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459

8.1.1. 하천의 지구별 관리계획 수립 459

8.1.2. 기능공간별 도입시설물계획 476

8.1.3. 주요 하천공간 요소별 관리계획 480

8.2. 하도계획 486

8.2.1. 일반사항 486

8.2.2. 평면계획 490

8.2.3. 종단계획 492

8.2.4. 횡단계획 493

8.2.5. 구간별 하천현황 및 하도계획 494

8.3. 하천시설물 계획 498

8.3.1. 하천시설물 현황 498

8.3.2. 하천종단 시설물의 능력검토 및 설치방향 501

8.4. 경제성 분석 577

8.4.1. 목적과 범위 577

8.4.2. 피해액 조사 580

8.4.3. 치수경제성 분석 588

제9장 하천의 환경에 관한 사항 596

9.1. 수환경 보전 대책 597

9.1.1. 기본방향 597

9.1.2. 수환경보전 계획의 목표 설정 597

9.1.3. 수량확보방안 607

9.1.4. 장래수질예측 609

9.1.5. 하천수질 개선대책 618

9.2. 환경영향 검토(내용없음) 8

9.2.1. 자연환경 및 생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저감대책(내용없음) 8

9.2.2. 기타 환경성 검토에 필요한 당해 유역의 특성(내용없음) 8

제10장 하천의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 625

10.1. 하천구역, 하천예정지 및 홍수관리구역 결정 626

10.1.1. 하천구역 626

10.1.2. 하천예정지 설정방법 627

10.1.3. 홍수관리구역 설정방법 627

10.2. 고수부지 및 폐천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28

10.2.1. 고수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28

10.2.2. 폐천부지 현황 및 이용방안 628

10.3. 하도 유지관리 계획 629

10.3.1. 퇴적토 준설계획 629

10.3.2. 하도 유지관리 계획 629

10.4. 기타 637

10.4.1. 하천기본계획 고시현황 637

10.4.2. 구간조정 637

제11장 효과분석 및 건의사항 638

11.1. 종합적인 효과분석 639

11.1.1. 기본사항 639

11.1.2. 효과 분석 639

11.2. 건의사항 641

제12장 기타사항 643

12.1. 자문의견(1차)에 대한 조치계획 644

12.2. 자문의견(2차) 및 주민설명회 662

12.3. 전략환경영향평가(본안) 협의결과 673

12.4. 관계기관 협의의견에 대한 조치계획 678

12.5. 자문의견(3차)에 대한 조치계획 684

12.6. 지방하천관리위원회 심의 조치결과 693

부도 745

평면도 745

종단면도 756

횡단면도 763

〈표 1.2-1〉 과업의 범위 26

〈표 1.4-1〉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29

〈표 2.3-1〉 삼각점 성과표 32

〈표 2.3-2〉 도근점 성과표 32

〈표 2.4-1〉 수준점 성과표 33

〈표 2.4-2〉 표석성과표 34

〈표 3.1-1〉 수계별 하천현황 40

〈표 3.1-2〉 주요지점별 평면적 특성 42

〈표 3.1-3〉 표고별 누가면적 구성비 43

〈표 3.1-4〉 평균표고 및 평균경사 45

〈표 3.1-5〉 방향성 분석 결과 46

〈표 3.1-6〉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48

〈표 3.1-7〉 토양종류별 특성 51

〈표 3.1-8〉 수문학적 토양군 52

〈표 3.1-9〉 토양군 분류 54

〈표 3.1-10〉 소유권별 임야면적 55

〈표 3.1-11〉 임상별 임야면적 55

〈표 3.1-12〉 토지이용 현황 56

〈표 3.1-13〉 행정구역 현황 57

〈표 3.1-14〉 행정구역별 인구 및 가구현황 58

〈표 3.1-15〉 금회 사업구간 시군별 도로 현황 58

〈표 3.1-16〉 문화재 등록 현황 63

〈표 3.1-17〉 호암천 유역 내 문화재 현황 64

〈표 3.2-1〉 수문관측소 현황 71

〈표 3.2-2〉 기상관측소 현황 73

〈표 3.2-3〉 강우관측소 일람 74

〈표 3.2-4〉 우량관측기록 보유현황 74

〈표 3.2-5〉 수위관측소 현황 75

〈표 3.2-6〉 수위관측기록 보유현황 75

〈표 3.2-7〉 월평균 및 연평균 강우량 분석 76

〈표 3.2-8〉 관측소별 지속기간별 최대우량 관측기록 77

〈표 3.2-9〉 일평균최고수위 78

〈표 3.2-10〉 시간최고수위 78

〈표 3.2-11〉 수위-유량관계식 79

〈표 3.2-12〉 비유량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모아관측소) 80

〈표 3.2-13〉 포항관측소 최근 10년간 평균증발산량 84

