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1-2] / 서울특별시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2017
청구기호
333.9162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 30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1610870(1)
ISBN: 9791161610887(2)
ISBN: 9791161610863(세트)
제어번호
MONO1201816611
주기사항
v.2는 요약보고서임
연구기관: 서울연구원
연구책임: 송인주
[1]권 참고문헌: p. 769-783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3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1

1.1. 연구배경 31

1.2. 연구목적 및 체계 35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6

2.1. 연구기간 및 조사범위 36

2.2. 주요 연구내용 38

제2장 한강의 여건변화 41

1. 여건변화 및 언론보도 43

1.1. 기후변화 43

1.2. 토지이용 45

1.3. 언론보도 동향 47

2. 한강이용 및 관리 48

2.1. 한강이용 48

2.2. 한강관리현황 및 관련 계획 50

3. 한강모니터링 현황 59

3.1. 수환경 모니터링 59

3.2. 생태 모니터링 68

3.3. 시민단체 모니터링 및 관리 80

제3장 한강의 생태환경 83

1. 유역환경 및 특성 85

1.1. 유역환경 85

1.2. 기상 및 수문환경 91

1.3. 토양 및 지질 98

1.4. 토지이용 현황 102

1.5. 유역 특성 104

2. 수리 수문 110

2.1. 유출 및 유황 110

2.2. 한강 수자원 이용실태 113

2.3. 수방시설물 현황 120

2.4. 한강 하상변동 121

2.5. 한강 수위 124

3. 수질 및 환경오염 131

3.1. 본류 및 지천 수질 131

3.2. 수질오염 147

3.3. 오염원별 부하량 분석 154

3.4. 기타 생활환경오염 160

4. 수변환경 및 변화 171

4.1. 연구의 개요 171

4.2. 연구의 방법 171

4.3. 연구결과 181

4.4. 결과분석 및 관리방향 215

제4장 한강의 생물상 223

1. 일차생산 및 동식물플랑크톤 225

1.1. 일차생산 및 유기물분해 225

1.2. 동·식물플랑크톤 241

2. 세균 270

2.1. 연구개요 270

2.2. 연구방법 271

2.3. 연구결과 272

2.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277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280

3.1. 연구개요 280

3.2. 연구방법 280

3.3. 연구결과 284

3.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313

4. 어류 및 어도개선 모니터링 334

4.1. 어류 334

4.2. 어도개선 모니터링 355

5. 수생 및 육상식물 377

5.1. 연구개요 377

5.2. 조사방법 377

5.3. 연구결과 380

5.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28

6. 육상곤충 442

6.1. 연구개요 442

6.2. 연구방법 442

6.3. 연구결과 445

6.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52

7. 양서파충류 458

7.1. 연구개요 458

7.2. 연구방법 458

7.3. 연구결과 461

7.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분석 464

8. 조류 및 포유류 468

8.1. 연구개요 468

8.2. 조사방법 468

8.3. 연구결과 470

8.4. 결과분석 및 상호영향 분석 487

8.5. 종합고찰 501

제5장 한강생태계의 상호영향 분석 및 변화예측 509

1. 생태환경 변화분석 및 평가 511

1.1. 수질변화분석 및 예측 511

1.2. 팔당방류량에 따른 영향 및 자정효과 532

1.3. 생태환경 분석 및 평가 534

2. 생물상 변화분석 및 평가 536

2.1. 생물상 DB구축 및 평가 536

2.2. 생물상 변화분석 및 예측 542

3. 생태환경과 생물상간의 상호관계 분석 546

3.1. 부영양화 현황 및 대책 546

3.2. 한강수질 환경요인과 생물상과의 관계 549

3.3. 서식환경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상호영향 552

3.4. 먹이연쇄에 의한 물질농축 조사 및 분석 555

제6장 생태환경 및 생물상 평가 575

1. 하천생태평가 사례 분석 577

1.1. 해외사례 577

1.2. 국내사례 605

1.3. 사례조사의 시사점 611

2. 한강생태평가 612

2.1. 한강생태평가 개요 612

2.2. 한강생태평가 결과 614

제7장 GIS-DB 구축 및 생태지도 제작 619

1. 국내외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및 추세 621

1.1.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621

1.2. 네트워크와 집중화 622

1.3. 생태계서비스와 생태계자산의 지도화 625

1.4. 다양한 시민 참여 생태정보 서비스 부상 627

2. 한강 생태환경 GIS-DB 구축 및 지도 제작 633

2.1. Data 수집 및 조사기본도 제작 634

2.2. 한강 생태환경 GIS-DB 구축 638

3. 생태지도 및 모바일웹 제작 649

3.1. 생태지도 제작 649

3.2. 모바일웹 제작 651

제8장 한강생태계의 보전 및 향상방안 653

1. 국내외 생태적인 하천관리 사례 분석 655

1.1. 해외사례 655

1.2. 국내사례 665

2. 생물다양성 증진 및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방안 684

2.1.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 684

2.2.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및 개선 712

3. 연구결과 활용 및 시민참여관리 활성화 786

3.1. 생태조사 결과 활용 786

3.2. 시민참여관리 활성화 791

3.3. 향후 연구방향 794

참고문헌 795

판권기 812

〈표 1-1〉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1차~7차의 연구개요 34

〈표 1-2〉 조사구역 37

〈표 2-1〉 한강생태계 조사구간 내 하천 및 습지비오톱 변화(2010~2015) 45

〈표 2-2〉 서울시 7개 권역별 발전방향 및 주요계획 51

〈표 2-3〉 한강수계 수환경모니터링 현황(국가) 59

〈표 2-4〉 물환경 정보시스템 수환경모니터링 지점 및 한강생태계 조사구역 비교 61

〈표 2-5〉 국가 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수환경모니터링 지점 및 한강생태계 조사구역 비교 62

〈표 2-6〉 한강수계 소유역 하천 모니터링 결과(2016) 63

〈표 2-7〉 한강수계 유해무기물질 검출농도 및 농도기준 64

〈표 2-8〉 한강수계 지천중심 잠정관리 유해물질 분포 및 오염경로 조사(2015) 65

〈표 2-9〉 한강수계 수환경모니터링 현황(서울시) 66

〈표 2-10〉 서울시 조류경보제 기준 66

〈표 2-11〉 서울시 조류 측정 지점 67

〈표 2-12〉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 현황(국가) 68

〈표 2-13〉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2015) 69

〈표 2-14〉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2015) 71

〈표 2-15〉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결과(2014) 72

〈표 2-16〉 국가장기생태연구(2013) 73

〈표 2-17〉 생태계 변화관찰 보고서 한강 밤섬 모니터링 결과(2015) 74

〈표 2-18〉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 현황(서울시) 76

〈표 2-19〉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서울시) 조사지점 및 한강생태계 조사구역 비교 77

