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양경찰학개론 = An introduction to coast guard science / 지은이: 윤성현, 박주상, 김경락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8
청구기호
363.286 -18-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i, 581 p. : 삽화, 도표 ; 25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05394
제어번호
MONO1201820030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79-581

목차보기더보기


총 론

제1장 해양경찰의 개관
제1절 경찰 개념의 변천3
Ⅰ. 경찰 개념의 역사적 흐름_3
제2절 해양경찰의 의의4
Ⅰ. 개 념_9
Ⅱ. 해양경찰의 종류_12
Ⅲ. 해양경찰의 임무 및 수단_15
Ⅳ. 해양경찰의 기본이념_19
Ⅴ. 해양경찰학의 학문적 정체성_23
Ⅵ. 해양경찰 윤리_25
Ⅶ. 해양경찰과 육상경찰의 비교_29

제2장 해양경찰의 역사
제1절 해양경찰 태동기(1945~1955)35
Ⅰ. 맥아더라인의 설정_35
Ⅱ. 평화선의 설정_36
Ⅲ. 클라크라인의 설정_37
Ⅳ. 해양경찰대의 창설(1953.12.23.)_38
제2절 해무청 해양경비대(1955~1962)39
Ⅰ. 개편 배경_39
Ⅱ. 조 직_39
Ⅲ. 인 사_40
Ⅳ. 주요 정책_40
제3절 신해양경찰대 시기(1962~1991)42
Ⅰ. 개편 배경_42
Ⅱ. 조 직_42
Ⅲ. 인 사_43
Ⅳ. 주요 정책_43
제4절 경찰청 소속 해양경찰청 시기46
(1991~1996)
Ⅰ. 개편 배경_46
Ⅱ. 조 직_46
Ⅲ. 인 사_47
Ⅳ. 주요 정책_47
제5절 독립 외청 시기(1996~2014)52
Ⅰ. 개편 배경_52
Ⅱ. 조 직_52
Ⅲ. 인 사_53
Ⅳ. 주요 정책_53
제6절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시기58
(2014~2017)
Ⅰ. 개편 배경_58
Ⅱ. 조 직_59
Ⅲ. 주요 정책_60
제7절 新해양경찰청 시기61
(2017. 7. 26.~현재)
Ⅰ. 개편 배경_61
Ⅱ. 주요 정책_62

제3장 해양경찰의 법적 토대
제1절 해양경찰조직64
Ⅰ. 해양경찰조직과 법률의 근거_64
Ⅱ. 해양경찰기관_66
Ⅲ. 해양경찰의 조직별 업무_72
Ⅳ. 해양경찰관청의 권한_102
Ⅴ. 해양경찰관청 상호간의 관계_117
Ⅵ. 해양경찰집행기관의 신분:_123
국가해양경찰공무원
제2절 해양경찰의 작용162
Ⅰ. 해양경찰작용의 법적 근거_162
Ⅱ. 해양경찰권 발동ㆍ행사의 한계_181
Ⅲ. 해양경찰작용의 행위형식_183
Ⅳ. 해양경찰작용의 실효성 확보수단_185
Ⅴ. 해양경찰권의 행사와 권리구제_196

제4장 해양경찰의 행정관리
제1절 해양경찰 관리202
Ⅰ. 의 의_202
Ⅱ. 구 조_203
Ⅲ. 관리자의 요건_205
제2절 해양경찰 기획207
Ⅰ. 의 의_207
Ⅱ. 과 정_208
Ⅲ. 원 칙_209
Ⅳ. 기획 수립의 제약요인_210
제3절 해양경찰 조직관리211
Ⅰ. 관료조직_211
Ⅱ. 조직의 편성_212
Ⅲ. 조직편성의 기준_215
Ⅳ. 관료제 이론_216
Ⅴ. 동기부여이론_218
Ⅵ. 욕구계층이론_219
제4절 해양경찰 인사관리221
Ⅰ. 의 의_221
Ⅱ. 실적주의와 직업공무원 제도_222
Ⅲ. 채 용_225
Ⅳ. 교육훈련_229
Ⅴ. 보 직_233
Ⅵ. 승진제도_235
Ⅶ. 징 계_237
Ⅷ. 사기관리_239
제5절 해양경찰 예산관리242
Ⅰ. 의 의_242
Ⅱ. 구조와 종류_243
Ⅲ. 예산의 절차_244
Ⅳ. 예산제도_248
제6절 해양경찰 장비관리251
Ⅰ. 의 의_251
Ⅱ. 함정의 정비_252
Ⅲ. 무기ㆍ탄약류 관리_254
제7절 해양경찰 보안관리257
Ⅰ. 의 의_257
Ⅱ. 보안의 책임(보안업무규정 제3조)_258
Ⅲ. 원 칙_258
Ⅳ. 구 분_259
Ⅴ. 대상 및 방법_261
Ⅵ. 문서관리_263
제8절 해양경찰 홍보266
Ⅰ. 의 의_266
Ⅱ. 유 형_266
Ⅲ. 홍보 관련 용어_268
Ⅳ. 주의사항_268
제9절 해양경찰 통제269
Ⅰ. 해양경찰 통제의 개념_269
Ⅱ. 기본요소_271
Ⅲ. 유형 및 장치_273