〈표 3.2-14〉 탱크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85

〈표 3.2-15〉 탱크모형에 의한 월별 평균유출량 85

〈표 3.2-16〉 방법별 월평균 유출량 비교 87

〈표 3.2-17〉 수자원 부존량 88

〈표 3.2-18〉 각 방법별 유황분석 결과 89

〈표 3.2-19〉 기타 지방하천 유황분석 결과 90

〈표 3.2-20〉 포항관측소 기상현황 91

〈표 3.3-1〉 과업의 범위 94

〈표 3.3-2〉 하도의 만곡부 현황 95

〈표 3.3-3〉 하천횡단면의 특성 95

〈표 3.3-4〉 하천 구간별 현황 96

〈표 3.3-4〉 하천 구간멸 하폭 및 저수로폭 102

〈표 3.3-5〉 하천 구간별 하상고 및 하상경사 103

〈표 3.4-1〉 하천개수 현황 110

〈표 3.4-2〉 경주시 제방 현황 110

〈표 3.4-3〉 기성제 현황 110

〈표 3.4-4〉 풍수해 현황(2001~2012년) 113

〈표 3.4-5〉 인명피해 종합 114

〈표 3.4-6〉 풍수해 종합 114

〈표 3.4-7〉 주요 풍수해 호우사상 115

〈표 3.4-8〉 태풍발생 현황(경주시) 115

〈표 3.4-9〉 피해 현황(2002년 태풍 루사) 118

〈표 3.4-10〉 경주시 복구사업 현황(2002년 태풍 루사) 120

〈표 3.4-11〉 읍면동별 복구사업 현황(2002년 태풍 루사) 121

〈표 3.4-12〉 피해 시설별 복구사업 현황(2002년 태풍 루사) 122

〈표 3.4-13〉 피해 현황(2003년 태풍 매미) 124

〈표 3.4-14〉 경주시 복구사업 현황(2003년 태풍 매미) 126

〈표 3.4-15〉 읍면동별 복구사업 현황(2003년 태풍 매미) 127

〈표 3.4-16〉 피해 시설별 복구사업 현황(2003년 태풍 매미) 128

〈표 3.4-17〉 피해 현황(2005년 태풍 나비) 131

〈표 3.4-18〉 복구사업 현황(2005년 태풍 나비) 133

〈표 3.4-19〉 읍면동별 복구사업 현황(2005년 태풍 나비) 134

〈표 3.4-20〉 피해 시설별 복구사업 현황(2005년 태풍 나비) 135

〈표 3.4-21〉 피해 현황(2006년 태풍 에위니아) 138

〈표 3.4-22〉 복구사업 현황(2006년 태풍 에위니아) 140

〈표 3.4-23〉 읍면동별 복구사업 현황(2006년 태풍 에위니아) 141

〈표 3.4-24〉 피해 시설별 복구사업 현황(2006년 태풍 에위니아) 142

〈표 3.4-25〉 복구사업 현황(2012년 태풍 산바) 145

〈표 3.4-25〉 복구사업 현황(2012년 태풍 산바)(계속) 145

〈표 3.4-26〉 읍면동별 복구사업 현황(2012년 태풍 산바) 146

〈표 3.4-27〉 피해 시설별 복구사업 현황(2012년 태풍 산바) 147

〈표 3.4-28〉 3~6월의 순별 강수량 150

〈표 3.4-29〉 가뭄대책 151

〈표 3.5-1〉 상수도 이용현황 153

〈표 3.5-2〉 생활용수 급수사용량 153

〈표 3.5-3〉 수리시설물 현황 154

〈표 3.5-4〉 저수지 현황 154

〈표 3.5-5〉 양수장 현황 155

〈표 3.5-6〉 보 현황 156

〈표 3.6-1〉 조사지점 위치 168

〈표 3.6-2〉 대기질 현황 조사결과 168

〈표 3.6-3〉 수질 조사항목 170

〈표 3.6-4〉 토지이용 현황 170

〈표 3.6-5〉 인구현황 171

〈표 3.6-6〉 인구 추이분석 171

〈표 3.6-7〉 가축사육 현황 171

〈표 3.6-8〉 가축 추이분석 172

〈표 3.6-9〉 산업계 현황 172

〈표 3.6-10〉 생활계 가정인구 발생부하 원단위 및 분뇨발생부하비 172

〈표 3.6-11〉 인구에 의한 발생부하량 173

〈표 3.6-12〉 축산분뇨 발생부하원단위 173

〈표 3.6-13〉 가축에 의한 발생부하량 174

〈표 3.6-14〉 산업계 발생부하량 174

〈표 3.6-15〉 토지계 지목별 연평균 발생부하원단위 174

〈표 3.6-16〉 토지이용에 의한 발생부하량 175

〈표 3.6-17〉 총 오염물질 발생부하량 175

〈표 3.6-18〉 생활계 배출원 개별삭감비 175

〈표 3.6-19〉 인구에 의한 배출부하량 176

〈표 3.6-2O〉 축산폐수처리, 자원화 및 농지유출비 176

〈표 3.6-21〉 가축에 의한 배출부하량 177

〈표 3.6-22〉 산업계 배출부하량 177

〈표 3.6-23〉 토지이용에 의한 배출부하량 177

〈표 3.6-24〉 총 오염물질 배출부하량 178

〈표 3.6-25〉 채수 및 채취지점 위치 180

〈표 3.6-26〉 하천수질 조사결과 180

〈표 3.6-27〉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하천, 생활환경 기준) 182

〈표 3.6-28〉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하천,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183