〈표 2-20〉 생태경관보전지역 정밀변화 관찰 조사 결과(2012~2014) 79

〈표 2-21〉 시민단체의 한강 모니터링 활동 사례 80

〈표 3-1-1〉 서울관측소 기상현황(1983~2014 자료 평균) 91

〈표 3-1-2〉 유역별 연평균 강수량의 비교(1983~2014) 94

〈표 3-1-3〉 한강유역 강우관측소 현황(개소) 96

〈표 3-1-4〉 서울시 인접 주요 강우관측소 현황 96

〈표 3-1-5〉 서울시 관내 주요 강우관측소 현황 97

〈표 3-1-6〉 한강유역 수위관측소 현황(개소) 97

〈표 3-1-7〉 팔당댐 하류 국토교통부 수위관측소 현황 97

〈표 3-1-8〉 토양의 각부호별 특성 및 토양형 구분 98

〈표 3-1-9〉 서울시 수문학적 토양군 구성비 98

〈표 3-1-10〉 한강유역 토지이용 현황 102

〈표 3-1-11〉 서울시 토지 지목별 현황 103

〈표 3-1-12〉 한강 하류부 주요 구간별 하상경사 104

〈표 3-1-13〉 한강 및 주요 지류 유역경사 105

〈표 3-1-14〉 하도구간별 유로특성 108

〈표 3-2-1〉 한강유역 지점별 유출량 110

〈표 3-2-2〉 주요 지점별 유출분석 비교 111

〈표 3-2-3〉 댐 건설 전후 한강 하류부 유황분석 112

〈표 3-2-4〉 서울시 관내 주요하천 유황분석 결과 113

〈표 3-2-5〉 교각형상에 따른 K값 125

〈표 3-2-6〉 한강 하류 빈도별 홍수량(m³/s) 및 기점 수위(EL.m) 126

〈표 3-2-7〉 팔당댐 월별 일평균 방류량 128

〈표 3-3-1〉 수질 조사시기 132

〈표 3-3-2〉 분석 항목 및 측정방법 133

〈표 3-3-3〉 하천의 수질환경기준(생활환경기준) 134

〈표 3-3-4〉 하천의 수질환경기준(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135

〈표 3-3-5〉 한강본류 측정지점별 수질 현황 136

〈표 3-3-6〉 주요 지천 측정지점별 수질 현황 138

〈표 3-3-7〉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BOD) 변화 141

〈표 3-3-8〉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DO) 변화 143

〈표 3-3-9〉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BOD) 변화 144

〈표 3-3-10〉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DO) 변화 146

〈표 3-3-11〉 한강하류수계 소권역도 147

〈표 3-3-12〉 한강하류수계 가정 인구수 148

〈표 3-3-13〉 한강하류수계 산업폐수 발생 및 배출부하량 150

〈표 3-3-14〉 한강하류수계 축산계오염원(2014) 151

〈표 3-3-15〉 한강하류수계 토지지목별 면적 153

〈표 3-3-16〉 한강하류수계 발생부하량 155

〈표 3-3-17〉 한강하류수계 배출부하량 158

〈표 3-3-18〉 대기환경기준 161

〈표 3-3-19〉 한강유역 초미세먼지(PM2.5) 농도(㎍/m³)(2016)(이미지참조) 162

〈표 3-3-20〉 한강유역 미세먼지(PM10) 농도(㎍/m³)(2016)(이미지참조) 162

〈표 3-3-21〉 한강유역 오존 농도(ppm)(2016) 163

〈표 3-3-22〉 한강유역 이산화질소 농도(ppm)(2016) 163

〈표 3-3-23〉 한강유역 일산화탄소 농도(ppm)(2016) 164

〈표 3-3-24〉 한강유역 아황산가스 농도(ppm)(2016) 164

〈표 3-3-25〉 소음 환경기준 166

〈표 3-3-26〉 소음 측정 결과 167

〈표 3-3-27〉 토양오염 기준(2016.4.28. 개정) 169

〈표 3-3-28〉 한강 토양 중금속 측정 결과 170

〈표 3-4-1〉 조사구간 173

〈표 3-4-2〉 수변환경조사 구역구분 174

〈표 3-4-3〉 조사구역별 조사내용 176

〈표 3-4-4〉 주요 조사내용 177

〈표 3-4-5〉 수변환경조사 구역구분 178

〈표 3-4-6〉 수변환경 분석 종합 220

〈표 4-1-1〉 일차생산 및 유기물분해 조사구간의 수표면적 226

〈표 4-1-2〉 일차생산 및 유기물분해 조사시기 226

〈표 4-1-3〉 일차생산 및 유기물분해 조사구역 227

〈표 4-1-4〉 현장측정 결과 및 일차생산 계산에 필요한 항목 230

〈표 4-1-5〉 일차생산량 측정 결과 232

〈표 4-1-6〉 최종BOD(mgO2·L-1)와 탈산소계수(k), 현장온도로 보정한 탈산소계수(온도보정k) 233

〈표 4-1-7〉 지천의 유량과 유기물량 236

〈표 4-1-8〉 부유생물 군집에 의한 유기물 분해속도 237

〈표 4-1-9〉 부유생물군집에 의한 총유기물분해량 238

〈표 4-1-10〉 한강수계유기물 부하량 238

〈표 4-1-11〉 동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조사시기 242

〈표 4-1-12〉 동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조사지점 243

〈표 4-1-13〉 한강본류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와 점유율 246

〈표 4-1-14〉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생태지수 252

〈표 4-1-15〉 추가지역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와 점유율 255

〈표 4-1-16〉 청계천 부착조류 출현종수와 점유율 259

〈표 4-1-17〉 한강본류 동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출현종수 및 점유율 261

〈표 4-1-18〉 조사시기에 따른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63

〈표 4-1-19〉 동물플랑크톤 지점별 우점종 264

〈표 4-1-20〉 한강본류 동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생물량 265

〈표 4-1-21〉 동물플랑크톤 군집지수의 시공간적인 변동 268

〈표 4-2-1〉 세균 조사시기 271

〈표 4-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지점 281

〈표 4-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일정 282

〈표 4-3-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현황(한강본류) 284

〈표 4-3-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현황(주요 지천) 285

〈표 4-3-5〉 한강본류 구간별 분류군별 출현종수 289

〈표 4-3-6〉 한강본류 구간별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290

〈표 4-3-7〉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의 계절 분포 294

〈표 4-3-8〉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출현종수 295

〈표 4-3-9〉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수(전체) 296

〈표 4-3-10〉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도(여름) 307

〈표 4-3-11〉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도(가을) 308

〈표 4-3-12〉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우점종 및 우점도(봄) 309

〈표 4-3-13〉 한강본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지수(H') 311

〈표 4-3-14〉 주요 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지수(H') 313

〈표 4-3-15〉 강하루살이류 및 동양하루살이의 출현지점 323

〈표 4-3-16〉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강하루살이류 및 동양하루살이의 출현지점 323

