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제1장 고령화연구패널 조사개요와 현황 16
제1절 조사개요 16
1. 머리말 16
2. 조사방법 및 조사내용 18
제2절 조사현황 24
1. 조사현황 24
2. 표본설계 26
3. 가중값 부여 27
제2장 인구학적 배경 30
제1절 조사 대상자의 인적 특성 및 사회참여 활동 30
1. 6차 조사 대상자 인적 특성 30
2. 6차 조사 대상자의 종교 및 사회참여 활동 31
제3장 가족 34
제1절 자녀 35
1. 자녀 현황 35
2. 자녀와의 (비)금전적인 지원 현황 39
제2절 형제ㆍ자매ㆍ부모 47
1. 형제ㆍ자매 현황 47
2. 부모 현황 47
3. ADL, IADL 64
제4장 건강 및 의료 66
제1절 건강 66
1. 주관적 건강상태 66
2. 주요만성 질환 71
3. 시력, 청력, 저작능력 75
4. 건강행태 77
5. 신체적 기능상태 81
6. 정신적 건강상태 81
제2절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 86
1. 중고령자의 의료이용 실태 86
2. 의료비지출 실태 93
제5장 고용 95
제1절 경제활동상태 95
제2절 취업자 98
1. 취업자의 특성 98
2. 근로시간 106
3. 임금 및 소득 115
4. 일자리 특성 및 만족도 123
5. 이직의사 및 은퇴계획나이 130
제3절 구직자 및 비근로자 137
1. 구직활동 137
2. 희망 일자리 특성 141
제4절 은퇴자 151
1. 신규 은퇴자 특성 151
2. 은퇴생활 만족도 153
3. 소일거리 158
제6장 소득 및 소비 161
제1절 소득 161
1. 소득 개요 161
2. 총소득 및 소득유형별 주요 현황 162
3. 비율 및 평균값은 횡단 가중값을 적용하여 분석 177
제2절 소비 및 저축 187
1. 소비 개요 187
2. 가구저축 현황 197
제7장 자산 199
제1절 자산 199
1. 부동산 자산 199
2. 금융 자산 210
3. 기타 자산 및 부채 217
제2절 상속/증여 및 가구총자산 222
1. 상속 및 증여 222
2. 가구 총자산 및 가구 총부채 224
제8장 주관적기대감과 연금 226
제1절 주관적 기대감과 삶의 질 226
1. 주관적 기대감 226
2. 생활 만족도 231
3. 사회경제적 지위 233
4. 여가활동 235
제2절 연금 239
1.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 239
2. 기초연금 243
판권기 247
[그림 1-1] 연도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실시현황 17
[그림 2-1] 6차 조사 대상자의 종교 분포 33
[그림 2-2] 6차 조사 사회활동 참여 종류별 비중 33
[그림 3-1] 비동거 자녀의 부모와의 근접성 37
[그림 3-2] 비동거 자녀의 접촉 빈도 38
[그림 3-3] 비동거 자녀의 연락 횟수 38
[그림 3-4] 비동거 자녀에게 제공받은 비금전적 지원 42
[그림 3-5] 비동거 자녀에게 제공한 비금전적 지원 42
[그림 3-6] 동거/비동거 자녀 모두에게 지원한 금전적 지원액의 용도 44
[그림 3-7] (부모 모두 생존) 비동거 부모와의 근접성 49
[그림 3-8] (부모 모두 생존) 비동거 부모와의 접촉빈도 50
[그림 3-9] (부모 모두 생존) 비동거 부모와의 연락횟수 50
[그림 3-10] (부모 모두 생존) 비동거 부모에 제공한 비금전적인 지원 53
[그림 3-11] (아버지만 생존) 비동거 아버지의 생활 형태 54
[그림 3-12] (아버지만 생존) 비동거 아버지와의 근접성 54
[그림 3-13] (아버지만 생존) 비동거 아버지와의 접촉빈도 55
[그림 3-14] (아버지만 생존) 비동거 아버지와의 연락횟수 55
[그림 3-15] (아버지만 생존) 비동거 아버지에 제공한 비금전적 지원 57
[그림 3-16] (어머니만 생존) 비동거 어머니의 생활 형태 58
[그림 3-17] (어머니만 생존) 비동거 어머니와의 근접성 58
[그림 3-18] (어머니만 생존) 비동거 어머니와의 접촉빈도 59
[그림 3-19] (어머니만 생존) 비동거 어머니와의 연락횟수 59
[그림 3-20] 비동거 어머니로부터 받은 비금전적인 지원 61
[그림 3-21] 비동거 어머니에 제공한 비금전적인 지원 62
[그림 4-1]/[그림 4-30] 주관적 건강상태의 변화 추이: 1 67
[그림 4-2] 인지기능의 변화 추이 : 1~6차 82
[그림 4-3] 우울증상의 변화 추이: 1~6차 84
[그림 5-1]/[그림 5-37] 임금근로자의 종사상지위 분포 추이: 1~6차 103
[그림 5-2] 임금근로자의 성별 근로시간 형태 분포 추이: 1~6차 103
[그림 5-3] 취업자의 성별 주당 평균 근로시간 추이: 1~6차 106
[그림 5-4] 임금근로자의 성별 월평균 임금 추이: 1~6차 115
[그림 5-5] 자영업자의 성별 월평균 근로소득 추이: 1~6차 120
[그림 5-6] 연령대별 일할 의사를 가진 응답자 비중: 2~6차 141
[그림 5-7] 성ㆍ고용형태별 평균 희망임금(소득) 150
[그림 5-8] 신규은퇴자의 평균 은퇴연령 151
[그림 5-9] 은퇴에 대한 만족도 추이: 1~6차 154
[그림 5-10] 은퇴 전과 비교한 만족도 추이: 1~6차 156
[그림 5-11] 은퇴자의 소일거리 유무 158
[그림 6-1] 개인총소득에서 차지하는 각 소득항목별 비중 추이: 1~6차 164
[그림 6-2]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세부소득항목별 비중 165
[그림 6-3] 연금소득에서 차지하는 세부소득항목별 비중 174
[그림 6-4] 사회보장소득에서 차지하는 세부소득항목별 비중 180
[그림 6-5] 총 생활비 및 각 소비항목별 평균액 추이: 2~6차 189
[그림 7-1] 거주형태별 본인명의 부동산 자산액 추이 : 2~6차 20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396959 | 362.6 -18-4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396960 | 362.6 -18-40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