〈표 3.6-29〉 하천저질 조사 결과 184

〈표 3.6-30〉 오염퇴적물의 항목별 기준 185

〈표 3.6-31〉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185

〈표 3.6-32〉 조사분야 및 세부조사내용 186

〈표 3.6-33〉 조사분야별 조사시기 186

〈표 3.6-34〉 식물상 및 식생 조사방법 189

〈표 3.6-35〉 우점도 및 군도의 판정기준(Braun-Blanquet, 1964) 190

〈표 3.6-36〉 녹지자연도 등급의 사정기준 191

〈표 3.6-37〉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순생산량 산정기준 192

〈표 3.6-38〉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산출 192

〈표 3.6-39〉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등급 및 평가 체계 192

〈표 3.6-40〉 하천식생의 자연도 평가기준 193

〈표 3.6-41〉 식생보전등급의 등급분류기준 194

〈표 3.6-42〉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 195

〈표 3.6-43〉 생태·자연도 구분 196

〈표 3.6-44〉 육상동물상 조사방법 197

〈표 3.6-45〉 육수동물상 조사방법 198

〈표 3.6-46〉 조사지역 내 분류군별 식물분포 현황 199

〈표 3.6-47〉 조사지역 내 식물의 생활형분포 200

〈표 3.6-48〉 조사지역 내 귀화식물 목록 201

〈표 3.6-49〉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표 203

〈표 3.6-50〉 식물 목록 204

〈표 3.6-51〉 호암천과 조사지역의 식생유형과 분포면적 217

〈표 3.6-52〉 제 1 조사지점의 특성표 220

〈표 3.6-53〉 제 2 조사지점의 특성표 221

〈표 3.6-54〉 제 3 조사지점의 특성표 222

〈표 3.6-55〉 녹지자연도 등급별 분포면적과 구성비 223

〈표 3.6-56〉 계획하천의 식물현존량 및 순생산량 224

〈표 3.6-57〉 식생보전등급 등급별 분포면적과 구성비 224

〈표 3.6-58〉 조사지역 내 보호수 분포 현황 227

〈표 3.6-59〉 조사지역 내 포유류 목록 229

〈표 3.6-60〉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및 개체수, 우점도 231

〈표 3.6-61〉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및 개체수, 우점도 232

〈표 3.6-62〉 조사지역 내 조류 목록 233

〈표 3.6-63〉 조사지역 내 양서 파충류 목록 236

〈표 3.6-64〉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목별 출현 구성 238

〈표 3.6-65〉 조사지역 일대에서 확인된 육상곤충류 종 목록 239

〈표 3.6-66〉 조사지역 일대에서 확인된 육상곤충류 종 목록(계속) 241

〈표 3.6-67〉 육수동물상 조사지점 현황 257

〈표 3.6-68〉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 분류군 현황 258

〈표 3.6-69〉 조사지점에 따른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구성 261

〈표 3.6-70〉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우점도 지수 262

〈표 3.6-71〉 조사지점별 다양도 및 풍부도, 균등도 지수 263

〈표 3.6-72〉 조사지점별 산출된 ESB지수에 따른 환경질 평가 264

〈표 3.6-73〉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출현 종 목록 264

〈표 3.6-74〉 분류군별 출현 구성 269

〈표 3.6-75〉 조사지점별 우점종 및 우점도 지수 270

〈표 3.6-76〉 조사지점별 다양도 및 풍부도, 균등도 지수 271

〈표 3.6-77〉 어류 출현 종 목록 272

〈표 3.7-1〉 과업의 범위 273

〈표 3.7-2〉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273

〈표 3.7-3〉 홍수량 산정결과 274

〈표 3.7-4〉 주요 지점별 계획홍수위 274

〈표 3.7-5〉 시설물계획 274

〈표 3.7-6〉 과업의 범위 275

〈표 3.7-7〉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275

〈표 3.7-8〉 홍수량 산정결과 276

