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1,2-디클로로프로판(1,2-dichloropropane) 등 세척제 취급 실태조사 및 건강모니터링 체계 구축 [전자자료] : 연구보고서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인기도
발행사항
울산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형태사항
1 온라인 자료 : PDF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연구원 ; 2017-1058
면수
292
제어번호
MONO1201818644
주기사항
연구기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정경숙
영어 초록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I.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5

1. 연구목적 15

1) 세척제 15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목표 18

II. 연구 내용 및 방법 20

1. 연구 내용 및 범위 20

1) 연구 내용 및 범위 20

2) 연구 방법 22

III. 연구 결과 28

1. 세척제 사용현황 28

1)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28

2) 환경부 화학물질 취급정보 38

3) 세척제 관리 실태 44

2. TCE 대체제 사용현황 48

1) Trichloroethylene (TCE) 사용 변화 48

2) 세척제 사용 회사 실태조사 49

3. DCP 노출 현황 62

1) ○○전산폼 62

2) ○○전산 65

3) ○○산업 67

4) 한국○○ 71

5) 극동○○ 74

6) 유텍○○ 78

7) 성진○○ 80

8) 총괄 83

4. DCP 노출 근로자의 생물학적모니터링 85

1) 소변시료 채취 85

2) 소변 중 1,2-DCP분석 85

3) 소변 중 1,2-DCP 농도 87

4) 공기 중 1,2-DCP 농도와 소변 중 1,2-DCP 농도의 상관성 88

5. 건강장해 및 사례 조사 92

1) 1,2-Dichloropropane (DCP)에 의한 건강영향 92

2) 1,1-디클로로에탄(1,1-DICHLORETHANE) 113

3) 1,1-디클로로에틸렌(1,1-DICHLOROETHENE) 116

4) 노난(NONANE) 122

5) 노말-프로필알콜(N-PROPANOL) 124

6)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126

7) 메틸시클로헥산(methylcyclohexane) 129

8) 메틸이소프로필케톤(methyl isopropyl ketone) 131

9) 브이엠 및 피 나프타(VM & P Naphtha) 133

10) 에탄올(Ethanol) 135

11) 옥탄(Octane) 139

12) 케로젠 141

13) 트리메틸벤젠 148

14) 트리에틸아민 151

15) 펜탄 153

16)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59

17) 1,2-에폭시프로판 162

18) 개미산 171

19) 과산화수소 175

20) 디에탄올아민 180

21) 비닐아세테이트 185

22) 수산화나트륨 189

23) 수산화칼륨 (Potassium hydroxide) 194

24) 수산화칼슘 (Calcium hydroxide) 197

25) 에탄올아민 (Ethanolamine) 200

26) 에틸 아크릴레이트 (Ethyl acrylate) 204

27) 초산메틸(Methyl acetate) 207

28) 초산부틸 (Butyl acetate) 210

29) 초산에틸 (Ethyl acetate) 214

30) 초산이소부틸 (Isobutyl acetate) 218

31) 초산이소프로필 (Isopropyl acetate) 221

32) 하이드라진 (Hydrazine) 223

6. 1,2- 디클로로 프로판 등 특수건강진단 비대상 유해인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방법 및 판정기준안 228

1) 1,2-DCP에 의한 건강 영향 요약 228

2) 담관암의 선별검사 방법에 대한 검토 229

3) 1,2-DCP 등 세척제의 특수 건강진단 대상 및 항목 선정 논의 과정 238

4) 1,2-DCP 특수 건강진단(안) 246

7. 근로자 건강보호 방안 250

1) 작업공정별 작업환경관리 250

2) 위험성평가 257

3) 근로자 건강관리 259

4) 취급시 주의 사항 및 보호구 260

IV. 결론 및 제언 263

참고문헌 266

Abstract 271

[부록 1] 세척제변경 사업장 조사양식 274

[부록 2] 암발생사례 조사지 278

[부록 3] 작업환경측정 및 생물학적노출지표 조사양식 284

판권기 292

〈표 1-1〉 세척제 분류, 종류 및 목적 16

〈표 2-1〉 사업장 작업환경 및 관리 실태 파악 내용 24

〈표 3-1〉 세척 공정에서 사용하는 다빈도 물질 및 1,2-DCP, 염화메틸렌의 년도별 작업환경측정 사업장 수 29

〈표 3-2〉 세척 공정에서 사용하는 다빈도 물질 및 1,2-DCP의 년도별 반기별 작업환경측정 건수 및 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30