〈표 4-3-17〉 본류 및 주요 지천의 강하루살이류 출현지점 324

〈표 4-3-18〉 본류 및 주요 지천의 동양하루살이의 역대 출현지점 326

〈표 4-3-19〉 한강본류에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수(차수별) 327

〈표 4-3-20〉 한강본류에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수(5~8차) 331

〈표 4-4-1〉 어류 조사시기 334

〈표 4-4-2〉 어류 조사지점 335

〈표 4-4-3〉 어류 서식환경현황 336

〈표 4-4-4〉 한강본류와 주요 지천에서 출현한 어류상 343

〈표 4-4-5〉 각 조사지점의 우점종 및 아우점종 346

〈표 4-4-6〉 조사지점별 군집분석 결과 347

〈표 4-4-7〉 어도 조사지점 356

〈표 4-4-8〉 어도 조사시기 357

〈표 4-4-9〉 전체 모니터링 지점에서 조사된 어류목록 및 개체수 364

〈표 4-4-10〉 잠실수중보 어도이용 현황 분석 365

〈표 4-4-11〉 청계천 어도이용 현황 분석 368

〈표 4-4-12〉 청계천 어도이용 현황 분석 370

〈표 4-4-13〉 탄천 어도이용 현황 분석 372

〈표 4-4-14〉 한강본류 잠실수중보에서 조사된 어류상 비교(2007~2017) 373

〈표 4-4-15〉 청계천에서 조사된 어류상 비교(2007~2017) 374

〈표 4-4-16〉 청계천에서 조사된 어류상 비교(2007~2017) 375

〈표 4-4-17〉 탄천에서 조사된 어류상 비교(2007~2017) 376

〈표 4-5-1〉 수생 및 육상식물 조사 일정 378

〈표 4-5-2〉 식생의 표시 기호 379

〈표 4-5-3〉 2007년, 2012년, 2017년 수생 및 육상식물의 조사구역의 비교 380

〈표 4-5-4〉 한강 암사생태경관보전지역의 토양 환경(평균±표준편차, 반복=5) 381

〈표 4-5-5〉 구역별 총 식물종수 384

〈표 4-5-6〉 구역별 수생식물 생태형별 종수 386

〈표 4-5-7〉 전 구역 수생식물 생태형별 식물종 387

〈표 4-5-8〉 각 구역별 식물 기원에 따른 식물종수 388

〈표 4-5-9〉 한강본류 및 지천의 주요 식생군락 390

〈표 4-5-10〉 2012년과 2017년의 군락구조 비교 391

〈표 4-5-11〉 주요 목본식생의 매목 현황 392

〈표 4-5-12〉 2016년 갈대, 갈풀, 물억새의 초장, 밀도, 생물량의 월별 변화 427

〈표 4-5-13〉 1987년부터 2017년까지 공통조사구역에서 확인된 식물종류 수 및 비율 429

〈표 4-5-14〉 2012년(7차)과 비교하여 2017년(8차)에 추가된 식물종 431

〈표 4-5-15〉 2012년(7차)과 비교한 2016년(8차)에 확인하지 못한 식물종 432

〈표 4-5-16〉 식물종명(국명)의 변경 433

〈표 4-5-17〉 2007~2017년 구역별 외래(귀화 포함)식물과 수생식물의 종수 변화 435

〈표 4-5-18〉 1987년부터 2017년까지 연도별 수생식물종의 출현현황 436

〈표 4-5-19〉 2012년과 비교한 2017년 한강본류 및 지류의 주요 식생의 변화 현황 441

〈표 4-6-1〉 육상곤충 조사지점 443

〈표 4-6-2〉 육상곤충 조사시기 444

〈표 4-6-3〉 임의채집법 조사방법 444

〈표 4-6-4〉 한강본류 육상곤충 종 수 446

〈표 4-6-5〉 한강본류 목별 육상곤충 종구성 446

〈표 4-6-6〉 한강본류 각 지점별 곤충 우점종 및 우점도 447

〈표 4-6-7〉 주요 지천 지점별 육상곤충 종 수 447

〈표 4-6-8〉 주요 지천 및 추가지역 목별 육상곤충 종구성 448

〈표 4-6-9〉 주요 지천 및 추가지역 각 지점별 곤충 우점종 및 우점도 449

〈표 4-6-10〉 야간조사의 목별 육상곤충 종구성 449

〈표 4-6-11〉 한강 전체 지점별 육상곤층 종 수 450

〈표 4-6-12〉 한강 전체 목별 육상곤충 종구성 451

〈표 4-6-13〉 한강 전체 각 지점별 우점종 및 우점도 451

〈표 4-6-14〉 육상곤충출현 종 수 비교 453

〈표 4-6-15〉 조사지점별 보호대책 및 관리방안 455

〈표 4-7-1〉 양서파충류 조사시기 및 조사구간 458

〈표 4-7-2〉 조사지역별 출현 양서·파충류 종 목록 461

〈표 4-7-3〉 한강본류 조사지역별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462

〈표 4-7-4〉 한강본류 양서·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463

〈표 4-7-5〉 한강 주요 지천의 양서·파충류 출현 현황 463

〈표 4-7-6〉 한강 주요 지천의 양서·파충류 군집분석 결과 464

〈표 4-7-7〉 5차(2002)~8차(2017) 조사와의 비교 465

〈표 4-8-1〉 조류 및 포유류 조사시기 468

〈표 4-8-2〉 조류 및 포유류 조사구역 469

〈표 4-8-3〉 한강의 분류군별 하계 조류군집(2016년 5월, 6월) 471

〈표 4-8-4〉 한강의 분류군별 추계 조류군집(2016년 9월, 10월) 473

〈표 4-8-5〉 한강의 분류군별 동계 조류군집(2016년 11월, 2017년 2월) 474

〈표 4-8-6〉 한강의 분류군별 춘계 조류군집(2017년 3월, 4월) 475

〈표 4-8-7〉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하계 1차 조류군집(2016년 5월) 476

〈표 4-8-8〉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하계 2차 조류군집(2016년 6월) 476

〈표 4-8-9〉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추계 1차 조류군집(2016년 9월) 477

〈표 4-8-10〉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추계 2차 조류군집(2016년 10월) 477

〈표 4-8-11〉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동계 1차 조류군집(2016년 11월) 478

〈표 4-8-12〉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동계 2차 조류군집(2017년 2월) 478

〈표 4-8-13〉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춘계 1차 조류군집(2017년 3월) 479

〈표 4-8-14〉 한강본류역의 조사구역 및 분류군별 춘계 1차 조류군집(2017년 4월) 479

〈표 4-8-15〉 한강의 조사구역별 포유류 조사 결과 483

〈표 4-8-16〉 한강의 조사구역별 하계 포유류 군집 484

〈표 4-8-17〉 한강의 조사구역별 추계 포유류 군집 484

〈표 4-8-18〉 한강의 조사구역별 동계 포유류 군집 485

〈표 4-8-19〉 한강의 조사구역별 춘계 포유류 군집 486

〈표 4-8-20〉 조류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494

〈표 4-8-21〉 포유류 법정보호종 출현 현황 499

〈표 4-8-22〉 연도별 맹금류 및 천연기념물 출현 현황 504

〈표 5-1-1〉 QUAL-MEV모델의 모의 가능한 수질 항목 512

〈표 5-1-2〉 QUAL-MEV모델의 계산요소 513

〈표 5-1-3〉 한강본류의 수리계수 515

〈표 5-1-4〉 한강본류의 모델링 반응계수 516

〈표 5-1-5〉 안양천의 수리계수 518

〈표 5-1-6〉 안양천의 모델링의 반응계수 518

〈표 5-1-7〉 탄천의 수리계수 521

〈표 5-1-8〉 탄천의 모델링의 반응계수 521

〈표 5-1-9〉 중랑천의 수리계수 524

〈표 5-1-10〉 중랑천의 모델링의 반응계수 524

〈표 5-1-11〉 서울시 4개 물재생센터의 방류수질 가정값 526

〈표 5-1-12〉 팔당댐 방류량(2011~2015) 532

〈표 5-2-1〉 1~8차 조사 생물종 DB구축 결과 536

〈표 5-2-2〉 1차조사(1987) 이후 분류군별 총 출현종수 537

〈표 5-2-3〉 분류군별 sp. 출현종수 537

〈표 5-2-4〉 1~8차 조사시 8회 출현 생물종 538

〈표 5-2-5〉 6~8차조사에서 모두 출현한 생물종 538

〈표 5-2-6〉 식물플랑크톤 DB 구축결과 539

〈표 5-2-7〉 동물플랑크톤 DB 구축결과 539

〈표 5-2-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DB 구축결과 539

〈표 5-2-9〉 어류 DB 구축결과 540

〈표 5-2-10〉 수생 및 육상식물 DB 구축결과 540

〈표 5-2-11〉 양서파충류 DB 구축결과 540

〈표 5-2-12〉 육상곤충 DB 구축결과 541

〈표 5-2-13〉 조류 DB 구축결과 541

〈표 5-2-14〉 포유류 DB 구축결과 541

〈표 5-2-15〉 1차~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의 분류군별 연구개요 및 결과비교 543