〈표 3.7-9〉 주요 지점별 계획홍수위 276

〈표 3.7-10〉 시설물계획 276

〈표 3.7-11〉 과업의 범위 277

〈표 3.7-12〉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278

〈표 3.7-13〉 홍수량 산정결과 279

〈표 3.7-14〉 주요 지점별 계획홍수위 280

〈표 3.7-15〉 시설물계획 281

〈표 3.7-16〉 사업의 범위 283

〈표 3.7-17〉 정비개요(안) 285

〈표 4.1-1〉 홍수량 산정지점 292

〈표 4.1-2〉 유역규모에 따른 유출특성 293

〈표 4.1-3〉 강수 관측 밀도(WMO, 1994) 294

〈표 4.1-4〉 강우관측소 채택 현황 294

〈표 4.1-5〉 지속기간별 년최대치 강우량(고정시간) 296

〈표 4.1-6〉 국내 강우자료의 지속기간별 관계 298

〈표 4.1-7〉 지속기간별 년최대치 강우량(임의시간) 299

〈표 4.1-8〉 무작위성 검정 305

〈표 4.1-9〉 지속시간별 기본통계값 305

〈표 4.1-10〉 매개변수 적합성 검토결과 310

〈표 4.1-11〉 분포형별 확률강우량 산정결과 312

〈표 4.1-12〉 지속기간별 임의시간 확률강우량 314

〈표 4.1-13〉 확률강우량 비교 315

〈표 4.1-14〉 확률강우량 산정방법의 비교 315

〈표 4.1-15〉 확률강우강도식 317

〈표 4.1-16〉 소유역별 티센면적비 320

〈표 4.1-17〉 관측소 분위별 무차원 누가강우분포 323

〈표 4.1-18〉 Huff의 4분위법 적용을 위한 회귀계수 324

〈표 4.1-19〉 수문학적 토양 분류 327

〈표 4.1-20〉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 327

〈표 4.1-21〉 우리나라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 조건)(계속) 328

〈표 4.1-22〉 선행토양함수조건의 분류 329

〈표 4.1-23〉 관측소별 AMC 조건 판단 330

〈표 4.1-24〉 하천별 유출곡선지수(CN) 산정결과 330

〈표 4.1-25〉 SCS 무차원단위도의 시간별 종거 335

〈표 4.1-26〉 도달시간 산정결과 340

〈표 4.1-27〉 하천별 저류상수 산정결과 342

〈표 4.1-28〉 지점별, 빈도별 임계지속시간 344

〈표 4.1-29〉 산정지점별 지체시간 산정결과 345

〈표 4.1-30〉 산정지점별 Snyder매개변수 산정결과 346

〈표 4.1-31〉 산정지점별 빈도별 홍수량 349

〈표 4.1-32〉 홍수량 산정방법의 비교 351

〈표 4.1-33〉 기본홍수량 산정결과 비교 351

〈표 4.1-34〉 분석기간별 확률강우량 비교 355

〈표 4.1-35〉 대종천유역 토지이용 변경 계획 356

〈표 4.1-36〉 하천의 중요도에 따른 계획규모 357

〈표 4.1-37〉 하천별 계획빈도 357

〈표 4.1-38〉 계획홍수량 산정결과 358

〈표 4.2-1〉 하천 및 수로의 조도계수 365

〈표 4.2-2〉 조도계수의 기본값 366

〈표 4.2-3〉 n값에 대한 식생의 영향 (n₁) 366

〈표 4.2-4〉 n값에 대한 수로 단면 불규칙성의 영향 (n₂) 367

〈표 4.2-5〉 η값에 대한 수로 표면 불규칙성의 영향 (n₃) 367

〈표 4.2-6〉 장애물의 n값에 대한 영향 (n₄) 367

〈표 4.2-7〉 수로선형 불규칙성의 n값에 대한 영향 (m0)(이미지참조) 367

〈표 4.2-8〉 호암천 구간별 조도계수 369

〈표 4.2-9〉 빈도별 기점홍수위 370

〈표 4.2-10〉 개수전·후 빈도별 홍수위 371

〈표 4.2-11〉 계획 홍수량 크기에 따른 계획하폭 참고치 375

〈표 4.2-12〉 계획하폭 산정결과 376

〈표 4.2-13〉 계획홍수량및계획하폭, 계획홍수위, 기설제방고 378

〈표 5.1-1〉 하상재료 조사 위치 384

〈표 5.1-2〉 하상재료 구성물질 385

〈표 5.1-3〉 하상구성재료 입도분포 성과표 385

〈표 5.2-1〉 하천유사의 구분 386

〈표 5.2-2〉 유사량 공식의 특성 388

〈표 5.2-3〉 각 유사량 공식의 적정적용 한계 388

〈표 5.2-4〉 Ackers-White 공식의 계수 389

〈표 5.2-5〉 유사량 매개변수(호암천 No.4+035) 391

〈표 5.2-6〉 유량규모에 따른 경험공식별 유사량 392

〈표 5.2-7〉 경험공식별 년간 비유사량 비교 393

〈표 5.2-8〉 유량-유사량 관계곡선 393

〈표 5.3-1〉 평형하상경사 산정방법 396

〈표 5.3-2〉 평형하상 및 하상변동 검토결과 401

〈표 6.1-1〉 용수량 산정지점 411

〈표 6.1-2〉 급수인구 및 미급수인구 추정 414

〈표 6.1-3〉 유역내 생활용수 이용량 414

