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2008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머리말
제1부트랜스내셔널 자아 1. 로컬, 글로벌, 트랜스내셔널: 로컬의 트랜스내셔널한 구축을 위하여ㆍ 오경환 2. 문명 담론과 독립협회의 정치체제, 그리고 러젠드르의 전제론 ㆍ 김현숙 3. 역사와 역사 기술 사이에서: 브라이언 프리엘의 『역사 만들기』에 나타난 아일랜드의 혼종적 주체와 역사 담론 ㆍ 이형섭
제2부트랜스내셔널 윤리 4. ‘식민지 계몽주의’에 관한 트랜스내셔널 시각과 비평: 근대의 자원병 혹은 징집병 ㆍ 육영수 5. 식민지 초기 교육 담론과 동화주의: 차별 교육과 ‘차이’의 정치학ㆍ 홍양희 6. 청년에서 군인으로: 조선인민군의 교육·생활과 규율기제(1945~1950)ㆍ 김선호 7. 패자 아이즈의 적군 전사자 제사와 그 정치적 맥락들 ㆍ 이세연
제3부트랜스내셔널 공동체 8. 분단, 전쟁, 그리고 완도군 소안면 사람들 ㆍ 박찬승 9. 재난 이후의 세계에 관한 문학적 상상 ㆍ 심정명 10. 일본의 해석개헌, 평화헌법, 동아시아 ㆍ 윤해동 11. 냉전기의 적과 동지, 그리고 벌거벗은 생명의 파톨로지: 전후 동유럽의 독일인과 유럽공동체 문제를 중심으로 ㆍ 이창남
초출 일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8276
001.3 -18-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8277
001.3 -18-3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이 책은…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는 모두 10년 동안 “트랜스내셔널 인문학”(Transnational Humanities)를 어젠다로 인문한국지원사업(Humanities Korea)의 수혜를 받았다(2008~2018년). 그 가운데 3단계 마지막 4년 동안은 ‘트랜스내셔널 자아, 윤리, 공동체’를 어젠다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트랜스내셔널 문제의식이 개인과 집단의 자아와 윤리에 어떤 방식으로 관철되고 있으며, 어떻게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인가를 모색해왔다. 이 책 『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은 이런 문제의식에 맞춘 그 동안의 연구성과를 추린 것이다. 이 책『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는 총 열한 편의 논문을 세 개의 파트로 구성하였다. 각 파트에는 “트랜스내셔널 자아” “트랜스내셔널 윤리” “트랜스내셔널 공동체”라는 주제의식이 담겨 있으며, 또 여기에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에 기여할 수 있는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의 고민이 담겨 있다.
책속에서
역사적으로 자유민주주의 국가는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않는다는 논의가 있다. 이를 두고 ‘민주주의 평화론’이라고 하는데, 어느 정도는 경험적으로 입증된 이론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한 ‘핵심적인 평화지대’는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않는 평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전 지구적으로 시야를 확대하면 오히려 더 혼란스러운 상태로 이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군사적 폭력이 탈국가화하고 ‘전쟁폭력’이 국가 간의 경계를 넘어 많은 지역에서 일상화하고 있는 것 또한 진실이다.
이런 점에서 이제 지구시민사회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국가 혹은 지역 차원의 정체성을 넘어서 지구인 혹은 세계인이라는 정체성을 갖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지구시민사회의 시민이라는 자각은 지구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만들어나가는 데서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 될 것이다. 나아가 이런 자각을 바탕으로 지구인 혹은 세계인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를 체득해나가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그럴 때 비로소 새로운 ‘지구공동체’를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