〈표 5-3-1〉 US EPA(1974) 영양단계 판정기준 546

〈표 5-3-2〉 OECD(1982) 영양단계 판정기준 546

〈표 5-3-3〉 한강본류 BOD 농도 변화(2012~2017) 547

〈표 5-3-4〉 한강본류 영양상태 548

〈표 5-3-5〉 한강본류의 BOD, DO 변화와 분류군별 총 종수 549

〈표 5-3-6〉 한강본류의 구간별 수질오염 현황과 생물종 분포 550

〈표 5-3-7〉 한강지류의 구간별 수질오염 현황과 생물종 분포 551

〈표 5-3-8〉 환경기준에 따른 중금속 기준 556

〈표 5-3-9〉 식품분야 중금속 기준 557

〈표 5-3-10〉 어류의 중금속 농도 기준 비교 559

〈표 5-3-11〉 중금속 분석대상 어류의 종류 및 무게 563

〈표 5-3-12〉 어류의 중금속 함량 564

〈표 5-3-13〉 2007년~2017년 어류 중금속 농도 비교 568

〈표 5-3-14〉 담수어의 중금속 함량 분석연구 결과비교 571

〈표 6-1〉 종다양성 등급 구분 580

〈표 6-2〉 EU 물관리기본지침에서 제시하는 하천 모니터링 유형 583

〈표 6-3〉 독일 하천 생물요소 평가절차 및 방법 587

〈표 6-4〉 독일 하천 생물요소 평가절차 및 방법 587

〈표 6-5〉 우점도 지수 부여방법 591

〈표 6-6〉 플랑크톤이 생육하는 하천의 영양도 평가체계 592

〈표 6-7〉 독일 수생식물 평가를 위한 하천유형의 구분 593

〈표 6-8〉 수생식물평가를 위한 하천유형별 식물종 그룹 예시 594

〈표 6-9〉 스위스 하천조사 대상 596

〈표 6-10〉 스위스 하천 조사 심도 구분 596

〈표 6-11〉 스위스 하천조사 심도 구분 597

〈표 6-12〉 스위스 저서동물 품질지수 IBCH에 활용되는 분류군(142개) 598

〈표 6-13〉 IBCH 지수 산정 599

〈표 6-14〉 IBCH 범례 구분 600

〈표 6-15〉 영국의 생물학적 기준에 의한 수질등급 구분 601

〈표 6-16〉 미국 생물학적 온전성 평가 분류군별 요소 602

〈표 6-17〉 일본 수질등급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604

〈표 6-18〉 환경부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 606

〈표 6-19〉 호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 608

〈표 6-20〉 전승훈(2016) 식생을 이용한 하천환경 평가(VAI) 방법 609

〈표 6-21〉 박은하 등(2015) 도시하천 환경 평가지표 610

〈표 6-22〉 김미경(2016) 저서성 돌말류를 이용한 하천생태계 온전성 평가기법 611

〈표 6-23〉 한강생태평가 평가항목(안) 613

〈표 6-24〉 1차~8차 한강생태계 어류 고유종 현황 615

〈표 6-25〉 1차~8차 한강생태계 충식성 어류 현황 615

〈표 6-26〉 1차~8차 수생식물 자생종 현황 617

〈표 6-27〉 1차~8차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 종 수 현황 618

〈표 7-1〉 조사구역 설정 636

〈표 7-2〉 한강생태계 종합 GIS-DB 레이어 구성-공간정보 640

〈표 7-3〉 한강생태계 종합 GIS-DB 레이어 구성-속성정보 640

〈표 7-4〉 테이블설계서-수질현황평균 641

〈표 7-5〉 테이블설계서-수질현황등급현황 641

〈표 8-1-1〉 CSMP 모니터링 대상 항목 656

〈표 8-1-2〉 LaRosa 실험실 샘플분석 파트너쉽 세부사항 659

〈표 8-1-3〉 일본 아사자프로젝트의 주요 내용 661

〈표 8-1-4〉 대청호보전운동본부 금강하천 감시조사활동 관련 수행사업 665

〈표 8-1-5〉 금강하천 조사감시활동대상 모니터링지점(2016년) 666

〈표 8-1-6〉 태화강 수질개선사업 총괄 667

〈표 8-1-7〉 1사 1하천 살리기 지정현황 669

〈표 8-1-8〉 1사 1하천 살리기 연도별 추진실적 669

〈표 8-1-9〉 신천의 변화 및 주요사업 672

〈표 8-1-10〉 무심천 주민 하천 모니터링 조사대상 및 내용 680

〈표 8-2-1〉 분류군별 생물상 조사결과 684

〈표 8-2-2〉 일차생산 및 동식물플랑크톤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86

〈표 8-2-3〉 세균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87

〈표 8-2-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88

〈표 8-2-5〉 어류 및 어도개선 모니터링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89

〈표 8-2-6〉 식물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90

〈표 8-2-7〉 육상곤충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91

〈표 8-2-8〉 양서파충류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92

〈표 8-2-9〉 조류 및 포유류 주요현황(위협요인) 및 관리방안 693

〈표 8-2-10〉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정의 694

〈표 8-2-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 현황 694

〈표 8-2-12〉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 목록 695

〈표 8-2-13〉 1~8차 조사시 발견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696

〈표 8-2-14〉 서울시 보호종 목록 697

〈표 8-2-15〉 1~8차 조사보고 결과 발견된 서울시 보호종수 698

〈표 8-2-16〉 1~8차 조사결과 분류군별 보호종 현황 699

〈표 8-2-17〉 7차 조사와 비교시 8차 조사 미출현종 및 신규출현종 700

〈표 8-2-18〉 생태계교란생물 지정 현황 및 서울시 출현종 701

〈표 8-2-19〉 2012년과 비교한 2017년 주요 외래식물 증가 지역 703

〈표 8-2-20〉 한강 생태계교란식물 분포 종합 703

〈표 8-2-21〉 서울시 생태계교란식물 관리 관련 활동 704

〈표 8-2-22〉 한강사업본부 생태계교란식물 제거 실적 704

〈표 8-2-23〉 대체식재 가능 식물 706

〈표 8-2-24〉 돼지풀과 쑥의 어린개체 형태 비교 708

〈표 8-2-25〉 돼지풀과 노랑코스모스의 형태 비교 708

〈표 8-2-26〉 단풍잎돼지풀과 해바라기의 어린개체 형태 비교 709

〈표 8-2-27〉 서양등골나물과 등골나물의 형태 비교 710

〈표 8-2-28〉 미국쑥부쟁이와 쑥부쟁이의 형태 비교 711

〈표 8-2-29〉 본류 구간별 생물종 분포 현황 713

〈표 8-2-30〉 한강본류 K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4

〈표 8-2-31〉 한강본류 L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5

〈표 8-2-32〉 한강본류 M1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6

〈표 8-2-33〉 한강본류 M2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7

〈표 8-2-34〉 한강본류 N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8

〈표 8-2-35〉 한강본류 O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19

〈표 8-2-36〉 한강본류 P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0

〈표 8-2-37〉 한강본류 Q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1

〈표 8-2-38〉 한강본류 R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2

〈표 8-2-39〉 한강본류 S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3

〈표 8-2-40〉 한강본류 T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4

〈표 8-2-41〉 한강본류 U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5

〈표 8-2-42〉 탄천 구간별 생물종 분포 현황 726

〈표 8-2-43〉 탄천 V6-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7

〈표 8-2-44〉 탄천 V6-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8

〈표 8-2-45〉 탄천 V6-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29

〈표 8-2-46〉 탄천 V6-4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0

〈표 8-2-47〉 중랑천 구간별 생물종 분포 현황 731

〈표 8-2-48〉 중랑천 V7-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2

〈표 8-2-49〉 중랑천 V7-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3

〈표 8-2-50〉 중랑천 V7-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4

〈표 8-2-51〉 중랑천 V7-4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5

〈표 8-2-52〉 중랑천 V7-5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6

〈표 8-2-53〉 중랑천 V7-6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7

〈표 8-2-54〉 안양천 구간별 생물종 분포 현황 738

〈표 8-2-55〉 안양천 V9-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39

〈표 8-2-56〉 안양천 V9-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0

〈표 8-2-57〉 안양천 V9-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1

〈표 8-2-58〉 안양천 V9-4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2