〈표 6.1-4〉 지구별 경지면적 현황 415

〈표 6.1-5〉 경지조건별 단위용수량 416

〈표 6.1-6〉 농업용수 이용현황 416

〈표 6.1-7〉 유역의 연간 용수이용 현황 416

〈표 6.2-1〉 행정구역별 과거 인구 추이 419

〈표 6.2-2〉 기수립 계획 참고 인구 추정치 420

〈표 6.2-3〉 수학적 계산에 의한 인구추정 420

〈표 6.2-4〉 금회 적용 지구별 장래인구 420

〈표 6.2-5〉 급수보급율 및 단위급수량 추정 421

〈표 6.2-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21

〈표 6.2-7〉 목표년도별 급수인구 현황 422

〈표 6.2-8〉 지구별 생활용수 이용량 및 수요량 422

〈표 6.2-9〉 수리안전답 및 관개전율 424

〈표 6.2-10〉 장래 경지면적 추정 424

〈표 6.2-11〉 경지조건별 단위용수량 425

〈표 6.2-12〉 장래 농업용수 연간사용량 및 수요량 425

〈표 6.2-13〉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장래 용수 수요 총괄 426

〈표 6.2-14〉 유역내 지구별 회귀수 427

〈표 6.3-1〉 자연유량 산정 429

〈표 6.3-2〉 갈수량과 물수지 430

〈표 7.1-1〉 하천유역 종합계획의 구성 437

〈표 7.1-2〉 하천공간 구역의 설정 440

〈표 7.2-1〉 치수대책의 구성 441

〈표 7.4-1〉 하천환경정비 방향 446

〈표 7.4-2〉 공간정비 기본방침 449

〈표 7.4-3〉 하천정비 유형 및 정비 방향 451

〈표 7.4-4〉 하천공간정비 기본방침 452

〈표 7.4-5〉 지구 구분 형태 453

〈표 7.4-6〉 기능공간별 배치 기준 453

〈표 7.4-7〉 하천환경 평가 기준 454

〈표 8.1-1〉 하천변 자연도 평가지 460

〈표 8.1-2〉 하천자연도 등급 구분(안) 462

〈표 8.1-3〉 하천자연도 평가결과 463

〈표 8.1-4〉 지구구분 형태 466

〈표 8.1-5〉 호암천 지구구분 형태 466

〈표 8.1-6〉 하천공간관리 지구 구분 467

〈표 8.1-7〉 지구별 현황분석 및 계획방향 설정 470

〈표 8.1-8〉 하천공간 관리계획 475

〈표 8.1-9〉 기능공간 배치기준 477

〈표 8.1-10〉 식재목적에 따른 조건검토 484

〈표 8.1-11〉 관목류 군식·열식 시 ㎡당 기준 식재밀도 484

〈표 8.1-12〉 식재목적에 따른 조건검토 485

〈표 8.2-1〉 하도계획 결정시 기술적 결정사항 및 기본방향 487

〈표 8.3-1〉 기존 시설물 현황 집계표 498

〈표 8.3-2〉 기존 배수암거 설치 현황 498

〈표 8.3-3〉 기존 취수암거 설치 현황 499

〈표 8.3-4〉 기존 배수통관 설치 현황 499

〈표 8.3-5〉 기존 보 및 낙차공 설치 현황 500

〈표 8.3-6〉 기존 교량 설치 현황 500

〈표 8.3-7〉 계획 홍수량에 따른 둑마루폭 기준 502

〈표 8.3-8〉 계획 홍수량에 따른 여유고 기준 503

〈표 8.3-9〉 호안 공법의 특성 비교 506

〈표 8.3-10〉 비탈경사의 표준 507

〈표 8.3-11〉 홍수시 일시적 세굴깊이 507

〈표 8.3-12〉 허용 단위소류력 508

〈표 8.3-13〉 소류력에 대한 안전성 508

〈표 8.3-14〉 유속에 대한 안전성(1) 508

〈표 8.3-15〉 유속에 대한 안전성(2) 509

〈표 8.3-16〉 유속에 따른 밑다짐 폭 기준 510

〈표 8.3-17〉 여유고 검토 결과 511

〈표 8.3-18〉 둑마루폭 및 비탈경사 검토 514

〈표 8.3-19〉 유속 및 소류력 검토 516

〈표 8.3-20〉 유속 및 단위소류력 검토 결과 517

〈표 8.3-21〉 밑다짐폭 검토 결과 518

〈표 8.3-22〉 제방 및 호안 설치계획 520

〈표 8.3-23〉 지구별 세부 현황 521

〈표 8.3-24〉 토지이용별 내수배제시간 540

〈표 8.3-25〉 기존 배수시설물 능력 검토 540

〈표 8.3-26〉 배수시설 계획 542

〈표 8.3-27〉 계획 홍수량에 따른 교량 여유고 543

〈표 8.3-28〉 계획 홍수량에 따른 경간장 544

〈표 8.3-29〉 교량 여유고 및 경간장 검토 545

〈표 8.3-30〉 교량 계획 545

〈표 8.3-31〉 교각형상에 따른 보정계수 (K₁) 552

〈표 8.3-32〉 흐름입사각에 대한 보정계수 (K₂) 552

〈표 8.3-33〉 교각형상에 따른 보정계수 (K3) 552

〈표 8.3-34〉 하상재료의 크기에 대한 보정계수(K4) 553

〈표 8.3-35〉 교각 폭에 대한 보정계수(K5) 553

〈표 8.3-36〉 국부 세굴심 산정 결과(C.S.U 공식) 554

〈표 8.3-37〉 국부 세굴심 산정 결과(Froehlich 공식) 554