제5장 외국의 해양경찰제도
제1절 비교해양경찰제도의 의의278
제2절 미국 해양경비대279
Ⅰ. 연 혁_279
Ⅱ. 조 직_280
Ⅲ. 인력 및 예산_282
Ⅳ. 장 비_283
Ⅴ. 주요 임무_285
제3절 일본 해상보안청287
Ⅰ. 연 혁_287
Ⅱ. 조 직_287
Ⅲ. 인력 및 예산_289
Ⅳ. 장 비_289
Ⅴ. 주요 임무_290
제4절 중국 해경국290
Ⅰ. 연 혁_290
Ⅱ. 조 직_292
Ⅲ. 인 사_295
Ⅳ. 장 비_295
Ⅴ. 주요 임무_295

각 론

제1장 해양경찰경비론
제1절 개 관299
Ⅰ. 의 의_300
Ⅱ. 특 징_301
제2절 법적 근거302
Ⅰ. 헌법과 법률_302
Ⅱ. 해양경비법 주요 내용_305
제3절 해양경비의 범위와 한계306
Ⅰ. 범 위_306
Ⅱ. 수단ㆍ종류_307
Ⅲ. 한 계_316
제4절 해역별 경비 임무317
Ⅰ. 영해 및 접속수역 경비_318
Ⅱ. 배타적 경제수역(EZZ) 경비_322
Ⅲ. 공해(公海) 경비_326
제5절 경비세력326
Ⅰ. 개 요_326
Ⅱ. 조직과 인력_326
Ⅲ. 파ㆍ출장소 운영_327
Ⅳ. 함 정_328
Ⅴ. 항공기_330
제6절 특수경비활동333
Ⅰ. 해양경찰작전 임무_333
Ⅱ. 해양경찰 대테러 임무_337
Ⅲ. 해상경호 임무_342

제2장 해양경찰수색구조론
제1절 개 관345
Ⅰ. 의 의_345
Ⅱ. 특 징_347
Ⅲ. 적용범위_347
제2절 법적 근거348
Ⅰ. 수색구조 관련 국제협약 및 협정_348
Ⅱ. 국내법_348
제3절 수색구조 세력353
Ⅰ. 수색구조 조직체계_353
Ⅱ. 주요 시스템과 장비_356
제4절 수색구조절차358
Ⅰ. 인지 단계_358
Ⅱ. 초동조치 단계_359
Ⅲ. 수색 단계_360
Ⅳ. 구조 단계_364
Ⅴ. 수색구조의 종료와 사후조치 단계_366

제3장 해양경찰안전관리론
제1절 개 관367
Ⅰ. 의 의_367
Ⅱ. 특 성_368
제2절 연안해역 안전관리체계370
Ⅰ. 의 의_370
Ⅱ. 파ㆍ출장소 운영_371
제3절 유선 및 도선 안전관리382
Ⅰ. 개 요_382
Ⅱ. 면허 및 신고 대상_383
Ⅲ. 영업구역 및 영업시간_383
Ⅳ. 유ㆍ도선사업자 등의 의무_384
Ⅴ. 해양경찰 안전관리_388
제4절 해양교통 안전관리390
Ⅰ. 의 의_390
Ⅱ. 선박 출ㆍ입항관리_392
Ⅲ. 선박교통관제(VTS)_397
제5절 수상레저 안전관리403
Ⅰ. 의 의_403
Ⅱ. 다른 법률과의 관계_404
Ⅲ. 조종 면허_404
Ⅳ. 안전관리_405
Ⅴ. 관련 쟁점_409
제6절 기타 해양 안전관리411
Ⅰ. 의 의_411
Ⅱ. 물놀이 안전관리_411
Ⅲ. 낚시어선 안전관리_417