〈표 8-2-59〉 안양천 V9-5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3

〈표 8-2-60〉 안양천 V9-6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4

〈표 8-2-61〉 홍제천·불광천 및 여의도샛강 구간별 생물종 분포 현황 745

〈표 8-2-62〉 홍제천·불광천 V10-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6

〈표 8-2-63〉 홍제천·불광천 V10-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7

〈표 8-2-64〉 홍제천·불광천 V10-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48

〈표 8-2-65〉 여의도샛강 Y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 방안 749

〈표 8-2-66〉 여의도샛강 Y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 방안 750

〈표 8-2-67〉 청계천 구간별 생물종 분포 양상 751

〈표 8-2-68〉 청계천 W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2

〈표 8-2-69〉 청계천 W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3

〈표 8-2-70〉 청계천 W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4

〈표 8-2-71〉 청계천 W4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5

〈표 8-2-72〉 서울숲 구역별 생물종 분포 현황 756

〈표 8-2-73〉 서울숲 X1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7

〈표 8-2-74〉 서울숲 X2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8

〈표 8-2-75〉 서울숲 X3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59

〈표 8-2-76〉 서울숲 X4 구간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760

〈표 8-2-77〉 2000년 이후 한강 조류경보 발령 현황 775

〈표 8-2-78〉 한강 녹조 관리방안 주요내용 777

〈표 8-3-1〉 한강공원 생태프로그램 운영계획(2017.11) 787

〈표 8-3-2〉 한강 관련 사업 및 계획의 생태분야 주요 내용 788

(그림 1-1) 한강 관련 주요 계획(1968~2016) 32

(그림 1-2)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33

(그림 1-3) 제8차 한강생태계 조사 연구 체계 35

(그림 1-4) 조사범위 및 구역 36

(그림 1-5) 주요 연구내용 39

(그림 1-6) 주요 연구방법 및 결과 40

(그림 2-1) 여름철 기온변화(1960~2015) 43

(그림 2-2) 겨울철 기온변화(1960~2015) 43

(그림 2-3) 서울시 연강수량(1970~2015) 44

(그림 2-4) 서울시 여름철(6~8월) 강수량 44

(그림 2-5) 조류경보가 발령된 성산대교 인근(2015) 44

(그림 2-6) 주요 비오톱 변화구역(2010~2015) 46

(그림 2-7) 조사구간 내 하천 및 습지비오톱, 조경녹지비오톱 분포(2015) 46

(그림 2-8) 보도자료 건 수 분석결과(2012~2016) 47

(그림 2-9) 보도유형별 분석 결과(2012~2016) 47

(그림 2-10) 한강공원 이용객 수(2010~2016) 48

(그림 2-11) 한강공원별 이용객 수(2016) 49

(그림 2-12) 한강유람선 이용객 수... 49

(그림 2-13) 여의도 요트나루 이용객 수... 49

(그림 2-14) 서울시 보호지역 현황(2016) 50

(그림 2-15) 7대 권역 구상도 52

(그림 2-16) 한강사업본부 수행 사업(2012~2016) 53

(그림 2-17) 한강사업본부 주요 사업 수행 지역(2016) 54

(그림 2-18)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 전략 및 정책과제 54

(그림 2-19) 한강 자연성 회복 기본계획 목표지수 55

(그림 2-20)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의 4대 부문, 12개 관리원칙 56

(그림 2-21) 토지이용 부문 7대 수변활동권역 57

(그림 2-22) 한강변 관리 기본계획 가이드라인 예시 58

(그림 2-23) 환경부 및 국토교통부의 수환경모니터링 지점 60

(그림 2-24) 서울시 조류측정지점 67

(그림 2-25)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국가) 조사지점 69

(그림 2-26) 한강 밤섬의 연도별 관찰 종 및 개체 수 변화 추이 74

(그림 2-27) 장항습지 장기모니터링 지점 현황 75

(그림 2-28) 장항습지 75

(그림 2-29) 한강수계 생태모니터링(서울시) 조사지점 및 구간 77

(그림 2-30) 한강 겨울철 조류 종수와 개체수 변동(2001~2013) 78

(그림 3-31) 행주 일대 흰꼬리수리 78

(그림 2-32) 밤섬 일대 흰죽지 78

(그림 2-33) 암사동 개개비 79

(그림 2-34) 한강밤섬 버드나무... 79

(그림 2-35) 탄천 자라 79

(그림 2-36) 시민단체의 모니터링 및 관리 활동 81

(그림 3-1-1) 한강유역도 86

(그림 3-1-2) 한강하류부 하천수계 모식도 86

(그림 3-1-3) 서울시 관내 하천현황도 87

(그림 3-1-4) 서울시 월별 평균 기온변화(1983~2014 자료 평균) 92

(그림 3-1-5) 서울시 월별 평균 증발량(1983~2014 자료 평균) 93

(그림 3-1-6) 서울시 월별 평균 및 최대 풍속(1983~2014 자료 평균) 93

(그림 3-1-7) 서울관측소 연평균 월강우량(1983~2014) 95

(그림 3-1-8) 연도별 집중호우 발생횟수(1981~2014) 95

(그림 3-1-9) 서울시 수문학적 토양도 99

(그림 3-1-10) 서울시 지질도 100

(그림 3-1-11) 서울시 도시화율 변화 103

(그림 3-2-1) 한강 인도교 지점 유황분석 112

(그림 3-2-2) 서울시 관내 주요하천 유황분석 결과 113

(그림 3-2-3) 한강 시민공원 현황 114

(그림 3-2-4) 연도별 서울시 용수 이용 현황 118

(그림 3-2-5) 연도별 서울시 생활용수 이용 현황 119

(그림 3-2-6) 연도별 서울시 공업용수 이용 현황 119

(그림 3-2-7) 연도별 서울시 농업용수 이용 현황 120

(그림 3-2-8) 연도별 준설실적 추이 121

(그림 3-2-9) 1987년 대비 연도별 세굴 및 퇴적량 변동 123

(그림 3-2-10) 개수로 단면형 설명도 124

(그림 3-2-11) 한강 지점별 빈도별 홍수위 127

(그림 3-2-12) 월별 팔당댐 방류량 및 강수량 비교 128

(그림 3-2-13) 시기별 현재-철거 대비 수위변화 129

(그림 3-2-14) 하상변동에 따른 수위영향 검토 130

(그림 3-3-1) 한강본류 및 지천의 수질조사지점 132

(그림 3-3-2) 한강본류 수질 현황 136

(그림 3-3-3) 한강본류 T-P와 PO₄-P의 농도 137

(그림 3-3-4) 한강본류 T-N와 NH3-N의 농도 137

(그림 3-3-5) 주요 지천 측정지점별 수질 현황 139

(그림 3-3-6) 한강 및 지천의 수질 분석 결과 139

(그림 3-3-7)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BOD) 변화 141

(그림 3-3-8) 최근 20년간 한강본류의 수질(DO)변화 143

(그림 3-3-9)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BOD) 변화 145

(그림 3-3-10) 최근 20년간 주요 지천의 수질(DO) 변화 146

(그림 3-3-11) 2014년 한강하류수계 가정 인구수 149

(그림 3-3-12) 2014년 한강하류수계 폐수 배출량 150

(그림 3-3-13) 2014년 한강하류수계 축산계... 152

(그림 3-3-14) 2014년 한강하류수계 축산계... 152

(그림 3-3-15) 2014년 한강하류수계 토지계(대지) 분포 154

(그림 3-3-16)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BOD) 156

(그림 3-3-17)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T-N) 156

(그림 3-3-18)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발생오염부하량(T-P) 156

(그림 3-3-19)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량(BOD) 159

(그림 3-3-20)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량(T-N) 159

(그림 3-3-21) 한강하류수계 오염원별 배출부하랑(T-P) 159

(그림 3-3-22) 한강하류수계 유역별 배출부하량 160

(그림 3-3-23) 소음 측정 결과 비교 167

(그림 3-4-1) 수변환경 현황분석 과정도 172

(그림 3-4-2) 조사구간 173

(그림 3-4-3) 하천 단면도 176

(그림 3-4-4) 수변환경조사 표기항목 178

(그림 3-4-5) 한강(강동대교 하류~천호대교 하류) 현황 181

(그림 3-4-6) 한강(올림픽대교 하류 ~ 잠실대교 상류) 현황 182

(그림 3-4-7) 한강(잠실대교 하류 ~ 영동대교 상류) 현황 183

(그림 3-4-8) 한강(동호대교 하류 ~ 반포대교 상류) 현황 184

(그림 3-4-9) 한강(반포대교 하류 ~ 동작대교 상류) 현황 185

(그림 3-4-10) 한강(동작대교 ~ 반포대교 좌안)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86

(그림 3-4-11) 한강(동작대교 ~ 반포대교 우안)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87

(그림 3-4-12) 한강(한강대교 하류 ~ 마포대교 상류) 현황 188

(그림 3-4-13) 한강(양화대교 하류 ~ 방화대교 상류) 현황 190

(그림 3-4-14) 탄천(한강합류부 ~ 탄천1교) 현황 191

(그림 3-4-15) 탄천(삼성교 ~ 탄천2교)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192