〈표 8.3-38〉 국부 세굴심 산정 결과(Neill 공식) 554

〈표 8.3-39〉 교량별 예상 세굴심 산정 결과 555

〈표 8.3-40〉 사석 직경 산정 공식 555

〈표 8.3-41〉 사석 직경 산정 결과 556

〈표 8.3-42〉 세굴 방지공 부설범위 산정 결과 557

〈표 8.3-43〉 보 계획현황 560

〈표 8.3-44〉 하상토에 따른 블라이(Bligh) 계수 562

〈표 8.3-45〉 보 시설물 검토결과 562

〈표 8.3-46〉 하상유지시설 개보수계획 563

〈표 8.3-47〉 하상유지시설 계획 564

〈표 8.3-48〉 보의 형식에 따른 장단점의 비교 568

〈표 8.3-49〉 어도의 설치목적별 분류 569

〈표 8.3-50〉 어도의 분류 570

〈표 8.3-51〉 어도 형식별 장·단점 검토 571

〈표 8.3-52〉 어도 형식 비교 575

〈표 8.3-53〉 낙차공 및 취수보 어도설치 개량계획 576

〈표 8.4-1〉 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현황 578

〈표 8.4-2〉 계획빈도 범람구역 개요 580

〈표 8.4-3〉 지구별 및 유량 규모별 침수면적 581

〈표 8.4-4〉 직접피해의 대상자산과 피해액 산정방법 583

〈표 8.4-5〉 침수심별 건물 피해율 584

〈표 8.4-6〉 침수심별 건물내용물 피해율 585

〈표 8.4-7〉 침수심별 농경지 피해율 585

〈표 8.4-8〉 침수심별 농작물 피해율 585

〈표 8.4-9〉 침수심별 사업체 유형고정자산 재고자산의 피해율 585

〈표 8.4-10〉 일반자산피해액에 대한 공공시설물의 피해액 비율(한국) 586

〈표 8.4-11〉 빈도규모별 총 피해액 587

〈표 8.4-12〉 빈도별 연평균 피해경감기대액 588

〈표 8.4-13〉 지구별 총공사비(총투자액) 590

〈표 8.4-14〉 지구별 유량규모별 경제성 평가지표 591

〈표 8.4-15〉 투자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적용기준 593

〈표 8.4-16〉 세부 기준의 상대가치화 방법 594

〈표 8.4-17〉 사업투자 우선순위 595

〈표 9.1-1〉 분류군별 출현 구성 598

〈표 9.1-2〉 어종별 습성과 생활환경 598

〈표 9.1-3〉 유속에 따른 흐름의 느낌 상태 601

〈표 9.1-4〉 경관측면을 고려한 필요유량 기준설정 602

〈표 9.1-5〉 친수활동과의 관련사항 602

〈표 9.1-6〉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1) 603

〈표 9.1-7〉 친수활동을 위한 수리제원(2) 603

〈표 9.1-8〉 목표수질 설정 604

〈표 9.1-9〉 수질 등급별 특성과 지표 어종 605

〈표 9.1-10〉 유기물질에 따른 수생 동 식물과 수질 오염의 정도 605

〈표 9.1-11〉 경관 측면의 목표 수질 606

〈표 9.1-12〉 하천 이용에 필요한 요구 수질 606

〈표 9.1-13〉 하천유지유량 설정 607

〈표 9.1-14〉 하천환경 수량확보대책 608

〈표 9.1-15〉 QUAL2E Model의 Element의 구성 611

〈표 9.1-16〉 수질모델의 종류 및 특성 613

〈표 9.1-17〉 하천정비구간 보정결과 615

〈표 9.1-18〉 하천정비후 수질예측 결과 618

〈표 9.1-19〉 하천수질개선대책 사업의 분류 619

〈표 9.1-20〉 수질 정화기법 622

〈표 9.1-21〉 역간접촉산화법 624

〈표 9.1-22〉 Biomedia에 의한 접촉산화 624

〈표 9.1-23〉 산화지(내용없음) 18

〈표 9.1-24〉 수변 식생대의 오염물질 제거 효과(내용없음) 18

〈표 9.1-25〉 수처리에 이용되는 습지식물(내용없음) 18

〈표 9.2-1〉 야생 동 식물보호구역 지정현황(내용없음) 18

〈표 9.2-2〉 상수원보호구역 현황(내용없음) 18

〈표 9.2-3〉 공원지정 현황(내용없음) 18

〈표 9.2-4〉 문화재 지정현황(내용없음) 18

〈표 9.2-5〉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 기준(내용없음) 18

〈표 10.1-1〉 하천구역 집계표 626

〈표 10.4-1〉 하천기본계획 수립현황 637

〈표 10.4-2〉 하천구간 조정 내역 637

〈표 11.1-1〉 계획 시설물에 의한 효과 639

〈그림 1.1-1〉 과업위치도 25

〈그림 1.1-2〉 과업하천 연장조정 위치도 26

〈그림 2.4-1〉 수준망도 35

〈그림 3.1-1〉 호암천유역 모식도 40

〈그림 3.1-2〉 유역의 면적-고도곡선 43

〈그림 3.1-3〉 수치표고모델(DEM) 44

〈그림 3.1-4〉 유역 음영기복도 44