제4장 해양경찰수사론
제1절 수사의 의의420
Ⅰ. 수사의 개념_420
Ⅱ. 수사기관_421
Ⅲ. 수사의 조건_424
Ⅳ. 수사의 원칙_425
제2절 해양경찰 수사활동의 의의429
Ⅰ. 해양경찰 수사활동의 개념_429
Ⅱ. 해양경찰 수사활동의 법적 근거_430
Ⅲ. 해양경찰 수사활동의 특징_430
Ⅳ. 해양경찰 수사활동의 중요성_431
제3절 해양경찰의 수사활동조직431
Ⅰ. 해양경찰청_431
Ⅱ. 지방해양경찰청_432
Ⅲ. 해양경찰서_433
제4절 해양경찰의 수사절차433
Ⅰ. 내 사_433
Ⅱ. 수사의 단서_438
Ⅲ. 수사의 개시_447
Ⅳ. 수사의 방법_449
Ⅴ. 수사의 종결_461
제5절 해양경찰의 수사서류465
Ⅰ. 수사서류의 의의_465
Ⅱ. 수사서류의 작성요령_466
Ⅲ. 형사사법정보시스템을 이용한_469
수사서류의 작성
Ⅳ. 수사서류의 접수_469
제6절 해양경찰의 수사활동469
Ⅰ. 현장수사_469
Ⅱ. 수배와 공조수사_472
Ⅲ. 감식수사_474
제7절 해양경찰의 수사행정476
Ⅰ. 유치장_476
Ⅱ. 호 송_480

제5장 해양경찰정보?보안론

제1절 해양경찰정보론486
Ⅰ. 정보의 의의_486
Ⅱ. 해양경찰 정보활동의 의의_497
Ⅲ. 해양경찰의 정보활동조직_499
Ⅳ. 해양경찰 정보활동의 실제_500
Ⅴ. 해양경찰 정보활동의 유형_501
제2절 해양경찰보안론502
Ⅰ. 해양경찰 보안활동의 의의_502
Ⅱ. 해양경찰의 보안활동조직_503
Ⅲ. 해양경찰 보안활동의 유형_505

제6장 해양경찰외사론
제1절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의의514
Ⅰ.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개념_514
Ⅱ.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법적 근거_514
Ⅲ.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특징_515
Ⅳ.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중요성_515
제2절 해양경찰의 외사활동조직515
Ⅰ. 해양경찰청_515
Ⅱ. 지방해양경찰청_516
Ⅲ. 해양경찰서_516
제3절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대상517
Ⅰ. 일반 외국인_517
Ⅱ. 외교사절 및 영사_517
Ⅲ. 미합중국 군대의 구성원_520
Ⅳ. 외국의 군함 및 그 승무원_523
제4절 해양경찰 외사활동의 유형524
Ⅰ. 외사수사활동_524
Ⅱ. 외사정보 및 보안활동_533
Ⅲ. 국제협력을 위한 활동_534

제7장 해양오염방제론

제1절 해양오염방제의 개관539
Ⅰ. 해양오염의 의의_539
Ⅱ. 해양오염물질의 특성_544
Ⅲ. 국내ㆍ외 법규 및 협약_548
제2절 해양오염방제552
Ⅰ. 해양오염방제의 의의_552
Ⅱ. 해양오염방제 활동_554
Ⅲ. 주요 장비ㆍ자재 및 약재_558
제3절 유형별 방제활동566
Ⅰ. 해상방제_566
Ⅱ. 해안방제_568
Ⅲ. 폐유ㆍ폐기물 처리_571
Ⅳ. 위험ㆍ유해물질(HNS)방제_573

참고문헌 / 57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98304 363.286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98305 363.286 -18-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머리말