(그림 3-4-16) 탄천(탄천1교 ~ 광평교) 현황 193

(그림 3-4-17) 탄천(광평교 ~ 대곡교) 현황 194

(그림 3-4-18) 양재천(탄천 합류부 ~ 영동6교) 현황 195

(그림 3-4-19) 중랑천(한강합류부 ~ 중랑교) 현황 197

(그림 3-4-20) 중강천(중랑교 ~ 녹천교) 현황 199

(그림 3-4-21) 중강천(녹천교 ~ 노원교) 현황 200

(그림 3-4-22) 우이천, 당현천 현황 201

(그림 3-4-23) 청계천(1공구 : 청계광장 ~ 새벽다리) 현황 202

(그림 3-4-24) 청계천(2공구 : 새벽다리 ~ 황학교) 현황 203

(그림 3-4-25) 청계천(3공구 : 황학교 ~ 신답철교) 현황 204

(그림 3-4-26) 청계천(4공구 : 신답철교 ~ 중랑천 합류부) 현황 205

(그림 3-4-27) 안양천(한강합류부 ~ 오목교) 현황 207

(그림 3-4-28) 안양천(오목교 ~ 동양자동차운전학원) 현황 208

(그림 3-4-29) 도림천(도림교 하류), 목감천(목감교 하류) 현황 209

(그림 3-4-30) 홍제천(한강합류부 상류 ~ 홍남교 하류) 현황 210

(그림 3-4-31) 홍제천(홍남교 상류 ~ 진형교 하류) 현황 211

(그림 3-4-32) 불광천 (홍제천 합류부 ~ 중동교) 현황 212

(그림 3-4-33) 여의샛강(여의상류 IC ~ 여의하류 IC) 현황 213

(그림 3-4-34) 여의샛강(여의상류 IC ~ 여의하류 IC) 수변환경 조사분석도 214

(그림 3-4-35) 한강 제내지 변화 215

(그림 3-4-36) 한강 제방유형 변화 216

(그림 3-4-37) 한강 둔치 변화 216

(그림 3-4-38) 한강 저수호안 변화 216

(그림 3-4-39) 한강 종합분석도 217

(그림 3-4-40) 지천 제내지 변화 218

(그림 3-4-41) 지천 제방유형 변화 218

(그림 3-4-42) 지천 둔치 변화 218

(그림 3-4-43) 지천 저수호안 변화 219

(그림 3-4-44) 한강지천 종합분석도 219

(그림 4-1-1) 조사시기에 따른 엽록소-a 농도 229

(그림 4-1-2) 지점별 면적당 일차생산량 231

(그림 4-1-3) 조사시기별 일차생산량 231

(그림 4-1-4) 조사시기별 동화계수 231

(그림 4-1-5) 지점별 BOD 분포 234

(그림 4-1-6) 지점별 탈산소계수 235

(그림 4-1-7) 과거 계절별 일차생산력 조사결과 비교 239

(그림 4-1-8)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47

(그림 4-1-9) 한강본류 식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249

(그림 4-1-10)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50

(그림 4-1-11)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유해성 남조류 현존량 251

(그림 4-1-12) 한강본류 식물플랑크톤 분류군별 점유율 251

(그림 4-1-13)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252

(그림 4-1-14) 식물플랑크톤 집괴분석에 의한 지역간 유사성 254

(그림 4-1-15) 추가지역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56

(그림 4-1-16) 추가지역 지점 및 시기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257

(그림 4-1-17) 추가지역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분류군별 점유율 258

(그림 4-1-18) 청계천 부착조류 출현종수 259

(그림 4-1-19) 청계천 부착조류 현존량 260

(그림 4-1-20)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262

(그림 4-1-21) 지점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263

(그림 4-1-22) 동물플랑크톤 주요 우점종 264

(그림 4-1-23) 시기별 한강본류 동물플랑크톤 생물량(ind./L) 비교 265

(그림 4-1-24) 한강본류 지점 및 시기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점유율 267

(그림 4-2-1) 한강본류 지점별 총 대장균군 273

(그림 4-2-2) 한강본류 지점별 분원선대장균군 273

(그림 4-2-3) 주요 지천 지점별 총 대장균군 275

(그림 4-2-4) 주요 지천 지점별 분원선대장균군 275

(그림 4-2-5) 한강본류 지점별 총 세균수 276

(그림 4-2-6) 주요 지천 지점별 총 세균수 277

(그림 4-2-7) 한강에서 발견되는 전형적인 세균의 모습 278

(그림 4-3-1)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조사구간 280

(그림 4-3-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방법 283

(그림 4-3-3) 한강본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조성비 287

(그림 4-3-4) 한강본류 지점별 종수 변동(계절별) 288

(그림 4-3-5) 한강본류 지점별 종수 변동(평균값) 289

(그림 4-3-6) 한강본류 구간별 출현종수 비교 290

(그림 4-3-7) 한강본류 구간별 출현종수의 계절 비교 291

(그림 4-3-8) 한강본류 지점별 개체수 변동(계절별) 292

(그림 4-3-9) 한강본류 지점별 개체수 변동(평균값) 292

(그림 4-3-10)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조성비 293

(그림 4-3-11)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수 계절 분포 비교 294

(그림 4-3-12)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출현종수 비교 295

(그림 4-3-13) 주요 지천 및 추가조사지역 분류군별 출현종수 비교 296

(그림 4-3-14) 주요 지천 지점별 출현종수(계절별) 297

(그림 4-3-15) 주요 지천 지점별 출현종 및 개체수(평균값) 298

(그림 4-3-16) 탄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299

(그림 4-3-17) 중량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0

(그림 4-3-18) 안양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1

(그림 4-3-19) 불광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2

(그림 4-3-20) 청계천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3

(그림 4-3-21) 서울숲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4

(그림 4-3-22) 여의샛강 분류군별 출현종수(계절별) 304

(그림 4-3-23) 한강본류 지점별 우점도지수 변동(계절별) 306

(그림 4-3-24) 주요 지천 지점별 우점도지수 변동(계절별) 306

(그림 4-3-25) 한강본류 지점별 다양도지수 변동(계절별) 310

(그림 4-3-26) 한강본류 지점별 우점도 및 다양도 변동 311

(그림 4-3-27) 주요 지천 지점별 다양도지수 변동(계절별) 312

(그림 4-3-28) 주요 지천 지점별 우점도 및 다양도 변동 312

(그림 4-3-29) 팔당댐 하방(E) 전경(좌 : 가을, 우 : 봄) 315

(그림 4-3-30) 팔당대교 하방(F) 전경 (좌 : 여름, 우 : 봄) 315

(그림 4-3-31) 강동대교 하방(K)과 광나루유원지 (L) 전경 (봄) 316

(그림 4-3-32) 성수대교 상방(N)과 서강대교 하방(Q) 전경 (가을) 317

(그림 4-3-33) 성산대교 하방(R)과 행주대교 상방(U) 전경 (가을) 317

(그림 4-3-34) 한강본류의 주요 우점종 (좌 : 깔따구류, 우 : 실지렁이류) 318

(그림 4-3-35) 서울숲 PARK1 인공습지(X1)와 여의샛강 생태공원(Y1) 전경 (가을) 319

(그림 4-3-36) 양재시민의 숲(V6-3)과 노원교 하방(V7-4) 전경 (가을) 320

(그림 4-3-37) 수표교 하방(W1)과 오간수교 하방(W2) 전경 (가을) 320

(그림 4-3-38) 서울숲 PARK1 인공습지(X1)와 노란허리잠자리 325

(그림 4-3-39) 강동대교 하방(K) 미소서식처와 동양하루살이 326

(그림 4-3-40) 한강본류에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분류군별 종수(차수별) 328

(그림 4-3-41) 한강본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29

(그림 4-3-42) 한강본류 상류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29

(그림 4-3-43) 한강본류 하류구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출현종수(5차~8차) 330

(그림 4-4-1)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출현종수 및 개체수 342

(그림 4-4-2) 한강본류 및 주요 지천 출현어종 변화(1985~2017) 353

(그림 4-4-3) 주요 모니터링지점 현황 356

(그림 4-4-4) 어도 조사방법 357

(그림 4-4-5)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58

(그림 4-4-6)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59

(그림 4-4-7) 잠실수중보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59

(그림 4-4-8)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0

(그림 4-4-9)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0

(그림 4-4-10) 청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0

(그림 4-4-11)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1

(그림 4-4-12)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1

(그림 4-4-13) 중랑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2

(그림 4-4-14)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과(Family)별 상대풍부도 362