〈그림 3.1-5〉 유역경사도 45

〈그림 3.1-6〉 방향성 분포도 46

〈그림 3.1-7〉 하천구간 경계설정 현황 48

〈그림 3.1-8〉 지질계통모식도 50

〈그림 3.1-9〉 지질별 분포도 51

〈그림 3.1-10〉 토양도(토양기호별) 53

〈그림 3.1-11〉 수문학적 토양도 54

〈그림 3.1-12〉 토지이용도 56

〈그림 3.1-13〉 행정구역도 57

〈그림 3.1-14〉 문화재 위치도 65

〈그림 3.2-1〉 수문관측소위치도 72

〈그림 3.2-2〉 토양수분저류구조를 가진 4단 탱크모형 모식도 84

〈그림 3.2-3〉 수자원부존량의 구성 88

〈그림 3.2-4〉 유황곡선 90

〈그림 3.2-5〉 기상관측소 기상현황 92

〈그림 3.3-1〉 최심하상고 및 평균하상고 104

〈그림 3.4-1〉 태풍 이동경로 및 기상 위성사진(2002년 태풍 루사) 116

〈그림 3.4-2〉 풍수해 발생위치(2002년 태풍 루사) 117

〈그림 3.4-3〉 풍수해 발생위치(2003년 태풍 매미) 123

〈그림 3.4-4〉 태풍 이동경로 및 기상 위성사진(2005년 태풍 나비) 129

〈그림 3.4-5〉 풍수해 발생위치(2005년 태풍 나비) 130

〈그림 3.4-6〉 태풍 이동경로 및 기상 위성사진(2006년 태풍 에위니아) 136

〈그림 3.4-7〉 풍수해 발생 위치(2006년 태풍 에위니아) 137

〈그림 3.4-8〉 태풍 이동경로 및 기상 위성사진(2012년 태풍 산바) 143

〈그림 3.4-9〉 순별 누계강수량 비교 150

〈그림 3.5-1〉 관광·위락현황 157

〈그림 3.5-2〉 녹지 및 산지경관 161

〈그림 3.5-3〉 수경관의 요소 162

〈그림 3.5-4〉 역사·문화경관의 요소 분포 162

〈그림 3.5-5〉 시가지경관 163

〈그림 3.5-6〉 산업경관의 요소 163

〈그림 3.5-7〉 산악 및 하천경관 164

〈그림 3.5-8〉 역사문화적 경관 165

〈그림 3.5-9〉 조망경관의 특성 165

〈그림 3.5-10〉 스카이라인 특성 166

〈그림 3.5-11〉 랜드마크시설 특징 167

〈그림 3.6-1〉 대기질 측정위치도 169

〈그림 3.6-2〉 하천수질·저질 측정지점 위치도 179

〈그림 3.6-3〉 계획하천 및 조사지역 전경 187

〈그림 3.6-4〉 현지 조사 사진 188

〈그림 3.6-5〉 조사지점도 188

〈그림 3.6-6〉 식물의 생활형 비교 200

〈그림 3.6-7〉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식물(봄) 213

〈그림 3.6-8〉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식물(여름) 214

〈그림 3.6-9〉 조사지역의 식생구계도와 수림대 215

〈그림 3.6-10〉 호암천의 상류부 전경 216

〈그림 3.6-11〉 호암천의 중류부 전경 216

〈그림 3.6-12〉 호암천의 하류부 전경 217

〈그림 3.6-13〉 호암천과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1 218

〈그림 3.6-14〉 호암천과 조사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2 219

〈그림 3.6-15〉 호암천과 조사지역의 식생보전등급 1 225

〈그림 3.6-16〉 호암천과 조사지역의 식생보전등급 2 226

〈그림 3.6-17〉 조사지역 내 보호수 및 노거수 분포도 227

〈그림 3.6-18〉 호암천과 주변지역의 생태자연도 228

〈그림 3.3-19〉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포유류 및 흔적 사진 230

〈그림 3.6-20〉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조류 사진 235

〈그림 3.6-21〉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양서·파충류 사진 237

〈그림 3.6-22〉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238

〈그림 3.6-23〉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육상곤충류 사진 251

〈그림 3.6-24〉 1차 조사에서 나타난 육상동물 분포도 252

〈그림 3.6-25〉 2차 조사에서 나타난 육상동물 분포도 253

〈그림 3.6-26〉 3차 조사에서 나타난 육상동물 분포도 254

〈그림 3.6-27〉 보호종 분포도 255

〈그림 3.6-28〉 문헌조사 보호종 분포도 256

〈그림 3.6-29〉 문별 출현종 구성 비율-현지조사 합계 259

〈그림 3.6-30〉 분류군별 종 구성 비율-현지조사 합계 260