〈표 3-3〉 업종별 2014-2016년 세정작업 작업환경 측정 건 수 33

〈표 3-4〉 2014-2016년 주요 업종별 주요 세척제 작업환경측정 건수 34

〈표 3-5〉 노출기준 초과 물질의 년도별 반기별 초과 건수 및 전체 측정 건수에 대한 비율 35

〈표 3-6〉 2014-2016년 업종별 물질별 노출 기준 초과 측정 건수 36

〈표 3-7〉 2014-2016년 사업장 규모별 물질별 노출기준 초과 건수 및 전체 측정건수, 초과 백분율 37

〈표 3-8〉 2014년 사업장의 연간 입고량 및 사용ㆍ판매량 사업장 수 분포 39

〈표 3-9〉 업종별 1,2-DCP 연간 사용ㆍ판매량에 따른 사업장 수 분포 40

〈표 3-10〉 지역별 1,2-DCP 연간 사용ㆍ판매량에 따른 사업장 수 분포 42

〈표 3-11〉 연간 20톤 이상 1,2-DCP 사용ㆍ판매 사업장의 시군구별 분포 43

〈표 3-12〉 사업장 규모별 1,2-DCP 연간 사용ㆍ판매량에 따른 사업장 수 분포 43

〈표 3-13〉 2014-2016 세척공정에서 사용한 물질의 관리상태 44

〈표 3-14〉 년도별 TCE 작업환경측정 및 특수건강진단 사업장 수 변화 49

〈표 3-15〉 설문지 발송 조사대상 사업장 회수현황 51

〈표 3-16〉 설문지 응답 사업장 정보 52

〈표 3-17〉 설문지 응답 사업장 세척제 변경 사유 54

〈표 3-18〉 설문지 응답 사업장 변경된 세척제 사용량 57

〈표 3-19〉 설문지 응답 사업장 세척제 작업 노출근로자 수 60

〈표 3-20〉 ○○전산폼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64

〈표 3-21〉 ○○전산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66

〈표 3-22〉 작업환경측정결과서 검토사업장 개요 68

〈표 3-23〉 작업환경측정결과서 검토사업장의 측정결과 68

〈표 3-24〉 ○○산업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70

〈표 3-25〉 한국○○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73

〈표 3-26〉 극동○○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77

〈표 3-27〉 유텍○○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79

〈표 3-28〉 성진○○ 1,2-DCP 작업환경측정 결과 81

〈표 3-29〉 성진○○의 직접노출 공정과 산접노출 공정을 구분한 1,2-DCP 농도 81

〈표 3-30〉 1,2-DCP 측정 사업장 현황 83

〈표 3-31〉 업종 및 작업방법에 따른 공기 중 1,2-DCP 농도 84

〈표 3-32〉 HS-SPME 조건 86

〈표 3-33〉 GC 조건 86

〈표 3-34〉 MS 조건 86

〈표 3-35〉 공기 중 1,2-DCP 농도와 작업 종료 후 소변 중 1,2-DCP농도 상관성 89

〈표 3-36〉 공기 중 1,2-DCP와 작업 종료 후 소변 중 1,2-DCP의 단순회귀분석 (전체) 90

〈표 3-37〉 공기 중 1,2-DCP와 작업 종료 후 소변 중 1,2-DCP의 단순회귀분석 (2주이내 분석시료) 91

〈표 3-38〉 Kawai 등(2015)의 연구와 비교 91

[그림 1-1] 세척제의 업종별 구성 비율 15

[그림 1-2] 연구목표 모형도 18

[그림 2-1]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모식도 20

[그림 3-1] ○○전산폼 인쇄기 62

[그림 3-2] 블랑켓 세척장면 63

[그림 3-3]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전산폼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64

[그림 3-4] ○○전산 인쇄공정 65

[그림 3-5]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전산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67

[그림 3-6] ○○산업 초음파 세척조 69

[그림 3-7] ○○산업 layout 69

[그림 3-8]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산업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71