(그림 4-4-15)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활형구분 개체수 363

(그림 4-4-16) 탄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상대풍부도 363

(그림 4-4-17) 전체 지점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3

(그림 4-4-18) 한강본류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4

(그림 4-4-19) 잠실수중보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5

(그림 4-4-20) 청계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7

(그림 4-4-21) 청계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7

(그림 4-4-22) 중랑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69

(그림 4-4-23) 중랑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69

(그림 4-4-24) 탄천 출현 어류의 과별 종수 비율과 상대풍부도 370

(그림 4-4-25) 탄천 어도이용 어류의 전장 371

(그림 4-5-1) 식생단면도 426

(그림 4-5-2) 암사동생태경관보전지역의 갈대군락, 물억새군락, 갈풀군락의 밀도, 초장, 생물량의 월별 변화 428

(그림 4-5-3) 공통조사구역 식물종수 변화 429

(그림 4-5-4) 침수식물종 군락의 분포 440

(그림 4-5-5) 버드나무류 군락과 줄 군락의 분포 440

(그림 4-5-6) 단풍잎돼지풀 및 가시박 군락 분포 구역 440

(그림 4-6-1) 육상곤충 조사지점 442

(그림 4-6-2) 한강본류 및 지천의 육상곤충 종 수 변화 453

(그림 4-7-1) 표범장지뱀 정밀조사 466

(그림 4-7-2) 수변에서 발견된 쿠터류 467

(그림 4-8-1) 5월 본류에서 관찰된 흰뺨검둥오리 472

(그림 4-8-2) 5월 본류에서 관찰된 개개비 472

(그림 4-8-3) 10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밀화부리 472

(그림 4-8-4) 10월 본류에서 관찰된 때까치 472

(그림 4-8-5) 11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원앙 474

(그림 4-8-6) 11월 중랑천에서 관찰된 흰목물떼새 474

(그림 4-8-7) 3월 청계천에서 관찰된... 475

(그림 4-8-8) 3월 본류에서 관찰된 흰죽지... 475

(그림 4-8-9) 5월 불광천에서 관찰된 삵의 분변 484

(그림 4-8-10) 6월 본류에서 관찰된 고라니의 분변 484

(그림 4-8-11) 10월 안양천에서 관찰된 개의 발자국 485

(그림 4-8-12) 9월 본류에서 관찰된 삵의 분변 485

(그림 4-8-13) 2월 여의샛강에서 관찰된 고양이 485

(그림 4-8-14) 2월 탄천에서 관찰된 고라니의 털 485

(그림 4-8-15) 4월 본류에서 관찰된 너구리의... 486

(그림 4-8-16) 4월 본류에서 무인센서카메라로... 486

(그림 4-8-17) 계절별 조류군집 개체수 비교 489

(그림 4-8-18) 계절별 조류군집 구성비 489

(그림 4-8-19) 한강 및 주요 지천 조류 개체수 비교 493

(그림 4-8-20) 2월 본류의... 495

(그림 4-8-21) 2월 본류의... 495

(그림 4-8-22) 주요 법정보호종 출현 지역 495

(그림 4-8-23) 조사지역별 집비둘기 서식현황 496

(그림 4-8-24) 구역별 집비둘기 분포 496

(그림 4-8-25) 무인센서카메라 설치지점 498

(그림 4-8-26) 본류 L구역 무인센서카메라 498

(그림 4-8-27) 본류 L구역에서 관찰된 수달의 분변 499

(그림 4-8-28) 본류 I구역에서 촬영된 삵 499

(그림 4-8-29) 본류 L구역에서 촬영된 수달 499

(그림 4-8-30) 포유류 법정보호종 출현 위치 500

(그림 4-8-31) 수달 흔적조사 대상구간 500

(그림 4-8-32) 수달 분변 발견지점 500

(그림 4-8-33) 연도별 월동조류의 개체수 변동 503

(그림 4-8-34) 연도별 조류 총 종수 변화 503

(그림 5-1-1) QUAL2E(좌)와 QUAL-MEV(QUAL 4K)(우)의 프로그램 구조 513

(그림 5-1-2) QUAL-MEV(좌)와 QUAL2E(우) 모형의 주요 수질인자 상호간의 반응관계도 514

(그림 5-1-3) 한강본류 모식도 515

(그림 5-1-4) 한강본류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6

(그림 5-1-5) 한강본류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7

(그림 5-1-6) 한강본류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7

(그림 5-1-7) 안양천의 모식도 518

(그림 5-1-8) 안양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9

(그림 5-1-9) 안양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19

(그림 5-1-10) 안양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0

(그림 5-1-11) 안양천4, 5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0

(그림 5-1-12) 탄천의 모식도 521

(그림 5-1-13) 탄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4) 탄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5) 탄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2

(그림 5-1-16) 탄천4, 5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3

(그림 5-1-17) 중랑천의 모식도 523

(그림 5-1-18) 중랑천의 BOD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4

(그림 5-1-19) 중랑천의 T-N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5

(그림 5-1-20) 중랑천의 T-P의 실측치와 계산치의 비교 525

(그림 5-1-21) 중랑천3, 4지점의 BOD 변화(2012~2016) 525

(그림 5-1-22) 한강본류 BOD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3) 한강본류 T-N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4) 한강본류 T-P 장래 수질 예측 527

(그림 5-1-25) 안양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28

(그림 5-1-26) 안양천 T-N 장래 수질 예측 528

(그림 5-1-27) 안양천 T-P 장래 수질 예측 529

(그림 5-1-28) 탄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29

(그림 5-1-29) 탄천 T-N 장래 수질 예측 530

(그림 5-1-30) 탄천 T-P 장래 수질 예측 530

(그림 5-1-31) 중랑천 BOD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1-32) 중랑천 T-N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1-33) 중랑천 T-P 장래 수질 예측 531

(그림 5-2-1) 1차~8차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총 생물종 수 및 분류군별 변화 545

(그림 5-3-1) 팔당대교 하방(F)과 반포대교 상방(O)의 하상구조 553

(그림 5-3-2) 주요 지천의 하류 554

(그림 5-3-3) 반표대교 상방(O)과 가양대교 하방(S)의 전경 554

(그림 5-3-4) 중금속의 체내 축적과정 555

(그림 5-3-5) 중금속 분석대상 어류 채집 위치 562

(그림 5-3-6) 어류 종류별 중금속 농도비교 565

(그림 5-3-7) 어류 부위별 중금속 농도 비교 566

(그림 5-3-8) 근육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9) 간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10) 아가미의 중금속 농도 비교 567

(그림 5-3-11) 2007년~2017년 어류 중금속 농도 변화 추이 570

(그림 6-1) EU 물관리기본지침에 의한 "양호한 생태 상태"의 하천 581

(그림 6-2) 하천 평가기준으로 삼는 참조전형과 현재 하천의 비교 평가 582

(그림 6-3) 베를린 하천 모니터링망 분포 583

(그림 6-4) 독일 하천유형 구분 사례 584

(그림 6-5) 하천유형 사례(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584

(그림 6-6) 생태 현황 및 잠재성 평가 등급 및 표시범례 585

(그림 6-7) 하천 생태평가 개요도 586

(그림 6-8) 독일 바덴뷔크템베르크주의 이동요구도 지도 590

(그림 6-9) 독일 수생식물 평가를 위한 하천유형 사례 593

(그림 6-10) 참조전형지수 계산식 595

(그림 6-11) 미국 생물학적 온전성 평가 결과(2009) 603

(그림 6-12) 일본 수생생물조사 지표생물군 시민참여 홍보물 604

(그림 6-13) 한강생태평가 항목 선정방법 612

(그림 6-14) 한강생태평가 항목 최종선정 614

(그림 6-15) 어류 고유종 수, 충식성 어류 수 평가 결과 614

(그림 6-16) 수생식물 자생종 수 평가 결과 616

(그림 6-17) 하루살이목, 강도래목, 날도래목(EPT) 종 수 평가 결과 618

(그림 7-1) 일본 생물다양성센터 홈페이지(좌) 및 미국 그린맵 초기화면(우)(2017) 622

(그림 7-2) 미국 네이처 서브(Nature Serve) 자료 및 지도소개 페이지 622

(그림 7-3) 기글(GiGL)의 Greenspace Information 623

(그림 7-4) GBIF에서 제공되는 우리나라 생물정보(GBIF 웹지도) 624

(그림 7-5) 환경공간정보서비스 플랫폼 625

(그림 7-6) MEAS 디지털 아틀라스의 유럽 생태계 구분 626

(그림 7-7) 전세계 생태계 평가 합성지도 627

(그림 7-8) iNaturalist 제공자료 및 어플리케이션 628

(그림 7-9) NBN Atlas를 활용한 생물 분포 검색 629

(그림 7-10) Observation.org의 관찰정보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0