〈그림 3.6-31〉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260

〈그림 3.6-32〉 조사지점별 종수 및 개체수 구성 261

〈그림 3.6-33〉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268

〈그림 3.6-34〉 분류군별 출현 현황 269

〈그림 3.6-35〉 조사지점별 평균 군집지수 비교 271

〈그림 3.6-36〉 현지조사에서 관찰된 어류 272

〈그림 3.7-1〉 사업 위치도 283

〈그림 3.7-2〉 대종천 정비의 5대 중점 286

〈그림 3.7-3〉 대종천 하천정비사업 Master Plan(안) 287

〈그림 4.1-1〉 홍수량 산정지점도 291

〈그림 4.1-2〉 강우관측소 위치도 295

〈그림 4.1-3〉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회귀곡선 298

〈그림 4.1-4〉 I-D-F 곡선 318

〈그림 4.1-5〉 호암천유역 티센망도 321

〈그림 4.1-6〉 관측소별 무차원 누가우량곡선 323

〈그림 4.1-7〉 Clark 단위도의 개념 331

〈그림 4.1-8〉 유역 형상에 따른 합성 도달시간-누가면적 333

〈그림 4.1-9〉 SCS 무차원단위도 334

〈그림 4.1-10〉 Snyder 합성단위도 337

〈그림 4.1-11〉 연속형 Kraven 공식 유도에 필요한 경사구간별 유속분포 339

〈그림 4.1-12〉 호암천 종점지속기간별 첨두홍수량 변화 343

〈그림 4.1-13〉 호암천 유출 수문곡선 350

〈그림 4.1-14〉 기 수립 및 금회 기본홍수량 비교 352

〈그림 4.1-15〉 포항관측소 연도별 강우량 분포(일강우) 354

〈그림 4.1-16〉 홍수량 배분도 359

〈그림 5.1-1〉 하상재료 조사 위치도 383

〈그림 5.2-1〉 유사입자의 침강속도 391

〈그림 5.3-1〉 하상변동결과 종단도 404

〈그림 6.1-1〉 용수량 산정지점도 412

〈그림 6.2-1〉 생활용수 수요량 추정방법 흐름도 418

〈그림 6.2-2〉 농업용수 수요량 추정방법 흐름도 423

〈그림 6.3-1〉 물수지모식도(2015년) 431

〈그림 6.3-2〉 물수지모식도(2020년) 431

〈그림 6.3-3〉 물수지모식도(2025년) 432

〈그림 6.3-4〉 물수지모식도(2030년) 432

〈그림 6.4-1〉 용수공급관리대책방안 434

〈그림 7.1-1〉 하천의 기능별 고려사항 436

〈그림 7.2-1〉 홍수의 종합관리를 위한 치수방재대책 수단 442

〈그림 7.4-1〉 하천환경관리 기본계획수립 흐름도 447

〈그림 7.4-2〉 하천공간 정비계획의 전체 흐름도 450

〈그림 7.5-1〉 바람직한 하천의 모습 457

〈그림 8.1-1〉 호암천 하천자연도 464

〈그림 8.1-2〉 호암천 공간관리계획도 468

〈그림 8.1-3〉 추이대개선 480

〈그림 8.1-4〉 생태이동 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481

〈그림 8.1-5〉 생태이동 통로 및 서식지 개선 사례 481

〈그림 8.1-6〉 여울과 소 482

〈그림 8.1-7〉 여울과 소 483

〈그림 8.1-8〉 친수공간 조성사례 483

〈그림 8.2-1〉 하도계획 수립 흐름도 489

〈그림 8.2-2〉 구간별 하천현황 및 시설물 현황 496

〈그림 8.3-1〉 환경호안의 분류 505

〈그림 8.3-2〉 제방 표준단면도 535

〈그림 8.3-3〉 세굴방호계획 흐름도 549

〈그림 8.3-4〉 교각주위의 세굴현상 모식도 550

〈그림 8.3-5〉 보정계수 K₁을 위한 교각의 형상 분류 552

〈그림 8.3-6〉 세굴 방지공 설치 모식도 557

〈그림 8.3-7〉 세굴보호공 558

〈그림 8.3-8〉 보 시설 표준도 562

〈그림 8.3-9〉 어도의 입구가 적정한 예 573

〈그림 8.3-10〉 부적정한 어도의 위치 574

〈그림 8.4-1〉 경제성 분석 대상지구 위치도 579

〈그림 8.4-2〉 다차원법의 개념도(일반자산 피해액의 산정방법) 582

〈그림 9.1-1〉 수질모델링의 일반적인 과정 609

〈그림 9.1-2〉 QUAL2E 모델의 반응 계통도 612

〈그림 9.1-3〉 대종천 수질예측 모의구간 분할도 614

〈그림 9.1-4〉 BOD 수질보정 결과 615

〈그림 9.1-5〉 장래 수질예측 결과 617

〈그림 9.2-1〉 대상지역 설정도(내용없음) 2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2773 627.12 -18-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2774 627.12 -18-2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