[그림 3-9] 항온ㆍ항습기 73

[그림 3-10]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한국○○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좌:세척공정, 우: 조립공정) 74

[그림 3-11] 초음파 자동세척 공정 76

[그림 3-12] 국자로 이물질(녹물)을 떠내는 장면 76

[그림 3-13]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극동○○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77

[그림 3-14]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유텍○○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79

[그림 3-15] 베이시안통계기법을 이용한 성진○○ 측정결과의 노출기준초과확률 (좌:직접 노출공정, 우: 간접 노출공정) 82

[그림 3-16] 1,2-DCP 검량식과 크로마토그램 87

[그림 3-17] 소변 중 1,2-DCP의 대수정규분포 87

[그림 3-18] 담관암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롤러와 블랑켓 세척제 사용현황 (Kumagai et al, 2013) 95

[그림 3-19] 담관암 환자의 노출력 및 특성 (Kumagai et al, 2014) 96

[그림 3-20] 담관암 환자의 혈액학적 변화 (Kumagai et al, 2014) 97

[그림 3-21] 담관암 환자의 임상적 특성 (Kubo et al, 2014) 100

[그림 3-22] 소규모 인쇄소 3곳에서 발생한 6명의 담관암 환자의 1,2-DCP와 DCM 노출수준 (Yamada 등, 2014) 103

[그림 3-23] 공기 중 1,2-디클로로프로판 농도와 작업 종료 후 소변 중 1,2-디클로로프로판 농도와의 상관성 104

[그림 3-24] 직업성 담관암으로 보상된 6명의 특성(Yamada 등, 2015) 105

[그림 3-25] 2010년과 2013년에 21개의 소규모 인쇄소에서 6개월 간 세척 공정에 사용된 물질의 양 (Tsukahara 등, 2016) 107

[그림 3-26] 쥐에서 DCM과 1,2-DCP 노출에 따른 DNA 손상 비율 (Suzuki 등, 2014) 108

[그림 3-27] 쥐에서 DCP, DCE, CHCl3 흡입 노출시 체내 장기별 물질의 분포 (Suzuki 등, 2014) 109

[그림 3-28] 쥐에서 DCP 경구 노출에 따른 장기별 물질 분포 (Take 등, 2017) 110

[그림 3-29] 3일간 위관을 통한 경구 투여한 햄스터와 쥐에서 DCP의 장기별 분포 (Gi 등, 2015) 111

[그림 3-30] 1,2-DCP 대사산물의 혈액으로의 분비 과정 (Toyoda 등, 2016) 112

[그림 3-31] 원발성 쓸개관경화증의 선별검사 제안 (Khan 등, 2012) 233

[그림 3-32] CASCAP에서 원발성쓸개관경화증 선별검사 방법(Narong 등, 2015) 235

[그림 3-33] 담관암 진단 전 임상검사 결과 (Kubo 등, 2016) 237

[그림 3-34] 직업성 담도암 선별검사 방안 (Kubo 등, 2016) 238

[그림 3-35] 도금업 초음파 세척공정에 설치되 측방형 후드 252

[그림 3-36] 초음파 세척공정에 권장하는 국소배기설비 (출처:안전보건공단 표준산업환기설비 설계) 253

[그림 3-37] 좌:배합용기, 우: 표준환기 제시안 (출처:안전보건공단 표준산업환기설비 설계) 254

[그림 3-38] 용기 세척 시 표준환기 설계 제시안 (출처:안전보건공단 표준산업환기설비 설계) 255

[그림 3-39] 초음파 자동세척기 (포위식 배기후드) 256

[그림 3-40] 포위식 배기후드의 표준환기 설계 제시안 (출처:안전보건공단 표준산업환기설비 설계) 256

[그림 3-41] 인쇄공정의 환기설비 (좌:설비 미설치, 우:상부 캐노피 후드 설치) 257

[그림 3-42] 위험성평가 절차 (자료:안전보건공단) 258

[그림 3-43] 직업병예방을 위한 상황별ㆍ단계별 필수정보 확인프로세스 (CHEM-i) 260

[그림 3-44] 호흡보호구 밀착도 자가점검 26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