(그림 7-11) 네이처링의 관찰정보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1

(그림 7-12) 모야모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632

(그림 7-13) 생태지도 제작과정 633

(그림 7-14) 분류군별 DB 구축양식 통일 634

(그림 7-15) 조사도면 작성 634

(그림 7-16) 색인지도 제작흐름도 637

(그림 7-17) 조사구간도 638

(그림 7-18) 수질 분야 DBF 파일 구축 642

(그림 7-19) 수질환경등급현황도(8차 조사) 643

(그림 7-20) 어류 DBF 파일 구축 644

(그림 7-21) 어류 우점종 분포도(8차 조사) 644

(그림 7-22) 어류 풍부도 지수(8차 조사) 645

(그림 7-23) 어류 출현종수(8차 조사) 645

(그림 7-24) 식물 DBF 파일 구축 646

(그림 7-25) 식물 조사지점별 초본 우점종 분포도(8차 조사) 647

(그림 7-2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DBF 파일 구축 647

(그림 7-27)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도 지수(8차 조사) 648

(그림 7-28)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도 지수(8차 조사) 648

(그림 7-29) 타이벡 타입의 한강생태지도(2017) 649

(그림 7-30)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앞면 650

(그림 7-31)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뒷면 650

(그림 7-32) 브로슈어 타입 생태지도 앞면 구성 651

(그림 7-33) 브로슈어 타입의 생태지도 뒷면 구성 651

(그림 7-34) 브로슈어 타입 표지 651

(그림 7-35) 모바일웹 페이지 구성도 652

(그림 7-36) 한강생태계 모바일웹 652

(그림 8-1-1) 시민참여 하천모니터링 프로그램(CSMP) 활동 사진 655

(그림 8-1-2) CSMP 시민모니터링 정보시스템 화면 656

(그림 8-1-3) CSMP 자료를 기반으로 한 미네소타주... 657

(그림 8-1-4) LaRosa 파트너쉽을 통한 모니터링... 658

(그림 8-1-5) 시민참여를 통한 가스미가우라 호수 재생 활동 660

(그림 8-1-6) 일본 아사자프로젝트의 목표연도별 생물 복원 지표 662

(그림 8-1-7) 싱가포르 비산공원 재정비 전(2008년)과 재정비 이후(2011년) 663

(그림 8-1-8) 식물을 이용한 자연 정수방식(클렌징비오톱) 및 시민이용 664

(그림 8-1-9) 환경단체 수질정화사업 활동 668

(그림 8-1-10) 신천 수달 분포현황 및 주요 이동통로 674

(그림 8-1-11) 대구 신천 현장조사 구간 675

(그림 8-1-12) 신천 주요 경관 현황 675

(그림 8-1-13) 신천 보 주변 생태환경 676

(그림 8-1-14) 신천 수달 홍보판 677

(그림 8-1-15) 대구의 신천 생태환경 홍보 678

(그림 8-1-16) 무심천 주민 하천 모니터링 기록지 680

(그림 8-1-17) 무심천 주민 모니터링 결과지도(수질환경) 681

(그림 8-1-18) 전주천 생태문학지도 683

(그림 8-2-1) 분류군별 양호구간 685

(그림 8-2-2)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종수 변화(1987~2017) 696

(그림 8-2-3) 서울시 보호종 종수 변화(1987~2017) 698

(그림 8-2-4)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및 서울시 보호종 출현구간 분포 699

(그림 8-2-5) 가시박으로 덮인 한강 수변부 701

(그림 8-2-6) 주요 한강 외래종 분포 지역 702

(그림 8-2-7) 권장하는 주요 대체식재종 707

(그림 8-2-8) 한강 하류 구간의BOD증가 762

(그림 8-2-9) 지천 유입에 따른 한강본류의TN 및 TP 농도 변화 762

(그림 8-2-10) 한강본류에 유입되는 주요 지천의 BOD 농도 비교(2007~2016) 763

(그림 8-2-11) 중랑천 상·하류간 수질 비교 763

(그림 8-2-12) 중랑천 표층수 온실기체 농도의 공간적 변이... 765

(그림 8-2-13)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아나강(Santa Ana River)에서 조성된... 766

(그림 8-2-14) 이스라엘 야콘강 복원사업(Yarqon River Rehabilitation Project) 사례 767

(그림 8-2-15) 도시유출수 및 하수 처리용 소규모 산학조에 적용된 뉴질랜드 부유습지 768

(그림 8-2-16) 배수관 맞춤형 사용 부유습지(좌) 와 설치사례(우) 768

(그림 8-2-17) Advanced Ecologically Engineered System(AEES) 예시 769

(그림 8-2-18) 중국의 오염된 도심 운하에 설치된 부유습지 사례 770

(그림 8-2-19) 중랑천 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 주변 현황 771

(그림 8-2-20) 중랑천 수질정화습지 조성 대상지 여건 772

(그림 8-2-21) 중랑천 방류구 수질정화습지 기본구상도 773

(그림 8-2-22) 중랑천 방류구 수질정화습지 기본구상 제안 774

(그림 8-2-23)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녹조제거선 778

(그림 8-2-24) 수달 서식흔적 현장조사 결과 780

(그림 8-2-25) 수달 서식실태 조사 결과 분변 관찰지점... 781

(그림 8-2-26) 하천변 생태징검다리 서식지 환경 조성기법 782

(그림 8-2-27) 실제 수달 생태섬 설치 및 수달 이용 사례(한국수달보호협회) 783

(그림 8-2-28) 육상곤충 서식 양호 정도와 외래해충 출현지역 783

(그림 8-2-29) 친환경 외래해충 물리적 방제 사례 784

(그림 8-2-30) 한강 하류 U구간 특성 785

(그림 8-2-31) 신곡수중보 하류 특성 785

(그림 8-3-1) 한강생태계 조사결과 홍보 786

(그림 8-3-2) 법정보호종 출현구간 및 생물상 양호구간 789

(그림 8-3-3) 우리나라 생태관광 지역 790

(그림 8-3-4) 한강생태정보 웹서비스 주요 내용 791

(그림 8-3-5) 시민참여형 모니터링 체계 및 모니터링 기록지 배포·교육 792

(그림 8-3-6) 특정분야 모니터링 및 관리 방안 793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I. 연구 개요 819

1. 연구배경 및 목적 821

2. 연구체계 822

3. 추진현황 823

4. 조사범위 824

II. 한강의 여건변화 827

1. 기후변화 829

2. 토지이용 830

3. 이용 현황 831

4. 관련 동향 832

III. 한강의 현황 및 관리 835

1. 한강 보호지역 현황 837

2. 한강수계 수환경 모니터링 838

3. 한강수계 생태 모니터링 840

4. 한강 관련 계획 및 사업 842

5. 시민참여관리 현황 848

IV. 한강의 생태환경 및 생물상 851

1. 분야별 주요 조사결과 853

유역환경 및 수리수문 855

수질 환경 조사 857

수변환경조사(River Corridor Survey) 863

일차생산 및 동식물플랑크톤 869

세균 879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882

어류 및 어도개선 모니터링 886

수생 및 육상식물 893

육상곤충 897

양서파충류 902

조류·포유류 904

2. 종합분석 및 요약 912

V. 한강생태계의 상호영향 분석 및 변화예측 919

1. 한강생태평가 921

2. 생태환경과 생물상간의 상호관계 분석 924

VI. GIS-DB 구축 및 생태지도 제작 929

1. 국내외 생태환경정보 서비스 현황 및 추세 931

2. 생태지도 및 모바일웹 제작 934

VII. 한강생태계의 보전 및 향상방안 941

1. 국내외 생태적인 하천관리 사례 분석 943

2.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리방안 949

3. 하천생태 서식처 보전 및 개선 방안 956

VIII. 구간별 생태적 특성 및 관리방안 969

판권기 101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4346 333.9162 -18-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4347 333.9162 -18-1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4348 333.9162 -18-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4349 333.9162 -18-1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