    “바다를 다스리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Walter Ralegh). 오늘날 바다는 풍부한 자원의 보고이자 국가발전의 신 성장 동력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각국은 해양영토를 둘러싸고 ‘총성 없는 전쟁’이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해양경찰은 내무부 치안국 소속으로 1953년 탄생되었고 1996년 경찰청에서 독립하여 현재는 독자적으로 해양경비·안전·수사·방제 등 해양에서의 종합적인 치안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경찰은 그간 크고 작은 난관을 극복하면서 양적·질적으로 엄청난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 해양경찰 조직은 5개 지방청, 19개 해양경찰서, 1만 2천여명의 인력과 310여척의 함정, 고정익 6대, 회전익 18대 등 24대의 항공기를 보유한 조직으로 성장하였다. 해양경찰은 흔히들 멀티플레이어(multi-player)라고 불리운다. 해양에서의 주권수호·안전관리·범죄수사·환경관리·국제협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육상경찰이나 소방이 각각 ‘경찰학’, ‘소방학’이라는 독립적인 학문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해양경찰학’은 학문적 정체성 확립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것은 해양경찰학이 경찰학, 법학, 항해학, 해양환경학 등 사회과학적 성격과 자연과학적 성격이 교차하고 있어 단일 학문으로 자리매김 하는 데에 여러 가지 난점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움을 딛고 2018년부터는 ‘해양경찰학’이 행정학이나 경찰학과 구분되어 해양경찰 채용시험에 정식과목으로 채택되게 되었다. 시중에는 그간 몇 권의 해양경찰학 교과서가 출간되었으나 사회과학적 요소와 자연과학적 성격이 교차하는 과목의 성격상 단일 저자가 집필하기에는 전문성과 경험의 한계가, 여러 저자가 공동 집필하기에는 일관성과 체계성을 정립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그러다 보니 기본서라는 성격보다는 요약서 내지는 수험서나 강의안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본서는 그런 면에서 경찰학과 법학을 전공한 교수와 중견 실무가가 모여 전문 분야를 바탕으로 완성도 높은 개론서를 집필하고자 하였다.
    본서를 집필하면서 가장 먼저 고민했던 것이 교과서적 성격을 유지하면서 ‘어느 정도 범위에서 수험서로서의 성격을 반영할 것인가’이었다면, 가장 깊이 고민하였던 부분은 해양경찰학의 양적 범위와 질적 깊이를 설정하는 작업이었다.
    먼저 양적 범위는 2017년 해양경찰청 내부 토론회와 2018년 채용공고 등에서 밝힌 해양경찰학개론 범위를 기본으로 하였다. 해양경찰 개념·법적 토대·행정·경비·구조안전·수사정보·해양환경으로 구분하되, 학문적 편의상 구조안전은 수색구조와 해양안전으로 구분하고, 수사정보 분야는 수사·정보·보안·외사를 각각 구분하여 집필하였다. 질적 깊이와 관련해서는 본서를 통해 공부하는 주 독자층이 해양경찰학과 학생 및 해양경찰이 되기 위해 공부하는 수험생이므로 실무는 생소할 것으로 보고, 개론서의 성격에 맞게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하고자 하였다.
    본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안점을 두고 집필되었다. 첫째, 총론에서는 해양경찰에 대한 법적 근거 등 이론적인 내용을, 각론에서는 해양경비·안전·수사정보·오염방제 등 실무적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둘째, 기본이론에 충실하면서도 실무를 다루고 있는 각론 부분은 가급적 사진과 도표 등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해양경찰 분야를 처음 접하는 대학생이나 수험생들에게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수준에서 깊이와 난이도를 조정하였다. 셋째, 기본서·교과서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인용된 참고 문헌을 명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넷째,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적 성격이 교차하는 학문적 성격 즉, 경찰학과 법학 그리고 경비·안전·수색구조 등 실무분야가 중첩되는 해양경찰학의 성격상 저자 3인은 전공에 따라 분야별로 집필한 후 수차례에 걸쳐 분야별 검토와 전반적인 체계성 검토를 실시하여 책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서는 대학교에서 해양경찰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기본서로서, 해양경찰이 되고자 공부하는 수험생에게는 수험서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경찰행정학을 가르치는 대학에서도 경찰작용을 넓게 확대하여 육상에서의 경찰활동 외에 해양에서의 경찰작용을 의미하는 해양경찰학을 필수나 선택과목으로 포함시켜 경찰작용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서를 활용하면 학생들이 해양경찰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 같다.
    끝으로 본서가 집필되는 데에는 많은 학문적·인간적 도움을 받았다. 노호래 외 『해양경찰학개론』, 순길태 『해양경찰학개론』, 오정동 『해양경찰학개론』등은 척박한 해양경찰학이라는 영역에 시금석을 놓은 개척적인 저서이다. 경의를 표한다. 또한 본서를 집필하는데 해양경찰 여러분과 해양경찰학과 교수님들의 많은 도움을 받았음을 밝히고 싶다. 또한 위험부담이 큰 생소한 분야의 출간을 쾌히 승낙해주신 사회과학 출판의 거목,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님, 조성호 이사님 그리고 밤낮으로 수고해 주신 편집부에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해양경찰학이라는 학문의 정체성 확립과 해양경찰학개론을 공부하는 대학생·수험생들에게 일조해보고자 한 공저자들의 출간 의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내재해 있을 줄 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관련 분야의 학문성 성과와 법령의 개정 그리고 독자들의 지적과 조언을 즉시적으로 반영하여 학습하기에 유용한 기본서가 될 수 있도록 가급적 매년 개정·보완할 것을 약속하며 본서를 통해 해양경찰 분야의 이해를 넓히고 수험생에게는 합격의 동반자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18년 2월
    共著者 윤성현·박주상·김경락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